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9269B1 -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 - Google Patents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9269B1
KR102659269B1 KR1020240011948A KR20240011948A KR102659269B1 KR 102659269 B1 KR102659269 B1 KR 102659269B1 KR 1020240011948 A KR1020240011948 A KR 1020240011948A KR 20240011948 A KR20240011948 A KR 20240011948A KR 102659269 B1 KR102659269 B1 KR 1026592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powd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119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
이성규
강성희
Original Assignee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동안(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동안(주) filed Critical 단국대학교 천안캠퍼스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400119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92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92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92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6Caryophyllaceae (Pink family), e.g. babysbreath or soapwor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8Antioxidants, e.g. antiradic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9/00General protective or antinoxious agents
    • A61P39/06Free radical scavengers or antioxid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05Corresponding aspects not provided for by any of codes A61K2800/81 - A61K2800/95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Dermat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rd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Toxi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행초 추출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Tetragonia tetragonioides extract showing whitening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본 발명은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표피에 존재하는 색소세포인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하는 피부멜라닌, 헤모글로빈이나 카로티노이드 등의 색소의 유.무 및 피부의 두께와 반사도 등에 영향을 받는다. 이 중 피부색을 결정하는데 가장 중요한 요소인 멜라닌 색소는 인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아미노산의 일종인 티로신(Tyrosin)이 멜라닌 세포내에 존재하는 효소인 티로시네이즈(Tyrosinase)에 의해 도파(DOPA)되고, 계속되는 일련의 복잡한 산화과정을 통해 최종적으로 흑갈색의 중합체인 멜라닌을 생성하게 된다.
멜라닌 합성은 자외선 노출, 멜라노마(melanoma), 색소과다침착증( hyperpigmentation disease)등의 요인에 의하여 합성이 촉진된다. 최근에는 멜라닌 합성에 관여하는 티로시나제(tyrosinase), TRP-1, TRP-2의 발현 및 합성이 멜라닌 합성에 직접관여하는 사실이 보고되면서 분자생물학적 접근이 시도되고 있다.
한편, 염증 반응은 조직(세포)의 손상이나 외부감염원(박테리아, 곰팡이, 바이러스, 다양한 종류의 알레르기 유발물질)에 감염되었을 때 국소 혈관과 체액 중 각종 염증 매개인자 및 면역세포가 관련되어 효소 활성화, 염증매개물질 분비, 체액 침윤, 세포 이동, 조직 파괴 등 일련의 복합적인 생리적 반응과 홍반, 부종, 발열, 통증 등 외적 증상을 나타낸다. 정상인 경우 염증반응은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 손상된 조직을 재생하여 생명체 기능회복작용을 하지만, 항원이 제거되지 않거나 내부물질이 원인이 되어 염증반응이 과도하거나 지속적으로 일어나면 오히려 점막손상을 촉진하고, 그 결과 일부에서는 암 발생 등의 질환을 이끈다. 최근에는, 상기와 같은 염증성 질환 등 다양한 질병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 물질 및 기능성 식품, 기능성 화장료 등 각 분야에서 인공물질이 아닌 천연물질을 이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한편,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는 갯상추 또는 뉴질랜드 시금치로 불려지는 석류풀과(Aizoaceae)에 속하는 다년생풀로 높이는 40-60 cm이고 다육질 돌기가 있으며 밑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져 줄기는 비스듬히 서거나 옆으로 뻗어 땅에 엎드렸다가 점차 일어서며 50 cm 정도의 높이로 자라나 약간의 가지를 치면서 한 뿌리에서 둥그렇게 땅에 붙어서 사방으로 퍼져 나간다. 뉴질랜드나 중국, 일본, 남아시아, 오스트레일리아, 남아메리카 등지에도 분포하고 있는 번행초는 생명력이 강하여 자갈밭이나 바위틈 등 몹시 척박하고 수분이 없는 곳에서도 잘 자란다. 번행초는 생체로서 샐러드로 애용되며 데쳐서 나물로도 섭취되는 식용작물이다. 번행초는 중약에서 번행이라 하여 전초는 청열, 해독, 거풍, 소종의 효능으로 장염, 패혈증, 옹종창독, 풍열목적의 치료에 사용되어 왔다. 현재까지 이 식물에서 분리된 성분군으로는 β-carctene, diterpene, flavone, cerebrosides, oxilic acid, sterylglucoside와 polysaccharide 등이 보고 된 바 있으며, 항염증, 항궤양의 활성이 보고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까지 번행초의 피부생리활성에 대한 연구는 이뤄지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번행초의 피부생리활성에 대한 연구가 보다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행초 추출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번행초 건조물의 70%(v/v) 에탄올 추출물 200-500 ㎍/m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번행초 추출물은,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 원물을 4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번행초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번행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번행초 분말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20-3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침출한 침출물을 여과하되, 상기 침출 및 여과를 2-3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번행초 추출물 1-5 중량부, 귤 추출물, 키위 추출물, 배 추출물 및 오렌지 추출물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과일 추출물 0.5-1.5 중량부, 인동덩굴꽃 추출물, 양하꽃 추출물 및 작약꽃 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꽃 추출물 0.5-1.5 중량부, 자몽 유래 엑소좀 0.5-1.5 중량부, 옥수수 발효추출물 및 병풀 발효추출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발효추출물 0.5-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알지닌 0.5-1.5 중량부, 페닐알라닌 0.5-1.5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5-1.5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5-1.5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5-1.5 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0.5-1.5 중량부, 스쿠알란 3-7 중량부, 덱스트린 1-3 중량부, 리날룰 1-3 중량부, 리모넨 1-3 중량부, 잔탄검 1-3 중량부, 아데노신 0.5-1.5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0.05-0.