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119745A -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20119745A KR20120119745A KR1020110037904A KR20110037904A KR20120119745A KR 20120119745 A KR20120119745 A KR 20120119745A KR 1020110037904 A KR1020110037904 A KR 1020110037904A KR 20110037904 A KR20110037904 A KR 20110037904A KR 20120119745 A KR20120119745 A KR 2012011974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mposition
- skin
- extract
- external
- lotu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2—Nymphaeaceae (Water-lily famil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61K36/736—Prunus, e.g. plum, cherry, peach, apricot or almon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응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홍반 방지, 피부톤 개선, 피부 노화 방지 효과도 우수하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을 포함한 모든 호기성 생물체는 산소를 이용하는 에너지 대사 과정에서 항상 발생하는 활성 산소의 상해에 대하여 근본적으로는 자기 방어능을 초월한 활성 산소의 생성은 최근 성인병이라 알려져 관절염, 순환기 장애뿐만 아니라 치매 등과 같은 여러 질환의 원인이 되고 있다.
흔히 유해산소라고 알려진 활성산소는 가장 안정한 형태의 산소인 삼중항산소(3O2)가 산화, 화원 과정에서 환원되어 생성되는 일중항산소인 슈퍼옥사이드 음이온(1O2 -)과 과산화수소(H2O2), 하이드록시라디칼(?OH)과 같은 짝짓지 않은 상태의 자유 라디칼로서, 이들은 단백질, DNA, 효소 또는 T세포와 같은 면역계통의 인자를 손상시켜 질환을 일으킨다.
이러한 이유로 항산화제의 개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효소 계열의 예방적 항산화제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카탈라제(Catalase), 글루타티온페록시다제(Glutathioneperoxidase) 등과 같은 항산화효소와 천연 항산화제인 비타민E, 비타민 C, 카로테노이드(Carotenoid), 글루타티온(Glutathione) 및 합성 항산화제인 부틸히드록시아니졸(t-Butyl-4-hydroxyanisole: BHA),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3,5-(t-Butyl)-4-hydroxytoluene: BHT) 등 많은 항산화제가 알려져 있다. 그러나, 항산화효소는 나이가 들어서 늙어감에 따라 활성산소에 대한 방어능력이 감소되며, 합성 항산화제 경우 그의 변이원성 및 독성이 지적되면서 보다 안전하고 효력이 강한 천연 항산화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우수한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천연물을 스크리닝하던 중에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연꽃 추출물 또는 오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로 응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홍반 방지, 피부톤 개선, 피부 노화 방지 효과도 우수하다.
도 1은 오매 추출물을 얻은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연꽃 추출물, 오매 추출물 및 비타민 C의 농도 변화에 따른 DPPH assay 를 하여 측정된 흡광도 값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연꽃 추출물, 오매 추출물 및 비타민 C의 농도 변화에 따른 DPPH assay 를 하여 측정된 흡광도 값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연꽃(NELUMBO NUCIFERA)은 연못, 저수지 등에 심는 여러해살이풀로 잎은 둥근 방패처럼 생겼으며 여름철에 분홍색 또는 희색의 큰 꽃이 핀다. 아시아 남부와 오스트레일리아 북부가 원산지이다. 진흙 속에서 자라면서도 청결하고 고귀한 식물로, 여러 나라 사람들에게 친근감을 주어 온 식물이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어가며 마디가 많고 가을에는 특히 끝부분이 굵어진다. 잎은 뿌리줄기에서 나와서 높이 1~2m로 자란 잎자루 끝에 달리고 둥글다. 또한 지름 40cm 내외로서 물에 젖지 않으며 잎맥이 방사상으로 퍼지고 가장자리가 밋밋하다. 주요성분은 꽃받침에 d-(-)-N-노르아르메파빈, 리리오데닌, N-노르누시페린, 누시페린, 꽃잎에는 플라보노이드인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쿠에르세틴-7-글루코시드, 켐페롤-3-글루코실글루코시드(넬루보시드)가 있다. 효능으로는 수렴, 지혈, 강장약으로 유정, 혈붕, 치루, 토혈, 신경쇠약 등에 쓰인다고 알려져 있다.
