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12263A -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112263A
KR20110112263A KR1020110088858A KR20110088858A KR20110112263A KR 20110112263 A KR20110112263 A KR 20110112263A KR 1020110088858 A KR1020110088858 A KR 1020110088858A KR 20110088858 A KR20110088858 A KR 20110088858A KR 20110112263 A KR20110112263 A KR 201101122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skin
concentr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888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광식
Original Assignee
임광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광식 filed Critical 임광식
Priority to KR10201100888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112263A/ko
Publication of KR201101122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22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61K36/804Rehmann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1Cupressaceae [Cypress family], e.g. juniper or cypr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PFERMENTATION OR ENZYME-USING PROCESSES TO SYNTHESISE A DESIRED CHEMICAL COMPOUND OR COMPOSITION OR TO SEPARATE OPTICAL ISOMERS FROM A RACEMIC MIXTURE
    • C12P1/00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 C12P1/02Preparation of compounds or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2P3/00 - C12P39/00, by using microorganisms or enzymes by using fungi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Dermat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생하는 약용식물이 지닌 유효성분의 피부흡수력을 높여 발모 효율을 증가시킬 목적으로 발효 및 숙성단계를 거쳐 얻어진 발효액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약용식물인 하수오, 연자육, 건지황, 한련초, 당귀, 반하, 감초, 계피, 측백엽, 마른생강이 지닌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해 식물을 건조하는 단계, 상기 건조된 약용식물을 분말형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분말을 물과 혼합 한 후 가열하여 농축액(엑기스)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엑기스)을 곡물로 빚은 술과 혼합하여 7~10일간 발효시키는 단계를 거쳐 추출된 성분을 여과하여 피부나 두피를 통하여 흡수시켜 탈모된 부위의 발모를 촉진하고 육모효과를 제공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 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kin inject treatment for hair growth solution extracts from medical plants}
본 발명은 약용식물이 포함하는 발모효능들을 추출한 후 발효시켜 만든 발모제 조성물 및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약용식물인 하수오, 연자육, 건지황, 한련초, 당귀, 측백엽, 감초, 계피, 마른생강 각각이 지닌 약용 성분을 조합하여 발모 및 육모에 유용한 성분들을 추출한 후 발효단계를 통해 유용한 성분을 추출하여 제조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간은 자연의 일부로 태어나 자연에 순응하며 살아가도록 프로그램 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과학문명이 발달하고 인간의 삶이 편리해지는 동안 지불해야 하는 것들이 생겨나게 되었다. 그중에서 개인의 프라이버시에 관련된 두피탈모 증상이 대표적일 것이다. 