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47612B1 -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47612B1
KR101047612B1 KR1020080119978A KR20080119978A KR101047612B1 KR 101047612 B1 KR101047612 B1 KR 101047612B1 KR 1020080119978 A KR1020080119978 A KR 1020080119978A KR 20080119978 A KR20080119978 A KR 20080119978A KR 101047612 B1 KR101047612 B1 KR 1010476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ne
extract
green tea
composition
ras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99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61090A (ko
Inventor
박희진
이영진
이창근
조성아
조준철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1199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47612B1/ko
Publication of KR20100061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61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47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47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3Rosaceae (Rose family), e.g. strawberry, chokeberry, blackberry, pear or fire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2Theaceae (Tea family), e.g. camel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6Violaceae (Viole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7Vitaceae or Ampelidaceae (Vine or Grape family), e.g. wine grapes, muscadine or pepperv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9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corn or sugar c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죽여(竹茹)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녹차산성다당체(acid polysaccharide of green tea)를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조팝나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효과 및 진정, 열내림 효과를 나타낸다.
죽여 * 녹차산성다당체 * 조팝나무 추출물 *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 담쟁이 넝쿨 추출물 * 삼색제비꽃 추출물 * 항염 *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 진정 * 열내림

Description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abirritating or treating acne and contact eruption}
본 발명은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죽여(竹茹)를 유효성분으로 하고 녹차산성다당체(acid polysaccharide of green tea)를 선택적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은 조팝나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으로써 우수한 항염 효과 및 진정, 열내림 효과를 나타낸다.
식생활의 서구화 및 각종 스트레스 등의 요인에 의해서 사춘기 청소년뿐만 아니라 어린아이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여드름의 발병 연령대가 늘어나고 있다. 대한피부과학회가 지난 10년(96∼06) 동안 피부과 내원환자 13만 4,077명을 분석한 결과, 12세 이하 초등학생 여드름 환자가 1996년 2.4%였던 것이 2006년 7.5%로 10 년 사이 3배 이상 급증했고, 40대 이상 중장년층의 여드름 환자 또한 1996년 10.1%에서, 2001년 12.3% 및 2006년 13.0%로 해마다 1% 가량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체적으로는 25세 이상 성인 여드름 환자가 48.5%를 차지하고 있어 여드름이 더 이상 사춘기의 상징이 아님을 극명히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통계를 바탕으로, 피부건강 및 미용적인 측면에서 여드름을 완화 혹은 예방하고자 하는 관심은 점점 더 늘어가고 있으며, 이에 따른 피부과 시술 및 화장품의 발달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여드름의 발생원인으로는 식생활, 유전적 요인, 환경, 스트레스 및 호르몬 불균형 등 다양한 요인이 있으나, 궁극적으로는 피부 속에서 분비된 피지가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피부 속에 쌓이게 되어 발생한다. 이러한 피지에 여드름균(Propionibacterium acnes)이 영향을 주면서 여드름으로 진행된다. 혐기성 세균인 여드름균이 증식하는 과정에서 피부에 자극을 주는 독성물질들이 분비되어 염증을 일으켜 피지선이 터지고 고름 또는 붉은 발진 등이 생겨서 2차적으로 피부건강을 해치게 된다.
여드름양 발진은 화장품을 비롯한 화학 약품, 스테로이드 및 남성호르몬제 등의 약물에 의해 생기는 여드름모양의 발진으로 여드름과는 구분되는 주로 몸 부위에 나타나는 트러블이다. 일반 여드름과 차이를 보이는 주요 원인으로서 지속적인 외부 자극, 예를 들어 수면 중에 땀을 잘 흘리는 사람이 침구와 마찰을 일으켜 여드름양 발진이 심해지기도 하고, 몸에 꽉 끼는 옷을 입거나 마찰 또는 압박 등의 기계적인 자극에 의해 여드름양 발진이 생기기도 한다.
여드름균은 통성염기성그람 양성의 한균으로 피부와 모회의 대표적인 상재균(skin flora)이다. 호지성(lipophilic) 성질을 띠고 있으므로 피지가 없이는 거의 발육할 수가 없다. 따라서, 여드름균의 증식은 지질이 많은 곳(Lipid Rich)에 한정되고, 모회의 이상각화로 인한 모회내폐색이 일어나 모회내로 산소유입이 감소하게 되면 급격히 여드름균이 증식하게 되어 염증, 붉어짐 등의 병변을 나타낸다.
