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135576A -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 Google Patents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135576A
KR20100135576A KR1020090054040A KR20090054040A KR20100135576A KR 20100135576 A KR20100135576 A KR 20100135576A KR 1020090054040 A KR1020090054040 A KR 1020090054040A KR 20090054040 A KR20090054040 A KR 20090054040A KR 20100135576 A KR20100135576 A KR 201001355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value
cheonnyeoncho
cosmetic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4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욱
Original Assignee
좋은먹거리영농조합법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좋은먹거리영농조합법인 filed Critical 좋은먹거리영농조합법인
Priority to KR10200900540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00135576A/ko
Publication of KR201001355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557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3Cactaceae (Cactus family), e.g. pricklypear or Cere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정 단위 중량에 해당하는 천년초와; 해당 천년초의 중량에 비해 5 내지 50배의 중량을 갖는 증류수와; 상기 증류수에 천년초를 넣은 후 40~80℃의 열 환경 속에서 끓여 최종 잔존 걸름 액체가 색도는 L값(명도) 73.12, a값(적색도) -0.34, b값(황색도) 33.85, 고형분 함량은 47브릭스(brix)의 값을 갖도록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을 화장품의 부가 첨가 조성물로 활용함으로써 항산화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여 피부 주름개선과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비료나 제초제, 살충제 등의 화학농약의 살포가 필요 없으며, 각종 생리 활성기능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천년초를 활용함으로 천년초를 농가의 새로운 소득 작물로 활용할 수 있다.
천년초, 에센스, 크림, SOD

Description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An extract for functional cosmetic and a cosmetic utilizing the same}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년초를 추출한 추출액을 화장품의 부가 첨가조성물로 활용함으로써 해당 화장품이 피부 주름개선과 피부 보습작용에 대해 증진된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 제조 기술은 단순히 인체를 청결 또는 미화하기 위하여 도찰(塗擦), 살포와 기타 방법으로 사용하고 인체에 대한 영향이 적은 것들을 주로 개발하였으나, 점차 노화, 자외선, 각종 오염물질 및 건조함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아름답고, 매력적으로 만들어 심리적인 만족감을 느끼게 해주는 것으로 확대되고 있다. 이에 따라 화장품 개발은 자외선 차단, 미백, 주름개선, 피부 보습력 증대 등 각종 기능성을 강조하는 제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러한 기능성을 충족시키려는 다양한 원료 및 소재의 확보에 초점이 맞추어지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년초를 추출한 추출액을 화장품의 부가 첨가조성물로 활용함으로써 해당 화장품이 피부 주름개선과 피부 보습작용에 대해 증진된 기능을 갖도록 하기 위한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의 특징은, 화장품 첨가용 조성물에 있어서, 일정 단위 중량에 해당하는 천년초와; 해당 천년초의 중량에 비해 5 내지 50배의 중량을 갖는 증류수와; 상기 증류수에 천년초를 넣은 후 40~80℃의 열 환경 속에서 끓여 최종 잔존 걸름 액체가 색도는 L값(명도) 73.12, a값(적색도) -0.34, b값(황색도) 33.85, 고형분 함량은 47브릭스(brix)의 값을 갖도록 정제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을 갖는 크림의 특징은, 정제수71.9 중량%와, 프로필렌글리콜 2.0중량%와, 스테아릭산 1.4중량%와, 왁스 1.0중량%와, 글리세린 3.0중량%와, 폴리솔베이트60 1.5중량%와,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7중량%와, 스틸 스틸헥사네이트 3.0중량%와, 미네랄 오일 7.0중량%와, 위치하첼2.0중량%와, 기타 화장품 베이스 2.5중량% 와, 단위 중량에 해당하는 천년초와 해당 천년초의 중량에 비해 5 내지 50배의 중량을 갖는 증류수를 40~80℃의 열 환경 속에서 끓여 최종 잔존 걸름 액체가 색도는 L값(명도) 73.12, a값(적색도) -0.34, b값(황색도) 33.85, 고형분 함량은 47브릭스(brix)의 값을 갖도록 정제되어진 천년초 추출액 3.0중량%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을 갖는 에센스의 특징은, 정제수 73.9중량%와, 클리세롤 폴리메틸아크릴/프로필렌글리콜 2.0중량%와, 비테이인 5.0중량%와, 1.3부틸로노글리콜 5.0중량%와, 글리세린 5.0중량%와, 소디움하이마루네이트 3.0중량%와, 카스트오일 0.4중량%와, 위치하첼 2.0중량%와, 기타 화장품 베이스 0.7중량%와, 단위 중량에 해당하는 천년초와 해당 천년초의 중량에 비해 5 내지 50배의 중량을 갖는 증류수를 40~80℃의 열 환경 속에서 끓여 최종 잔존 걸름 액체가 색도는 L값(명도) 73.12, a값(적색도) -0.34, b값(황색도) 33.85, 고형분 함량은 47브릭스(brix)의 값을 갖도록 정제되어진 천년초 추출액 3.0중량%을 포함하는 