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409A -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409A
KR20190066409A KR1020170166104A KR20170166104A KR20190066409A KR 20190066409 A KR20190066409 A KR 20190066409A KR 1020170166104 A KR1020170166104 A KR 1020170166104A KR 20170166104 A KR20170166104 A KR 20170166104A KR 20190066409 A KR20190066409 A KR 201900664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cosmetic composition
skin
extraction
moistur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1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승현
박현우
이광식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701661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66409A/ko
Publication of KR201900664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409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흰들버섯(Agaricus blazei Murill ),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Dicks.) S. F.), 상황버섯(Gray, Phellinus linteus) 및 꽃송이버섯(Sparasis crispa ( Wulf .) Fr .)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피부 보습 효과 및 피부장벽 개선효과가 우수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Moisturizing Skin Comprising Agaricus blazei Murill, Inonotus Obliquus, Grifola frondosa, Phellinus linteus and Sparasis crispa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흰들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Dicks.) S. F.), 상황버섯(Gray, Phellinus linteus) 및 꽃송이버섯(Sparasis crispa ( Wulf .) Fr .)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다양한 외부 자극으로부터 몸을 보호하며 내측의 수분을 막는 장벽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피부의 표피층에서는 분화되는 과정을 통하여 수분을 함유하면서 얇은 각질층으로 발달하게 된다. 구조적으로 각질층의 세포들은 벽돌과 같은 역할을 하며, 각질세포의 세포간 지질들은 몰타르로 작용하여 피부 장벽을 구성하게 된다.
그러나, 인체는 노화되면서 건조한 피부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대기오염 및 실내난방 등으로 인해 피부 보습제의 필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피부 보습제로 당류, 다가 알코올이 일반적인 보습제로서 화장료에 배합되어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러한 보습제는 피부에 끈적임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고, 피부에 충분한 보습효과 및 지속적인 보습효과를 주지 못하는 문제점도 있었다. 또한, 습도가 매우 높은 여름철에는 오히려 외부로부터 수분을 끌어와 피부가 끈적이고, 겨울에는 외부 대기의 습도가 낮아 오히려 피부에서 수분을 끌어당겨 피부가 건조해지는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
수분은 인체에 필요한 생리활성 물질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며 피부가 부드럽고 촉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준다. 그러나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습관적 요소,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등으로 인해 그 기능이 쉽게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여러 유해 요인들이 늘어난 최근에 들어서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겪는 사람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여러 가지 화장료 조성물들은 당, 폴리올 등 다양한 보습제를 이용하여 피부의 건조함을 개선하고자 노력해 왔다. 예컨대, 피부 구성성분인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 등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피부로부터 증발하는 수분을 억제하거나 피부 표면에서 물 분자와 쉽게 결합하여 각질층 내 수분을 유지시켜 주는 각질층 내의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NMF)인 아미노산류, 피롤리돈 카르본산 나트륨, 젖산염 및 수분과 결합하는 능력이 강한 히아루론산(Hyaluronic Acid), 당, 폴리올 등을 이용해 피부 수분 보유능력을 강화해 피부의 보습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나아가, 최근 외부 화학 물질 등에 의한 피부 자극을 줄이기 위해 천연물을 사용한 화장품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천연물 재료는 피부에 부작용이 적을 뿐만 아니라, 천연 재료를 이용한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들의 요구가 높아짐에 따라 화장품 원료로서 개발 가치가 한층 늘어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63890호는 차가버섯, 말굽잔나비버섯, 신령버섯 및 노루궁뎅이버섯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제10-2014-0101875호는 잎새버섯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지 산생을 촉진하기 위한 조성물에 관하여 기재되어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이제까지 알려지지 않은 여러 천연물 재료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흰들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Dicks.) S. F.), 상황버섯(Gray, Phellinus linteus) 및 꽃송이버섯(Sparasis crispa ( Wulf .) Fr.)