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65607B1 -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 Google Patents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65607B1
KR102065607B1 KR1020190119376A KR20190119376A KR102065607B1 KR 102065607 B1 KR102065607 B1 KR 102065607B1 KR 1020190119376 A KR1020190119376 A KR 1020190119376A KR 20190119376 A KR20190119376 A KR 20190119376A KR 102065607 B1 KR102065607 B1 KR 102065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kin
palm oil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93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수
주경삼
강효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901193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560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5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5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11Phaeophycota or Phaeophyta [brown algae], e.g. Fuc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팜 커널 오일 혼합물과 보조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팜 오일 유래 분획물과; 미역 추출물과; 키위 추출물과; 석류 추출물과; 마리골드 추출물과; 회향씨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해,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주 원료로 하고, 미역, 키위, 석류, 마리골드, 회향씨의 추출물을 부원료로 하여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zing and skin elasticity using palm oil fraction}
본 발명은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주 원료로 하고, 미역, 키위, 석류, 마리골드, 회향씨의 추출물을 부원료로 하여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효과를 향상시킨,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의 원인은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aic aging)과 광노화(photo-aging)로 구문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피부는 노화됨에 따라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 세포 및 조직이 파고되고, 결국 피부 노화 현상이 나타나게 된다. 특히, 단백의 산화는 피부의 결합 조직인 콜라게(collagen), 엘라스틴(elastin),프로테오글리칸(proteoglycon),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피브로넥틴(fibronectin) 등이 절단되어 심한 염증 반응과 피부의 탄력에 지장이 생기고 이것이 더 심해질 경우 DNA의 변이에 의한 돌연변이, 암의 유발, 면역 기능 저하가 일어난다.
이에, 피부 보습과 피부 탄력 저하를 개선하고자 하는 의미에서 다양한 화장품 원료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천연 추출물로서 좀 더 강력한 효과를 나타내길 원하는 소비자들의 요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화장품 원료로써 미역이 알려져 있다.
미역은 뿌리, 줄기, 잎의 구분이 뚜렷한 엽상체(葉狀體) 식물로, 우리나라 전 연안에 분포며, 건조된 미역에는 단백질 12.7%, 당질 52%, 지방 1.1%, Ca 1300mg%, 비타민 A 140IU, B1 0.11mg%, B2 0.14mg%, 니코틴산 10mg%, C 15mg%를 함유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미역은 칼슘 함량이 뛰어나서 분유와 맞먹을 정도로 들어있고, 요오드도 100mg%나 들어있으며 강한 알카리성을 가지며, 점질물로 알긴산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미역의 주요 카로티노이드(carotenoid) 색소는 푸코잔틴(fucoxanthine), 비올라크산틴(violaxanthine)이며, 그 외에 루테인(lutein), β-카로틴(carotene)이 다량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천연 원료인 미역을 이용한 화장품 등의 조성물의 제조 기술과 관련한 문헌을 살펴보면,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4989호, 특허문헌 1)에는 미역포자엽을 다당분해효소로 분해하는 단계; 상기 분해물을 가압추출 후 여과하여 저점도효소분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저점도효소분해액에서 단백질 및 알긴산을 제거하여 다당분해액을 제조하는 단계; 다당분해액 중의 다당류를 산성용액에 의해 분해하고 탈염하여 조 푸코이단액을 제조하는 단계; 조 푸코이단액을 이온교환크로마토그래피을 통해 푸코이단을 수집하는 단계, 상기 수집물을 분자량에 따라 분획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미역포자엽으로부터 분리한 항혈액응고 활성을 가진 황산화푸코스 다당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또, "미역귀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13328호, 특허문헌 2)에는 미역귀 내성분의 최적추출조건을 확립하기 위해 수분함량측정 후 시료 분쇄과정, 용출조건별 추출, 여과, 건조 후 수율측정과정과 항산화, 미백의 생리활성 측정과정 및 기타 최종 미역귀 추출 후 부산물에 대한 안전성 검사로써 중금속 분석을 수행하여 미역귀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미백기능성 화장품을 제공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한편, 천연 원료 중의 하나로는 키위가 있다.
