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62484A -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62484A
KR20130062484A KR1020110128727A KR20110128727A KR20130062484A KR 20130062484 A KR20130062484 A KR 20130062484A KR 1020110128727 A KR1020110128727 A KR 1020110128727A KR 20110128727 A KR20110128727 A KR 20110128727A KR 20130062484 A KR20130062484 A KR 201300624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extract
composition
sieboid
zuc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8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세진
백석윤
장희경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128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62484A/ko
Publication of KR20130062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6248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0Moraceae (Mulberry family), e.g. breadfruit or fi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External composition for skin containing Humulus japonicas Sieboid and Zucc. extract}
본 발명은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미백효과가 탁월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여하는데, 그 중에서도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와 빌리루빈 등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 등의 요인들이 중요하다.
이중 특히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체 내의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 등의 여러 가지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이다. 이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신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피부 내, 외부의 스트레스적 자극에 의해 생겨난 멜라닌은 스트레스가 사라져도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 그러나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 주근깨 및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오늘날 동양권의 여성들은 백옥같이 하얗고 깨끗한 피부를 선호하며 이를 미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과색소 침착에 대한 치료 및 미용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종전부터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들의 불충분한 미백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화장료에 배합 시 나타나는 제형 및 안정성의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한편, 환삼덩굴(Humulus japonicas Sieboid & Zucc .)은 쐐기풀목 삼과에 속하는 식물로 한삼덩굴이라고도 하며, 암수딴그루로 수꽃은 원추화서로 꽃받침잎과 수술이 각 5개가 있고 암꽃은 짧은 수상화서로 둥글게 핀다. 덩굴져 자라는 줄기는 아래를 향한 갈고리모양의 잔가시가 있어 다른 물체에 잘 붙는다. 마주달리는 잎은 손바닥 모양으로 5-7개로 갈라지는데 가장자리에 규칙적인 톱니가 있으며 양면에 거친 털이 밀생한다. 열매는 수과로 황갈색으로 익는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반복적이고 다양한 실험을 통해, 환삼덩굴 추출물이 피부에 대하여 안전하면서 우수한 미백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삼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환삼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화장품 또는 의약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하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환삼덩굴(Humulus japonicas Sieboid & Zucc .)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본 발명에 사용된 환삼덩굴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환삼덩굴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또는 그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추출 엑기스 및 추출액 중에 함유되고 있는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물질 그 자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환삼덩굴 추출물의 추출과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세절하고 건조된 환삼덩굴에 물 또는 유기용매를 넣고, 환류 추출하여 침적시킨 후 여과포 여과와 원심분리를 통해 잔사와 여액을 분리하고, 분리된 여액을 감압 농축하여 환삼덩굴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 가능한 유기용매는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에테르, 에틸아세테이트, 클로로포름 또는 이들 유기용매와 물의 혼합용매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원료의 안전성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게는 100% 물, 70% 에탄올 또는 부틸렌 글리콜(Butylene Glycol)을 사용한다. 이때, 추출 온도는 물의 경우 18~80℃가 바람직하며, 70% 에탄올과 부틸렌 글리콜의 경우는 18~40℃가 바람직하며, 추출 시간은 6~168시간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출 온도 및 추출 시간을 벗어나면 추출 효율이 떨어지거나 성분의 변화가 생길 수 있다. 상기에서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물을 얻은 이후 당업계에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온에서 냉침, 가열 및 여과하여 액상물을 얻을 수 있으며, 또는 추가로 용매를 증발, 분무 건조 또는 동결 건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환삼덩굴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유효성분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이면 상기 성분에 의한 효능, 효과가 미약하고, 50중량%를 초과하면 피부 안정성 또는 제형상의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우수한 미백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화장료의 형태로 제형화할 경우,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아이 크림,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파우더, 에센스 또는 팩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그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학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에는 방부제, 안정화제, 수화제 또는 유화 촉진제, 삼투압 조절을 위한 염 및/또는 완충제 등의 약제학적 보조제 및 기타 치료적으로 유용한 물질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하, 시험예 및 제형예를 들어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시험예 및 제형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의 목적으로만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주 및 범위가 하기 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환삼덩굴 추출물의 제조
세절하여 음건한 환삼덩굴의 줄기, 잎, 수피를 70 % 에탄올 수용액으로 24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고 냉침한 후, 와트만(Whatman) #5 여과지로 여과하였다. 여과된 추출물을 45℃ 이하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 건조하였다.
