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19167B1 - 녹차잎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차잎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19167B1
KR101719167B1 KR1020080097246A KR20080097246A KR101719167B1 KR 101719167 B1 KR101719167 B1 KR 101719167B1 KR 1020080097246 A KR1020080097246 A KR 1020080097246A KR 20080097246 A KR20080097246 A KR 20080097246A KR 101719167 B1 KR101719167 B1 KR 1017191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reen tea
tea leaves
extract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72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907A (ko
Inventor
문성호
민대진
박녹현
이존환
이기현
안수미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0800972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19167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19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19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4Preservativ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잎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표적 항산화 성분인 카테킨,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한 녹차잎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대나무 추출물 또는 치자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특히, 녹차잎을 우려낸 물은 상기 조성물에 녹차잎을 직접 다량 투입하여 저온용출방법으로 성분을 추출하여 얻어지며, 상기 조성물은 모발과 두피의 노화와 세포손상을 막아주는 항산화 효과 및 가려움 억제 효과를 제공한다.
저온용출, 냉침, 녹차잎, 대나무 추출물, 치자 추출물, 우려낸, 모발 화장료 조성물, 항산화, 가려움 억제

Description

녹차잎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having green tea leaves}
본 발명은 녹차잎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표적 항산화 성분인 카테킨,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한 녹차잎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여 모발과 두피의 노화 및 세포손상을 막아주는 항산화 효과 및 두피의 가려움 억제 효과를 제공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과 두피는 신체의 일부분으로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피부처럼 노화 현상이 나타나며,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다양한 변화와 문제점들이 나타난다. 또한 두피의 노화와 환경의 영향, 스트레스 등으로 인하여 두피 환경의 유수분 밸런스가 무너지면 두피가 가렵고 염증을 일으키는 지루성 피부염으로 발전하게 된다.
모발의 노화는 머리카락 외부의 큐티클층이 얼마나 건강하냐에 따라 달라지며 큐티클의 면적이 넓고 부드러우며 윤기가 나는 모발을 좋은 모발이라고 한다. 이러한 모발 노화의 원인과 현상은 크게 다음의 세가지로 나타난다.
첫째, 모발 내부의 유, 수분 부족으로 인한 탄력 저하로 모발이 쉽게 끊어지고 탄력이 떨어진다. 둘째, 모발 내부의 유, 수분 부족으로 큐티클층이 들떠 정전기가 발생하고 모발 끝이 갈라지며 푸석해진다. 셋째, 모발 외부의 큐티클층이 손상되어 들뜨고 내부의 코텍스층이 파괴되어 빛에 의한 난반사가 심해 모발 전체의 윤기가 떨어지게 된다.
이러한 모발의 노화를 촉진하는 요인은 컬러링이나 퍼머, 과도한 드라이어의 사용, 자외선, 불균형적인 영양상태 및 스트레스 등이 있는데 이로 인해 손상되고 건조해져, 윤기, 부드러움, 매끄러움 등의 특성이 저하되어 모발이 푸석푸석해지고, 탄력이 떨어지는 것이다.
이에 최근 샴푸, 컨디셔너 등의 모발 화장료에서, 세정 및 정전기 방지 이외에 모발에 영양과 윤기를 증진시키고 모발과 두피의 노화를 막고자 하는 시도가 계속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그 효과에 대한 기대가 증대되고 있다. 이들에 있어 일반적으로 실리콘, 탄화 수소류, 지방 에스테르 또는 이들의 조합물과 같은 컨디셔닝제를 이용하여 이러한 효과를 증진시키려 하고 있는데, 이 같은 성분들은 모발에 침착되어 눅눅하고 기름진 사용감을 나타내고 모발의 손상회복 효과가 부족하여 약해지고 가늘어지는 모발에 영양과 윤기를 효과적으로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기존의 모발 조성물들에 사용된 추출물들은 식물원료에서 용매로 열수 추출하여 배합한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은 기존에 없었던 유형으로 녹차잎을 수용성 모발 조성물에 직접 투입하여 우려낸 것이다. 기존에 이러한 유형의 제품이 시장에 출시되지 않았던 이유는 열수추출 대비 냉침추출의 효능 문제, 조성물의 방부력에 대한 문제, 녹차잎을 직접 조성물에 투입했을 경우 방부력에 치명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문제 등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에, 본 발명은 다량의 녹차잎을 모발 조성물에 투여하여 카테킨, 비타민 성분을 직접 우려낸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나이 들어 약해지고 가늘어지는 모발에 작용하여 영양을 부여하고 두피 가려움을 억제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녹차잎을 직접 투입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방부력 저하의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녹차잎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녹차잎을 우려낸 물은 조성물에 녹차잎이 직접 함유되어 저온용출되는 방식으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대나무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제조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녹차잎, 대나무 추출물, 치자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과도한 피지분비의 문제성 지성 두피에 작용하여, 두피에 가려움 억제효과를 부여하고 손상된 모발을 건강하게 복구하여, 모발과 두피의 노화와 세포손상을 막아주는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다.
