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7498B1 -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7498B1
KR101397498B1 KR1020130015311A KR20130015311A KR101397498B1 KR 101397498 B1 KR101397498 B1 KR 101397498B1 KR 1020130015311 A KR1020130015311 A KR 1020130015311A KR 20130015311 A KR20130015311 A KR 20130015311A KR 101397498 B1 KR101397498 B1 KR 101397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ethanol
spergularia marina
dpp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53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혜지
Original Assignee
문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문혜지 filed Critical 문혜지
Priority to KR10201300153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4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4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갯개미자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성분과, 항균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갯개미자리(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갯개미자리를 채취하여,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갯개미자리의 부피에 80 ∼ 95%의 에탄올을 15∼25배 넣고, 교반기에서 교반 후,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단계;및 상기 농축된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스킨, 로션, 샴푸, 바디클렌저, 비누, 림밤 중 어느 하나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Spergularia marina and the Method of Making the Same}
본 발명은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갯개미자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성분과, 항균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토양의 염분농도가 높아 일반 육상식물이 자라지 못하는 땅 즉 소금기가 있는 땅에서 자라는 식물을 일컬어 염생식물이라고 한다. 일반적으로는 포장용수로 토양이온을 추출하였을 때 NaCl의 농도가 100mEq이며 pH가 8.5 이하인 곳에 생육하는 식물이다. 염생식물은 우리나라에 16과 40여종이 있으며 특히 서남해안 갯벌의 상부 지역에 그 군락이 잘 발달하여 있다. 염생식물의 줄기와 잎은 큰 액포 중앙에 점액세포를 갖고 있으며, 세포와 점액세포 사이에 물을 저장하는 기관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염생식물의 줄기와 잎은 다즙성이고 물을 많이 머금고 있어서, 세포액 중에서 높은 염류농도는 희석되어 염해가 방지된다.
어떤 염생식물은 염샘과 염낭을 갖고 있다. 염샘은 식물체 내부에서 외부로 K+ Na+, Ca2+, Mg+, CI-, SO4 2- 와 같은 염류를 배출하게 하거나, 식물체내 염류를 염낭으로 이동시켜 정상적인 생리활동을 조장하게 한다. 다즙성이며 염샘과 염낭이 없는 염생식물은 염해를 방지하는 다른 생리기구를 가지고 있어 염농도가 높은 곳에서도 생장할 수 있다.
갯개미자리(Spergularia marina(L.) Griseb.)는 염생식물에 속하는 것으로서, 석죽목, 석죽과, 갯개미자리속에 속하며, 바닷가 근처 갯벌과 바위틈에서 자라는 1년생 또는 2년생 초본이다.
갯개미자리에는 하기 표 1과 같은 미네랄 및 아미노산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표 1] 갯개미자리의 일반성분, 미네랄 및 아미노산
Figure 112013500448593-pat00001
한편, 체내에 들어온 산소 중 물로 환원되지 않은 일부는 불안정한 상태의 활성산소가 된다. 이들은 주위 물질로부터 전자 하나를 얻어 더 안정된 상태가 되려는 성질이 있다. 이런 특성 때문에 활성산소는 정상 세포들을 공격한다. 그래서 활성산소를 제거하기 위한 합성 항산화제를 첨가한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날로 합성 항산화제의 독성이 더 심각해지고 있다. 따라서 천연 항균제 및 항산화제의 개발이 시급하고, 이를 통해 항균용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천연 항균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한 본 발명은 갯개미자리(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갯개미자리를 채취하여,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갯개미자리의 부피에 80 ∼ 95%의 에탄올을 15∼25배 넣고, 교반기에서 교반 후,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단계;및 상기 농축된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스킨, 로션, 샴푸, 바디클렌저, 비누, 림밤 중 어느 하나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 효과 탐구 결과, 8가지 균 중 7가지 균에서 높은 항균 활성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DPPH(1,1-diphenyl-2-pycryl-hydrazyl) assay에 의한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농도 의존적으로 DPPH radical 소거능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자유 라디칼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측정 방법인 ESR(전자스핀공명)을 이용한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DPPH free radical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 결과, 간접적인 라디칼 소거능의 측정 방법에 비해 더욱 더 높은 활성을 보였다. DPPH radical의 경우 처리 농도 0.5mg/mL에서 약 77% 이상의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고, Hydroxyl radical의 경우 처리 농도 0.5mg/mL에서 약 90% 이상의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포내 활성산소 소거능 측정 결과,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은 세포내 ROS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MTT assay에 의한 세포 독성 측정 결과,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능은 세포 독성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항균,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를 이용하여 스킨, 로션, 비누, 샴푸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상기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상기 갯개미자리 농축물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Gram 양성균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항균활성 배양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Gram 음성균에 대한 상기 추출물의 항균활성 배양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5는 DPPH(1,1-diphenyl-2-pycryl-hydrazyl) assay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결합능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ESR을 이용한 DPPH free radical 결합능을 나타낸 표와 그래프이다.
