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08012B1 -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08012B1
KR101208012B1 KR1020110133374A KR20110133374A KR101208012B1 KR 101208012 B1 KR101208012 B1 KR 101208012B1 KR 1020110133374 A KR1020110133374 A KR 1020110133374A KR 20110133374 A KR20110133374 A KR 20110133374A KR 101208012 B1 KR101208012 B1 KR 1012080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snail
red ginseng
skin
muc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33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성민
이경아
박성로
윤미영
박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Priority to KR10201101333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01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0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012B1/ko
Priority to PCT/KR2012/010836 priority patent/WO2013089449A1/ko
Priority to CN201280065814.2A priority patent/CN104254318A/zh
Priority to PH12014501342A priority patent/PH120145013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유래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육한 달팽이의 점액보다 상처치유 및 피부재생 효과, 아토피 완화 효과 및 피부 자극 완화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났다.

Description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nail mucus fed with red ginseng and produc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좀더 구체적으로는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유래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손상을 받았을 때 창상 치유의 과정은 염증, 세포증식, 세포이주, 혈관 증식, 세포기질 형성 등을 포함하는 매우 복잡한 과정을 밟는다. 이러한 단계는 명확한 구분 없이 어느 정도 중첩되면서 연속적으로 진행되고 치유 속도와 정도는 조직에 따라, 창상 치유 방법에 따라 다르게 진행된다. 즉, 피부의 창상에는 여러 가지 형태가 있으며, 각 창상은 그 유형에 따라 서로 연관성을 갖는 해부학적, 생리학적, 병리학적 및 미생물학적 요인들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이 모든 요인들이 창상 치유 과정에 관여되지만 그 과정의 기본은 다음과 같다.
창상의 단계에 대한 분류로는 여러 가지 방법이 있으나 존스톤(Johnston)은 염증기, 이물제거기, 복구기 그리고 성숙기의 4기로 나누고 있다. 여기서 주의해야 할 점은 창상 치유 과정의 특징은 이상의 주기가 연속되는 과정이라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직이 손상되면 세포의 구조, 생리, 생화학적 변화가 일어나 손상 또는 결손부위가 완전히 재생되거나 반흔을 남기고 치유되는데, 그 중 창상 수축은 피부 결손창의 치유과정에서 중요한 요소 중 하나로 창연의 상피증식과 육아조직의 수축작용에 의해서 결손부가 축소되어 가는 현상이다. 육아조직의 수축 기전에 대해서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근섬유아세포(myofibroblast)의 수축력에 기인한다는 이론이 가장 유력하게 인정되고 있다.
창상 치유의 과정은 손상된 조직을 수복시키는 생체반응으로 창상이 생기면 출혈시의 혈액응고, 피브린의 삼출, 탐식구 동원에 의한 파괴된 조직편의 탐식작용, 표피의 재생 및 육아조직, 신생 모세혈관과 섬유아세포의 증식, 그리고 증식된 섬유아세포에 의해서 합성 분비된 콜라겐 섬유의 침착으로 인한 섬유화 단계를 거쳐 치유가 이루어진다. 최근의 창상 치유에 관련된 연구들은 결손창의 충진 조직인 육아조직아세포의 형성이나 콜라겐의 형성을 확인하거나, 상피세포의 피복률에 대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표피의 각질층은 피부에서도 가장 외측에 존재하면서 피부 밖으로 수분과 전해질이 소실되는 것을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건조를 막고 피부의 정상적인 생화학적 대사를 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또한, 외부의 물리적 손상과 화학물질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거나 세균, 바이러스 등이 피부로 침범하는 것을 방지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피부는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디메틸 술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크로톤 오일(Croton Oil), 수산화나트륨 등과 같이 피부에 자극을 일으키는 물질에 노출되면, 각질층이 손상을 받게 되고, 각질층 손상의 지표가 되는 경표피수분손실(Transepidermal Water Loss)이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피부자극을 일으키는 물질에 대해 피부를 보호하여 자극을 완화시키려는 연구들이 행하여져 왔다. 글리세린을 함유한 오일 인 워터 (Oil-in-Water) 에멀젼이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또는 디메틸 술폭사이드에 의한 피부자극에 대해 피부를 보호하는 기능이 있음이 밝혀졌고, 보호 크림(Protective Cream)이 만성 피부자극에 대해 피부자극 완화효과가 있는 것도 보고되었다.