본 발명의 모발 조성물은 녹차잎 추출물을 함유하며, 여기에 대나무 추출물 또는 치자 추출물을 더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기존의 추출물들을 함유하는 제형들과는 달리 녹차잎을 직접 가용화 제형의 조성물에 투여하여 저온 용출법으로 녹차잎의 주요 수용성 효능성분을 용출하는 방법으로 녹차잎 추출물을 함유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녹차잎을 화장품 용기 내로 직접 투입함으로써 녹차잎을 외관상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녹차잎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찍이 동양에서는 차(茶)를 약용으로 사용해왔으며, <동의보감>에서는 녹차에 대해 ‘성품이 차고 서늘하고 맛은 달고 쓰며 독은 없다. 기운을 내리게 하여 음식에 체한 것을 없애주며, 머리와 눈을 맑게 하며 소변을 통하게 하여 당뇨병에 좋고, 잠 많은 사람에게서 잠을 쫓아 주며 뜸으로 데인 독을 풀어준다.’고 하여 녹차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말하고 있다.
또한, 수 십 년 전만 해도 차를 주로 재배하고 있는 차 산지 마을에 가면 차를 약주머니처럼 천장에 매달아 놓아두었다가 민간요법으로 차약을 사용할 때 몇 가지 한약재와 차를 섞어 달여 내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산과 들에 자생하는 차나무가 많았던 것으로 유명한 화개지방에서는 수백 년 전부터 ‘잭살’이라고 부른 찻잎으로 감기몸살약을 만들어 먹는 민간 풍습이 전해져 왔는데, 늦봄 쯤 찻잎을 거칠게 훑어서 그늘에 시들시들하게 말린 뒤 멍석 위에 놓고 비벼서 다시 말려 보관해 둔 것을 ‘잭살’이라 불렀고, 몸살감기가 들면 이 ‘잭살’을 푹 삶은 물에다 생강, 모과, 돌배, 댓잎, 인동초를 썰어 넣고 푹 끓여서 마셨으니 선조 들이 차를 약재로 사용해온 지혜를 엿볼수 있다.
그리고 비듬이 있는 경우 머리를 헹굴 때 녹차를 우려낸 물을 사용하면 효과적이다. 녹차가 항균작용을 해 비듬을 예방하며 머리에서 나는 냄새를 방지해주기도 한다. 아울러 미국 시카고대학에서는 녹차 잎에서 추출한 카테킨(Catechins)이라는 성분이 항 안드로겐 특성을 가져 녹차를 자주 마시면 탈모 예방에 효과가 크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또한 녹차의 성분 중에는 탈모를 유발하는 DHT 호르몬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밝혔다.
화장료 조성물에 녹차잎을 직접 사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전처리가 필요하다. 이는 녹차잎에 풍부한 지용성성분인 섬유질 등의 산폐로 인해 내용물의 방부와 향취에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이다. 첫째, 100~110℃에 달하는 고온의 열스팀을 통과시켜서 녹차잎을 먼저 증숙 시킨다. 시간은 45초이면 충분하다. 둘째, 증숙된 녹차잎을 건조시킨다. 건조시간은 180~240분이 적합하며, 열풍으로 건조한다.