도 8은 ESR을 이용한 DPPH free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9는 ESR을 이용한 Hydroxyl radical 결합능을 나타낸 표와 그래프이다.
도 10은 ESR을 이용한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은 세포내 활성산소 소거능 실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2는 세포내 활성산소 소거능 결과는 나타낸 표와 그래프이다.
도 13은 MTT assay 실험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4는 MTT assay에 의한 세포 독성 측정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스킨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6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로션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7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림밤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8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바디클렌저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19는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샴푸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도 20은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비누 제작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염생식물의 하나인 갯개미자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항산화성분과, 항균기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실시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과 농축물 제조
가.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 제조
채취한 시료를 여러 번 깨끗이 씻어 7일간 바람이 통하는 음지에서 완전 자연 건조시킨다. 상기 자연 건조한 시료를 소독한 가위로 잘게 부수어 삼각플라스크에 넣는다. 94% 에탄올을 20배 넣고 침지하여 에탄올이 날아가지 않도록 삼각 플라스크 입구를 랩으로 감싼다. 마그네틱바를 넣고 교반기에 올려 24시간 놓아둔다. 24시간 후 추출물을 여과장치를 통해 1차 추출물을 얻는다(1차 갯개미자리 추출물 제조). 다 거르면 남은 찌꺼기를 삼각플라스크에 다시 넣고 랩으로 입구를 봉한 후, 94%에탄올을 20배 넣고 침지하여 마그네틱바를 넣고 교반기에 올려 24시간 놓아둔다. 24시간 후 추출물을 여과장치를 통해 2차 추출물을 얻는다(2차 갯개미자리 추출물 제조). 2차 추출물을 다 거르고 남은 찌꺼기를 삼각플라스크에 다시 넣고, 94%에탄올을 20배 넣고 침지하여 마그네틱바를 넣고 교반기에 올려 24시간 놓아둔다. 24시간 후 추출물을 여과장치를 통해 3차 추출물을 얻는다(3차 갯개미자리 추출물 제조). 상기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제조과정은 도 1에 도시하였다.
나. 갯개미자리 농축물 제조
회전 농축기(EYELA CCA-1110)가 마이너스 온도가 될 때까지 기다린다. 1차 갯개미자리 추출물이 담긴 수기를 꽂고 에어를 연 후 코크를 닫고 수기집게로 고정하여 농축한다. 2차 추출물을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한다. 3차 추출물을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한다. 수기에 붙어 있는 갯개미자리 농축물을 시약 스푼으로 긁어낸다. 파이프콘 튜브에 넣어 보관한다. 상기 갯개미자리 농축물의 제조과정은 도 2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2]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 활성 효과 실험
가. 사용한 균주
항균 실험에 사용한 균주는 표 2와 같이 그람양성 5균주와 그람음성 3균주의 총 8균주를 사용하였다.
