KR20210095341A -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5341A
KR20210095341A KR1020200009059A KR20200009059A KR20210095341A KR 20210095341 A KR20210095341 A KR 20210095341A KR 1020200009059 A KR1020200009059 A KR 1020200009059A KR 20200009059 A KR20200009059 A KR 20200009059A KR 20210095341 A KR20210095341 A KR 202100953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pirulina
skin
skin regeneration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0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보애
이화숙
양재찬
박찬봉
김민승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화팜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화팜, 목원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화팜
Priority to KR10202000090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95341A/ko
Publication of KR202100953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53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66Microorganisms or materials therefrom
    • A61K35/74Bacteria
    • A61K35/748Cyanobacteria, i.e. blue-green bacteria or blue-green algae, e.g. spiruli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rd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SPIRULINA EXTRACT FOR SKIN REGENERATION}
본 발명은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적인 아름다움을 표현하는 중요한 기관이다. 외적인 아름다움이 젊음과 건강을 상징하는 판단의 기준일 뿐 아니라 자신감을 표출하여 업무능력에 영향을 주는 경쟁력으로 자리잡고 있기 때문에, 현대사회에서 피부를 관리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또한, 피부는 외부의 유해한 환경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는 경계 역할을 함으로써 신체를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피부는 표피, 진피, 피하지방층으로 구성된다. 이 중 표피는 피부의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고, 표피에 의해 눈에 보이는 피부결 및 색상이 결정된다. 표피는 각질형성세포, 멜라닌 세포, 랑레르한스 세포 및 메르켈 세포로 구성되고, 이들 중 각질형성세포가 표피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이 각질형성세포는 가장 안쪽부터 기저층, 유극층, 과립층, 각질층과 같이 4개의 층으로 이루어진다.
피부는 화학적, 기계적, 생물학적 자극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인체를 보호하는 방어막 기능을 하는 기관이므로 면역 반응과 관련된 염증반응이 빈번하게 일어난다. 흔히 피부에 발생하는 생활성 손상은 표피층이나 진피층 상부에 상처를 입는 경우가 일반적이며, 자연적으로 치유된다. 그러나 지혈, 염증 및 재생 단계의 상처 치유 과정에 관련된 세포의 생리학적 기능이 원활하지 못한 경우, 피부질환의 악화 뿐만 아니라 노화를 촉진시켜 피부에서의 미용적 및 병리적 문제를 유발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피부 재생을 유도할 수 있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피부재생용 조성물은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마스크팩, 시트팩, 수면팩, 워시오프팩 및 필오프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에 의하면 상처가 생긴 피부 재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상처회복능을 비교예와 비교한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의 상처회복능을 비교예 대비 상대적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도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피부재생용 조성물은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상처 회복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은 피부 상처 회복 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정도의 유효량을 함유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스피룰리나(Spirulina)”는 지구에서 가장 오래된 조류로서 세포벽이 얇은 다세포 생물이다. 상기 스피룰리나는 고염분 알카리 환경에서 자생하며, 인공 양식으로 대량 생산이 가능하다. 상기 스피룰리나는 청록색으로 나선형이며 길이 300~500 ㎛, 너비 8 ㎛ 이다. 약 30종이 알려져 있으며, 구성 성분은 단백질 60~70%, 지질 6~9%, 탄수화물 15~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스피룰리나는 공지된 다양한 스피룰리나 종을 포함하며, Spirulina platensis, Spirulina maxima, Spirulina subsalsa, Spirulina major, Spirulina geitleri, Spirulina siamese, Spirulina princeps, Spirulina laxissima, Spirulina curta, Spirulina spirulinoides, Spirulina platensis, Spirulina maxima, Spirulina geitleri 및 Spirulina siamese로 구성된 종에서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스피룰리나는 단백질, 탄수화물, 수용성 식이섬유를 비롯하여 항산화성 색소 성분(클로로필, 카로티노이드, 피코사이아닌), 항산화 효소(SOD) 등이다. 비타민으로는 베타카로틴, 비타민 B1, B2, B6, B12, 비타민 E, 이노시톨, 엽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칼슘, 철, 칼륨, 마그네슘, 아연, 망간, 셀레늄, 게르마늄 등 무기질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필수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하고 있으며, 필수지방산인 리놀렌산, 감마리놀렌산도 풍부하다.
