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0085B1 -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 Google Patents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50085B1
KR101850085B1 KR1020160101828A KR20160101828A KR101850085B1 KR 101850085 B1 KR101850085 B1 KR 101850085B1 KR 1020160101828 A KR1020160101828 A KR 1020160101828A KR 20160101828 A KR20160101828 A KR 20160101828A KR 101850085 B1 KR101850085 B1 KR 1018500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emulsion
weight
improving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17657A (ko
Inventor
신중엽
김충환
길선국
이종만
이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뷰티콜라겐
(주) 건우에프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뷰티콜라겐, (주) 건우에프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뷰티콜라겐
Priority to KR102016010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50085B1/ko
Publication of KR201800176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176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500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500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1Chelat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자나무 잎 추출물, 산자나무 종자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천연물 유래의 산자나무 추출물 및 산자나무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에 적용시 피부주름 개선을 위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평균입자 크기가 70 내지 100 ㎛로, 평균입자 크기가 작고 균일하여 피부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피부에 다량 공급할 수 있다.

Description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Emulsion compositon for improving wrinkles comprising Seabuckthorn oil and Seabuckthorn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cosmetic material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산자나무(Seabuckthorn, Hippophae rhamnoides L.)는 일반적으로 보리수과(Elaeagnaceae)에 속하는 낙엽성 관목으로 갈매보리수나무, 비타민나무로도 알려져 있으며, 러시아, 중국, 일본에서 각각 시베리아파인애플, 사극(莎棘), 싸지(sajee)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려지고 있고, 극한의 악조건 기후와 척박한 토양에서도 잘자라며, 열매, 잎, 씨 모두가 식용이 가능하며, 화장품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어 러시아, 유럽, 캐나다, 중국, 몽골, 히말라야 산맥 주변 국가 등지에서 폭 넓게 재배되고 있다.
산자나무 열매는, 열매의 숙성도, 크기, 품종, 생산지, 기후 및 추출방법 등에 영향을 받아 열매에 포함된 생리활성 물질이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노란색, 주황색 및 붉은색 열매에는 크립토크산틴(cryptoxanthin), 라이코펜(ycopene), γ-카로틴(γ-carotene), β-카로틴(β-carotene), 루테인(lutein), 제아잔틴(zeaxanthin)과 같은 카로티노이드(carotenoid)에 기인하며, 카로티노이드는 친유성 색소로 식물 막에 존재하며, 광합성과 광보호 기능을 가지고, 항산화, 항돌연변이 및 항암 활성과 같은 다양한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된 바 있다.
또한, 산자나무 잎에는 퀘르세틴(quercetin), 갈릭산(gallic acid), 탄닌(tannin) 등의 생리활성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질환, 항균, 항암, 항염, 상처, 항산화 등에 우수하다는 연구 결과가 보고된 바 있다. 그리고, 단백질, 지방, 아미노산, 미네랄 등이 풍부하여 건강 차나 고품질 사료를 만드는데 귀중한 자원이 되고 있다. 산자나무 잎 추출물에 존재하는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주로 퀘르세틴, 캠퍼롤(kaempferol), 이소람네틴(isorhamnetin) 등으로 이와 같은 플라보노이드는 지방세포 분화 및 지방 축적억제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뿐만 아니라, 산자나무 잎의 물 추출물은 화상으로 생긴 상처에 현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며, BHK-21 셀 라인에는 독성 효과가 없다고 보고된 바 있다.