을 선정하고 이로부터 추출물을 제조하여 보습효과를 측정한 결과, 그 효능이 매우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함유하여 보습효과를 나타내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의 효능을 극대화하기 위해 초임계, 초음파 및 발효 추출물을 제조하고 정제과정을 거쳐 효능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흰들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Dicks.) S. F.), 상황버섯(Gray, Phellinus linteus) 및 꽃송이버섯(Sparasis crispa ( Wulf .) Fr .)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a) 물,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핵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초임계추출법, (c) 초음파 추출법, 및 (d)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추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보습 효과 및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 중 유효 성분으로 사용되는 흰들버섯(Agaricus blazei Murill)은 브라질에서 자생하는 주름버섯목 주름버섯과의 버섯으로서 항암효과 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서 인공 재배되고 있다. 여러 균주의 자실체와 균사 배양물에서 항암기능을 확인하는 등 이들이 생성하는 단백질 및 다당류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β-Glucan 등 담자균 유래의 다당류들은 생체의 저하된 면역기능을 회복 또는 증강시키고 특별한 부작용이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흰들버섯은 흰들버섯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수피, 가지, 꽃, 뿌리, 열매, 줄기 등) 중 전초를 사용한다.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은 시베리아와 북아메리카, 북유럽 등 북위 45도 이상 지방의 자작나무에 기생하는 버섯으로 암 등 성인병 치료에 효능이 뛰어나다. 바이러스에 의해 착생하여 수액을 먹고 자라는데, 대개 15∼20년 동안 성장한다. 여러 가지 물질이 들어 있는데, 다른 버섯에 비해 베타글루칸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본 발명의 차가버섯은 차가버섯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수피, 가지, 꽃, 뿌리, 열매, 줄기 등) 중 전초를 사용한다.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Dicks.) S. F.)은 은행나뭇잎처럼 생긴 갓들이 여러겹 겹쳐져 자실체 다발을 이루고 색은 흑색, 흑갈색, 회갈색, 백색이다. 갓 표면에는 방사상의 섬유무늬와 희미한 고리무늬가 있고 밑면의 관공은 백색, 길이 1~3mm, 자루에 내린형이고, 구멍은 원형이다. 가을에 참나무류 등 활엽수류 생입목, 고사목의 밑동부위에서 사물기생하여 다발로 발생한다. 맛과 향기가 좋아 식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잎새버섯은 잎새버섯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수피, 가지, 꽃, 뿌리, 열매, 줄기 등) 중 자실체를 사용한다.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목질진흙버섯이라고도 하며, 동의보감에서는 상목이(桑木耳)라는 이름으로 탕액편에 기록되어 있다. 갓은 지름 6~12cm, 두께 2~10cm로, 반원 모양, 편평한 모양, 둥근 산 모양, 말굽 모양 등 여러 가지 모양을 하고 있다. 표면에는 어두운 갈색의 털이 짧고 촘촘하게 나 있다가 자라면서 없어지고 각피화한다. 검은빛을 띤 갈색의 고리 홈이 나 있으며 가로와 세로로 등이 갈라진다. 가장자리는 선명한 노란색이고 아랫면은 황갈색이며 살도 황갈색이다. 자루가 없고 포자는 연한 황갈색으로 공 모양이다. 항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귀중한 약재로서 한국에서는 대량으로 재배하고 있다. 약용하기 위해 달이면 노란색이거나 연한 노란색으로 맑게 나타나며, 맛과 향이 없는 것이 특징이다. 맛이 순하고 담백하여 먹기에도 좋다. 본 발명의 상황버섯은 상황버섯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수피, 가지, 꽃, 뿌리, 열매, 줄기 등) 중 전초를 사용한다.
꽃송이버섯(Sparasis crispa (Wulf.) Fr.)은 여름에서 가을까지 침엽수의 자른 그루터기나 죽은 나무의 언저리에서 자생한다. 자실체는 높이 10∼25cm로 육질이고 밑부분은 굵은 줄기로 공통의 자루가 되어 있으며, 여러 차례 가지를 쳐서 꼭대기는 편평하게 되고 그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다. 자실층은 꽃잎 뒷면에 발달하였다. 버섯대는 길이 2∼5cm, 나비 2∼4cm로 짧고 뭉툭하며 단단하다. 버섯대의 살은 흰색이다. 홀씨는 길이 5∼7㎛, 나비 3∼5㎛로 달걀 모양 또는 타원형이고 표면은 편평하며 홀씨 무늬는 흰색이다. 식용버섯이다. 본 발명의 꽃송이버섯은 꽃송이버섯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예: 잎, 수피, 가지, 꽃, 뿌리, 열매, 줄기 등) 중 전초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을 의미한다.