감압농축물 및 동결건조물이 0.1 내지 20중량% 함유되도록 정제수,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분산/용해하여 환삼덩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1]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인간 멜라노마 세포인 HM3KO 세포(Y. Funasaka, Department of dermatology, Kobe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5-1 Kusunoki-cho 7-chrome, Chuo-ku, Kobe 650, Japan)를 우태아혈청이 10% 들어간 MEM(Minimum Essential Medium)에 넣어 37℃, 5% CO2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한 세포를 세포수가 각 플라스크 당 3 ×105이 되게 75 플라스크에 깔고, 하룻밤 동안 세포가 기벽에 붙기를 기다린 다음, 세포가 잘 붙은 것을 확인한 후 배지를 하기 표 1의 각 시험물질이 10 ppm 들어 있는 새 배지로 갈아주었다. 대조군은 DMSO가 들어 있는 배지를 사용하였다. 이런 식으로 2∼3일에 한번씩 시료가 들어 있는 새 배지로 갈아주면서 세포가 플라스크에 꽉 찰 때까지 배양하였다. 세포가 다 성장하면 모아서 대조군와 각각 처리군의 세포 색깔을 비교하였다. 또한,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한 후 1N 수산화나트륨으로 녹여 50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시험 물질 멜라닌 생성 억제율(%)
실시예 1의 환삼덩굴 추출물 26.8
코지산 28.3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환삼덩굴 추출물을 사용 시,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알려진 코지산과 유사한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2]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2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그 제조과정을 상세히 살펴보면, 원료 1~8을 혼합하고 70?에서 용해하여 수상파트로 하였다. 한편, 원료 9~15를 70?에서 용해하여 오일파트로 하였다. 오일파트를 상기 수상파트에 첨가하고 호모믹서(일본 Tokushu Kika 社)로 교반하여 1차 유화하고, 원료 15 및 16을 첨가하여 점증하였다. 기포를 제거한 후, 실온으로 냉각하여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2의 화장료를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제조예 1 비교제조예1 비교제조예2
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2. 글리세린 3.0 3.0 3.0
3. 부틸렌 글라이콜 5.0 5.0 5.0
4. 베타 글루칸 5.0 5.0 5.0
5. 히아루론산 추출물 3.0 3.0 3.0
6. 카보머 0.1 0.1 0.1
7. 환삼덩굴 추출물 1 - -
8. 코지산 - - 1
9.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8.0 8.0 8.0
10. 하이드로지네이티드 폴리데센 5.0 5.0 5.0
11.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1.5 1.5
12.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0.4 0.4
13. 세테아릴 알코올 1.0 1.0 1.0
14. 방부제 적량 적량 적량
15. 향 적량 적량 적량
16.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시험예 2]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인체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와 피부 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평균연령 35.2세의 건강한 30명의 남성 및 여성을 대상으로 피검자의 윗팔뚝 부위에 직경 1.5 cm의 구멍 6개가 뚫린 불투명 테이프를 부착한 뒤, 각 피검자의 최소 홍반량(Minimal Erythema Dose)의 1.5~2배 정도의 자외선(UVB)을 조사하여 피부의 흑화를 유도하고, 시험물질들을 도포하여 두 달 후에 색차계를 이용하여 피부의 명암을 측정하였다. 이들 피검자들에게 상기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2의 화장료를 아침, 저녁 2회씩 매일 바르게 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피부의 명암을 나타내는 "L"값을 구하여 결정하였다. 참고로, 인위적으로 태우지 않은 한국인 피부색은 일반적으로 50-70의 값을 나타낸다. 색차계(미놀타 CR2002)를 사용하여 피부의 흑백 정도를 측정하여 효과를 판정하였다. 색을 표시하는 데에는 L*a*b* 표색계를 사용하나, 본 발명에서는 주로 L* 값(명도)을 지표로 하였다. L* 값은 표준 백판으로 교정하며, 측정은 1개 부위에 5회 이상 측정을 되풀이함으로써 색소침착부를 균등하게 측정하였다. 도포 시작시점과 완료시점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고, 이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미백효과는 시료 도포 부위와 대조군 부위의 △L*의 비교로 판정하는데, △L* 값이 2 정도일 경우는 침착된 색소의 미백화가 뚜렷한 경우이고, 1.5정도 이상이면 미백효과가 있다고 판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시험물질을 도포하여 효과가 있는 경우는 L값이 점차 증가하게 되며 시험물질들 사이의 비교는 도포 개시시점과 완료시점(도포개시 두 달 후)에서의 피부색의 차이(△L)를 상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3] 인체 피부에 대한 피부 자극감 조사
상기 시험예 2의 피검자들을 대상으로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2의 화장료를 두 달 동안 사용하도록 한 후 피부 자극감을 비교하였다. 이때, 판단 기준은 피검자들이 자극감의 정도에 따라 점수를 1~5까지 부여하여 비교한 것으로, 1에 가까울수록 자극이 없고, 5에 가까울수록 자극이 많은 것을 의미하며, 각각의 평균점수를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미백 효과(△L) 피부 자극감
제조예 1 2.13 1.20
비교제조예 1 0.02 1.14
비교제조예 2 2.12 2.3
상기 표 3의 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의한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조예 1의 화장료에서 비교제조예 1 보다 미백 효과가 우수하며, 동시에 피부 자극이 코지산을 동량 사용할 때보다 낮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4] 각질량 변화
본 발명에 의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의 각질량 감소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2에서 제조한 화장료의 피부 각질량 변화를 알아보았다.
