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40652B1 -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40652B1
KR102140652B1 KR1020190162095A KR20190162095A KR102140652B1 KR 102140652 B1 KR102140652 B1 KR 102140652B1 KR 1020190162095 A KR1020190162095 A KR 1020190162095A KR 20190162095 A KR20190162095 A KR 20190162095A KR 102140652 B1 KR102140652 B1 KR 1021406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ent
vitamin
cosmetic composition
conten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2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영선
Original Assignee
(주)이시스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이시스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이시스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90162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06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06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0652B1/ko
Priority to PCT/KR2020/014311 priority patent/WO2021112398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oxy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fungichromin
    • A61K31/365Lactones
    • A61K31/375Ascorbic acid, i.e. vitamin C;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46Ingredient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e.g. skin, bone, milk, cotton fibre, eggshell, oxgall or 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1Hydrocarb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otan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i) 비타민 C; 및 (ii)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타민 C의 안정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장안정성이 뛰어나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비타민 C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량의 비타민 C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Composition Comprising Vitamin C}
본 발명은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안정한 조성물에 대한 것이다.
피부에 악영향을 미치는 영향은 내부요인과 외부요인으로 나눌 수 있는데, 내부요인 중에서는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자유 라디칼을 들 수 있으며, 외부 요인으로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과도한 자외선 노출을 들 수 있다.
비타민 C는 피부, 혈액 및 기타 조직에서 강력한 생체 항산화제로 작용하는데, 두 개의 전자를 받아 디하이드로-L-아스코르브산 (Dehydro-L-ascorbic acid) 형태로 쉽게 산화되는 당유사 구조 (Sugar-like structure)를 갖고 있어서, 생체내에서 반응성이 높은 자유 라디칼 및 과산화물에 의해 단백질 등의 생체성분이 산화되거나 변성되는 것을 방지한다.
아울러, 비타민 C는 색소침착 억제 효과를 갖고 있는데, 이는 색소침착과 깊은 관련이 있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달성된다. 비타민 C는 멜라닌 형성에 중요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산화 과정에 의해 형성된 산화형 멜라닌을 다시 환원시켜 환원형 멜라닌으로 변화시킴으로써 멜라닌에 의한 색소침착 증세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고 있다.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유용한 효과를 가지고 있지만, 공기, 습기, 빛, 열, 금속이온, 산소, 염기 등에 의해 쉽게 산화되어 2,3-다이케토-L-굴론산 (2,3-diketo-L-gulonic acid), 옥살산 (oxalic acid), L-트레온산 (L-threonic acid), L-자일론산 (L-xylonic acid), L-라이존산 (L-Lyxonic acid) 등으로 산화된다. 이때 역가가 떨어지고 변색 변취가 일어나는 등 제형 내 안정성 및 안전성에 큰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다량의 순수 비타민 C는 사용감이 좋지 못하고 자극이 있다는 것은 통상적이며, 석출현상도 일어난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비타민 C가 가지고고 있는 생리활성이 높아 화장료, 제약 등에 꾸준히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다양한 비타민 C 유도체를 합성하여 안정화하려는 노력으로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미국등록특허 제4,938,969호 유럽등록특허 제533,667호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타민 C의 안정성이 높고, 피부 자극이 적으며, 피부 미백 효과가 우수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타민 C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이 기존의 비타민 C 함유 조성물의 단점을 개선할 수 있도록 다양한 연구를 계속하던 중,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안정화제를 포함할 경우 우수한 비타민 C 함유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i) 비타민 C; 및
(ii)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안정화제
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의 효과에 의하여 피부 미백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화제로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안정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화제로 레몬머틀 추출물 및 풀러렌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다른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화제로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비타민 C는 순수한 아스코르브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지류는 탄화수소, 실리콘, 유용성 비타민 유도체 및 에스터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탄화수소는 C18-21 알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비타민 C의 함량은 30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유지류의 함량은 1 내지 2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양태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i) 비타민 C; 및
(ii)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안정화제
를 포함하는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수성 용매에 비타민 C, 레몬머틀 추출물 및 풀러렌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비타민 C의 안정성이 높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저장안정성이 뛰어나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비타민 C의 효과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다량의 비타민 C를 함유하는 경우에도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하였을 때 자극이 적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가 민감하거나, 약한 대상도 불편감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향상 및 항산화 작용을 타나낸다. 따라서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i) 비타민 C; 및 (ii) 1종 이상의 안정화제를 포함한다. 상기 안정화제는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타민 C”는 하기 화학식 I의 구조를 가지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또는 이의 유도체, 또는 이들의 염 또는 용매화물을 의미한다.
