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27772A -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27772A
KR20180027772A KR1020160114823A KR20160114823A KR20180027772A KR 20180027772 A KR20180027772 A KR 20180027772A KR 1020160114823 A KR1020160114823 A KR 1020160114823A KR 20160114823 A KR20160114823 A KR 20160114823A KR 20180027772 A KR20180027772 A KR 20180027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ganoderma lucidum
present
extract
near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4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2231B1 (ko
Inventor
김태양
이강태
이지영
권혁철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60114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2231B1/ko
Publication of KR20180027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77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22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22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2Face or body powders for grooming, adorning or absorb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반사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근적외선을 반사하여 열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PREVENTING NEAR INFRARED RAY CONTAINING EXTRACT OF GANODERMA LUCIDUM}
본 발명은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반사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근적외선을 반사하여 열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사람의 피부는 노화 과정에서 다양한 물리·화학적인 변화가 일어난다. 그 원인으로는 크게 내적인 노화(intrinsic aging)와 광노화(photo-aging)로 구분되며 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피부 노화는 자외선, 스트레스, 질병상태, 환경인자, 상처 등으로 인해 또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자유라디칼이 활성화되어 야기될 수 있으며, 이런 상태가 심화될 경우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 방어망을 파괴하고, 세포 및 조직을 손상시켜 성인병 및 노화를 촉진하게 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피부의 주요 구성물질인 지질, 단백질, 다당류 및 핵산 등이 산화되어 피부세포 및 조직이 파괴되고, 결국 피부 노화 현상이 생겨나는 것이다.
자외선은 가시광선보다 파장이 짧으며, 피부노화를 일으키는 원인 중 하나로 알려져 있으며, 자외선을 차단하기 위한 제품 개발을 위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적외선이 피부 노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최근에 열노화, 광노화라는 개념으로 설명되어 지고 있다.
열노화, 광노화의 주범은 보통 자외선으로 알려져 있으나, 최근 전자기파 스펙트럼에서 붉은색 띠에 인접한 사람의 눈에는 보이지 않는 영역인 780 내지 3000 nm 파장의 적외선이 피부노화를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다(Kim, M-S., et al. "Infrared exposure induces an angiogenic switch in human skin that is partially mediated by heat." British Journal of Dermatology 155.6 (2006): 1131-1138)).
대부분의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성분은 유기, 무기 자외선차단 성분이며, 천연물 성분으로부터 근적외선 반사 효능을 가지는 소재는 없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천연물로부터 근적외선 반사 효과를 가지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소재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275351호는 아민(amine), 아미드(amide) 및 폴리올(polyol)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적외선 또는 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는 근적외선 분광기(Near Infrared spectrometer)를 이용하여 천연물 시료의 반사율 측정하여,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추출물의 근적외선 영역에서의 근적외선 반사를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열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800 내지 1,300 nm 파장 영역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영지버섯 추출물은 영지버섯을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인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추출물은 천연 유래의 근적외선 반사소재로서 피부의 온도를 내려주어 열노화 방지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영지버섯 추출물의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처방예 2 및 비교처방예 1의 쿨링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는, 달리 정의되지 않는 이상, 하기의 정의를 가지며 본 발명의 관련 분야에서 통상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바와 같은 의미에 부합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는 바람직한 방법이나 시료가 기재되나, 이와 유사하거나 동등한 것들도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참고문헌으로 기재되는 모든 간행물의 내용은 본 발명에 도입된다. 용어 약이라는 것은 참조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에 대해 30, 25, 20, 25, 10, 9, 8, 7, 6, 5, 4, 3, 2 또는 1% 정도로 변하는 양, 수준, 값, 수, 빈도, 퍼센트, 치수, 크기, 양, 중량 또는 길이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를 통해, 문맥에서 달리 필요하지 않으면, 포함하다 및 포함하는 이란 말은 제시된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을 포함하나, 임의의 다른 단계 또는 구성요소, 또는 단계 또는 구성요소들의 군이 배제되지는 않음을 내포하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은 담자균류 구멍장이버섯목 불로초과의 버섯으로서, 전 세계에 널리 분포하고 있으며 주로 활엽수 뿌리 밑동이나 그루터기에 자생하고 있다. 1년생 버섯으로 여름에서 가을에 걸쳐 자라며 갓과 자루의 표면에 옻칠을 한 것과 같은 광택이 있는 것이 특징이다. 한방에서의 영지의 효능은, 심신안정, 기혈보충, 기침완화, 신경쇠약, 불면증 완화 등에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 암과 관련된 연구도 진행되고 있으며, 일부 동물실험 모델에서 영지의 항암효과도 보고된 바가 있다.