녹차잎을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 직접 투입하여 저온용출, 냉침시키는 조건은 수함량(D.I.Water Content)이 모발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50중량% 이상이며, 온도 는 10~50℃ 정도가 적당하다. 실제로, 아래의 항산화 실험에서 증명된 조성물은 위 조건으로 7~21일 경과 시점에서 그 효능을 확인하였다. 용량에 따라 편차가 있지만, 헤어 세정제품의 평균 사용주기가 1~5달 정도임을 감안할 때, 시간이 지날수록 더욱 효능이 증가 할 수 있음을 예측 할 수 있다. 도 1에 녹차잎을 조성물에 투입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대나무 추출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나무에 대해서 고대 문헌 ‘신봉 본초경’에는 댓잎은 맛이 쓰고 성질이 차서 해소와 상기, 종양, 해열, 상충에 효과가 있다고 되어 있다. 그 외 의학서적에도 관란, 토혈, 거담, 중풍, 당뇨, 두통, 고혈압, 현기증, 신경쇠약, 임신빈혈, 간질, 불면, 과다음주, 피로회복 등에 신비한 효능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며, 허준의 동의보감에는 죽력이 뇌졸증과 심신안정에 탁월한 효능이 있다고 전해 온다. 대나무로부터 추출된 대나무 수액의 무기질 분석 결과 수액으로부터 5종의 무기물이 검출되었고 비교적 많이 함유된 무기성분은 칼륨, 칼슘이었으며, 다음으로 마그네슘, 나트륨, 철분의 순이었다. 특히 대나무 수액은 고로쇠나무 수액보다 6배나 많은 칼슘이 있고 무기질 함량이 월등히 많았다. 대나무 수액의 아미노산 분석 결과 총18종의 유리아미노산이 검출 동정되었으며 인간이 필히 섭취해야만 하는 필수 아미노산10개 중9개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다.
대나무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9403082-pat00001
깨끗이 씻어서 준비한 대나무를 분쇄하고, 오일성분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다. 건조한 대나무에 물을 첨가하여 성분을 추출한다. 이는 50~60℃의 온도에서 이루어지며, 2회 반복한다. 그 다음 100메쉬의 체로 조여과하고, 10℃ 이하의 온도에서 24시간 냉침한다. 그 후, 규조토 여과를 실시하여 대나무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치자 추출물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치자는 홍치자(紅梔子), 목단(木丹), 선지(鮮支)라고도 하며, 몸 안에 있는 열을 내리는 약 중에 대표적인 약재이다. 치자는 기후가 온난한 해안지대를 좋아하는 상록수로서, 잎은 광 택이 있고 6월에 피는 백색꽃에는 짙은 향기가 있어 아름다운 조경수로 각광받고 있으며, 10∼11월에 따내는 붉은색의 치자 열매는 무공해 천연염료로 또는 공업용과 약용으로 널리 쓰인다. 몸 안의 열을 내리며 습을 밖으로 배출시키고 혈분에 있는 열을 꺼주는 동시에 지혈의 효능이 있다. 주로 심장과 위, 대장, 소장 등의 소화기에 열을 내리며 가슴이 답답한 증상에도 사용된다. 예전에는 황달, 소갈, 문둥병 등에 널리 사용되었으며 소변을 잘나가게 하고 입안이 마르고 눈이 붉어지면서 통증이 있을 때나 몸에 종기 등이 생겼을 때 응용되었다. 특히 상처 부위의 열을 없애는데 좋은 효능이 있는데 가슴 위쪽으로 열이 있어 가슴이 답답하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증상을 치료한다. 임상적으로는 급성 황달형 간염에 담즙의 분비작용을 촉진시키면서 간장의 기능을 활성화시키는데 자주 쓰인다. 이런 효능은 토끼에게서 더욱 강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치자 달인 물을 생쥐에게 먹였을 때에는 혈압을 내려주기도 하고 진정작용을 보인다. 실험관 내에서는 세균의 발육을 억제시키고 있음이 증명되었다.