또한, 본 발명의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a) 용매추출법, (b)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및 고온에 의한 초임계 추출법, (c) 초음파 추출법 또는 (d) 발효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한다.
본 발명에서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다양한 추출용매, 예를 들어, 물,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부탄올),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디에틸에테르, 에틸 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핵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얻을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70 %(v/v) 에탄올 또는 물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0 %(v/v) 에탄올을 사용하여 얻어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상기한 추출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추출 용매를 이용하여도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이 얻어질 수 있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상술한 추출 용매에 의한 추출물뿐만 아니라, 통상적인 정제 및 발효 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한다. 예컨대,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 초음파를 이용한 추출법에 의한 추출, 일정한 분자량 컷-오프 값을 갖는 한외 여과막을 이용한 분리,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해 제작된 것)에 의해 분리하거나 자연 상태나 각종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산물에 의한 추출물 등, 추가적으로 실시된 다양한 정제 및 추출방법을 통해 얻어진 활성분획도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이 상온에서 냉침, 가열 여과하여 얻어진 액상물, 추가로 용매를 감압농축 또는 동결 건조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이산화탄소에 의한 감압, 고온에 의한 초임계추출법에 의한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 추출법(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초임계 유체는 기체가 고온 고압 조건에서 임계점에 도달하였을 때 갖는 액체 및 기체의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화학적으로 비극성 용매와 유사한 극성을 지니고 있으며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초임계 유체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에 사용되고 있다(J. Chromatogr. A. 1998;479:200-205).
이산화탄소는 초임계 유체기기의 작동으로 압력 및 온도가 임계점까지 이르는 과정을 거치면서 액체 및 기체 성질을 동시에 지닌 초임계 유체가 되고 그 결과 지용성 용질에 대한 용해도가 증가한다. 초임계 이산화탄소가 일정량의 시료를 함유한 추출 용기를 통과하게 되면 시료에 함유된 지용성 물질은 초임계 이산화탄소에 추출되어 나온다.
지용성 물질을 추출한 후 추출 용기에 남아있는 시료에 다시 소량의 공용매가 함유된 초임계 이산화탄소를 흘려 통과시키면 순수한 초임계 이산화탄소만으로는 추출되지 않았던 성분들이 추출되어 나오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초임계추출법에 사용되는 초임계 유체는 초임계 이산화탄소 또는 이산화탄소에 추가적으로 공용매를 혼합한 혼합유체를 사용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유효 성분을 추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용매는 클로로포름, 올리브 오일,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올리브 오일, 에탄올, 메탄올, 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대부분 이산화탄소를 함유하고 있는데 이산화탄소는 실온에서 공기 중으로 휘발되므로 상기 방법으로 얻은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으며, 공용매는 감압증발기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초음파 추출법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발생되는 에너지를 이용하는추출방법으로, 초음파가 수용성 용매 속에서 시료에 포함된 불용성인 용매를 파괴시킬 수 있으며, 이때 발생되는 높은 국부온도로 인하여 주위에 위치하는 반응물 입자들의 운동에너지를 크게 하기 때문에 반응에 필요한 충분한 에너지를 얻게 되고, 초음파에너지의 충격효과로 높은 압력을 유도하여 시료에 함유된 물질과 용매의 혼합 효과를 높여주어 추출효율을 증가시키게 된다.
초음파 추출법에 사용할 수 있는 추출용매는 클로로포름, 에탄올, 메탄올, 물, 에틸아세테이트, 핵산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추출된 시료는 진공 여과하여 여과액을 회수한 후 감압증발기로 제거하고, 동결 건조하는 통상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통해 추출물을 얻을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발효과정을 거친 추출물도 포함하는데,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발효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을 100~500 메쉬 정도로 미세하게 파쇄한 다음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액을 1~50g/L를 첨가하고 효모균주 또는 유산균등의 미생물을 10,000~100,000 cfu/L의 양으로 첨가한다. 배양온도는 30~37℃의 통상적인 미생물 배양조건으로 배양한다. pH는 5~7로 호기적 또는 통상 혐기(anaerobic)적인 조건으로 약 5 내지 10일간 배양한다. 이후 숙성 및 여과를 통해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혼합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서 0.001 ~ 30.0 중량% 함유되며, 바람직하게는, 0.01 ~ 20 중량% 함유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추출물의 함량이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피부 보습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30.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함유량 증가에 대한 피부 보습 효과 증대 정도가 미미하며, 제형상의 안전 및 안정성에 문제가 있으며 경제적이지도 못하다.