[표 2] 사용 균주
Figure 112013500448593-pat00002
나. 항균 활성 효과 검증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Gram 양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결과를 표 3에 도시하였다. 생장억제가 발견되지 않은 것은 '-'로, 0 ∼ 1.5 mm는 '+'로, 1.5 ∼ 3 mm는 '++'로, 3 ∼ 5 mm는 '+++'로, 5mm 초과는 '++++'로 나타내었다. 도 3에 Gram 양성균의 항균활성 배양 결과를 나타낸 사진을 도시하였다.
[표 3] Gram 양성균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Figure 112013500448593-pat00031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Gram 음성균에 대한 항균활성 결과를 표 4에 도시하였다. 도 4에 Gram 음성균의 항균활성 배양 결과를 나타낸 사진을 도시하였다.
[표 4] Gram 음성균에 대한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Figure 112013500448593-pat00004
상기 표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갯개미자리 추출물에는 사용한 8가지 균 중 세레우스 균(Bacillus cereus)을 제외한 7가지 균에서 항균 활성 효과가 나타나 항균활성 효과가 높았다. 낮은 농도에서 항균 활성이 높게 나타난 균은 S.enteritidis, Y. enterocoliticarb, R.equi 균이고, 가장 높은 농도에서 항균 활성이 높게 나타난 균은 B. subtilis, R. equi 균이다. 고초균(Bacillus subtilis)은 항균 활성이 농도별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실시예 3]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효과
가. DPPH(1,1-diphenyl-2-pycryl-hydrazyl) assay에 의한 radical 소거능
1) 측정 방법
그 자체로 매우 안정한 자유 라디칼인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을 이용하여 일정량의 시료 용액과의 반응에 의하여 DPPH라디칼이 감소하는 정도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간접적으로 시료의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20% 샘플을 만들기 위해 갯개미자리 농축물 0.2g + 10% DMSO용액 1000㎕를 넣는다. 20% stock에서 5% stock을 만든 후 0.5, 1, 2, 5mg/mL 농도로 만든다. 농조 300㎛ DPPH을 만들기 위해 DPPH 0.0059g + 100% MeOH 50mL를 넣어 교반기로 섞는다. 샘플을 농도별(0.5mg/mL, 1mg/mL, 2mg/mL, 5mg/mL)로 마이크로 피펫을 이용하여 각 구멍당 100㎕씩 넣는다. control하기 위해 100% MeOH을 100㎕씩 넣는다.(E∼H) 100% MeOH을 100㎕씩 넣는다.(D) 100% MeOH을 100㎕씩 넣는다.(H) DPPH 100㎕씩 넣는다.(A∼C, E∼G)) 빛이 들어가지 않도록 호일로 감싼 후 30분 방치한다. 30분 후 흡광도측정기계 Elisa(Molecular Devices)를 이용하여 흡광도 540nm, 10초 검사로 지정하여 처리한다. 꺼내서 control의 평균값을 100%로 처리하여 data를 계산한다.
2) 측정 결과
상기 DPPH(1,1-diphenyl-2-pycryl-hydrazyl) assay 분석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으며, DPPH 자유 라디칼 결합능을 표 6에 나타내었다. 또한,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 농도별 DPPH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를 도 6에 도시하였다.
[표 5] DPPH(1,1-diphenyl-2-pycryl-hydrazyl) assay
Figure 112013500448593-pat00005
[표 6] DPPH free radical 결합능
Figure 112013500448593-pat00032
나. ESR(electron spin resonance)을 이용한 DPPH free radical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
자유라디칼을 직접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유일한 측정 방법인 전자스핀공명 ESR(JEOL, JES PX2300)을 이용하여 DPPH free radical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측정하였다.
