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20039384A -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 Google Patents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20039384A
KR20120039384A KR1020100101070A KR20100101070A KR20120039384A KR 20120039384 A KR20120039384 A KR 20120039384A KR 1020100101070 A KR1020100101070 A KR 1020100101070A KR 20100101070 A KR20100101070 A KR 20100101070A KR 20120039384 A KR20120039384 A KR 201200393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hair growth
composition
growth
luteol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208736B1 (ko
Inventor
조인식
지경엽
김근회
Original Assignee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애경산업(주)
Priority to KR10201001010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08736B1/ko
Publication of KR20120039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39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08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08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7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 A61K8/4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oxygen as the only hetero atom having 6-membered rings or their condensed derivatives, e.g. coumar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리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연 식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발모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The hair growth compositions containing flavonoids}
본 발명은 플리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천연 식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우수한 발모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탈모는 유전적 요인이 가장 주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며 이외에도 스트레스가 탈모인구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사회적 스트레스의 증가와 더불어 환경오염 및 인스턴트식품 등 서구화된 식습관, 잦은 파마와 염색, 잘못된 두피관리들로 인하여 탈모 인구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모발은 성장기(Anagen), 퇴화기(Catagen), 휴지기(Telogen)의 주기를 돌며 발모와 탈모를 반복하며 유지되고 있다. 상세하게는, 모발을 성장시키는 성장기(anagen), 성장을 종료하고 모구부가 축소하는 시기인 퇴화기(catagen), 모유두가 활동을 멈추고 모발을 두피에 머무르게 하는 시기인 휴지기(talogen), 모유두가 활동을 시작하거나 또는 새로운 모발을 발생시켜 오래된 모발을 탈모시키는 시기인 발생기로 나눌 수 있다.
모발의 성장기는 남성 3~5년, 여성이 4~6년 정도로 그 후 퇴화기 30~45일 정도, 휴지기가 3~4개월 정도 지나 자연적으로 탈모가 된다. 그리고 휴지기의 마지막이 되면 새로운 모발이 생성되는 발생기가 시작된다.
탈모는 정상적인 현상이나 정상인 사람이 성장기 상태의 모발이 많은 데 비해 보통 탈모증(Alopecia)인 사람은 휴지기 상태의 모발이 많아 눈으로 보이는 탈모현상이 나타내게 된다.
탈모증을 나타내는 사람들의 특징은 모발의 소형화에 있다. 탈모가 진행될수록 성장기의 기간이 짧아지고 이로 인하여 모발은 점점 소형화된다. 따라서 탈모의 치료를 위해서는 휴지기 상태의 모낭을 성장기로 빨리갈 수 있도록 하고, 짧아진 성장기를 늘려주는 것이 중요하다.
처음으로 모낭(hair follicle)의 형성은 베타-카테닌(β-catenin)의 작용에 의해 기원판(placode)이 형성되면(Laura C. 2003), 형성된 기원판로부터 모낭이 완성되고 모낭 내부의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에 의해 모발이 생성된다. 이렇게 모발이 자라는 시기를 성장기라 한다. 처음 생성된 모발은 성장기 시기를 거쳐 휴지기로 들어가며, 이는 퇴화기를 거쳐 탈모되며 다시 성장기로 들어가는 주기를 돈다.
성장기(Anagen Stage ;2~7년)는 모발이 성장하는 기간이다. 성장기 단계는 다시 2단계로 나누어진다. 모발이 모구로부터 모포로 나가려는 모발 생성 단계와 딱딱한 케라틴이 모낭 안에서 만들어지는 단계이다. 퇴행기까지 자가성장을 계속한다. 성장기의 수명은 2~7년이며 전체 모발(10~15만개)의 89~90%를 차지하고 생장기 단계에서 두발은 한 달에 1~1.5cm정도 자란다. 음식물, 호르몬, 비타민의 영향에 의해 변화될 수 있다.
퇴행기(Catagen Stage ; 2~3주)는 성장기가 끝나고, 모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대사과정이 느려지는 시기로 천천히 성장한다. 이 단계에서는 케라틴을 만들어 내지는 않는다. 퇴화기의 수명은 2~3주이며 전체 모발의 1%를 차지한다. 모구부가 수축하여 모유두로 나눠지며 모낭에 둘러싸여 위쪽으로 올라간다. 이때 세포분열은 정지하고 있다.