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5-0.2 중량부, 발린 0.05-0.2 중량부, 이소퀘르시트린 0.05-0.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0.05-0.2 중량부, 글루타믹애씨드 0.3-0.7 중량부, 및 당근수 68-72 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 원물을 4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번행초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번행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번행초 분말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20-3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침출한 침출물을 여과하되, 상기 침출 및 여과를 2-3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번행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귤, 키위, 배 및 오렌지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귤분말, 키위분말, 배분말 및 오렌지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귤분말, 키위분말, 배분말 및 오렌지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과일분말을 에탄올 및 헥산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인동덩굴꽃, 양하꽃 및 작약꽃을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인동덩굴꽃분말, 양하꽃분말 및 작약꽃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인동덩굴꽃분말, 양하꽃분말 및 작약꽃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78-82℃의 온도에서 6-10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18-122℃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BMIm][TFSI](1-Butyl-3-methylimidazolium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를 1-2 g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98-102℃의 온도에서 6-10시간 동안 3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3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2차 혼합추출물 및 3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자몽을 세척하여 18-22℃의 온도에서 140-160 MPa의 압력으로 3-7분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자몽을 착즙하여 자몽착즙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자몽착즙액을 원심분리하여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건조물에 폴리에틸렌글리콜/덱스트란을 사용하여 수성 2상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성 2상계 내 엑소좀이 농축된 하층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몽 유래 엑소좀을 제조하는 단계;
옥수수 알갱이 및 병풀을 끓인 물로 세척하고, 분쇄하여 옥수수분말 및 병풀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옥수수분말 23-27 중량부, 병풀분말 23-27 중량부 및 물 58-6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에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Saccharomyces cerevisiae)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8-42℃의 온도에서 34-3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혼합물 및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4-6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번행초 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과일 추출물 0.5-1.5 중량부, 상기 꽃 추출물 0.5-1.5 중량부, 상기 자몽 유래 엑소좀 0.5-1.5 중량부, 상기 발효추출물 0.5-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알지닌 0.5-1.5 중량부, 페닐알라닌 0.5-1.5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5-1.5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5-1.5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5-1.5 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0.5-1.5 중량부, 스쿠알란 3-7 중량부, 덱스트린 1-3 중량부, 리날룰 1-3 중량부, 리모넨 1-3 중량부, 잔탄검 1-3 중량부, 아데노신 0.5-1.5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0.05-0.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5-0.2 중량부, 발린 0.05-0.2 중량부, 이소퀘르시트린 0.05-0.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0.05-0.2 중량부, 글루타믹애씨드 0.3-0.7 중량부, 및 당근수 68-7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해 미백활성, 항산화활성, 항염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사진으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추출물이 세포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추출물이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그래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추출물의 α-MSH 자극 B16F10 세포에서 멜라닌 함량에 대한 헥사펩타이드의 효과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번행초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번행초 추출물을 이용하여 다양한 생리활성에 대해 연구하고 실험한 결과, 본 발명의 번행초 추출물에서 미백활성이 뛰어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으며, 항산화활성 및 항염활성이 있음을 알게되었다.
