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964B1 -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964B1
KR101369964B1 KR1020130155449A KR20130155449A KR101369964B1 KR 101369964 B1 KR101369964 B1 KR 101369964B1 KR 1020130155449 A KR1020130155449 A KR 1020130155449A KR 20130155449 A KR20130155449 A KR 20130155449A KR 101369964 B1 KR101369964 B1 KR 101369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ritation
hair
extract
scalp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5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계환
민진우
정주현
황진혁
이대우
최성규
하정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마랩
주식회사 웰코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마랩, 주식회사 웰코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마랩
Priority to KR102013015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96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6Aloeaceae (Aloe family), e.g. aloe ve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1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water, e.g. cold water, infusion, tea, steam distillation, deco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성분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포함하여 두피자극을 완화하는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외용제조성물은 천연성분을 함유하여 피부안전성이 높고, 샴푸나 염모제와 함께 사용되는 경우 우수한 피부자극완화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Composition of skin external application for reducing scalp irritation containing Aloe extract, Tremella fuciformis extract and Poria cocos extract}
본 발명은 천연성분을 함유하여 두피자극을 완화하는 외용제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두피에는 피지, 땀, 먼지 및 스타일링제 등 모공에 남아있는 오염성분으로 인해 노폐물이 많이 있다. 또한, 염색, 파마, 헤어 드라이어 등의 사용으로 인해 모발뿐만 아니라 두피가 건조해지면서 두피 각질이 많이 생성되어 고민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러한 두피의 각질이 제거되지 않으면 비듬이 생기게 되고, 통상 비듬은 두피를 자극하고 가려움증을 수반하게 된다. 이 때, 두피를 자극하거나 긁게 되면 상처가 나고 결국 염증을 유발하여 습진, 탈모 등을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두피의 노폐물과 각질을 제거하기 위해 모발, 두피의 세정과 모발 컨디셔닝 기능을 동시에 가지는 샴푸를 사용하기도 한다. 그런데 이러한 다기능성 샴푸를 사용하는 경우, 두피 각질 제거 기능이 미약하여 만족스럽지 못하였다. 한편 종래의 두피 각질제거 제품들은 두피에 대한 자극성이 커서 인체 안전성 측면에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일부 민감성 두피의 경우는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현상과 염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자극현상과 염증은 환경적 탈모로 이어지고 있고, 이로인해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남성 또는 여성들의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 생장을 촉진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0-0079278 "천연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두피 자극 완화용 염모제용 혼합첨가제 조성물"에는 '녹차다당체, 편백다당체, 작약, 연근, 한련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자극 완화용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06-0070847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조성물"에는 '라스베리의 일종인 복분자(Rubus coreanum), 멍덕딸기(Rabus idaeus) 및 멍석딸기(Rubus parvifoliu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식물의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천연물소재를 검토하여 인체 안전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두피자극 완화효과를 가지는 소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하였으며, 그 결과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이 우수한 두피안정화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천연성분을 함유하여 두피 자극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한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 생약추출물은 전체 외용제조성물의 0.001 ~ 50 중량%의 비율로 포함된다. 상기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추출물은 각각 1~2 : 1~2 : 1~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약 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은 두피에 자극이 적으면서 염모제, 염색제 등의 자극을 완화시키고, 두피 노폐물 제거, 각질 제거 효과 및 항염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용제조성물의 두피보호효과를 나타내는 사진도이다.