[화학식 I]
Figure 112019126591727-pat00001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비타민 C는 순수한 아스코르브산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순수한 아스코르브산은 전체 비타민 C에 대하여, 아스코르브산의 유도체가 아닌 상기 [화학식 I] 구조의 화합물의 함량이 90%이상,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9% 이상인 것을 의미한다.
비타민 C는 멜라닌 생성을 막아 피부 미백 작용을 하고, 피부를 구성하는 콜라겐 합성을 도와 주름 개선과 탄력 향상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자외선, 미세먼지 등의 공해, 및 스트레스로 인해 발생하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항산화 효과도 나타낸다. 다만, 비타민 C는 열, 빛, 물, 산소 등에 쉽게 파괴되는 민감한 물질이므로, 그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의 안정성이 매우 우수하므로, 효과적으로 피부 미백, 주름 개선, 탄력 향상, 항산화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몬머틀(Lemon myrtle)”은 도금양과(Myrtaceae)의 식물로 학명은 Backhousia citriodora이며, 레몬센티드 머틀(Lemon scented myrtle), 레몬센티드 아이언우드(Lemon scented ironwood), 스윗버베나 트리(Sweet verbena tree), 스윗버베나 머틀(Sweet verbena myrtle), 레몬 센티드 버베나(Lemon scented verbena), 레몬 센티드 백하우시아(Lemon scented backhousia) 등으로도 불린다. 레몬머틀은 호주의 퀸즐랜드 중앙과 남동지역 아열대 우림지방에서 주로 자생한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은 추출 방법, 추출 용매, 추출된 성분 또는 추출물의 형태를 불문하고,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냄으로써 얻어진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며, 또한 천연물의 성분을 뽑아내어 얻어진 물질을 추출 후 다른 방법으로 가공 또는 처리하여 얻어질 수 있는 물질을 모두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상기 “가공 또는 처리”는 예를 들어, 추출물을 추가적으로 발효 또는 효소 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서 추출물은 분획물, 추출액 또는 분획물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희석액, 농축물, 건조물, 발효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레몬머틀로부터 형성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이다.
본 발명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은 레몬머틀의 잎, 꽃, 뿌리, 줄기, 열매 및 이들의 조합인 초본 전체의 추출물일 수 있으며, 초본의 지상부 또는 뿌리부의 일부 또는 전부의 추출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레몬머틀 전초의 추출물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레몬머틀 잎의 추출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은 이 분야에 공지된 일반적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초음파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감압 추출법 환류 추출법, 열수 추출법, 저온 열수 추출법, 고온 가압 추출법, 저온 고압 추출법, 초고압 추출법, 효소 추출법, 용매 추출법, 냉침 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저온 고압 증류법, 용출법, 압착법, 가열 추출법, 또는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공지의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방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험예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은 저온 고압 증류법으로 수득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은 물, 유기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액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물은 예를 들어, 증류수, 정제수, 무균수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용매는 예를 들어,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및 디클로로메탄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은 바람직하게는 물, C1-6 알코올, 아세톤, 에테르, 벤젠, 클로로포름, 에틸 아세테이트, 메틸렌클로라이드, 헥산, 시클로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용매를 추출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1-6 알코올 의 농도는 10 % 내지 90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 내지 90 % 일 수 있고, 더 바람직하게는 50 % 내지 90 %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레몬머틀 추출물은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제품을 구매하거나, 상기 기재된 공지의 추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저온의 증류수 중에서 추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은 레몬머틀 증류수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은 비타민 C의 내부 산화 안정도를 증가시켜 비타민 C가 수분, 온도, 공기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분해 및 산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풀러렌(Fullerene)”은 하기 [화학식 II]의 구조의 60개의 탄소 원자로 이루어진 탄소의 동소체로, 축구공처럼 생겨 안정된 구조를 가지는 탄소결합구조이다.
