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616B1 -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616B1
KR102309616B1 KR1020210098540A KR20210098540A KR102309616B1 KR 102309616 B1 KR102309616 B1 KR 102309616B1 KR 1020210098540 A KR1020210098540 A KR 1020210098540A KR 20210098540 A KR20210098540 A KR 20210098540A KR 102309616 B1 KR102309616 B1 KR 1023096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seed oil
hyaluronic acid
weight
jojob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85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금실
Original Assignee
최금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금실 filed Critical 최금실
Priority to KR10202100985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서는, 호호바오일,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이 개시된다.
상기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 및 수분 공급을 통한 보습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jojoba oil for skin regeneration and moisture, and preparing method the same}
아래 실시예들은 호호바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미용에 대한 관심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젊고 생기있는 피부에 대한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좋은 피부를 갖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은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피부 노화의 주요 원인으로는 자외선에 따른 피부 손상과 함께 건조함을 들 수 있다. 피부가 건조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분이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최대한 방지하기 위해 로션 등의 보습제를 사용한다. 또한 자외선으로부터 손상된 피부를 재생하고자 앰플 등의 피부 재생제품을 사용한다.
이 중 최근 떠오르는 천연 오일이 호호바오일이다. 호호바 오일은 사막 호호바 나무의 부위 중 일부를 추출하거나 압착하여 만든 불휘발성 오일이다. 호호바 오일은 사람의 피지 성분과 흡사하며, 비타민 A와 토코페롤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의 항산화 효과가 뛰어나 피부 노화를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피부의 거칠어 지는 것을 예방하고 유해 산소로부터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때문에 이러한 호호바 오일을 수분과 함께 피부 건강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여러 성분들과 함께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화장품들은 대부분 효능이 미진하거나 또는 호호바 오일의 함량을 높게 사용해야 해 경제적인 면에서 경쟁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한국특허출원 10-2018-0114937호 한국특허출원 10-2016-003822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호호바오일,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가 특히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호호바오일,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수분 공급 및 수분 유지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호호바오일, 천연추출물 및 히아룰론산 혼합물을 포함함으로써 콜라겐 합성 및 피부 재생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호호바오일,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메도우폼씨오일, 잇꽃씨오일을 추가로 더 포함하며, 상기 호호바오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잇꽃씨 오일 100 중량부, 상기 메도우폼씨오일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천연추출물은, 쑥잎추출물 및 야생딸기잎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히알루론산 혼합물은 중분자 히알루론산 및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라벤더 오일 및 마트리카리아꽃오일을 추가로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호호바오일 2.5 중량% 내지 3.5 중량%, 쑥잎추출물 0.1 중량% 내지 1 중량%, 야생딸기잎추출물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 라벤더오일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 마트리카리아꽃오일 0.0001 중량% 내지 0.001 중량%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상기 중분자 히알루론산의 함량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및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분자 히알루론산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저분자 히알루론산과 상기 중분자히알루론산은 2 : 1 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토너, 수딩젤, 로션, 에센스, 크림, 폼클렌징, 파우더, 팩 및 마스크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일 수 있다.
실시예들은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 및 수분 공급을 통한 보습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크기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며, 당업자가 충분히 이해할 수 있듯이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 가능할 수도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성분의 함량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 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피부"라 함은, 동물의 체표를 덮는 조직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얼굴 또는 바디 등의 체표를 덮는 조직뿐만 아니라, 두피와 모발을 포함하는 최광의의 개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상태의 완화 또는 치료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호호바오일,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호호바오일(jojoba oil, Simmondsia chinensis)”은 호호바 종자에서 추출한 불포화 알코올이다. 호호바란 멕시코 남부 지방, 미국 캘리포니아, 이스라엘 등에서 자생하는 사막 관목이다. 호호바 오일은 사람의 피지 성분과 유사한 분자 구조를 가지고 있어 인체에 더욱 흡수가 잘 될 수 있다. 정제되지 않은 것은 투명한 노란색이지만 정제된 호호바 오일은 무색무취이다. 천연 오일 중 가장 안정적인 오일로 평가받고 있다. 또한, 다른 천연 오일에 비해 가벼운 느낌이며 끈적임이 덜하다. 호호바 오일은 일반적인 식물성 오일과는 다르게 액상 왁스 형태를 띠며, 온도가 낮으면 응고되고 온도가 높아지면 액체로 변한다.
