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58754A -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58754A
KR20110058754A KR1020110034992A KR20110034992A KR20110058754A KR 20110058754 A KR20110058754 A KR 20110058754A KR 1020110034992 A KR1020110034992 A KR 1020110034992A KR 20110034992 A KR20110034992 A KR 20110034992A KR 20110058754 A KR20110058754 A KR 201100587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calp
hair
improving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9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지숙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349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58754A/ko
Publication of KR201100587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875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14Liposomes; Ves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71Ginkgophyta, e.g. Ginkgoaceae [Ginkgo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2Preparations for repairing the hair, e.g. hair c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5/00Nanobiotechnology or nanomedicine, e.g. protein engineering or drug deliv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5Anti-irritant

Abstract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잎 추출물, 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및 소나무잎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염색 및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 시 나타날 수 있는 두피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 현상과 염증을 완화하여 진정시켜줌으로써 두피를 건강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여 모발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컨디셔닝 효과도 제공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improving condition of hair and scalp containing plant extracts}
본 발명은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은행잎 추출물, 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및 소나무잎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염색 및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 시 나타날 수 있는 두피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 현상과 염증을 완화하여 진정시켜줌으로써 두피를 건강하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여 모발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컨디셔닝 효과도 제공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용을 중시하는 현대사회에서는 개성표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많은 사람들이 염모제, 퍼머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일부 민감성 두피의 경우는 이러한 염색, 퍼머 등의 화학적 시술로 인해 두피의 가려움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현상과 염증이 유발되기도 한다. 이러한 자극현상과 염증은 환경적 탈모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남성 또는 여성들을 위해 자극 현상과 염증을 완화하고 진정시켜 건강한 두피를 유지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또한 화학적 시술 후 거칠어 지고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기 위해 여러 가지 모발 화장료를 사용하여 모발을 부드럽게 매끄럽게 해주기 위한 노력도 다양하게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최근 다양한 염모제, 퍼머제 등의 화학적 시술 후 사용으로 인한 두피 자극 및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능뿐 아니라 더불어 거칠어 지고 손상된 모발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컨디셔닝 해주는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절실하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두피에 사용시 자극완화 및 모발상태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조성물을 연구한 결과, 은행잎 추출물, 호두 추출물, 작약 추출물 또는 소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할 경우, 염색 및 퍼머 등과 같은 화학적 시술시 나타날 수 있는 두피의 자극 및 염증을 완화하고 진정시켜 두피를 건강하게 하여 모발에 힘을 부여하고 모근을 강화 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거칠어지고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여 부드럽고 매끄럽게 해주는 컨디셔닝 효과도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두피의 자극 및 염증을 완화하고 진정 효과를 나타낼 뿐 아니라 거칠어 지고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여 모발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하는 컨디셔닝 효과도 주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은행잎(Ginkgo