또한, 본 발명은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번행초 건조물의 70%(v/v) 에탄올 추출물 200-500 ㎍/m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250-450 ㎍/m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번행초 추출물은,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 원물을 4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번행초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번행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번행초 분말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20-3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침출한 침출물을 여과하되, 상기 침출 및 여과를 2-3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번행초 추출물을 원물 그대로 침출하는 것이 아닌, 건조물 형태로 제조한 후 침출함으로써 미백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우수한 항산화활성 및 항염활성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은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번행초 추출물 1-5 중량부, 귤 추출물, 키위 추출물, 배 추출물 및 오렌지 추출물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과일 추출물 0.5-1.5 중량부, 인동덩굴꽃 추출물, 양하꽃 추출물 및 작약꽃 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꽃 추출물 0.5-1.5 중량부, 자몽 유래 엑소좀 0.5-1.5 중량부, 옥수수 발효추출물 및 병풀 발효추출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발효추출물 0.5-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알지닌 0.5-1.5 중량부, 페닐알라닌 0.5-1.5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5-1.5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5-1.5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5-1.5 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0.5-1.5 중량부, 스쿠알란 3-7 중량부, 덱스트린 1-3 중량부, 리날룰 1-3 중량부, 리모넨 1-3 중량부, 잔탄검 1-3 중량부, 아데노신 0.5-1.5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0.05-0.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5-0.2 중량부, 발린 0.05-0.2 중량부, 이소퀘르시트린 0.05-0.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0.05-0.2 중량부, 글루타믹애씨드 0.3-0.7 중량부, 및 당근수 68-72 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귤은 베타카로틴보다 5배나 높은 바이러스 저지효과가 있는 노란색 베타크립토산틴이 함유되어 있어 항암효과가 우수하며, 비타민C의 작용으로 피부노화 방지 및 미백효과가 뛰어나다. 또한, 칼슘성분이 풍부하여 몸속의 나트륨을 배출하여 다이어트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키위(Actinidia chinensis)는 쌍떡잎식물 측막태좌목 다래나무과의 낙엽 덩굴식물의 열매로 키위라는 새처럼 생겼다고 해서 영어로 (Kiwi)키위 라고 한다. 특히 비타민 C가 풍부하여 열매 1개로 하루에 성인 1명이 필요로 하는 비타민 섭취량이 충분하며, 엽산, 칼리, 비타민 A, 칼슘, 비타민 B6, 동, 비타민 E, 섬유질, 칼륨 등이 풍부하다.
배(Pyrus pyrifolia)는 수분함량이 85 중량% 내지 88 중량%이고, 열량은 51칼로리이며 주성분은 탄수화물이다. 당분은 10 중량% 내지 15 중량%가 함유되어 있으며,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등의 미량원소 함량은 75 중량%를 차지하고 있는 강알칼리성 식품이다. 따라서, 배는 혈액을 중성으로 유지시켜 건강을 유지하는데 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렌지(Citrus sinensis)는 귤속에 속하는 식물로 비타민 C, 비타민 B1, B2, 플라보노이드, 베타카토닌, 시트릭 애씨드, 팩틴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레몬에는 없는 카로틴도 포함하고 있는 등 유용한 성분을 많이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귤, 키위, 배 및 오렌지를 이용하여 추출한 과일 추출물을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과일 추출물을 적용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인동덩굴(Lonicera Caprifolium, Honeysuckle)은 금은화 또는 허니서클이라고도 하며 동아시아에 주로 분포한다. 해열, 해독, 항균, 항염증 작용이 있어 염증, 전염성 질환의 치료제로 쓰여 왔다.