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의 특징으로 인해 기대되는 효과로는, 항산화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여 피부 주름개선과 보습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비료나 제초제, 살충제 등의 화학농약의 살포가 필요 없으며, 각종 생리 활성기능성을 촉진시킬 수 있는 천년초를 활용함으로 천년초를 농가의 새로운 소득 작물로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 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후술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과 관련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천년초 줄기 및 열매를 이용하여 천년초 추출액 및 엑스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689748호), 천년초 선인장 발효액과 이를 이용한 식품(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666283호), 천년초 선인장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O549506호), 손바닥 선인장을 이용한 발효식품의 제조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10-0763797호) 등의 기초적인 가공식품이 개발되고 있으며, 현재까지 천년초의 플라보노이드, 비타민 C 등의 유용성분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개발은 아직 없는 실정이다. 기능성을 강화시킨 화장품 및 화장료 조성물 제조기술은 홍화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홍화씨 내 화장료 유효성분 추출방법(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0670237호), 매생이 추출물을 주요 활성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대한민국특허등록 제 O542446호), 천연재료를 이용한 기능성 화장품 조성물(대한민국 특허등록 제 O538110호), 치자열매 추출물을 이용한 미백 조성물(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01-O070005호) 등 주로 천연물 및 생약 자원에서 그 소재를 찾고 있으며, 천년초를 이용하여 기능성을 강화시킨 화장료 조성물은 아직까지 개발되지 않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에 관한 것으로 항산화성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풍부하여 주름개선 및 피부 보습력을 증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천년초 추출액을 이용하여 주름개선과 피부 보습작용을 증진시킬수 있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개발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주원료로 사용된 천년초(Opuntia ficus)는 우리나라의 토종선인장으로 손바닥 선인장이라고도 불리우며, 제주도의 백년초나 일반 선인장과는 달리 영하 20℃에서도 얼어 죽지 않고 겨울을 나는 자생력이 강찬 다년생식물이고. 황토와 사토질이 섞여있는 토양에서 자라며, 병충해에 대한 내성이 강하고, 제초제나 화학비료를 사용할 필요가 없는 친환경 식물자원이다.
특히 천년초에는 항산화성 물질인 페놀 성분인 플라보노이드가 다른 식물군에 비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식이섬유, 비타민 C, 칼슘, 무기질 및 아미노산, 복합 다당류 등과 인체에 필요한 중요한 영양성분이 많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노화방지, 항암, 면역력 강화, 고혈압 예방, 유해물질 흡수 억제, 항 당뇨, 변비개선 등에 탁월한 효능이 알려져 있다.
상기에 서술한 장점 외에도 천년초는 백년초나 알로에와는 다르게 뿌리, 줄기, 열매 등 모든 부위를 식용으로 이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가공식품 개발에 용이한 식물자원이며, 비료나 농약 사용이 필요하지 않을 정도로 강력한 생명력 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농가의 새로운 소득 작물로 주목을 받고 있다. 천년초는 항산화 성분인 플라보노이드와 비타민 C 등의 유용 성분 함량이 높지만 화장료 조성물로 개발되지 않았으며, 기능성 화장품으로 개발되기 위해서는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측정과 같은 항산화 효능의 검증이 요구된다.
상기에 서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천년초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완성하기 위하여 천년초를 최적으로 추출하는 단계;천년초 추출액의 항산화 효능 검증 단계, 기타 화장료 베이스에 천년초 추출액을 일정량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사용한 천년초는 경북 의성군 비안면 이두리에서 재배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본 발명 화장료 조성물의 기능성을 밝히기 위해 천년초 추출액의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본 발명 천년초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원료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혼합하였으며 화장품 종류는 크림, 에센스 타입으로 제조하였다. 부형제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피부 연화제, 피부 침투 증강제, 착색제, 방향제, 농후제 및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천년초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제조방법은 피부탄력을 유지시키는 비타민 C와 항산화 물질인 플라보노이드 성분이풍부한 천년초 추출액을 함유하여 피부 주름개선과 피부 보습작용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고, 각종 생리 기능성 활성 물질과 농약 및 비료의 사용 없이 재배가 가능 한 천년초를 활용하여 제조한 화장품의 개발로 천년초가 농가의 새로운 소득 자원으로 활용 가능한 우수한 발명이다.