키위는 비타민 C가 오렌지의 2배, 비타민 E가 사과의 6배, 식이섬유가 바나나의 5배가 들어 있다고 할 만큼 풍부한 영양성분을 갖고 있으며, 엽산, 칼리, 비타민 A, 칼슘, 비타민 B6, 동, 섬유질, 칼륨 등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관련 문헌으로 "키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톤 개선 및 피부노화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81910호, 특허문헌 3)에는 키위(Actinidia chinensis)의 과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피부의 당화반응을 억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화저해제, 및 이를 함유하고 피부톤 개선 및 피부노화방지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소개되어 있다.
또다른 천연 원료로는 석류가 있다.
석류에는 풍부한 미네랄과 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고 무기질로는 나트륨, 칼슘, 인, 마그네슘, 아연, 망간, 철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며, 또한 단백질, 탄수화물과 사이아민(비타민 B1), 리보후라빈(비타민 B2), 나이아신, 알카로이드, 페르체엘렌과 베룰르산, 우르소르산 등의 유용한 유효 물질이 석류 잎에 다량 함유되어 있다.
석류를 이용한 문헌으로는 "탈모방지용 석류추출물 및 상기 석류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0451885호, 특허문헌 4)에는 석류의 추출물을 이용하여 탈모 방지 기능을 갖도록 한 사례가 공개되어 있다.
또다른 천연 원료로는 마리골드가 있다.
마리골드는 프랑스금잔화, 홍화초라고도 불리며, 마리골드 추출물은 염료 또는 향료로 사용되고,피부의 염증질환 및 살충제로 활용, 산화억제 및 산화에 의해 유도된 세포손상에 관한 방어작용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루테인, 지아잔틴이 다량 함유되어 노화로 인해 감소될 수 있는 황반색소 밀도를 유지해 노화로 인한 시력 감토를 예방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또한 비타민 A, B1, B2, E, 아연 등의 영양소가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리골드를 이용한 문헌으로는 "일광 및 고온건조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79835호, 특허문헌 5)에 마리골드 추출물을 안정화제로 포함시킨 구성이 소개되어 있다.
또다른 천연 원료로 회향이 있다.
회향은 전세계적으로 사용되는 본초의 하나로 주로 식품 향신료로 활용되고 있다.
회향과 관련된 문헌으로는 "항염 및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71243호, 특허문헌 6)에 피부 재생 및 항염 조성물로 사용된 사례가 공개되어 있다.
한편, 식물성 오일을 화장료의 조성물로 사용하는 기술이 다수 공개되어 있다.
일예로 "항산화 효과를 갖는 발효 식물성 오일 화장료 조성물"(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615909호, 특허문헌 7)에는 올리브, 호호바, 해바라기 등의 오일을 발효시킨 후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항산화 효과를 높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한편, 팜 오일을 이용한 기술로는, "피부 노폐물과 모낭충 사체 제거 효과를 갖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26879호, 특허문헌 8)에 팜 오일을 여러 오일과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낭충 사체 제거용으로 사용한 사례가 공개되어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가공 처리되지 않은 팜 오일은 안정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쉽게 산패되고, 유통기간이 짧은 단점이 있으며, 변질된 팜 오일은 다른 원료와 함께 사용할 경우 향이 좋지 못하며 피부 탄력 개선 기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일바적인 팜 오일은 대사성 질환이나 면역 반응에 안좋은 영향을 주는 장쇄중성지방의 함량이 높기 때문에 장기적으로 피부에 발라 사용할 경우 안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점도 있다.
KR 10-1084939 (2011.11.11) KR 10-1413328 (2014.06.23) KR 10-1081910 (2011.11.03) KR 10-0451885 (2004.09.24) KR 10-2019-0079835 (2019.07.08) KR 10-1771243 (2017.08.18) KR 10-1615909 (2016.04.21) KR 10-2011-0026879 (2011.03.16)
본 발명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주 원료로 하고, 미역, 키위, 석류, 마리골드, 회향씨의 추출물을 부원료로 하여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보다 향상시키려는 것이다.