산자나무의 씨오일이 갖는 지방산 조성은 리놀레산(18:2n-6), α-리놀레산(18:3n-3), 올레산(18:1n-9) 및 팔미트산(16:0)이 풍부한 반면, 열매 오일에서는 팔미트산과 팔미톨레산(16:1n-7)이 풍부하고 α-리놀레산은 함량이 적다. 산자나무 제품에서 가장 주목 받는 것은 n-6 및 n-6의 필수지방산이 풍부한 씨오일과 n-7 함량이 높은 과육오일로써 시벅션 오일은 자연계에서 유일하게 n-3와 n-6가 1:1로 존재하고 있어 대부분의 동유럽 국가에서는 베타-카로틴을 시벅션 오일의 품질 지표로 사용하고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 산자나무 열매로부터 추출된 오일은 연고나 화장품에 의해 피부 개선, 항염증 효과 및 광 보호 효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으며, 초임계법으로 추출된 산자나무 씨오일 역시 현저한 상처 치료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보고하였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산자나무 열매, 잎, 씨의 각 부위에 따른 영양학적, 생리학적 효능이 뛰어나 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이 매우 다양한 우수한 원료임에 반해, 이를 이용한 화장품 소재개발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한편, 마이크로에멀젼(micro emulsion)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100 ㎛의 입자크기를 가지는 에멀젼의 한 유형이며,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고, 평균입자 크기가 작고 균일하기 때문에 표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효과적으로 피부에 투과성을 향상시킬 수 있어, 화학, 의약품 및 화장품 등에 실용적인 응용이 가능하다.
종래에는 상기와 같은 산자나무 열매, 잎, 씨를 이용하여 의약품 및 화장품에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한 에멀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에 관련한 기술내용이 개시된 바 없다.
한국등록특허 제10-1004361호 (공개일 : 2009.08.10) 한국등록특허 제10-1220519호 (공개일 : 2012.05.03)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산자나무 열매, 잎, 씨에 포함된 유효성분이 피부의 주름개선에 유용한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에 관한 기술 내용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산자나무 잎 추출물, 산자나무 종자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평균입자 크기가 7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상기 산자나무 잎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8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정제수, 비타민, 유분, 계면활성제, 미백제, 진정제, 보습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향료, 방부제 및 중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에 기재된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주름개선용 화장료는 산자나무 잎 추출물을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500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천연물 유래의 산자나무 추출물 및 산자나무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에 적용시 피부주름 개선을 위한 용도로 활용이 가능하다.
또한, 평균입자 크기가 70 내지 100 ㎛로, 평균입자 크기가 작고 균일하여 피부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피부에 다량 공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1-3의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분획, 실시예 2-6의 시벅션 에멀젼 및 실시예 3의 시벅션 에멀젼의 포함하는 크림의 제조과정을 통합하여 단계별로 나타낸 공정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6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6 시벅션 에멀젼의 평균입자 크기 분포도이다.
도 3은 (a) 실시예 2-6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6 시벅션 에멀젼 및 (b)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 크림의 세포독성 분석결과이다.
도 4는 (a) 실시예 2-6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6 시벅션 에멀젼 및 (b)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크림의 MMP-1 저해 활성 분석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산자나무 잎 추출물, 산자나무 종자 오일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산자나무 잎 추출물은, 물,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한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자나무 추출물은 에탄올로 이루어진 주정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산자나무 잎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해서, 가열 추출, 초음파 추출, 환류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산자나무 잎 추출물은, 상기 산자나무 잎 추출물을 에탄올로 추출하여 산자나무 잎의 주정 추출물을 제조하고, 산자나무 잎의 주정 추출물을 n-헥산,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이용해 2차 추출하여 얻어진 산자나무 잎 주정 추출물의 분획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분획물은 상기 산자나무 잎 주정 추출물로부터 분획 과정을 2회 이상 반복하여 수득할 수 있고, 분획 후 감압 농축시킬 수 있다.