현대 과학의 발전과 비례하여 증가되는 환경오염 및 일생동안 겪게 되는 각종 스트레스의 영향으로 인간에게 나타나는 탈모증은 신체내부의 장애로 인하여 발생되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예를 들어 오염된 음식물 섭취로 인한 내분비계 이상에서부터 자율신경계 이상, 혈액순환장애 등 순환계 이상에 의한 과도한 피지생성, 모근의 영양결핍, 알레르기, 세균감염 등의 신체적 요인, 남성 호르몬의 과다분비 등의 유전적 요인, 샴푸, 비누, 무스, 헤어젤,헤어스프레이, 파마, 염색, 헤어드라이어의 사용 등 환경적 요인 및 과도한 스트레스를 자주 받는 현대인의 정신적, 사회적 요인, 노화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발생하는 탈모 현상으로 인하여 사회적인 문제로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탈모 현상의 치료 방법으로는 국소 도포제, 경구 복용제, 모발이식 수술 등의 방법이 시행되고 있으나, 이러한 치료 방법들은 사용 범위가 제한적이고 탈모에 대한 근원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쉽지 않으며, 두피 혹은 피지의 생성을 가속화시켜 증상을 악화 시킬 수 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탈모된 모공 내부의 노폐물 제거 및 혈행 개선으로 모근에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여 탈모가 진행되어 막혀진 모공을 활성화시켜 발모를 촉진시키고 모근을 튼튼하게 육모하게 해주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인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조성물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은 노지에서 약용성분 부위가 포함된 식물을 채취, 선별, 세척 후 건조시키는 단계, 상기 건조된 식물을 분쇄하여 분말로 만드는 단계, 상기 분말을 물과 함께 섞은 후 가열하여 농축액(엑기스)화 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엑기스)을 술과 혼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농축액(엑기스)을 피부나 두피에 투여하기 위한 용기에 담는 단계를 포함되어 이루어진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약용식물인 하수오 20중량%, 연자육 15중량%, 건지황 15중량%, 한련초 15중량%, 당귀10중량%, 측백엽 10중량%, 반하 5중량%, 감초 5중량%, 계피 5중량%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약용식물을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분말을 물과 1g : 20g 비율로 혼합 후 60~80℃에서 약 6~8시간 가열하여 농축액(엑기스)화 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엑기스)을 곡물을 이용하여 빚은 40도 이상의 에틸알코올과 혼합하여 23~28℃에서 7~10시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농축액(엑기스)을 피부나 두피에 투여하기 위한 용기에 담는 단계를 포함되어 이루어진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는 탈모된 부위의 모공을 활성화 시키고 재생능력을 강화하여 발모 및 육모를 가능하게 하고 탈모부위에 대한 혈행개선과 영양공급으로 탈모된 모공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를 가능하게 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1b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또 다른 제조 공정을 나타내는 블록도 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효과를 실험할 목적으로 사용한 대조군 마우스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를 피부로 흡수시키기 전 및 피부흡수 후 3주일이 경과된 마우스의 상태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한 도면을 바탕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약용식물의 특징>
먼저 하수오는 동의보감에서 성질이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쓰고 떫으며, 염증을 삭이고 가래와 담을 없애주며, 갖가지 종기, 치질, 만성피로로 몸이 마르는
것, 부인의 산후병, 대하 등을 치료하고 기(氣)와 혈(血)을 도우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골수를 충실하게 하고 머리카락을 까맣게 하고 오래 먹으면 늙지 않는다고
적혀있다. 간과 신장을 보호하고 피를 맑게 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연자육 연꽃의 성숙한 과실이나 종자를 말하는 것으로서 연실, 연육, 연자 등으로 불리며 맛은 달고 떫은 편이며, 심장과 비위, 신장으로 약효가 있으며 보통은 껍질을 벗기고 말린 후 쪄서 사용한다고 되어있고 효능으론 신경을 안정시키고 편안하게 하여 불안감을 없애주고 비위의 기능을 강화시켜 설사를 멈추게 하는 작용이 있다. 연씨의 속에 있는 심(心)은 제거하고 사용하는 것으로 되어있다.
건지황은 맛이 차고 달며 약효성분으로는 카탈폴 및 만니트를 함유하고 수용성 부분에 만니톨, 스타키오스, 글루코오스가 있다. 생지황의 추출물은 혈액응고를 촉진시키고 쇠약한 심장근육의 수축력을 증대시킨다. 또한, 이뇨작용과 해열효과 및 고혈당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고, 특히 건지황은 부인의 월경을 조절하여 임신 중 출혈 발생 시 사용한다.
한련초는 국화과에 속한 1년생 풀로서 가을에 베어 그늘에 말린 것으로 맛이 달고시며 성질은 차다. 간경, 신경, 위장, 소장경, 대장경에 작용하며 간장과 신장을 보하고 지혈 작용을 한다. 어지럽고 허리가 아플 때, 골증열, 백발방지, 혈열, 위출혈, 폐출혈, 장출혈, 토혈, 자궁출혈등 일체의 출혈증세를 개선한다.
당귀는 단맛은 나지 않고 약간 쓴맛만 나며 효능으로는 피가 부족할 때 피를 생성해 주는 보혈작용과 피를 원활히 순환하게 해주는 활혈작용과 항암효과 및 혈압강하 작용이 있다. 특히 관상동맥의 혈류량을 촉진시키고, 적혈구 생성을 왕성하게 한다.