본 발명 천년초 추출액을 첨가한 기능성 강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 천년초 추출액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천년초 추출액 제조는 천년초 100g에 증류수 1.5L를 넣고, 85℃에서 2시간 끓인 후 여과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이때 천년초 추출액의 색도는 L값(명도) 73.12, a값(적색도) -0.34, b값(황색도) 33.85, 고형분 함량은 47브릭스(brix)였다.
천년초 추출액의 항산화능력 검증은 Superoxide dismutase(SOD) 유사 활성 측정 실험을 하였고, 천년초 추출액과 기타 화장료 베이스와 혼합하여 피부 주름개선과 피부 보습작용을 증진시키는 효능이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한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 예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 예 및 구성비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실시 예 1> : 천년초 추출액을 첨가한 크림의 제조
천년초 추출액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제조 예는 아래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수상인 정제수, 스테아릭산, 프로필렌글리콜을 70℃로 가열 용해한다. 여기에 유상인 글리세린과 유화제 및 보존제를 70℃로 가열 용해한 액을 첨가하여 유화시킨다. 유화가 완료되면 상기 용액을 45℃로 냉각시킨 후 천년초 추출액과 향을 첨가하고, 분산시킨 다음 30℃로 냉각하여 화장료인 영양 크림 조성물을 완성하였 다.
Figure 112009036734275-PAT00001
<실시 예 2> : 천년초 추출액을 첨가한 에센스의 제조
천년초 추출액을 함유한 에센스의 제조 예는 아래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정제수에 점증제를 천천히 교반하면서 가하여 균일하게 분산시키고, 수상 성분들은 혼합하여 수상을 제조한다.
유화제, 피부 유연제, 향, 보존제에 소디움하이마루네이트를 가하여 용해시킨 후 수상에 알코올 상을 교반하면서 가하고 알칼리제를 첨가한 후 상기 실시 예 1에서 제조한 천년초 추출액을 혼합하여 기능성이 강화된 영양 에센스 조성물을 완 성하였다.
Figure 112009036734275-PAT00002
상기의 실시 예에 의해 제조된 천년초 추출액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의 원료인 천년초 추출액의 항산화 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Superoxide dismutase(SOD)유사 활성측정 실험을 실시하였다.
항산화 활성 실험은 천년초 추출물이 기능성 소재로서의 검증을 확인하는 것으로, 시료 0.4㎖에 Et-OH 0.4㎖ 넣고 교반한 후 Tris-HCI 완충용액 10.4㎖과 7.2mM Pyrogallol 0.8㎖을 넣고 다시 교반한다.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키고, IN-HCI 0.4㎖을 넣고 교반한 후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결과, 항산화 능력이 탁월한 것으로 알려진 시판중인 비타민 C의 경 우 항산화활성이 10.2%로 낮게 나타났으나, 본 발명 천년초 추출액의 경우 78.3%의 높은 값을 보여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SOD 유사 활성능(%) = (1- 시료첨가구 ÷ 무첨가구) X 100
Figure 112009036734275-PAT00003
이에 본 발명 천년초 추출액을 주원료로 제조한 화장품 조성물은 항산화 활성이 증대되고 주름개선 및 피부 보습력이 좋은 화장료를 완성하였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

  1. 화장품 첨가용 조성물에 있어서,
    일정 단위 중량에 해당하는 천년초와;
    해당 천년초의 중량에 비해 5 내지 50배의 중량을 갖는 증류수와;
    상기 증류수에 천년초를 넣은 후 40~80℃의 열 환경 속에서 끓여 최종 잔존 걸름 액체가 색도는 L값(명도) 73.12, a값(적색도) -0.34, b값(황색도) 33.85, 고형분 함량은 47브릭스(brix)의 값을 갖도록 정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2. 정제수71.9 중량%와, 프로필렌글리콜 2.0중량%와, 스테아릭산 1.4중량%와, 왁스 1.0중량%와, 글리세린 3.0중량%와, 폴리솔베이트60 1.5중량%와,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7중량%와, 스틸 스틸헥사네이트 3.0중량%와, 미네랄 오일 7.0중량%와, 위치하첼2.0중량%와, 기타 화장품 베이스 2.5중량%와, 단위 중량에 해당하는 천년초와 해당 천년초의 중량에 비해 5 내지 50배의 중량을 갖는 증류수를 40~80℃의 열 환경 속에서 끓여 최종 잔존 걸름 액체가 색도는 L값(명도) 73.12, a값(적색도) -0.34, b값(황색도) 33.85, 고형분 함량은 47브릭스(brix)의 값을 갖도록 정제되어진 천년초 추출액 3.0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을 갖는 크림.