치자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08069403082-pat00002
깨끗이 씻어서 준비한 치자를 분쇄하고, 오일성분을 제거한 후 건조시킨다. 미세하게 분쇄된 파우더 타입의 치자 추출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두피의 가려움 억제효과와 항산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녹차잎은 반드시 함유하여야 하며, 대나무 추출물과 치자 추출물은 필요에 따라 함유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녹차잎을 포함하는 녹차잎 저온추출액, 대나무 추출물, 치자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10.0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는 상기 녹차잎 및 추출물의 각각의 함량이 10.0중량% 초과시에는 제형 안정도와 사용감을 저해할 우려가 있으며, 0.01중량% 미만시에는 그 효과가 적기 때문이다.
나이가 들면서 모발 및 두피에도 노화 현상이 생기게 되며, 이는 모발의 손실 및 모발 밀도, 윤기, 색, 유분성, 섬유 직경 등의 감소로 나타난다. 또한, 이러한 노화 현상은 자외선, 공해물질, 자유라디칼 또는 화학 물질과 같은 외부 영향에 노출됨에 따라 더욱 촉진된다. 따라서, 자유라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 효능을 가지는 물질을 사용함으로써 모발 및 두피의 노화 현상을 예방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대표적 항산화 성분인 카테킨, 비타민을 풍부하게 함유하고 있는 녹차잎을 함유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은 항산화 효과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발과 두피의 노화 및 세포손상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화 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헤어로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 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발용 샴푸 조성물에는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세정성분인 합성계면활성제와 방부제, 점증제 및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염료, 모발 컨디셔닝제 및 물로 이루어진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합성 계면활성제는 음이온성, 양쪽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중에서 선택된 어떤 것도 가능하다. 상기 합성 계면활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0∼70중량%, 바람직하게는 10∼30중량%의 양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합성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및 알킬 에테르 설페이트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암모늄, 라우릴 황산 트리에탄올아민,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나트륨, 폴리옥시에틸렌 라우릴 황산암모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알킬 베타인 및 알킬 아미도프로필 베타인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코코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라우릴디메틸 알파-카복시에틸 베타인, 세틸디메틸 카복시메틸 베타인, 코카미도 프로필 베타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합성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알카놀 아미드 및 아민 옥사이드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로는 라우릴 디에틸 아민옥사이드, 야자유 알킬디메틸 아민옥사이드, 라우린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야자유 지방 산 모노에탄올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된 계면활성제들은 본 발명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에서 단독으로 또는 혼합하여 선택 사용할 수 있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과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비는 3:1인 것이 바람직하다.
점도 조절제로는 아마이드계 비이온 계면활성제인 코카마이드엠이에이(CME), 코카마이드디이에이(CDE), 소듐클로라이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모발 컨디셔닝제로는 디메치콘 베이스와 양이온성 폴리머 등을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 바람직하게는 0.5~5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에는 그 종류에 따라 적당한 성분을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컨디셔너 성분들로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3급 아미도아민과 4급 암모늄화합물, 고융점 화합물, 실리콘 화합물과 임의 성분으로 방부제, 점증제, 점도 조절제, pH 조절제, 향료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한 모발용 컨디셔너 조성물에서 양이온 계면활성제로 4급 암모늄화합물은 알킬(14-22)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알킬(14-22)디메틸 암모늄 클로라 이드, 수소화 탈로우 알킬 트리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디탈로우 알킬 디메틸 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되며, 3급 아미도아민은 예를 들면 코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베헤니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올레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이소스테아르아미도프로필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또한 아민류는 L-글루타믹산, 락틱산, 염산, 말릭산, 석씨닉산, 아세트산, 퓨마릭산, 시트릭산, EDTA 등의 산으로 중화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양이온 계면활성제는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30중량%, 바람직하게는 5~2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고융점 화합물로는 지방알코올계, 지방산계, 지방알코올 유도체, 탄화수소계 등 및 그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화합물로서 예를 들면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토스테아릴알코올 등이 포함되며, 컨디셔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실리콘 화합물은 폴리알킬실록산계, 폴리아릴실록산계, 폴리알킬아릴실록산계, 폴리에테르실록산 공중합체 및 그들의 혼합물과 사이클로폴리실록산 및 적당한 알킬 아미노 치환 화합물, 아모디메티콘 등을 포함하며, 컨디셔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10중량%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부제로는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과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비는 3:1인 것이 바람직하다.
pH조절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녹차잎과 대나무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 범위가 이들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시험예 1] 녹차잎의 저온용출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의 항산화 효능 비교평가
녹차잎의 저온용출방식(냉침)의 추출물과 열수 추출물이 가지는 항산화 효과를 비교평가하고자, 하기와 같이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을 준비하였다.
