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23054795A1 -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23054795A1
WO2023054795A1 PCT/KR2021/015970 KR2021015970W WO2023054795A1 WO 2023054795 A1 WO2023054795 A1 WO 2023054795A1 KR 2021015970 W KR2021015970 W KR 2021015970W WO 2023054795 A1 WO2023054795 A1 WO 2023054795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weight
oil
cosmetic composition
ascorbic acid
solid cosm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21/015970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전종희
임현주
지진구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JP2022551678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23547749A/ja
Publication of WO2023054795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23054795A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dispersible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 Ascorbic acid also called vitamin C
  • Ascorbic acid is a kind of carbohydrate synthesized from sugar precursors such as glucose or galactose. disease can be prevented.
  • it has been found that it not only relieves pigmentation of the skin by inhibiting melanin formation by tyrosinase activity, but also promotes collagen protein synthesis in the body and reduces active oxygen to slow down skin aging.
  • the range of use has expanded from medical use to treat deficiency diseases such as scurvy to cosmetic use to help skin whitening and anti-aging.
  • Ascorbic acid reacts sensitively to external environments such as water and air, especially oxygen, heat, and light, and is easily oxidized, making it difficult to stabilize.
  • an ascorbic acid component was dissolved in water or a polyol aqueous phase and stabilized by applying it to a W/O emulsification, liposome, or multi-emulsion system.
  • the method of chemically binding a fat-soluble component to water-soluble ascorbic acid so that it can be dissolved in an oil phase and applying it to cosmetics has a problem in that its utilization is very low due to its very low efficiency in terms of cost. In particular, when blending at a high content, it has a great negative effect on formulation stability.
  • oil-dispersed solid cosmetics have the advantage of forming an oil film when applied to the skin with a high content of oil to help moisturize the skin. I have it.
  • the present inventors prepared an oil-dispers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and as a result of searching for an optimal mixing ratio, the cosmetic composition was stable in formulation while containing a high content of ascorbic acid, and had excellent feeling of use and spreadability. It was confirmed that indicated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il dispersion solid comprising 20.0 to 40.0% by weight of ascorbic acid, 0.1 to 3.0% by weight of a dispersant, 2.0 to 15.0% by weight of wax, 2.0 to 10.0% by weight of silicone powder, and 40.0 to 70.0% by weight of oil. It is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thod for preparing an oil-dispersible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a second mixing step of mixing by adding silicon powder to the mixture A second mixing step of mixing by adding silicon powder to the mixtur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dispersible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exhibits exfoliation.
  • the inventor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invented an oil-dispers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that is stable and smoothly applied even when a high content of ascorbic acid is formulated, and has a differentiated feeling of use with a smooth finish that is not greasy.
  •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n oil-dispersed solid cosmetic comprising 20.0 to 40.0% by weight of ascorbic acid, 0.1 to 3.0% by weight of a dispersant, 2.0 to 15.0% by weight of wax, 2.0 to 10.0% by weight of silicone powder, and 40.0 to 70.0% by weight of oil is a composition
  • th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20.0 to 35.0 wt%, 20.0 to 30.0 wt%, 20.0 to 28.0 wt%, 20.0 to 26.0 wt%, 24 to 40 wt%, 24 to 35 wt%, or 24 wt% of ascorbic acid. to 30% by weight, or 24.0 to 28.0% by weight, and may include, for example, 24.0 to 26.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preferably include 0.1 to 2.0% by weight, 0.1 to 1.0% by weight, 0.5 to 3.0% by weight, or 0.5 to 2.0% by weight of the dispersant, for example, 0.5 to 1.0% by weight. %, but ma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dispersant is sorbitan isostearate, sorbitan sesquioleate, PEG-10 dimethicone, lauryl PEG-9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cetyl PEG/PPG-10/1 Dimethicone, polyglyceryl-3 polydimethylsiloxyethyl dimethicone, polyglyceryl-4 isostearate, polyglyceryl-4 diisostearate/polyhydroxystearate/sebacate, polyglyceryl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2-dipolyhydroxystearate and polyhydroxystearic acid, for example, it may be sorbitan isostearat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2.0 to 13.0% by weight, 2.0 to 12.0% by weight, 2.0 to 11.0% by weight, 7.0 to 15.0% by weight, 7.0 to 13.0% by weight, 7.0 to 12.0% by weight, 7.0 to 7.0% by weight. It may contain 11.0% by weight, 9.0 to 15.0% by weight, 9.0 to 13.0% by weight, or 9.0 to 12.0% by weight, for example, it may include 9.0 to 11.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wax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araffin, microcrystalline wax, ceresin, candelilla wax, cowvana wax, beeswax, ozokerite, and synthetic wax.