bilo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은행잎(Ginkgo biloba) 추출물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것을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염색 및 퍼머 등과 같은 화학적 시술시 나타날 수 있는 두피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 현상과 염증을 완화시켜주는 효과가 있으며, 두피를 건강하게 하고 모근을 강화시켜 모발이 가늘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할 뿐 아니라 화학적 시술로부터 거칠어지고 손상된 모발을 복구하여 부드럽고 매끄럽게 해주는 컨디셔닝 효과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서 은행잎, 호두, 작약 및 소나무잎 추출물을 1종 이상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인 은행잎, 호두, 작약 및 소나무잎 추출물을 1종 이상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것을 함유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은행(Ginko biloba L.)은 은행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교목으로, 은행잎에는 인체의 프리라디칼(유해산소) 제거, 항산화작용, 세포막 보호, 혈관질환개선, 혈압 강하작용 등을 가진 플라보노이드를 비롯하여 혈액순환 개선, 혈전 제거, 혈액노화 예방, 피부노화 억제, 건성피부 보호 및 얼굴의 잔주름을 막아주는 각종 물질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항균작용과 더불어 항알레르기 효과 등을 지니고 있다. 일반적으로 은행잎 추출물은 잎의 플라보노이드와 방향족 옥시카르복시산으로 이루어진 종합성분으로써 프라본그리코사이드류, 징코닉애씨드, 징코게틴, 징코화이드 A, B, C, M, 텔펜락톤류 등의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은행잎 추출물은 은행나무의 잎을 1,3-부틸렌글리콜 및 물의 혼합액으로 추출하여 얻은 것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은행잎을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50% 에탄올에 담가 추출하고 여과한 후, 50%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한다. 그 다음, 여과 과정을 거쳐서 은행잎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호두는 가래나무과 Juglandaceae에 속한 Juglans Regia 품종으로서, 성분은 지방 59.4%, 단백질 18.6%, 당질 14.5%, 수분 4.5%, 회분 1.8%, 섬유 1.2%, 기타칼슘, 인, 철분, 비타민 등이 들어 있고, 양질의 단백질과 소화흡수가 잘되는 지방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영양학적으로 대단히 중요한 알칼리성 식품으로, 단백질, 비타민, 무기질, 지방질이 들어있어 혈액을 잘 통하게 하며, 신체를 건강하게 하고 피부를 광택 나게 하며, 모발을 검게 하고 신장과 혈기를 보강하며, 두뇌발달을 돕고 해수와 천식을 치료한다. 남자는 양기보강 약이고 여자는 미용에 좋은 약이며, 기름은 식용 외에도 화장품이나 향료의 혼합물로서 활용한다. 호두 기름의 약리효과는 기름에 함유된 혼합 지방산이 체중의 증가를 촉진시켜 혈청 알부민의 함유량을 높이지만, 혈액의 콜레스테롤 량은 비교적 감소시키며, 강정제이나 소화기의 강화에도 효능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호두 추출물은 호두 껍질을 물로 추출하여 1,3-부틸렌글리콜 및 글리세린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호두나무 씨의 중량에 10배 정도의 물을 넣고 가열한 다음 여과하여 얻은 여액에 물을 넣는다. 여기에 1,3-부틸렌글리콜 및 메틸파라벤을 넣어 가열 교반하여 녹인 액에 글리세린을 넣고 숙성시킨 다음 여과하여 제조할 수 있다.
작약은 모란과 Paeoniaceae에 속한 Paeonia Lactiflora 품종으로서, 그 재배역사가 모란보다 오래되었다. 한방에서는 뿌리를 씻은 뒤 말린 것 또는 끓는 물에 담갔다 꺼낸 뒤 말린 것을 작약 또는 백작약이라고 하고, 특히 작약의 뿌리를 적작약이라 하며, 작약 뿌리의 껍질을 벗긴 것은 백작약이라고 한다. 작약의 효능과 효과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으며, 특히 작약의 뿌리는 진통, 복통, 토혈, 빈혈, 타박상 등의 약재로 쓰였다. 또한, 화장품 원료로서 피부 미백과 항산화 등 다양한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두피와 모발에서는 모발을 외부의 손상으로부터 보호하고, 두피에 보습을 제공해 주며, 모발 성장을 유도하고 가려움과 비듬을 억제하는 효능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그 효능과 효과가 매우 미약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작약 추출물은 작약뿌리를 초임계 추출하여 얻은 추출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작약의 뿌리를 CO2 초임계 추출용매와 조용매인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을 이용해 추출한 다음 부틸렌글리콜(Butylene Glycol) 15% 수용액에 희석을 하여 작약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소나무는 겉씨식물 구과목 소나무과에 속하는 Pinus Sylvestris 품종으로서, 소나무잎은 채취한 지역과 계절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정유(terpenetine oil), 시네올(cineol), 레텐(retene), 코니페린(coniferin), P-사이멘(P-cymen), 덴시피마르산(densipimaric acid) 등과 엽록소, 각종 아미노산, 조지방, 인, 철분, 효소, 미네랄, 지용성비타민 A, 비타민 C, 비타민 P 등을 함유하고 있다. 소나무잎은 모세혈관을 확장시켜 두피의 혈액순환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소나무잎의 여러 성분들과 엽록소에 의해 여러 종류의 대장균, 포도상구균, 녹농균 등에 대하여 억제 작용도 나타낸다. 또한 정유에 포함되어 있는 불포화 지방산은 혈중 콜레스테롤의 함량을 저하시켜 상당한 혈압강하 작용을 하며, 피부에 발생하는 습진, 옴을 일으키는 병원성 진균에 대하여 항균 및 살균 작용이 있어 소나무잎 추출물을 모발용 조성물에 첨가하여 사용 시 비듬을 방지하고 두피의 가려움증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소나무잎 추출물은 소나무의 눈을 물로 추출하여 얻은 것으로 포도당시럽 40%를 함유하는 것으로서 다음의 방법으로 추출할 수 있다.
