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46445A1 -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46445A1
WO2017146445A1 PCT/KR2017/001912 KR2017001912W WO2017146445A1 WO 2017146445 A1 WO2017146445 A1 WO 2017146445A1 KR 2017001912 W KR2017001912 W KR 2017001912W WO 2017146445 A1 WO2017146445 A1 WO 201714644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flowers
chamomile
camellia
jasmine
lo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1912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김형교
안경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젠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젠퓨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젠퓨어
Priority to CN201780002211.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07735076A/zh
Publication of WO201714644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46445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mixed extract of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and specifically, contains a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ed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with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And it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exhibiting a sunscreen activity.
  • Photo-aging is a term that collectively refers to the result of the accumulation of these effects of sunlight.
  • photo-aging of the skin is a phenomenon in which the skin's ability to cope with light weakens wrinkles as the epidermis and the dermal tissue change due to sunlight, and the elasticity gradually decreases as the skin becomes yellowish and thicker.
  • UV radiation can be harmful to the skin
  • keratinocytes in the skin cells secrete cytokines and the like, and oxidative stress is induced to activate various proteins in the cells.
  • cytokines secreted enzymes hydrolyze cell membrane lipids, so the cells secrete arachidonic acid.
  • secreted arachidonic acid is converted to prostaglandin E2 (PGE2) by the action of cyclooxygenase (cyclooxygenase).
  • PGE2 prostaglandin E2
  • the arachidonic acid and PGE2 thus formed in cooperation with cytokines cause various inflammations including erythema in the skin and further promote aging of the skin.
  • connective tissue forming cells of the skin cells are also activated by a process similar to the activation of keratinocytes by irradiation of ultraviolet rays and can be killed as the amount of ultraviolet rays is increased.
  • skin aging is also promoted by DNA damage and the like, which may cause skin cancer.
  • ultraviolet rays cause redness of the skin, immune suppression, wrinkle generation, and skin aging and skin cancer, blocking of ultraviolet rays is very important, and thus, development of functional cosmetics having such ultraviolet blocking activity is further required.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2008-0103283 discloses a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sunscreen component containing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vanilla extract and chicory root extract, Korea Patent No. 0992088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natural plant extract that provides UV blocking effect” includes “fermented lotus root (seeds of lotus), bedrooms (fruits) and Goyanggang (Alpinia officinarum Hance) which have undergone a solid fermentation process. ), A natural plant extract providing a sunscreen effect, characterized in that it contains a natural plant extract obtained by ultra-sonic extraction of Abies koreana.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while continuing to study the natural material with excellent UV protection effect while safe to the skin, confirmed that the camellia, cherry blossoms, jasmine flowers, chamomile flowers and lotus mixture extract exhibits excellent antioxidant and UV-blocking activity Comple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ture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which is safe for the skin and excellent in UV protec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n extract of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flower as an active ingredient, which is safe for skin and has excellent antioxidant activity.
  • a cosmetic composition for UV protection containing a mixed extract of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 an antioxidant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 mixed extract of camellia, cherry blossoms, jasmine, chamomile and lotus.
  • the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ture extract is water,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hydrous alcohol of 1 to 4 carbon atoms, ethyl acetate, acetone, glycerin,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and butylene glycol It is extracted with the solvent of, Preferably it is extracted with water, C1-C4 anhydrous alcohol or hydrous alcohol.
  • camellia flower, cherry blossoms, jasmine flowers, chamomile flowers and lotus mixture extracts are 1 ⁇ 4: 1 ⁇ 4: 1 ⁇ 4: 1 ⁇ 4: 1 ⁇ 4 dry weight ratio of camellia flowers, cherry blossoms, jasmine flowers, lotus flowers
  • the mixture is extracted with, and more preferably, the mixture is extracted at the same weight ratio.
  • the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ture extract is contained 0.001 ⁇ 10% in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may be prepared in the form of a flexible cosmetics, nourishing cosmetics,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nutrition serum, essence, sunscreen cream, BB cream, cushion or pack.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tur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only safe for the skin, but also has excellent antioxidant and anti-UV effects, so it can be usefully used as a raw material for sunscreen and antioxidant cosmetics.
  • Camellia japonica is an evergreen tree belonging to theaceae. Sometimes many branches come from the base of the stem and grow like shrubs. Bark is greyish brown and slippery. The leaves are thick and discolored like leather, and the front side is dark green with gloss, and the back side is green with yellow. Leaf edges have blunt teeth. Flowers are red and bloom in winter at end of leaf axle or branch. The petals are 5 ⁇ 7 sheets, but the lower part of the petals surround each other, and the calyx leaves are 5 sheets. The stamens are many, gathered in a circle like pillars, the operating table is white, and the anther is yellow. The style is divided into three branches. Fruits are capsules, ripen spherically in autumn, and grow in three branches, with dark brown seeds.
  • Prunus serrulata is a rose family of the Rosaceae family. It is widely distributed in the northern hemisphere. It is reported that three species of cherry tree genus are distributed in Europe, West Siberia, 200 species in Japan, 3 species in East Asia, and 33 species in China. There is also a story that the Himalayan region is native. The height is about 20m and the bark is peeled off to the side in purple. Leaves are alternate, 6-12cm long egg-shaped or egg-shaped lanceolate, long, pointed, with fine teeth on edge. There are no hairs on both sides, but there are some hairs on the surface when young.
