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74176B1 -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74176B1
KR101874176B1 KR1020160056582A KR20160056582A KR101874176B1 KR 101874176 B1 KR101874176 B1 KR 101874176B1 KR 1020160056582 A KR1020160056582 A KR 1020160056582A KR 20160056582 A KR20160056582 A KR 20160056582A KR 101874176 B1 KR101874176 B1 KR 1018741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ylene glycol
ginseng leaf
ginseng
leaf extract
ginseno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6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6316A (ko
Inventor
허준혁
박용운
임영호
최영아
박성민
이정노
김우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Priority to KR1020160056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741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3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741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741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1/00Solvent extraction
    • B01D11/02Solvent extraction of solids
    • B01D11/0288Applications, solv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추출물 제조시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고, 초음파 또는 초고압 처리를 병행함으로써, 아토피 피부염이나 미백에 효능이 있는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의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인삼잎 추출물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잎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Making Method of Ginseng Leaf Extract Enriched at least one of Ginsenoside F1 and F2 Comprising Extracting Ginseng Leaf by Butylene Glycol}
본 발명은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을 수확한 후 폐기되는 인삼잎에는 지리적 차이나 계절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진세노사이드 Re, Rd, Rb2의 함유량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인삼 내의 진세노사이드를 활용하기 위하여 추출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인삼잎에 함유된 진세노사이드를 추출하기 위해서 원료인 인삼잎을 탈지하고, 에탄올로 추출하며, 추출물에서 소수성 물질을 제거한 후 에틸아세테이트로 분획하여 진세노사이드 F1을 수득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이외에도 인삼잎을 다양한 용매로 추출하는 것이 시도되고 있으며, 예를 들면, 인삼잎을 정제수나 에탄올로 추출하는 방법이 있다. 하지만, 인삼잎을 정제수로 상온에서 추출할 경우에는 효능 성분의 함량이 낮으며, 함량을 높이기 위해 에탄올 등의 용매로 추출할 경우에는, 제조된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 등에 포함시 제형 안정성이 떨어져 별도로 용매를 제거하는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인삼잎을 추출할 경우 잎에 포함된 클로로필 등의 색소 등이 함께 추출되며, 색소 등을 제거하기 위해 실리카겔을 활용한 정제법들이 개발되어 있으나 이러한 방법을 거치게 되면 생산 비용이 과도하게 높아져 화장료 조성물로 활용하기가 어렵다. 인삼잎 추출물 내의 유효성분이 낮을 경우에는 과량의 추출물을 사용하게 되어 제형의 변색 등이 발생한다. 따라서, 원하는 유효성분을 고농도로 포함하면서 제조 공정이 비교적 간단한 인삼잎 추출 방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부틸렌글리콜은 보습제로 사용되며, 건조함을 방지하는 배리어를 형성하고, 습도가 높은 대기 중의 수분이 막이 형성된 안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한다. 또한 부틸렌글리콜은 화장품에 녹지 않는 물질의 결정화를 막으며, 물에 녹지 않는 물질의 용해를 돕는다. 부틸렌글리콜 자체가 항미생물 효과를 가지고 있으므로 화장품의 부패를 방지하며, 우수한 분배계수를 가지므로 방부제가 제형에 더욱 효과적으로 작용하게 만들어 방부제를 보다 적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부틸렌글리콜은 일반적으로 피부에 적용시 해가 없고, 장시간 적용했을 때에도 자극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발명자들은 인삼잎으로부터 유효성분을 경제적이면서도 간단한 공정으로 얻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 연구하였고, 추출 용매로서 안정성이 확인되고, 보습제로서 기능하는 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고, 추출시 초고압 처리 또는 초고압 처리를 병행함으로써 유효성분인 진세노사이드 F1 및 F2 중 적어도 하나의 성분의 함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3-0113718호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의 인삼잎 추출물 제조 방법이 여러 단계를 거쳐야 하고, 추출시 사용된 용매를 제거해야 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은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인삼잎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인삼잎 추출물 제조 방법으로 추출된 인삼잎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삼잎 추출물은 추출물 제조시 부틸렌글리콜을 사용하고, 초음파 또는 초고압 처리를 병행함으로써,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의 함량이 증가된다. 부틸렌글리콜은 보습 효과가 우수하고, 피부 안정성이 확인되었으며, 미생물에 대한 안정성이 높으므로 용매를 제거할 필요가 없고,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에는 아토피 피부염이나 탈모방지, 미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의 함량이 높으므로 다른 추출 용매를 사용할 때에 비해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른 인삼잎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가장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추출물은 원료 또는 이의 건조물로부터 추출하여 얻을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의 원료는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원료로서 인삼 새싹, 인삼잎 및 인삼 줄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가 이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인삼 새싹 또는 인삼잎이 이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인삼잎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추출 과정은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이후에 농축 또는 동결건조 등의 단계를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또한 부유하는 고체 입자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여 입자를 걸러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수득한 추출물을 감압 농축하여 농축액을 얻고, 상기 농축액을 동결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고농도의 추출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부틸렌글리콜은 5~100%(v/v)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5~35%(v/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부틸렌글리콜의 농도가 너무 낮으면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의 추출 함량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부틸렌글리콜의 농도가 너무 높으면 진세노사이드 F1, F2 추출 효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부틸렌글리콜 20%(v/v) 수용액을 용매로 하고 초음파 또는 초고압 조건에서 인삼잎을 추출할 경우 정제수를 용매로 사용하거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의 함량이 증가된다(표 1 참조).