본 발명자들은 호호바오일,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는 사실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메도우폼씨 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는 호호바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특정 조성비로 혼합한 조성물을 사용할 경우, 이들 성분의 일부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다른 조성비로 포함하는 조성물보다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가 현저하게 향상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입증하였다(시험예 1 내지 2 참조).
이 때, 상기 호호바오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잇꽃씨 오일 100 중량부, 상기 메도우폼씨오일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호바오일, 잇꽃씨오일 및 메도우폼씨오일은 각각 동일한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혼합오일은 각각의 오일을 제조한 후 혼합하여 제조하거나, 또는 잇꽃과 메도우폼을 혼합한 후 1차 혼합오일을 추출한 후, 별도로 제조한 호호바오일을 혼합하여 2차 혼합오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혼합오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함유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호호바오일은 2.5 중량% 내지 3.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호호바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은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를 재생하며,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수분을 유지하여 피부의 보습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천연추출물은, 쑥잎추출물 및 야생딸기잎추출물을 포함하고, 상기 히알루론산 혼합물은 중분자 히알루론산 및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며,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라벤더 오일 및 마트리카리아꽃오일을 추가로 더 포함하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호호바오일 2.5 중량% 내지 3.5 중량%, 쑥잎추출물 0.1 중량% 내지 1 중량%, 야생딸기잎추출물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 라벤더오일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 마트리카리아꽃오일 0.0001 중량% 내지 0.001 중량%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상기 중분자 히알루론산의 함량보다 큰 것일 수 있다. 이러한 조성 및 함량에서, 특히 콜라겐 합성을 촉진하여 피부를 재생하며,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수분을 유지하여 피부의 보습 효과를 개선할 수 있다. 특히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함량이 중분자 히알루론산의 함량보다 크기 때문에, 피부 깊은 곳까지 수분을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및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를 포함하고, 상기 중분자 히알루론산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저분자 히알루론산과 상기 중분자히알루론산은 2 : 1 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일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 100 중량%를 기준으로, 올리브오일 0.1 중량% 내지 25 중량%, 프로판다이올 0.1 중량% 내지 10 중량%, 글리세레스-26 0.1 중량% 내지 10 중량%, 글리세린 0.1 중량% 내지 10 중량%, 1,2-헥산다이올 0.1 중량% 내지 1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1 중량% 내지 5 중량%, 프로판다이올 0.1 중량% 내지 10 중량%, 메틸글루세스-20 0.1 중량% 내지 10중량%, 소듐클로라이드 0.1 중량% 내지 10 중량%, 베르가모트오일 0.000001 중량% 내지 0.1 중량%, 들깨추출물 0.0001 중량% 내지 0.1 중량%, 소듐시트레이트 0.01 중량% 내지 1 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0001 중량% 내지 0.1 중량%, 시트릭애씨드 0.001 중량% 내지 1 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01 중량% 내지 1 중량%, 오렌지오일 0.0001 중량% 내지 1 중량%, 와일드제라늄오일 0.00001 중량% 내지 1 중량%, 베르가모트오일 0.00001 중량% 내지 1 중량%, 단향오일 0.0001 중량% 내지 1 중량%, 장미꽃오일 0.00001 중량% 내지 1 중량%, 벤조인나무검 0.0000001 중량% 내지 1 중량% 및 몰약오일 0.00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성분의 함량이 상기 수치 범위를 만족할 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메도우폼씨오일(Limnanthes alba (Meadowfoam) seed oil)"은 Limnanthes alba의 씨앗에서 추출한 seed oil이다. 메도우 씨앗에는 20~ 30%의 기름이 포함되어 있으며, 메도우폼씨오일은 98% 이상의 장쇄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어 매우 안정적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잇꽃씨오일 (Carthamus tinctorius seed oil))”은 홍화 식물의 씨앗을 압착해서 얻은 오일이다. 필수 지방산으로 여겨지는 리놀레익애씨드의 함량이 매우 높으며(62~72%), 다음으로 올레익애씨드(16~25%), 리놀레닉애씨드(1~6%)의 순으로 많이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호호바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은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먼저, 호호바로부터 종자를 분리하여 분리된 종자를 물로 세척한다. 