소나무잎의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정제수에 담가 추출한 후 여과하고, 이를 농축시킨 다음 것으로 포도당시럽 40%에 용해하여 소나무잎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은행잎, 호두, 작약 또는 소나무잎 추출물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50중량%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효능?효과가 미약하고, 50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제형 안정화에 문제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은행잎, 호두, 작약 및 소나무잎 추출물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켜 안정화하여 제형화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을 나노리포좀 내부에 함유시키면, 추출물의 성분이 안정화되어 제형화시 침전형성, 변색, 변취 등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으며, 성분의 용해도 및 경피 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상기 추출물로부터 기대되는 효능을 최대로 발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나노리포좀은 통상적인 리포좀의 형태를 갖는 것으로서 평균 입자 지름이 10-500nm인 리포좀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 예에 따르면,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은 50-300nm이다. 나노리포좀의 평균 입자 지름이 30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기술적 효과 중 피부침투의 개선 및 제형 안정성의 개선이 매우 미약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추출물을 안정화하는데 사용되는 나노리포좀은 폴리올, 유성성분, 계면활성제, 인지질, 지방산 및 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에 이용되는 폴리올은 특히 제한되지 않으며,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글라이콜, 디프로필렌글라이콜, 1,3-부틸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메틸프로판디올, 이소프로필렌글라이콜, 펜틸렌글라이콜,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솔비톨 및 이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10~80중량%, 바람직하게는 30~7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유성(oil) 성분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헥사데칸 및 파라핀 오일과 같은 하이드로카본계 오일, 에스테르계의 합성오일, 디메치콘 및 사이크로메치콘계와 같은 실리콘 오일, 해바라기유, 옥수수유, 대두유, 아보카도유, 참깨유 및 어유와 같은 동식물성 오일, 에톡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프로폭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계오일, 피토스핑고신, 스핑고신 및 스핑가닌과 같은 스핑고노이드 지질, 세레브로사이드 콜레스테롤, 시토스테롤 콜레스테릴설페이트, 시토스테릴설페이트, C10 -40 지방알콜 및 이의 혼합물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1.0~30.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0~20.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계면활성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이온성 계면활성제, 양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가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음이온성 계면활성제 및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이다. 음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킬아실글루타메이트, 알킬포스페이트, 알킬락틸레이트, 디알킬포스페이트 및 트리알킬포스페이트를 포함한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의 구체적인 예는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테르, 알콕시레이티드 알킬에스테르, 알킬폴리글리코사이드, 폴리글리세릴에스테르 및 슈가에스테르를 포함한다. 특히 바람직한 계면활성제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에 속하는 폴리솔베이트류이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5~5.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또 다른 성분인 인지질은 양쪽친화성 지질이 이용되며, 천연 인지질 (예를 들어, 난황 레시틴 또는 대두 레시틴, 스핑고마이엘린) 및 합성 인지질 (예를 들어, 디팔미토일포스파티딜콜린 또는 수첨 레시틴)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게는 레시틴이다. 특히, 대두 또는 난황에서 추출한 천연 유래의 불포화 레시틴 또는 포화 레시틴이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천연 유래의 레시틴은 포스파티딜콜린의 양이 23~95%, 그리고 포스파디딜에탄올아민의 양이 20% 이하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있어서, 인지질의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5~20.0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2.0~8.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 제조에 이용되는 지방산은 고급 지방산으로서, 바람직하게는 C12-22 알킬 체인의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산으로서, 예컨대, 라우린산, 미리스트산, 팔미트산, 스테아린산, 올레산 및 리놀레산을 포함한다.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05~3.0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0.1~1.0중량%이다.