  • it may b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paraffin, and microcrystalline wax,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2.0 to 9.0% by weight, 2.0 to 8.0% by weight, 3.0 to 10.0% by weight, 3.0 to 9.0% by weight, 3.0 to 8.0% by weight, 5.0 to 10.0% by weight, 5.0% by weight to 9.0 wt%, 5.0 to 8.0 wt%, 7.0 to 10.0 wt%, or 7.0 to 9.0 wt%, for example, 7.0 to 8.0 w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ilicone powder is polymethylsilsesquioxane,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silica, silica silylate, silica dimethyl silylate, elastomer, dimethicone/dimethicone crosspolymer, and diphenyldimethicon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chicon/vinyldiphenyldi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dimethicone/vinyldimethicone crosspolymer, polysilicone-1 crosspolymer, polysilicone-11, and polysilicone-22.
  • It may be, for exampl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methylsilsesquioxane, vinyldimethicone/methiconesilsesquioxane crosspolymer, silica, silica silylate, and silica dimethylsilylate. It may be,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preferably contains 40.0 to 65.0% by weight, 40.0 to 60.0% by weight, 40.0 to 55.0% by weight, 45.0 to 70.0% by weight, 45.0 to 65.0% by weight, 45.0 to 60.0% by weight, 45.0 to 45.0% by weight. It may contain 55.0% by weight, 50.0 to 70.0% by weight, 50.0 to 65.0% by weight, or 50.0 to 60.0% by weight, for example, 50.0 to 55.0% by weight,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il is cetylethylhexanoate, hydrogenated vegetable oil, triethylhexanoin, diisostearyl maleate, and silicone oils such as dimethicone, phenyltrimethicone, diphenylsiloxyphenyltrimethicone, cyclo 1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methicone, methyltrimethicone, cyclohexasiloxane, caprylylmethicone, diphenyldimethicone, cyclopentasiloxane, cyclopentasiloxane, trisiloxane, and dimethiconol It can be more than one species, for example, cetylethylhexanoate, hydrogenated vegetable oil, triethylhexanoin, diisostearyl maleate, VP / hexadecene copolymer, and dimethicone, which is a silicone oil, and It may be one or more
  • the composition may include some of the oil as silicone oil, and therefore, the composition may contain silicone oil in an amount of 10.0 to 18.0% by weight, 10.0 to 16.0% by weight, 10.0 to 14.0% by weight, 12.0 to 20.0% by weight, It may contain 12.0 to 18.0% by weight, 12.0 to 16.0% by weight, 12.0 to 14.0% by weight, 14.0 to 20.0% by weight, or 14.0 to 18.0% by weight, for example, it may contain 14.0 to 16.0% by weight. ,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 film former, and the film former may be a VP/hexadecene copolymer,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composition may additionally include a preservative, and the preservative may be caprylyl glycol,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oil-dispersed cosmetic composition may include 26.0% by weight of ascorbic acid, 1.0% by weight of dispersant, 11.0% by weight of wax, 7.1% by weight of silicone powder, and 54.35% by weight of oil. Some may be 14.0% by weight of silicone oil based on the total oil dispersion cosmetic composition.
  •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for preparing an oil-dispersed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comprising the following steps:
  • a second mixing step of mixing by adding silicon powder to the mixture A second mixing step of mixing by adding silicon powder to the mixture.
  • the first mixing step and the second mixing step may be independently performed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60 to 100 ° C, preferably 60 to 95 ° C, 60 to 90 ° C, 60 to 85 ° C, 65 ° C to 100°C, 65 to 95°C, 65 to 90°C, 65 to 85°C, 70 to 100°C, 70 to 95°C, 70 to 90°C, 70 to 85°C, 75 to 100°C, 75 to 95°C, or It may be performed at a temperature condition of 75 to 90 ° C, for example, 75 to 85 ° C, but is not limited thereto.