본 발명에 따른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을 1~3:1~3:1~3:1~3:1~3의 중량 혼합비로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1:1:1:1의 혼합중량비로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된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화장료 제형에 이용하기 위해 정제과정을 거쳐 불필요한 성분을 제거한 뒤, 효능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제 과정은 통상의 어떠한 정제과정도 가능하며, 용해도 차를 이용한 액-액추출법, 침전 및 필터를 이용, 극성도 및 분자량의 크기 등을 이용한 크로마토그래피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면,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에탄올 수용액(50%, 70% 용액 등)이나 기타수용액에 녹인 뒤, HP-20, sephadex 컬럼이 충진된 컬럼을 이용하여 극성도와 분자량 차를 이용하여 수용성 물질과 유용성 물질을 분리 후 TLC로 유용성 물질을 농축, 동결 건조하여 농축물을 제조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으로서 상기 유효 성분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그리고 담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 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클렌징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누,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 또는 계면활성제 비함유 클렌징 제형일 경우, 피부에 도포한 후 닦아내거나 떼거나 물로 씻어낼 수도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비누는 액상비누, 가루비누, 고형비누 및 오일비누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클렌징 수건 및 클렌징 팩이며, 상기 계면활성제 비 함유 클렌징 제형은 클렌징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워터 및 클렌징 겔이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제조예 1: 흰들버섯 , 차가버섯, 잎새버섯 ,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용매 추출물
세절하여 음건한 흰들버섯(전초), 차가버섯(전초), 잎새버섯(자실체), 상황버섯(전초) 및 꽃송이버섯(전초)를 각각 60g씩 혼합한 후 이를 70 %(v/v) 에탄올 수용액으로 5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4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한외 여과막을 이용하여 염을 제거한 후 50℃이하에서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6.7g을 얻었다. 그 다음, 건조된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 추출 파우더를 50% 1,3-부틸렌 글리콜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2: 흰들버섯 , 차가버섯, 잎새버섯 ,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초임계 유체 추출물
세절하여 음건한 흰들버섯(전초), 차가버섯(전초), 잎새버섯(자실체), 상황버섯(전초) 및 꽃송이버섯(전초)를 각각 20g씩 혼합한 후 이를 통상적인 초임계 추출법(약 60℃의 온도에서 약 300 기압(atm)의 압력 하에 초임계 상태에서 공용매로서 올리브오일을 이용하여 추출함)으로 추출하였으며 한외 여과막을 이용하여 염을 제거한 후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하여 31.3g의 건조된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 추출 파우더를 얻었다. 이를 50% 1,3-부틸렌글리콜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3: 흰들버섯 , 차가버섯, 잎새버섯 ,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초음파 추출물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흰들버섯(전초), 차가버섯(전초), 잎새버섯(자실체), 상황버섯(전초) 및 꽃송이버섯(전초)를 각각 60g씩 혼합한 후 이를 초음파(슈퍼노닉 초음파기기를 이용하여 25 KHz의 강도로 30℃에서 약 2시간 동안 추출)를 이용하여 추출하였으며 한외 여과막을 이용하여 염을 제거한 후 감압 농축 및 동결 건조를 통해 7.1g을 얻었다. 건조된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 추출 파우더를 50% 1,3-부틸렌 글리콜에 용해하여 사용하였다.
제형예 1: 흰들버섯 , 차가버섯, 잎새버섯 ,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1, 제조예 2 및 제조예 3의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각각 포함하는 화장료(제형예 1 내지 3)를 하기 표 1의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또한, 효능의 비교를 위해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 대신에 보습제로서 글리세린 및 1,3-부틸렌글리콜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1), 추출물이나 보습제를 모두 포함하지 않는 화장료 조성물(비교제형예 2)을 하기 표 1에 조성과 같이 제조하였다.