반하는 끼무릇, 소천남성, 법반하 라고도 하며, 꽃은 노란빛을 띤 흰색이고 열매는 녹색 장과이다. 알뿌리에 독성이 있으나 한방에서는 거담, 진해 등의 효능이 있어 구토, 설사, 임신 중의 구토에 사용한다. 담의 치료의 요약으로 가래가 많고 해수 천식을 일으킬 때 유효하다. 특히 담으로 인한 두통 어지럼증 가슴이 답답하고 그들먹하며 설태가 희고 두꺼우며 맥박이 빠른 증상에 쓴다.
측백엽은 모든 나무들이 태양을 향해 있는데 측백(側柏)만 홀로 서쪽을 향하고 있어서 붙여진 이름으로 맛은 쓰고 밋밋하며 성질은 차다. 측백엽은 혈열을 내려 코피, 토혈, 변혈, 소변출혈, 자궁출혈에 쓰고 해수, 천식, 가래, 탈모, 지루성피부염, 외상출혈 등에 사용한다. 약리작용으로 출혈시간 단축, 진해, 거담작용이 있고 혈압강하, 항균작용, 해수, 천식에 효과가 있다.
감초는 특이한 냄새가 나며 맛은 달고, 모든 약의 독성을 조화시켜서 약효가 잘 나타나게 하며 장부의 한열과 사기를 다스리고 모든 혈맥의 소통을 잘 시키며 근육과 뼈를 튼튼히 한다. 약리작용은 해독작용, 간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있다. 진해, 거담, 근육이완, 이뇨작용, 항염작용이 있으며 소화성궤양을 억제한다.
계피는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나중에는 약간 점액성이고 수렴성이며 맛은 맵고 달며 성질은 뜨겁다. 혈액순환을 촉진시켜 흉복부의 냉증을 제거하며 식욕을 증진시키고 소화를 촉진하며 사지마비 등에 사용한다. 위장의 경련성 통증을 억제하고 위장관의 운동을 촉진해 가스를 배출하고 흡수를 좋게 한다. 장내의 이상발효를 억제하는 방부효과도 있다. 약리작용으로 개선균 억제작용, 백색염주 균병 억제작용, 건위작용, 타액 및 위액 분비촉진 작용이 있다.
마른생강은 특이한 냄새가 있고 약성은 맵고 뜨겁다. 가슴과 배부위가 냉기가 돌며 은은하게 통증이 있고 배가 차고 소화가 안 되며 구토, 설사를 하는 증상에 효과가 있다. 또한 맥이 약하고 팔다리가 차고 저리며 찬바람에 해수가 생기고, 호흡이 가빠질 때, 아랫배가 차고 이질 설사가 생길 때 사용한다. 약리효과는 위액분비촉진, 장관 연동작용 활성화, 소화촉진, 구토를 가라앉히며 심장을 흥분시켜 혈압을 상승하게 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항염, 진통작용, 억균작용이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블럭도 이다. 즉, 약용식물을 채취하여 선별하는 단계와 선별된 약용식물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약용식물을 건조하는 단계, 건조된 약용식물을 분쇄하는 단계, 분쇄된 약용식물의 분말과 물을 섞어 혼합하는 단계, 혼합된 약용식물 성분을 추출하는 농축액(엑기스)화 단계, 상기농축액(엑기스)을 곡물을 이용하여 빚은 40도 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성분을 용기에 담아 피부투여제로 제조하는 과정을 조시하고 있다. 도 1b 또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을 도시하고 있는 블록도 이다. 즉, 약용식물을 채취하여 선별하는 단계와 선별된 약용식물을 세척하는 단계, 세척된 약용식물을 용기에 넣어 찌는 단계, 상기 찌는 과정을 거쳐 농축액(엑기스)화 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엑기스)을 곡물을 이용하여 빚은 40도 이상의 에틸알코올을 이용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성분을 용기에 담아 피부투여제로 제조하는 과정을 도시하고 있다. 이하 각 단계별로 진행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약용식물의 채취 및 선별>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약용식물인 하수오는 뿌리를 사용하는 것으로서 가을에 채취하고, 연자육은 씨앗만을 사용하는 것으로 역시 가을에 채취한다. 건지황은 뿌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을에 채취하고, 한련초는 잎과 줄기를 사용하는 것으로 가을에 채취한다. 당귀는 뿌리를 사용하는 것으로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사용한다. 반하는 측백엽은 잎을 사용하고 봄과 가을에 사용한다. 감초는 줄기를 사용하고, 계피는 나무껍질을 사용하고, 마른생강은 뿌리를 사용하기 위하여 주로 가을에 채취한다.