오매(PRUNUS MUME FRUCTUS)는 매화나무(Prunus mume sieb . et Zucc .장미과)의 열매로서 주요성분은 구연산(citric acid), 사과산(malic acid), 호박산(succinic acid), 탄수화물(carbohydrate), 트리터페노이드(triterpenoids), 올레놀산(oleanol acid), 시토스테롤(sitosterol) 등으로 이루어져 있음이 알려져 있다. 효능으로는 배아픔, 게우기, 설사 등에 쓰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연꽃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0.001 ~ 10 중량%, 상세하게는 0.0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항산화 효과가 거의 없고, 10 중량% 초과로 함유되면, 피부 독성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오매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0.001 ~ 10 중량%, 상세하게는 0.01 ~ 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0.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면 항산화 효과가 거의 없고, 10 중량% 초과로 함유되면, 피부 독성 등의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효과는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의 복합 추출물에서 더 크게 나타났다. 연꽃 추출물과 오매 추출물을 함께 사용하는 경우 시너지 효과가 생기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추출물은 원료를 유기 용매에 침적하여 추출한 후 여과, 감압 및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을 사용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농축물을 다시 건조시켜 제조한 침체, 전제, 정기 및 유동 엑기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침적물은 연꽃 또는 오매를 유기 용매를 사용하여 냉침, 페르콜레이션(percolation), 온침 등의 임의의 방법에 의해 침적하여 유효 성분을 함유한 침적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연꽃은 연꽃잎을 자연 건조 또는 강제 건조 등 임의의 방법으로 건조하여 잘게 자른 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는 C1~C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홍반 방지용 또는 피부톤 개선용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일 수 있다. 유효 성분에 따른 피부 노화 방지 효과로는 피부 탄력 증대 효과,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피부 재생 효과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피부 외용에 사용하는 조성물 전반을 포괄하는 개념이며,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 또는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기초 화장료, 메이크업 화장료, 모발용 화장료, 바디용 화장료 등이 있을 수 있고, 그 제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로션, 바디로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젤, 패치, 수중유(O/W)형, 유중수(O/W)형 등의 기초 화장료, 립스틱, 메이크업베이스 또는 파운데이션 등의 색조 화장료, 샴푸, 린스, 바디클렌저, 치약 또는 구강 청정제 등의 세정료, 헤어토닉, 젤 또는 무스 등의 정발제, 양모제 또는 염모제 등의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한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또는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또는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추가적으로 점증제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점증제는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메틸 하이드록시 구아닌, 하이드록시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세테아릴 알콜, 스테아릭산, 카라기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메틸 셀룰로스,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폴리쿼터늄 중에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이들 성분의 종류와 양은 발명자에 의해 용이하게 선정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허용 가능한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당업계에 통상적인 방부제, 색소, 첨가제 등의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부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또는 1,2-헥산디올 (1,2-Hexanediol) 등이 될 수 있고, 향료는 인공향료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태양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외에 첨가해도 되는 배합 성분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또, 상기 어느 성분도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배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약학 조성물은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 할 수 있다.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패취, 스프레이, 현탁제 및 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경피 투여형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각 제형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본 발명의 조성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을 기타 피부 외용제의 제형 또는 사용 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이 경우 다른 원료와 동시에 적용할 경우 상승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약학 조성물로 사용될 경우에,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업 조절을 위한 염 또는 완충제 등의 약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형태로 제형화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실제 투여량은 증상의 중증도, 선택된 투여 경로,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 및 건강상태 등의 여러 관련 인자에 비추어 결정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유효성분의 투여량은 0.001mg/kg/일 내지 대략 2000mg/kg/일의 범위이다. 더 바람직한 투여량은 0.5mg/kg/일 내지 2.5mg/kg/일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들은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시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 실시예, 비교예 및 시험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 제조
분쇄된 연꽃잎 100g을 50% EtOH 500g에 침적시킨 뒤 60℃에서 3시간 가온 환류추출을 하고 이를 여과하여 감압 농축건조하여 9g의 추출파우더를 얻었다.
오매 추출물은 도 1의 공정도의 방법으로 얻었다.