양하(Zingiber mioga)는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용식물로 주로 동아시아에서 재배되며 우리나라에서는 남해안 및 제주도 일대에서 주로 생산된다. 양하의 꽃봉오리는 mioganal이라는 특유의 매운맛 성분을 가지고 있으며 무침이나 절임으로 주로 섭취되고 있다. 이전 연구에서는 양하 추출물이 탄수화물 가수분해 효소활성(carbohydrate hydrolyzing enzymes)을 억제하여 혈중 포도당 농도를 감소시킨다는 기능성에 대해 보고된 바 있으며, 스코폴라민(scopolamine)으로 치매를 유도한 마우스 모델에서 기억력 개선에 도움이 된다는 연구 보고도 있었다. 그 외에도 양하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알레르기성 천식 개선 효과 등에 대한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었다.
작약(Paeonia lactiflora, Paeonia albiflora)은 쌍떡잎식물 작약과 작약속의 여러해살이풀로서, 주로 중국을 중심으로 하여 재배되고 있다. 작약의 꽃은 크기가 크고, 색깔이 좋아, 주로 원예용으로만 사용되었으나, 최근 들어 작약의 꽃을 피부 미용 용도로 활용하고자 하는 다양한 시도들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인동덩굴꽃, 양하꽃 및 작약꽃을 이용하여 추출한 꽃 추출물을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꽃 추출물을 적용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자몽(Citrus Paradisi, Grapefruit)은 감귤속에 속하는 그레이프프루트 나무의 열매이다. 자몽은 나무가 비교적 크고, 눈에 띄는 날개형 잎자루가 있는 잎이 있으며 향기 나는 하얀 꽃이 피며 커다란 둥근 열매가 포도처럼 작은 다발로 열린다. 과육은 옅은 노란색으로 즙액이 풍부하고 맛은 시면서도 단맛이 강하며 쓴맛이 조금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몽 유래 엑소좀을 이용하여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자몽 유래 엑소좀을 적용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옥수수는 단백질, 지질, 당질, 섬유소, 무기질, 비타민등의 성분을 가지고 있어 피부의 건조와 노화예방, 피부 습진 등의 저항력을 높이는데 효과가 있으며, 잇몸질환 치료제의 주성분으로 치아 개선의 약리 작용으로도 매우 높다고 알려져 있다. 옥수수의 섬유질은 장을 자극하여 장 운동을 활발하게 하며, 비타민 B1이 많이 함유되어 있어 식욕부진, 나른함, 무기력에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병풀(Centella asiatica)은 다년생 포복성 초본으로서 미나리과(Umbelliferae)에 속해있으며, 주로 고온 다습한 곳에서 자생하는 식물로 아프리카, 인도, 스리랑카 등의 습지에서 서식한다. 국내에서는 제주도 및 남부 지방의 섬에서 주로 서식하며, 병풀 안의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성분은 오래전부터 피부 궤양 및 상처 등의 치료 시에 사용이 되어왔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옥수수 및 병풀을 이용하여 발효시킨 후 추출한 발효추출물을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로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발효추출물을 적용하여 우수한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당근은 90%의 물을 함유한 수분 함량이 높은 채소로, 비타민 A, K와 미네랄을 함유하여 거칠어진 피부를 빠르게 회복시켜주는 영양성분이 풍부하다. 또한, 당근의 수분은 피부의 보습에 좋은 영향을 준다. 상기 당근수는 수용성 원료로 당근이 가진 풍부한 수분과 미네랄을 녹여낸 원료로서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되는 정제수를 대신하여 사용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 원물을 4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번행초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번행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번행초 분말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20-3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침출한 침출물을 여과하되, 상기 침출 및 여과를 2-3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번행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귤, 키위, 배 및 오렌지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귤분말, 키위분말, 배분말 및 오렌지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귤분말, 키위분말, 배분말 및 오렌지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과일분말을 에탄올 및 헥산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인동덩굴꽃, 양하꽃 및 작약꽃을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인동덩굴꽃분말, 양하꽃분말 및 작약꽃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인동덩굴꽃분말, 양하꽃분말 및 작약꽃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78-82℃의 온도에서 6-10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18-122℃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BMIm][TFSI](1-Butyl-3-methylimidazolium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를 1-2 g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98-102℃의 온도에서 6-10시간 동안 3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3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2차 혼합추출물 및 3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자몽을 세척하여 18-22℃의 온도에서 140-160 MPa의 압력으로 3-7분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자몽을 착즙하여 자몽착즙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자몽착즙액을 원심분리하여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건조물에 폴리에틸렌글리콜/덱스트란을 사용하여 수성 2상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성 2상계 내 엑소좀이 농축된 하층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몽 유래 엑소좀을 제조하는 단계;
