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36122A -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36122A
KR20160036122A KR1020140127407A KR20140127407A KR20160036122A KR 20160036122 A KR20160036122 A KR 20160036122A KR 1020140127407 A KR1020140127407 A KR 1020140127407A KR 20140127407 A KR20140127407 A KR 20140127407A KR 20160036122 A KR20160036122 A KR 201600361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gold
extract
present
asai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7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문식
정욱순
김영헌
유은경
Original Assignee
장문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문식 filed Critical 장문식
Priority to KR1020140127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60036122A/ko
Publication of KR201600361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61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로우(Achillea milleforium L.), 바다제비집(Swiftlet Nest extract), 서양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 아사이(Euterpe oleraceal), 루이보스(Aspalathus linearis), 로즈힙(Rosa canina), 골드(gold)를 주원료로 하여 나노 에멀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s consisting of Achillea milleforium L., Swiftlet Nest extract, Hypericum perforatum, Euterpe oleraceal, Aspalathus linearis, Rosa canina, gold }
본 발명은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로우(Achillea milleforium L.), 바다제비집(Swiftlet Nest extract), 서양고추나물(Hypericum perforatum), 아사이(Euterpe oleraceal), 루이보스(Aspalathus linearis), 로즈힙(Rosa canina), 골드(gold)를 주원료로 하여 나노 에멀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허문헌 : 한국 출원번호 10-2010-0002424 호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 기술보다 유효 성분을 최대한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기 위해 노력한 결과, 본원 발명의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항산화 성분을 포함한 유효 성분을 풍부하게 선택적으로 농축하고 있으며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여 본 발명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은 하기의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 및 청구범위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을 통하여 얻은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0.1 중량% 내지 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5 중랑% 범위 내의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하여 종래의 화장료가 갖고 있는 피부 미용 증진 효과 이외에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는 나노 에멀전 추출물 형태로 가공되기 위해서 바람직하게 추출 단계 및 여과 단계, 나노 에멀젼 단계를 거친다. 나노 에멀젼 단계에서는 1 나노미터 내지 500 나노미터 크기를 가지도록 하여 피부에 도포시 피부 진피층 상층부까지 침투, 확산 될 수 있도록 제조한다.
참고로 입자 크기가 1 나노미터보다 작게 되면, 피부 침투는 용이하게 일어나지만, 지나치게 피부 깊숙히 침투되어 외부로의 배출이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입자 크기가 500 나노미터보다 크게 되면 피부 내로의 침투가 비효율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를 나노 입자 형태로 제조하기 위하여 고압, 고전단력을 이용한다. 그리하여 유화물을 균일한 나노크기의 입자로 만들어 줄 수 있으며, 이 때 사용하는 압력은 500 bar 내지 2,000 bar를 적용하며, 유속은 20 ml/min 내지 150ml/min으로 조절하여 작동한다.
나노 에멀전을 제조하는 단계에서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계면활성제에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으며,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레시틴,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저분자 알코올류의 보조계면활성제와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양은 0.01 중량% 내지 20 중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에서 사용한다.
이하의 비교예와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추출 단계에서는 40 내지 90℃의 온도로 1 내지 24 시간 동안 처리하여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유효 성분을 함유하며 피부 자극이 없고, 화장료용의 각종 기제 및 첨가제, 유기용제 등에 대한 용해성, 친화성 및 안정성이 좋았다.
본 발명은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진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용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엘라스타아제 활성능 저해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PIP 실험을 보여주는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의 농도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는 MMP-1 실험을 보여주는 그래프
본 발명은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를 나노 에멀전 추출기술을 적용하여 제조한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하는데 적합하다.
본 발명자는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는 생리활성물질을 특히 여과 공정을 통한 최대한 높은 수율로 수득할 수 있는 방법을 찾을 찾기 위해 아래 기재한 방법과 같이,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를 나노 에멀전 추출공정을 적용하여 유효성분의 함량이 증가됨을 확인하였고, 이를 화장료에 적용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복합체를 건조중량 기준으로 야로우 1 내지 50 중량%, 바다제비집 1 내지 50 중량%, 서양고추나물 1 내지 50 중량%, 아사이 1 내지 50 중량%, 루이보스 1 내지 50 중량%, 로즈힙 1 내지 50 중량%, 골드 1 내지 50 중량%의 배합비율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를 충분히 세척한 다음 건조 분쇄한 후 300 메시 크기를 통과할 수 있도록 미세한 분말로 제조하여 추출 공정에 사용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 공정에서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글리세린, 에틸아세테이트,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에틸에테르, 부틸렌글리콜, 헥산 및 이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 에탄올 수용액 또는 물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추출된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한다.