  • the second mixing step includes 20.0 to 40.0% by weight of ascorbic acid, 0.1 to 3.0% by weight of a dispersant, 2.0 to 15.0% by weight of wax, 2.0 to 10.0% by weight of silicone powder, and 40.0 to 70.0% by weight of oil. It may be to prepare a mixture.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dispersible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wherein the cosmetic composition contains a high content of ascorbic acid, has a stable formulation, and exhibits excellent feeling of use and spreadability. It can be effectively used in the manufacture of cosmetic compos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is a solid oil dispersion comprising 20.0 to 40.0% by weight of ascorbic acid, 0.1 to 3.0% by weight of a dispersant, 2.0 to 15.0% by weight of wax, 2.0 to 10.0% by weight of silicone powder, and 40.0 to 70.0% by weight of oil. It relates to a cosmetic composition.
  • % used to indicate the concentration of a particular substance is (weight/weight)% for solids/solids, (weight/volume)% for solids/liquids, and liquid/liquid is (volume/volume) %.
  • Examples 1 and 2 and Comparative Examples 1 and 2 were prepared by varying the type and content of each component.
  •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 ascorbic acid 26.00 26.00 26.00 26.00 oil Cetylethylhexanoate 16.10 16.13 16.13 16.13 Hydrogenated vegetable oil 14.90 14.87 14.87 triethylhexanoin 4.95 5.04 12.04 4.95 Diisostearyl Maleate 4.40 9.41 4.41 10.50 silicone oil dimethicone 9.00 9.00 Phenyl Trimethicone 5.00 5.00 5.00 wax polyethylene 4.50 4.50 4.50 4.50 paraffin 4.05 4.05 4.05 4.05 microcrystalline wax 2.45 3.45 2.45 3.45 silicone powder Polymethylsilsesquioxane 2.30 ⁇ ⁇ ⁇ Vinyl Dimethicone/Methicone Silsesquioxane Crosspolymer 2.00 ⁇ ⁇ ⁇ silica 1.20 ⁇ ⁇ ⁇ silica silylate 1.00 ⁇ ⁇ ⁇ Silica dimethyl silylate 0.60 1.00 ⁇ 1
  • Formulation stability of the cosmetic compositions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was confirm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experimental conditions.
  • Example 1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1 Comparative Example 2 1 day -4°C ⁇ ⁇ X ⁇ 25°C ⁇ ⁇ X ⁇ 37°C ⁇ ⁇ X ⁇ 45°C ⁇ ⁇ X ⁇ cycling ⁇ ⁇ X ⁇ daylight ⁇ ⁇ X ⁇ 1 week -4°C ⁇ ⁇ ⁇ ⁇ 25°C ⁇ ⁇ ⁇ ⁇ 37°C ⁇ ⁇ ⁇ ⁇ 45°C ⁇ ⁇ ⁇ ⁇ cycling ⁇ ⁇ ⁇ ⁇ daylight ⁇ ⁇ ⁇ 1 month -4°C ⁇ ⁇ ⁇ X 25°C ⁇ ⁇ ⁇ X 37°C ⁇ ⁇ ⁇ X 45°C ⁇ ⁇ ⁇ X cycling ⁇ ⁇ ⁇ X daylight ⁇ ⁇ ⁇ X 2 months -4°C ⁇ ⁇ ⁇ X 25°C ⁇ ⁇ ⁇ X 37°C ⁇ ⁇ ⁇ X 45°C ⁇ ⁇ ⁇ X cycling
  • the content of ascorbic acid was analyzed while storing for 3 months at room temperature, 45° C., under sunlight exposure conditions.
  • Test Example 3 Confirmation of the feeling of use of the cosmetic composition through sensory evaluation
  • composition of the preparation example was evaluated according to a 5-point scale method targeting 20 women in their 20s to 40s who mainly use cosmetics.