한편, 달팽이는 복족류에 속하며 세계에 약 2만 종이 알려져 있다. 주로 한국, 일본, 중국 등 온대와 열대 지방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달팽이류는 이동력이 약하기 때문에 개체군이 지역별로 격리되어 있어 아종이 많이 생긴다. 그 중에는 대형(껍데기 높이 100mm)인 아프리카마노달팽이(Achatina achatina)와 껍데기 높이가 약 1mm인 왜달팽이(Valononia costata)가 있는가 하면, 브라질에 서식하는 큰 붕달팽이는 알의 길이가 27mm, 지름이 약 12mm이다.
달팽이의 점액을 구성하는 성분은 뮤신(Mucin)인데, 뮤신을 구성하고 있는 성분은 콘드로이친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이다. 주영양성분은 단백질(54.29%), 지질(4.18%), 탄수화물(30.45%), 회분(4.07%) 등으로 알려져 있다. 달팽이 점액의 주요 함유물질인 알란토인(Allantoin)은 피부진정 및 모공수축작용이 있으며, 글리콜산(Glicolic Acid)은 피부트러블 예방 효과가 있고 콜라겐(Collagen)과 엘라스틴(Elastin)은 피부탄력을 유지시켜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인삼(Panax ginseng)은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류로서, 한방에서는 그 뿌리를 인삼(Ginseng Radix)이라 하며, 강장(强壯), 강정(强精), 조혈(造血), 보온(保溫), 건위(健胃), 피로회복, 정신안정, 진정작용 등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인삼의 주요 유효성분으로는 사포닌, 사포게닌, 폴리아세틸렌, 피라진 유도체, 말톨 등이 있으며, 인삼 사포닌은 화학구조의 특성에 따라 프로토파낙사디올(protopanaxadiol)계, 프로토파낙사트리올 (protopanaxatriol)계 및 올레아노난(oleanonane)계 사포닌으로 구분하는데, 현재까지 각각 19종, 10종, 1종의 화합물이 분리 정제되었으며, 디올계와 트리올계는 체내에서의 약리작용이 서로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삼 사포닌은 다른 식물의 사포닌과 달리 독성이 없고 0.001% 이하에서는 용혈작용을 나타내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중추신경 억제작용, 단백질합성 촉진작용, 부신피질호르몬 분비촉진작용, 면역증강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한편, 홍삼은 수삼을 박피를 하지 않은 상태에서 증기로 찌고 건조시키는 증숙의 과정을 반복하여 만든 가공된 인삼을 말한다. 홍삼은 담황갈색 혹은 담적갈색을 띠는 시각적인 차이뿐만 아니라 건조 과정이 수분이 증발되어 단위 g당 생리활성물질의 함량이 매우 높은 특징이 있다. 홍삼은 증숙 과정에서 사포닌 배당체가 사포닌으로 전환되어 사포닌의 농도가 증가하고, 종류도 32종으로 늘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1995-0002741 (1995. 02. 16)에는 "달팽이로부터 추출한 뮤신성분을 이용한 화장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깨끗한 물에 세척한 달팽이를 염분이 함유된 온수에 침지하여 달팽이가 함유하고 있는 불순물을 완전히 제거한 후 달팽이로부터 액체상태의 뮤신성분을 수집하고 수집된 뮤신성분을 가열하여 수분을 증발시키므로서 순수한 뮤신성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뮤신성분을 화장품의 제조공정 중 기본원료의 혼합과정에 투입혼합하여 제조한 화장품"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우수한 효능이 있는 홍삼과 달팽이 점액을 접목시켜, 피부 화장료에 적용이 가능하고 인체에 무해한 천연 소재 유래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홍삼 분말이 포함된 사료를 먹은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있어서, 달팽이는 특정의 종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일 예로, 아카티나 퓨리카(Achatina fulica) 또는 헬릭스 포마티아(Helix pomatia) 종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홍삼 분말은, 바람직하게 사료 중, 0.1~30중량% 함유된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점액은, 바람직하게 콘드로이친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알란토인(allantoin) 및 글리콜산(glicolic acid)을 포함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달팽이 점액은, 바람직하게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 ~30.0 중량% 만큼 포함되는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자극 완화용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아토피 개선용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피부보습용인 것이 좋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제형이,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에멀젼, 연고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과,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이하, 