본 발명의 나노리포좀의 제조에 이용되는 물은 일반적으로 탈이온화된 증류수이며, 그 사용량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5.0~40중량%이다.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성분들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적용하여 제조된다. 고압 호모게나이저에 의한 나노리포좀의 제조는 소망하는 입자 크기에 따라 다양한 조건(예: 압력, 횟수 등)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600~1200bar의 압력 하에서 1~5회 고압 호모게나아저를 통과하도록 하여 나노리포좀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은행잎, 호두, 작약 또는 소나무잎 추출물을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50.0중량% 함유하며, 제형 안정화를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1.0~10.0중량%로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상기 은행잎, 호두, 작약 또는 소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한 나노리포좀을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 함유하며, 제형 안정화를 위하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0.1~20중량% 함유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염색 및 퍼머 등의 화학식 시술 시 나타날 수 있는 두피의 가려움, 따가움 등의 자극 현상을 감소시키고 두피 염증을 완화하여 진정시킴으로써 두피 상태를 건강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화학적 시술로 인한 거칠어지고 손상된 모발을 부드럽고 매끄럽게 해주는 컨디셔닝 효과도 제공함으로써 모발 상태를 건강하게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은 제형화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또는 두피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의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은행잎 추출물의 제조
은행나무 Ginkgo biloba Linne의 잎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50% 에탄올에 담가 추출하고 250 메쉬와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50% 부틸렌글리콜 용매를 첨가하였다. 색상과 pH를 확인하고 5차에 걸쳐 3㎛, 1㎛, 0.5㎛, 0.3㎛, 0.2㎛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은행잎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2] 호두 추출물의 제조
호두나무 Juglans sinensis Dode(가래나무과 Juglandaceae)의 씨 50g에 물 250g을 넣어 3시간 동안 환류 냉각기를 달아 가열한 다음 여과하여 얻은 여액에 물을 넣어 810g으로 하고 여기에 1,3-부틸렌글리콜 150g 및 메틸파라벤 1g을 넣어 가열 교반하여 녹인 액에 글리세린 40g을 넣고 6일 동안 숙성시킨 다음 규조토로 여과하고 다시 멤브레인 필터(0.45㎛)로 여과하여 호두 추출물을 얻었다.
[제조예 3] 작약 추출물의 제조
작약뿌리 100g을 초임계 추출조에 넣고 이산화탄소 및 부틸렌글리콜 100g을 넣어 40℃, 300기압에서 초임계 추출한 다음, 압력을 낮추어 이산화탄소를 제거하였다. 여기에 부틸렌글리콜 45g 및 물 225g을 넣고 섞어 초임계 작약 추출물 300g을 얻었다.
[제조예 4] 소나무잎 추출물의 제조
소나무 Pinus sylvestris L.(소나무과 Pinaceae)의 잎을 정제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 등을 제거한 후 정제수에 담가 추출하고 250 메쉬와 3차에 걸쳐 3㎛, 1㎛, 0.5㎛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한 후, 45~50℃로 진공 건조하여 농축시킨 다음 포도당시럽 40%에 용해하여 소나무잎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및 실시예]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비교예 및 실시예 1~15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유상과 수상을 배합기에 따로 준비한 후, 유상을 수상에 서서히 첨가하고 호모믹서를 이용하여 3,000 rpm으로 10분간 유화시킨 후 실온까지 냉각시켜 비교예 및 실시예 1~15의 두피 및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를 제조하였다.
성분 (중량%) 비교예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정제수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은행잎 추출물 - 0.5 - - - 0.5
호두 추출물 - - 0.5 - - 0.5
작약 추출물 - - - 0.5 - -
소나무잎 추출물 - - - 0.5 -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스테아릴알코올 3.0 3.0 3.0 3.0 3.0 3.0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성분 (중량%)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정제수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은행잎 추출물 0.5 0.5 - - - 0.5
호두 추출물 - - 0.5 0.5 - 0.5
작약 추출물 0.5 - 0.5 - 0.5 0.5
소나무잎 추출물 - 0.5 - 0.5 0.5 -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1.0 1.0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3.0 3.0
스테아릴알코올 3.0 3.0 3.0 3.0 3.0 3.0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성분 (중량%) 실시예12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정제수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잔액
(to 100)
은행잎 추출물 0.5 0.5 - 0.5
호두 추출물 0.5 - 0.5 0.5
작약 추출물 - 0.5 0.5 0.5
소나무잎 추출물 0.5 0.5 0.5 0.5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1.0 1.0 1.0 1.0
세틸알코올 3.0 3.0 3.0 3.0
스테아릴알코올 3.0 3.0 3.0 3.0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시험예 1] 자극완화 효능시험
염모제의 자극에 의한 자극완화 트리트먼트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쥐(mouse)를 이용한 MEST법을 응용하였으며,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다.