휴지기(Talogen Stage ; 3개월)는 모유두가 위축되고 모낭은 차츰 쪼그라들며, 모근은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빠진다. 모발이 없어지는 시기로서 다음 생장기 단계가 시작될 때까지의 수명은 3~4개월. 전체 모발의 4~14% 해당(분만 후 30~40%)되며 이 시기의 모발은 강한 브러싱으로 모발들은 쉽게 탈모된다.
안드로겐성탈모증(androgenetic alopecia)은 크게 남성형 탈모증(male pattern alopecia)과 여성용 탈모증(female pattern hair loss)으로 분류될 수 있으며, 그 밖의 탈모증으로는 원형탈모증(alopecia areata), 기타원인에 의한 탈모증 등이 있다.
남성형 탈모증은 남성의 성징을 나타나게 하며 사춘기에 근육의 발달, 남성 기관의 발달 등에 작용하는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라는 남성호르몬에 의해 나타나는 현상으로 이 테스토스테론이 5 알파-리덕타아제(α-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 더 강력한 호르몬인 디히드로테스토스테로(Dihydrotestosterone:DHT)으로 바뀌게 되면, 이 호르몬이 모낭에 작용하여 모낭을 성장기 단계에서 퇴화기 단계로 유도하여 탈모가 일어나게 한다. 따라서 이러한 원인에 의한 탈모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5 알파-리덕타아제에 의한 DHT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이 주로 사용된다.
여성형 탈모증은 주로 폐경기 이후 에스트로겐 양의 감소에 의해 발생한다. 여성의 탈모증은 남성형 탈모증의 모양과는 좀 다르게 머리 앞부분은 빠지지 않고 중간 부분의 머리만이 주로 탈모된다. 여성의 탈모증은 5 알파-리덕타아제와의 연관관계가 남성보다 적게 작용한다. 따라서 5 알파-리덕타아제를 억제시키는 약물은 폐경기 이후의 탈모증 여성에게는 별로 효과가 없다. 따라서, 이러한 탈모증을 위한 치료제로는 주로 미녹시딜이나 에스트로겐을 사용한다.
원형 탈모증은 자가면역질환이나 정신적 스트레스, 유전적 소인에 의해 발생한다. 원형 또는 난원형의 탈모가 일어나며, 두부 백선이나 발모벽이 생기는 특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원형 탈모증은 안드로겐성 탈모증과는 근본적으로 원인이 다르며, 치료법 또한 달라서 부신피질 호르몬제를 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거나, 미녹시딜을 환부에 바르거나 인위적으로 환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처럼 다양하고 복잡한 탈모 원인에 대하여, 현재까지 알려진 탈모 방지 제품에는 유효성분으로 혈액 순환 촉진, 남성 호르몬 작용 억제, 모근 기능 강화 등을 목적으로 하는 성분 등이 시중에 제품으로 판매되고 있으나, 효과 면에서 뚜렷한 효과를 지닌 것은 아직까지 없는 상태이고 부작용의 문제가 제기되기도 한다.
이러한 발모제로는, 처음에는 혈액 순환 촉진을 위한 용도로 개발되어 사용되다가 이를 사용하는 환자들 사이에서 부작용으로 발모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이후, 발모용 원료로 미국식품의약품안전청(FDA)에서 승인받아 발모 치료제로 사용되어진 미국특허 제3,382,247호의 미녹시딜(6-Amino-1,2-dihydro-1-hydroxy-2-imino-4-phenoxypyrimidine)은 현재에도 발모용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미국특허 제5,215,894호에서 언급된 머크사의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는 처음에는 남성의 전립선 치료제로 사용되던 성분이었으나, 역시 인체 내 투여량을 조절하여 남성형 탈모증 치료제로 탄생하게 되었다.