  • a peduncle is 3-3.5cm long, thin and hairless, and has a bract at the bottom.
  • Petals and calyx pieces are 5 pieces each, with about 40 stamens.
  • Fruit is nucleus ( ⁇ ⁇ ), 6-8mm long, spherical, ripened from red to black in June-July. This is called cherry.
  • Cherry blossoms contain a lot of sakuranin, amidaline, kerasyanin, etc. These ingredients are said to be effective in recovering fatigue and increasing appetite. It is also said to be used for sarcasm and hives in our folk remedies.
  • Jasminum officinale is a term used throughout the plant of the Jasminum in the Oleaceae family. A vine or shrub that has a characteristic scent of yellow or white flowers. It grows in the tropics and subtropics. Jasmine, which makes our body feel good, makes the stomach comfortable when ingested and is effective in suppressing inflammation in the body. It is also used to relieve conjunctivitis, dysentery, and boil or dermatitis, which are relatively frequent in summer.
  • Chamomile (Chamomilla recutita) is a herb that belongs to the dicotyledon plant Campanula. It may also be called chamomile, chamomile, or camomile. It is native to England but is now found all over the world. Chamomile is excellent in sedation, so it helps to alleviate various pains, and it is said to be effective in calming skin troubles. It is also good for treating redness and irritable skin caused by stress and dryness. Essential oils in flowers range from 0.05-1.9% depending on the growing conditions, usually 0.2-0.9%. Essential oils are blue.
  • the essential oil is composed of about 4.6% of azulene compound, camazulene, terpene compound, sesquiterpene compound, about 10%, sesquiterpene alcohol compound about 20%, cardinene, caprylic acid, non-nilic acid and isogilacetic acid. lost. Flavonoids also include affine, quercimertrin, luteolin-7-glucoside, paturitrin and matrycin and matricarin.
  • Nelumbo nucifera is a perennial herb of the Nymphaeaceae family. It is distributed worldwide in East Asia, South Asia, Australia, and North America. Flowers bloom in July-August, red or white, hanging on one end of stalk, 15-20cm in diameter, with thorns on stalk. The petals are upside down, with several stamens. Calyx is large and flat, about 10cm in diameter, and fruit is nut. Seeds in the calyx hole. Seeds have a long lifespan and are examples of germination of 2,000-year-old seeds. The lotuses include nellumbin, nuferrin, isoriensinin, asparagine, rotocin, armefabin, nuciferin, sugar, and methyl coripalin.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urchased in Korea or China, Japan.
  • the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flowers are washed with purified water, and used according to the extraction method or used as a crushed.
  • the extraction solvent is water, anhydrous or hydrous alcohol of 1 to 4 carbon atoms, ethyl acetate, acetone, glycerin,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and mixed solvents thereof (e.g., hydrous alcohol, hydrous glycerin, etc.)
  • the extraction solvent is water, anhydrous or hydrous alcohol of 1 to 4 carbon atoms, ethyl acetate, acetone, glycerin, ethylene glycol, propylene glycol, butylene glycol and mixed solvents thereof (e.g., hydrous alcohol, hydrous glycerin, etc.)
  • solvents selected from two solvent mixtures or two or more solvent mixtures
  • the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includes methanol, ethanol, n-propanol, iso-propanol, n-butanol, tert-butanol and the like.
  • hydrous ethanol is preferred, of which 70% hydrous ethanol is most preferred.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extracted by the following method.
  • the extraction solvent selected from 1 to 50 times the volume of water, anhydrous alcohol of 1 to 4 carbon atoms or hydrous alcohol
  • the mixture is immersed at 4 to 30 ° C. for 3 to 20 days to extract the active ingredient, and then the extraction solvent is obtained by concentrating with a vacuum concentrator.
  • the dried products of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flower are pulverized, and composed of 1 to 30 times the volume of water, anhydrous alcohol having 1 to 4 carbon atoms or hydrous alcohol.
  • One or more solvents selected from the group are used, followed by heat extraction at 30 to 100 ° C. for 1 to 48 hours or deposition at 5 to 30 ° C. for 1 to 10 days in order to prevent the solvent from evaporating.
  • the active ingredient is extracted and the extraction solvent is obtained by concentrating with a vacuum concentrator.
  • it can manufacture by using together the well-known ultrasonic extraction method etc. to the extraction solvent enumerated above.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preferably extracted with water, anhydrous or hydrous alcohol of 1 to 4 carbon atoms, the extraction temperature is preferably 50 ⁇ 100 °C.
  • the mixed extract is extracted by mixing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at a ratio of 1-4: 1-4: 1-4: 1-4: 1-4. At this time, when the mixture is extracted in the same weight ratio, the best properties in yield, antioxidant and UV blocking effect.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ture extract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pared by mixing and extracting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and also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After the extract of each lotus flower may be prepared by mixing.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ture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pared as described above is excellent in antioxidant and UV-blocking effect,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it was excellent in formulation stability.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used in the form of a powder dried by extracting the extract extracted with the extraction solvent under reduced pressure, concentrated freeze-dried powder or the concentrated liquid.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ture extract in the antioxidant and sunscreen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added in an amount of 0.001 to 10% by weight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in powder form or liquid form Preferably, it is added in an amount of 0.01 to 5% by weight in powder form or liquid form relative to the total we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in the formulation, for example, formulations such as lotion, nutrition lotion, nutrition cream, massage cream, essence, pack, emulsified foundation, solid foundation, sunscreen cream, etc.