실시예 1, 2 및 3은 녹차잎 2.86g을 물 200ml에 넣은 후 실온(18-22℃)에서 7일(실시예 1), 14일(실시예 2), 21일(실시예 3)간 유지 후, 0.45㎛ 필터를 사용하여 추출물 얻었으며, 비교예 1은 녹차잎 2.86g을 물 200ml에 넣은 후 24시간 동안 온도를 70℃로 24시간 유지 후, 0.45㎛ 필터를 사용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항산화 실험[TEAC assay]은 트롤록스(Trolox)를 기준 물질로 하여 ABST 라디칼의 소거능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ABST 프리라디칼(free radical)과 반응시켜 소거되고 남은 ABST 프리라디칼의 양을 측정하여 물질의 라디칼 소거능으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구체적인 방법 프로토콜은 아래와 같다.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1. 7mM ABST : 2.45mM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 = 2:1로 섞어 상 온에서 12~16시간 반응시킴.
2. 물질 10㎕와 ABST 칼륨 혼합물 990㎕를 섞어 30℃에서 6분간 반응시킴.
3. 734nm에서 광학밀도(optical density)값을 측정함(ABST 혼합물만 넣은 컨트롤 값이 0.7정도 되도록 잡음).
4. 컨트롤 대비 감소한 광학밀도값을 라디칼 소거능(항산화 효과)으로 계산함.
라디칼 소거능
농도ppm 0 500 1000 2000 2500
비교예 1 0 21 39 61 78
실시예 1 0 22 38 69 81
실시예 2 0 33 57 80 92
실시예 3 0 50 77 94 94
녹차잎을 열수 추출방식으로 추출한 비교예 1, 저온용출방식으로 추출한 실시예 1(냉침 7일), 실시예 2(냉침 14일) 및 실시예 3(냉침 21일)는 1000ppm에서는 항산화 효과가 각각 38%, 57%, 77%로 나타났으며, 특히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라디칼 소거능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각각 1.5배 및 2배 증가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기존 녹차잎의 열수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조성물보다 저온추출(냉침)을 이용한 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조성물의 항산화 효과가 1000ppm이하에서는 2~2.5배 증가할 수 있을 것으로 예측할 수 있다. 이는 항산화 효과에 관련되는 효소들이 열수 추출 과정에서 열에 의해 손상을 받아 저온용출(냉침)에 의한 경우보다 항산화 효과가 감소될 가능성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기준물질인 트롤록스를 통해 항산화 실험법(TEAC)이 잘 워킹하는지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트롤록스의 농도를 다르게 하여 상기의 방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결과는 표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농도(μM) 0 4 8 10
라디칼소거능 (%) 0 30 61 95
표 2 및 도 3을 통하여 트롤록스의 농도 의존적인 라디칼 소거능이 관찰되어 실험 셋팅은 잘 이루어졌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2] 녹차잎의 저온용출 추출물의 가려움 억제 효능 평가
녹차잎의 저온용출방식(냉침)의 추출물이 가지는 가려움 억제 효과를 평가하고자, 하기와 표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 4~6 및 비교예 2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5 및 실시예 6은 녹차잎 1.2g을 물 350ml에 넣은 후 실온(18-25℃)에서 7일(실시예 4), 14일(실시예 5), 21일(실시예 6)간 유지 후, 0.45㎛ 필터를 사용하여 추출물 얻었으며, 비교예 2는 녹차잎을 넣지 않은 물을 말한다.