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의 추출 함량을 높이기 위해서, 부틸렌글리콜에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등과 같은 다가 알코올을 혼합한 혼합물을 추출 용매로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부틸렌글리콜은 인삼잎 대비 중량 기준으로 1배 내지 20배 첨가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배 내지 15배 첨가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배 내지 10배 첨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부틸렌글리콜을 하한값 미만으로, 즉 중량 기준으로 인삼잎보다 적은 양으로 투입하면 인삼잎이 부틸렌글리콜에 충분히 침지되지 않아 투입되는 인삼잎 전체에 대해 추출이 수행되지 않고 일부 시료에서만 추출이 진행되어 수득된 추출물 내의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의 양이 적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부틸렌글리콜을 상한값을 초과하여 투입할 경우에는 인삼잎에 비해서 부틸렌글리콜의 양이 상대적으로 많아져 추출 후 얻어진 추출물 내의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의 함량이 낮아지며, 인삼잎 추출물 내의 유효성분이 낮을 경우에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시 과량의 추출물을 사용하게 되어 제형의 사용감이 변하거나, 화장품에서 부틸렌글리콜이 지닌 특이취가 발생하여 상품성을 저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인삼잎에 대하여 중량 기준으로 10배가 되도록 처리하고, 이들 혼합물에 초음파 또는 초고압 처리하여 추출할 경우, 정제수를 용매로 사용하거나, 에탄올을 용매로 사용하며, 동일한 초음파 또는 초고압 처리하여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서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의 함량이 증가된다(표 1 참조).
상기 추출은 초고압 처리 또는 초음파 처리를 병행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초고압 처리는 10 내지 100MPa의 압력을 가하여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90MPa의 압력을 가하여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Mpa의 압력을 가하여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초고압 처리는 상온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초고압 처리를 하한값 미만의 조건에서 수행하면,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가 충분히 추출되지 않고, 상한값을 초과하는 조건에서 수행하면, 추출 효율 대비 비용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인삼잎에 처리하고, 40MPa의 압력을 30분 동안 가하여 추출하면,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용매로 하면서 압력을 가하지 않은 경우나, 동일한 압력 조건에서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서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의 함량이 증가된다(표 1 참조).
상기 초음파 처리는 20 내지 100KHz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90KHz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80KHz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초음파 처리를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범위에서 수행하면,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가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는,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인삼잎에 처리하고, 40KHz의 초음파를 40℃에서 처리하여 추출하면,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용매로 하면서 초음파 처리하지 않은 경우나, 동일한 초음파 조건에서 정제수 또는 에탄올을 용매로 하여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서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의 함량이 증가된다(표 1 참조).
상기 초음파 처리는 10 내지 100℃에서 수행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80℃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상기 초음파 처리를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온도에서 수행하면,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가 충분히 추출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인삼잎 추출물 제조 방법으로 추출된 인삼잎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또한 상기 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인삼잎 추출물은 미백 또는 아토피 피부염에 대한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를 필요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잎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01 내지 3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그 함량이 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에 의한 효과가 미미할 수 있으며, 3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투입 농도 대비 진세노사이드 F1 또는 F2에 의한 효과가 상대적으로 낮을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를 사용하여 액체 또는 고체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액체 또는 고체 형태의 화장품으로는, 예를 들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화장수, 크림제, 로션제, 입욕제 등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기제, 보조제 및 첨가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물,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스테아르산, 글리세롤, 세틸알코올, 유동 파라핀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발명의 인삼잎 추출물뿐만 아니라,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본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단독 또는 중복 도포하여 사용하거나, 본 발명 이외의 다른 화장료 조성물과 중복도포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균 사멸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은 통상적인 사용 방법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피부 상태 또는 취향에 따라 그 사용횟수를 달리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1-1] 상온에서 추출
부틸렌글리콜을 정제수에 혼합하여 제조된 부틸렌글리콜 20%(v/v), 40%(v/v) 수용액을 각각 건조된 인삼잎 1kg에 중량 기준으로 10배 되도록 넣은 후, 3일간 25℃에서 추출하였다. 비교예로서, 부틸렌글리콜 대신에 정제수, 30%(v/v) 에탄올 수용액, 70%(v/v) 에탄올 수용액, 100%(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추출 용매를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온도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인삼잎 농축액 50g 이상을 얻었다.
[1-2] 초고압 조건에서 추출
부틸렌글리콜 20%(v/v), 40%(v/v) 수용액을 각각 건조된 인삼잎 1kg에 중량 기준으로 10배 되도록 넣은 후 초고압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원료와 용매 혼합물에 40MPa의 압력을 30분간 처리하였다. 비교군으로서, 부틸렌글리콜 대신에 정제수, 30%(v/v) 에탄올 수용액, 70%(v/v) 에탄올 수용액, 100%(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추출 용매를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인삼잎 농축액 50g 이상을 얻었다.
[1-3] 초음파 조건에서 추출
부틸렌글리콜 20%(v/v), 40%(v/v) 수용액을 각각 건조된 인삼잎 1kg에 대하여 중량 기준으로 10배 되도록 넣은 후 초음파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원료와 용매 혼합물을 소니케이터(Sonicator)에 넣은 다음, 초음파 처리를 40KHz, 40℃ 조건에서 30분간 수행하였다. 비교예로서, 부틸렌글리콜대신에 정제수, 30%(v/v) 에탄올 수용액, 70%(v/v) 에탄올 수용액, 100%(v/v) 에탄올 수용액을 사용하였으며, 추출 용매를 다르게 한 것 이외에는 동일한 초음파 조건에서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을 감압 농축기로 농축하여 인삼잎 농축액 50g 이상을 얻었다.
진세노사이드 함량 확인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 농축액에 정제수를 3배수 가하여 희석시킨 후, 진세노사이드 함량 변화를 HPLC를 이용하고, 건강기능식품 공전에 명시된 통상적인 시험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진세노사이드 함량 측정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진세노사이드 함량(㎎/㎖)
추출 조건 추출 용매 Rb1 Rd Re Rg1 F1 F2