[화학식 II]
Figure 112019126591727-pat00002
풀러렌은 절연성, 유기용매가용성, 열적안정성, 열분해억제성, 항산화성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특성들을 활용하여, 자성체, 광학재료, 초전도재료, 의료, 이차전지, 윤활유 등 많은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풀러렌은 비타민 C의 내부 산화 안정도를 증가시켜 비타민 C가 수분, 온도, 공기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분해 및 산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지류는 용액이 유상(油狀)과 수상(水狀)으로 나뉠 때 유상 부분에 존재할 수 있는 물질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유지류는 예를 들어, 탄화수소(Hydrocarbon), 실리콘(Silicon), 유용성 비타민 유도체 또는 에스터 오일(Ester oil)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탄화수소, 실리콘, 유용성 비타민 유도체 및 에스터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유지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지류는 유중수 분산 제형의 내상에 비타민 C를 포집하여 안정화시킴으로써 수분, 온도, 공기 등의 외부환경에 의해 분해 및 산화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고, 비타민 C의 끈적임과 밀림 현상을 개선하여 표면의 산소를 차단하는 메커니즘을 이용해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지류는 비타민 C와 외부 공기의 접촉을 막아주는 보호제 역할을 하여 외부의 산화 요인으로부터 비타민 C,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가 용해되어 있는 수용액의 산화를 방지해 줄 수 있다.
상기 탄화수소는 직쇄 또는 분지쇄의 알칸, 알켄 또는 알카인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C12-25 알칸, 보다 바람직하게는 C18-21 알칸 일 수 있다.
상기 실리콘은 유기규소 화합물의 중합체로, 규소를 주성분으로 하는 고분자를 의미한다.
상기 유용성 비타민 유도체는 지방에 잘 녹는 비타민으로서 비타민 A, D, E, K 또는 이들이 유도체를 들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토코페롤, 토코페릴아세테이트 토코트리에놀을 들 수 있다.
상기 에스터 오일은 RC(=O)OR'(R 및 R'는 탄소를 포함하는 작용기)구조를 가지는 오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아나토씨오일, 에몰리언트를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안정화제는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은 레몬머틀 추출물 및 풀러렌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레몬머틀 추출물 및 유지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풀러렌 및 유지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화제로 풀러렌 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로 레몬머틀 추출물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화제로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C 이외에 화장료로 기능성이 있는 추가적인 유효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주름 개선, 보습, 각질 제거, 탄력 개선, 항산화 또는 유분 조절 등에 효과가 있는 추가적인 유효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A 또는 비타민 D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비타민 A 및 비타민 D는 미백을 비롯한 다양한 피부 개선 효능을 가진다. 또한, 비타민 A 및 비타민 D는 지용성 비타민이므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안정화제로도 기능을 함께 나타낼 수 있다.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타민 C의 함량은 50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w/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w/v%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비타민 C의 함량은 0.1 w/v% 이상, 바람직하게는 1 w/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w/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비타민 C의 함량은 10 내지 2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의 함량은 90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80 w/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w/v%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의 함량은 0.1 w/v% 이상, 바람직하게는 5 w/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w/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레몬머틀 추출물의 함량은 10 내지 7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풀러렌의 함량은 5 ppm 이하, 바람직하게는 3 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pp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풀러렌의 함량은 0.01 ppm 이상, 바람직하게는 0.1 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ppm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풀러렌의 함량은 1.0 내지 2 ppm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풀러렌의 함량은 0.0005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0.0003 w/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2 w/v%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풀러렌의 함량은 0.000001 w/v%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01 w/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01 w/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풀러렌의 함량은 0.0001 w/v% 내지 0.0002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지류의 함량은 50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w/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w/v%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지류의 함량은 0.1 w/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유지류의 함량은 1 내지 2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C18-21 알칸의 함량은 50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w/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w/v%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C18-21 알칸의 함량은 0.1 w/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C18-21 알칸의 함량은 1 내지 2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실리콘의 함량은 50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w/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w/v%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실리콘의 함량은 0.1 w/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실리콘의 함량은 1 내지 20 w/v%일 수 있다.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용성 비타민 유도체의 함량은 50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w/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w/v%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유용성 비타민 유도체의 함량은 0.1 w/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유용성 비타민 유도체의 함량은 1 내지 2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에스터 오일의 함량은 50 w/v% 이하, 바람직하게는 30 w/v%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w/v% 이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서, 에스터 오일의 함량은 0.1 w/v%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 w/v%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에스터 오일의 함량은 1 내지 20 w/v%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에 특히 효과과 우수하여, 피부 미백용 기능성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주름 개선에 효과가 우수하여,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품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어 비타민 C의 역가가 감소하지 않고 장시간 보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험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40℃ 