더하여, 장쇄지방산 함량이 높은 팜 오일이 아니라 중쇄지방산 함량이 높은 팜 커널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가일층 높은 탄력 개선 및 피부 보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소화 팜 커널 오일, 수소화 팜 커널 올레인, 수소화 팜 커널 스테아린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팜 커널 오일 혼합물과 보조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팜 오일 유래 분획물과; 미역 추출물과; 키위 추출물과; 석류 추출물과; 마리골드 추출물과; 회향씨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는, 팜 커널 오일 혼합물과 보조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와;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미역 추출물과;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키위 추출물과;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석류 추출물과;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마리골드 추출물과;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회향씨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은, 팜 커널 오일 혼합물과 보조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팜 커널 오일 혼합물은 수소화 팜 커널 오일, 수소화 팜 커널 스테아린, 수소화 팜 커널 올레인이 혼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보조제는 스테아릭산과 글리콜 모노 스테아레이트가 혼합되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팜 커널 오일 혼합물은, 수소화 팜 커널 오일, 수소화 팜 커널 올레인, 수소화 팜 커널 스테아린이 1 : 1 : 8~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하여,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은 85 ~ 95 중량%의 팜 커널 오일 혼합물과, 잔량의 보조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주 원료로 하고, 미역, 키위, 석류, 마리골드, 회향씨의 추출물을 부원료로 하여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보다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더하여, 장쇄지방산 함량이 높은 팜 오일이 아니라 중쇄지방산 함량이 높은 팜 커널 오일을 사용함으로써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효과를 가일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특히,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구성함에 있어서 수소화 팜 커널 오일, 수소화 팜 커널 올레인, 수소화 팜 커널 스테아린을 특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함으로써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팜 커널 오일 혼합물과 보조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팜 오일 유래 분획물과, 미역 추출물, 키위 추출물, 석류 추출물, 마리골드 추출물, 회향씨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팜 커널 오일 혼합물과 보조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와;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미역 추출물과;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키위 추출물과;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석류 추출물과;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마리골드 추출물과;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 100 중량부 기준 5 ~ 15 중량부의 회향씨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은 일반적인 팜 오일 혼합물이 아닌 팜 커널 오일 혼합물과, 소량의 보조제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기로는 팜 커널 오일 혼합물은 수소화 팜 커널 오일, 수소화 팜 커널 스테아린, 수소화 팜 커널 올레인이 혼합되어 구성된다.
보조제는 스테아릭산과 글리콜 모노 스테아레이트가 혼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팜 커널 오일 혼합물은 수소화 팜 커널 오일, 수소화 팜 커널 올레인, 수소화 팜 커널 스테아린이 1 : 1 : 8~10의 중량비로 혼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 팜 커널 오일 혼합물은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의 85 ~ 95 중량%로 구성되고, 보조제가 잔량이 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서 수소화 팜 커널 오일(hydrogenated palm kernel Oil)은 팜 과육의 씨로부터 수득된 팜 커널 오일을 수소화 처리한 것이며, 수소화 팜 커널 올레인(hydrogenated palm kernel Olien)은 팜 커널 오일을 프레션이라는 저온 분별 과정을 거쳐 얻은 액상을 수소화 처리한 것이며, 수소화 팜 커널 스테아린((hydrogenated palm kernel Stearin)은 팜 커널 오일을 저온 분별하여 얻은 고체상을 수소화 처리한 것이다.
팜 오일과 팜 커널 오일의 지방산 구성을 비교하면 아래 표 1과 같다.