1) DPPH free radical 소거능 측정
가) 측정 방법
시료를 농도별로 준비한다. DPPH시약을 메탄올에 녹여 60㎛ 농도로 만든다. 시료 용액 60㎕에 60㎛ DPPH용액 60㎕를 첨가하여 10초 동안 볼텍스로 교반한 다음 혼합용액을 quartz capillary tube에 옮긴다. 2분 후에 ESR(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다. 스펙트럼은 scan time: 2min, field: 337.1±5mT, time constant: 0.3sec, power: 1 mW, amplitude: 1×500의 조건으로 기록한다. 시료에 대한 DPPH radical 소거 활성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Figure 112013500448593-pat00007
나) 측정 결과
측정결과는 도 7에 도시하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의 농도별 DPPH 라디칼 소거능을 도 8에 도시하였다.
2) Hydroxyl radical 소거능 측정
가) 측정 방법
DMPO(5,5-dimethyl-1-pyrroline-N-oxide)시약을 인산 완충액 녹여 0.3M농도로 만든다. 시료용액 20㎕에 0.3M DMPO용액 20㎕을 첨가하여 10초 동안 볼텍스로 교반한 다음 혼합용액을 quartz capillary tube에 옮긴다. 실온에서 약 2.5분 방치한 후 ESR(electron spin resonance) spectrophotometer로 측정한다. 스펙트럼은 scan time: 2min, field: 337.1±5mT, time constant: 0.3sec, power: 1 mW, amplitude: 1×500의 조건으로 기록한다. 시료에 대한 Hydroxyl radical 소거 활성은 아래의 식을 이용하여 계산한다.
Figure 112013500448593-pat00008
나) 측정 결과
ESR을 이용하여, 에탄올 추출물 농도별 Hydroxyl radical 결합능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릎 도 9에 나타내었다.
추출 방법 중 가장 활성이 좋은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의 DPPH radical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직접적인 자유라디칼 측정법인 ESR 장치를 이용하여 살펴본 결과, 농도에 비례하여 DPPH radical 및 Hydroxyl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다. DPPH radical의 경우 처리 농도 0.5mg/mL에서 약 77% 이상의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Hydroxyl radical의 경우 처리 농도 0.5mg/mL에서 약 90% 이상의 높은 소거 활성을 보였다. 간접적인 라디칼 소거능의 측정 방법에 비해 직접적인 측정 방법인 ESR에서 더욱 높은 활성을 보였다. 갯개미자리 추출물은 항산화 활성이 높았다.
[실시예 4] 세포내 활성산소(ROS) 소거능 (Raw 264.7 cells)
1) 측정 방법
세포내 활성 산소와 반응하여 형광물질을 만들어 내는 DCFH-DA를 사용하여 세포내 존재하는 활성 산소종 (ROS)을 DCF fluorescence로 측정한다. 실험에 주로 사용되는 세포를 100 units/mL의 penicillin-streptomycin과 10%의 FBS가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한다. 배양된 세포는 96-well plate에 5x104/mL 농도로 분주한다. 인큐베이터에서(37℃, 5% CO2) 24시간 배양한다. PBS로 세포를 씻은 후 20㎛ DCFH-DA을 각 well에 처리한다. 인큐베이터에서 37℃, 5% CO2) 20분 배양한다.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다. 인큐베니터에서 (37℃, 5% CO2) 1시간 배양한다. 500㎛ hydrogen peroxide(H2O2)를 처리한다. 시간별로 DCF fluorescence를 ex. 485 nm/em. 530 nm에서 형광분석기로 측정한다. 실험과정을 도 11에 도시하였다.
2) 측정 결과
세포내 활성산소의 소거능 실험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으며, 세포내 활성산소의 소거능에 대한 그래프는 도 12에 도시하였다.