상기 산자나무 종자 오일은, 종자로부터 오일을 추출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하여 산자나무 종자로부터 추출한 종자 오일을 제한받지 않고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는, 화장품 제조시 수중유형(O/W) 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활용하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화제로 피부에 산자나무 잎 추출물과 산자나무 종자 오일에 포함된 각종 유효성분을 효과적으로 침투시킬 수 있으면서도, 밝은 흰색 외형과 우수한 도포성을 지닌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PGM)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멀젼 조성물은 상기와 같은 산자나무 잎 추출물과 산자나무 종자 오일을 포함하여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등과 같이 피부의 주름개선에 탁월한 유효성분을 다량 포함하고, 피부 세포에 포함된 DPPH 등의 자유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어 피부 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은 평균입자 크기가 70 내지 100 ㎛로 평균입자 크기가 작고 균일하여 피부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을 뿐만 아니라, 열역학적으로 안정하기 때문에 의약품 또는 화장품 등에 적용이 용이하고, 피부에 도입시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상기 산자나무 잎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0 내지 85 중량%로 포함하여, 산자나무 잎에 포함된 폴리페놀, 플라보노이드 등의 유효성분을 다량 포함하여 주름개선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은 피부주름 개선에 탁월한 효능을 갖는 천연물 유래의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에 적용시 피부주름 개선을 위한 용도로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상기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은 평균입자 크기가 70 내지 100 ㎛로, 평균입자 크기가 작고 균일하여 피부와 접촉되는 표면적이 넓기 때문에 피부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을 피부에 다량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은 정제수, 비타민, 유분, 계면활성제, 미백제, 진정제, 보습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향료, 방부제, 중화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비타민 C, 히알루론산, 아라비아검 또는 잔탄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에멀젼 조성물은 글리세린 등과 같은 점증제 혼합하여 로션, 스킨 또는 크림 등의 형태로 제조가 가능하며, 구체적으로는 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아이에센스, 아이크림 등의 형태를 갖는 주름개선용 화장료를 제조할 수 있다.
특히, 상기한 바와 같은 형태로 제조된 주름개선용 화장료는 산자나무 잎 추출물을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500 ppm의 농도로 포함하여, 피부에 도입시 피부주름 생성과 관련이 있는 MMP-1 등과 같은 물질의 저해 활성이 높아, 주름개선에 효과적으로 활용이 가능하다.
일례로, 상기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는 크림의 형태일 수 있으며, 산자나무 종자의 오일, 산자나무 잎의 추출물, 유화제, 비타민 및 천연 다당류를 혼합하여 제조한 산자나무의 나노에멀젼에, 부틸렌글라이콜, 1,2-헥산디올, 에칠헥산디올 등과 같은 용제, 끈적임 방지 및 보습력을 증가시키는 카프릴릴글라이콜, 디메치콘, 디메치콘 및 비닐디메치콘의 가교 폴리머, 하이드록시에칠우레아와 같은 보습제, 나이아신아마이드 등과 같은 미백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이소부텐, 폴리아크릴레이트, 잔탄 등과 같은 점증제, 폴리소르베이트,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등과 같은 계면활성제, 악어오일 등과 같은 진정제, 락토바실러스발효물 등과 같은 노화개선 성분, 아데노신 등과 같은 주름개선 성분, 디소듐이디티에이 등과 같은 방부제 및 향료를 정제수와 혼합하여 제조한 크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크림은 산자나무 잎 추출물, 