본 발명은 특정 생약복합추출물을 함유하여 두피자극을 완화하는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되는 원료인 알로에(Aloe)는 식물학상으로 백합과의 알로에속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이다. 동, 남 아프리카가 원산지이며 서인도와 다른 열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알로에 잎 중앙조직은 젤로 되어 있다. 잎은 두껍고 고무와 같은 탄력성을 가진다. 식물체의 높이는 약 90~120cm이다. 알로에속의 식물은 5백 종이 넘으나 약용 알로에는 6~7종에 불과하다. 알로에는 종류마다 다소 차이는 있으나, 대개 창과 같이 길고 끝이 뾰족한 잎의 양쪽 가장자리에 톱니 모양의 가시가 돋고, 황색 또는 주황색의 꽃이 핀다. 알로에는 고대 이집트 왕조 시대부터 이용되었으며,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더 대왕은 원정시에 병사들의 질병을 막기 위해 알로에를 사용하였다고 전해지고 있다. 의학의 아버지라고 불리는 그리스 의사 히포크라테스도 알로에를 임상치료제로 사용하였다. 알로에의 약효가 널리 일반인에게 인정된 것은 12세기 독일『약전(藥典)』에 수록되면서부터이다. 주요성분으로는 아세만난, 베타-카로텐, 베타-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육계산, 쿠마린, 리그닌, 파라쿠마르산, 사포닌, 아미노산, 칼슘, 엽산, 철, 마그네슘, 인, 칼륨, 아연, 비타민 A, B1, B2, B3, C, E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되는 원료인 흰목이버섯(Tremella fuciformis)은 은이(銀??)라고도 한다. 여름과 가을에 각종 활엽수의 죽은 나무 또는 나뭇가지에서 자란다. 자실체는 지름 3~8cm, 높이 2~5cm, 불규칙한 파형의 덩어리 모양 겹꽃 모양이다. 표면은 순백색, 평활하며, 자실층은 표면 전체에 발달한다. 조직은 반투명한 젤라틴질이다. 식용 버섯으로 면역 증진, 콜레스테롤 저하, 혈당강하, 항산화 작용이 있는 약용 버섯이며, 한방에서는 호흡기 질환, 위염, 고혈압, 월경 불순 등 여러 질환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다. 주요 성분으로는 비타민 B1, B2, D 및 니아신(niacin), 만니톨(mannitol), 글리세롤(glycerol), 글루코스(glucose), 트레할로스(trehalose), 헤미셀룰로우스(hemicellulose), 키틴(chitin), 펙틴(pectin), 루코노실로만난(luconoxylomannan), 리그닌(lignin)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함유되는 원료인 복령(Poria cocos)은 일 년 내내 땅속에서 소나무 등의 나무뿌리에 기생한다. 자실체는 전배착생이며 버섯갓을 만들지 않고 전체가 흰색인데 관이 촘촘하다. 관은 길이 2~20㎜로 구멍은 원형 또는 다각형, 구멍 가장자리는 톱니 모양이다. 살은 육계색 또는 흰색이다. 균핵(菌核)은 지하에 있는 소나무뿌리에 크기 10∼30cm로 형성되고 둥근 모양 또는 길쭉하거나 덩어리 모양이다. 버섯갓 표면은 적갈색, 담갈색, 흑갈색으로 꺼칠꺼칠한 편이며, 때로는 근피(根皮)가 터져 있는 것도 있다. 살은 흰색이고 점차 담홍색으로 변한다. 흰색인 것을 백복령(白茯笭), 붉은색인 것을 적복령(赤茯笭)이라 한다. 또 복령 속에 소나무 뿌리가 꿰뚫고 있는 것을 복신(茯神)이라고 한다. 모두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요도염에 이용한다. 한국, 중국, 일본, 북아메리카 등에 분포한다. 주요 성분으로는 에르고스테롤(Ergosterol), 히스티딘(histidine), 카프릴산(caprylic aicd), 도데센산(dodecenoic acid), 라우릭산(lau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운데카노산(undecanoic acid), 레시틴(lecithin), 파키만(pachyman), 콜린(choline), 아데닌(adenine), eburicoic acid, dehydroeburicoic acid, tumulosic acid, pachymic aicd, 3β-hydroxyl-lanosta-7,9(11),24-trien-21-oic acid, carboxyprotease 등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은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사용하며, 추출시 원재료에 따라 세절하거나, 건조시켜 세절하거나 또는 가루로 만들어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추출용매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예를들어, 함수알코올, 함수글리세린 등 2개의 용매혼합 또는 2개 이상의 용매혼합)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며, 또한,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공지된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을 세절하고, 그 중량의 1~5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무수 알코올 또는 함수 알코올 중에서 선택된 추출용매를 부가하여 4∼100℃에서 가온추출 후,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된다. 또는 본 발명에서의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을 분쇄하여, 그 중량의 1~3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4의 무수 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며, 이어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00℃에서 1∼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30℃에서 1~1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된다. 또한, 위에서 열거한 추출용매에 공지된 초음파 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은 물로 추출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그 추출온도는 50~100℃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추출한 추출액, 추출액을 감압 농축한 농축액, 농축액을 동결 건조한 분말 또는 농축액을 분무 건조하여 건조한 분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은 외용제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분말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0.001~50중량%의 양으로 화장료등의 외용제조성물에 첨가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외용제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분말형태 또는 액상형태로 0.01∼10중량%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은 각각 1~2 : 1~2 : 1~2의 중량비로 혼합되어 함유될 수 있으며, 동량비로 혼합되는 경우에 가장 우수한 두피안정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면, 헤어 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그루밍 에이드, 헤어 크림/로션, 헤어 오일, 포마드, 헤어 스프레이/무스/왁스/젤, 샴푸, 린스, 퍼머넌트 웨이브, 헤어 스트레이트너 그 밖의 두발용 제품류와 헤어 틴트, 헤어 컬러스프레이 그 밖의 두발 염색용 제품류 등의 제형일 수도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 외에 다른 성분들을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색제(색소), 착향제(향료),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안정제, 등장제, pH조절제, 점도조절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 이외에 두피 개선, 두피 자극완화 및 항염 효과를 갖는 다른 유효 성분을 1가지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용제조성물은 우수한 두피안정화효과를 나타내어 샴푸나 염모제등의 헤어제품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1 : 알로에 추출물 분말의 제조
알로에를 정제수로 세척한 후, 세절한 알로에 100g에 증류수 1㎏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2~3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 스프레이드라이어(모델명:B-290, BUCHI사 제품)를 다음 조건으로 이용하여 건조시킨 표제의 추출 분말 7g을 얻었다.