(단위 : 중량%)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제조예 1 5.0 - - - -
제조예 2 - 5.0 - - -
제조예 3 - - 5.0 - -
글리세린 - - - 5.0 -
1.3부틸렌글리콜 - - - 5.0 -
솔비톨 - - - - -
EDTA-2Na 0.02 0.02 0.02 0.02 0.02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2.0 2.0 2.0 2.0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마이크로크리스탈린 0.5 0.5 0.5 0.5 0.5
스쿠알란 5.0 5.0 5.0 5.0 5.0
유동파라핀 2.0 2.0 2.0 2.0 2.0
트리옥타노인 3.0 3.0 3.0 3.0 3.0
폴리솔베이트 1.0 1.0 1.0 1.0 1.0
솔비탄스테아레이트 0.5 0.5 0.5 0.5 0.5
토코페릴아세테이트 0.1 0.1 0.1 0.1 0.1
사이클로메치콘 4.0 4.0 4.0 4.0 4.0
BHT 0.05 0.05 0.05 0.05 0.05
향,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실험예 1: 흰들버섯 , 차가버섯, 잎새버섯 ,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의 보습 효과 1 - 피부 전기전도도
상기 제형예 1, 2,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임상 보습 효과 및 지속력을 다음과 같이 측정하였다. 설문 조사를 통하여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건강한 성인 남녀 125 명을 무작위로 25 명씩 그룹을 형성하여 각 그룹에 맞는 제형예 1 내지 3과 비교제형예 1과 2을 각각 1일 2회씩 4주간 두 개의 제형을 한쪽씩 양쪽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보습 효과는 실사용 시험 시작 후부터 2주, 그리고 종료 후의 개선 효과를 Corneometer CM 820(Corage +Khazaka,Germany)을 이용하여 표피 수분량에 따른 피부 전기전도도의 증가율(%)을 수치화하여 평가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피부 전기전도도의 증가율(%)
구분 사용 전 사용 2주 후 사용 4주 후
제형예 1 25.62 41.61 48.52
제형예 2 24.85 40.00 47.11
제형예 3 23.99 42.26 50.15
비교제형예 1 25.41 37.36 44.31
비교제형예 2 24.21 25.05 27.13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 제형으로서 화학 보습제를 함유한 화장료(비교제형예 1 및 2)와 비교하여도 본 발명의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 함유한 화장료(제형예 1 내지 3)의 보습 효과가 더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흰들버섯 , 차가버섯, 잎새버섯 ,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추출물의 보습 효과 2 - 피부장벽 개선 효과
25℃, 상대습도 45%, 공기의 흐름이 없는 실내에서 건강한 여성 2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피부 장벽 손상은 소듐라우릴설페이트(SLS, Sodium Lauryl Sulfate) 1% 수용액을 이용하여 유발하였고, 상기 제형예 1, 2, 3의 화장료 조성물을 팔의 상박에 도포한 후 TEWAMETER TM210(C+K eletronic GmhH. Germany)을 이용하여 경피수분 손실량을 측정하였다. 즉, TEWL(Transepidermal Water Loss)값을 시간 변화에 따른 TEWL 값 변화량을 측정하여 피부장벽 회복율(%)을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피부장벽 개선 효과
구분 피부장벽 회복율(%)
2D 4D 6D 8D
제형예 1 52.62 65.94 8.22 97.54
제형예 2 53.14 67.96 87.48 99.77
제형예 3 52.72 66.54 84.74 99.06
비교제형예 2 41.66 58.62 65.74 73.76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예 1 내지 3이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꽃송이버섯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2에 비해 경피 수분 손실량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흰들버섯 , 차가버섯, 잎새버섯 ,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의 안전성 시험
상기 제형예 1, 2, 3의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피부 자극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인체 피부 첩포 시험을 진행하였다. 과거력상 피부자극에 과민반응을 보인 적이 없으며, 현재 피부병 내지 피부 알러지 증상이 없는 20-30대 여성 2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으며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은 비교제형예 2를 대조예로 사용하였다.
우선 시험 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켰다. 준비된 시험물질을 핀 챔버(Finn chamber, 100X10,EPITEST)내에 적하시킨 후 시험 대상자의 등에 밀폐 첩포하였다. 24시간 동안 첩포하고, 첩포를 제거한 후 1시간 및 24시간 후 확대경(8MC-150, DAZOR)을 이용하여 시험 부위의 홍반 및 부종 유무를 관찰하였다.