그러나, 미녹시딜의 경우 끈적이는 사용감과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보고된 바 있으며, 피나스테라이드의 경우 현재 경구투여용 제제로 사용되고 있으나, 이의 섭취에 따라 성기능 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된 일도 있을 뿐 아니라, 탈모에 대해서도 꾸준한 복용이 이루어져야만 효과가 있으며, 이들의 5 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억제제는 도포에 의한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경구복용에 의해서만 효과를 기대할 수 있어서 사용상에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다양한 인체 안전성이 확보된 천연 추출물을 대상으로 스크리닝을 실시하였고, 우수한 발모력을 나타내는 선별된 천연물을 대상으로 발모력을 나타내는 성분을 규명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인체에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면서도 발모 및 육모 효과가 우수한 발모 및 육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레투신(Letusin)등의 성분 중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포함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성분들의 화학구조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는 국화류나 쑥류의 식물을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기용매를 통한 추출물 및 물을 이용한 수추출, 초임계추출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는 물을 이용한 추출보다는 유기용매를 이용한 추출이 바람직하다.
상기 플라보노이드의 추출을 위해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예로는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이소프로필알코올, 부탄올 등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롤,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등의 다가 알코올; 그리고 석유에테르,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벤젠,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클로로포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이들 중에서 하나 또는 두 종류 이상의 용매를 혼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플라보노이드는 고형분을 기준으로 전체 발모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0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001 중량% 미만에서는 모발의 성장 유도 촉진 효과가 미미하고, 50 중량% 초과의 농도에서는 제형상 적용이 어려워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조성물은 식물 추출물 유래의 플라보노이드를 주성분으로 포함하여 인체에 안전하고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두피에 자극이 없으며 부작용이 없다.
본 발명의 플라보노이드는 모발의 주기중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되는 주기를 단축시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므로 발모 및 육모 효과가 우수하다.
도 1은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및 레투신(Letusin)의 화학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당업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는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한 것일 뿐, 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및 레투신(Letus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주요 구성성분인 플라보노이드는 모발의 성장주기중에서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되는 주기를 단축시킴으로써 모발이 빠른 속도로 새로 자라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플라보노이드는 식물에 널리 분포하며, 노란색 계통의 색소로, 페닐기 2개가 C3사슬을 매개하여 결합한 탄소골격구조로 되어 있다. 산성에서는 안전하여 색이 더욱 선명해지지만, 강한 알칼리에서는 그 구조가 변하여 짙은 노란색이나 갈색으로 변한다. 그리스어로 노란색을 의미하는 플라부스(flavus)에서 유래된 말로, 플라본(flavone)을 기본 구조로 갖는 식물색소를 일컫는다. 비타민 P(투과성 비타민) 또는 비타민 C2(비타민 C의 상승제)라고도 한다. 동물에는 비교적 적고 식물의 잎?꽃?뿌리?열매?줄기 등에 많이 들어 있다. 항균?항암?항바이러스?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을 지니며, 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또한 모든 질병의 원인이 되는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플라보노이드계(系) 물질의 개발 및 활용에 관한 관심이 지속적으로 커지고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조성물의 주요 성분인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레투신(Letusin)은 상기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으로서 모발의 주기중 휴지기에서 성장기로 이행되는 주기를 단축시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므로 우수한 발모 및 육모 효과를 나타내며, 이미 널리 알려진 플라보노이드의 효능인 항균?항암?항바이러스?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을 지니므로서, 피부 정상화에도 우수한 작용을 나타낸다.