팜 오일과 팜 커널 오일의 지방산 구성 비교
fatty acid
(지방산 샘플의 개수)
팜오일 팜커널오일
C6:0 0.3
C8:0 3.3
C10:0 3.5
C12:0 0.1 47.5
C14:0 1.0 16.4
C16:1 0.1
C18:1 38.7 15.3
C18:2 10.5 2.4
C18:3 0.3 0.1
C20:0 0.3 0.1
C20:1 0.1
상기 표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팜오일은 중쇄지방산보다 장쇄지방산 함량이 높으며, 팜커널오일은 중쇄지방산의 함량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미역추출물, 키위 추출물, 석류 추출물, 마리골드 추출물, 회향씨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수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1 내지 5>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의 제조
아래 표 2의 조성대로 각 원료를 혼합하여 45℃의 온도 조건에서 100rpm의 교반 속도로 교반시켜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제조하였다.
구분 팜커널오일혼합물 보조제
수소화 팜 커널 오일 수소화 팜 커널 스테아린 수소화 팜 커널 올레인 스테아릭산 글리콜 모노 스테아레이트
실시예1 9.1 81.8 - 4.55 4.55
실시예2 18.2 72.7 - 4.55 4.55
실시예3 27.3 63.6 - 4.55 4.55
실시예4 4.55 81.8 4.55 4.55 4.55
실시예5 9.1 72.7 9.1 4.55 4.55
상기한 실시예 1 내지 5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에 대해서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매스 스펙트럼 분석기(GC-MC)를 이용하여 지방산 함량을 측정하여 아래 표 3에 나타냈다.
<실시예 1 내지 5의 지방산 함량>
지방산 체인 함량(%)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C8 0.83 2.01 0.7 0.82 0.72
C10 0.71 5.86 6.6 7.75 6.81
C12 79.42 75.18 74.27 73.41 73.91
C14 3.04 2.68 2.56 2.69 2.78
C16 15.7 13.89 15.07 14.99 14.88
C18 0.17 0.35 0.66 0.31 0.56
C18.1 0.02 0.0 0.02 0.05 0.15
C18.2 0.02 0.0 0.01 0.08 0.06
상기 표 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카프릴산(C8)과 카프르산(C10)의 함량 총계는 실시예 4가 가장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카프릴산과 카프르산은 강력한 항균성 및 항 바이러스성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상기한 여러 조성 중에서 실시예 4의 조성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겠다.
<실시예 6> 미역추출물, 키위 추출물, 석류 추출물, 마리골드 추출물, 회향씨 추출물의 제조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미역, 키위, 석류, 마리골드, 회향씨를 각각 세척한 다음 정제수를 30 중량배 가하여 75℃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추출하고 -50℃ 조건에서 3일간 동결 건조시켜 분말상의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7 내지 17>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2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과 실시예 6의 추출물들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은 아래 표 4와 같다.
실시예 팜오일유래분획물(실시예2) 미역추출물 키위추출물 석류추출물 마리골드추출물 회향씨추출물
7 75 5 5 5 5 5
8 79 1 5 5 5 5
9 70 10 5 5 5 5
10 79 5 1 5 5 5
11 70 5 10 5 5 5
12 79 5 5 1 5 5
13 70 5 5 10 5 5
14 79 5 5 5 1 5
15 70 5 5 5 10 5
16 79 5 5 5 5 1
17 70 5 5 5 5 10
(수치 단위 : 중량%)
<실시예 18 내지 28>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실시예 4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과 실시예 6의 추출물들을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은 아래 표 5와 같다.
실시예 팜오일유래분획물(실시예4) 미역추출물 키위추출물 석류추출물 마리골드추출물 회향씨추출물
18 75 5 5 5 5 5
19 79 1 5 5 5 5
20 70 10 5 5 5 5
21 79 5 1 5 5 5
22 70 5 10 5 5 5
23 79 5 5 1 5 5
24 70 5 5 10 5 5
25 79 5 5 5 1 5
26 70 5 5 5 10 5
27 79 5 5 5 5 1
28 70 5 5 5 5 10
(수치 단위 : 중량%)
<실험예 1> 수분 보유능 측정 실험
실시예 7 내지 28의 화장료 조성물을 아래 표 6의 조성으로 혼합하여 화장수를 제조한 후 수분 보유능 측정 실험을 하였다.