  • Can have It may also be in the form of a bath cleaner, shampoo, soap or the like.
  • the cosmetic composition of each formulation other components in addition to the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extract can be selected arbitrarily selected according to the formulation or purpose of use of other cosmetics.
  • a coloring agent pigment
  • a flavoring agent flavor
  • a suspending agent an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emulsifier
  • a dissolution aid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flowers purchased in Korea, China and Japan were washed with purified water and dried. 200g each of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in distilled water, boiled at 80 °C for 8 hours in an extractor with cooling condenser, filtered with 300 mesh filter paper, and left at room temperature for 1 week It was filtered twice with filter 5 and Whatman GF / C 150mm filter paper. After concentrating at a temperature of 40 ⁇ 50 °C using a vacuum concentrator, and then using a spray dryer (model name: B-290, BUCHI Co., Ltd.) was dri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to prepare an extract powder of the title (Krussmann, 1982) .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flowers were washed and dried, and then mixed and extracted and filtered in the same manner as in Example 1 to 200 g at a ratio of 1: 1: 1: 1: 1 to prepare powders. It was.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1 below.
  • Examples 7 to 10 powder production of a mixture of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according to the extraction solvent ⁇
  • the extract was boiled at 80 ° C. for 8 hours in an extractor equipped with a condenser, filtered through 300 mesh filter paper, and allowed to stand at room temperature for 1 week.
  • the precipitate was filtered twice with Edventech No. 5 filter paper and Whatman GF / C 150 mm filter paper.
  • the yield was higher in the mixed extract than the single extract, and the yield was high when 70% functional ethanol was used as the extraction solvent.
  • the materials 10, 11, 13, and 16 are mixed and stirred, and heated to 80 to 85 ° C., and then put into the manufacturing unit to act on an emulsifier, and 2, 3, 4, 5, 6, 7, 8, 9, Material 12 was dissolved by heating to 80 ⁇ 85 °C. After emulsification, cool down to 50 °C while stirring using a stirrer, add material 15, cool to 45 °C, add material 14, add material 1 at 35 °C, cool to 25 °C, and 25 °C. Aged 3 days in to prepare the title nutrition lotion.
  • Nitro-Blue Tetrazolium (NBT) reduction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scavenging activity of superoxide radicals produced by Xanthine oxidase.
  • 1 ml of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7.5) containing 0.4 mM xanthine and 0.24 mM NBT and 0.6 ml of 0.1 M potassium phosphate buffer (pH7.5) were mixed with 0.1 ml of sample and xanthine oxidase (0.05 U / ml). 1ml is added and reacted at 37 ° C for 20 minutes. 1 ml of 1M HCl was added to terminate the reaction, and the absorbance was measured at 520 nm.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ture extracts showed superior antioxidant effects as compared to the extracts of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cherry blossoms, but also better than retinol and BHT. .
  • the antioxidant activity was measured using a DPPH method using an antioxidant such as vitamin E as a comparative sample under laboratory conditions. .
  • the DPPH method measures the antioxidant activity by reducing power by using a free group called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 (DPPH). In comparison, the free radical scavenging rate is measured at a wavelength of 560 nm.
  •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extract had an antioxidant effect better than vitamin E, extract of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cherry blossoms of the same concentration at a concentration of 0.01%.
  • the formulations prepared in Formulations 1 to 4 which contain a mixed extract of camellia, cherry blossoms, jasmine flowers, chamomile flowers, and cherry blossoms, are kept constant at room temperature (25 ° C.), refrigerated (4 ° C.) and constant temperature (50 ° C.). In an indoor, refrigerator and incubator, opaque glass containers were stored and observed for 12 weeks (discoloration, discoloration and separation), and stability was confirmed.
  •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1 is prepared by containing only Camellia flower extract
  •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2 is prepared by containing only cherry extract
  •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3 is prepared by containing only Jasmine flower
  •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4 is only chamomile flower It was prepared by containing
  •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5 was prepared by containing only the lotus
  • Comparative Formulation Example 7 was prepared by comparing all five cosmetics were not included.
  • the experiment of the sunscreen effect was performed by the in vitro method and the instrument used for the measurement was SPF 290 (Optometrics Corporation, UK).