상기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레투신(Letus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단독 또는 이들의 혼합물은 총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01내지 5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0.0001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되면 발모 및 육모 효과를 상승시키는 효과가 미미하며, 50 중량부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제형상 적용이 어려워 나타나는 효과에 비해 불편함이 크게 나타나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에는 상기 성분들외에 부가적인 기능 부여를 위해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 성분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듬 방지제, 모근 강화제, 모발 보수제, 두피 보호제, 청량제, 보습제, 유연제 등의 보조 성분들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조 성분들은 본 발명의 목적을 해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적절한 비율로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형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외용액제, 크림제, 연고제, 페이스트, 에어로솔제, 겔제, 왁스제, 마스카라 등의 두피 및 눈썹에 적용시킬 수 있는 국소 도포형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샴푸, 린스, 앰플 및 트리트먼트등의 두피 및 피부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실시예 1: 플라보노이드의 제조
국화류 및 쑥류의 상기 플라보노이드를 많이 포함한 식물을 대상으로 상기 언급한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및 레투신(Letusin)을 추출하였다. 추출한 플라보노이드는 TLC, LC-mass 및 NMR을 통하며 물질을 확인 후 이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2 내지 6
실시예 2 내지 9에서는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및 레투신(Letusin)을 이용하여 하기 표 1에 기재된 구성으로 발모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비교예 1에서는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또는 레투신(Letusin)을 포함하지 않는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성분(중량%) 비교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에탄올 60 60 60 60 60 60
글리세린 5 5 5 5 5 5
유파틸린 0 0.5 0 0 0 0
루테올린 0 0 0.5 0 0 0
자세오시딘 0 0 0 0.5 0 0
아카세틴 0 0 0 0 0.5 0
레투신 0 0 0 0 0 0.5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실험예 1: 마우스 C57BL / 6 를 이용한 in vivo 발모력 시험
발모 및 육모 효과 연구에 주로 이용되는 실험법으로는 실험동물을 이용한 in vivo 평가와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조직 배양을 이용한 in vitro 평가 등이 주로 이용되고 있으며, 현재에도 여러 가지 생화학적, 분자생물학적 실험 기법 등을 이용한 발모 및 육모 관련 실험 방법과 평가 방법 등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실시예 1에 따라 얻어진 플라보노이드를 표 1의 비교예 및 실시예에 기재된 조성물을 사용하여 마우스 C57BL/6를 이용한 In vivo 발모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C57BL/6 마우스는 출생 후 6주령부터 털이 퇴화기로 되며, 7주령부터 휴지기으로 되었다가 12주령이 되면 다시 성장기으로 돌아가는 특징적인 주기를 갖는 마우스이다. 이러한 이유로 발모시험의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in vivo 동물모델이다.
출생일로부터 3일이내의 몸무게가 비슷한 개체들로 선별하여 6주령된 마우스 C57BL/6 암컷을 구매하였다. 25℃, 습도 50% 사육조건에서 1주일간의 적응기를 갖고, 7주령이 되는 주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우스를 에테르가 들어있는 데시케이터에 넣고 1분간 마취시킨 후, 마우스의 등부분을 제모기를 이용하여 털을 제거하였다. 1일 후 등부위에 상처가 없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시료를 도포를 하였다.
시료의 도포는 1일 1회 100ul씩 도포하였으며, 5일 간격으로 하기 표2에서 기재된 판정 기준에 판정하여 발모정도를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 판정 점수
마우스 등판의 색깔 변화가 없음 -
제모부위 약 50% 미만의 국소적인 회색 또는
약 1/4 이하의 육안적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국소적인 모발성장
+
제모부위 약 50% 이상의 회색 또는
약 2/4 이하의 육안적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국소적인 모발성장
++
제모부위 전체의 짙은 회색 또는
약 3/4 이하의 육안적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모발성장
+++
제모부위 약 3/4 을 초과하는 육안적으로 확연히 구분되는 모발성장 ++++
각 시료는 비교예 1 및 실시예 2 내지 6에 따라 제조된 시료를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양성대조군으로는 발모제로 널리 사용되는 의약품인 미녹시딜 5%를 사용하였다. 그 결과를 각각 표 3 에 나타내었다.
시료명 시료도포후 경과 일수 (일)
5 10 15 20 25 30 35 40
양성대조군 - + ++ +++ ++++ ++++ ++++ ++++
비교예1 - - - - - - + +
실시예2 - - + ++ +++ ++++ ++++ ++++
실시예3 - + + ++ +++ ++++ ++++ ++++
실시예4 - - + ++ +++ ++++ ++++ ++++
실시예5 - - + ++ +++ +++ ++++
실시예6 - - + ++ ++ +++ +++
표 3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또는 레투신(Letusin)을 포함하는 실시예 2 내지 6에서는 발모력의 증가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에서는 발모력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위의 결과로 보아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및 레투신(Letusin)이 우수한 발모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모낭세포의 활성도 평가
세포주는 인간 모유두세포(Human Dermal papilla cell)을 이용하였다. 세포배양은 DMEM 배지에 5% FBS를 넣어 배양액으로 사용했으며 37℃, 5% CO2 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세포생장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MTT 분석법을 수행하였다. MTT 분석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우선 100 디쉬(dish)에 전배양한 인간 모유두세포를 트립신을 이용하여 떼어낸 후, 혈색소계(Hemacytometer)를 이용하여 세포수를 세어 105cell/ml이 되도록 맞췄다. 96 웰 플레이트(well plate)에 세포액 100ul (Well당 104cell)를 넣고, 1일간 배양했다.