본 발명의 과제의 해결 수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자들은 여러 천연물들에 있어서 화장품으로의 응용 가능성을 연구한 결과, 달팽이의 점액을 선정하였으며, 일반적인 방법으로 사육한 달팽이의 점액에서보다 홍삼을 달팽이에게 공급하여 수득한 달팽이의 점액에서 상처치유 및 피부재생 효과,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측정한 결과가 매우 우수하므로 화장품으로서의 효능을 기대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의 화장료용 조성물에 있어서, 주요 성분이 되는 달팽이 점액은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점액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은 기존의 달팽이 점액보다 우수한 세포 활성 및 피부 보습, 아토피 피부 재생 효과를 발휘하였는데, 이로부터 우수한 상처 치유 및 피부 재생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된 달팽이 점액은 종래의 달팽이 점액에 비하여 콘드로이친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알란토인(Allantoin), 글리콜산(Glicolic Acid) 등이 매우 풍부하게 들어 있어, 상처치유 및 피부재생 효과, 피부자극 완화 효과 등이 매우 탁월하였다.
한편, 본 발명은 달팽이 사료 중에 홍삼을 0.1~30중량%, 바람직하게는 7~10중량% 함유시켜 달팽이에게 먹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0.1중량%보다 적은 경우에는 달팽이가 홍삼을 충분히 섭취하지 못하게 되고, 30중량%보다 많은 경우에는 함유량 대비 효과의 증가 폭이 적어 경제적이지 못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된 달팽이 점액은 특정한 범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에 대해 0.001~30 중량% 함유되는 것이 좋다. 상기 범위 내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면 화장료 조성물의 품질 적성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상기의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된 달팽이 점액의 효과가 충분히 발휘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된 달팽이 점액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주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 등을 함유하는 것도 무방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유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함유할 수 있다. 이들 다양한 보조제의 양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양이며, 예컨대 조성물 총중량에 대해 0.001 내지 30 중량%이다. 다만, 어떠한 경우라도 보조제 및 그 비율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바람직한 성질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도록 선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보습효과, 세포활성화 효과, 아토피 개선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재생 및 상처 치유 효능이 매우 뛰어나므로, 피부 재생용, 상처치유용, 피부자극완화용, 아토피 개선용, 피부 보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바람직하게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에멀젼, 연고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및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이 좋다.
또한, 선택적으로 에어로졸 형태로 피부에 적용될 수도 있고, 고체 형태 예컨대, 스틱의 형태일 수도 있으며, 피부용 케어 제품 및/또는 메이크업 제품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처치유, 피부재생효과 및 피부 자극 완화효과가 매우 뛰어난 화장료용 달팽이 점액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을 이용하기 때문에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을 이용하여 피부 보습효과, 세포 활성화 효과, 상처치유효과, 아토피 개선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재생 효능이 뛰어나며, 자극완화 효과가 있는 다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을 이용하여 피부 재생 효능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자극 완화 효과가 있어 우수한 피부 개선 효과를 발휘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피부 전층 결손 모델의 실험용 쥐에 대한 시간의 경과에 따른 창상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 모두 포함한다.