  • the feeling of use, spreadability, absorbency, stickiness, and reflected light of the cosmetic composition prepared in Preparation Example 1 were evaluat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riteria. (1: very bad, 2: bad, 3: average, 4: good, 5: very good)
  • Example 1 Example 2 Comparative Example 2 feeling of use 4.5 4.7 3.8 spreadability 4.4 4.6 3.9 absorbent 4.8 4.5 1.7 stickiness 4.8 4.1 1.4 reflected light 4.7 4.5 1.1
  • Examples 1 and 2 were all excellent in evaluation of feeling of use, spreadability, absorbency, stickiness, and reflected light compared to Comparative Example 2.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almost all evaluators felt that Example 1 was more satisfactory than Example 2 overall. In the case of Comparative Example 2, it was confirmed that absorption, stickiness, and reflected light wer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Examples 1 and 2, and it was confirmed that only all the components included in Example 1 were included to exhibit excellent effects as a cosmetic composition. could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il-dispersible soli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ascorbic acid and a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면서도 제형이 안정하고 우수한 사용감과 발림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본 특허출원은 2021년 9월 29일에 대한민국 특허청에 제출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21-0128937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특허출원의 개시 사항은 본 명세서에 참조로서 삽입된다.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비타민 C로도 불리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은 글루코스(glucose) 혹은 갈락토스(galactose) 등의 당질 전구물질로부터 합성되는 일종의 탄수화물로서, 체내에서 자체적으로 합성되지 않기 때문에 음식물을 통해 보충해야만 괴혈병과 같은 결핍에 의한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타이로시나아제(tyrosinase) 활성에 의한 멜라닌 형성을 억제하여 피부의 색소 침착증을 완화시킬 뿐만 아니라, 체내의 콜라겐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활성 산소를 감소시켜 피부 노화를 늦추는 기능이 있음이 밝혀지면서, 괴혈병과 같은 결핍증을 치료하는 의료적 용도에서 피부의 미백과 노화 방지를 돕는 미용적 용도까지 그 활용 범위가 확장되었다.
아스코르브산은 물과 공기, 특히 산소와 열, 그리고 빛과 같은 외부 환경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쉽게 산화되어 안정화시키는 것이 쉽지 않다. 종래 기술은 아스코르브산 성분을 물이나 폴리올의 수상에 용해시키고 이를 W/O 유화나 리포좀, 다중에멀젼 시스템에 적용하여 안정화시켰다.
그러나, W/O의 경우는 수상에 수용성 성분을 용해시켜 적용하고, 이는 아스코르브산의 산화를 일으키기 때문에 안정성이 불안하여 역가가 감소할 수 있다. 또한, 아스코르브산을 물에 용해시킨 경우 산화가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폴리올에 용해시킨 경우 또한 폴리올이 수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산화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으며, 폴리올에 용해시킨 용액을 유화 제품으로 제형화하기 위해서는 또 다시 물을 사용해야 하기 때문에 아스코르브산의 역가가 불안정할 수밖에 없다.
또한, 수용성인 아스코르브산에 지용성 성분을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유상에 용해될 수 있도록 하여 화장품에 적용하는 방법은 단가적인 측면에서 효율성이 매우 낮아 그 활용도가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고함량 배합 시 제형 안정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미친다.
더불어 유분산 고형 화장료는 고함량의 오일 배합으로 피부에 도포시 오일막을 형성하여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준다는 장점이 있지만, 피부 흡수가 현저히 느리고, 오일에 의한 반사 광으로 번들거리며, 쉽게 묻어나는 단점을 갖고 있다.
이에, 접촉성 자극을 일으키면서 수용성 성분에 용해되어 역가가 떨어지는 성분을 고함량으로 포함하면서 안정화시킬 수 있는 새로운 원료 및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최적의 배합비를 탐색한 결과 고함량의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하고, 우수한 사용감과 발림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아스코르브산 20.0 내지 40.0 중량%, 분산제 0.1 내지 3.0 중량%, 왁스 2.0 내지 15.0 중량%, 실리콘파우더 2.0 내지 10.0 중량%, 및 오일 40.0 내지 70.0 중량%를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아스코르브산, 분산제, 왁스, 및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1차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실리콘 파우더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면서도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안정하고, 우수한 사용감과 발림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자들은 아스코르브산의 고함량 배합에도 제형이 안정하면서 부드럽게 도포되고, 번들거리지 않는 보송한 마무리감으로 차별화된 사용감을 갖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을 발명하였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아스코르브산 20.0 내지 40.0 중량%, 분산제 0.1 내지 3.0 중량%, 왁스 2.0 내지 15.0 중량%, 실리콘파우더 2.0 내지 10.0 중량%, 및 오일 40.0 내지 70.0 중량%를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아스코르브산을 20.0 내지 35.0 중량%, 20.0 내지 30.0 중량%, 20.0 내지 28.0 중량%, 20.0 내지 26.0 중량%, 24 내지 40 중량%, 24 내지 35 중량%, 24 내지 30 중량%, 또는 24.0 내지 28.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24.0 내지 26.