피부 질환이 없는 20-30대 성인 남, 녀 50명의 하박 내측에 제조예 1 및 비교제조예 1~2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참뷰(Charm view; Moritex, Japan)를 이용하여 각질 감소량을 측정하였다. 미리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24℃, 습도 40%)에서 참뷰를 이용하여 초기 피부 각질량을 측정하여 기본 값으로 삼았고, 24시간 경과 후의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미백 화장료 조성물에 따른 피부 각질량 변화(%)
시험물질 도포 전 24시간 후 변화율(%)
제조예 1 20.8 17.3 16.8
비교제조예 1 20.1 19.9 0.01
비교제조예 2 21.6 20.3 6.02
상기 표 4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미백 화장료 조성물인 제조예 1가 비교제조예 1~2에 비하여 피부 각질 감소 효과가 월등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는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뛰어난 미백 효과와 함께 피부 자극을 최소화하여 우수한 피부 안전성을 제공할 수 있었다.

Claims (4)

  1. 환삼덩굴 추출물(Humulus japonicas Sieboid & Zucc .)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환삼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10128727A 2011-12-05 2011-12-05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624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727A KR20130062484A (ko) 2011-12-05 2011-12-05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28727A KR20130062484A (ko) 2011-12-05 2011-12-05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62484A true KR20130062484A (ko) 2013-06-13

Family

ID=488601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8727A KR20130062484A (ko) 2011-12-05 2011-12-05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062484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947A1 (ko) * 2014-07-11 2016-01-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삼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8985A (ko) 2018-12-06 2020-06-16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하귤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피부 보습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2713A (ko) 2020-03-31 2021-10-12 주식회사 뉴앤뉴 제주 산 황금하귤, 섬모시풀, 환삼덩굴 추출물을 복합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및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06947A1 (ko) * 2014-07-11 2016-01-14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환삼덩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68985A (ko) 2018-12-06 2020-06-16 농업회사법인제주생물자원㈜ 하귤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억제 및 피부 보습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20210122713A (ko) 2020-03-31 2021-10-12 주식회사 뉴앤뉴 제주 산 황금하귤, 섬모시풀, 환삼덩굴 추출물을 복합물로 함유하는 항노화용 및 항염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87219B2 (ja) タンゲレチン及びegcg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組成物
KR101425031B1 (ko) 유자씨 및 망고씨 혼합오일을 함유하는 피부 자극완화 및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1683B1 (ko) 닥나무의 꽃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208012B1 (ko) 홍삼 먹인 달팽이 점액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62965B1 (ko) 생리활성 성분 Rb1, Rb2, Rc 및 Rd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101516063B1 (ko) 플라티코딘 d 함유 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37030B1 (ko) 피토실리카(Phytosilica)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54793B1 (ko) 천연물추출물과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탄력개선 및 다크서클완화용 항산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5645344B2 (ja) 外用剤組成物
JP2008088075A (ja) プロフィラグリン/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剤、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剤、表皮/角層正常化用皮膚外用剤、プロフィラグリン及び/又はフィラグリン産生促進方法、及び表皮角化細胞増殖促進方法
KR101419588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KR102056620B1 (ko) 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226179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30062484A (ko) 환삼덩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78B1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JP2010222273A (ja) 養毛剤組成物
KR20230140853A (ko) 아세틸 헥사펩타이드-8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케어 조성물
KR101419587B1 (ko) 홍삼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촉진용 조성물
KR101017586B1 (ko)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020084429A (ko) 생열귀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20130125492A (ko) 뱀딸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5155543B2 (ja) エンドセリン−1産生抑制剤、ヘキソサミニダーゼ遊離抑制剤、抗炎症用/美白用皮膚外用剤、エンドセリン−1の産生抑制方法及びヘキソサミニダーゼの遊離抑制方法
KR102337422B1 (ko) 호호바오일을 포함하는 피부진정 및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86984B1 (ko) 녹나무(樟腦木) 추출물을 함유하는 멜라닌세포 이동 촉진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