[실시예 2] 화장료 조성물 제조예
실시예 1에서 얻은 연꽃 추출물과 오매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예를 아래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함량 중량%) | 비교 제형예 | 제형예1 | 제형예2 | 제형예3 |
정제수 | 87.370 | 86.370 | 86.370 | 85.370 |
부틸렌글라이콜 | 5.000 | 5.000 | 5.000 | 5.000 |
에탄올 | 3.000 | 3.000 | 3.000 | 3.000 |
피이지-75 | 2.000 | 2.000 | 2.000 | 2.000 |
비스-피이지-18메칠에텔디메칠실란 | 0.500 | 0.500 | 0.500 | 0.500 |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 | 0.400 | 0.400 | 0.400 | 0.400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 0.350 | 0.350 | 0.350 | 0.350 |
페녹시에탄올 | 0.300 | 0.300 | 0.300 | 0.300 |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 0.300 | 0.300 | 0.300 | 0.300 |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 0.200 | 0.200 | 0.200 | 0.200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 0.150 | 0.150 | 0.150 | 0.150 |
잔탄검 | 0.100 | 0.100 | 0.100 | 0.100 |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 0.080 | 0.080 | 0.080 | 0.080 |
디소듐이디티에이 | 0.050 | 0.050 | 0.050 | 0.050 |
에칠헥실글리세린 | 0.050 | 0.050 | 0.050 | 0.050 |
멘톡시프로판디올 | 0.050 | 0.050 | 0.050 | 0.050 |
매실추출물 | 0.000 | 1.000 | 0.000 | 1.000 |
연꽃추출물 | 0.000 | 0.000 | 1.000 | 1.000 |
향료 | 0.100 | 0.100 | 0.100 | 0.100 |
총 중량 | 100.000 | 100.000 | 100.000 | 100.000 |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실험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실시예 1의 연꽃 추출물, 오매 추출물 및 비타민 C 의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자유 라디칼인 1,1-디페닐-2-피크릴히드라질(1,1-Diphenyl-2-picrylhydrazyl: 이하 DPPH)을 이용하였다.
보라색을 띠고 있는 DPPH는 항산화 물질과 반응을 하게 되면 항산화물질로 부터 수소 전자를 받게 되어 색깔이 변하고 517nm에서의 흡광도가 감소한다.
실시예 1의 연꽃 추출물, 오매 추출물 및 비타민 C을 측정하려는 농도에 맞게 에탄올에 녹여 10μL 씩 96-well 플레이트에 넣고, 100μM DPPH solution을 190μL 씩 넣어준 다음 30분간 37℃에서 보관하였다. 그리고 스펙트로포토미터(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517nm 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타민 C를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여 시료의 항산화력을 비교하였다.
물질의 항산화력이 클수록 흡광도 값은 낮게 나오게 되는데, 대조군과 비교해서 흡광도 값을 절반으로 떨어뜨리는 물질의 농도인 (IC50 : 50% Inhibitory activity)를 구하고 IC50 값이 작을수록 항산화력이 크다고 판단할 수 있다.
연꽃 추출물, 오매 추출물 및 비타민 C의 농도 변화에 따른 흡광도 값을 도 1과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1ppm을 0.0001(%)로 환산하여 아래 표 2에 나타내었다.
vit C(%) | 연꽃(%) | 오매 (%) | 1회 | 2회 | average | std | |
비교예 1 (대조군) |
0.6761 | 0.6705 | 0.6733 | 0.0040 | |||
실시예 1 | 0.01 | 0.6589 | 0.6601 | 0.6595 | 0.0008 | ||
실시예 2 | 0.05 | 0.6353 | 0.6377 | 0.6365 | 0.0017 | ||
실시예 3 | 0.1 | 0.6077 | 0.6111 | 0.6094 | 0.0024 | ||
실시예 4 | 0.5 | 0.529 | 0.4949 | 0.5120 | 0.0241 | ||
실시예 5 | 1 | 0.5112 | 0.4704 | 0.4908 | 0.0288 | ||
실시예 6 | 0.01 | 0.01 | 0.4035 | 0.2107 | 0.3071 | 0.1363 | |
실시예 7 | 0.01 | 0.05 | 0.2172 | 0.2104 | 0.2138 | 0.0048 | |
실시예 8 | 0.01 | 0.1 | 0.2282 | 0.1878 | 0.2080 | 0.0286 | |
실시예 9 | 0.01 | 0.5 | 0.3808 | 0.3322 | 0.3565 | 0.0344 | |