  • the formulation containing the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mixture extract contains only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extracts compared to formulations containing no It can be seen that the excellent UV blocking effect. This indicates that the camellia, cherry, jasmine, chamomile and lotus extracts synergistically increased the UV protection effec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피부에 안전할 뿐 아니라 그 상승작용에 의하여 우수한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활성을 나타내는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우수한 항산화활성 및 자외선 차단활성을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성장기에는 일광에 대하여 피부가 쉽게 대응을 하지만, 연령이 높아지면서 피부 조직이 점차 변화함에 따라 일광으로 인한 주름살, 피부의 두꺼워짐 및 처짐, 피부 탄력의 상실, 피부의 거칠어짐 및 건조함, 피부 얼룩 등의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 일광에 의한 이러한 영향이 축적되어 생긴 결과를 통칭하는 용어가 바로 광노화(photo-aging)이다. 이와 같은 피부 광노화는 광에 대한 대응력이 약해진 피부에서 일광으로 인해 표피와 진피 조직이 변화하면서 주름살이 생기고, 피부가 누르스름해지고 두꺼워지면서 탄력성이 점차 감소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최근 산업 사회의 가속화와 더불어 문화 수준이 급속하게 향상되면서 자동차 대수의 증가, 난방, 에어콘 등에 의한 실내외 대기 오염의 심각성이 점점 더해지고 있으며, 나아가 질소 화합물에 의한 오존층의 파괴와 환경 오염 등 복합적인 요인에 의한 대기 오염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현상으로 인하여 지금은 오존 주의보가 발령되는 일이 종종 발생하기도 한다. 또한, 봄, 가을에는 꽃가루 등 알레르기 물질의 확산으로 인한 접촉성 피부염 발생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아울러 산업폐수, 가정하수 등에 의한 수질 오염 역시 확산되고 있으며, 토양 오염도 나날이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전반적인 문화 수준의 향상에 따라 화장료를 사용하고 있는 소비자들의 미에 대한 욕구 또한 증진되고 있다. 즉, 피부 광노화 및 공해가 피부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인식이 확산되면서, 화장료에 있어서도 보습과 영양 공급이나 피부 미용 차원을 넘어서 피부 주름 형성 완화 및 개선, 미백 효과, 자외선 차단 효과, 공해 물질에 대한 방어 등의 활성을 가지는 기능성 제품에 대한 요구가 대두되고 있으며, 실제 이러한 기능성 제품의 개발 및 출시가 점차 활성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자외선이 피부에 유해하게 작용하는 메커니즘은 다음과 같다. 즉, 피부 세포 중에서 케라티노사이트는 자외선이 조사되면 사이토카인 등을 분비하고 산화적 스트레스가 유발되어 세포 내 여러 종류의 단백질이 활성화된다. 활성화된 이들 효소는 세포막 지질을 가수분해시키므로 상기 세포에서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분비된다. 또한 분비된 아라키돈산은 시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의 작용으로 프로스타글란딘 E2(PGE2)로 변화된다. 이렇게 형성된 아라키돈산 및 PGE2는 사이토카인들과 협동하여 피부에서 홍반을 비롯한 여러 가지 염증을 일으키며, 나아가 피부의 노화를 촉진한다. 또한, 피부 세포 중 결합조직 형성세포도 자외선의 조사에 의하여 케라티노사이트의 활성화와 유사한 과정에 의하여 활성화되며 자외선의 양이 증가됨에 따라 사멸될 수 있다. 더욱이, DNA 손상 등에 의하여서도 피부 노화가 촉진되며, 이는 피부암을 유발할 수도 있다. 요컨대, 자외선은 피부의 발적, 면역 억제, 주름 생성 및 피부 노화와 피부암 등을 유발시키므로 자외선의 차단은 매우 중요하며, 따라서, 이러한 자외선 차단 활성을 갖는 기능성 화장료의 개발이 더욱 요구되고 있다.
종래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8-0103283호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에는 '바닐라 추출물 및 치커리 뿌리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단 성분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992088호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에는 '고체 발효 공정을 거친 발효 연자육(연꽃의 씨), 가자(가자나무의 열매),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 구상나무(Abies koreana)를 저온 초음파 추출하여 얻어진 천연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 효과를 제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한 천연소재에 대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에서 우수한 항산화활성 및 자외선 차단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자외선 차단활성이 우수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로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이 각각 1~4:1~4:1~4:1~4:1~4의 건조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일 중량비율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이다.
상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0.001 ~ 10% 함유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세럼, 에센스, 자외선 차단 크림, 비비크림, 쿠션 또는 팩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피부에 안전할 뿐 아니라,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 효과가 우수하므로 자외선차단 및 항산화용 화장품의 원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동백나무(Camellia japonica)는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상록교목이다. 때때로 줄기 밑동에서 많은 가지들이 나와 관목처럼 자라기도 한다. 수피(樹皮)는 회색빛이 도는 갈색이며 미끈하다. 잎은 가죽처럼 두껍고 어긋나며 앞면은 광택이 나는 짙은 초록색이나 뒷면은 노란색이 섞여 있는 초록색이다. 잎가장자리에는 끝이 뭉툭한 톱니들이 있다. 꽃은 빨간색이며 겨울에 1송이씩 잎겨드랑이나 가지끝에 핀다. 꽃잎은 5~7장이지만 꽃잎의 아래쪽은 서로 감싸고 있으며 꽃받침잎은 5장이다. 수술은 많고 기둥처럼 동그랗게 모여 있으며 수술대는 흰색, 꽃밥은 노란색이다. 암술대는 3갈래로 갈라졌다. 열매는 삭과(果)로, 가을에 구형(球形)으로 익으며 3갈래로 벌어지는데 그속에는 진한 갈색의 씨가 들어 있다. 꽃의 밑에서 화밀(花蜜)이 많이 나오며 동박새가 이것을 먹는 틈에 꽃가루받이가 일어나므로 대표적인 조매화(鳥媒花)이다. 한국·일본·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꽃에는 leucoanthocyanin, anthocyanin, camellin, akisaponin, camelliagenin A, B, C 등이 함유되어 있다.