[ 제조예 :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달팽이 점액 제조]
5년근 홍삼을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하여 분쇄한 후 이것을 일반 달팽이 사료에 10%(w/w)첨가하여 달팽이에게 급식하였다. 실험을 위한 달팽이는 아카티나 퓨리카(Achatina fulica) 또는 헬릭스 포마티아(Helix pomatia) 종으로, 5~6개월 키운 달팽이만 선별하였으며, 크기는 5~10 cm이며, 바람직하게는 6~8cm가 적당하다. 이렇게 선별된 달팽이에게 홍삼의 급식은 1일 1~4회 150~180일 동안 지속하였다.
일정기간 홍삼을 먹은 달팽이를 흐르는 깨끗한 물에 세척하고 비슷한 크기(6~8cm)만 선별하여 70% 에탄올로 깨끗이 소독하고 정확하게 점액을 얻기 위해 무게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달팽이를 검정색 망에 넣어 6시간 분비된 점액을 수집하고 다시 먹이를 준 후, 12시간 회복기를 주고 위와 동일한 방법으로 다시 점액을 수집하였으며 수집한 점액은 냉장 보관하였다.
하기 비교 제조예에서는 달팽이로 헬릭스 포마티아(Helix pomatia) 종을 사용하였고, 하기 실험에서는 이 종이 생산한 달팽이 점액을 이용하였다.
[비교 제조예 1 : 일반 달팽이 점액의 수득]
달팽이 사료에 홍삼을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조예와 동일하게 달팽이 점액을 수득하였다.
하기 표 1에는 상기 제조예와 비교 제조예에서 사용한 달팽이 사료의 성분을 나타내었다.
제조예 비교 제조예
쌀겨(미강) 27~30% 37%
조사료 20% 20%
탄산칼슘(석회암) 20% 20%
두부비지 23% 23%
홍삼 7~10% 0%
총함량 100% 100%
[비교 제조예 2 : 홍삼 추출물의 수득]
제조예와 동일한 5년근 홍삼을 시료로 선별하여 충분히 세척하여 분쇄한 후 홍삼 100g에 물 및 에탄올의 비율을 3:7로 조정한 70% 에탄올 수용액 1,000 mL를 가하여 실온에서 5일간 침출하였다. 이를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농축하여 건조 추출물을 얻었으며, 상기 건조 추출물을 1%(w/v) 농도가 되도록 30% 1,3-부틸렌 글리콜 용액으로 용해하고 여과한 후 본 발명의 실험에 적용하였다.
[비교 제조예 3 : 달팽이 점액과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 제조]
비교 제조예 1의 홍삼을 먹이지 않은 달팽이 점액과 비교 제조예 2의 홍삼 추출물의 혼합액을 제조하였다. 비교 제조예 1과 비교 제조예 2를 각각 50%(w/w) 첨가하였다.
[ 시험예 1 : 세포활성 효과 측정]
본 시험예는 상기 제조예의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과 비교 제조예 1의 달팽이 점액, 비교 제조예 2의 홍삼 추출물과 비교 제조예 3의 혼합액의 세포 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실험실 조건에서 세포활성 효과를 측정하였다.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DFs)에 0~1%의 상기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과 비교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 비교 제조예 2의 홍삼 추출물과 비교 제조예 3의 혼합액을 처리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측정방법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① 인간 진피 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HDF))를 3×103/well/0.09ml로 96웰 플레이트에서 37℃, 5% CO2에서 0.5% FBS(fetal bovine serum)이 첨가된 DMEM 배지로 24시간 배양하였다.
② 최종농도가 0.25, 0.5, 1%가 되도록 배양배지에 희석된 시험물질, 제조예와 비교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을 0.01 mL 첨가한 후 24시간 배양하였다.
③ 10 ㎕의 CCK-8용액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④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⑤ 45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활성률(세포활성효과)는 하기의 수학식 1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와 같았다.