산자나무 종자 오일을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 3.00 중량%, 부틸렌글라이콜 5.00 중량%, 1,2-헥산디올 1.00 중량%, 에칠헥산디올 0.10 중량%, 카프릴릴글라이콜 0.10 중량%, 디메치콘 3.00 중량%, 디메치콘 및 비닐디메치콘의 가교 폴리머 2.00 중량%, 하이드록시에칠우레아 1.00 중량%, 나이아신아마이드 2.00 중량%, 폴리이소부텐 0.10 중량%, 폴리아크릴레이트-13 0.10 중량%, 잔탄 0.10 중량%, 폴리소르베이트20 0.10 중량%, 소르비탄이소스테아레이트 0.10 중량%, 하이드롤라이즈드콜라겐 0.10 중량%, 악어오일 0.10 중량%, 락토바실러스발효물 0.10 중량%,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0.10 중량%, 아데노신 0.04 중량%, 디소듐이디티에이 0.03 중량%, 향료 0.01 중량%로 포함하는 혼합물에 정제수를 크림 총 중량 대비 100 중량%가 되도록 혼합하여 제조한 크림일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실시예 1-1> 시벅션잎 주정 추출물 제조
시벅션잎 1kg을 추출기에 넣고 70% 주정을 10kg 투입하여 70℃에서 15시간 순환시키며 1차 추출공정을 수행하여 1차 추출물을 제조하고, 1차 추출물을 제조한 후, 잔류하는 잔사를 이용해 2차 추출공정(70% 주정 10배, 70℃, 3시간)을 수행하여 2차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1차 추출물 및 2차 추출물을 60 mesh 여과망으로 여과한 후, 혼합하였으며,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60%가 되도록 농축하여 시벅션잎 주정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2> 시벅션잎 초음파 주정추출물 제조
시벅션잎 1kg을 초음파 저온 추출기(SONOMEDI_SM30-SEP)에 공급하고 주정 10kg을 투입하여 7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초음파(Ultrasonics wave, 104Watt)를 조사하여 초음파 추출물을 제조하였으며, 추출한 초음파 추출물을 60 mesh 여과망으로 여과한 후, 혼합하였으며, 혼합한 혼합 추출물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고형분 함량이 60%가 되도록 농축하여 시벅션잎 초음파 주정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시벅션잎 추출물 분획 제조
실시예 1-1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200g에 N-헥산 200g을 넣어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1차 상등액 및 침전물로 분리하고, 1차 상등액을 분리하여 수득한 침전물과 정수를 1:1로 혼합 농축하여 헥산을 제거한 처리액을 제조하였다. 헥산을 제거한 처리액을 에틸아세테이트와 1:1로 혼합하여 2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분리하고 2차 상등액을 수득하였으며, 수득한 1차 상등액 및 2차 상층액을 혼합한 혼합 상층액과 정수를 1:1로 혼합하여 농축을 통해 에틸아세테이트를 제거하여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제조한 농축액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인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분획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제1 시벅션 에멀젼(씨오일+유화제(1:2)+잎추출물+비타민C+히알루론산)의 제조
시벅션 씨오일 50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Propylene glycol monocaprylate, PGM) 50g,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Polyoxyethylene Hydrogenated Castor Oil 60, PHCO 60) 100g을 70℃에서 중탕 혼합하여 중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795g, 비타민C(vit C) 및 히알루론산(HA)을 혼합하여 제1 시벅션 에멀젼을 제조하였다. 이때, 에멀젼 제조를 위해 호모믹서(SSC-811E(A),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Osaka, Japan)로 1700 rpm으로 30분간 혼합하는 조건으로 유화하여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제1 시벅션 에멀젼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 함량(단위 %)을 하기의 표 1에 나타내었다(참고로, 하기에 유화정도에서, +++는 매우좋음, ++는 좋음, +는 보통, -는 나쁨(분리)을 나타냄).