이하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5℃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25℃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나아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40℃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5℃ 내지 40℃, 5 내지 30℃, 또는 5 내지 25℃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안정화제로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더라도, 피부자극이 발생하지 않고,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가 유지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팩,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폴리옥시에틸렌 경화피마자유, 글리세롤, 글리세린, 지방족 에스테르, 페녹시에탄올,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에틸렌 글리콜, 밀납, 폴리솔베이트 60, 솔비탄세스 퀴오레이드, 파라핀,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 글리세린, 스테아린산, 글리세릴스테아레 이트/피이지-400 스테아레이트, 카르복시폴리머, 시토스테롤, 폴리글리세릴 2-올레이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 롤, 스테아레스-4, 디세틸포스페이트, 마카다미아 오일, 카르복시비닐폴리머, 산탄검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결정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페녹시에탄올,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용화제, 점증제 및 계면활성제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가용화제 및 점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용화제는 예를 들어,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일, PEG-40 수소화 피자아 오일, PEG-1-PEG-9 라우릴 글리골 에테르, C12-13 파레스 9, 헵틸 글루코스 및 솔비탄 올레이트를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가용화제는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및 옥틸도데세스-16일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가용화제로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및 옥틸도데세스-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예를 들어, 친수성 실리카, 다당류, 알지네이트, 잔탄검, 카보머,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 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에틸프로필셀룰로오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테르, 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비닐알코올, 폴리비닐피롤리돈, 사이클로펜타실록산, 다이스테아다이모 헥토라이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카올린, 칼라민, 스멕타이드 점토 등을 들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점증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일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i) 비타민 C; 및 (ii) 1종 이상의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미백용 약학적 조성물이다. 상기 안정화제는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서, 비타민 C,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유지류에 관한 서술은 앞서 화장료 조성물에서 서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담체는 예를 들어,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완충 식염수, 알부민 주사 용액,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말토 덱스트린, 글리세롤, 에탄올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담체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효과를 해치지 않는 범위에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는 예를 들어, 충전제, 결합제, 붕해제, 현탁화제, 용제, 산화방지제, pH 조절제, 습윤제, 감미제 및 보존제를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것은 아니다. 상기 첨가제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2 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투여 또는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적합하고 다양한 제형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경구 투여용 제형은 예를 들어, 정제, 환제, 분말, 산제, 과립, 펠렛, 캡슐, 트로키(troches), 로젠지(lozenge), 현탁액, 에멀젼, 시럽 및 엘릭시르제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 투여용 제형은 예를 들어,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제, 에어로졸제, 연고, 도포용 분말, 오일, 크림 및 겔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경구 투여는 예를 들어, 복강 투여, 직장 투여, 피하 투여, 정맥 투여, 근육 투여, 흉부 투여, 뇌혈관 투여 및 경피 투여 및 모발 투여를 들 수 있고, 조성물을 질환 부위에 도포하거나 분무, 흡입하는 것도 들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한 양의 수준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건강상태, 질병의 정도,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량은 중대가리 추출물의 함량을 기준으로 1일 0.1 mg/kg 내지 2,000 mg/kg 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 mg/kg 내지 500 mg/k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투여량의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는 하루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으며, 수일에 한 번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기간은 통상의 기술자가 환자의 상태, 체중, 성별, 연령, 건강상태, 질병의 정도, 약물에 대한 민감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를 고려하여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다른 치료제와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수술, 호르몬 치료, 화학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수성 용매에 비타민 C, 레몬머틀 추출물 및 풀러렌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일 실시양태에서, (a) 수성 용매에 비타민 C, 레몬머틀 추출물 및 풀러렌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b) 혼합물과 유지류를 필링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유지류를 다른 지용성 성분과 혼합한 후, (a) 단계의 혼합물과 함께 필링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유지류를 토코페롤, 베타-카로틴 또는 이들 모두와 혼합한 후, (a) 단계의 혼합물과 함께 필링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서,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5 :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아스코르브산, 레몬머틀 증류수, 풀러린, 가용화제(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 및 점증제(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를 아래 [표 1]의 함량으로 혼합하고, 필터링 하였다. 그 후, 필링하여 실시예 1 내지 5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1
(w/v %)
실시예2
(w/v %)
실시예3
(w/v %)
실시예4
(w/v %)
실시예5
(w/v %)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레몬머틀 증류수 - 10 30 50 70
풀러렌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아스코르브산 15 15 15 15 15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옥틸도데세스-16 0.15 0.15 0.15 0.15 0.1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4 0.4 0.4 0.4 0.4
C18-21 Alkane          
토코페롤          
베타-카로틴          
실시예 6 ~ 13 :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아스코르브산, 레몬머틀 증류수, 풀러린, 가용화제(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옥틸도데세스-16) 및 점증제(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를 아래 [표 2]의 함량으로 혼합하였다(제1 혼합물). 또한, C18-21알칸, 토코페롤 및 베타-카로틴을 [표 2]의 함량으로 혼합하였다(제2 혼합물). 그 후, 제1 혼합물과 제2 혼합물을 필링하여 실시예 6 내지 13의 화장료 조성물을 수득하였다.