[수학식 1]
세포활성률 (%) = [(B-A)/A]×100
A :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웰의 흡광도
B : 시료를 첨가한 웰의 흡광도
시료명 처리농도(%) 세포활성효과(%)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
(제조예)
0.25 28.5
0.5 32.5
1.0 39.5
달팽이 점액
(비교 제조예 1)
0.25 20.0
0.5 26.5
1.0 31.0
홍삼 추출물
(비교 제조예 2)
0.25 24.5
0.5 32.0
1.0 35.5
혼합액
(비교 제조예 3)
0.25 22.5
0.5 29.0
1.0 33.5
상기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제조예의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은 비교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 홍삼 추출물이나 이들의 혼합액보다 우수한 세포활성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세포 배양기술을 이용한 자극완화 효과 평가]
본 시험예에서는 상기 제조예의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 및 비교 제조예 1의 달팽이 점액, 비교 제조예 2의 홍삼 추출물과 비교 제조예 3의 혼합액의 피부 자극완화 효과를 비교 평가하기 위하여, 세포배양 기술을 이용하여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인 소듐라우릴설페이트(Sodium Lauryl Sulfate; SLS)에 의한 세포사멸을 저해시키는 정도로 자극완화 효과를 평가하였다.
SLS는 화장품 기재의 피부자극 평가의 기준이 되는 물질로 세포막에 결합되어 세포대사 억제와 세포막을 파괴하여 피부자극을 유발하는 물질이다.
본 시험예는 사람 섬유아세포에 SLS와 본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을 가한 경우와, SLS와 비교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을 가한 경우의 SLS에 의한 세포사멸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비교 평가한 것이다.
본 시험예에 사용된 Hs68 섬유아세포는 사람의 피부 진피세포로 ATCC (American Type Culture Collection, 기탁번호 : 1635)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세포배양기술을 이용한 자극완화 평가실험은 다음과 같이 행하였다.
사람 유래의 섬유아세포를 96공 평판 배양기에 각 웰당 1×105농도로 분주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0.01% SLS 단독, 0.01% SLS와 0.1% 본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 0.01% SLS와 0.1% 비교 제조예 1 내지 3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배양 후 MTT(Sigma) 시약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1N NaOH/이소프로판올용액을 첨가하여 20분간 교반한 후 흡광광도계로 56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본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과 비교 제조예 1 내지 3이 SLS에 의한 세포사멸을 저해하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료명 섬유아세포 생존율(%)
0.002% SLS 43
0.002% SLS + 0.1% 본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 83
0.002% SLS + 0.1% 비교 제조예 1의 달팽이 점액 74
0.002% SLS + 0.1% 비교 제조예 2의 홍삼 추출물 68
0.002% SLS + 0.1% 비교 제조예 3의 혼합액 72
상기 표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제조예의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과 비교 제조예 1 내지 3은 SLS에 의해서 유발되는 세포사멸을 억제시킴으로써 화장료 기재와 함께 처방하였을 때 화장료 기재로 일어날 수 있는 피부 자극을 완화시키는 자극 완화 물질임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본 제조예의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된 달팽이 점액은 비교 제조예의 달팽이 점액에 비하여 자극 완화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비교예 1 내지 4 : 화장료 제조]
본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는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한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과 비교 제조예 1 내지 3을 이용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화장료는 크림형태이고, 그 조성은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단위: 중량%
원료 실시예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스테아릴알콜 8 8 8 8 8
스테아린산 2 2 2 2 2
스테아린산콜레스테롤 2 2 2 2 2
스쿠알란 4 4 4 4 4
2-옥틸도데실알콜 6 6 6 6 6
폴리옥시에틸렌(25몰부가) 알콜에스테르 3 3 3 3 3
글리세릴모노스테아린산에스테르 2 2 2 2 2




제조예의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 5 - - - -
비교 제조예 1의 달팽이 점액 - 5 - - -
비교 제조예 2의 홍삼 추출물 - - 5 - -
비교 제조예 3의 혼합액 - - - 5 -
Na-히알루론산염 - - - - 5
프로필렌글리콜 5 5 5 5 5
정제수 100에 대한 나머지 100에 대한 나머지 100에 대한 나머지 100에 대한 나머지 100에 대한 나머지
표 4에 기록되어 있는 '나'상을 가열하여 70℃에 보존하였고, 보존된 '나'상에 '가'상을 가하여 예비 유화를 시킨 후, 호모믹서로 균일하게 유화한 다음 서서히 냉각하여 각각의 크림(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3 : 피부 보습 효과 측정]
본 시험예는 상기 제조예에서 수득한 홍삼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한 화장료(실시예), 비교 제조예 1에서 수득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한 화장료(비교예 1), 비교 제조예 2에서 수득한 홍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비교예 2), 비교 제조예 3에서 수득한 혼합물을 함유한 화장료(비교예 3) 및 Na-히알루론산염를 함유한 화장료(비교예 4)를 제조하여 사람을 대상으로 피부 보습 효과를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실험자(30대-40대의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얼굴 오른쪽 부위에는 실시예에서 제조된 크림을, 이 중 10명의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크림을 바르고 다른 10명의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2에서 제조된 크림을 바르고 또 다른 10명의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3에서 제조된 크림을 나머지 10명의 얼굴 왼쪽 부위에는 비교예 4에서 제조된 크림을 각각 1일 2회씩 연속 4주간 도포하였다.