세척된 종자를 건조시켜 종자에 함유된 수분을 5 내지 20 중량% 범위 내로 조절하고, 건조된 종자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이어, 분쇄된 종자 분말을 냉압착하여 종자 오일을 착유한다. 이 후 착유과정에서 추출된 종자 오일을 여과필터로 여과하여 순수한 오일을 획득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열을 가하거나 화학 용매를 가하지 않고 순수한 오일을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메도우폼 또는 잇꽃으로부터 종자를 분리하여 분리된 종자를 물로 세척한다. 세척된 종자를 건조시켜 종자에 함유 된 수분을 5 내지 20중량% 범위 내로 조절하고, 건조된 종자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화한다. 이어, 분쇄된 종 자 분말에 높은 온도의 증기를 가하여 종자 분말에 가습 및 가온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때 스팀기에서 증기를 가해주는 시간은 약 5분 내지 30분 범위 내로 조절될 수 있다. 과도한 가습이 이루어지면, 종자 분말의 섬유질 이 수분을 흡착하여 부피가 커지면서 뭉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가습 및 가온 공정을 통해 뜨 거운 증기에 의해 종자 내에 있는 기름이 녹아 착유 과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온 및 가습 된 종자 분말을 가압하여 착유한다. 착유 과정에서 추출된 종자 오일을 여과필터로 여과하여 순수한 오일을 획 득한다. 이와 같은 방법에 의하여 순도가 높은 종자유를 고효율로 제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쑥잎추출물”은 개똥쑥을 포함하는 것으로, 개똥쑥(Artemisia annua L.)은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초본으로 열대 아시아 원산으로 우리나라를 비롯한 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한방에서는 개똥쑥의 지상부를 해열제, 지혈제, 피부병 치료제, 살충제 등으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야생딸기잎추출물”은 야생딸기((Strawberry) Fragaria vesca)의 잎에서 추출한 것으로 피부 컨디셔닝제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추출물'이란, 당업계에 공지된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여 유효성분 원료로부터 추출물을 분리 및 수득한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서 정의된 추출물은 적절한 용매를 이용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준비된 유효성분 원료를 그대로 또는 분쇄하여 추출한 것일 수 있다. 이때 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적절한 용매로는 당업계에서 허용되는 용매라면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무방하며, 물 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헥산, 클로로포름,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 등의 추출용매를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추출 방법으로는 열수추출법, 냉침추출법, 환류냉각추출법, 용매추출법, 수증기 증류법, 초음파추출법, 용출법, 압착법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목적하는 추출물은 추가로 통상의 분획 공정을 수행할 수도 있으며, 통상의 정제 방법을 이용하여 정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방법에는 제한이 없으며, 공지되어 있는 어떠한 방법도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는 피부보습에 많이 활용되는 천연보습인자(NMF) 중 하나로, 히알루론산의 경우 그 크기에 따라 저분자, 중분자, 고분자로 나뉜다.
고분자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약 1,5000,000 Da 이상인 것으로 대표적으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크로스폴리머 (Sodium Hyaluronate Crosspolymer), 하이드롤라이즈드글리코사미노글리칸(hydrylized Glycosaminoglycans) 등을 포함하며, 중분자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약 1,000,000~15,00,000 Da 인 것으로 대표적으로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Soduim Hyaluronate), 하이드록시프로필트라이모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xypropyltrimonium Hyaluronate), 소듐아세틸레이티드하이알루로네이트(Sodium Acetylated Hyaluronate) 등이 있으며,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이 대략 5,000~100,000 Da로서, 포타슘하이알루로네이트(Potassium Hyaluronate),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Hydrolyzed Hyaluronic acid), 하이드롤라이즈드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Hydrolyzed Sodium Hyaluronate), 히알루로닉애씨드(Hyaulonic Acid) 등을 포함한다.
상기 고분자, 중분자, 저분자의 히알루론산은 분자량의 크기에 따라 나뉘는 것으로, 해당 분자량 범위에 들어가는 히알루론산이라면 제한없이 고분자, 중분자, 또는 저분자 히알루론산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수딩젤, 로션, 에센스, 크림, 폼클렌징, 파우더, 팩 및 마스크 중 어느 하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상기 첨가된 유효성분 이외에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구현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는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과 더불어 필요에 따라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을 배합해도 된다.