  실시예6
(w/v %)
실시예7
(w/v %)
실시예8
(w/v %)
실시예9
(w/v %)
실시예10
(w/v %)
실시예11
(w/v %)
실시예12
(w/v %)
실시예13
(w/v %)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레몬머틀 증류수 50 50 50 50 50 50 50 50
풀러렌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아스코르브산 15 15 15 15 15 10 14 18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옥틸도데세스-16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4 0.4 0.4 0.4 0.4 0.4 0.4 0.4
C18-21 Alkane 1 5 10 15 20 1 1 1
토코페롤 0.1 0.1 0.1 0.1 0.1 0.1 0.1 0.1
베타-카로틴 0.1 0.1 0.1 0.1 0.1 0.1 0.1 0.1
실시예 14 ~ 21 :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6 ~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4 ~ 21을 [표 3]에 기재된 함량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14
(w/v %)
실시예15
(w/v %)
실시예16
(w/v %)
실시예17
(w/v %)
실시예18
(w/v %)
실시예19
(w/v %)
실시예20
(w/v %)
실시예21
(w/v %)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레몬머틀 증류수 50 50 50 50 50 50 50 50
풀러렌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아스코르브산 15 15 15 15 15 10 14 18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옥틸도데세스-16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4 0.4 0.4 0.4 0.4 0.4 0.4 0.4
실리콘 1 5 10 15 20 1 1 1
토코페롤 0.1 0.1 0.1 0.1 0.1 0.1 0.1 0.1
베타-카로틴 0.1 0.1 0.1 0.1 0.1 0.1 0.1 0.1
실시예 22 ~ 29 :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6 ~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22 ~ 29를 [표 4]에 기재된 함량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22
(w/v %)
실시예23
(w/v %)
실시예24
(w/v %)
실시예25
(w/v %)
실시예26
(w/v %)
실시예27
(w/v %)
실시예28
(w/v %)
실시예29
(w/v %)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레몬머틀 증류수 50 50 50 50 50 50 50 50
풀러렌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아스코르브산 15 15 15 15 15 10 14 18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옥틸도데세스-16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4 0.4 0.4 0.4 0.4 0.4 0.4 0.4
아나토씨오일 1 5 10 15 20 1 1 1
토코페롤 0.1 0.1 0.1 0.1 0.1 0.1 0.1 0.1
베타-카로틴 0.1 0.1 0.1 0.1 0.1 0.1 0.1 0.1
실시예 30 ~ 37 : 비타민 C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6 ~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30 ~ 37을 [표 5]에 기재된 함량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30
(w/v %)
실시예31
(w/v %)
실시예32
(w/v %)
실시예33
(w/v %)
실시예34
(w/v %)
실시예35
(w/v %)
실시예36
(w/v %)
실시예37
(w/v %)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to.100
레몬머틀 증류수 50 50 50 50 50 50 50 50
풀러렌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0.00015
아스코르브산 15 15 15 15 15 10 14 18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옥틸도데세스-16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4 0.4 0.4 0.4 0.4 0.4 0.4 0.4
토코페롤 1 5 10 15 20 1 1 1
베타-카로틴 0.1 0.1 0.1 0.1 0.1 0.1 0.1 0.1
<비교예>
비교예 1 및 2는 실시예 1 ~ 5와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3 및 4는 실시예 6 ~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6]에 기재된 함량에 따라 제조하였다.