옥수수 알갱이 및 병풀을 끓인 물로 세척하고, 분쇄하여 옥수수분말 및 병풀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옥수수분말 23-27 중량부, 병풀분말 23-27 중량부 및 물 58-6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에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Saccharomyces cerevisiae)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8-42℃의 온도에서 34-3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혼합물 및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4-6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번행초 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과일 추출물 0.5-1.5 중량부, 상기 꽃 추출물 0.5-1.5 중량부, 상기 자몽 유래 엑소좀 0.5-1.5 중량부, 상기 발효추출물 0.5-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알지닌 0.5-1.5 중량부, 페닐알라닌 0.5-1.5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5-1.5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5-1.5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5-1.5 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0.5-1.5 중량부, 스쿠알란 3-7 중량부, 덱스트린 1-3 중량부, 리날룰 1-3 중량부, 리모넨 1-3 중량부, 잔탄검 1-3 중량부, 아데노신 0.5-1.5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0.05-0.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5-0.2 중량부, 발린 0.05-0.2 중량부, 이소퀘르시트린 0.05-0.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0.05-0.2 중량부, 글루타믹애씨드 0.3-0.7 중량부, 및 당근수 68-7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번행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번행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 원물을 4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번행초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번행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번행초 분말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20-3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침출한 침출물을 여과하되, 상기 침출 및 여과를 2-3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공정을 통해 제조되는 번행초 추출물은 미백활성, 항산화활성 및 항염활성을 나타낸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과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귤, 키위, 배 및 오렌지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귤분말, 키위분말, 배분말 및 오렌지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귤분말, 키위분말, 배분말 및 오렌지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과일분말을 에탄올 및 헥산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과일 추출물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어 유효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인동덩굴꽃, 양하꽃 및 작약꽃을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인동덩굴꽃분말, 양하꽃분말 및 작약꽃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인동덩굴꽃분말, 양하꽃분말 및 작약꽃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78-82℃의 온도에서 6-10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18-122℃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BMIm][TFSI](1-Butyl-3-methylimidazolium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를 1-2 g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98-102℃의 온도에서 6-10시간 동안 3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3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2차 혼합추출물 및 3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꽃 추출물을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제조되어 유효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자몽 유래 엑소좀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자몽 유래 엑소좀을 제조하는 단계는, 자몽을 세척하여 18-22℃의 온도에서 140-160 MPa의 압력으로 3-7분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자몽을 착즙하여 자몽착즙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자몽착즙액을 원심분리하여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건조물에 폴리에틸렌글리콜/덱스트란을 사용하여 수성 2상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성 2상계 내 엑소좀이 농축된 하층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는, 옥수수 알갱이 및 병풀을 끓인 물로 세척하고, 분쇄하여 옥수수분말 및 병풀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옥수수분말 23-27 중량부, 병풀분말 23-27 중량부 및 물 58-6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에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Saccharomyces cerevisiae)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8-42℃의 온도에서 34-3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혼합물 및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4-6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상기 번행초 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과일 추출물 0.5-1.5 중량부, 상기 꽃 추출물 0.5-1.5 중량부, 상기 자몽 유래 엑소좀 0.5-1.5 중량부, 상기 발효추출물 0.5-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알지닌 0.5-1.5 중량부, 페닐알라닌 0.5-1.5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5-1.5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5-1.5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5-1.5 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0.5-1.5 중량부, 스쿠알란 3-7 중량부, 덱스트린 1-3 중량부, 리날룰 1-3 중량부, 리모넨 1-3 중량부, 잔탄검 1-3 중량부, 아데노신 0.5-1.5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0.05-0.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5-0.2 중량부, 발린 0.05-0.2 중량부, 이소퀘르시트린 0.05-0.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0.05-0.2 중량부, 글루타믹애씨드 0.3-0.7 중량부, 및 당근수 68-7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피부 미백 활성, 항산화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멜라닌 색소 과다 침착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과일 추출물 제조