조성 비교예 2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녹차잎 - 1.2g 1.2g 1.2g
350ml 350ml 350ml 350ml
냉침 기간 - 1주(7일) 2주(14일) 3주(21일)
가려움 억제 실험은 P 물질(Substance P) 억제 능력을 측정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다양한 인자들에 의해서 피부에서 분비되는 P 물질은 피부의 신경섬유를 직접 자극하거나, 비만세포(Mast cell)의 히스타민(Histamine) 분비를 촉진해서 피부에서 가려움을 느끼게 한다. 샴푸에 들어 있는 계면 활성제들은 피부에 잔류하였을 경우에 붉은 반점, 가려움 등의 피부 자극을 일으킴이 알려져 있는 바, 본 실험에서는 자사에서 사용하는 계면활성제인 ALES와 녹차 냉침 추출물에 의한 피부세포에서 P 물질의 변화를 살펴보고, 이를 토대로 녹차 냉침 추출물이 피부 가려움증을 억제 할 수 있는지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인 실험 방법은 아래와 같다. 세포 배양은 불멸화된 인간 각질형성세포인 HaCaT 세포를 10% 우태아혈청(Fetal Bovine Serum)과 100unit/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penicillin-streptomycin)이 들어 있는 DMEM(Dulbecco Modified Eagle's Medium)에 넣고 37℃, 5% CO2에서 배양하였다. P 물질 발현 배지의 획득은 HaCaT세포를 1x105의 농도로 12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분주하여 24시간 배양 후, 페놀-레드(phenol-red)가 없는 투명한 DMEM에 2% 우태아혈청과 100unit/ml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이 첨가된 분석(assay)용 배지로 교체하였다. 교체한 분석(assay)용 배지에 시험 물질을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ALES를 1.0ppm의 농도로 처리하였다. ALES를 처리하고 24시간 후에 배지를 걷어내서 마이크로 튜브로 옮기고, 4℃에서 12,000rpm으로 3분간 원심분리해서 배지 내 잔여물을 제거하여 P 물질 분석(Substance P assay)에 필요한 배지를 얻었다. 마지막으로 P 물질 분석은 준비된 세포 배양액을 물질 P 엘리사 키트(ELISA kit, cat.#E0393h, USCN&LIFE)을 이용하여 키트의 지시대로 엘리사를 수행하였다.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도 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원발명에 의한 실시예 4~6을 처리한 경우 P 물질이 억제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6(냉침 3주차)를 1% 처리한 경우, 비교예 2로 처리한 경우와 비교하여 107%의 P 물질 억제 효능이 있음을 관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가려움 억제 효능은 녹차잎의 냉침기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며, 녹차잎의 냉침기간에 따라서 활성성분의 효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참고예] 샴푸 제형의 제조
모발 화장료 조성물로서 하기 표 4의 처방에 따라 통상의 샴푸 제조방법으로 실시예 7, 실시예 8 및 비교예 3의 샴푸를 제조하였다.
조성 비교예 3 실시예 7 실시예 8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6 16 16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세틸알코올 0.6 0.6 0.6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0 1.0 1.0
폴리쿼터늄-10 0.2 0.2 0.2
향료 1.0 1.0 1.0
방부제 0.03 0.03 0.03
구연산 0.19 0.19 0.19
실시예 1의 녹차잎 저온용출추출물 - 1.2 1.2
비교예 1의 녹차잎 열수추출물 1.2 - -
대나무추출물/치자추출물 - - 0.1
희석수 To 100 To 100 To 100
실시예 7은 상기 실시예 1의 녹차잎 저온용출추출물을 함유하여 제조하였고, 실시예 8은 실시예 7의 조성물에 대나무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을 더 함유하여 제조하였다. 또한 비교를 위하여 비교예 3은 상기 비교예 1의 녹차잎 열수추출물을 함유하여 제조하였다.