제품 도포 전(0주), 제품 도포 2주, 4주 후에 피험자의 시험 부위의 보습을 피부 수분 측정기(Corneo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주간 시험에 참여한 모든 피험자들에게서 이상반응은 없었다.
피부 수분 측정기는 피부 표면에 프로브(Probe)를 접촉 시 프로브의 헤드에 내재된 센서에 전도되는 미미한 전류의 용량(Capacitance)을 계측하여 수분 함유량의 수치를 나타내며, 수치가 높게 측정될수록 피부의 수분 함유량이 많은 것을 의미한다.
표 5는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4에서 제조된 크림을 사용한 피험자의 피부 보습 결과이다.

제품 도포 기간(주)
0 2 4
실시예 64.26 73.54 77.42
비교예 1 64.74 70.16 74.88
비교예 2 64.35 67.65 71.64
비교예 3 63.85 68.91 73.12
비교예 4 63.87 68.96 72.60
n=40, p<0.05
피부보습 개선율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하여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6과 같다.
[수학식 2]
피부 보습 개선율 (%) = [(B-A)/A]×100
A : 0일 보습 측정결과
B : 2, 4주 보습 측정결과

제품 도포 기간(주)
2 4
실시예 14.44 20.48
비교예 1 8.37 15.66
비교예 2 5.13 11.33
비교예 3 7.92 14.52
비교예 4 7.97 13.67
n=40, p<0.05
상기 표 5,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시험한 시료 모두에서 피부 보습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본 실시예의 홍삼을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비교예 1 내지 3을 함유하는 화장료보다 매우 우수한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4 : 피부 전층 결손 모델에서의 상처치유효과]
본 시험예에서는 실시예 및 비교예 1 내지 3의 화장료에 대하여 실험용 쥐를 대상으로 피부 전층 결손 모델에서의 상처 치유 효과를 비교실험을 행하여 평가하였다.
각 날짜별로 5마리로 무작위 체중에 의해 군 분리한 후 시험 1일째에 전층결손창상 모델을 제작하였다. 창상 유발은 시험동물의 배부에 술자시선에 따라 왼쪽 위부터 아래 순으로 창상 1, 2, 3을 지정하고 오른쪽 위부터 아래 순으로 창상 4, 5, 6으로 지정하였다.
실험용 쥐 배부에 가로, 세로 10 mm의 피부 전층 결손창을 만든 후, 표 8과 같이 군을 분리하고 시험물질 패취를 붙였다.
시료명 투여용량 동물별 적용 부위
대조군 blank patch 창상 1
양성대조군 (마데카솔) 500 mg/cm2 창상 2
실시예 500 mg/cm2 창상 3
비교예 1 500 mg/cm2 창상 4
비교예 2 500 mg/cm2 창상 5
비교예 3 500 mg/cm2 창상 6
패취 부착 후, 1, 3, 7, 9, 14일 각각의 창상수축율을 측정하여 표 9에 기재하였다.