  비교예1
(w/v %)
비교예2
(w/v %)
비교예3
(w/v %)
비교예4
(w/v %)
정제수 to.100 to.100 to.100 to.100
레몬머틀 증류수 - 70 50 -
풀러렌 - - - -
아스코르브산 15 15 15 15
폴리글리세릴-10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폴리글리세릴-4라우레이트 0.15 0.15 0.15 0.15
옥틸도데세스-16 0.15 0.15 0.15 0.15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4 0.4 0.4 0.4
C18-21 Alkane  -  - 10 10
토코페롤  -  - 0.1 0.1
베타-카로틴  -  - 0.1 0.1
실험예 1 :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비타민 C 안정성 평가
실험예 1 - 1 : 저온 및 실온에서의 안정성 평가
상기 표 1 내지 표 6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한 후, 비타민 C의 초기 역가를 100으로 하고, 1개월 후의 바타민 C 역가를 5℃ 및 25℃에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7 내지 9와 같다.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또는 유지류를 포함하는 경우 안정하였으나, 포함하지 않는 경우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초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달 후 5℃ 98.20% 97.10% 98.10% 97.20% 98.20% 98.3 97.5
25℃ 95.20% 96.50% 97.30% 97.90% 95.20% 97.4 98.8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초기 100% 100% 100% 100% 100% 100%
1달 후 5℃ 98.4 99.2 94.5 94.8 93.4 94.1
25℃ 97.6 98.8 96.8 93.7 92.1 95.4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초기 100% 100% 100% 100%
1달 후 5℃ 88..5% 92.80% 87.5 84.2
25℃ 65.10% 75.20% 94.4 90.2
실험예 1 - 2 : 고온에서의 안정성 평가
상기 표 1 내지 표 6에 기재된 조성으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제조한 후, 비타민 C의 초기 역가를 100으로 하고, 1개월 후의 바타민 C 역가를 40℃에서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0 및 11과 같다.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또는 유지류를 포함하는 경우 안정하였으나, 포함하지 않는 경우 안정성이 확보되지 않음이 확인되었다.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실시예13
초기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달 후 40℃ 93.4% 91.1% 92.4% 94.4% 90.8% 93.6% 94.6% 92.5%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비교예4
초기 100% 100% 100% 100%
1달 후 40℃ 50.5% 61.5% 68.8% 64.8%
실험예 2 :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자극 시험
(1) 피부반응 육안평가
식품의약품안전처 기능성 화장품 심사에 관한 규정(2015-14, 2015.03.25) 및 PCPC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 2014 Safety Evaluation Guideline에 근거하여, 총 32명의 지원자를 대상으로 시험을 진행하였다. 피부과 전문의 검사를 통해 시험에 적합하지 않은 피부상태를 가지고 있지 않다고 판단됨 사람만을 지원자로 선정하였다.
1차 방문에서, 시험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후, 피험자의 등에 실시예 11, 실시예 12 또는 실시예 13의 화장료 조성물 15㎕를 Finn chamber에 도포 후 플라스터로 고정하였다. 2차 방문(1차 방문으로부터 24시간 후)에서, 패치를 제거하고 30분 경과 뒤 시험부위의 피부반응을 피부과 전문의가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3차 방문(1차 방문으로부터 48시간 후) 및 4차 방문(1차 방문으로부터 72시간 후)에서도 시험부위의 피부반응을 피부과 전문의가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피부반응 육안평가는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판정기준과 미국화장품협회 (PCPC, Personal Care Products Council)의 안전성 평가 가이드라인을 응용한 다음 기준 표 12에 따라 평가하였다.
자극 점수 판정 기준
0(-) 염증반응 없음, 보통 피부(No signs of inflammation, normal skin)
0.5(±) 의심되거나, 또는 약간의 반응(Doubtful or slight reaction)
1(+) 약간의 홍반(Slight erythema)
2(++) 보통의 홍반(부종, 구진 동반 또는 비동반)(Moderate erythema with or without partial edema or papules)
3(+++) 확산된 부종을 동반한 보통의 홍반(Moderate erythema with diffuse edema)
4(++++) 수포를 동반한 확산된 부종을 동반한 중증도 홍반(Intense erythema with diffuse edema with vesicles)
(2) 분석 결과
2차 방문, 3차 방문 및 4차 방문에서 판정된 피험자들의 점수를 하기 식 1에 따라 계산하여 자극지수를 산출하였다.
[식 1]
Figure 112019126591727-pat00003
평균 자극 지수를 산출한 후 Draiz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 및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andard Procedur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을 응용한 다음 표 13의 결과 판정표에 따라 자극성의 정도를 판정하였다.
자극 지수 자극성 평가
0≤ <0.02 무자극 (no irritancy)
0.02≤ <0.25 저자극 (low irritancy)
0.25≤ <1 경자극 (slight irritancy)
1≤ <2.5 중자극 (moderate irritancy)
2.5≤ 강자극 (severe irritancy)
(3) 분석 결과
그 결과, 실시예 11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극 지수 0.016, 실시에 12의 화장료 조성물은 자극지수 0.021, 실시에 13이 화장료 조성물은 자극지수 0.016으로 산출되어 모두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부자극 없이도 안정한 비타민 C 포함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실험예 3 :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 유효성 평가
(1) 미백 유효성 평가 시험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 질환이 없고, 안면부에 시험에 적합한 과색소 침착증 부위가 있는 자 11명을 피험자로 선정하였으며, 1차 방문에 앞서, 방문일 12시간 전부터 기초 제품의 사용을 금지시켰다.