Figure 112016077705940-pat00001
<실시예 2-2> 제2 시벅션 에멀젼(씨오일+유화제(1:1)+잎추출물+비타민C+히알루론산)의 제조
시벅션 씨오일 50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50g,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50g을 70℃에서 중탕 혼합하여 중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1-3의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845g, 비타민C 및 히알루론산을 혼합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혼합 조건에서 유화시켜 제2 시벅션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제2 시벅션 에멀젼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3> 제3 시벅션 에멀젼(씨오일+유화제(2:1)+잎추출물+비타민C+히알루론산)의 제조
시벅션 씨오일 50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100g,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50g을 70℃에서 중탕 혼합하여 중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795g, 비타민C 및 히알루론산을 혼합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혼합 조건에서 유화시켜 제3 시벅션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제3 시벅션 에멀젼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제4 시벅션 에멀젼(씨오일+유화제(1:2)+잎추출물+비타민C+히알루론산+아라비아)의 제조
시벅션 씨오일 50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50g,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100g을 70℃에서 중탕 혼합하여 중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775g과 비타민C, 히알루론산, 아라비아검(Arabic Gum, AG) 20g을 혼합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혼합 조건에서 유화시켜 제4 시벅션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제4 시벅션 에멀젼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5> 제5 시벅션 에멀젼(씨오일+유화제(1:1)+잎추출물+비타민C+히알루론산+아라비아검)의 제조
시벅션 씨오일 50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50g,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50g을 70℃에서 중탕 혼합하여 중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825g, 비타민C, 히알루론산 및 아라비아검 20g을 혼합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혼합 조건에서 유화시켜 제5 시벅션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제5 시벅션 에멀젼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6> 제6 시벅션 에멀젼(씨오일+유화제(2:1)+잎추출물+비타민C+히알루론산+아라비아검)의 제조
시벅션 씨오일 50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100g,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50g을 70℃에서 중탕 혼합하여 중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775g, 비타민C, 히알루론산 및 아라비아검 20g을 혼합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혼합 조건에서 유화시켜 제6 시벅션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제6 시벅션 에멀젼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3> 시벅션 에멀젼을 포함하는 크림의 제조
실시예 2-6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6 시벅션 에멀젼을 이용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배합비로 크림(단위 : 중량%)을 제조하였으며, 정제수로 전량을 100으로 하였다.
Figure 112016077705940-pat00002
비교예 1. 제7 시벅션 에멀젼(씨오일+유화제)의 제조
시벅션 씨오일 50g,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50g,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50g을 70℃에서 중탕 혼합하여 중탕 혼합물을 제조하고, 중탕 혼합물에 정수를 혼합하고, 실시예 2-1과 동일한 혼합 조건에서 유화시켜 제7 시벅션 에멀젼을 제조하였으며, 제조한 제7 시벅션 에멀젼에 포함된 각각의 성분 함량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1>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환원력 측정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의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환원력을 분석하기 위해서, DPPH 함량을 측정하였다. DPPH의 함량 측정은, 먼저, 0.15 mM의 농도로 DPPH(1,1-diphenyl-2-picryl hydrazyl)를 포함하는 메탄올 혼합용액 3 mL에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시료 1 mL를 혼합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자외선 분광광도계(UV Spectrophotometer, X-ma 2000, Human Corporation, Seoul, Korea)를 이용하여 517 nm 파장의 빛에서 각각의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각각의 시료의 전자공여능(EDA)은 메탄올 혼합용액에 증류수를 첨가하여 이를 대조군으로 하여 흡광도의 차이를 비교하였으며, 각각의 시료와 대조군의 흡광도의 차이를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제조한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의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환원력 측정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77705940-pat00003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의 DPPH 자유라디칼에 대한 환원력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이 DPPH 자유라디칼 소거능이 가장 우수히여 화장품 제조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제조한 추출물에 포함된 폴리페놀의 함량분석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에 포함된 폴리페놀의 함량을 분석하기 위해서, 폴린-데니스(Folin-Denis)법을 이용해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 시료 1mL에 증류수 7.5mL를 혼합하고, 폴린-데니스 시약(Folin-denis reagent) 0.5 mL과 35% 탄산나트륨(Sodium carbonate) 1 mL를 순서대로 가하여 혼합한 후, 암실에서 1시간 방치하고, 