상기 스피룰리나 추출물은 추출, 여과, 농축 과정을 순차적으로 거쳐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각종 천연물을 추출 원료로 사용하는 천연 추출물로, 용매와 추출 원료를 특정 조건 하에서 접촉시킴으로써 추출 원료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 천연물로부터 원료에 함유된 성분을 분리해낸 물질이라면, 추출 방법이나 성분의 종류와 무관하게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물이나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천연물로부터 용매에 용해되는 성분을 추출한 것, 천연물의 특정 성분, 예컨대 오일과 같은 특정 성분만을 추출하여 얻어진 것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건조 후 분말화하거나, 열수추출법, 에탄올 추출법 등 종래 알려진 다양한 추출법에 의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석유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트리클로로메탄,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1,3-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로 추출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에탄올에 의해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원료에 포함된 유효성분은 용매의 극성에 따라 추출 비율이 상이해질 수 있으며, 상기 에탄올은 천연 원료의 생리 활성 물질 추출에 있어서 선택성이 뛰어나므로 상기 에탄올 추출에 의해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물과 에탄올은 극성이 상이하고 각 극성에 따라 추출되는 유효성분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최적의 피부 개선 효과가 구현될 수 있도록 상기 에탄올의 농도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추출물은 추출 원료를 물로 수세한 후 건조 및 분쇄하여, 원료 중량의 10 내지 20배에 달하는 부피의 용매로 약 1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순환 추출, 가압 추출, 초음파 추출 등 통상적인 방법으로 추출 및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물은 감압 증류 또는 동결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공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통상적인 정제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추출물은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방법을 통해 얻어진 분획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마스크팩, 시트팩, 수면팩, 워시오프팩 및 필오프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의 방법에 의해 제형화될 수 있다. 피부 외용제의 제형화에 있어서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고,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화에 있어서 International cosmetic ingredient dictionary, 6th ed(The cosmetic, Toiletr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1995)에 개시되어 있는 내용을 참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의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의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의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 등의 메이크업 제거제; 또는 클렌징폼, 비누, 바디워시 등의 세정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피부 외용제는, 연고, 패치, 겔, 크림 또는 분무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 필수성분 외에 제형의 종류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을 저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른 성분들이 적절히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달리할 수 있다. 예컨대,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추출물이 사용될 수 있고, 스프레이의 경우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또는 유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브틸글리콜 오일이 사용될 수 있고,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현탁액으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 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로 제형화될 때,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최종 제품의 품질이나 기능에 따라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 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추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조제 및 그 혼합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1>
스피룰리나 추출물 시료 제조
스피룰리나 동결 건조 분말을 ㈜네오엔비즈에서 공급받아, 상기 분말 중량의 10배에 해당하는 정제수를 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교반한 후, 4,000 rpm, 20 min으로 원심분리하였으며, 원심분리된 내용물의 상등액을 취하여 5 μm 필터페이퍼로 감압여과하였고, Rotary evaporator를 이용하여 50℃ 온도로 감압농축하였다. 추출물의 수율은 58%였으며, 추출물의 색상은 짙은 청록색을 띄었고, 성상은 페이스트상을 유지하고 있었으며, 특이 취는 약하게 있었다.
<준비예 2>
사람 모유두세포
세포가 seeding된 100 mm dish를 PBS(xl)로 4 ml씩 2번 세척을 진행하고, Trypsin-EDTA solution(2 ml)을 이용하여 8~9분 동안 인큐베이터에 보관하여 세포를 배양 플레이트에서 분리하였다. 분리가 완료된 세포의 경우 DMEM(+) 4 ml를 포함한 후, Pipetting하여 세포들을 완전히 배양 플레이트에서 분리해냈다. 이후, 15 ml conical tube를 이용하여 cetrifugation한 후, DMEM(+) 상층액을 제거하고 세포를 tapping하여 재현탁시키고 새로운 DMEM(+)를 넣어주어(1~2 ml) cell stock을 완성한다. Cell counting하여 cell의 양을 파악하며, 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준비예 3>
상처 유도
In vitro Cell Migration은 60mm dish에 1*10^6의 갯수의 cell을 분주하였다. 분주가 완료된 후, 60mm dish의 media volume 값에 맞추어 DMEM(+)를 첨가한 후, 24시간동안 37℃ 및 5% CO2 인큐베이터에서 cell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된 cell이 dish에 부착되면 DMEM(+)배양 배지를 제거한 후, 상처 유도를 위해 PBS로 2 ml씩 2번 세척한 후, suction을 해주었다. 세척과 suction이 완료되면, 200 μl pipet을 이용하여 스크래치를 유도하고, 스크래치 유도 중에 떨어트린 cell을 제거하기 위해 다시 PBS로 2 ml씩 2번 세척하고, suction하였다.
<비교예>
준비예 3에서 상처를 유도한 시료 물질을 60 mm dish의 media volume 값에 맞추어 분주한 후, 24시간동안 37℃ 및 5% CO2 인큐베이터에서 cell의 상처회복 능력을 파악하였다. 시료 물질 첨가 0 hr, 12 hr, 24 hr의 스냅샷을 촬영하여 각각의 상처 회복능력을 파악하였다.
<실시예 1>
준비예 3에서 상처를 유도한 시료 물질을 60 mm dish의 media volume 값에 맞추어 분주한 후, 준비예 1의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DMEM 1 ml당 0.05 mg 처리하고, 24시간동안 37℃ 및 5% CO2 인큐베이터에서 cell의 상처회복 능력을 파악하였다. 시료 물질 첨가 0 hr, 12 hr, 24 hr의 스냅샷을 촬영하여 각각의 상처 회복능력을 파악하였다.