여드름균 혹은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발발하는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은 염증성 피부질환에 속한다. 염증성 피부질환이란 피부 상피 내에 일련의 염증 반응을 일으키는 다양한 자극 요인들로 인해 가려움, 부종, 홍반 또는 벗겨짐 등과 같은 일련의 임상적 징후와 증상이 유발되는 질환을 말한다. 염증성 피부질환으로는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이외에도 아토피성 피부염(atopic dermatitis) 및 지루성 피부염(seborrhoic dermatitis) 등이 알려져 있다. 현재까지는 이러한 염증성 피부질환의 치료를 위해서 주로 항히스타민제, 비타민 연고 및 부신피질호르몬제 등이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약물은 그 효과가 일시적인 경우가 대부분이고 국소적 혹은 전신적인 부작용이 우려되는 현실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안전하면서도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병변 부위에서 염증을 완화하고 진정작용 및 붉어짐을 완화하는 성분을 찾고자 노력한 결과, 죽여 또는 선택적으로 녹차산성다당체를 더 첨가하여 인체에 적용하였을 때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 붉어짐 등의 2차 피부질환을 효과적으로 완화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 이외에 조팝나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첨가하는 경우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병변 부위에서 2차 피부질환을 완화하는 시너지 효과를 보인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에 의해 발생되는 염증, 붉어짐 등의 2차 피부질환을 효과적으로 완화시킬 수 있는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 및 예방의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죽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물에 선택적으로 녹차산성다당체 또는 조팝나 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여 제조한 여드름 또는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용 화장료 조성물은 죽여 및 선택적으로 녹차산성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여기에 조팝나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으로써 항염 효과를 가지며 또한 얼굴 피부 열내림 효능을 보이므로 이를 사용함으로써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에 의한 1차 및 2차 병변을 관리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염 및 피부온도 열내림 등의 피부진정 화장품에 적용할 수 있는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화장료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죽여를 유효성분으로 사용함으로써 염증을 완화시키고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에 의한 2차 피부질환을 완화하는데 도움을 주는 효능이 뛰어난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 및 예방의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 및 예방의 조성물은 상기 죽여와 함께 녹차산성다당체를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조성물 은 조팝나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더 함유함으로써 염증을 완화시키고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에 의한 2차 피부질환을 완화하는데 시너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죽여(竹茹)는 대나무의 줄기를 절단한 후 푸른색의 외피층을 벗기고 약간 파리한 중간층을 긁어서 선처럼 만들어 건조시킨 것으로, 선 모양 조각으로 길이는 고리지 않으며 말리고 비틀어지고 쪼그라져 나선형으로 되어 있다. 그 맛은 달고(藥性論), 성질은 약간 차다(名醫別錄)고 알려져 있다. 위경(胃經)·폐경(肺經)·간경(肝經)에 작용하여 열을 내리고 혈분(血分)에서 사열(邪熱)을 없애며 구토를 멎게 하는 효능이 있으며 가래를 삭이며 태아를 안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위열(胃熱)로 토하거나 딸꾹질, 담열(痰熱)로 가슴이 답답하고 기침이 나는 경우, 어린이의 경련성 질병, 토혈·코피·부정자궁출혈 등 혈열(血熱)로 인한 출열, 태동불안(胎動不安) 등에 사용된다. 제중신편(濟衆新編)에 따르면 상한(傷寒)으로 열이 심하여 잠을 이루지 못하는 경우 죽여, 시호(柴胡), 죽여, 백복령(白茯笭) 등을 넣어 달인 죽여온담탕(竹茹溫膽湯)을 복용한다고 기록되어 있고,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따르면 입덧 등에 죽여, 맥문동(麥門冬) 등을 넣어 죽여탕(竹茹湯)을 복용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또한 제생방(濟生方)에서 황포열담(黃袍熱澹)에 죽여, 진유(眞油), 청수향(淸水香) 및 인(仁)을 넣고 달여 고(膏)로 만들어 붙여 외용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근래 죽여가 항균작용 및 세포 노화를 일으키는 자유라디칼(free radical) 제거효과가 있다고 알려지면서 죽여 추출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39663호는 죽여가 여드름의 원인으로 알려진 여드름균(P. acnes)의 생장을 억제하여 여드름 치료에 유용하다고 기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죽여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490318 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나 이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것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 및 예방의 조성물은 상기 죽여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5 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함량이 1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실제 항염, 진정 및 열내림 효능을 보기 어려우며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안전성 및 제형 안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산성다당체는 녹차(camellia sinensis)에서 기원하는 것으로서 식물분류학상 산차목(theales), 산차속(camellia)에 속하는 목본성 상록수이다. 