- Inlet 온도 : 180 ℃
- Aspirator 효율 : 100% (35㎤/hr)
- Pump 효율 : 25% (7.5㎖/min)
- Nozzle Cleaner 4
- Rotameter : 30㎜ (357Liter/hr)
실시예 2 내지 5 : 추출 용매에 따른 알로에 추출물 분말의 제조
하기 표 1과 같이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실시예 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알로에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구분 추출 용매 분말 (g)
실시예 2 30% 에탄올 6.2
실시예 3 50% 에탄올 5.5
실시예 4 70% 에탄올 5.0
실시예 5 100% 에탄올 3.5
실시예 1 내지 5의 결과 물로 추출하였을 때, 분말 수득률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6 : 흰목이버섯 추출물 분말의 제조
흰목이버섯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세절한 흰목이버섯 100g에 증류수 1㎏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2~3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 스프레이 드라이어(모델명:B-290, BUCHI사 제품)를 다음 조건으로 이용하여 건조시킨 표제의 추출 분말 8g을 얻었다.
- Inlet 온도 : 180 ℃
- Aspirator 효율 : 100% (35㎤/hr)
- Pump 효율 : 25% (7.5㎖/min)
- Nozzle Cleaner 4
- Rotameter : 30㎜ (357Liter/hr)
실시예 7 내지 10 : 추출 용매에 따른 흰목이버섯 추출물 분말의 제조
실시예 6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기 표 2와 같이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흰목이버섯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구분 추출 용매 분말 (g)
실시예 7 30% 에탄올 7.2
실시예 8 50% 에탄올 6.0
실시예 9 70% 에탄올 5.0
실시예 10 100% 에탄올 3.3
실시예 6 내지 10의 결과 물로 추출하였을 때, 분말 수득률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1 : 복령 추출물 분말의 제조
복령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세절한 복령 100g에 증류수 1㎏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한다). 이 후 300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그리고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40~50℃의 온도에서 농축한 후 스프레이 드라이어(모델명:B-290, BUCHI사 제품)를 다음 조건으로 이용하여 건조시킨 표제의 추출 분말 9g을 얻었다.
- Inlet 온도 : 180 ℃
- Aspirator 효율 : 100% (35㎤/hr)
- Pump 효율 : 25% (7.5㎖/min)
- Nozzle Cleaner 4
- Rotameter : 30㎜ (357Liter/hr)
실시예 12 내지 15 : 추출 용매에 따른 복령 추출물 분말의 제조
하기 표 3과 같이 추출 용매를 달리하여 실시예 11의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령 추출물 분말을 제조하였다.
구분 추출 용매 분말 (g)
실시예 12 30% 에탄올 8.1
실시예 13 50% 에탄올 6.3
실시예 14 70% 에탄올 5.2
실시예 15 100% 에탄올 4.0
실시예 11 내지 15의 결과 물로 추출하였을 때, 분말 수득률이 가장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16 내지 19 :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혼합추출물 분말의 제조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의 중량비를 조절하여 하기 표 4와 같은 혼합 분말을 제조하였다.