1일간 배양 후 각각의 시험시료를 DMEM 배지에 최종 시료 농도의 2배가 되도록 희석한 후, 각 시료액을 1일간 배양한 세포가 있는 96 웰에 100ul씩 첨가하여 시료의 최종 농도가 표4에 기재된 농도가 되도록 하였다.
시료를 처리한 96 웰을 37℃, 5% CO2하에서 1일간 배양한 후, 0.1mg(20㎕ of 5mg/ml)의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용액을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37℃에서 4시간 더 배양한 후, 플레이트를 1000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 후 배지를 모두 제거하였다. 각각의 웰에 DMSO 200㎕씩을 가하여, 생성된 포르마잔 염(formazan salt)이 완전히 녹을 수 있도록 했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Microplate reader)로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세포의 생장 정도를 판단하였다.
각 웰 컬럼의 평균 OD570값을 구하여 대조군의 평균 OD570 값에 대한 백분율 값을 산출한다. 이 백분율은 대조군과 비교한 시험군의 세포 생존율에 해당하는 값이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내역 처리 농도(%) 모유두 세포 증식능(%)
양성대조군 (미녹시딜) 0.001 135
유파틸린 0.001 128
루테올린 0.001 130
자세오시딘 0.001 127
아카세틴 0.001 120
레투신 0.001 115
이상의 결과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및 레투신(Letusin)은 모유두 세포의 생장을 활성시켜서 모발생장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보여진다.
실험예 3: 탈모환자 대상 임상 실험
탈모환자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탈모증이 있는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 시험을 실시하였다.
피실험자로서 만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중 남성형 탈모증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하여, 각각의 시료당 5명씩 탈모 부위에 1일 2~3 회 분무하는 방식으로 실시하였으며, 최소 2개월에서 최대 4개월까지 실시하였다.
효과의 판정은 사진 판정 소견 및 자각 증상 개선 정도를 다음의 평가 척도에 따라 5 단계로 평가하였다(표 5).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단계 육안판정 자각증상
1 악화 되었다 악화 되었다
2 변화가 없다 변화가 없다
3 약간 개선되었다 약간 개선되었다
4 개선되었다. 개선되었다.
5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현저하게 개선되었다
구분 육안판정 자각증상
비교예 1 2.0 2.1
실시예 2 3.8 3.5
실시예 3 4.2 4.1
실시예 4 3.6 3.6
실시예 5 3.1 3.2
실시예 6 3.0 2.8
표 6의 결과에서 볼 수 있듯이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또는 레투신(Letusin)을 포함한 실시예 2 내지 4는 우수한 발모 효과를 나타내었으나, 이를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에서는 이러한 효과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임상시험에서의 사용기간 동안 대상자 전원에게서 어떠한 부작용도 발견되지 않아 인체에도 안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또는 레투신(Letusin)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동물실험 모델에서 우수한 모발 성장기 유도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고, 모낭세포를 이용한 활성 평가 실험에서도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으며, 탈모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시험에서도 매우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으므로, 뛰어난 발모 및 육모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실시예 7 내지 26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라 수득한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레투신(Letusin) 및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하는 각종 형태의 모발 및 두피 적용 조성물의 조성을 나타내면 다음 표 7 내지 10과 같다.