상기 약용식물들은 약효성분이 가장 좋을 때가 있으며, 토양의 조건, 기후 및 습도 등에 영향을 받게 된다. 또한 상기 약용식물들은 대부분 자연건조 시켜 분말처리된 것을 사용한다. 특별히 하수오, 한련초, 측백옆의 경우는 생장조건이 최고 상태인 가을에 노지에서 채취하여 사용한다. 상기 약용식물들은 생육장소가 넓지 않은 이유로 인하여 잎과 줄기의 상태가 육안으로 보아 깨끗하고 뿌리를 사용하는 식물인 경우에 뿌리의 상태가 좋은 것 위주로 선별하여 채취한다. 한편, 마른생강의 경우는 시중에서 판매하는 것이 아닌 약재로 사용할 목적으로 재배된 것을 구입하여 사용하여야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약용식물의 세척>
채취된 약용식물을 세척하는 단계에서 약용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부위를 최대한 사용할 수 있도록 이물질 제거 작업을 진행하여야 한다. 따라서 상기약용식물 세척 단계를 3단계로 나누어 세심하게 진행을 한다. 1단계는 상기 약용식물을 용기에 담아서 상기 약용식물이 물이 잠길 수 있도록 10~15분간 넣어둔다. 물에 잠긴 약용식물에 묻어있는 먼지나 흙모래 등을 씻어낸다. 1단계에서 씻어낸 상기약용식물을 빈 용기에 다시 담아서 깨끗한 물로 한 번 더 헹구어 주는 2단계 세척을 진행한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흐르는 물을 이용하여 마무리 세척을 진행한다. 이때 흙이나 모래가 가장 많이 묻어있는 잔뿌리 부분이 끊어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
<약용식물의 건조 및 분쇄>
세척이 완료된 상기 약용식물이 지닌 유용한 성분을 최대한 활용하기 위한 방법으로 자연 건조 방법을 진행을 한다. 건조하는 방법에 따라 열풍건조 방식이나 동결건조 방식이 있으나 상기 약용식물 내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추출효율을 높이고 상기 약용식물의 성분을 오랜 기간 동안 저장을 할 수 있는 이점이 있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다소 번거롭기는 하지만 자연적으로 건조하는 방식으로 진행을 하였다. 추후 대량생산이 필요한 경우에는 열풍건조를 활용하여 진행할 수 도 있다. 건조가 완료된 상기 약용식물은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형태로 만드는데 분말 입자의 크기를 마이크론 단위로 작게 하기 위하여 1차 및 2차에 걸쳐 분쇄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분쇄입자를 미세하게 하는 가장 큰 이유는 상기 약용식물의 농축액(엑기스)화 및 발효단계에서 약용성분의 추출효율을 높이는 것은 물론 피부 또는 두피를 통하여 흡수되는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한 목적이다.
<약용식물의 농축액(엑기스)화>
분쇄된 상기약용식물 분말에서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에 필요한 농축액(엑기스) 성분의 추출을 위하여 상기 분말은 물과 혼합한 후 가열하는 단계를 진행한다. 혼합 비율은 분말 1g에 물 20g을 섞는 비율로 덩어리가 생기지 않고 잘 풀어지도록 섞어준다. 분말과 혼합시 사용하는 물은 전기분해를 거쳐 이온화된 알칼리수를 이용하여 사용하면 알칼리 수에 녹아있는 미네랄 성분의 작용으로 인하여 상기 분말의 농축액(엑기스) 추출 효과가 상승된다. 물과 혼합된 상기약용 식물은 60~80 온도에서 약 6~8시간 정도 가열하여 농축액(엑기스)을 추출한다. 한편, 상기 약용식물 농축액(엑기스)의 또 하나의 방법으로는 상기 약용식물을 용기에 넣고 100 이상의 고온으로 삶거나 찌는 과정을 통해 농축액(엑기스)을 얻어내는 방법이 있다. 이 때 상용하는 물도 이온화된 알칼리수를 이용하면 농축액(엑기스) 추출효과를 상승시킬 수 있다.