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분산제를 0.1 내지 2.0 중량%, 0.1 내지 1.0 중량%, 0.5 내지 3.0 중량%, 또는 0.5 내지 2.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0.5 내지 1.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분산제는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10다이메티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왁스를 2.0 내지 13.0 중량%, 2.0 내지 12.0 중량%, 2.0 내지 11.0 중량%, 7.0 내지 15.0 중량%, 7.0 내지 13.0 중량%, 7.0 내지 12.0 중량%, 7.0 내지 11.0 중량%, 9.0 내지 15.0 중량%, 9.0 내지 13.0 중량%, 또는 9.0 내지 12.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9.0 내지 11.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 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세레신, 칸데릴라왁스, 카우바나 왁스, 비즈왁스, 오조케라이트, 및 합성왁스(Synthetic Wa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파라핀, 및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실리콘 파우더를 2.0 내지 9.0 중량%, 2.0 내지 8.0 중량%, 3.0 내지 10.0 중량%, 3.0 내지 9.0 중량%, 3.0 내지 8.0 중량%, 5.0 내지 10.0 중량%, 5.0 내지 9.0 중량%, 5.0 내지 8.0 중량%, 7.0 내지 10.0 중량%, 또는 7.0 내지 9.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7.0 내지 8.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리콘 파우더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실리카, 실리카 실릴레이트, 실리카다이메틸실릴레이트, 엘라스토머, 디메치콘/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 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1, 및 폴리실리콘-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실리카, 실리카 실릴레이트, 및 실리카다이메틸실릴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오일을 40.0 내지 65.0 중량%, 40.0 내지 60.0 중량%, 40.0 내지 55.0 중량%, 45.0 내지 70.0 중량%, 45.0 내지 65.0 중량%, 45.0 내지 60.0 중량%, 45.0 내지 55.0 중량%, 50.0 내지 70.0 중량%, 50.0 내지 65.0 중량%, 또는 50.0 내지 60.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50.0 내지 55.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오일,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및 실리콘오일인 다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사이클로메치콘, 메틸트라이메티콘,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카프릴릴메티콘, 다이페닐다이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실록세인, 및 다이메티콘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오일,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및 실리콘오일인 다이메티콘, 및 페닐트라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오일 중 일부를 실리콘오일로 포함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실리콘오일을 10.0 내지 18.0 중량%, 10.0 내지 16.0 중량%, 10.0 내지 14.0 중량%, 12.0 내지 20.0 중량%, 12.0 내지 18.0 중량%, 12.0 내지 16.0 중량%, 12.0 내지 14.0 중량%, 14.0 내지 20.0 중량%, 또는 14.0 내지 18.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예를 들어, 14.0 내지 16.0 중량%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필름포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필름포머는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보존제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보존제는 카프릴릴글라이콜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서,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은 아스코르브산 26.0 중량%, 분산제 1.0 중량%, 왁스 11.0 중량%, 실리콘파우더 7.1 중량%, 및 오일 54.35 중량%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오일 중 일부는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 전체 대비 14.0 중량%의 실리콘오일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이다:
아스코르브산, 분산제, 왁스, 및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1차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실리콘 파우더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 단계 및 2차 혼합 단계는 독립적으로 6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95℃, 60 내지 90℃, 60 내지 85℃, 65 내지 100℃, 65 내지 95℃, 65 내지 90℃, 65 내지 85℃, 70 내지 100℃, 70 내지 95℃, 70 내지 90℃, 70 내지 85℃, 75 내지 100℃, 75 내지 95℃, 또는 75 내지 90℃, 예를 들어, 75 내지 85℃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2차 혼합 단계는 아스코르브산 20.0 내지 40.0 중량%, 분산제 0.1 내지 3.0 중량%, 왁스 2.0 내지 15.0 중량%, 실리콘파우더 2.0 내지 10.0 중량%, 및 오일 40.0 내지 70.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고함량의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면서도 제형이 안정하고 우수한 사용감과 발림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에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20.0 내지 40.0 중량%, 분산제 0.1 내지 3.0 중량%, 왁스 2.0 내지 15.0 중량%, 실리콘파우더 2.0 내지 10.0 중량%, 및 오일 40.0 내지 70.0 중량%를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특정 물질의 농도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되는 "%"는 별도의 언급이 없는 경우, 고체/고체는 (중량/중량)%, 고체/액체는 (중량/부피)%, 그리고 액체/액체는 (부피/부피)%이다.