샴푸
제조성분(중량%) 실시예 7 실시예 8 실시예 9 실시예 10 실시예 11
라우릴황산나트륨 10 10 10 10 10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3 3 3 3 3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3 0.3 0.3 0.3 0.3
폴리쿼터늄-10 0.2 0.2 0.2 0.2 0.2
0.7 0.7 0.7 0.7 0.7
메틸파라벤 0.2 0.2 0.2 0.2 0.2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0.1 0.1 0.1 0.1 0.1
유파틸린 0.5 0 0 0.1 0
루테올린 0 3 1 0 0
자세오시딘 0 0 0.2 0 0.1
아카세틴 0 0 0 0.3 0
레투신 0 0 0 0 0.3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린스
제조성분(중량%) 실시예 12 실시예 13 실시예 14 실시예 15 실시예 16
세틸알콜 2 2 2 2 2
스테아릴알콜 2.5 2.5 2.5 2.5 2.5
베헤닐알콜 0.5 0.5 0.5 0.5 0.5
향료 0.4 0.4 0.4 0.4 0.4
실리콘에멀젼 0.4 0.4 0.4 0.4 0.4
사이클로메티콘 1.0 1.0 1.0 1.0 1.0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0.1 0.1 0.1 0.1 0.1
시트릭산 pH 3~7로 조절가능한 양 pH 3~7로 조절가능한 양 pH 3~7로 조절가능한 양 pH 3~7로 조절가능한 양 pH 3~7로 조절가능한 양
유파틸린 0.5 0.2 0 0.2 0
루테올린 0 1 0.5 0 0
자세오시딘 0 0 0.2 0 0
아카세틴 0 0 0 0.5 0
레투신 0 0 0 0 0.5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앰플
제조성분(중량%) 실시예 17 실시예 18 실시예 19 실시예 20 실시예 21
에탄올 30 30 30 30 30
프로필렌글리콜 20 20 20 20 20
1.3-부틸렌글리콜 10 10 10 10 10
세틸트리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3 3 3 3 3
디메틸디스테아릴암모늄클로라이드 0.1 0.1 0.1 0.1 0.1
라우릴알콜 3 3 3 3 3
미리스틸알콜 5 5 5 5 5
세틸알콜 1 1 1 1 1
0.5 0.5 0.5 0.5 0.5
염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유파틸린 0.5 0 0 0 0
루테올린 0 1.5 0 0 0
자세오시딘 0 0 0.3 0 0
아카세틴 0 0 0 0.2 0
레투신 0 0 0 0 0.2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토닉
제조성분(중량%) 실시예 22 실시예 23 실시예 24 실시예 25 실시예 26
에탄올 40 40 40 40 40
프로필렌글리콜 10 10 10 10 10
Polysorbate 20 5 5 5 5 5
0.5 0.5 0.5 0.5 0.5
염료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적당량
유파틸린 0.3 0 0 0 0
루테올린 1 3 0 0 0.5
자세오시딘 0 0 0.5 0 0
아카세틴 0 0 0 0.3 0
레투신 0 0 0.2 0.1 0.5
정제수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잔여량

Claims (5)

  1. 유파틸린(Eupatilin), 루테올린(Luteolin), 자세오시딘(Jaceosidin), 아카세틴(Acacetin), 및 레투신(Letusi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유파틸린, 루테올린, 자세오시딘, 아카세틴, 및 레투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고형분 기준으로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001~5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유파틸린, 루테올린, 자세오시딘, 아카세틴, 및 레투신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고형분 기준으로 전체 조성물 100 중량%에 대하여 0.001~10 중량%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발모 및 육모 조성물을 포함하며, 외용액제, 크림제, 연고제, 페이스트, 에어로솔제, 겔제, 또는 왁스제 형태로서 두피 및 눈썹에 적용시킬 수 있는 국소 도포형 발모제.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발모 및 육모 조성물을 포함하며, 샴푸, 린스, 앰플, 또는 트리트먼트 형태로서 모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00101070A 2010-10-15 2010-10-15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KR101208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070A KR101208736B1 (ko) 2010-10-15 2010-10-15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1070A KR101208736B1 (ko) 2010-10-15 2010-10-15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39384A true KR20120039384A (ko) 2012-04-25
KR101208736B1 KR101208736B1 (ko) 2012-12-06

Family

ID=461397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1070A KR101208736B1 (ko) 2010-10-15 2010-10-15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08736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873440A1 (en) * 2013-11-19 2015-05-20 DSM IP Assets B.V. Use of an edelweiss extract in hair care for stimulating hair growth
WO2017094905A1 (ja) * 2015-12-02 2017-06-08 金印株式会社 育毛・発毛促進剤
CN106999527A (zh) * 2014-10-06 2017-08-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预防掉发或刺激头发生长的包含伞形花序蒿提取物的组合物
US9730872B2 (en) 2012-12-04 2017-08-15 Bio Spectrum, Inc. Method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with veratric acid or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WO2018110875A1 (en) 2016-12-12 2018-06-21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comprising eremochloa ophiuroides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KR20190016428A (ko) * 2017-08-08 2019-02-18 서울대학교병원 포스포디에스터라아제 3 억제제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US10376453B1 (en) 2016-12-29 2019-08-13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novel pantetheine derivative