벚나무(Prunus serrulata)는 장미목 장미과의 식물이다. 북반구에 널리 분포되어 있다. 유럽에서 서시베리아에 걸쳐서 3종, 일본에 200종, 동아시아에 3종, 중국에 33종의 벚나무 아속이 분포되어 있다고 보고 되고 있다. 히말라야 지역이 원산이라는 이야기도 있다. 높이는 20m 정도이며 나무껍질은 자갈색으로 옆으로 벗겨진다. 잎은 어긋나며 길이 6-12㎝의 난형 또는 난상(egg type) 피침형으로 끝이 길고 뾰족하며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양면에 털이 없으나 어릴 때에는 표면에 약간의 털이 있기도 하다. 꽃은 4-5월에 분홍색 또는 백색으로 피며 지름은 3㎝ 정도이고, 2-5개가 잎겨드랑이에 달려 산방 또는 총상꽃차례를 이룬다. 꽃자루는 길이 3-3.5㎝로서 가늘고 털이 없으며 밑부분에 포(苞)가 있다. 꽃잎과 꽃받침 조각은 각각 5개이고 수술은 40개 내외이다. 열매는 핵과(核果)로서 길이 6-8㎜의 구형이며 6-7월에 적색에서 흑색으로 익는데, 이것을 버찌라고 한다. 벚나무 꽃에는 사쿠라닌, 아미그달린, 케라시아닌 등을 많이 함유하고 있다. 이러한 성분들이 피로회복, 식욕증진 등의 효능이 있다고 한다. 또한 우리 민간요법에서는 풍사나 두드러기에도 사용되었다고 한다.
쟈스민(Jasminum officinale)은 물푸레나뭇과(Oleaceae) 재스민속(Jasminum)의 식물을 통틀어 이르는 말이다. 덩굴성 식물 또는 관목으로 특유의 향내가 나는 노란색 또는 흰색 꽃이 핀다. 열대와 아열대에 자란다. 우리의 기를 통하게 만들어 주는 쟈스민은 섭취시 위장을 편안하게 만들어주며 체내 염증을 억제하는 데에도 효과가 좋으며, 여름철 상대적으로 빈번한 결막염이나 이질, 그리고 종기나 피부염 등을 완화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이용하기도 한다.
캐모마일(Chamomilla recutita)은 쌍떡잎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에 속하는 풀이다. 카모밀, 카모마일, 또는 카밀레 등의 이름으로 불리기도 한다. 원산지는 영국이나, 현재는 전 세계에서 찾아볼 수 있다. 캐모마일은 진정작용이 뛰어나 각종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되며, 피부트러블을 진정시키는 효능이 있다고 한다. 또한 스트레스와 건조함으로 발생하는 홍조와 과민성 피부를 다스리는데도 좋다고 한다. 꽃에서 정유가 재배조건에 따라 0.05-1.9%까지 나타나는데 대체로 0.2-0.9%있다. 정유는 푸른색이다. 정유의 조성은 아줄렌 화합물인 캄아줄렌 약 4.6%, 테르펜 화합물, 세스쿠이테르펜화합물 약 10%, 세스쿠이테르펜알코올화합물이 약 20%, 카디넨, 카프릴산, 논닐산, 이소길초산으로 이루어졌다. 또한 플라보노이드로 아핀,쿠에르시메리트린, 루테올린-7-글루코시드, 파투리트린과 마트리신, 마트리카린이 있다.
연(Nelumbo nucifera)은 수련과(Nymphaeaceae)의 여러해살이 수초이다. 세계적으로는 동아시아, 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북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꽃은 7∼8월에 피고 홍색 또는 백색이며 꽃줄기 끝에 1개씩 달리고 지름 15∼20cm이며 꽃줄기에 가시가 있다. 꽃잎은 달걀을 거꾸로 세운 모양이며 수술은 여러 개이다. 꽃받침은 크고 편평하며 지름 10cm 정도이고 열매는 견과이다. 종자가 꽃받침의 구멍에 들어 있다. 종자의 수명은 길고 2천 년 묵은 종자가 발아한 예가 있다. 연꽃에는 넬룸빈, 누페린, 이소리엔시닌, 아스파라긴, 로투신, 아르메파빈, 누시페린, 설탕, 메틸 코리팔린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는 국내 혹은 중국, 일본에서 구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을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사용하며, 추출방법에 따라 원물 그대로 사용하거나 파쇄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추출 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예를 들어, 함수알코올, 함수글리세린 등 2개의 용매혼합 또는 2개 이상의 용매혼합)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등이 있다. 이들 추출용매 중 함수 에탄올이 바람직하며, 그 중에서도 70% 함수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추출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건조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을 파쇄한 후 1~5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무수 알코올 또는 함수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부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된다.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르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의 건조물을 분쇄하여, 그 건조량의 1~3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무수 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며, 이어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00℃에서 1∼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30℃에서 1~1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된다. 또한, 위에서 열거한 추출용매에 공지된 초음파 추출법 등을 병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그 추출온도는 50 ~ 10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은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을 각각 1~4:1~4:1~4:1~4:1~4의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된다. 이 때,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여 추출하는 경우, 수율이나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효과에 있어서 가장 우수한 성질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를 혼합 후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또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각각의 추출물을 제조한 후,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본 발명의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자외선 차단효과가 우수하며,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 안정성이 우수하였다.