[표 7] 세포내 활성산소 소거능
Figure 112013500448593-pat00009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넣지 않고 500㎛ H2O2를 처리한 control과 500㎛ H2O2을 처리하지 않은 blank를 사용하였다. 500㎛ H2O2를 처리한 control은 시간에 따라 DCF fluorescence 값이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500㎛ H2O2를 처리하지 않은 blank는 시간에 따른 DCF fluorescence 값의 변화가 높게 증가하지 않았다. 시료 처리군의 형광값도 시간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500㎛ H2O2만을 처리한 control 보다는 그 증가율이 현저히 낮게 나타나 갯개미자리 추출물이 세포내 ROS 소거 활성에 매우 뛰어난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MTT assay에 의한 세포 독성 측정
1) 측정 방법
세포 독성은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 tetrazolium bromide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한다. MTT assay는 세포의 증식과 세포의 살아있는 정도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것으로써 항암제의 감수성에 대한 1차 선별검사의 목적으로 많이 사용된다. 대사과정이 온전한 세포의 경우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 작용에 의하여 노란색의 수용성 기질인 MTT tetrazolium을 청자색을 띠는 비수용성의 MTT formazan crystal로 환원시킨다. 생성된 MTT formazan의 흡광도는 540 nm의 파장에서 최대가 되며, 이 파장에서 측정된 흡광도는 살아 있고 대사가 왕성한 세포의 농도를 반영한다. 실험에 주로 사용되는 세포를 100 units/mL의 penicillin-streptomycin과 10%의 FBS가 함유된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한다. 배양된 세포를 96-well plate에 5x104/mL 농도로 분주한다. 인큐베이터에서(37℃, 5% CO2) 24시간 배양한다. 배양된 세포에 농도별로 시료를 처리한다. 인큐베이터에서(37℃, 5% CO2) 1시간 배양한다. MTT 시약을 처리(finc. 1 mg/mL in PBS)하여 인큐베이터에서(37℃, 5% CO2) 4시간 배양한다. 상등액을 버린 후 DMSO 100㎕ 처리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다. 상기 실험과정을 도 13에 도시하였다.
2) 측정 결과
MTT 분석에 이한 세포 독성 측정 결과를 하기 표 8에 도시하였으며, 실험결과를 그래프로 도 14에 나타내었다.
[표 8] MTT assay에 의한 세포 독성 측정
Figure 112013500448593-pat00010
MTT assay를 측정하여 얻어진 세포생존율(cell viability)을 측정한 결과, 측정된 농도에서는 세포 생존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다. 갯개미자리 추출물의 활성산소 소거능은 세포 독성에 의한 것이 아닌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갯개미자리 추출물은 세포내 ROS 생성을 농도의존적으로 억제하는 효과를 보였다.
[실시예 6] 갯개미자리 추출물 포함하는 스킨 제조
수상층으로, 라벤다워터 30g, 갈락토미세스발효여과물 30g, 갯개미자리추출물 4g, 비쑥추출물 1g, 캐모마일 추출물 5g, 알로에베라겔 30g을 사용하였으며, 첨가물로 라벤다 E.O 5drop, 올리브리퀴드 15drop, 콜라겐 4g, 엘라스틴 1g, 판테놀 5g, 나프리 2g, 트레할로스 4g, 바다포도추출물 4g, 낫또모이스트 4g를 사용하였다.
먼저, 사용할 모든 용기와 도구를 소독한 후, 알로에베라겔과 플로럴 워터를 섞어 50℃로 가열하면서 잘 저어준다(1). 에센셜오일에 올리브리퀴드를 넣고 잘 섞어준다(2). (2)에 (1)을 부어주고 잘 섞이도록 저어준다. 45℃ 이하로 떨어지면 갯개미자리 추출물, 비쑥 추출물과 기능성 첨가물을 넣어서 잘 섞어준다. 소독한 용기에 담아 3개월 이내에 사용한다. 상기 스킨의 제조과정은 도 15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7] 갯개미자리 추출물 포함하는 로션 제조
수상층으로, 라벤다워터 30g, 티트리워터 20g, 네놀리워터 20g, 갯개미자리 추출물 4g, 비쑥추출물 1g, 자음수 5g를 이용하고, 유상층으로, 호호바오일(카렌듈라인퓨즈드) 4g, 햄프씨드오일 4g, 아르간 오일 4g, 올리브 스쿠알란 3g를 사용하며, 유화제로 올리브유화왁스 4.5g, 세틸알콜 0.5g, 리퀴드크리스탈 2조각을 사용하였으며, 첨가물로 프로폴리스 4g, 판테놀 5g, 콜라겐 4g, 엘라스틴 1g, 리피듀어 2g, 보습펩타이드 5g, 세라마이드 3g, 나프리 2g, 라벤다 E.O 5drop을 사용하였다.