실시예 10 | 0.01 | 1 | 0.4669 | 0.4506 | 0.4588 | 0.0115 | |
실시예 11 | 0.02 | 0.01 | 0.5323 | 0.6042 | 0.5683 | 0.0508 | |
실시예 12 | 0.02 | 0.05 | 0.5962 | 0.5756 | 0.5859 | 0.0146 | |
실시예 13 | 0.02 | 0.1 | 0.5906 | 0.6061 | 0.5984 | 0.0110 | |
실시예 14 | 0.02 | 0.5 | 0.6799 | 0.7101 | 0.6950 | 0.0214 | |
실시예 15 | 0.02 | 1 | 0.7837 | 0.8101 | 0.7969 | 0.0187 | |
실시예 16 | 0.01 | 0.5974 | 0.5697 | 0.5836 | 0.0196 | ||
실시예 17 | 0.02 | 0.3069 | 0.4218 | 0.3644 | 0.0812 | ||
비교예 2 | 0.00025 | 0.5268 | 0.5219 | 0.5244 | 0.0035 | ||
비교예 3 | 0.0005 | 0.3647 | 0.3538 | 0.3593 | 0.0077 | ||
비교예 4 | 0.001 | 0.1483 | 0.144 | 0.1462 | 0.0030 |
하기에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하기 예시 이외에도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 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형예1] 유연 화장수(스킨 로션)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연꽃 추출물 | 1.0 |
오매 추출물 | 1.0 |
글리세린 | 3.5 |
올레일알코올 | 1.5 |
에탄올 | 5.5 |
폴리솔베이트 80 | 3.2 |
카르복실비닐폴리머 | 1.0 |
부틸렌 글리콜 | 2.0 |
프로필렌 글리콜 | 2.0 |
방부제,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2] 영양 화장수(밀크 로션)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연꽃 추출물 | 1.0 |
오매 추출물 | 1.0 |
글리세린 | 3.0 |
부틸렌글리콜 | 3.0 |
프로필렌글리콜 | 3.0 |
카르복시비닐폴리머 | 0.1 |
밀납 | 4.0 |
폴리솔베이트 60 | 1.5 |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 5.0 |
스쿠알란 | 5.0 |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 1.5 |
세테아릴 알코올 | 1.0 |
트리에탄올아민 | 0.2 |
방부제,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5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연꽃 추출물 | 1.0 |
오매 추출물 | 1.0 |
글리세린 | 3.5 |
부틸렌글리콜 | 3.0 |
유동파라핀 | 7.0 |
베타글루칸 | 7.0 |
카보머 | 0.1 |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 3.0 |
스쿠알란 | 5.0 |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 1.5 |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 0.4 |
폴리솔베이트 60 | 1.2 |
트리에탄올아민 | 0.1 |
방부제,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4] 맛사지 크림
하기 표 6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맛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연꽃 추출물 | 1.0 |
오매 추출물 | 1.0 |
글리세린 | 8.0 |
부틸렌글리콜 | 3.0 |
유동파라핀 | 45.0 |
베타글루칸 | 7.0 |
카보머 | 0.1 |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 3.0 |
밀납 | 4.0 |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 1.5 |
세스퀴 올레인산 소르비탄 | 0.9 |
파라핀 | 1.5 |
방부제, 색소,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5] 팩
하기 표 7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팩을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연꽃 추출물 | 1.0 |
오매 추출물 | 1.0 |
글리세린 | 4.0 |
폴리비닐알콜 | 15.0 |
히알루론산 추출물 | 5.0 |
베타글루칸 | 7.0 |
알란토인 | 0.1 |
노닐 페닐에테르 | 0.4 |
폴리솔베이트 60 | 1.2 |
에탄올 방부제 | 적량 |
방부제, 향료 | 적량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제형예 6]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
하기 표 8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패취제를 제조하였다.