본 발명의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한 농축액, 농축액을 동결 건조한 분말 또는 농축액을 분무 건조하여 건조한 분말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분말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10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분말형태 또는 액상형태로 0.01∼5중량%의 양으로 첨가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유화형 파운데이션, 고체형 파운데이션, 자외선 차단 크림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목욕세정제, 샴푸, 비누 등의 제형일 수도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색제(색소), 착향제(향료),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안정제, 등장제, pH조절제, 점도조절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 이외에 자와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유효성분을 1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각각의 추출물 분말의 제조}
국내 및 중국, 일본에서 구매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시켰다.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각 200g을 증류수 2㎏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 분무건조기(모델명: B-290, BUCHI사 제품)를 다음 조건으로 이용하여 건조시킨 표제의 추출 분말을 제조 하였다(Krussmann, 1982).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 Inlet 온도 : 180 ℃
- Aspirator 효율 : 100% (35㎤/hr)
- Pump 효율 : 25% (7.5㎖/min)
- Nozzle Cleaner 4
- Rotameter : 30㎜ (357Liter/hr)
{실시예 6: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 추출물 분말의 제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을 세척 및 건조 후 각 40g씩1:1:1:1:1 비율로 혼합 200g이 되도록 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혼합 추출 및 여과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1 과 같다.
{표1}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01
{실시예 7 내지 10: 추출 용매에 따른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의 분말제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연꽃을 세척 및 건조 후 각 40g씩1:1:1:1:1 비율로 혼합 200g이 되도록 하여 각기 다른 비율의 하기 표 2와 같은 함수 에탄올 2kg에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로 8시간 끓여서 추출한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 분무건조기(모델명: B-290, BUCHI사 제품)를 다음 조건으로 이용하여 건조시킨 표제의 추출 분말을 제조 하였다(Krussmann, 1982).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
{표 2}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02
상기 표 1과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단일 추출물 보단 혼합 추출물에서 수율이 높고, 추출 용매로 70%함수 에탄올을 사용하는 경우에 수율이 높았다.
{제형예 1: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 제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 분말(실시예 9)을 함유한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의 표 3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표 3}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03
상기 표 3에서 11번 물질에 2, 3, 4, 8번 물질을 순서대로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 물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 후, 10번 물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 물질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 물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킨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2: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로션 제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 분말(실시예 9)을 함유한 하이드로좀 영양로션을 하기의 표 4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표 4}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04
상기 표 4에서 10, 11, 13, 16번 물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 ~ 8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번 물질을 80 ~ 85℃사이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 물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 물질을 투입하고 35℃에서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3: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세럼 제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 분말(실시예 9)을 함유한 하이드로좀 영양세럼을 하기의 표 5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표 5}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05
상기 표 5에서 2, 3, 5번 물질을 혼합 교반하면서 40 ~ 45℃ 사이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4, 6, 7번 물질을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 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 세럼을 제조하였다.
{제형예 4: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 제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 분말(실시예 9)을 함유한 하이드로좀 에센스를 하기의 표 6의 함량으로 하기 제조 방법을 이용하여 1kg을 제조하였다.
{표 6}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06
상기 표 6에서 2, 3, 4, 5 및 6번 물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이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 물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 플루이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9번 물질을 50 ~ 60℃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 후, 10, 11, 12, 13번 물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켜 표제의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확인}
Xanthine oxidase에 의해 생성된 superoxide radical의 소거 활성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Nitro-Blue Tetrazolium(NBT) 환원법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0.4mM xanthine과 0.24mM NBT를 포함하는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7.5) 1㎖과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7.5) 0.6㎖에 시료 0.1㎖을 혼합한 후 xanthine oxidase(0.05U/㎖) 1㎖을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킨다. 1M HCl 1㎖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5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NBT 환원 저해능은 하기 식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07
B (Blank): 0.4mM xanthine을 포함한 0.1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7.5)와 1M HCl만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
C (Control): 시료 대신 0.24mM NBT를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
S (Sample): 시료를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
{표 7}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08
상기 표7에 나타난 바와 같이, 0.1(wt/v)% 농도에서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벚꽃의 단독 추출물에 비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을 뿐만 아니라, retinol과 BHT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시험예 2: DPPH법을 이용한 항산화 효과 측정 실험}
실시예9에서 수득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비타민 E와 같은 항산화제를 비교 샘플로 하여 DPPH법을 이용하여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DPPH법은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DPPH)라는 유리기를 사용하여 환원력에 의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며, 피검물질에 의해 DPPH가 환원되어 흡광도가 감소하는 정도를 공시험액의 흡광도와 비교하여 파장 560nm에서 자유라디칼 소거율을 측정한다. 사용한 시약으로서는 2,2-diphenyl-1-picrylhydrazyl free radical(Aldrich Chem. Co., MW=394.32g/mol) 0.1Mm 용액으로서 61.88mg을 메탄올에 용해하여 100ml 로 하며, 구체적인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 96-웰 플레이트에 0.1mM DPPH 용액 0.15ml에 0.01(wt/v)% 농도의 정제수로 용해시킨 시료용액 0.15ml를 가하여 빨리 교반하고 25℃에서 10분간의 배양을 개시한다.
② 그 후 560nm에서의 흡광도 St를 측정한다.
③ 공시험은 시료용액 대신에 증류수를 사용한 것을 상기와 똑같이 조작해 흡광도 Bt를 측정한다.