본 발명의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와 압력의 조건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a)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이용한 용매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c) 초음파 추출법 또는 (d) 발효 공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추출 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을 이용하였다.
본 발명에서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들어, 물,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및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헥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추출물은 상기 언급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컷-오프값을 갖는 한외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한 분리하거나 자연상태나 각종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산물에 의한 추출물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 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영지버섯 추출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다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더욱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수렴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수건 및 클렌징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워터 및 클렌징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영지버섯( Ganoderma lucidum )추출물의 제조
음건한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의 전초를 중량대비 7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50℃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였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와 실험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이들은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 근적외선 분광기(Near Infrared spectrometer) 측정
근적외선은 중간 적외선과 가시광선 사이에 해당되며, 약 800nm ~ 2500nm의 영역으로, 적외선 영역 중 태양의 복사열에 가장 가까운 적외선 파장으로써 공기를 가열하지 않고 물체에만 열파장을 전달하는 단파장의 광선이다.
제조예 1의 영지버섯 추출물에 대하여 근적외선 차단능을 측정하였다. 보다 상세하게는 MPA Near Infrared Spectrometer(Bruker)를 이용하였다. 시료는 시료의 간섭 영향이 없는 액체 용매에 용해하여 Reflection mod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는 도 1 및 표 1에 나타내었으며, x축은 파장(wavelength, nm)을 나타낸다. 도 1 및 표 1를 참조하면, 적외선 영역에서 파장을 반사를 많이 할수록 적외선 차단능이 우수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도 1에서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인 1100nm에서 약 0.25의 근적외선 반사율을 보임으로써, 본 발명의 영지버섯 추출물이 근적외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료명 시료 농도 반사율
(%, 1100nm)
반사율
(%, 1620nm)
제조예 1 10% 0.024 0.009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제형예를 설명하나, 여러 가지 제형으로 응용가능하며,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처방예 1 - 화장수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화장수의 처방예는 다음 표 2와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영지버섯 추출물(제조예 1) 2
글리세린 5
1.3-부틸렌글리콜 3
피이지 1500 1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EDTA-2Na 0.02
벤조페논-9 0.04
소듐히아루로네이트 5
에탄올 10
옥틱도데세스-16 0.2
폴리솔베이트 20 0.2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합계계 100
처방예 2 - 크림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중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 표 3과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영지버섯 추출물(제조예 1) 3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
스쿠알란 3
광물유 5
트리옥타노인 5
디메치콘 1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
베타인 3
트리에타올아민 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처방예 3 - 에센스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중 에센스의 처방예는 다음 표 4와 같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영지버섯 추출물(제조예 1) 3
글리세린 10
베타인 5
피이지 1500 2
알란토인 0.1
DL-판테놀 0.3
이.디.티.에이-2Na 0.02
벤조페논 - 9 0.04
히드록시에칠셀룰로오스 0.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8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2
트리에탄올아민 0.18
옥틸도데칸올 0.3
옥틸도데세스 -16 0.4
에탄올 6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비교처방예 1 - 크림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크림의 처방예는 다음 표 5와 같다. 비교처방예 1은 영지버섯 추출물(제조예 1)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처방예 2의 크림과 동일한 성분을 함유한다.