<농축액(엑기스)성분의 발효 및 여과>
추출된 농축액(엑기스) 성분은 그 자체로 1차 발효를 진행한 후 발효과정애서 발생된 찌꺼기 성분을 감압여과 또는 시린지 여과 방식을 사용하여 여과한 후 곡물로 빚은 40도 이상의 술과 6:4의 비율로 섞은 후 23~28에서 7~10일간 2차 발효시키는 단계를 진행한다. 40도 이상의 곡주를 섞어서 7~10일간 발효를 진행하면 진한 갈색 빛과 진한 향이 나오게 된다. 2차 발효단계를 거치면서 발생된 찌꺼기는 1차 발효 후 진행한 여과방식과 동일한 감압여과 또는 시린지 여과를 거쳐 맑은 액으로 만들어 주어 피부 또는 두피를 통해 흡수가 용이하도록 해 준다.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농축액(엑기스) 성분에 곡물로 빚은 40도 이상의 술을 6:4의 비율로 섞어 23~28에서 7~10일간 발효한 후 감압 또는 시린지 여과방식을 통해 맑은 용액을 얻어내는 것처럼 발효를 위한 제조단계를 간단하게 진행 할 수 도 있다. 상기 농축액(엑기스) 성분의 발효를 위해 곡물로 빚은 40도 이상의 술을 사용하는 것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가 탈모된 부위에 투여시 모공을 열어주어 모근이 재생될 수 있는 여건을 보다 더 활성화 시켜주기 위한 목적에서 이다.
<동물실험>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효능을 검증하기 위하여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University of Tokyo에서 공급하는 BALB/cSlc-nu 마우스를 중앙동물실험(주)을 통하여 3두를 구입하여 테스트 하였다. 3두의 마우스는 각각 대조군 1두,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 피부투여군 2두로 구분하여 테스트 하였다. 상기 마우스 테스트를 위하여 사용한 사료는 익스트루젼 타입으로서 조단백질 20%, 조지방 4.5%, 조섬유 6%, 초회분 7%, 칼슘 0.5%, 인 1.0%, 곡물류, 박류, 곡물부산물, 우지, 석회석, 인산칼슘, 식염, 어분류, 비타민, 프리믹스, 미네랄프리믹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대조군에 해당하는 실험용 마우스에게는 순수한 사료와 물만 배급하였다. 상기 피부 투여군에게는 상기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 농축액(엑기스)을 실험용 마우스의 피부와 눈썹등 발모가 가능한 부위를 중심으로 1일 3회 일정 간격으로 스프레이를 이용하여 분사시켜주었으며, 상기 피부투여군 마우스에 배급하는 사료에는 상기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를 첨가하지 않았다.