<실시예 2>
준비예 3에서 상처를 유도한 시료 물질을 60 mm dish의 media volume 값에 맞추어 분주한 후, 준비예 1의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DMEM 1 ml당 0.1 mg 처리하고, 24시간동안 37℃ 및 5% CO2 인큐베이터에서 cell의 상처회복 능력을 파악하였다. 시료 물질 첨가 0 hr, 12 hr, 24 hr의 스냅샷을 촬영하여 각각의 상처 회복능력을 파악하였다.
<실시예 3>
준비예 3에서 상처를 유도한 시료 물질을 60 mm dish의 media volume 값에 맞추어 분주한 후, 준비예 1의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DMEM 1 ml당 0.5 mg 처리하고, 24시간동안 37℃ 및 5% CO2 인큐베이터에서 cell의 상처회복 능력을 파악하였다. 시료 물질 첨가 0 hr, 12 hr, 24 hr의 스냅샷을 촬영하여 각각의 상처 회복능력을 파악하였다.
<실험예>
상처 회복능 확인
비교예 및 실시예 1 내지 3의 스냅샷으로 상처 회복능력을 파악하였고, 이들 스냅샷은 도 1에 나타내었다. 이 data를 기반으로 Image J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상처회복능력을 정량화하였다.
Image J 프로그램으로 상처가 유도된 부위(긁혀서 세포가 떨어져 나간 부분)의 면적을 측정하고, 12시간 후, 24시간 후 이미지에서 각각의 면적을 측정하였다. 상처가 유도된 면적을 비교예를 100%로 기준하여 환산하였으며, 비교예와 비교하였을 때 상처폐쇄 증가 정도를 수치화한 내용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고, 실시예 1 내지 3의 상대적인 수치를 도 2에 그래프로 나타내었다.
시험군 Wound closure (%)
비교예 100.00
실시예 1 140.93
실시예 2 163.42
실시예 3 140.60
도 1, 도 2 및 표 1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실험예와 같이 실험을 진행한 결과 실시예 2에서 가장 높은 상처회복능을 나타내었다. 도 2의 그래프는 상처유도 및 시료처리 후 24시간을 기준으로 나타낸 것이다. 실시예 1 내지 3 모두에서 상처회복능을 나타내었으나, 농도 의존적으로 효능이 나타나지 않는 것은 실시예 3의 경우 세포독성이 나타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을 사용하면,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을 사용하여 피부재생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3)

  1.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적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세럼, 에멀젼, 에센스, 파우더, 파운데이션, 스프레이, 마스크팩, 시트팩, 수면팩, 워시오프팩 및 필오프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0200009059A 2020-01-23 2020-01-23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2021009534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59A KR20210095341A (ko) 2020-01-23 2020-01-23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059A KR20210095341A (ko) 2020-01-23 2020-01-23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5341A true KR20210095341A (ko) 2021-08-02

Family

ID=773158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059A KR20210095341A (ko) 2020-01-23 2020-01-23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953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73A (ko) 2021-10-13 2023-04-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52573A (ko) 2021-10-13 2023-04-20 선문대학교 산학협력단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스피루리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18202B2 (ja) 皮膚組成物
KR20130023326A (ko) 모자반, 우뭇가사리, 톳으로 구성된 해조류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알러지, 진정 및 보습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JP6387219B2 (ja) タンゲレチン及びegcg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EA02177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венериной мухоловки dionaea muscipula,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придатков кожи
JPH0761915A (ja) 皮膚外用剤
KR100844275B1 (ko) 노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JPWO2005034894A1 (ja) 育毛剤組成物
KR101874467B1 (ko) 꽃벵이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8143784A (ja) 細胞増殖促進剤
JP2020193198A (ja) ダイダイの地上部の発酵抽出物
KR101827771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323406A (ja) 保湿剤および植物抽出物の使用方法ならびに外用剤
KR101860352B1 (ko) 청호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낭충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US11491102B2 (en) Composition for skin anti-inflammation and skin moisturizing comprising artemisia extract extracted with skin cosmetic solution as a solvent
JP7075177B2 (ja) 化粧料
KR102257448B1 (ko) 흑다시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095341A (ko) 스피룰리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2154927B1 (ko) 클로로겐산, 페룰산, 레스베라트롤 및 스트렙토코쿠스 테르모필루스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455132B1 (ko)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184156B1 (ko) 인간지방줄기세포의 분화 촉진용 조성물
KR20130023324A (ko) 대두, 겨우살이, 모근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보습과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278167B1 (ko) 지질산화 방지, 자외선에 의한 손상 피부 개선 및 피부 진정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512B1 (ko)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