이때, 비교예로 아래 표 6의 조성으로 이루어진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 함량(중량%) 비교예 함량(중량%)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7 ~ 28) 25 -
carbomer 0.3 0.3
Propylene glycol 10 10
water 잔량 잔량
화장수의 제조는, 화장료 조성물을 50 ~ 60℃로 가열한 후 carbomer, Propylene glycol를 순차적으로 혼합한 후 sodium hydroxide를 적정량 첨가하여 pH를 8이 되도록 조정하고, 잔량의 정제수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안정화시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20 ~50세의 연령대로 구성된 30명의 여성을 피실험자로 하였으며, 온도 22℃, 상대습도 47%의 항온 항습실에서 실시예 7 내지 28의 조성물을 얼굴에 일정량(0.05g/20㎠)을 도포하고, 도포 전, 도포 1시간 후, 도포 2시간 후의 피부 수분 함량을 수분 함량 측정기 (Corneometer CM820 Courage-Khazaka, Koln, Germany)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아래 표 7에 나타냈다.
실시예 도포 전 도포 후 1시간 경과 도포 후 2시간 경과 실시예 도포 전 도포 후 1시간 경과 도포 후 2시간 경과
7 45 71 63 18 45 83 79
8 45 69 59 19 45 71 61
9 45 68 60 20 45 70 60
10 45 69 59 21 45 72 60
11 45 69 59 22 45 73 64
12 45 69 61 23 45 72 64
13 45 68 60 24 45 70 61
14 45 68 59 25 45 71 62
15 45 69 62 26 45 70 59
16 45 68 61 27 45 72 60
17 45 69 61 28 45 71 62
비교예1 45 62 49
(단위: μS/cm)
상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실시예의 화장수가 비교예 1의 화장수에 비해 피부 수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특히, 실시예 중에서도 실시예 4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활용하여 제조한 화장수들(실시예 18 내지 28)이 실시예 2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활용하여 제조한 화장수들(실시예 7 내지 17)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 수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실시예 18 내지 28 및 실시예 7 내지 17을 상호 비교해 보건데, 팜 오일 분획물이 75 중량% 포함되고, 미역추출물, 키위 추출물, 석류 추출물, 마리골드 추출물, 회향씨 추출물이 각각 5 중량%씩 사용된 경우가 다른 예들에 비해서도 상대적으로 피부 수분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예 2> 피부 탄력 개선 효과
온도 22 ~24℃, 상대습도 55% 조건에서 20세 이상의 건강한 여성 50명(평균 연령 29.5세)을 5그룹으로 나누고, 실험예 1의 내용을 기준으로 실질적인 인체에 적용하기 위하여 실시예 7, 실시예 13. 실시예 18, 실시예 24 및 비교예 1의 화장수를 각각 눈가를 중심으로 12주간 도포(2회/일)한 후, 피부탄력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시험 결과는 하기 표 8에 Cutometer SEM 575의 각 시험 그룹별 평균값인 △R5값[R5(12주)-R5(0주)]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5 값은 실탄성 계수를 나타내는 값으로 1에 가까워지면 보다 탄력도가 우수함을 나타낸다.
또한 개선도는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하였다.
개선도(%) = ( △R5 / 도포전 ) X 100
피부탄력도 측정실험 결과(12주)
구분 도포전 도포후 피부탄력증강효과()△R5 개선도(%)
실시예7 0.74 0.93 0.19 25.67
실시예13 0.73 0.87 0.14 19.17
실시예18 0.74 1.16 0.42 56.76
실시예24 0.73 0.88 0.12 16.43
비교예1 0.71 0.77 0.06 8.45
상기 표 8에 따르면, 실시예들은 두자리수의 개선도를 보인 반면, 비교예 1의 화장수는 한자리수의 개선도를 보이는 바, 실시예들이 피부 탄력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8의 경우 개선도가 56.76%에 이르는 바 실시예 들 중에서도 월등한 효과를 발휘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9> 화장수 제조
실시예 18과 같이 제조하되, 금시초(金時草) 발효액을 더 첨가하여 제조하였다.