1차 방문에서, 실시예 11, 실시예 12 또는 실시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을 안면에 적용시켰다. 그 후, VISIA®CR(Canfield, 미국)을 이용하여 안면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안면부의 좌측과 우측 각각 과색소 침착증 병변의 한 곳을 찾아 사진상에 표기하고, Mexameter® MX 18(CK electronic GmbH, 독일)을 이용하여 멜라닌 수치(M-value)를 측정하였다.
2차 방문(1차 방문으로부터 2주 후) 및 3차 방문(1차 방문으로부터 4주 후)에서는, 1차 방문과 마찬가지로 실시예 11, 실시예 12 또는 실시예 13의 화장료 조성물을 적용시켰다. 그 후, VISIA®CR을 이용하여 안면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1차 방문에서 표기한 동일 부위에서, Mexameter® MX 18로 과색소 침착증 병변의 멜라닌 수치를 측정하였다.
또한, 피부과 전문의가 이상반응(소양증, 홍반 등의 자극 증상) 유무를 평가하였는데, 시험 기간 동안 특별한 피부 이상 증상은 발생하지 않았다.
(2) Mexameter를 이용한 과색소 침착증 개선 효과 평가
1차 방문, 2차 방문 및 3차 방문에서 측정된 멜라닌 수치를 하기 식 2로 계산하여 과색소 침착증 개선 정도를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14에 나타내었다.
[식 2]
Figure 112019126591727-pat00004
구분 측정 값 [A.U.] 개선율 p-value
실시예 11
사용 부위
시험 전 164.79 - <0.001
2차 방문 162.19 1.58%
3차 방문 150.05 8.94%
실시예 12
사용 부위
시험 전 163.73 - <0.001
2차 방문 160.39 2.04%
3차 방문 151.85 7.26%
실시예 13
사용 부위
시험 전 166.67 - <0.001
2차 방문 158.00 5.2%
3차 방문 145.12 12.93%
위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아스코르브산 18%에서 가장 좋은 미백효과를 나타내는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되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7)

  1. (i) 비타민 C; 및
    (ii) 레몬머틀 추출물, 풀러렌 및 유지류를 안정화제로 포함하고,
    (iii) 잔량부의 정제수를 추가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의 함량이 15 내지 18 w/v% 이고,
    상기 레몬머틀 추출물의 함량이 10 내지 70 w/v% 이며,
    상기 풀러렌의 함량이 1 내지 2 ppm이고,
    상기 유지류의 함량이 1 내지 20 w/v% 이며,
    상기 유지류가 탄화수소, 실리콘, 유용성 비타민 유도체 및 에스터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비타민 C가 순수한 아스코르브산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탄화수소가 C18-21 알칸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수성 용매에 비타민 C, 레몬머틀 추출물 및 풀러렌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타민 C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비타민 C의 함량이 15 내지 18 w/v% 이고,
    상기 레몬머틀 추출물의 함량이 10 내지 70 w/v% 이며,
    상기 풀러렌의 함량이 1 내지 2 ppm이고,
    상기 유지류의 함량이 1 내지 20 w/v% 이며,
    나머지 잔량부는 정제수이고,
    상기 유지류가 탄화수소, 실리콘, 유용성 비타민 유도체 및 에스터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비타민 C 함유 조성물의 제조방법.