녹차산성다당체는 면역기능, 항방사성, 항혈액응고, 항암, 항-HIV, 혈당강하 작용이 보고 되었다. 이러한 녹차산성다당체는 세포 독성이 없어 피부 자극을 유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멜라닌의 생성 및 MMP-1 발현을 억제하고 피부 보습력을 증가시키므로 피부 미백, 보습 및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더불어 최근 들어 우수한 자극완화, 항염, 항소양 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녹차산성다당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700912호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 다. 예를 들면, 상기 녹차산성다당체는 녹차 잎을 분쇄하여 열수추출한 후 에탄올로 침전하여 얻어진 에탄올 침전물을 인산 완충용액에 용해, 투석한 후 이온교환 크로마토그래피 및 젤 여과 크로마토크래피로 분리, 정제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녹차산성다당체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5 중량%의 양으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함량이 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 분리 등의 조성물 제형 안정성에 영향을 끼칠 수 있고, 0.0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 제형 내에서의 피부 효능을 기대하기 어렵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조팝나무는 조팝나무에서 유래한 천연 식물 추출물로 어린순은 나물로 하여 식용하고, 뿌리는 해열·수렴 등의 효능이 있어 감기로 인한 열, 신경통 등에 사용되어 왔다. 특히, 가는 잎 조팝나무(Spiraea thunbergii)는 관상수로 이용되어 왔으며, 노화 방지용 화장품에 사용될 수 있다고 개시된 바 있다. 최근에는 여드름, 모공부위 각질케어, 염증부위 쿨링진정효과를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항염, 진정 작용 및 여드름 병변 부위 피지조절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서양산사나무는 산사나무에서 유래한 천연 식물 추출물이다. 산사나무(Hawthorn)는 장미과로 학명은 장미목 장미과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 Bge., C. pinnatifida Bge. var. major N.E.Br. 또는 C.suneata Sieb. et Zucc)이다. 열매의 주성분은 크라테골린산, 시트르산, 타르타르산, 플라본, 당, 글리코사이드, 비타민C 등이다. 산사나무는 소화를 자극하고, 위의 기능적 활동을 촉진하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이것은 또한 정상적인 혈액 순환을 개선하고, 울혈을 해 소시킬 수 있다(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04-0043092호 참조).
담쟁이 넝쿨은 쌍떡잎식물 갈매나무목 포도과에 속하는 낙엽활엽 덩굴식물이며 돌담이나 바위 또는 나무줄기에 붙어서 자란다. 줄기는 충분히 성장하면 10 m이상 자라며, 잎은 폭이 10-20 cm 정도의 달걀 모양으로 잎끝이 뾰족하고 3개로 갈라지며, 밑은 심장 밑 모양이고, 앞면에는 털이 없으며 뒷면 잎맥 위에 잔털이 있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고, 잎자루는 잎보다 길다. 꽃은 양성화이고, 6-7월에 황록색으로 피며, 가지 끝 또는 잎겨드랑이에서 나온 꽃대에 많은 수가 달린다. 열매는 흰 가루로 덮이고, 지름이 6-8 mm이고, 8-10월에 검게 익는다. 이러한 담쟁이덩굴은 한방에서 어혈을 풀어주고, 관절과 근육의 통증을 완화시켜준다고 알려져 있다.
삼색제비꽃은 제비꽃과의 일년생 또는 이년생 식물을 CEP 방법에 의해 추출한 무색의 수용성 추출물로써 보습효과가 매우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다. 특히, 자극 받은 피부의 진정작용 및 피부 가려움증완화의 효과가 있고,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카로테노이드(Carotenoids) 및 살리실화(Salicylated) 유도체 등이 풍부하여 진정, 유연 및 보습 효과 등의 항-스트레스(anti-stress) 성질을 제공한다고 알려져 있다. 전통적으로 여러 가지의 피부염의 치료제로서 이용되어 왔고, 진정효과와 충혈완화 효과가 우수한 원료로 전통적으로 여드름 발생 우려가 있는 지성피부의 치료에 이용되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삼색제비꽃의 꽃뿐만 아니라 잎과 줄기도 함께 추출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팝나무, 서양산사나무, 담쟁이 넝쿨 및 삼색제비꽃을 모두 추출물의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상기 조팝나무, 서양산사나무, 담쟁이 넝쿨 및 삼색제비꽃의 추출물들은 당업계에 잘 알려진 방법으로 용매추출, 수증기증류 또는 초임계 추출기술을 이용한 이산화탄소에 의한 추출 등의 추출조작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 및 예방의 조성물은 각 조성물의 효능과 메커니즘에 따라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부위의 염증을 완화시켜 주며, 죽여와 함께 녹차산성다당체, 조팝나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 선택하여 함께 사용하는 경우 염증 완화가 효과가 시너지 작용을 내며, 항염 효과와 더불어 진정 및 열내림 효능을 나타낸다.