1 일 4 일 7 일 9 일 11 일 14 일
대조군 0.99 0.73 0.52 0.28 0.11 0.02
양성대조군(마데카솔) 1.06 0.87 0.67 0.51 0.33 0.12
실시예 1.02 0.70 0.39 0.18 0.04 0.0006
비교예 1 1.10 0.78 0.50 0.28 0.12 0.01
비교예 2 1.05 0.81 0.65 0.43 0.25 0.08
비교예 3 1.06 0.77 0.58 0.36 0.17 0.05
단위: cm2
n=5, p<0.05
창상치유 효과를 정량하기 위해 초기 창상면적을 100으로 하여 14일 부검군에서 1일 후, 3, 7, 9, 11, 14일째의 창상면적을 디지털 이미지화하여 창면 수축율을 구하였다.
창상 유발 후 14일 동안의 창상 수축률을 측정해보면, 모든 창상은 시험기간(14일) 동안 점차적으로 창면 수축에 의해 창면이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한편, 시험기간 중 창상 수축 정도가 가장 활발한 시기는 4일부터 9일 사이로 전체 창상 면적을 100으로 봤을 때 대조군를 붙인 창상 1은 47%, 양성약물(마데카솔)을 붙인 창상 2는 36%, 홍삼 먹인 달팽이로부터 수득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을 붙인 창상 3은 61%의 수축이 일어났다.
그 중 실시예의 패취를 붙인 창상면의 수축률은 4일 31.37%, 7일 61.76%, 9일 82.35%, 11일 96.08%, 14일 99.94%로, 대조군 및 양성 대조군과 다른 비교예군에 비해 매우 높은 수축율을 보임을 알 수 있었다(도 1).

Claims (7)

  1. 아카티나 퓨리카(Achatina fulica) 종 또는 헬릭스 포마티아(Helix pomatia) 종인 달팽이에게 홍삼 분말이 포함된 사료를 먹인 후,
    상기 달팽이로부터 달팽이 점액을 수득하고,
    상기 수득된 달팽이 점액을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홍삼 분말은,
    사료 중, 0.1~30 중량% 함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득된 달팽이 점액은,
    콘드로이친 설페이트(chondroitin sulfate), 알란토인(allantoin) 및 글리콜산(glicolic aci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득된 달팽이 점액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001 ~30.0중량% 만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5. 삭제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로서,
    피부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로서,
    화장수, 젤, 수용성 리퀴드, 크림, 에센스, 수중유(O/W)형 및 유중수(W/O)형의 에멀젼, 연고로 이루어진 기초화장료 제형;과
    수중유형 및 유중수형 메이크업베이스, 파운데이션, 스킨커버, 립스틱, 립그로스, 페이스파우더, 투웨이케익, 아이새도, 치크칼라, 아이브로우 펜슬류로 이루어진 색조화장료 제형;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33374A 2011-12-13 2011-12-13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80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374A KR101208012B1 (ko) 2011-12-13 2011-12-13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CT/KR2012/010836 WO2013089449A1 (ko) 2011-12-13 2012-12-13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201280065814.2A CN104254318A (zh) 2011-12-13 2012-12-13 含有用红参饲喂的蜗牛粘液的化妆品组合物及其制造方法
PH12014501342A PH12014501342B1 (en) 2011-12-13 2014-06-13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lime of snails fed with red ginseng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3374A KR101208012B1 (ko) 2011-12-13 2011-12-13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012B1 true KR101208012B1 (ko) 2012-12-04

Family

ID=479068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3374A KR101208012B1 (ko) 2011-12-13 2011-12-13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101208012B1 (ko)
CN (1) CN104254318A (ko)
PH (1) PH12014501342B1 (ko)
WO (1) WO2013089449A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60451A (zh) * 2014-04-01 2014-06-18 广东伊茗药业有限公司 一种含有蜗牛黏液提取物的功效性护肤品及制备方法
CN103976933A (zh) * 2014-05-28 2014-08-13 北京中亿世联科技发展有限公司 含蜗牛粘液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造工艺
CN104887596A (zh) * 2014-03-05 2015-09-09 广州澳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全效修复的蜗牛原液及其制备方法
KR20160035722A (ko) * 2014-09-24 2016-04-01 (주)차모스코스메틱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8686B1 (ko) 2015-03-31 2017-04-21 주식회사 크릴랜드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2963B1 (ko) * 2016-02-26 2017-11-29 농업회사법인 우리엘바이오 주식회사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434719B (zh) * 2014-11-04 2018-01-23 广州卡迪莲化妆品有限公司 一种蜗牛分泌物滤液在提升彩妆类产品贴肤性能中的应用