다만, 파라벤(paraben)계 성분, 탈크 및 인공색소는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피부 이상반응이 저하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호호바씨 오일 제조
호호바 열매에서 종자만을 분리하여 수집한 호호바씨 100g을 세척한 뒤 종자를 3일간 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한 뒤, 종자를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을 냉압착 방법으로 압착하여 종자 오일을 추출하고, 여과필터로 여과하여 호호바씨오일을 준비하였다.
제조예 2: 메도우폼씨 오일 제조
메도우폼열매에서 종자만을 분리하여 수집한 메도우폼씨 100g을 세척한 뒤 음지에서 종자를 3일간 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한 뒤, 종자를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을 스팀기에서 30분간 증기를 가한 후 분말을 유압식 착유기에 넣어 종자 오일을 추출하고, 여과필터로 여과하여 메도우폼씨 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잇꽃씨 오일 제조
잇꽃열매에서 종자만을 분리하여 수집한 잇꽃씨 100g을 세척한 뒤 음지에서 종자를 3일간 건조시켜 수분 함량이 15 중량%가 되도록 조절한 뒤, 종자를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분말을 스팀기에서 30분간 증기를 가한 후 분말을 유압식 착유기에 넣어 종자 오일을 추출하고, 여과필터로 여과하여 잇꽃씨 오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또는 잇꽃씨오일의 혼합 오일 제조
제조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또는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혼합 오일을 하기 표 1 및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각각 오일들을 혼합하고, 상기 오일들을 멸균처리 (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구분 중량비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잇꽃씨오일
비교예 1 3 0 0
비교예 2 0 3 0
비교예 3 0 0 3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또는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혼합 오일의 최적 배합비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제조하였다.
이 때, 하기 표 2의 조성으로 각각 오일들을 혼합하고, 상기 오일들을 멸균처리 (KRS A-1, Health up, Korea)된 용기에 옮겨 담아 5℃에서 냉장 보관하였다.
구분 중량비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잇꽃씨오일
비교예 4 2 1 0
비교예 5 2 0 1
비교예 6 1 2 0
비교예 7 1 0 2
비교예 8 0 2 1
비교예 9 0 1 2
실시예 1 1 1
실험예 1: 세포 독성 시험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 오일을 가지고 유효성 시험을 들어가기 전 농도별 세포성장률을 확인함으로써 적절한 시험 시료농도를 산출하고 사용하는 농도가 안전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확인시험으로 세포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세포는 HaCaT(Human Skin Keratinocytes cell line)이며 37℃, 5%의 CO2, 10%의 Fetal bovine serum(FBS, Lonza), 50μg/mL의 streptomycin(Sigma)을 첨가한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DMEM, Invitrogen)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실시예에서 제조한 혼합오일을 최종 농도가 100, 500, 1000, 5000㎍/㎖가 되도록 디메틸설폭시드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한 후에 MTT(3- [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oromide, Sigma, U.S.A.)용액을 각 well에 100㎕씩 첨 가한 후 (3㎎/㎖)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후 상층액을 제거하고, 150㎕의 디메틸설폭시드를 첨가한 후, 30분간 shaking하여 생성된 formazan을 녹여 multimicroplate reader(Molecular device Spectra max190)를 이 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아래의 식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세포 생존율(%)=시료첨가군의 흡광도 / 대조군의 흡광도 × 100
시료농도(㎍/㎕ 세포 생존율 (%)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잇꽃씨오일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 혼합오일 control
100 100 100 100 100 100
500 100 100 100 100
1000 100 100 100 100
5000 99.50 99.40 99.35 99.52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잇꽃씨오일 및 이들의 혼합오일을 적용한 시료 모두 99% 이상의 세포생존율이 확인됨에 따라 세포 독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따라,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은 안전에는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콜라겐 합성촉진 효과 측정