제조예 1: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각 성분의 종류 및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1에 기재된 실리콘 파우더를 제외한 모든 원료를 각 성분 및 함량에 따라 비이커에 계량한 후, 75 내지 85℃에서 가온하면서 아지믹서(Agi-Mixer)로 25 rpm에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실리콘 파우더를 차례대로 투입하면서, 75 내지 85℃에서 가온하면서 아지믹서로 25 rpm에서 5분간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는 유기계 파우더가 비커 바닥에 뭉쳐서 붙어있을 경우 원료가 탈 수 있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기포를 제거하고 용기에 부어 냉각하여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의 스틱형 유분산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명 함량 (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 아스코르브산 26.00 26.00 26.00 26.00
오일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16.10 16.13 16.13 16.13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오일 14.90 14.87 14.87 14.87
트라이에틸헥사노인 4.95 5.04 12.04 4.95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4.40 9.41 4.41 10.50
실리콘오일 다이메티콘 9.00 9.00 9.00 9.00
페닐트라이메티콘 5.00 5.00 5.00 5.00
왁스 폴리에틸렌 4.50 4.50 4.50 4.50
파라핀 4.05 4.05 4.05 4.05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2.45 3.45 2.45 3.45
실리콘 파우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2.30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2.00
실리카 1.20
실리카실릴레이트 1.00
실리카다이메틸실릴레이트 0.60 1.00 1.00
분산제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필름포머 브이피/헥사데센코폴리머 0.50 0.50 0.50 0.50
보존제 카프릴릴글라이콜 0.05 0.05 0.05 0.05
시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 안정도 확인
고함량의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였을 때 갖춰야 할 가장 중요한 특성은 제형 안정성이다.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들에 대하여 아래의 실험 조건에 따라 제형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각 화장료 조성물을 -4℃, 25℃, 37℃, 45℃, 사이클링(보관온도를 -4℃ 및 45℃로 24시간마다 변경하여 3회 실시) 및 일광 노출 조건으로 3개월 동안 보관한 후 안정도 변화를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냈다. (◎: 안정, △: 약간 불안정, X: 불안정, ㅡ: 미진행)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1일 -4℃ X
25℃ X
37℃ X
45℃ X
사이클링 X
일광 X
1주 -4℃
25℃
37℃
45℃
사이클링
일광
1개월 -4℃ X
25℃ X
37℃ X
45℃ X
사이클링 X
일광 X
2개월 -4℃ X
25℃ X
37℃ X
45℃ X
사이클링 X
일광 X
3개월 -4℃ X
25℃ X
37℃ X
45℃ X
사이클링 X
일광 X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의 경우 제조 후 용기에 충진하여 냉각하는 과정에서 아스코르브산이 뭉치고 석출되는 불안정함이 관찰되었다. 비교예 2의 경우에서도 마찬가지로 제조 1주일 이후 아스코르브산이 뭉치고 석출되는 불안정함이 관찰되었다. 반면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제조 후 3개월이 경과한 후에도 제형 안정성이 양호하였다.
시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아스코르브산 역가 확인
아래 실험 조건에 따라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실시예 1의 아스코르브산의 함량 분석을 통하여 역가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스틱 용기에 충진 후, 상온, 45℃, 일광 노출 조건으로 3개월 동안 보관하면서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을 분석하였다.
보관조건 경시변화 분석결과
함량 (중량%) 보존률(%)
상온 초기(initial) 25.16 96.77
상온 1주 23.91 91.96
45℃ 23.69 91.12
일광 24.55 94.42
상온 1개월 23.54 90.54
45℃ 23.39 89.96
일광 23.78 91.46
상온 2개월 24.92 95.85
45℃ 25.25 97.12
일광 23.97 92.19
상온 3개월 25.23 97.04
45℃ 25.03 96.27
일광 25.22 97.00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상온뿐만 아니라, 45℃ 및 일광 노출 보관 시에도 3개월까지 아스코르브산의 함량이 기존 대비 90% 이상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관능 평가를 통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확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유효한 피부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용감 등 주관적인 관능적 특성 또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품화하기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이에 화장품을 주로 사용하는 20 내지 4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5점 척도법에 따라서 상기 제조예의 조성물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감, 발림성, 흡수성, 끈적임, 반사광을 아래의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1: 매우 나쁨, 2: 나쁨, 3: 보통, 4: 좋음, 5: 매우 좋음)
1) 사용감: 화장료를 사용시, 얼굴에 닿는 느낌을 평가한 것으로서 이질적인 느낌이 드는 경우 감점 항목으로 안내하였다.