여과가 완료되면 본 발명의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나노 에멀전을 제조하기 위하여 고압, 고전단력을 이용하여 유화물을 균일한 나노크기의 입자로 만들어 준다.
나노 에멀전을 제조하기 위하여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계면활성제에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및 양쪽성 계면활성제 등이 있으며,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레시틴, 젤라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저분자 알코올류의 보조계면활성제와의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계면활성제의 양은 0.01 중량% 내지 20 중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0.5 중량% 내지 5 중량% 범위에서 사용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기대하는 화장료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 방법은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을 인간의 피부에 도포하는 모든 화장 방법을 일컫는다. 즉,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하는 당업계에 공지된 모든 방법이 본 발명의 화장 방법에 속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 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의 제조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를 건조중량 기준으로 각각 20g, 20g, 15g, 15g, 10g, 15g, 5g으로 계량하여 300 메시 체를 통과할 수 있도록 분쇄물을 미세하게 제조하여 최종 70%(V/V)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에탄올을 첨가하여 5시간씩 3회 환류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2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가 완료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추출단계에서 얻어진 추출 여과액을 농축하여 다시 나노 에멀전 단계를 적용하여 추출물 10g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제조
정제수 부분을 80℃로 가온하여 용해하는 단계와 80℃로 가온 용해한 유상부분을 첨가하여 유화를 실시하는 단계와 60℃에서 가온 용해한 증점제를 첨가 혼합하는 단계와 냉각하여 미용성분을 첨가하여 혼합하는 단계와 30℃까지 냉각하여 탈포, 여과하는 단계와 50℃에서 숙성 제조하는 단계를 실시하여 표 1에서와 같이 영양 크림을 제조하였다.
분류 원료명 무게(중량%)
정제수부분 정제수 60.36
프로필렌글리콜 5.0
글리세린 6.0
산탄검 0.1
트리에탄올아민 0.7
메칠파라벤 0.2
페녹시에탄올 0.1
본 발명의 나노에멀전 추출물 2.0
유상 성분 스쿠알란 8.0
세틸알콜 2.2
사이클로펜타실록산 2.0
스테아린산 1.5
글리세릴모노스테아레이트 1.0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 0.6
피이지-100 0.3
초산토코페롤 1.0
쉬이버터 1.0
프로필파라벤 0.1
오리자놀 0.1
비사보롤 0.2
디메치콘 0.5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소르비탄 0.8
증점제 카보머 0.24
정제수 2.4
미용 성분 아스코르빈산나트륨 0.1
인지질 1.0
프라센타엑기스 0.5
알로에엑기스 0.5
토코페롤아세테이트 0.5
알로에 추출물 1.0
합계 100.00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피부 자극성 및 보호 효과 확인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일정량(10m/5cm2)씩 도포하고, 그외의 부위를 알루미늄 호일로 차폐하여 30분 후에, 자외선 조사기를 이용하여 장파장 자외선을 10.2J/cm2의 용량으로 조사하고 24시간 후에 피부 상태(홍반, 부종, 구진 등)를 관찰하였다. 관찰 결과 피부에 홍반 등의 부작용이 발생되지 않아 상기 영양 크림은 광독성이 없으며 피부 보호 효과가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을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일정량(10m/5cm2)씩 도포한 실험군과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고 실시예 2를 제조하여 대조군으로 하여 1시간, 3시간, 6시간 후 피부 탄력성을 지름 10mm 테두리로 구성된 속이 비어있는 원통형으로 약 5N의 힘을 주어 자국이 사라지는 시간을 재어 비교해 본 결과 대조군에 비하여 각 시간별로 약 17% 수준으로 실험군에서 사라지는 것으로 보아 본 발명의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사용에 의해 피부 탄력성이 개선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피부 자극성 확인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40명(남자 20명, 여자 20명)의 전박부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인체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대상자의 전박부를 70% 에탄올로 잘 닦은 다음 그 부위에, 통상의 화장료 기제에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영양 크림을 20㎕씩 담은 핀 챔버를 점착 테이프를 이용하여 24시간 폐쇄 부착시켰다. 24시간 후에 점착 테이프와 핀 챔버를 제거하고, 가제로 피부에 잔존된 시료를 가볍게 닦아 제거한 뒤에 피부 상태를 관찰하고 다시 24시간 후에 한번 더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크림의 피부 자극성을 확인하기 위한 인체 첩포 시험에서 양성 반응을 보이지 않아 인체 피부에 자극성이 전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3> 본 발명의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농도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 실험
N-succinyl-(L-Ala)3-p-nitroanilide을 substrate로 하여 elastase에 의하여 생성되는 반응 산물인 노란색의 p-nitroaniline이 흡광을 나타내는 점을 이용하였다.