금시초는 국화과의 다년생 아열대식물로 동남아시아가 원산지로 알려져 있다.
금시초는 잎 앞면이 녹색이고, 뒷면은 선명한 보라색이며, 우유와 같은 점액질이 나온다.
금시초는 쌈이나 샐러드 드응로 요리가 가능한데, 아직까지 금시초를 화장수의 원료로 사용한 사례는 보고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금시초 발효액은 금시초 잎을 수득한 다음, 금시초, 소금, 식초를 1 : 1 : 2의 비율로 혼합한 다음 2개월동안 발효시키고, 고형물을 분리한 상등액만을 수득한 것을 사용하였다.
금시초 발효액의 함량은 0.1중량%로 하였으며, 잔량의 물로 조정하였다.
실시예 29의 화장수를 이용하여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지 실험하였다.
이를 위해 40 ~ 6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세안 후 1회 눈가 피부에 도포하여 주름 깊이를 측정하였다.
주름 깊이 측정장비에 장착된 카메라를 세안한 눈가 피부에 초점을 맞춘 후 이미지를 촬영하고, 이미지 분석 소프트웨어를 통한 값으로 주름의 깊이를 계측하여 초기값을 설정하고, 설정된 측정위치를 지정하여 화장수를 도포한 후 10분 경과한 다음 주름 깊이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이때, 초기 주름 깊이를 '0'으로 두고 주름 깊이 감소율(%)로 측정하여 평가기준을 정하고, 측정 대상의 평균 값을 산출하여 나타내었다.
구분 주름깊이 감소율(%)
비교예1 3.2
실시예18 13.5
실시예29 18.5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8, 29가 비교예 1의 화장수에 비해 즉각적인 주름 깊이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실시예 29가 즉각적인 주름 깊이 개선 효과가 가장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에 있어서,
    75 중량%의 팜 오일 유래 분획물과;
    5 중량%의 미역 추출물과;
    5 중량%의 키위 추출물과;
    5 중량%의 석류 추출물과;
    5 중량%의 마리골드 추출물과;
    5 중량%의 회향씨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와,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부 대비 0.4 중량부의 금시초 발효액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은, 수소화 팜 커널 오일, 수소화 팜 커널 올레인, 수소화 팜 커널 스테아린이 1 : 1 : 8~10의 중량비로 혼합된 팜 커널 오일 혼합물 85 ~ 95 중량%와, 잔량의 보조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90119376A 2019-09-27 2019-09-27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KR1020656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76A KR102065607B1 (ko) 2019-09-27 2019-09-27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9376A KR102065607B1 (ko) 2019-09-27 2019-09-27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5607B1 true KR102065607B1 (ko) 2020-01-13

Family

ID=69153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9376A KR102065607B1 (ko) 2019-09-27 2019-09-27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560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10B1 (ko) * 2020-04-07 2020-11-13 (주)코스알엑스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6262B1 (ko) * 2022-01-17 2022-04-14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복숭아꽃 추출물, 락토바실러스 발해용해물, 서양 민들레잎 추출물, 팜유래분획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1475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휴앤코스메틱 팜유래분획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394A (ja) * 1991-12-20 1993-08-31 Kao Corp パーム核油脂肪酸又はパーム油脂肪酸の製造方法、並びに該脂肪酸を使用した石鹸の製造方法
KR100451885B1 (ko) 2002-02-15 2004-10-08 우민무역주식회사 탈모방지용 석류추출물 및 상기 석류추출물을 포함하는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3742281B2 (ja) * 2000-06-28 2006-02-01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KR20110026879A (ko) 2009-09-09 2011-03-16 주식회사 해피어스화장품 피부 노폐물과 모낭충 사체 제거 효과를 갖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081910B1 (ko) 2011-03-18 2011-1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톤 개선 및 피부노화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84939B1 (ko) 2009-08-27 2011-11-1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13328B1 (ko) 2013-10-09 2014-07-01 전라남도 미역귀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20150103138A (ko) * 2012-12-27 2015-09-09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5909B1 (ko) 2014-03-25 2016-04-28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산화 효과를 갖는 발효 식물성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101771243B1 (ko) 2015-07-27 2017-09-05 (주)메디웨이코리아 항염 및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2510B1 (ko) * 2018-09-18 2019-05-27 한국콜마주식회사 해조류 혼합추출물과 개다래와 제비꽃 혼합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9835A (ko) 2017-12-28 2019-07-08 김주호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22394A (ja) * 1991-12-20 1993-08-31 Kao Corp パーム核油脂肪酸又はパーム油脂肪酸の製造方法、並びに該脂肪酸を使用した石鹸の製造方法