자외선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60 nm 파장의 빛에서 각각의 시료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표준물질로 탄닌산(Tannic acid)을 이용하였으며, 흡광도를 탄닌 산 등가물(Tannic acid equivalents, TAE)의 함량(mg/g)으로 나타내었으며,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77705940-pat00004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1 내지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에 포함된 총 폴리페놀의 함량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1-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잎 주정추출물이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이 가장 높아 화장품 제조에 유효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에멀젼의 안정성 분석
제조한 에멀젼의 안정성을 분석하기 위해서, 실시예 2-5 내지 2-7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에멀젼의 평균입자 크기를 측정하였으며, 에멀젼의 평균입자 크기는 입도분석기(DLS, ZETA SIZER Nano-S90,Malvern Instruments Ltd. England)를 이용한 동적 광산란법으로 분석을 하였고, 분석결과를 하기의 표 5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77705940-pat00005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5 및 2-6의 방법에 의해 제조한 에멀젼의 평균입자 크기는 비교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7 시벅션 에멀젼에 비해 평균입자 크기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안정하게 에멀젼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6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6 시벅션 에멀젼이 가장 이상적인 평균입자 크기를 갖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험예 4> 시벅션 에멀젼 및 크림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
제조한 시벅션 에멀젼 및 크림이 피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서, 인간피부섬유아 세포(Human dermal fibroblast neonatal, HDFn)를 이용해 실시예 2-6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시벅션 에멀젼과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크림의 세포독성 분석 및 MMP-1 활성 저해능력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HDFn을 5×104 세포수/웰(cells/well)의 농도로 24 웰-플레이트(well-plate)에 접종한 후, 37℃ 및 5% CO2 분위기의 조건을 갖는 인큐베이터에서 배양하여 세포를 안정화시켰다. 안정화시킨 세포에 PBS를 가해 2번 세척한 후, PBS가 잔류하는 상태에서 세포 배양액에 UVA(6.0 J/cm2)를 조사하였다. 자외선 조사가 완료된 후, 세포 배양액을 2% FBS가 첨가된 배지로 교환하고, 실시예 2-6의 제6 시벅션 에멀젼 및 실시예 3의 크림을 첨가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해 제6 시벅션 에멀젼 및 크림의 MMP-1 활성 저해능력 분석하였으며, 주름기능성고시원료로 알려진 100 μM 아데노신(adenosine)을 세포배양액에 공급하여 AD군(AD)으로 사용하였다. 48시간 배양이 완료된 후, 상층액을 수득하여 상층액에 MMP-1 포획 항체(MMP-1 capture anti-body)를 첨가해 24시간 동안 반응시켜 코팅하고, R&D 시스템 키트(systems kit)를 이용해 MMP-1 저해활성 분석(MMP-1 assay)을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층액을 분리하고 남은 세포를 수득하였으며, 남은 세포에 MTT solution을 처리하여 대조군의 세포생존률(viability %)과 비교하여 실시예 2-6의 제6 시벅션 에멀젼 및 실시예 3의 크림의 세포독성을 분석하였고, 세포독성 분석결과를 도 3에 나타내었다.
도 4(a)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6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제6 시벅션 에멀젼을 첨가(50 내지 500 ppm의 농도)한 세포 배양액에서는 제6 시벅션 에멀젼을 첨가하여 MMP-1 저해 활성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Ctrl)에 비해 우수한 MMP-1 저해 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500 ppm 농도의 제6 시벅션 에멀젼을 첨가한 경우(***), 가장 우수한 MMP-1 저해 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4(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3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크림을 첨가(50 내지 500 ppm의 농도)한 세포 배양액에서도, MMP-1 저해 활성이 아무것도 처리하지 않은 세포배양액(Ctrl)에 비해 우수한 MMP-1 저해 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500 ppm 농도의 제6 시벅션 에멀젼을 첨가한 경우(*), 가장 우수한 MMP-1 저해 활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제조한 시벅션 에멀젼 및 크림은 500 ppm에서 유의적으로 MMP-1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주름 개선을 위한 제품으로서 이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제조한 시벅션 에멀젼 및 크림의 세포독성 분석결과, 도 3(a) 및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2-6의 제6 시벅션 에멀젼 및 실시예 3의 크림을 첨가한 세포배양액의 세포생존률이 약 100%로 유지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실시예 2-6의 제6 시벅션 에멀젼 및 실시예 3의 크림이 세포독성이 없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통해 피부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6)

  1. 산자나무 잎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 추출물 77.5 중량부, 산자나무 종자 오일 5 중량부, 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카프릴레이트 10 중량부, 폴리옥시에칠렌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5 중량부, 비타민C 0.4 중량부, 히알루론산 0.1 중량부 및 아라비아검 2 중량부를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평균입자 크기가 70 내지 1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정제수, 비타민, 유분, 계면활성제, 미백제, 진정제, 보습제, 킬레이트제, 색소, 지방산, 산화방지제, 향료, 방부제 및 중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멀젼 조성물.