사람 섬유아세포 종인 CCD-986sk cell은 37℃, 5% CO2의 조건하에서 10% fetal bovine serum (FBS, Gibco Co), 100 ug/ml streptomycin, 100U/ml penicillin 이 첨가된 DMEM 배지가 사용되었다. CCD-986sk cell은 75cm2 flask(Falcon, USA)에서 충분히 증식시킨 후 배양 2~3일 간격으로 배양세포 표면을 phosphate buffer saline(PBS) 용액으로 씻어 준 후 0.25% trypsin-EDTA 용액을 넣고 incubator에서 1~2분 처리하여 세포를 탈착시켰다. 탈착된 세포는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 15ml을 새로운 배양 용기에 옮겨 1:20 split ratio로 37℃, 5% CO2의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콜라겐 합성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CCD-986sk 세포를 24 well plate에 5×104 cell/well의 밀도로 분주한 뒤, 10% FBS/DMEM 배지로 24시간 배양시킨 다음 serum free 배지로 단계적으로 희석한 시료를 가하고 다시 24시간 동안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다. 세포 배양액을 가지고 Procollagen Type C-peptide EIA kit(Takara, Japan)를 이용하여 콜라겐의 양을 측정하였다. 먼저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 100 μl를 각 well에 첨가하고, Sample이나 standard를 20μl씩 넣은 뒤 잘 섞은 후 37℃ 3시간 반응시킨 후 반응이 끝나면 내용물을 제거한 뒤 PBS 400 μl로 4번 세척하였다. 제거 후 기질용액 100 μl를 넣고 20~30℃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1N H2SO4 100μl를 첨가하여 발색을 중지시킨 후 shaking하였다.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농도 곡선을 작성하여 콜라겐 양을 산정하였다. 콜라겐 생합성비율은 하기의 식으로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내었다.
RCB(%) = (A/B) × 100
A : 콜라겐cpm
B : (전체콜라겐cpm - 콜라겐cpm) × 5.4 + 콜라겐cpm
샘플명 콜라겐 생합성 비율(RCB) (%)
무처리 대조군 100
호호바씨오일 함유 (비교예 1) 133
메도우폼씨오일 함유 (비교예 2) 112
잇꽃씨오일 함유 (비교예 3) 113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 함유 (실시예) 129
상기 표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혼합 오일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합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특히, 호호바씨오일만을 함유하는 비교예 1과 비교할 때, 호호바씨 오일의 함량이 1/3로 감소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실시예와 비교예 1의 콜라겐 생합성 비율이 동일 또는 유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로부터, 본 발명의 호홉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혼합 오일은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진피층의 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재생을 촉진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샘플명 콜라겐 생합성 비율(RCB) (%)
무처리 대조군 100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함유 (비교예4) 118
호호바씨오일, 잇꽃씨오일 함유 (비교예5) 117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 오일 함유 (비교예 6) 105
호호바씨오일, 잇꽃씨오일 함유 (비교예 7) 106
메도우폼씨오일, 잇꽃씨오일 함유 (비교예 8) 107
메도우폼씨오일, 잇꽃씨오일 함유 (비교예 9) 109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 함유 (실시예) 129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혼합 오일은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생합성을 크게 증가시켰다. 특히, 다른 2가지 오일만을 혼합한 경우에 비해, 호호바씨오일의 함량이 적더라도. 호홉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혼합 오일인 실시예의 경우, 콜라겐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진피층의 탄력을 증가시킴으로써 피부 재생을 촉진시키는 것임을 알 수 있다.
시험예 2: 유연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호호바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함유하는 혼합오일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에 대한 임상 실험을 위해 하기 표 6와 같이, 유연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글리세린 2.0895
올리브오일 20.91
디소듐이디티에이 0.014
소듐시트레이트 0.07
호호바씨오일 3 3 0 0 2 2 1 1 0 0 0
메도우폼씨오일 3 0 3 0 1 0 2 0 2 1 0
잇꽃씨오일 3 0 0 3 0 1 0 2 1 2 0
쑥잎추출물 0.245
야생딸기잎추출물 0.0042
라벤더오일 0.00189
마트리마리아꽃오일 0.00018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07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07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07
향, 방부제 등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실험예 3: 손실된 피부의 수분(TEWL) 측정
실험 결과에 영향을 줄만한 피부질환이 없는 만 19 내지 60세의 성인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실험하였다.
피부 측정 방법 및 절차로는 기기적 피부 측정을 위해 시험대상자는 준비된 세정제로 먼저 전박부위를 세정한 후 항온항습조건 (20~24℃, 습도 40~60%)의 공간에서 약 30분간 피부 안정을 취해 측정 환경에 적응하도록 하였다. 시험제품 적용 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 직후, 48시간 후 및 4주 후 TEWL 측정 후 기록하였으며, 동일한 연구자에 의해 진행하였다.