상온



부틸렌글리콜 20%(v/v) 0.081 0.596 1.915 0.938 0.360 0.278
정제수 0.082 0.571 1.830 0.898 0.305 0.273
30%(v/v) 에탄올 수용액 0.088 0.660 1.944 0.943 0.436 0.320
70%(v/v) 에탄올 수용액 0.090 0.754 2.017 0.986 0.492 0.412
100%(v/v) 에탄올 수용액 0.046 0.440 1.139 0.587 0.296 0.248




초고압



부틸렌글리콜 20%(v/v) 0.016 0.203 2.141 1.620 0.720 0.550
정제수 0.018 0.409 1.055 1.940 0.553 0.538
30%(v/v) 에탄올 수용액 0.095 0.776 2.521 1.257 0.695 0.439
70%(v/v) 에탄올 수용액 0.118 0.885 2.365 1.130 0.606 0.383
100%(v/v) 에탄올 수용액 0.072 0.677 1.840 0.914 0.474 0.327




초음파



부틸렌글리콜 20%(v/v) 0.025 0.268 2.378 1.615 0.706 0.506
정제수 0.053 0.655 1.401 1.932 0.591 0.489
30%(v/v) 에탄올 수용액 0.119 0.957 2.742 1.347 0.650 0.469
70%(v/v) 에탄올 수용액 0.122 0.955 2.542 1.224 0.648 0.416
100%(v/v) 에탄올 수용액 0.095 0.889 2.394 1.170 0.605 0.419
각 추출물 내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확인한 결과, 진세노사이드 F1, F2는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보다 초고압, 초음파 조건에서 추출시 추출 수율이 높았다. 사용된 추출 용매에 대하여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한 경우, 정제수 또는 30~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경우에 비해서 F1, F2 함량이 높았다.
초고압 조건에서 F1 함량의 경우 정제수나, 30~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보다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한 추출물이 1.5배 이상으로 높았다. 또한, 초고압 조건에서 F2 함량의 경우 정제수나, 30~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한 추출물보다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한 추출물이 약 1.7배 이상으로 높은 수득율을 나타내었다.
초음파 조건에서 역시 정제수나, 30~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한 경우 F1 함량이 높았고, 특히 부틸렌글리콜추출물은 정제수 추출물 대비 F1 함량이 약 20% 증가하였다. F2에 대해서도, 정제수나, 30~100%(v/v) 에탄올 수용액으로 추출하는 경우에 비해서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한 경우 F1 함량이 약 22% 증가하였다.
한편 부틸렌글리콜 수용액을 5%(v/v) 내지 35%(v/v) 범위 외의 농도로 사용할 경우에는 아래 표와 같이 추출 수율이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부틸렌글리콜 0%(v/v) 부틸렌글리콜 20%(v/v) 부틸렌글리콜 40%(v/v)
상온
진세노사이드 F1 0.305 0.360 0.251
진세노사이드 F2 0.273 0.278 0.256
초고압
진세노사이드 F1 0.553 0.720 0.326
진세노사이드 F2 0.538 0.550 0.521
초음파
진세노사이드 F1 0.591 0.706 0.341
진세노사이드 F2 0.489 0.506 0.426
부틸렌글리콜의 경우 피부에 보습 효과를 부여하고 피부 안전성이 높아 추출 후 용매를 별도로 제거하지 않아도 되며, 미생물의 오염에 대하여 안전한 특성이 있고, 상기 표 1의 결과와 같이 부틸렌글리콜을 추출 용매로 사용하였을 때 F1, F2의 함량이 높으므로, 본 발명의 부틸렌글리콜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경제적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1)