구분 추출 분말 혼합 비율
(알로에 : 흰목이버섯 : 복령)
실시예 16 1 : 1 : 1
실시예 17 2 : 1 : 1
실시예 18 1 : 2 : 1
실시예 19 1 : 1 : 2
시험예 1 : 안점막 자극 시험(HET-CAM Test)
HET-CAM(The Hen's egg test-Chorioallantoic membrane) test는 Luepke에 의해 처음으로 개발되었고 여러 기관에서 널리 연구되어 왔다. 이 동물 대체법은 테스트 물질 적용 후 수정란의 융모요막(Chorioallantoic membrane, CAM)에 존재하는 혈관들의 거시적인 변화를 평가하는 방법으로 화장품의 원료 및 안자극을 평가하는데, 그 결과가 토끼를 이용한 안점막 자극 시험의 결과와 상관 관계가 높은 방법으로 평가되어 왔다.
수정란을 자동 배양기에 온도 37.5 ± 0.5℃, 습도 55 ± 7%의 조건으로 9일간 배양한다. 배양 10일째에 검란기를 통하여 기실이 관찰되어 CAM이 잘 발달된 수정란만을 선택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포셉을 이용하여 난각을 제거한 후 37℃ 멸균 생리식염수를 난각막에 부어 주어 난각막과 CAM이 잘 분리될 수 있도록 한다. 끝이 뭉툭한 포셉을 이용하여 CAM 표면의 혈관을 다치지 않게 난각막을 제거하여 CAM을 노출시킨다. HET-CAM test의 평가 방법 중 종결 반응 평가법을 안자극 판단에 이용하였다. 평가 물질을 CAM 표면에 30초간 반응시킨 후, 37℃ 멸균 생리식염수로 조심스럽게 CAM을 세척하고 30초 경과한 시점에서 혈관의 출혈, 융해, 응고 반응의 정도를 평가하여 자극 점수를 측정하였다. 한 시험 물질당 6개의 수정란을 사용하였으며, 종결 반응 평가법에 따른 평가 결과는 각 관찰 항목의 합으로 나타내어 평가 기준표를 참고하여 판정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결과
0.1% 0.2% 0.5% 1.0% 2.0% 5.0%
대조군
(정제수)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2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3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4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5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6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7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8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9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0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1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2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3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4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5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6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7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8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실시예 19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자극없음
상기 실시예 1 내지 19의 시료 모두 자극이 없음을 확인 하였다.
시험예 2 : 각질 세포에서 소듐라우릴설페이드(Sodium Lauryl Sulphate, SLS) 자극에 의한 IL-6의 활성 억제 시험
시험 세포인 각질형성세포(세포주명 : HaCaT)를 1% 우태아 혈청(Fetal Bovine Serum, FBS, Gibco)와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 Gibco)를 함유한 DMEM(Dulbeco's Modified Eagle Medium, Lonza) 배지를 이용하여 96 웰 플레이트(96 well plate)에 약 2 × 104 세포수/웰(cells/well)의 밀도로 분주한 후 37℃, 5% CO2 조건하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제거한 후, 인산염완충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200㎕를 넣어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후 1%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 배지에 시료를 0.01% 농도로 10분간 처리한 후, 10ppm 농도의 소듐라우릴설페이트로 추가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배양액 50㎕를 취하여 인터루킨-6(Interleukin-6, IL-6) ELISA kit(BD Pharmigen)를 이용하여 소듐라우릴설페이트에 의한 인터루킨-6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IL-6 활성 억제율(%)
0.1% 0.2% 0.5% 1.0% 2.0% 5.0%
대조군 0 0 0 0 0 0
실시예 1 28 40 51 63 77 90
실시예 2 19 31 44 59 71 82
실시예 3 11 19 28 41 56 70
실시예 4 6 10 22 34 49 61
실시예 5 4 7 11 20 36 51
실시예 6 32 44 57 69 82 91
실시예 7 22 35 48 63 75 87
실시예 8 15 23 32 44 60 73