먼저, 소독한 용기에 수상층을 계량하여 가열한다. 소독한 유상층 용기에 베이스오일, 유화제, 비타민E를 계량하여 가열한다. 수상층과 유상층의 온도가 65∼70℃가 되면 유상층에 수상층을 붓고 저어주어 교반시킨다. 미니블랜더를 이용하여 로션 타입의 점도가 나올 정도로 돌려준다. 온도가 45℃ 이하로 떨어지면 갯개미자리 추출물, 비쑥 추출물과 기능성 첨가물을 넣고 잘 섞어준다. 소독한 용기에 담아 3개월 이내에 사용한다. 상기 로션의 제조과정은 도 16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8] 갯개미자리 추출물 포함하는 림밤 제조
유상층으로, 살구씨오일 6g, 아르간오일 6g, 로즈힙오일 6g, 호호바오일 6g을 사용하고, 고형제로 비즈왁스 5g, 칸데릴라왁스 2g를 사용하였으며, 첨가물로 비타민 E 1.2g, 갯개미자리 추출물 0.7g, 비쑥 추출물 0.1g, 플레이버오일 5drop을 사용하였다.
먼저, 사용 할 도구와 용기를 소독한다. 용기에 오일베이스, 고형제, 비타민 E를 계량한다. 고형제가 녹을 때까지 가열한다. 고형제가 다 녹으면 가열을 멈추고 잠시 식힌다. 잠시 식힌 후 갯개미자리 추출물, 비쑥 추출물과 플레이버오일을 넣어 섞어준다. 굳기 전 소독한 용기에 담아 굳히고 사용한다. 상기 림밤의 제조과정은 도 17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9] 갯개미자리 추출물 포함하는 바디클렌저 제조
바디용 물비누베이스 140g, 페퍼민트 워터 40g, 갯개미자리 추출물 50g, 비쑥 추출물 20g, 글리세린 8g, 네츄럴베타인 10g, 파파인효소 3g, 코코베타인 20g, 나프리 2g, 페퍼민트 E.O 15drop를 준비한다.
먼저, 물비누 베이스:갯개미자리 추출물과 비쑥추출물을 1:1 비율로 계량한다. 계량한 물비누베이스에 갯개미자리 추출물과 비쑥추출물을 섞어 실온에서 한번씩 저어주며 녹인다. 물비누 베이스가 다 녹으면 첨가물을 넣어준다. 잘 섞어서 펌프용기에 담아 사용한다. 상기 바디클렌저의 제조과정은 도 18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9] 갯개미자리 추출물 포함하는 샴푸 제조
갯개미추출물 30g, 비쑥 추출물 10g, 로즈마리워터 35g, 애풀워시 35g, 바바수베타인 20g, LES 20g, 크리스탈멘톨 1g, 실크아미노산 1.5g, 글리세린 8g, 네틀추출물 3g, 네츄럴베타인 10g, 판테놀 8g, 나프리 2g, 로즈마리에센셜오일 15drop를 준비한다.
먼저, 소독한 용기에 갯개미자리 추출물과 비쑥 추출물을 계량하고 가열한다. 45℃정도가 되면 멘톨과 네츄럴베타인을 넣어 녹여준다. 멘톨이 다 녹으면 천연 계면활성제를 넣어 준다. 잘 섞어지면 첨가물을 넣어 잘 저어준다. 잘 섞어서 거품용기에 담아 사용한다. 상기 샴푸의 제조과정은 도 19에 도시하였다.