  17. 삭제
KR1020190162095A 2019-12-06 2019-12-06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1406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095A KR102140652B1 (ko) 2019-12-06 2019-12-06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PCT/KR2020/014311 WO2021112398A1 (ko) 2019-12-06 2020-10-20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2095A KR102140652B1 (ko) 2019-12-06 2019-12-06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0652B1 true KR102140652B1 (ko) 2020-08-03

Family

ID=720427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2095A KR102140652B1 (ko) 2019-12-06 2019-12-06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140652B1 (ko)
WO (1) WO202111239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398A1 (ko) * 2019-12-06 2021-06-10 (주)이시스코스메틱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KR102379257B1 (ko) * 2021-09-29 2022-03-28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20055757A (ko) 2020-10-27 2022-05-04 (주)이시스코스메틱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5152A (ko) * 2020-11-12 2022-05-20 주식회사 라피끄 순수비타민 c를 고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040433B (zh) * 2022-07-19 2023-09-08 博贤实业(广东)有限公司 一种稳定的美白抗氧化组合物及其制备方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969A (en) 1988-11-14 1990-07-03 Milor Scientific, Lt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ging or photo-damaged skin
KR20050019668A (ko) * 2003-08-20 2005-03-03 동아제약주식회사 비타민 씨를 함유하는 비수계 유화 화장료 조성물
JP2009057325A (ja) * 2007-08-31 2009-03-19 Kaneka Corp 美白用組成物及びその利用
JP2013017467A (ja) * 2011-06-15 2013-01-31 Kaneka Corp シトラール香味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41991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베르게닌 및 플러린을 포함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7655B1 (ko) * 2018-03-16 2018-12-10 김정숙 비타민이 함유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제조방법 및 비타민이 함유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
KR20190079835A (ko) * 2017-12-28 2019-07-08 김주호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900B1 (ko) * 2019-02-14 2019-09-2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사용감 개선을 위한 첨가제 조성물
JP2019203033A (ja) * 2012-12-27 2019-11-28 株式会社林原 アンチエイジング用皮膚外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0652B1 (ko) * 2019-12-06 2020-08-03 (주)이시스코스메틱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38969A (en) 1988-11-14 1990-07-03 Milor Scientific, Lt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aging or photo-damaged skin
EP0533667A1 (en) 1988-11-14 1993-03-31 Bioderm Inc PROCESS FOR TREATING AGING OR DAMAGED SKIN WITH LIGHT.
KR20050019668A (ko) * 2003-08-20 2005-03-03 동아제약주식회사 비타민 씨를 함유하는 비수계 유화 화장료 조성물
JP2009057325A (ja) * 2007-08-31 2009-03-19 Kaneka Corp 美白用組成物及びその利用
JP2013017467A (ja) * 2011-06-15 2013-01-31 Kaneka Corp シトラール香味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9203033A (ja) * 2012-12-27 2019-11-28 株式会社林原 アンチエイジング用皮膚外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70141991A (ko) * 2016-06-16 2017-12-27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베르게닌 및 플러린을 포함하여 비타민 c를 안정화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9835A (ko) * 2017-12-28 2019-07-08 김주호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27655B1 (ko) * 2018-03-16 2018-12-10 김정숙 비타민이 함유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의 제조방법 및 비타민이 함유된 마이크로 니들 패치
KR102022900B1 (ko) * 2019-02-14 2019-09-20 (주)아모레퍼시픽 화장료 사용감 개선을 위한 첨가제 조성물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398A1 (ko) * 2019-12-06 2021-06-10 (주)이시스코스메틱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055757A (ko) 2020-10-27 2022-05-04 (주)이시스코스메틱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5132B1 (ko) * 2020-10-27 2022-10-18 (주)이시스코스메틱 레몬머틀 추출물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220065152A (ko) * 2020-11-12 2022-05-20 주식회사 라피끄 순수비타민 c를 고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6787B1 (ko) 2020-11-12 2023-06-23 주식회사 라피끄 순수비타민 c를 고함량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79257B1 (ko) * 2021-09-29 2022-03-28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54795A1 (ko) * 2021-09-29 2023-04-06 코스맥스 주식회사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12398A1 (ko) 202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40652B1 (ko)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JP2006514657A (ja) しわ、細かいすじ及び発汗過多の治療のための組成物及び伝達方法
WO2008072941A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ounds of natural origin for damaged skin
FR2810242A1 (fr)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a base d&#39;extraits de cacao
EA021777B1 (ru) Композиция, содержащая экстракт венериной мухоловки dionaea muscipula, для косметической обработки кожи и придатков кожи
KR20200138142A (ko) 구근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JP2001163794A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および皮膚外用剤
JP2020529392A (ja) 傷痕の予防または治療のための組成物
KR101229927B1 (ko) 잠사 추출물 또는 누에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제 조성물
JP2009242325A (ja) アポトーシス抑制剤
KR101509848B1 (ko) 탄시논ⅱ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DK2306999T3 (en) Compositions for the treatment of rosacea comprising chitosan and a dicarboxylsyreamid
KR101481208B1 (ko) 크립토탄시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2137B1 (ko) 히어리 및 얼레지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1879315B1 (ko)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진정용 조성물
KR20130033228A (ko) 화장료 및 피부질환 치료용 조성물
KR100946584B1 (ko) 지실 추출물 및 블루로터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렴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7530B1 (ko) 피부건강에 유효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EP1996514B1 (en) Removal of skin changes
JP4309190B2 (ja) 皮膚外用剤
JP5167042B2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保湿剤及び皮膚外用剤
KR102142931B1 (ko) 붉나무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지분비 억제용 조성물
JPH11269029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