[시험예 3] 조성별 사용 품질 시험 결과
두피가 지성인 20~30세 남성 및 여성 10명으로 구성되는 품평단(panel)을 대상으로 상기 실시예 4~8 및 비교예 3의 샴푸를 2주일 동안 매일 사용하게 한 후 설문 항목에 7점 척도(점수가 높을수록 결과가 좋은 것임)로 답하게 하는 방식으로 사용 품질을 평가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설문항목 비교예 3 실시예 7 실시예 8
1. 기포가 잘 나고 기포 느낌이 좋다 5.3 5.3 5.5
2. 헹굼시 느낌이 좋고 손가락 통과가 잘된다 5.2 5.1 5.6
3. 반건조시 빗질이 쉽고 부드럽다 5.1 5.3 5.7
4. 건조후 모발 손질이 쉽고 부드럽다 5.2 5.3 5.5
5. 건조후 두피의 가려움이 느껴진다. 4.2 3.1 2.1
6. 건조후 모발의 영양감이 느껴진다. 5.3 5.7 6.1
상기 표 5의 품평결과를 보면, 녹차잎의 저온용출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7을 사용한 경우는 녹차잎의 열수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비교예 3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하여 머리를 감을 때의 사용감은 대체적으로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실시예 7을 사용한 후에는 비교예 3을 사용한 경우보다 건조후의 모발의 상태가 더 부드럽고 두피의 가려움이 적으면서 모발의 영양감을 더 느낄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녹차잎, 대나무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8을 사용한 경우는 비교예 3을 사용했을 경우보다 사용 후 두피의 가려움 완화와 모발의 영양감 면에서 현저히 우수한 결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통해 녹차잎, 대나무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을 샴푸에 투입하여 사용할 때 두피에 대하여 두피의 가려움 개선효과를 제공함과 더불어 모발에는 영양감를 부여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조성별 방부력 시험 결과
조성에 따른 제품의 방부력을 시험하기 위하여 하기 표 6의 조성으로 실시예 8~11의 모발용 샴푸를 제조하였다.
조성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소듐라우레스설페이트 16 16 16 16
글라이콜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세틸알코올 0.6 0.6 0.6 0.6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0 1.0 1.0 1.0
폴리쿼터늄-10 0.2 0.2 0.2 0.2
향료 1.0 1.0 1.0 1.0
방부제 0.03 0.03 0.03 0.03
구연산 0.19 0.19 0.19 0.19
실시예 1의 녹차잎 저온용출추출물 7.5 7.5 7.5 7.5
대나무추출물/치자추출물 0.1 0.1 0.1 0.1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 0.1 - -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틸이소치아졸리논 혼합물(3:1) - 0.02 - -
소듐벤조에이트 - - 0.5 -
디히드로초산 - - - 0.2
희석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상기 실시예 8~11의 샴푸를 대상으로 방부력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방부력 평가법은 다음과 같다.
방부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조성물 20~30g에 에스체리치아 콜리(Escherichia coli ; ATCC 8739),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lyococcus aureus ; ATCC 6538), 세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 ATCC 9027) 등의 혼합균액을 시료당 초기농도 106cfu(집락형성단위, colony forming unit)/g 되도록 첨가 혼합하였다. 이들을 30~32℃ 항온조에서 4주간 배양하면서 1, 7, 14, 21, 28일의 간격으로 각 조성물을 1g씩 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곰팡이의 경우에는 페니실리움 씨트리눔(Penicillium citrinum ; ATCC 9849), 아스퍼질러스 니거(Aspergillus niger ; ATCC16404)의 혼합균액을 시료당 초기농도 106cfu/g되도록 첨가 혼합한 후 25℃항온조에서 배양하면서 7일 간격으로 변취유무와 시료표면의 균사 및 포자발생 유무를 관찰하였다.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방부력 X O X X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무방부(실시예 8), 소듐벤조에이트(실시예 10), 디히드로초산(실시예 11)을 사용한 경우에는 방부력이 저하되고,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과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3:1)(실시예 9)을 사용한 경우에만 방부력이 양호하였다. 이는 녹차잎에 함유된 유용성성분의 산폐에 의하여 방부력이 저하되어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과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3:1)에서만 방부력이 양호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녹차잎을 조성물에 투입한 상태의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1~3 및 비교예 1의 라디칼 소거능 측정 실험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항산화 실험법이 잘 워킹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하여 트롤록스를 이용하여 라디칼소거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비교예 2(대조군 2), 실시예 4(냉침 1주), 실시예 5(냉침 2주) 및 실시예 6(냉침 3주)을 처리한 후 두피의 가려움 억제 효능 평가 결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Claims (12)

  1. 녹차잎을 포함하는 녹차잎 저온추출액, 대나무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로서,
    상기 녹차잎 저온추출액은 18~22℃의 온도에서 7일 내지 21일 동안 저온용출되는 방식으로 추출된 것이고,
    상기 조성물은 항산화용 또는 두피 가려움 억제용으로 사용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저온추출액은 7일, 14일 또는 21일 동안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잎은 증숙 및 건조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녹차잎을 포함하는 녹차잎 저온추출액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대나무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은 각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10.0중량%의 양으로 함유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방부제로서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에 메틸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 및 메틸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을 함께 사용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에센스, 헤어세럼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컨디셔너, 헤어샴푸 또는 헤어로션으로 제형화됨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11. 삭제
  12. 제 1항의 녹차잎을 포함하는 녹차잎 저온추출액, 대나무 추출물 및 치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을 포함하며,
    상기 녹차잎은 화장품 용기 내에 직접 투입되어 외관상으로 녹차잎을 확인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녹차잎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품.