6주령의 BALB/c 쥐를 구입하여 10일간의 검역 및 적응 기간을 갖고 시험계를 구성하였다. 시험군은 하기와 같이 구성하였고 각군은 7마리로 하였다.
쥐의 복부 부위의 털을 제거하고, 2.5% 파라페닐렌디아민(Paraphenylenediamine;PPD)을 3~5일간 적용하였다. 1주일간 휴지기를 두고 난 후 하기 표 2의 조성을 가지는 염모제를 쥐의 귀에 도포하고 30분 후에 닦아내었다. 다시 1주일의 휴지기를 가진 다음, 상기 실시예 1~15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1시간 간격으로 2회 적용하였다. 다시 염모제를 도포하고 24시간 후에 상기 실시예 1~15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1시간 간격으로2회 적용하였다. 24시간 후 귀의 무게를 측정하고, H&E 염색법에 의해 병리 조직한 귀의 무게를 측정하였다. 상기 염모제의 처방은 하기 표 2에 나타내었으며, 측정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중량 %)
1제 성분 정제수 To 100
소듐설파이트 0.5
아스보킥애씨드 0.5
폴리옥시에틸렌우릴에텔 4.0
폴리옥시에틸렌올레일에텔 4.0
세토스테아릴알코올 8.0
p-페닐렌디아민 0.5
레조시놀 0.5
모노에탄올아민 적량
암모니아 적량
2제 성분 정제수 0.1
과산화수소(30%) 17.0
인산 0.1
처리군 귀 무게(mg) 귀 두께(㎛)
비교예 15.67 ± 0.589 397.55 ± 28.923
실시예 1 14.12 ± 0.823 294.00 ± 22.221
실시예 2 13.79 ± 0.381 300.01 ± 23.918
실시예 3 13.89 ± 0.746 287.11 ± 25.678
실시예 4 13.11 ± 0.489 299.56 ± 30.022
실시예 5 12.88 ± 0.736 283.79 ± 26.374
실시예 6 13.56 ± 0.782 276.17 ± 27.918
실시예 7 12.70 ± 0.833 279.83 ± 26.988
실시예 8 12.51 ± 0.411 277.83 ± 24.813
실시예 9 11.94 ± 0.673 276.67 ± 23.763
실시예 10 12.32 ± 0.672 275.86 ± 25.081
실시예 11 10.99 ± 0.739 270.13 ± 23.716
실시예 12 11.73 ± 0.267 275.92 ± 20.749
실시예 13 10.86 ± 0.293 274.42 ± 26.301
실시예 14 10.92 ± 0.741 273.40 ± 25.351
실시예 15 10.01 ± 0.562 269.76 ± 25.490
상기 표 3을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15의 조성물로 전처리한 경우 귀 무게와 귀 두께가 유의성 있게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시예 15과 같이 은행잎, 호두, 작약 및 소나무잎 추출물을 모두 함유하는 조성물은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이 염모제에 의한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시험예 2] 생체내(in vivo) 가려움 억제 시험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가려움 억제 효과를 테스트하였다. 상기 실시예 1~15 및 비교예 조성물의 피부 적용을 쉽게 하기 위해서 무모생쥐를 사용하였다. 무모생쥐는 모두 7주령의 수컷을 이용하였고, 음성대조군과 비교를 위하여 모든 군은 각각 8마리의 무모생쥐를 사용하였다.
외용제의 처리는 상기 실시예 1~15 및 비교예의 조성물을 150㎕씩 취하여 무모생쥐의 등 부위에 넓게 펴 바르는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1일 2회 1일간 처리하였고, 2일째 오전 가려움 유발 물질 주사 30분 전에 마지막으로 처리하였다.