CN106727224A (zh) * 2016-12-16 2017-05-31 常州市鼎日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保湿防皲裂护手霜的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00B1 (ko) 2010-08-31 2011-12-26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12607B1 (ko) * 1993-06-18 1996-09-23 엘지화학 주식회사 피부건조방지용 보습화장료 조성물
CN1112831A (zh) * 1994-05-30 1995-12-06 乌力吉 含蜗牛提取液的长效多功能营养护肤水及其制法
KR20010054526A (ko) * 1999-12-07 2001-07-02 금동우 달팽이 생진액을 이용한 화장료 제조방법
KR20030007999A (ko) * 2001-07-12 2003-01-24 신원의 천연소재를 이용한 마사지 크림 및 그의 제조 방법
US20100233111A1 (en) * 2008-04-06 2010-09-16 William Wang Gastropod biological fluid, method of making and refining and us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98400B1 (ko) 2010-08-31 2011-12-26 주식회사 코씨드바이오팜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887596A (zh) * 2014-03-05 2015-09-09 广州澳医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全效修复的蜗牛原液及其制备方法
CN103860451A (zh) * 2014-04-01 2014-06-18 广东伊茗药业有限公司 一种含有蜗牛黏液提取物的功效性护肤品及制备方法
CN103860451B (zh) * 2014-04-01 2015-12-02 广东伊茗药业有限公司 一种含有蜗牛黏液提取物的功效性护肤品及制备方法
CN103976933A (zh) * 2014-05-28 2014-08-13 北京中亿世联科技发展有限公司 含蜗牛粘液提取物的组合物及其制造工艺
KR20160035722A (ko) * 2014-09-24 2016-04-01 (주)차모스코스메틱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9939B1 (ko) 2014-09-24 2016-08-22 (주)차모스코스메틱 생광석을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28686B1 (ko) 2015-03-31 2017-04-21 주식회사 크릴랜드 베리과 열매를 섭취한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02963B1 (ko) * 2016-02-26 2017-11-29 농업회사법인 우리엘바이오 주식회사 발효 추출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14501342A1 (en) 2014-09-15
CN104254318A (zh) 2014-12-31
PH12014501342B1 (en) 2014-09-15
WO2013089449A1 (ko) 2013-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012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98400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16680B1 (ko)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013447B (zh) 一种祛除妊娠纹的膏霜及其制备方法
JP2011088845A (ja) インボルクリン発現抑制剤
KR101382115B1 (ko) 인삼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식품조성물
KR101434717B1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2054793B1 (ko) 천연물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개선 및 다크서클완화용 항산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JP5645344B2 (ja) 外用剤組成物
KR20130029290A (ko)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14985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168532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73284B1 (ko)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96563B1 (ko) 제주광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US11607437B2 (en) Cosmetic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each containing aloe extract and upland rice extract
KR102058294B1 (ko) 달팽이점액, 인도유향수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크림
CN116763675A (zh) 具有舒缓修护抗皱的功效组合物及其应用
KR20160121268A (ko) 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노화 조성물
KR102178888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37357B1 (ko) 인삼(Panax Ginseng) 뿌리 추출물,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달맞이꽃(Oenothera Biennis) 종자유 및 홍화(Carthamus Tinctorius) 종자유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484A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86882B1 (ko) 진세노사이드 에프4를 함유하는 사포닌 혼합물을 포함하는 피부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TWI679028B (zh) 用於保養肌膚之表皮幹細胞及具有多種功能的中草藥組成物及其面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