상기 조팝나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삼색제비꽃 추출물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 중량%로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실제 항염, 진정 및 열내림 효능을 보기 어려우며, 1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피부 안전성 및 제형 안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 및 예방의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팩, 젤 또는 피부 점착 타입 화장료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험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러한 실 험예들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려는 것이지, 이러한 실험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예 1]
건조 녹차 잎에서 얻어진 녹차 분말(d50= 100 - 1000 ㎛) 0.1 kg을 95%(v/v) 에탄올 1.5 L를 사용하여 추출하였다. 이를 다시 건조한 후 물 1.25 L를 첨가하고 35℃에서 7시간 동안 교반하여 열수추출한 다음, 얻어진 추출액을 여과한 후 62℃에서 감압 농축하였다. 얻어진 농축액을 농축액의 5배 부피의 에탄올을 100 ml/분의 속도로 점진적으로 가해 에탄올 침전반응을 수행하였다. 침전물을 45℃에서 진공 건조하여 얻은 다당체 분말을 실리카 미세관 컬럼 크로마토그래피(silica capillary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산성 다당체 분획을 분리하였다. 
[참고예 2]
건조중량 200 g의 조팝나무 뿌리를 50% 1,3-부틸렌글리콜산(1,3-butylene glycolic acid) 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이를 다시 농축하여 2 g의 조팝나무 추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3]
건조중량 200 g의 산사나무 열매를 50% 1,3-부틸렌글리콜산(1,3-butylene glycolic acid) 용액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이를 다시 농축하여 2 g의 산사나무 추 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4]
건조중량 382 g의 담쟁이넝쿨 줄기를 6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이를 다시 농축하여 1.79 g의 담쟁이덩굴 추출물을 얻었다.
[참고예 5]
건조중량 400 g의 삼색제비꽃의 꽃, 잎 및 줄기를 60% 에탄올을 사용하여 추출한다. 이를 다시 농축하여 2 g의 담쟁이덩굴 추출물을 얻었다.
[시험예 1] 죽여, 녹차산성다당체 각 성분에 의한 항염 효능 및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를 함께 사용시 항염 효능 상승 효과
가. 시험관내(In vitro)에서 여드름 균주에 대한 성장 억제
죽여, 참고예 1에서 제조한 녹차산성다당체 및 죽여와 상기 녹차산성다당체의 혼합물의 각 P. acnes 균주에 대한 항균작용 및 생균수를 측정하여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성장 억제 작용을 검토하였다.
1. 사용균주 및 배지
P. acnes KCTC2358은 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각 균주별 사용배지와 배양 조건은 표 1과 같다. P. acnes는 -20℃에 보관하면서 실험 3일 전에 활성화시킨 후 사용하였다.
균주 배양배지 배양 조건
P. acnes RCM(Reinforced clostridial medium; Difco, 미국소재)
레인 하트(rain heart) 주입 배지(Difco, 미국소재)
0.1% Tween 80 첨가
혐기성 배양용기(anaerobic jar)에서 CO2 존재 하에 37℃에서 3일간 항온배양
2. 항균활성 검색
여드름 원인균주에 대한 항균활성 검색은 페이퍼 디스크 방법(paper disc method; Kuk, J. H., et al.,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innamic acid with antimicobial activity from needle of Pinus densiflora, Korean J. Food Sci. Technol.29: 823-826, 1997 참조)를 사용하였다. 페이퍼 디스크(℃8mm, Whatman)에 죽여, 참고예 1에서 제조한 녹차산성다당체 및 죽여와 상기 녹차산성다당체의 1:1 혼합물을 용량별로(30℃L, 50℃L 및 70℃L(v/v)) 흡수시킨 후 각 균주(약 3.43×106 cfu/mL)를 배지 표면 위에 가볍게 올려놓고 P. acnes를 37℃에서 5일간 혐기배양한 후 생육 저해환의 직경을 측정하였다.