  1.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 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상기 부틸렌글리콜은 20%(v/v)이고,
    상기 추출은 초고압 처리 또는 초음파 처리를 병행하여 수행되는 방법.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틸렌글리콜은 인삼잎 대비 중량 기준으로 1배 내지 20배 첨가되는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부틸렌글리콜은 인삼잎 대비 중량 기준으로 1배 내지 15배 첨가되는 방법.
  6. 삭제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고압 처리는 10 내지 100Mpa의 압력을 가하여 수행되는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처리는 20KHz 내지 100KHz의 초음파로 10 내지 100℃에서 수행되는 방법.
  9. 청구항 1, 청구항 4, 청구항 5, 청구항 7 및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의 제조 방법으로 추출된 인삼잎 추출물.
  10. 청구항 9의 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11. 청구항 9의 인삼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60056582A 2016-05-09 2016-05-09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1018741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582A KR101874176B1 (ko) 2016-05-09 2016-05-09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6582A KR101874176B1 (ko) 2016-05-09 2016-05-09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316A KR20170126316A (ko) 2017-11-17
KR101874176B1 true KR101874176B1 (ko) 2018-07-03

Family

ID=60808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6582A KR101874176B1 (ko) 2016-05-09 2016-05-09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741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12023A4 (en) * 2018-06-21 2021-08-11 GS Caltex Corporation SOLVENT COMPOSITION FOR THE EXTRACTION OF NATURAL SUBSTANC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이기용, "산약, 천화분 및 산삼배양근의 추출 방법에 따른 화장품적 효능 평가", 충북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16.02.)
이기용, "조직배양 산삼(Panaxginseng C.A.Meyer) 배양근의 추출방법에 따른 화장품적 효능 평가",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0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316A (ko) 2017-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886B1 (ko) 천연 방부 조성물
KR101780863B1 (ko) 홍삼 에탄올 추출물의 부탄올 분획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7353B1 (ko) 오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온도 조절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0348B1 (ko) 용암해수 물티슈 조성물
KR20120029116A (ko) 편백나무 잎 발효물을 이용한 아토피 피부염 개선제 조성물
KR101874176B1 (ko) 인삼잎을 부틸렌글리콜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f1 및 f2중 적어도 하나가 강화된 인삼잎 추출물의 제조 방법
KR20190066409A (ko)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40769B1 (ko) 모링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세먼지 흡착 또는 제거용 조성물
KR101908476B1 (ko) Rx 컴플렉스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3944B1 (ko)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62231B1 (ko) 영지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근적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1686B1 (ko) 화장료 조성물
KR101423552B1 (ko) 건조트러블 개선을 위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2420B1 (ko) Rx 콤플렉스 엠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9373B1 (ko) 소두구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01133B1 (ko) 어수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45691A (ko) 용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36122A (ko) 야로우, 바다제비집, 서양고추나물, 아사이, 루이보스, 로즈힙, 골드로 구성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931985B1 (ko) 표고버섯 및 표고버섯 청국장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0085B1 (ko)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20160061601A (ko) 모로헤이야, 은행잎 및 클로렐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조성물
KR102609801B1 (ko) 소루쟁이와 승마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타민 c에 의한 피부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10530A (ko) 배 초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7858A (ko) 천연 식물 추출물과 pha를 함유한 피부 보습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6882B1 (ko) 소프넛 초임계 추출방법 및 소프넛 추출액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