2) 발림성: 제조된 화장료가 스틱형 화장료이기 때문에 화장료를 얼굴에 도포하였을 때 부드럽게 잘 발리는지 평가하는 항목으로 안내하였다.
3) 흡수성: 얼굴에 적용한 화장료가 흡수되어 얼굴에서 느껴지는 잔여감이 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항목으로 안내하였다. 잔여감이 없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4) 끈적임: 얼굴에 적용한 화장료가 흡수된 후 머리카락 등이 얼굴에 달라붙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항목으로 안내하였다. 끈적임이 없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5) 반사광: 화장료를 얼굴에 도포 후, 반사광에 의해 얼굴에 번들거림이 나타나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항목으로 안내하였다. 번들거림이 없을수록 높은 점수를 부여하도록 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2
사용감 4.5 4.7 3.8
발림성 4.4 4.6 3.9
흡수성 4.8 4.5 1.7
끈적임 4.8 4.1 1.4
반사광 4.7 4.5 1.1
표 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및 2가 비교예 2 대비 사용감, 발림성, 흡수성, 끈적임, 반사광 평가에 있어서 모두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거의 모든 평가자들이 전반적으로 실시예 2보다 실시예 1을 좀 더 만족스럽게 느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2의 경우 흡수성, 끈적임, 반사광 면에서 실시예 1 및 2에 비해 현저하게 저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1에 포함되는 구성 성분들을 모두 포함하여야만 화장료 조성물로써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은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Claims (8)

  1.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 20.0 내지 40.0 중량%, 분산제 0.1 내지 3.0 중량%, 왁스 2.0 내지 15.0 중량%, 실리콘파우더 2.0 내지 10.0 중량%, 및 오일 40.0 내지 70.0 중량%를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제는 솔비탄아이소스테아레이트, 솔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피이지-10다이메티콘, 라우릴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세틸피이지/피피지-10/1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폴리글리세릴-4아이소스테아레이트, 폴리글리세릴-4다이아이소스테아레이트/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세바케이트, 폴리글리세릴-2다이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및 폴리하이드록시스테아릭애씨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왁스는 폴리에틸렌, 파라핀,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세레신, 칸데릴라왁스, 카우바나 왁스, 비즈왁스, 오조케라이트, 및 합성왁스(Synthetic Wax)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파우더는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비닐다이메티콘/메티콘실세스퀴옥세인크로스폴리머, 실리카, 실리카 실릴레이트, 실리카다이메틸실릴레이트, 엘라스토머, 디메치콘/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 디페닐디메치콘/비닐디페닐디메치콘/실세스퀴옥산크로스폴리머,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 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 크로스폴리머, 폴리실리콘-11, 및 폴리실리콘-2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일은 세틸에틸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제네이티드식물성오일, 트라이에틸헥사노인, 다이아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다이메티콘, 페닐트라이메티콘,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사이클로메치콘, 메틸트라이메티콘,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카프릴릴메티콘, 다이페닐다이메티콘,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트라이실록세인, 및 다이메티콘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6. 다음 단계를 포함하는 아스코르브산(ascorbic acid)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아스코르브산, 분산제, 왁스, 및 오일을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는 1차 혼합 단계; 및
    상기 혼합물에 실리콘 파우더를 첨가하여 혼합하는 2차 혼합 단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혼합 단계 및 2차 혼합 단계는 독립적으로 60 내지 100℃의 온도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인,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혼합 단계는 아스코르브산 20.0 내지 40.0 중량%, 분산제 0.1 내지 3.0 중량%, 왁스 2.0 내지 15.0 중량%, 실리콘파우더 2.0 내지 10.0 중량%, 및 오일 40.0 내지 70.0 중량%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제조하는 것인,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PCT/KR2021/015970 2021-09-29 2021-11-05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054795A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551678A JP2023547749A (ja) 2021-09-29 2021-11-05 アスコルビン酸を含む油分散固形化粧料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8937 2021-09-29
KR1020210128937A KR102379257B1 (ko) 2021-09-29 2021-09-29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54795A1 true WO2023054795A1 (ko) 2023-04-06

Family

ID=8099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21/015970 WO2023054795A1 (ko) 2021-09-29 2021-11-05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547749A (ko)