실시예 9 7 11 21 39 51 62
실시예 10 5 12 22 31 42 54
실시예 11 21 33 50 60 75 89
실시예 12 18 30 42 55 68 80
실시예 13 15 21 30 41 50 69
실시예 14 8 13 21 31 40 54
실시예 15 6 7 10 23 37 48
실시예 16 35 48 63 75 84 92
실시예 17 31 40 56 70 81 90
실시예 18 33 43 57 71 81 90
실시예 19 27 38 51 65 79 88
그 결과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의 혼합추출물인 상기 실시예 16 내지 19의 혼합추출물은 우수한 IL-6 활성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기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의 1:1:1 혼합추출물인 실시예 16이 다른 실시예보다 더욱우수한 효과를 나나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3 : 염증자극원(Lipopolysaccharides, LPS)에 의한 염증매개인자(Interleukin-8, IL-8) 발현 억제 시험
정상 인간 각질형성세포(NHK)에 LPS(Lipopolysaccharides, Sigma)를 처리하여 염증반응을 유도하였다. LPS에 의한 주요 IL-8들의 발현변화와 처리물질의 항염 효능을 평가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구분 IL-8 발현 억제율(%)
0.1% 0.2% 0.5% 1.0% 2.0% 5.0%
대조군 0 0 0 0 0 0
실시예 1 10 17 30 46 60 75
실시예 2 8 15 28 39 51 69
실시예 3 7 12 24 33 46 60
실시예 4 7 9 20 31 40 51
실시예 5 6 10 17 22 30 44
실시예 6 12 26 37 50 66 78
실시예 7 11 20 32 43 61 72
실시예 8 9 16 24 39 54 67
실시예 9 9 14 21 30 48 59
실시예 10 8 13 19 28 41 50
실시예 11 18 31 45 59 71 82
실시예 12 13 25 40 51 64 75
실시예 13 11 20 34 47 58 70
실시예 14 10 19 31 42 50 62
실시예 15 8 12 20 31 40 49
실시예 16 20 33 47 60 72 85
실시예 17 13 27 38 51 68 77
실시예 18 13 28 40 53 69 79
실시예 19 15 29 41 53 70 80
그 결과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의 혼합추출물인 상기 실시예 16 내지 19의 혼합추출물은 우수한 IL-8 발현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상기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의 1:1:1 혼합추출물인 실시예 16이 다른 실시예보다 더욱우수한 효과를 나나냄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 두피 피지량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4명을 선정하여 2명씩 2개 그룹으로 나누어 실시예 조성물이 함유된 샴푸를 연속 사용하게 하고, 샴푸만 단독 사용하게 하여 육안으로 두피의 각질량을 평가하였고, Sebumeter(C+K, Germany)로 두피의 피지량을 측정하였다.
구분 두피 피지량
0.1% 0.2% 0.5% 1.0% 2.0% 5.0%
대조군 100 100 100 100 100 100
실시예 16 93 90 86 82 79 73
실시예 17 96 93 91 89 83 80
실시예 18 94 92 90 88 81 78
실시예 19 95 92 91 88 80 77
상기 표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의 혼합추출물 함유 샴푸를 사용하는 경우 피지량의 감소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실시예 16의 두피 피지량이 다른 실시예보다 더욱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5 : 두피 안전성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6 조성물을 매일 2회(오전, 오후)씩 2주간 연속 사용하게 한 후 피부과 전문의에 의한 면담과 두피 상태 검진을 병행하여 시료에 의한 피부 이상반응(감성적 반응과 외견적 반응)을 확인 및 관찰하고 시료의 두피 적합성을 판정하였다.
피부과전문의는 시험 부위를 육안 검사하고, 자극 발생 여부, 발생 시점, 빈도, 강도, 지속시간 등을 문진하여 시료의 안전성을 최종 평가하였다. 실험을 정상적으로 종료한 20명의 피험자 중 2명이 시료 사용 후 두피에 약한 소양감을 보고하였다. 증상이 심하지 않고 연속적인 시료 사용에도 재발하지 않아서 시료와 연관성을 "연관성이 희박함"으로 판정하였다.
피부과전문의에 의한 안전성 관찰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피험자 두피 안전성
매우 좋음 좋음 보통 나쁨 매우 나쁨
n 3 10 6 1 0
백분율(%) 15% 50% 30% 5%
상기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시료의 두피 안전성이 좋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6 : 사용 효능 및 품질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6 조성물이 함유된 샴푸를 2주 동안 매일 사용하도록 한 후, 설문항목에 7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우수함)로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 품질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0에 나타내었다.