시험물질 생육 저해환 직경(nm)
30 ㎕ 50 ㎕ 70 ㎕
죽여 20 24 30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 19 23 28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의 1:1 혼합물 24 32 37
상기 표 2 및 도 1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죽여와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어느 정도 항균 활성 효능을 나타내었지만, 각 성분을 1:1로 혼합하여 처리한 경우가 상기 단독 처리군이나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만을 사용한 대조군과 비교해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 생균수 측정
각 균주의 성장배지에 죽여,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 및 죽여와 상기 녹차산성다당체의 혼합물을 용량별로 첨가한 다음 균주(약 3.43×106 cfu/mL)를 접종하여 P. acnes를 37℃에서 4일간 혐기배양하면서 시간대별로 시료를 채취하여 0.85% 생리식염수로 희석한 후 생균수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도시하였다.
도 2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죽여와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도 생균수가 감소하기는 하였으나, 상기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를 1:1로 혼합하여 10 μM로 처리한 경우에 단독 처리군이나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배지만을 사용한 대조군과 비교해 현저하게 생균수가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나. 시험관내(In vitro)에서 NO 생성 저해능으로 본 항염 효과 평가
죽여,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 및 죽여와 상기 녹차산성다당체의 혼합물의 NO 생성 저해능의 측정을 통해 각 원료에 대한 항염 효능을 평가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 5×105/ml의 Raw 264.7 세포가 들어있는 부유액 100 ㎕를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에 최종 농도가 30 ㎍/ml으로 되도록 죽여,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 및 죽여와 상기 녹차산성다당체의 혼합물를 처리한 후 염증 반응 유도 인자인 지질다당류(LPS: Lipopolysaccharides)를 100 ng/ml의 농도로 처리하여 주었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이용하여 NO의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액 50 ㎕와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50 ㎕를 혼합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판독기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NO 생성 억제제인 L-NMMA(NG-methyl-L-arginine acetate salt)를 50 μM이 되도록 시료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하여 NO 생성 저해능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3에 도시하였다.
도 3의 결과에서, LPS 처리시 세포 내 NO 생성량이 급격히 증가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NMMA 처리 시에는 NO의 생성량이 51% 감소하였다. 또한 죽여,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 및 죽여와 상기 녹차산성다당체의 혼합물의 각 효능을 확인한 결과, 30 ㎍/ml의 농도에서 죽여는 30%의 NO 생성 저해능을 나타내었고,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는 15%의 NO 생성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이와 비교하여, 죽여와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의 혼합물은 50%의 NO 생성 저해능을 보여 NMMA 50 μM과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고 있어, 이들의 단독 사용보다 죽여과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의 혼합물 사용이 항염 효능이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2]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 및 조팝나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에 의한 항염 효능 상승 효과
상기 시험예 1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죽여와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를 동시에 처리한 경우, 항염 효능 상승 효과가 있는 가운데 기존에 자사에서 항염 효능이 높다고 밝힌 효능 물질 4종을 각각 또는 혼합물의 형태로 함께 사용하는 경우에도 항염 상승 효능이 있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예 1∼9 및 비교예 1∼3의 조성에 의해 NO 생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이때 각 시료의 혼합농도는 하기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혼합하였고, 실시예 1∼9 및 비교예 1∼3의 토탈 처리 시료의 농도가 30 μM이 되도록 처리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성분 비교예 실시예 (함량 μM)
1 2 3 1 2 3 4 5 6 7 8 9
LPS + + + + + + + + + + + +
NMMA - 30 - - - - - - - - - -
죽여 - - 30 5 10 10 12.5 12.5 12.5 12.5 10 10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 - - - 5 10 10 12.5 12.5 12.5 12.5 - 10
참고예 2의 조팝나무 추출물 - - - 5 5 - 5 - - - - -
참고예 3의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 - - 5 5 - - 5 - - - -
참고예 4의 담쟁이 넝쿨 추출물 - - - 5 - 5 - - 5 - - -
참고예 5의 삼색제비꽃 추출물 - - - 5 - 5 - - - 5 - -
정제수 - - - - - - - - - - 20 10
도 4의 결과에서, 죽여와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를 동시에 사용한 실시예 1∼7 및 9의 경우 지방 분해 시너지 효과가 다른 시험군들에 비해 우수하였고, 6가지의 물질을 동시에 처리 했을 경우에 죽여와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가 낮은 농도임에도 불구하고 NO 생성 저해능이 좋아지는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하여 각각의 항염 원료를 함께 사용 시에 시너지 효과를 주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교예 2, 3의 경우에는 NO 생성 저해능이 우수하였으나, NMMA와 죽여의 사용량이 많아져서 제형화할 경우 피부 안전성 및 제형 안정도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즉, 실시예 1∼7 및 9가 처리 농도 대비 그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형예 1∼5 및 비교제형예1∼2]
하기 표 4 및 표 5의 조성으로 항염 스킨의 형태로 제형예 1∼5 및 비교제형예 1∼6을 제조하였다.