[실시예 10] 갯개미자리 추출물 포함하는 비누(CP 숙성비누) 제조
재료로서, 오일층은 코코넛오일 120g, 레드팜오일 100g, 녹차씨오일 40g, 해바라기오일 40g, 포도씨오일 40g, 올리브오일 40g, 헤이즐넛오일 40g 을 준비하고, 첨가물로 갯개미자리 추출물 100g, 비쑥 추출물 39g, 가성소다 60g, 갯개미자리 농축물 16g을 준비한다.
먼저, 작성된 레시피에 맞게 오일을 계량하고 가열한다. 바람이 부는 곳에서 갯개미자리 추출물과 비쑥 추출물에 가성소다를 조금씩 넣어 녹여준다. 오일과 가성소다용액을 45∼50℃로 맞추어 교반시킨다. 핸드블랜더와 주걱을 이용하여 한 방향으로 트레이스가 날 때까지 저어주고 분말을 첨가한다. 트레이스가 나면 지관 비닐에 넣어 잘 밀봉하여 12∼24시간 동안 보온한다. 비닐을 개봉하여 커팅한 후 4∼6주 동안 숙성시킨 후 사용한다. 상기 비누의 제조과정은 도 20에 도시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면, 항균, 항산화 효능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를 이용하여 스킨, 로션, 비누, 샴푸 등 다양한 용도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에 제시된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대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는 제한되지 않는다.

Claims (2)

  1. 갯개미자리(Spergularia marina)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갯개미자리를 채취하여,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갯개미자리의 부피에 80 ∼ 95%의 에탄올을 15∼25배 넣고, 교반기에서 교반 후, 여과하여, 에탄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을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는 단계;및
    상기 농축된 갯개미자리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스킨, 로션, 샴푸, 바디클렌저, 비누, 림밤 중 어느 하나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갯개미자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130015311A 2013-02-12 2013-02-12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4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311A KR101397498B1 (ko) 2013-02-12 2013-02-12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15311A KR101397498B1 (ko) 2013-02-12 2013-02-12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498B1 true KR101397498B1 (ko) 2014-05-27

Family

ID=508947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5311A KR101397498B1 (ko) 2013-02-12 2013-02-12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4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386B1 (ko) * 2021-06-22 2022-01-20 주식회사 록키스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Korean J Food Preserv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3386B1 (ko) * 2021-06-22 2022-01-20 주식회사 록키스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287997B (en) Compositions for retarding skin aging
KR101570847B1 (ko) 조직배양한 덴드로비움 칸디둠 다신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H0717847A (ja) 皮膚外用剤
CN103816085B (zh) 紫茉莉种子胚乳提取物及其在化妆品中的应用
KR102244695B1 (ko) 기능성 혼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맞춤형 기능성 화장품 키트
JPH0717846A (ja) 皮膚外用剤
CN108938501A (zh) 应用于口腔护理产品的中药组合物及口腔护理产品
KR101885199B1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7454B1 (ko) 피부보습 및 진정효과를 갖는 해양성 온천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62624A (ko) 꼬시래기 추출물, 넓미역 추출물 및 꽈배기모자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8239493A (ja) 皮膚外用剤
KR101036933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397498B1 (ko) 갯개미자리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0239146A (ja) 化粧料
KR20160105584A (ko) 꼬리진달래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개선 및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00135576A (ko)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KR101963597B1 (ko)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 또는 수정목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6770A (ko) 모발 및 두피 가려움증 개선용 세정제 조성물
KR101216151B1 (ko) 자초와 당귀의 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3563327B2 (ja) 抗菌剤及び防腐剤
JP2008031049A (ja) 抗アクネ菌組成物
KR102504441B1 (ko) 코스모스 유래 유산균 및 세이지 추출물을 포함하는 유산균 첨가제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8743441A (zh) 消炎化瘀婴幼儿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261115B1 (ko) 함초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가시오갈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