외용제의 마지막 처리 후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하기 30분 전에 관찰용 투명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어 30분간 적응하는 시간을 주었다. 적응 시간이 끝나면 생리식염수에 1㎎/㎖ 농도로 가려움 유발 물질인 컴파운드 48/80(compound 48/80)을 녹인 다음, 적응이 끝난 시험용 무모생쥐의 등 부위 피부에 피내주사(intradermal injection)를 하였다. 주사가 끝나면 곧바로 다시 관찰용 우리에 무모생쥐를 넣은 후 30분간 비디오 촬영하여, 뒷다리로 가려움 유발 물질을 주사한 부위를 긁는 횟수를 측정하여 숫자로 표시하였다. 앞발로 긁거나 입으로 물어뜯는 행동은 제외하고 오직 뒷발로 주사부위를 긁는 행동만을 가려움 행동의 지표로 간주하여 측정하였으며, 측정결과를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처리군 가려움 유발물질 30분간 긁은 평균 횟수
음성 대조군 생리식염수 17.4 ± 24.9
비교예 C48/80 143.3 ± 21.4
실시예 1 C48/80 135.3 ± 20.7
실시예 2 C48/80 136.5 ± 24.8
실시예 3 C48/80 135.7 ± 25.9
실시예 4 C48/80 132.4 ± 22.9
실시예 5 C48/80 130.7 ± 23.8
실시예 6 C48/80 132.7 ± 23.1
실시예 7 C48/80 134.2 ± 20.9
실시예 8 C48/80 128.9 ± 27.4
실시예 9 C48/80 130.8 ± 25.8
실시예 10 C48/80 132.2 ± 23.8
실시예 11 C48/80 128.7 ± 22.6
실시예 12 C48/80 127.6 ± 25.1
실시예 13 C48/80 128.4 ± 21.9
실시예 14 C48/80 127.1 ± 21.9
실시예 15 C48/80 126.1 ± 23.1
표 4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은행잎, 호두, 작약 또는 소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15의 조성물로 전처리한 처리군은 비교예와 비교하여 주사부위를 긁는 횟수가 적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15의 조성물은 가려움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관능시험
비교예 및 실시예 1~15에서 제조한 두피 및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 조성물에 대하여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관능테스트를 진행하였다. 전문평가요원 10명으로 하여금 상기 실시예 1~15의 두피 및 모발 겸용 트리트먼트를 사용하게 한 후 하기의 표 5에 나타난 평가 항목에 대하여 비교 테스트를 하도록 하였으며, 가장 낮은 점수를 1로 하고 가장 높은 점수를 5로 하여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테스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항목 두피 가려움 두피 자극감 모발 부드러움/매끄러움
비교예 4.0 3.7 1.7
실시예 1 2.6 2.2 2.5
실시예 2 2.3 2.1 2.6
실시예 3 2.4 2.0 2.4
실시예 4 2.7 2.4 2.2
실시예 5 1.9 1.8 2.7
실시예 6 2.1 2.1 2.8
실시예 7 2.2 2.0 2.7
실시예 8 1.9 1.8 2.6
실시예 9 2.0 2.1 2.6
실시예 10 2.1 2.0 2.7
실시예 11 1.6 1.6 2.9
실시예 12 1.7 1.5 2.9
실시예 13 1.8 1.6 2.8
실시예 14 1.5 1.4 2.8
실시예 15 1.0 1.2 3.2
상기 표 5를 보면,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인 실시예 1~15를 사용하였을 경우 비교예를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두피의 가려움이 감소되고 자극감도 완화되었으며, 또한 모발 상태도 보다 좋아짐을 알 수 있다.