WO2020142521A1 (en) * 2018-12-31 2020-07-09 L'oreal Hair color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20220018191A (ko) 2020-08-06 2022-02-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팔공창조농업 대추씨 발효물을 포함하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95375B1 (ko) 2015-10-26 2017-01-12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판테테인계 신규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220020637A (ko) 2020-08-12 2022-02-21 이상봉 항암화학요법이나 방사선요법으로 인한 암 환자의 탈모증을 포함한 탈모증 환자에 대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메타아르세나이트의 염을 함유하는 경구 투여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091869A (ko) * 2020-12-24 2022-07-01 경희대학교 산학협력단 소미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1606B1 (ko) * 2005-08-02 2007-03-29 박민식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30872B2 (en) 2012-12-04 2017-08-15 Bio Spectrum, Inc. Method for improving skin conditions with veratric acid or acceptable salt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EP2873440A1 (en) * 2013-11-19 2015-05-20 DSM IP Assets B.V. Use of an edelweiss extract in hair care for stimulating hair growth
CN106999527A (zh) * 2014-10-06 2017-08-01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用于预防掉发或刺激头发生长的包含伞形花序蒿提取物的组合物
CN113509478A (zh) * 2015-12-02 2021-10-19 金印株式会社 育发生发促进剂
JPWO2017094905A1 (ja) * 2015-12-02 2018-04-05 金印株式会社 育毛・発毛促進剤
CN108135879A (zh) * 2015-12-02 2018-06-08 金印株式会社 育发生发促进剂
US11033473B2 (en) 2015-12-02 2021-06-15 Kinjirushi Co., Ltd. Hair restoration/growth stimulating agent
TWI740861B (zh) * 2015-12-02 2021-10-01 日商金印股份有限公司 育髮/生髮促進劑
WO2017094905A1 (ja) * 2015-12-02 2017-06-08 金印株式会社 育毛・発毛促進剤
CN113509478B (zh) * 2015-12-02 2024-01-26 金印株式会社 育发生发促进剂
WO2018110875A1 (en) 2016-12-12 2018-06-21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comprising eremochloa ophiuroides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US11241471B2 (en) 2016-12-12 2022-02-08 Korea Atomic Energy Research Institute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alopecia comprising Eremochloa ophiuroides extract or fractions thereof as an active ingredient
US10376453B1 (en) 2016-12-29 2019-08-13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containing novel pantetheine derivative
KR20190016428A (ko) * 2017-08-08 2019-02-18 서울대학교병원 포스포디에스터라아제 3 억제제를 포함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WO2020142521A1 (en) * 2018-12-31 2020-07-09 L'oreal Hair coloring compositions and methods of use
KR20220018191A (ko) 2020-08-06 2022-02-15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팔공창조농업 대추씨 발효물을 포함하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08736B1 (ko) 201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08736B1 (ko)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KR100839704B1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JP4603192B2 (ja) 毛髪頭皮用組成物
KR20100116386A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KR20130092256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60008055A (ko)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WO2005076757A2 (en) Hair and eyebrow, eyelashes growth stimulater
KR20170133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5430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효과를 갖는 모발 개선용 조성물
KR20130036984A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07304B1 (ko) 탈모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위한 모발 또는 두피 화장료 조성물
US20070207114A1 (en) Hair Growth Agent Composition
KR20020008268A (ko) 오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저해제
KR101348006B1 (ko) 모발 성장 촉진용 외용제 조성물
KR20100115933A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20046564A (ko) 천련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및 두피 관리용 조성물
KR20120005148A (ko) 발모 및 육모 조성물
KR101177500B1 (ko) 육모용 조성물
JP3542700B2 (ja) 頭部用組成物
KR102174309B1 (ko) 참나무겨우살이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6651B1 (ko) 티플락스티닌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US20230023847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regrowth
JP2004161639A (ja) 白髪防止剤
US20230060969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KR20220094495A (ko) 오미자 씨앗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2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