성분 제형예 1 제형예 2 제형예 3 제형예 4 제형예 5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죽여 1.0 1.0 1.0 1.0 1.0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 1.0 1.0 1.0 1.0 -
참고예 2의 조팝나무 추출물 1.0 1.0 - - -
참고예 3의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1.0 1.0 - - -
참고예 4의 담쟁이 넝쿨 추출물 1.0 - 1.0 - -
참고예 5의 삼색제비꽃 추출물 1.0 - 1.0 - -
옥틸도데세스-16 1.5 1.5 1.5 1.5 1.5
에탄올 7.0 7.0 7.0 7.0 7.0
메틸글루세스-20 3.0 3.0 3.0 3.0 3.0
디프로필렌글리콜 4.0 4.0 4.0 4.0 4.0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 1.0 1.0 1.0 1.0 1.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디소디움 EDTA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1.0 1.0 1.0 1.0 1.0
성분 비교제형예 1 비교제형예 2 비교제형예 3 비교제형예 4 비교제형예 5 비교제형예 6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죽여 - - - - - -
참고예 1의 녹차산성다당체 - 1.0 - - - -
참고예 2의 조팝나무 추출물 - - 1.0 - - -
참고예 3의 서양산사나무 추출물 - - - 1.0 - -
참고예 4의 담쟁이 넝쿨 추출물 - - - - 1.0 -
참고예 5의 삼색제비꽃 추출물 - - - - - 1.0
옥틸도데세스-16 1.5 1.5 1.5 1.5 1.5 1.5
에탄올 7.0 7.0 7.0 7.0 7.0 7.0
메틸글루세스-20 3.0 3.0 3.0 3.0 3.0 3.0
디프로필렌글리콜 4.0 4.0 4.0 4.0 4.0 4.0
피이지.피피지-17.6코폴리머 1.0 1.0 1.0 1.0 1.0 1.0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0.2
디소디움 EDTA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1.0 1.0 1.0 1.0 1.0 1.0
[시험예 3] 피부 외용제 항염과 피부 진정 효과
상기 제형예 1∼5 및 비교제형예 1∼6의 항염 효과를 확인해 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여성 10명을 대상으로 2주 동안 매일 아침과 저녁 하루 2회 얼굴 전체에 상기 제형예 1∼5및 비교제형예 1∼6의 스킨을 사용하게 한 후 2주 동안 사용 전, 사용 후 광학/UV 스코프(UV scope)와 광학/UV 촬영을 통해 얼굴 전체 및 여드름 및 여드름 발진 국소 부위의 염증 완화 정도를 비교함으로써 항염 효과 여부를 사용전, 후 개인별 차이로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사용후 염증완화 정도(평균)
제형예 1 ++++
제형예 2 +++
제형예 3 +++
제형예 4 +++
제형예 5 ++
비교제형예 1 -
비교제형예 2 +
비교제형예 3 +
비교제형예 4 +
비교제형예 5 +
비교제형예 6 +
[++++: 눈에 띠게 향상됨, +++: 매우 향상됨, ++: 향상됨, +: 어느 정도 향상됨, -: 염증 변화 없음]
상기 표 6의 결과에서, 제형예 1, 제형예 4 및 비교제형예 1을 사용한 패널들을 비교한 결과, 상기 조성물을 사용한 지 2주 후에 제형예 1과 4에서 모두 항염 효과가 나타났으나, 제형예 4와 비교제형예 1을 사용한 군 보다 제형예 1을 사용한 군에서 항염 효과가 더욱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피부 진정 즉, 열내림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 보기 위해서 각 제형예 1∼5 및 비교제형예 1∼6의 스킨 도포 후 적외선 촬영을 통한 피부온도 평가를 통하여 피부 온도 감소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5에 도시하였다.