④ 역시, 시료용액의 플랭크(Blank)는 0.1mM DPPH 용액 대신에 메탄올을 사용해 똑같이 조작하여 흡광도 Bo를 측정한다. 하기 식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결과는 표 8과 같다.
억제율(%) = 〔1-(St-So)/(Bt-Bo)〕X 100
St: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t: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소거 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So: 시료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Bo: 공시험용액의 자유라디칼 무첨가시 반응 전의 560nm에서의 흡광도
{표 8}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09
상기 표 8과 같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추출물은 0.01% 농도에서 동일농도의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벚꽃의 단독 추출물, 비타민E 보다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가지고 있었다.
{시험예 3: 제형 안정도 확인}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벚꽃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제형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제형에 대하여 실내(25℃), 냉장(4℃) 및 항온(50℃)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냉장고 및 인큐베이터에서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 및 관찰(변색, 변취 및 분리)하며,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표 9}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10
<제형 안정 등급>
0: 변화 없음, 1: 미세한 변화, 2: 변화, 3: 극심한 변화
상기 표 9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제형예 1 내지 4 모두, 25℃, 4℃ 및 50℃ 온도 조건하에서 변색, 변취 및 분리 현상이 나타나지 않고 안정하였다.
{시험예 4: 자외선 차단 효과 실험}
모든 시료는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여 희석시켰으며, 파장별 흡수능은 UV-비저블 스펙트로포토미터(UV-Visible Spectrophotometer, CARY 100 Conc)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의 농도는 약 1000ppm으로 희석하였으며, 200-400㎚ 영역에서 각 조성물의 파장별 흡수능을 측정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실험하였다.
상기 실시예 9에서 제조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벚꽃의 혼합 추출물을 혼합하고 이를 에탄올로 100 ppm으로 희석한 조성물의 자외선 차단 효과 측정한 결과는 하기 표 10과 같다. 표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벚꽃의 혼합 조성물의 파장별 흡수율은 350㎚ 영역에서 0.74, 203㎚ 영역에서 1.56 등이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벚꽃추출물 각각의 단독 사용시와 비교할 때 350㎚ 영역에서의 흡수율은 유사하였으나, 203㎚ 영역에서의 흡수율은 상승하였다. 따라서,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벚꽃을 혼합할 경우 UVA에 대한 차단 효과가 증진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혼합 조성물은 UVB에 대한 차단 기능도 유사하게 유지되었다. 따라서, 상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벚꽃의 혼합 조성물은 단독 사용시보다 전체적인 자외선 차단 기능이 상승적으로 향상됨을 알 수 있다
{표 10}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11
{시험예 5: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 함유 화장료의 자외선 차단 효과 실험}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예 6의 화장료에 대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확인하였다. 비교 제형예 1은 동백꽃 추출물만을 함유한 것으로 제조하고, 비교 제형예 2는 벚꽃 추출물만을 함유한 것으로 제조하고, 비교 제형예 3은 쟈스민꽃만을 함유한 것으로 제조하고, 비교 제형예 4는 캐모마일꽃만을 함유한 것으로 제조하고, 비교 제형예 5는 연꽃만을 함유한 것으로 제조하고, 비교 제형예7은 5가지 모두 포함되지 않은 화장료를 제조하여 비교하였다.
자외선 차단 효과의 실험은 인 비트로 방법으로 수행하였으며, 측정에 이용된 기기는 SPF 290(Optometrics Corporation, 영국)이다.
{표 11}
Figure PCTKR2017001912-appb-I000012
상기 표 1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제형은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추출물만을 포함하거나, 전혀 포함하지 않는 제형에 비하여 우수한 자외선 차단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추출물이 상승작용을 일으켜 그 자외선 차단효과가 크게 증가하였음을 나타낸다.

Claims (6)

  1.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및 부틸렌 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로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이 각각 1~4:1~4:1~4:1~4:1~4의 건조중량비로 혼합되어 추출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0.001 ~ 10%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세럼, 에센스, 자외선 차단 크림, 비비크림, 쿠션 또는 팩의 제형으로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6.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01912 2016-02-22 2017-02-22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14644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780002211.0A CN107735076A (zh) 2016-02-22 2017-02-22 含有山茶花、樱花、茉莉花、甘菊花及荷花混合提取物的化妆品组合物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0899 2016-02-22
KR1020160020899A KR101723526B1 (ko) 2016-02-22 2016-02-22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445A1 true WO2017146445A1 (ko) 2017-08-31

Family

ID=585840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1912 WO2017146445A1 (ko) 2016-02-22 2017-02-22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723526B1 (ko)
CN (1) CN107735076A (ko)
WO (1) WO20171464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9660A (zh) * 2020-09-30 2020-12-18 广东省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樱花花提取物在维持皮肤菌群平衡和/或抗蓝光中的应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4163B1 (ko) * 2017-10-16 2020-07-15 제주동백 주식회사 동백꽃 추출물 또는 동백꽃 추출물 분말을 포함하는 식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83718B1 (ko) * 2018-02-20 2020-03-02 대구한의대학교산학협력단 카모마일 에센셜 오일을 이용한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0037961B (zh) * 2019-05-16 2022-03-11 广州华瑟科技有限公司 一种无刺激的樱花睡眠面膜
KR102248712B1 (ko) 2019-05-30 2021-05-06 주식회사 라피끄 염장된 벚꽃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2331436B1 (ko) 2020-01-17 2021-11-29 (주)모아캠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을 포함하는 조성물과, 꽃 추출물의 당단백질 분획물 및 이로부터 유래된 가수분해물의 제조방법