  5. 제1항, 제2항 및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에멀젼 조성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6. 제5항에 있어서,
    산자나무 잎 추출물을 화장료 총 중량에 대하여 50 내지 500 ppm의 농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KR1020160101828A 2016-08-10 2016-08-10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8500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828A KR101850085B1 (ko) 2016-08-10 2016-08-10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1828A KR101850085B1 (ko) 2016-08-10 2016-08-10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57A KR20180017657A (ko) 2018-02-21
KR101850085B1 true KR101850085B1 (ko) 2018-04-19

Family

ID=61524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1828A KR101850085B1 (ko) 2016-08-10 2016-08-10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500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086B1 (ko) * 2021-01-15 2021-11-11 전은숙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925B2 (ja) 2003-06-30 2010-07-07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ラーゲン及び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並びにこれを含む老化防止化粧料
KR101276141B1 (ko) * 2011-06-13 2013-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495925B2 (ja) 2003-06-30 2010-07-07 共栄化学工業株式会社 コラーゲン及びエラスチン産生促進剤並びにこれを含む老化防止化粧料
KR101276141B1 (ko) * 2011-06-13 2013-06-18 동국대학교 산학협력단 갈매보리수나무 씨앗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In sik Hwang et al.,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medicine, 30, p.392-400, 2012.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6086B1 (ko) * 2021-01-15 2021-11-11 전은숙 닥나무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보습, 및 피부장벽 강화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17657A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758198B (zh) 一种含黑莓提取物的强抗氧化护肤品及其制备方法和用途
KR101723526B1 (ko) 동백꽃, 벚꽃, 쟈스민꽃, 캐모마일꽃 및 연꽃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3415198B2 (ja) 皮膚外用剤
KR101566320B1 (ko) 봉선화, 영실, 마카, 비파나무 잎 및 얌빈 뿌리 복합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진정 및 자극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354412B1 (ko) 혼합 꽃 추출물의 유산균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26266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용매추출법 및 그 추출물, 및 이추출물이 포집된 나노입자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6176324B (zh) 一种含有诺丽果精油的美白防晒霜及其制备方法
JP2008184440A (ja) 紫外線細胞障害改善用皮膚外用剤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0081A (ko) 산야초 발효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96908B1 (ko) 다단발효를 통한 동백 인퓨즈드 오일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2211120A (ja) 皮膚外用剤
KR20060104054A (ko) 미숙성 감귤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011732A (ko) 저온숙성추출법에 의한 비타민나무잎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항산화활성 및 미백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850085B1 (ko) 산자나무 오일 및 산자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에멀젼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1890828B1 (ko)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029546B1 (ko) 무궁화의 꽃, 뿌리, 캘러스 및 씨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및 항알러지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78850B1 (ko) 고순도 멜리틴, 진세노사이드 Rb1 및 Rg3, 및 생열귀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17856B1 (ko) 천산설연, 송라 및 발효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49067A (ko) 커피 실버스킨 및 커피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6783B1 (ko) 한방과실발효물이 함유된 미백 및 항산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031289B1 (ko) 플랑크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블루라이트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46690B1 (ko) 유기농 토마토, 매실, 진피, 복숭아 및 알로에의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염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