도 5의 결과에서,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를 사용한 제형예 4와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 이외에 조팝나무 추출물, 서양산사나무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더 함유한 제형예 1∼3이 상기 유효성분들을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사용하지 않은 제형예 5 및 비교제형예 1∼6 보다 열내림 효과가 월등하게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6가지 조성물을 함께 사용한 경우에 시너지 효능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표 6 및 도 5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제형예 4와 비교제형예 1을 사용한 군 보다 제형예 1을 사용한 군에서 항염 효과와 더불어 열내림의 피부 진정 효과가 뚜렷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은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 각각 및 혼합물의 항균활성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육 저해환 직경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는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 각각 및 혼합물의 여드름균 억제 작용을 확인하기 위하여 생균수를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죽여와 녹차산성다당체 각각 및 혼합물의 NO 생성 저해능을 측정한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 는 각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 효능 성분 조합별 NO 생성 저해능을 통해 본 항염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 는 각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 효능 성분 조합별 열내림의 진정 효능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Claims (6)

  1. 죽여(竹茹) 및 녹차산성다당체(acid polysaccharide of green tea)를 함유하고,
    여기에 조팝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및 삼색제비꽃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함유하는
    여드름 또는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죽여를 1∼5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녹차산성다당체를 0.05∼5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조팝나무 추출물, 담쟁이 넝쿨 추출물 또는 삼색제비꽃 추출물을 각각 0.01∼1 중량%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또는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80119978A 2008-11-28 2008-11-28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47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978A KR101047612B1 (ko) 2008-11-28 2008-11-28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9978A KR101047612B1 (ko) 2008-11-28 2008-11-28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090A KR20100061090A (ko) 2010-06-07
KR101047612B1 true KR101047612B1 (ko) 2011-07-07

Family

ID=423619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9978A KR101047612B1 (ko) 2008-11-28 2008-11-28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4761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78706B1 (ko) * 2011-11-04 2013-06-25 한국 한의학 연구원 송악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N103099903A (zh) * 2013-02-26 2013-05-15 苏州市洋海电子有限公司 痤疮治疗剂
CN103340805B (zh) * 2013-07-26 2015-04-22 付永旭 茶树净痘拔毒膏及其制作方法
KR101587447B1 (ko) * 2015-06-12 2016-01-21 조영희 초임계추출조건으로 추출한 추출물, bl-s를 포함하는 피부유분조절, 피부장벽강화, 피부수분조절, 피부보호효과를 지닌 화장료 조성물
KR102209663B1 (ko) * 2018-12-27 2021-01-28 재단법인 홍천메디칼허브연구소 조팝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761B1 (ko) * 2003-07-02 2006-01-10 최진미 유화제 Free 저자극 여드름 화장료
KR20060082481A (ko) * 2005-01-12 2006-07-18 담양군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00912B1 (ko) * 2005-12-30 2007-03-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 잎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간균과 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활성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9761B1 (ko) * 2003-07-02 2006-01-10 최진미 유화제 Free 저자극 여드름 화장료
KR20060082481A (ko) * 2005-01-12 2006-07-18 담양군 여드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00912B1 (ko) * 2005-12-30 2007-03-28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녹차 잎에서 분리된 산성 다당류를 함유하는 피부 여드름간균과 아토피 황색 포도상 구균의 인체 세포결합 저해활성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61090A (ko) 2010-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0701B1 (ko) 아토피 피부용 화장품 제조방법
KR20160087113A (ko) 꽃을 함유하는 화장품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32215B1 (ko) 삼나무 및 연잎 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 및 면역증강용 화장료조성물
KR101046438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수렴 작용을 갖는 혼합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24986A (ko) 죽순 껍질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889344B1 (ko) 패각 용해액을 추출용매로 하여 얻어진 오크라, 여주 및 노니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02797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의 추출물과 피탄트리올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090075950A (ko) 난치성 아토피성 피부염 치료용 조성물
KR102162917B1 (ko) 쓴쑥, 범부채, 돌나물, 미역취 및 개다래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708552B1 (ko) 특정의 복합식물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피부용 화장료조성물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101769123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08482B1 (ko) 피부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85480B1 (ko) 한방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0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