CN111714423B (zh) * 2020-07-31 2023-05-05 广州环亚化妆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抗衰舒敏功效的中药组合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092050A (ko) 2021-12-16 2023-06-26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벚꽃 유래 질소 자가 도핑 활성탄의 제조방법,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질소 자가 도핑 활성탄 및 이를 이용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KR102605184B1 (ko) * 2023-06-22 2023-11-27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동백화밀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538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9745A (ko) * 2011-04-22 2012-10-31 (주)아모레퍼시픽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91939B1 (en) * 2004-01-12 2017-09-20 ISP Investments LLC Bioactive compositions from theacea plants and processes for their production and use
CN101411679A (zh) * 2007-09-20 2009-04-22 吴志刚 含花瓣成份的化学用品及其制备方法
CN104224682A (zh) * 2014-09-04 2014-12-24 叶集试验区刘金成养蜂专业合作社 一种蜂蜜面膜及其制备方法
CN105232395B (zh) * 2015-11-02 2018-07-24 嘉文丽(福建)化妆品有限公司 一种美白爽肤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538A (ko) * 2009-06-30 2011-01-06 한국콜마 주식회사 항산화 및 미백 활성을 갖는 꽃 혼합 추출물 및 그 추출방법 및 그 꽃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9745A (ko) * 2011-04-22 2012-10-31 (주)아모레퍼시픽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YJOO_MARINE: "Water Gloss Pact containing 3 Types of Flower Essence...BRTC Jasmine 3D Marble Essence Compact", NAVER BLOG, 11 November 2015 (2015-11-11),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blog.naver.com/j926417/220536392997> *
CHOI, JUNG SOO ET AL.,: "Antioxidative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Were Carried Out on the Rhododendron Mucronulatum Turcz. Flowers Ethanol Extracts",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SCIENCES, vol. 9, no. 14, 2012, pages 45 - 51 *
HEEBBONG: "The SAEM ECO Soul Spau BB Cushion Compact, Famous for Mochi Cushion compact", NAVER BLOG, 14 May 2015 (2015-05-14),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blog.naver.com/loveyou0780/220359679568> *
KIM, SU MIN ET AL.,: "Screening the Antioxidant Components and Antioxidant Activitiy of Extracts Derived from Five Varieties of Edible Spring Flowers",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ol. 46, no. 1, 28 February 2014 (2014-02-28), pages 13 - 18, XP053031527 *
LEE, SOOK YOUNG ET AL.,: "Antifung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Extracts from Leaves and Flowers of Camellia japonica L",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ol. 13, no. 3, 30 June 2005 (2005-06-30), pages 93 - 100, XP053019819 *
WOO, JEONG HYANG ET AL.,: "Antioxidant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Flower Species of Compositae Plant",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39, no. 2, 27 February 2010 (2010-02-27), pages 159 - 164, XP053027154 *
YOON, MI AC: "Will you drink? I`m going to apply compact!", LADY KYUNGHYANG, September 2015 (2015-09-01), pages 1 - 3, Retrieved from the Internet <URL:http://lady.khan.co.kr/khlady.html?ode=view&code=7&artid=201508261606531&pt=nv> *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89660A (zh) * 2020-09-30 2020-12-18 广东省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樱花花提取物在维持皮肤菌群平衡和/或抗蓝光中的应用
CN112089660B (zh) * 2020-09-30 2023-04-07 广东省禾基生物科技有限公司 樱花花提取物在维持皮肤菌群平衡和/或抗蓝光中的应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735076A (zh) 2018-02-23
KR101723526B1 (ko) 2017-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46445A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230390182A1 (en) Process for obtaining an aqueous extract of lavender, compositions comprising such an extract, and their cosmetic uses
KR101332214B1 (ko) 연꽃, 쌀, 개똥쑥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스트레스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26556B1 (ko) 오이풀 및 꼬리풀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N110464672B (zh) 一种具有安全抗氧化效果的化妆品组合物
KR20230052700A (ko) 동백 추출물, 금화규 추출물, 개서어 추출물, 누에 추출물 및 병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화장료 조성물
KR20130050675A (ko) 분홍바늘꽃 및 구슬꽃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82971B1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112447A (ko) 보리밥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1697235B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2744B1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6074280A (zh) 紫色大白菜花青素的制备方法及其应用
KR20200134929A (ko) 한방복합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CN113384510B (zh) 一种具有抗光老化、舒缓清凉功效的发酵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20092229A (ko) 조직 배양한 유채와 석류, 산삼의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7287A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25377B1 (ko) 드럼스틱나무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2043B1 (ko) 블루 로터스 및 아이슬란드 이끼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925A (ko) 목단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9406B1 (ko) 굴거리나무 및 비쭈기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61687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두피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09801B1 (ko) 소루쟁이와 승마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38009B1 (ko) 개오동나무 및 싸리나무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512495B1 (en) Process for obtaining a standardised extract of quercetin an 3-o-methylquercetin from flowers of macela (achyrocline satureioides), and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said extract
JP7129105B2 (ja) 高含有量のカルス代謝産物を有するカルス溶解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567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5678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