JP3742281B2 (ja) * 2000-06-28 2006-02-01 株式会社ノエビア 皮膚外用剤
KR100451885B1 (ko) 2002-02-15 2004-10-08 우민무역주식회사 탈모방지용 석류추출물 및 상기 석류추출물을 포함하는탈모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84939B1 (ko) 2009-08-27 2011-11-17 강릉원주대학교산학협력단 해조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고혈압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10026879A (ko) 2009-09-09 2011-03-16 주식회사 해피어스화장품 피부 노폐물과 모낭충 사체 제거 효과를 갖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101081910B1 (ko) 2011-03-18 2011-11-09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키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톤 개선 및 피부노화방지 효과가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3138A (ko) * 2012-12-27 2015-09-09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413328B1 (ko) 2013-10-09 2014-07-01 전라남도 미역귀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원료추출방법 및 이를 이용한 미백 기능성 화장품
KR101615909B1 (ko) 2014-03-25 2016-04-28 코스맥스 주식회사 항산화 효과를 갖는 발효 식물성 오일 화장료 조성물
KR101771243B1 (ko) 2015-07-27 2017-09-05 (주)메디웨이코리아 항염 및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9835A (ko) 2017-12-28 2019-07-08 김주호 일광 및 고온조건에 안정한 l-아스코르빈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2510B1 (ko) * 2018-09-18 2019-05-27 한국콜마주식회사 해조류 혼합추출물과 개다래와 제비꽃 혼합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8510B1 (ko) * 2020-04-07 2020-11-13 (주)코스알엑스 골드키위 껍질 및 석류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86262B1 (ko) * 2022-01-17 2022-04-14 주식회사 지웨이코스메틱 복숭아꽃 추출물, 락토바실러스 발해용해물, 서양 민들레잎 추출물, 팜유래분획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20240051475A (ko) 2022-10-13 2024-04-22 주식회사 휴앤코스메틱 팜유래분획물이 함유된 나노리포좀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65607B1 (ko) 팜 오일 유래 분획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 및 탄력 개선용 화장수
KR101885195B1 (ko) 목서 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23732A (ko) 아티초크 추출물 및 콜리플라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9363991A (zh) 一种含抗过敏植物提取物的护肤组合物
KR101308669B1 (ko) 오크라, 다시마, 참마, 모로헤이야, 연근, 폴리글루탐산을 이용하여 구성된 네바네바컴플랙스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41520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활성을 갖는 황칠나무, 산수유 및 구기자 혼합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0455A (ko)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용 및 피부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54695B1 (ko) 미선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17129B1 (ko) 구주소나무 솔방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10109835A (ko) 오크라, 몰로키아 및 파슬리의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및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0744948B1 (ko) 상지 추출물 및 테트라하이드로커큐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4754834B2 (ja) 化粧料
JPH08127511A (ja) 植物由来の多機能性物質
KR101176526B1 (ko) 조팝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4443A (ko) 흰목이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27772A (ko)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8548B1 (ko) 곰보 배추 추출물, 플라바논 화합물 및 그 제조방법, 이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KR101664878B1 (ko) 삼채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67501B1 (ko) 현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2364428B1 (ko)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8종 곡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4371A (ko) 닭의장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주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200079140A (ko) 해양심층수 속새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0180689B1 (ko)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반하 비극성 지질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용 조성물
KR102309616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4836418B2 (ja) 抗酸化剤、抗炎症剤、美白剤及び皮膚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