상기 표 6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는 다음과 같았다. 이를 표 7에 나타내었다.
48시간 수분 지속성 측정은 Epsilon E1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제형의 제품 사용 전, 사용 직후, 사용 48시간 후 동일한 왼쪽 전환 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값은 피부의 전체 평균 유전율을 나타내는 ε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48시간 수분 지속력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겉 보습 측정은 Epsilon E1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제형의 제품 사용 전, 4주 사용 후 동일한 왼쪽 볼 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값은 피부의 전체 평균 유전율을 나타내는 ε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겉 보습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깊은 피부 보습 측정은 Moisturemeter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제형의 제품 사용 전, 4주 사용 후 동일한 왼쪽 볼 부위를 측정하였고, 측정값은 조직의 총 수분량에 비례하는 값인 TDC(Tissue dielectric constant)값을 사용하였다. 측정값이 증가할수록 깊은 피부 보습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경표피수분손실량측정은 Tewameter TM300을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상기 제형의 제품 사용 전, 4 주 사용 후 동일한 왼쪽 볼 부위를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피부 표피의 수분 방출 정도를 측정하는 g/㎡/h값을 사용하였으며, 측정값이 감소할수록 경표피수분손실량이 개선됨을 의미한다.
구분 측정시점 개선율 (%)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48시간 수분 유지력 직후 302.05 331.12 293.73 289.12 308.21 307.62 256.12 234.25 201.34 198.78 165.54
48시간 후 100.86 121.08 114.96 113.12 116.75 113.69 94.87 95.7 87.78 86.54 56.68
겉 보습 4주 후 38.56 40.86 36.75 35.4 37.56 35.64 28.12 27.56 24.5 23.71 18.54
깊은 피부 보습 4주 후 21.05 23.05 21.96 20.23 22.7 21.01 15.54 17.85 13.04 12.96 8.24
경표피수분손실량 4주 후 15.34 17.08 13.8 13.0 15.85 13.04 8.76 8.25 7.89 6.87 5.36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호호바씨오일, 메도우폼씨오일, 잇꽃씨오일을 각각 단독으로 적용한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에 비해, 실시예와 같이 이들 모두를 1 : 1 : 1의 비율로 사용한 경우가 전반적으로 피부 보습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제조예의 경우, 경표피수분손실량 및 겉보습 개선 효과가 현저히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보습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가지는 조성물임을 시사하는 것이다.
제형예: 유연 화장수의 제조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호호바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은 목적에 따라 여러 형태의 화장료로 제조 가능하다. 하기는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호호바오일, 메도우폼씨오일 및 잇꽃씨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시킨 유연 화장수의 제조방법을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정제수 54.026 중량%
올리브오일 20.91 중량%
프로판다이올 5.6 중량%
글리세레스-26 3.5 중량%
잇꽃씨오일 3.0 중량%
메도우폼씨오일 3.0 중량%
호호바씨오일 3.0 중량%
글리세린 2.0895 중량%
정제수 0.0105 중량%
1,2-헥산다이올 1.4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7 중량%
프로판다이올 0.679 중량%
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07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 0.007 중량%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07 중량%
메틸글루세스-20 0.7 중량%
소듐클로라이드 0.7 중량%
쑥잎추출물 0.245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105 중량%
베르가모트오일 0.081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0483 중량%
정제수 0.021 중량%
들깨추출물 0.0007 중량%
소듐시트레이트 0.07 중량%
에틸헥실글리세린 0.035 중량%
시트릭애씨드 0.028 중량%
다이소듐이디티에이 0.014 중량%
오렌지오일 0.00551 중량%
라벤더오일 0.00189 중량%
와일드제라늄오일 0.00045 중량%
베르가모트오일 0.00041 중량%
단향오일 0.00032 중량%
장미꽃오일 0.00023 중량%
마트리카리아꽃오일 0.00018 중량%
벤조인나무검 0.00001 중량%
몰약오일 0.00001 중량%
야생딸기잎추출물 0.0042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0.00280 중량%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3)

  1. 호호바오일, 메도우폼씨오일, 잇꽃씨오일, 라벤더오일, 마트리카리아꽃오일, 천연추출물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을 포함하며,
    상기 천연추출물은, 쑥잎추출물 및 야생딸기잎추출물이며,
    상기 히알루론산 혼합물은 중분자 히알루론산 및 저분자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며,
    상기 중분자 히알루론산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이고,
    상기 저분자 히알루론산은 하이알루로닉애씨드 또는 하이드롤라이즈드하이알루로닉애씨드이며,
    화장료 조성물 전체 100 중량%에 대하여,