성분 함량(단위:중량%)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2
세테아릴알콜 2.2
스테아린산 1.5
밀납 1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6
경화식물유 1
스쿠알란 3
광물유 5
트리옥타노인 5
디메치콘 1
소듐마그네슘실리케이트 0.1
글리세린 5
베타인 3
트리에타올아민 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4
방부제, 향, 색소 미량
증류수 잔량
합계 100
실험예 2 - 화장료의 쿨링효과 테스트
본 발명의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의 쿨링 효과를 실제 사용 테스트를 통하여 평가하였다. 영지버섯추출물을 3 중량%를 함유하고 있는 처방예 2의 크림과, 비교처방예 1의 크림을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30명의 30-40세 남성과 여성의 전박 부위에 3x3cm 크기로 2부위를 표시하여 처방예 2의 크림과 비교처방예 1의 크림을 도포하였다. 시험 전 피부 온도를 측정한 후 시험 물질과 용매를 15초 간격으로 각각 18ul/cm2의 양을 적용하여 시간 경과 후 피부 온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은 Skin-Thermometer ST 500(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를 이용하였다. 시험 제형의 통계적 유의성 여부를 student t-test로 검증하였으며, p<0.05에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판정하여 그 결과를 아래의 표 6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단위 : ℃)
  0분 1분 2분 3분 4분 5분 6분 7분 8분 9분 10분
처방예 2 31.69 29.81 29.25 30.08 30.38 30.71 31.01 31.14 31.14 31.11 31.22
비교처방예 1 31.66 30.01 29.65 30.25 30.7 30.91 31.03 31.1 31.13 31.15 31.13
표 6 및 도 2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처방예 2)는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료(비교처방예 1)에 비하여 쿨링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러한 효과는 영지버섯 추출물의 근적외선 반사 효과에 의해 발생되는 것이다.

Claims (6)

  1.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열 또는 근적외선 영역의 파장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800 내지 1,300 nm 파장 영역을 반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온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지버섯 추출물은 영지버섯을 물, 탄소수 1-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 용매로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114823A 2016-09-07 2016-09-07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22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23A KR101862231B1 (ko) 2016-09-07 2016-09-07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4823A KR101862231B1 (ko) 2016-09-07 2016-09-07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7772A true KR20180027772A (ko) 2018-03-15
KR101862231B1 KR101862231B1 (ko) 2018-05-30

Family

ID=61660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4823A KR101862231B1 (ko) 2016-09-07 2016-09-07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22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7951B1 (ko) 2018-09-10 2020-07-27 윤성준 버섯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557706B1 (ko) * 2020-08-18 2023-07-24 주식회사 포러스젠 사포나린 및 영지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9162B1 (ko) * 2014-07-09 2015-01-05 박양수 피부 항산화효과가 있는 상황버섯과 천연복합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2231B1 (ko) 2018-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199B1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42311B1 (ko) 텐저레틴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20190028996A (ko) 여주, 감나무잎 및 비단풀의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자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7306B1 (ko) 황칠나무로부터 분리한 테트라데칸올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2231B1 (ko)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25708B1 (ko) 해삼 유래 사포닌 함유 화장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한 화장료조성물
KR101987421B1 (ko) 브라질넛씨 오일, 아프리칸월넛 오일, 망고 추출물 및 딸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74502B1 (ko) 회리바람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알러지용 및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2031106A (ja) カルボニル化抑制剤
KR101697235B1 (ko) 히비스커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적외선에 대한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99098A (ko) 허브추출물을 포함한 클렌징 화장료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20110030187A (ko) 꽃송이버섯, 신령버섯, 저령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8B1 (ko) 녹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51413B1 (ko) 바질시드에서 추출한 단백 다당체,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618595B1 (ko) 토마티딘을 함유하는 미숙 토마토 분해물 제조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87976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4021A (ko) 리포좀에 포획된 산삼 배양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74176B1 (ko)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855465B1 (ko) 안정화된 푸코잔틴의 마이크로캡슐 입자의 제조방법 및 동 방법에 의해 제조된 마이크로캡슐 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2656826B1 (ko) 프리클리페어열매, 서양측백나무잎 및 마돈나백합비늘줄기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2A (ko)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7982A (ko) 산사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84985B1 (ko) 수소 및 피톤치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40071713A (ko)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