  3. 정제수 73.9중량%와, 클리세롤 폴리메틸아크릴/프로필렌글리콜 2.0중량%와, 비테이인 5.0중량%와, 1.3부틸로노글리콜 5.0중량%와, 글리세린 5.0중량%와, 소디움하이마루네이트 3.0중량%와, 카스트오일 0.4중량%와, 위치하첼 2.0중량%와, 기타 화장품 베이스 0.7중량%와, 단위 중량에 해당하는 천년초와 해당 천년초의 중량에 비해 5 내지 50배의 중량을 갖는 증류수를 40~80℃의 열 환경 속에서 끓여 최종 잔존 걸름 액체가 색도는 L값(명도) 73.12, a값(적색도) -0.34, b값(황색도) 33.85, 고형분 함량은 47브릭스(brix)의 값을 갖도록 정제되어진 천년초 추출액 3.0중량%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을 갖는 에센스.
KR1020090054040A 2009-06-17 2009-06-17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KR201001355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40A KR20100135576A (ko) 2009-06-17 2009-06-17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4040A KR20100135576A (ko) 2009-06-17 2009-06-17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5576A true KR20100135576A (ko) 2010-12-27

Family

ID=43510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4040A KR20100135576A (ko) 2009-06-17 2009-06-17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00135576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933B1 (ko) * 2012-12-18 2015-06-12 좋은먹거리영농조합법인 천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미스트
KR20180072456A (ko) * 2016-12-21 2018-06-29 김시엽 천년초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천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10041872A (ko) * 2019-10-08 2021-04-1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8550A (ko) * 2021-01-27 2022-08-03 ㈜웰사이언픽랩 금속 아미노점토 나노입자 및 천년초 추출물(Opuntia humifusa)을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26933B1 (ko) * 2012-12-18 2015-06-12 좋은먹거리영농조합법인 천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보습용 미스트
KR20180072456A (ko) * 2016-12-21 2018-06-29 김시엽 천년초 추출물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된 천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20210041872A (ko) * 2019-10-08 2021-04-1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천년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220108550A (ko) * 2021-01-27 2022-08-03 ㈜웰사이언픽랩 금속 아미노점토 나노입자 및 천년초 추출물(Opuntia humifusa)을 포함하는 보습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66180B1 (ko) 식물성 항균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36397A (ko) 항산화활성과 항균활성의 기능성 고형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비누 제조방법
KR101532003B1 (ko) 발효 조성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산화 기능성 화장품
CN107550771A (zh) 质地清爽的山茶卸妆油及其制备方法
KR20180052823A (ko)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및 물티슈 용액
KR20130030032A (ko)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135576A (ko) 기능성 강화 화장료용 천년초 추출액 및 그에 따른 화장품
KR101763912B1 (ko) pH 변화에 따른 색 변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하이드로겔 팩
KR20120009554A (ko) 항산화 및 항알레르기 효과를 갖는 허브 추출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00239146A (ja) 化粧料
KR101914623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40111537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친환경 세정제 조성물
KR20130075207A (ko) 탈모 및 새치 방지용 천연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45440A (ko) 모기 기피 조성물
KR20160096323A (ko) Anb 공법을 이용한 보습효능이 우수한 pe-6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102309548B1 (ko) 아로마 천연정유와 종자오일을 함유한 기능성 페이스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JP3397552B2 (ja) 化粧料
KR101773618B1 (ko) 버섯 균사체의 발효 배양액 추출물을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CN113631227A (zh) 抗老化剂、抗氧化剂、抗炎剂、及美白剂、以及化妆品
JP2008031049A (ja) 抗アクネ菌組成物
CN108743441A (zh) 消炎化瘀婴幼儿山茶润肤油及其制备方法
CN104983650B (zh) 一种功能性马齿苋组合物及其在日用化学品中的应用
KR102314004B1 (ko) 땅빈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성·고보습 클렌징 오일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