    호호바오일 2.5 중량% 내지 3.5 중량%,
    쑥잎추출물 0.1 중량% 내지 1 중량%,
    야생딸기잎추출물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
    라벤더오일 0.001 중량% 내지 0.01 중량%,
    마트리카리아꽃오일 0.0001 중량% 내지 0.001 중량% 및
    히알루론산 혼합물 0.001 중량% 내지 1 중량%를 포함하며,
    상기 호호바오일 100 중량부 기준으로, 상기 잇꽃씨 오일 100 중량부, 상기 메도우폼씨오일 90 내지 110 중량부를 포함하며,
    상기 저분자 히알루론산의 함량은 상기 중분자 히알루론산의 함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10098540A 2021-07-27 2021-07-27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96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40A KR102309616B1 (ko) 2021-07-27 2021-07-27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8540A KR102309616B1 (ko) 2021-07-27 2021-07-27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9616B1 true KR102309616B1 (ko) 2021-10-05

Family

ID=78077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8540A KR102309616B1 (ko) 2021-07-27 2021-07-27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806A (ko) * 2011-11-30 2014-08-08 아이.비.알.이즈레일리 바이오테크놀로지 리서치 엘티디.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시키는 데 유용한 호호바 추출물
KR101479414B1 (ko) * 2013-07-23 2015-01-06 황태혁 순비기나무, 도꼬마리, 소리쟁이, 민들레, 어성초, 호호바오일과 티트리오일, 아마씨오일, 박하유, 시금치, 무청, 양배추, 프로폴리스, 쌀뜨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의 홍조현상과 미백에 관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8222A (ko) 2014-09-30 2016-04-07 전라남도 천문동 살구씨오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170130742A (ko) * 2016-05-19 2017-11-29 주식회사 바이오엠 피부 재생용 화장품 조성물
KR20180114937A (ko) 2016-03-02 2018-10-19 길리어드 아폴로, 엘엘씨 티에노피리미딘디온 acc 억제제의 고체 형태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98806A (ko) * 2011-11-30 2014-08-08 아이.비.알.이즈레일리 바이오테크놀로지 리서치 엘티디. 피부 장벽 기능을 개선시키는 데 유용한 호호바 추출물
KR101479414B1 (ko) * 2013-07-23 2015-01-06 황태혁 순비기나무, 도꼬마리, 소리쟁이, 민들레, 어성초, 호호바오일과 티트리오일, 아마씨오일, 박하유, 시금치, 무청, 양배추, 프로폴리스, 쌀뜨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의 홍조현상과 미백에 관한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8222A (ko) 2014-09-30 2016-04-07 전라남도 천문동 살구씨오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KR20180114937A (ko) 2016-03-02 2018-10-19 길리어드 아폴로, 엘엘씨 티에노피리미딘디온 acc 억제제의 고체 형태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70130742A (ko) * 2016-05-19 2017-11-29 주식회사 바이오엠 피부 재생용 화장품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45776B1 (ko) 천년초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하는 마스크팩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마스크팩
KR101315265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20120012904A (ko) 유방확대 또는 피부탄력 향상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312965B1 (ko) 양파, 컴프리, 한련초 및 카카오 추출물을 함유하는 탄력 증진 및 주름 개선 화장용 조성물
KR100443588B1 (ko) 목단피추출물과 자귀나무추출물을 함유하는 노화방지화장료 조성물
KR101124971B1 (ko) 함초캘러스 추출물 및 라미나리아 디지타타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주름개선또는 피부탄력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0081A (ko)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0688B1 (ko) 산자나무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3717B1 (ko) 연 캘러스 추출물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37465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0984163B1 (ko) 차요테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68534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96395B1 (ko) 화장품 원료 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9616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및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0860B1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58967B1 (ko) 화장용 마스크 팩
KR101947062B1 (ko) 복합 식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20120003171A (ko)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9475B1 (ko) 엉겅퀴를 포함하는 복합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73671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