KR1020080097246A 2008-10-02 2008-10-02 녹차잎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9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246A KR101719167B1 (ko) 2008-10-02 2008-10-02 녹차잎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7246A KR101719167B1 (ko) 2008-10-02 2008-10-02 녹차잎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907A KR20100037907A (ko) 2010-04-12
KR101719167B1 true KR101719167B1 (ko) 2017-03-27

Family

ID=42214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7246A KR101719167B1 (ko) 2008-10-02 2008-10-02 녹차잎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191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238A (ko) 2021-04-02 2022-10-12 (주)판도라티비 식물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0411B1 (ko) * 2011-10-25 2013-11-18 재단법인 하동녹차연구소 증숙 처리된 녹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341A (ja) * 2004-10-29 2006-05-18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処理剤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65926A (ko) * 2005-07-13 2007-06-27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항균 및 소취 효과를 가지는 녹차 추출물 및 브로컬리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0839588B1 (ko) * 2006-07-18 2008-06-19 (주)아모레퍼시픽 식물추출물을 함유한 모발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4341A (ja) * 2004-10-29 2006-05-18 Ichimaru Pharcos Co Ltd 毛髪処理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7238A (ko) 2021-04-02 2022-10-12 (주)판도라티비 식물 복합 추출물을 활용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907A (ko) 2010-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099B1 (ko) Em발효액과 산야초 분말을 함유하는 발모기능성 샴푸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468563A (zh) 一种去屑丝质润滑无硅油洗发水
KR101494661B1 (ko) 흑마늘박 발효물을 포함하는 두피 또는 모발 케어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4615796B2 (ja) 刺激緩和組成物
KR101206090B1 (ko) 발효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조성물
JP2006219432A (ja) 肌荒れ防止作用を有する組成物および化粧料、飲料
KR101566816B1 (ko) 작약을 우려낸 물을 함유하는 두피 또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19167B1 (ko) 녹차잎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35799B1 (ko) 프로폴리스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KR101063574B1 (ko) 검은콩을 함유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598083B1 (ko) 천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20060024926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 조성물
KR101033307B1 (ko) 생약추출액이 함유된 샴푸조성물
KR101742819B1 (ko)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한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963218A (zh) 一种含有黑塌菜提取物的沐浴露
KR101243530B1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KR101115120B1 (ko) 율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03122B1 (ko)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약학적 조성물
KR101235645B1 (ko) 솔잎 증류 농축액을 포함한 모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660915B1 (ko) 홍삼 추출물 함유 모발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11169B1 (ko) 여드름, 모낭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완화 효과를 가지는 무독성 천연 액상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여드름, 모낭염 및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완화 효과를 가지는 무독성 천연 액상 비누
KR20190074618A (ko) 한약재 발효액을 함유하는 탈모방지용 천연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US11135152B2 (en) Natural shampoo composition comprising white dandelion extract solution for hair loss prevention and hair growth
KR102515725B1 (ko) 개운죽 잎 및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컨디셔닝 샴푸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컨디셔닝 샴푸 제조방법
US20230042135A1 (en) Herbal shampoo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51010065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51102

Effective date: 20170217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