성분 | 함량(중량%) |
연꽃 추출물 | 1.0 |
오매 추출물 | 1.0 |
베타-1,3-글루칸 | 3.0 |
디에틸아민 | 0.7 |
아황산나트륨 | 0.1 |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 1.0 |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 (Cetomacrogol 1000) | 1.0 |
점성의 파라핀 오일 | 2.5 |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 (Cetiol LC) | 2.5 |
폴리에틸렌글리콜400 | 3.0 |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 1.0 |
정제수 | 잔량 |
계 | 100 |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9)
-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 중에서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꽃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매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 중량%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원료를 유기 용매에 침적하여 추출한 후 여과, 감압 및 농축하여 얻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매는 C1~C4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홍반 방지용 또는 피부톤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노화 방지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패치, 메이컵베이스, 보습 오일,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립스틱, 헤어토닉, 샴푸, 린스, 무스 , 양모제, 염모제, 수중유(O/W)형 또는 유중수(W/O)형 및 스프레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점적제, 연고, 로션, 겔, 크림, 패취, 스프레이, 현탁제 및 유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제형의 약학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7904A KR101781466B1 (ko) | 2011-04-22 | 2011-04-22 |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CN201110158540.9A CN102743310B (zh) | 2011-04-22 | 2011-06-14 | 含有莲花提取物和乌梅提取物作为有效成分而具有抗氧化活性的皮肤外用剂组合物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037904A KR101781466B1 (ko) | 2011-04-22 | 2011-04-22 |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20119745A true KR20120119745A (ko) | 2012-10-31 |
KR101781466B1 KR101781466B1 (ko) | 2017-09-26 |
Family
ID=4702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37904A KR101781466B1 (ko) | 2011-04-22 | 2011-04-22 |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101781466B1 (ko) |
CN (1) | CN102743310B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3526B1 (ko) * | 2016-02-22 | 2017-04-06 | 주식회사 젠퓨어 |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173220B (zh) * | 2013-05-23 | 2017-07-28 |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 绿萼梅提取物用作抗羰基化反应有效成分的新用途 |
CN104173221A (zh) * | 2013-05-23 | 2014-12-03 | 伽蓝(集团)股份有限公司 | 绿萼梅提取物的新用途 |
GB201423268D0 (en) * | 2014-12-26 | 2015-02-11 | Shang Chen Mei Bang Beijing Biolog Technology Co Ltd | The combination for acne cleansing and skin metabolism improving |
CN105663010A (zh) * | 2016-02-29 | 2016-06-15 | 广西南岜仔科技有限公司 | 一种乌梅染发剂及其制备方法 |
CN110585090B (zh) * | 2019-10-21 | 2022-06-17 | 广州艾蓓生物科技有限公司 | 一种自发泡红泥面膜及其制备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9971A (zh) * | 1993-09-10 | 1995-03-15 | 许都君 | 植物精华美容粉 |
CN1485024A (zh) * | 2002-09-28 | 2004-03-31 | 戚海波 | 一种蜂蜜及在美容化妆品中的应用 |
CN1977817A (zh) * | 2005-12-02 | 2007-06-13 | 上海莲氏轩生物工程有限公司 | 植物护理功能液 |
KR100828193B1 (ko) * | 2006-11-06 | 2008-05-08 | 박영준 | 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노화방지 및 주름개선용조성물 |
-
2011
- 2011-04-22 KR KR1020110037904A patent/KR101781466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1-06-14 CN CN201110158540.9A patent/CN102743310B/zh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723526B1 (ko) * | 2016-02-22 | 2017-04-06 | 주식회사 젠퓨어 |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WO2017146445A1 (ko) * | 2016-02-22 | 2017-08-31 | 주식회사 젠퓨어 |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CN107735076A (zh) * | 2016-02-22 | 2018-02-23 | (株)杰恩宝 | 含有山茶花、樱花、茉莉花、甘菊花及荷花混合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02743310B (zh) | 2017-03-01 |
CN102743310A (zh) | 2012-10-24 |
KR101781466B1 (ko) | 2017-09-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4603192B2 (ja) | 毛髪頭皮用組成物 | |
KR102142311B1 (ko) |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781466B1 (ko) |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20090095359A (ko) | 그리포니아 추출물과 편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모발용 조성물 | |
KR20130088912A (ko) | 텐저레틴 및 egcg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101230277B1 (ko) | 죽순을 이용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 | |
KR20070065926A (ko) |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
KR102169463B1 (ko) |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JP3904336B2 (ja) | 細胞賦活剤、それを含む皮膚外用剤及び皮膚洗浄剤 | |
KR100638053B1 (ko) | 소루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자극 완화용화장료 조성물 | |
KR101697235B1 (ko) |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69475B1 (ko) |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34976B1 (ko) | 고욤나무 잎 및 울금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 |
JP7566894B2 (ja) | プニカ・グラナツム抽出物及びその美容的使用 | |
KR102455132B1 (ko) |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 |
CN105726351B (zh) |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 |
KR101557422B1 (ko) |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 |
KR102076179B1 (ko) | 타래붓꽃과 참취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018512B1 (ko) | 단삼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556457B1 (ko) | 리포익산이 다량 함유된 천연물 유래의 미백 조성물 | |
KR102331903B1 (ko) | 세발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102419399B1 (ko) | 시카케어 크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628074B1 (ko) | 꿩의밥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피부외용제 조성물 | |
KR20080046793A (ko) | 용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167110B1 (ko) | 바늘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