피부반응은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의 규정(표 4)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하기 수학식 1에 의하여 평균 피부 반응도를 계산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기호 점수 평가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또는 가벼운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Figure pat00001
구 분 24시간 48시간 평균피부반응도
(n=20)
± + ++ ± + ++
제형예 1 1 - - - - - 0.14
제형예 2 - - - - - - 0.00
제형예 3 1 - - - - - 0.14
비교제형예 2 2 - - - - - 0.28
상기 표 5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형예 1 내지 3의 화장료 조성물은 모두 피부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므로,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첨가한 화장료 제형의 안전성은 이상이 없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5)

  1. 흰들버섯(Agaricus blazei Murill),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잎새버섯(Grifola frondosa (Dicks.) S. F.), 상황버섯(Gray, Phellinus linteus) 및 꽃송이버섯(Sparasis crispa ( Wulf .) Fr .)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를 갖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 내지 30.0 중량%로 함유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은 (a) 물, 탄소수 1-4 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부틸 아세테이트,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핵산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추출용매를 이용한 용매 추출법, (b) 초임계추출법, (c) 초음파 추출법, 및 (d) 미생물을 이용한 발효 추출법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추출법에 의해 추출된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클렌징, 오일, 분말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팩, 마사지크림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인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66104A 2017-12-05 2017-12-05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64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04A KR20190066409A (ko) 2017-12-05 2017-12-05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04A KR20190066409A (ko) 2017-12-05 2017-12-05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09A true KR20190066409A (ko) 2019-06-13

Family

ID=668474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104A KR20190066409A (ko) 2017-12-05 2017-12-05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6409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54B1 (ko) * 2020-03-17 2020-12-03 주식회사 디엠쎌코스메틱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WO2022107942A1 (ko) * 2020-11-20 2022-05-27 상황미인(주) 자외선 및 미세먼지 차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39692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꽃송이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및 구름버섯의 혼합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6254B1 (ko) * 2020-03-17 2020-12-03 주식회사 디엠쎌코스메틱 초임계 추출법을 이용한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항노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16191A (ko) * 2020-03-17 2021-09-27 주식회사 디엠쎌코스메틱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22107942A1 (ko) * 2020-11-20 2022-05-27 상황미인(주) 자외선 및 미세먼지 차단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39692A (ko) 2022-09-20 2024-03-27 주식회사 단정바이오 꽃송이버섯, 표고버섯, 영지버섯 및 구름버섯의 혼합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JP7174736B2 (ja) ダイダイの地上部の発酵抽出物
KR102221033B1 (ko) 개양귀비, 붉은토끼풀, 라케모사승마 및 칼메그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66409A (ko) 흰들버섯, 차가버섯, 잎새버섯, 상황버섯 및 꽃송이버섯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9069B1 (ko) 해홍나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21083A (ko) 고량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0056B1 (ko) 명월초 추출물 및 부아 메라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3676B1 (ko) 악마의 발톱 초음파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7139B1 (ko) 아이리쉬모스, 마조람, 카룸 페트로셀리눔 및 둥근빗살현호색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4348B1 (ko) 파슬리, 약모밀, 페퍼민트잎 및 노니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08766B1 (ko) 감태, 톳, 개청각, 우뭇가사리, 제주진득찰 및 랍도시아루베스켄스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00820B1 (ko) 프로방스장미꽃잎 흑효모 발효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5380B1 (ko) 타이거넛츠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9373B1 (ko) 소두구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25259A (ko) 흰서양송로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68029B1 (ko) 초록입 홍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0509B1 (ko) 바람하늘지기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5741B1 (ko) 카퍼, 올리브나무, 당귤 및 쌀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8971B1 (ko) 영지버섯, 아르니카몬타나꽃, 부들레야 및 타임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56826B1 (ko) 프리클리페어열매, 서양측백나무잎 및 마돈나백합비늘줄기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9703B1 (ko) 아쿠아티쿰물수세미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90012642A (ko) 익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41771B1 (ko) 모과, 감나무잎, 육계나무껍질, 쑥잎, 크리산텔룸인디쿰 및 녹차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79644B1 (ko) 푸르셀리아 추출물 및 초록입 홍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77138B1 (ko) 바위손, 사과, 오이 및 황금 혼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