0.1M Tris-HCl(pH8.0) 100ul 에 3.2 mM의 N-succinyl-(L-Ala)3-p-nitroanilide 25ul, 1ug/ml Porcine pancreatic elastase 25ul를 섞고 각 sample을 농도별로 50ul를 혼합하고 대조군에는 sample대신 buffer를 첨가하여 37℃에서 15분간 반응 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1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다음 식으로 저해율을 구하여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본 발명의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농도에 따라 엘라스타아제 저해율이 감소하여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농도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는 콜라겐 생선 촉진 실험
피부 섬유아세포(HDFn)를 48-well plate에 5×104 cells/well의 농도로 배양배지 0.3 mL로 접종하여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경과후 추출물을 농도별로 포함한 새로운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모아서 enzymes-linked immunoassay kit (Takara사)를 이용하여 콜라겐 전구체의 C-말단의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콜라겐 용액 (640 ng/mL)을 이용하여 콜라겐 농도 0ng 내지 640ng 사이의 표준곡선을 얻어 배지에 있는 콜라겐 양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 농도에 따라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본 발명에 따른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농도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보여주는 MMP-1 실험
피부 섬유아세포(HDFn)를 48-well plate에 50,000 cells/well의 농도로 배양 배지 0.3 mL로 접종하여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추출물을 농도별로 포함한 새로운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다음 배양액을 모아서 enzymes-linked immunoassay kit (R&D사)를 이용하여 MMP-1 양을 측정하였다. 또한, MMP-1 용액 (180 ng/mL)을 이용하여 MMP-1 농도 0ng 내지 10,000pg 사이의 표준곡선을 얻어 배지에 있는 MMP-1 양을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3에서와 보여주듯이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농도에 따라 MMP-1 양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언급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됐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하여지는 것으로 본 발명과 균등 범위에 속하는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을 포함할 것이다.

Claims (4)

  1.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 에멀전 추출물은 건조중량 기준으로 0.01 내지 10 중량% 양으로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은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나노 에멀전 추출물이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40127407A 2014-09-24 2014-09-24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07A KR20160036122A (ko) 2014-09-24 2014-09-24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7407A KR20160036122A (ko) 2014-09-24 2014-09-24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6122A true KR20160036122A (ko) 2016-04-04

Family

ID=55799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7407A KR20160036122A (ko) 2014-09-24 2014-09-24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6003612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0168A (zh) * 2019-05-07 2019-06-28 郑州轻工业学院 一种快速制备高耐盐纳米金颗粒的方法
KR102313646B1 (ko) 2021-04-09 2021-10-18 주식회사 리베코스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한 쓴풀, 서양고추나물 및 하늘타리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40168A (zh) * 2019-05-07 2019-06-28 郑州轻工业学院 一种快速制备高耐盐纳米金颗粒的方法
KR102313646B1 (ko) 2021-04-09 2021-10-18 주식회사 리베코스 천연 공융용매로 추출한 쓴풀, 서양고추나물 및 하늘타리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9965B1 (ko) 새싹보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0A (ko) 쌀, 치아씨드, 녹두, 귀리, 퀴노아, 율무, 실크단백질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5580B1 (ko) 마테 추출물 및 트라넥삼산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50292B1 (ko) 천삼, 녹각영지, 백호은침으로 구성된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036123A (ko) 은이버섯, 바다포도, 천화분, 백차, 연자육, 에버라스팅, 나노화백금으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19A (ko) 마린콜라겐, 다시마, 모즈쿠, 클로렐라, 모자반, 연어알, 캐비어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00872B1 (ko) 개똥쑥 발효 초고압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2A (ko)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37540A (ko) 쑥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용 조성물
KR20090105222A (ko) 모공 축소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1A (ko) 썸머스노우플레이크, 에델바이스, 동충하초, 로얄젤리, 눈연꽃으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4A (ko) 참마, 알로에, 당근, 솔잎, 달팽이로 구성된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9530A (ko) 침향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101901133B1 (ko)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3736B1 (ko) 효소 처리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20160036118A (ko) 감잎, 율피, 가자, 바실잎, 위치하젤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09768B1 (ko) 감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노화 방지용화장료 조성물
KR101874176B1 (ko)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60003916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또는 안색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51751A (ko) 탈모 방지 및 두피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210012536A (ko) 연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티-폴루션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595141B1 (ko) 피부 개선용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5683A (ko) 쇠뜨기, 마테 잎, 광나무 열매로 구성된 식물 복합체의 나노 에멀전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