이것으로 은행잎, 호두, 작약 또는 소나무잎 성분이 두피에 대한 자극을 완화시키고 모발에 침투되어 모발 보호 효과를 증대시키는 시너지 효과를 가져옴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한 시험예의 결과를 근거로 하여, 여러 제형예를 조성하여 제시한다. 그러나, 이들 제형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제형이 이들 제형예에만 국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제형예 1] 헤어 토닉
성분 중량비(%)
에탄올 50
멘톨 0.02
글리세린 3
살리실산 0.05
은행잎 0.5
호두 0.5
작약 0.5
소나무잎 0.5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액 (to 100)
[제형예 2] 헤어 로션
성분 중량비(%)
세토스테아릴알코올 2.0
EDTA 2Na 0.2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즈 0.5
미네랄오일 5.0
은행잎 0.5
호두 0.5
작약 0.5
소나무잎 0.5
방부제 적당량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액 (to 100)
[제형예 3] 모발 영양화장수
성분 중량비(%)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7
미네랄 오일 10.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은행잎 0.5
호두 0.5
작약 0.5
소나무잎 0.5
방부제 적당량
향료 및 색소 적당량
정제수 잔액 (to 100)
[제형예 4] 헤어샴푸
성분 중량%
정제수 잔액 (To 100)
은행잎 0.5
호두 0.5
작약 0.5
소나무잎 0.5
소디윰라우릴설파이트 36.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8.0
팔미티딘말레이트 2.0
글라이콜스테아레이트 1.5
폴리쿼터니윰 10 0.5
사이트릭애씨드 0.1
글리세린 2.0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제형예 5] 헤어린스 및 트리트먼트
성분 중량%
정제수 잔액 (To 100)
은행잎 0.5
호두 0.5
작약 0.5
소나무잎 0.5
프로필렌글라이콜 2.0
세틸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1.0
세틸알코올 3.0
스테아릴알코올 3.0
미네랄오일 0.5
사이트릭애씨드 0.2
폴리디메칠실록산 1.0
방부제, 색소 및 향료 적량

Claims (13)

  1. 은행잎(Ginkgo bilob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작약(Paeonia Lactiflora) 및 소나무잎(Pinus Sylvestris)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작약 및 소나무잎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5. 유효성분으로서 은행잎(Ginkgo biloba) 추출물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것을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은 작약(Paeonia Lactiflora) 및 소나무잎(Pinus Sylvestris) 추출물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더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은행잎 추출물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작약 및 소나무잎 추출물은 나노리포좀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을 나노리포좀으로 안정화한 것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5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두피의 자극을 완화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극은 화학적 시술로 인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성, 상기 조성물은 두피의 가려움을 감소시키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또는 두피 모발겸용 트리트먼트의 형태로 제형화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110034992A 2011-04-15 2011-04-15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KR201100587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92A KR20110058754A (ko) 2011-04-15 2011-04-15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4992A KR20110058754A (ko) 2011-04-15 2011-04-15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4141A Division KR20090128118A (ko) 2008-06-10 2008-06-10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8754A true KR20110058754A (ko) 2011-06-01

Family

ID=443941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992A KR20110058754A (ko) 2011-04-15 2011-04-15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5875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68287B2 (en) 2016-05-26 2021-1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adher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nhibiting the adherence of microbes to a surface
US11737458B2 (en) 2015-04-01 2023-08-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rous substrate for capture of gram negative bacteria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37458B2 (en) 2015-04-01 2023-08-2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ibrous substrate for capture of gram negative bacteria
US11168287B2 (en) 2016-05-26 2021-11-09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nti-adherent compositions and methods of inhibiting the adherence of microbes to a surfa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0839588B1 (ko)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30021B1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16002B1 (ko) 아토피증상 완화 및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11132B1 (ko) 헤어 컨디셔닝 조성물
KR101286133B1 (ko) 강화사자발쑥과 감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소취, 항균 효과를 갖는 피부 화장료 조성물
US20110311662A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skin moisturisation comprising pine-resin extract, pinus densiflora needle extract and pinus densiflora root extract
KR101055963B1 (ko) 각질 박리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US8986755B1 (en) Skin moisturizer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15992B1 (ko)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모근 강화 및 두피 상태 개선용조성물
KR101938115B1 (ko) 미꾸라지추출물을 이용한 화장용 크림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05813A (ko) 식물 추출물 함유 미백 활성물질, 이의 용도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0998992B1 (ko)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38925A (ko) 헤스페레틴의 신규 용도
KR101191140B1 (ko) 장딸기 열매 추출물 및 마유를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4166B1 (ko) 담죽엽, 율초 및 구맥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58754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KR20110058753A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두피 진정 및 모발 컨디셔닝 개선용 조성물
KR20080070334A (ko) 염모제에 의한 두피자극을 완화하기 위한 두피보호용외용제 조성물
KR101758904B1 (ko) 강황, 하고초, 참마 및 뽕나무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슬리밍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21212B1 (ko) 항스트레스용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0794519B1 (ko) 새싹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716838A (zh) 一种玫瑰精油修复紧致眼部精华液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