<실험결과>
도 2의 대조군 마우스는 사료와 물에 상기 발모제 농축액(엑기스) 성분을 포함하지 않고 3주 동안 배급한 결과 처음과 동일하게 발모가 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 농축액(엑기스)을 1일 3회 간격으로 공급한 결과 3주의 시간이 지난 시점에서 육안으로도 확연하게 차이가 나타날 정도로 발모 효과가 나타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약용식물인 하수오 20중량%, 연자육 15중량%, 건지황 15중량%, 한련초 15중량%,
    당귀10중량%, 측백엽 10중량%, 반하 5중량%, 감초 5중량%, 계피 5중량%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준비된 약용식물을 분쇄하여 분말형태로 만드는 단계
    상기 분말을 물과 1g : 20g 비율로 혼합 후 60~80℃에서 약 6~8시간 가열하여
    농축액(엑기스)화 하는 단계
    상기 농축액(엑기스)을 곡물을 이용하여 빚은 40도 이상의 도수를 지닌 에틸
    알코올과 혼합하여 23~28℃에서 7~10시간 발효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발효된 농축액(엑기스)을 피부나 두피에 투여하기 위한 용기에 담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약용식물의 농축액(엑기스)화 단계는 상기 식물을 용기에
    넣고 가열하여 삶거나 찌는 방식으로 추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제
    조성물 피부투여제의 제조방법
KR1020110088858A 2011-09-02 2011-09-02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KR201101122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58A KR20110112263A (ko) 2011-09-02 2011-09-02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88858A KR20110112263A (ko) 2011-09-02 2011-09-02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2263A true KR20110112263A (ko) 2011-10-12

Family

ID=450281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88858A KR20110112263A (ko) 2011-09-02 2011-09-02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112263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986A (ko) 2013-12-26 2015-07-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150076562A (ko) 2013-12-27 2015-07-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150076561A (ko) 2013-12-27 2015-07-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신규의 피리디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대전 방지제 및 점착제 조성물
KR101705853B1 (ko) * 2016-09-01 2017-02-22 주식회사 팽 약재식물로 제조된 발모제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70041058A (ko) 2015-10-06 2017-04-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20170042054A (ko) 2015-10-08 2017-04-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20180098036A (ko) 2017-02-24 2018-09-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 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08498677A (zh) * 2018-04-28 2018-09-07 贵州长青特种牧业有限责任公司 一种治疗豪猪口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119241A (ko)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앤아이씨연구소 슬립층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75986A (ko) 2013-12-26 2015-07-06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150076562A (ko) 2013-12-27 2015-07-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이온성 대전 방지제를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
KR20150076561A (ko) 2013-12-27 2015-07-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신규의 피리디늄계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를 함유하는 대전 방지제 및 점착제 조성물
KR20170041058A (ko) 2015-10-06 2017-04-14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20170042054A (ko) 2015-10-08 2017-04-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코팅 형성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광학 필름
KR101705853B1 (ko) * 2016-09-01 2017-02-22 주식회사 팽 약재식물로 제조된 발모제 제조방법 및 그 조성물
KR20180098036A (ko) 2017-02-24 2018-09-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하드 코팅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CN108498677A (zh) * 2018-04-28 2018-09-07 贵州长青特种牧业有限责任公司 一种治疗豪猪口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10119241A (ko) 2020-03-24 2021-10-05 주식회사 앤아이씨연구소 슬립층을 포함하는 대전방지 하드코팅 필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112263A (ko)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피부 투여제 제조방법
CN107157909A (zh) 一种防脱发洗发水
CN104186357B (zh) 豪猪的养殖方法
CN104856009A (zh) 一种杜仲雄花保健品
KR101424858B1 (ko) 간기능 및 혈액순환에 효과가 있는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26101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567501A (zh) 一种威灵仙风味荸荠果酒的酿制方法
KR100528147B1 (ko) 어성초와 삼백초를 주성분으로 한 추출물과 이를 응용한 환 및 발효주 제조방법
CN105558422A (zh) 防治香鱼细菌性肠炎病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6107100A (zh) 羊体增膘用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CN107635573A (zh) 特应性皮炎中药制剂、制备方法及其用途
CN105012769A (zh) 治疗糖尿病的中药组合物及中药组合物的制备方法
KR102577074B1 (ko)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의 제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원형 그대로의 반려동물용 수산물 수제 간식
CN104013844A (zh) 一种促进生发中药制剂的配方及制备方法
CN105028315B (zh) 一种龟鳖用孵化材料及其制备方法
KR20110112270A (ko) 약용식물에서 추출한 성분을 이용한 발모제 경구 투여제 제조방법
CN107157847A (zh) 改善头发健康一种中药配方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969983B1 (ko) 토판염을 함유한 탈모개선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301357A (zh) 一种促进乌发中药制剂的配方及制备方法
CN106212783A (zh) 有机茶叶葛藤叶薯叶配方红茶
CN105853338A (zh) 一种含有旱金莲的用于化妆品的去屑中药组合物
CN105211652A (zh) 提高野猪母猪产乳量的饲料添加剂及制备方法
CN105341534A (zh) 防治鹦鹉鱼白点病的饲料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799368B1 (ko) 트리트먼트 기능을 갖는 세정제 조성물
CN111346173A (zh) 中药组合物、中药精油、中药护肤品和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