설문항목 점수
1. 기포의 양이 마사지 하기에 적당하다. 4.0
2. 두피에 가려움이나 자극이 없다. 5.3
3. 두피가 시원하다. 5.1
4. 건조 후 두피가 개운하다. 5.0
5. 두피의 상태가 깨끗해졌다. 5.2
상기 표 10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조성물은 사용 효능 및 품질이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 1차 피부 자극 시험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선정하여 실시예 16 조성물이 함유된 산성칼라 및 스트레이트 크림을 사용 한 후, 하기 표 11의 설문항목에 4점 척도(점수가 낮을수록 우수함)로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12에 나타내었다.
판단기준 점수
아무런 반응 없음 0
약한 홍반 1
명확한 홍반 2
부종을 동반한 심한 홍반 3
심한 홍반, 수포, 부종 동반 4
시료번호 시료명 비고 자극정도 시료번호 시료명 비고 자극정도
1 산성칼라 무첨가 2.5 4 스트레이트
크림
무첨가 2.5
2 실시예 16
0.5% 첨가
2.2 5 실시예 16
0.5% 첨가
2.2
3 실시예 16
1.0% 첨가
1.9 6 실시예 16
1.0% 첨가
1.9
상기 표 1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실시예 조성물을 첨가하는 경우 자극을 크게 완화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8 : 경피 수분 손실량(TEWL) 측정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선정하여 상기 시험예 7의 시료 1 내지 6의 산성칼라 및 스트레이트 크림을 사용하게 한 후, 경피 수분량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3에 나타내었다.
시료 번호 1 2 3 4 5 6
TEWL
(g/h m2)
11.84
± 2.96
10.85
± 2.90
10.00
± 2.65
14.10
± 2.99
13.25
± 1.82
11.99
± 3.62
상기 표 13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6 조성물이 첨가된 시료 2, 3, 5, 6은 경피의 수분손실량을 감소시키므로서 피부자극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9 : 피부 손상정도 측정
상기 시험예 7의 시료 1 내지 6을 사용하게 한 후 피부 손상정도를 평가하였다. 두피 표면을 Visioscan VC98로 측정하였다. 대조군(시료 1, 4)와 비교하여 시험군(시료 2, 3, 5, 6)을 도포한 결과가 더 깨끗함을 알 수 있고 이러한 결과는 피부 손상을 덜 일으킨다고 할 수 있다.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혼합추출물은 피부손상을 억제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laims (5)

  1.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및 부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50 중량% 포함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이 각각 1~2:1~2:1~2의 중량비율로 혼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은 헤어 컨디셔너, 헤어 토닉, 헤어 그루밍 에이드,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오일, 포마드, 헤어 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왁스, 헤어젤, 샴푸, 린스, 퍼머넌트 웨이브, 헤어 스트레이트너, 헤어틴트 또는 헤어 컬러스프레이의 제형을 가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KR1020130155449A 2013-12-13 2013-12-13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KR101369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449A KR101369964B1 (ko) 2013-12-13 2013-12-13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5449A KR101369964B1 (ko) 2013-12-13 2013-12-13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9964B1 true KR101369964B1 (ko) 2014-03-27

Family

ID=50647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5449A KR101369964B1 (ko) 2013-12-13 2013-12-13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96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9588B1 (ko) 2006-07-18 2008-06-19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058704B1 (ko) 2004-12-21 2011-08-22 (주)아모레퍼시픽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조성물
KR20130042761A (ko) * 2011-10-19 2013-04-29 주식회사 해누리 두피자극 완화용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8704B1 (ko) 2004-12-21 2011-08-22 (주)아모레퍼시픽 라스베리 잎 또는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 조성물
KR100839588B1 (ko) 2006-07-18 2008-06-19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42761A (ko) * 2011-10-19 2013-04-29 주식회사 해누리 두피자극 완화용 염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9892B1 (ko) 물푸레나무 추출물 및 갯메꽃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08012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32246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825704B1 (ko) 커피 실버스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1661688B1 (ko) 천연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아토피 증상의 예방, 완화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454150B1 (ko) 약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저자극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85224B1 (ko) 금불초, 삼지구엽초 및 마디풀 복합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229762B1 (ko) 육모촉진 및 탈모예방 개선용 외용제조성물
KR20190027176A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50009266A (ko) 딱총나무 및 으아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59445A (ko) 한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양이온/음이온 계면활성제 혼합베시클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용 또는 모발 성장용 조성물
KR101369964B1 (ko) 알로에, 흰목이버섯 및 복령 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자극완화용 외용제조성물
KR101637466B1 (ko) 두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두피 트리트먼트 방법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