KR (2) KR102379257B1 (ko)
CN (1) CN115869208A (ko)
WO (1) WO2023054795A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734A (ko) * 2005-09-09 2007-08-2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다층을 포함하는 고형 피부 케어 조성물
KR101151009B1 (ko) * 2008-10-20 2012-06-08 (주)더페이스샵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3698A (ko) * 2013-04-22 2015-12-23 네오큐티스 에스아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00056210A (ko) * 2018-11-14 2020-05-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40652B1 (ko) * 2019-12-06 2020-08-03 (주)이시스코스메틱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128937A (ko) 2020-04-17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적 기반 신경망 가속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307B1 (ko) * 2014-04-08 2016-02-11 한국콜마주식회사 유용성 활성성분을 안정화한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10051331A (ko) * 2019-10-30 2021-05-10 (주)아모레퍼시픽 실리콘계 원료를 포함하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5734A (ko) * 2005-09-09 2007-08-27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다층을 포함하는 고형 피부 케어 조성물
KR101151009B1 (ko) * 2008-10-20 2012-06-08 (주)더페이스샵 비타민c를 안정화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3698A (ko) * 2013-04-22 2015-12-23 네오큐티스 에스아 항산화제 조성물 및 이의 사용 방법
KR20200056210A (ko) * 2018-11-14 2020-05-22 코스맥스 주식회사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KR102140652B1 (ko) * 2019-12-06 2020-08-03 (주)이시스코스메틱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210128937A (ko) 2020-04-17 2021-10-27 삼성전자주식회사 내적 기반 신경망 가속기의 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46186A (ko) 2023-04-05
JP2023547749A (ja) 2023-11-14
KR102379257B1 (ko) 2022-03-28
CN115869208A (zh) 2023-03-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35292B1 (en) Transfer-free make-up or care composition containing an organopolysiloxane and a fatty phase
EP0850644B1 (fr) Composition de maquillage ou de soin ne migrant pas, contenant un organopolysiloxane solide élastomère et une phase grasse
US8394394B2 (en) Mousse formulations
KR101044196B1 (ko) 유중수형 에멀젼 화장용 조성물
WO2011065771A2 (en) Cosmetic composition stabilized higher oily part
EP0790055A1 (fr) Utilisation d'un organopolysiloxane solide élastomère associé à une phase grasse pour la préparation d'une composition ou dans une composition de soin ou de maquillage pour matifier la peau
JP2002537314A (ja) ブロック共重合体を含有する化粧品組成物
US5674508A (en) Cosmetic composition for composing sticks for the lips or the skin and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9980701979A (ko) 국소용 에멀션
WO2017003130A1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WO2018062725A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WO2017003139A1 (ko) 무수 파우더 제형 화장료 조성물
US20090092567A1 (en) Oil-containing compositions exhibiting reduced feathering
US20080019932A1 (en) Color Cosmetic Compositions
JP3742984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H11106310A (ja) W/o乳化組成物
KR20200056210A (ko) 비수계 오일 밤 타입의 화장료 조성물
US20240065960A1 (en) Stabilization of thiopyridinone compound in w/o composition
KR20000023216A (ko) 아스코르브산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실리콘 고무의 용도,및 상기 성분을 함유하는 신규 조성물
JP2001505227A (ja) 安定性無水配合品
JP3515874B2 (ja) 口紅組成物
US20020015714A1 (en) Composition comprising a hydrophilic component and a combination of a volatile compound and a phenylated silicone oil, and use thereof
WO2023054795A1 (ko) 아스코르브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239186B1 (ko) 입술화장료 조성물
WO2023054802A1 (ko)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유분산 고형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98726

Country of ref document: US

WWE Wipo information: entry into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2551678

Country of ref document: JP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21921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ENP 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document number: 2021921643

Country of ref document: EP

Effective date: 2024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