귤, 키위, 배 및 오렌지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귤분말, 키위분말, 배분말 및 오렌지분말을 준비하고,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과일분말을 에탄올 및 헥산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영하 50℃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과일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꽃 추출물 제조
인동덩굴꽃, 양하꽃 및 작약꽃을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인동덩굴꽃분말, 양하꽃분말 및 작약꽃분말을 제조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8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20℃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BMIm][TFSI](1-Butyl-3-methylimidazolium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를 1 g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100℃의 온도에서 8시간 동안 3차 열수추출을 수행하고,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3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1차 혼합추출물, 2차 혼합추출물 및 3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여 꽃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자몽 유래 엑소좀 제조
자몽을 세척하여 20℃의 온도에서 150 MPa의 압력으로 5분 동안 전처리하고, 전처리된 자몽을 착즙하여 자몽착즙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자몽착즙액을 원심분리하여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수득하고, 상기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동결건조물에 폴리에틸렌글리콜/덱스트란을 사용하여 수성 2상계를 형성하고, 상기 수성 2상계 내 엑소좀이 농축된 하층액을 수득하여 자몽 유래 엑소좀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발효추출물 제조
옥수수 알갱이 및 병풀을 끓인 물로 세척하고, 분쇄하여 옥수수분말 및 병풀분말을 준비하고, 옥수수분말 25 중량부, 병풀분말 25 중량부 및 물 60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에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Saccharomyces cerevisiae)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40℃의 온도에서 36시간 동안 발효시켰다. 발효된 혼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부틸렌글리콜을 60 중량부 첨가하고, 30℃의 온도에서 5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번행초 원물 추출물(번행초 추출물 Ⅰ) 제조
제주에서 자생하는 염생식물인 번행초는 동안(주)에서 제공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번행초 원물을 가위로 세절하여 준비하고, 준비한 번행초 원물을 일정량 칭량한 후 70%(v/v) 에탄올을 10배수 첨가하고, 2.5일 동안 25℃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침출한 침출물을 여과하고, 이러한 침출 및 여과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번행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도 1에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2> 번행초 건조물 추출물(번행초 추출물 Ⅱ) 제조
제주에서 자생하는 염생식물인 번행초는 동안(주)에서 제공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번행초 원물을 5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번행초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번행초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번행초 분말을 일정량 칭량한 후 70%(v/v) 에탄올을 10배수 첨가하고, 2.5일 동안 25℃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침출한 침출물을 여과하고, 이러한 침출 및 여과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번행초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도 1에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비교예 1> 나문재 추출물 제조
제주에서 자생하는 염생식물인 나문재는 동안(주)에서 제공받아 실험에 사용하였다.
나문재 원물을 50℃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건조하고, 건조한 나문재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나문재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나문재 분말을 일정량 칭량한 후 70%(v/v) 에탄올을 10배수 첨가하고, 2.5일 동안 25℃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침출한 침출물을 여과하고, 이러한 침출 및 여과 과정을 3회 반복하고,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나문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도 1에 추출물의 제조공정을 사진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3>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1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 3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 중량부, 알지닌 1 중량부, 페닐알라닌 1 중량부, 1,2-헥산다이올 1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1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1 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1 중량부, 스쿠알란 5 중량부, 덱스트린 2 중량부, 리날룰 2 중량부, 리모넨 2 중량부, 잔탄검 2 중량부, 아데노신 1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0.1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중량부, 발린 0.1 중량부, 이소퀘르시트린 0.1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0.1 중량부, 글루타믹애씨드 0.5 중량부 및 당근수 74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 3 중량부,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과일 추출물 1 중량부,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꽃 추출물 1 중량부, 상기 제조예 3에서 제조한 자몽 유래 엑소좀 1 중량부,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발효추출물 1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2 중량부, 알지닌 1 중량부, 페닐알라닌 1 중량부, 1,2-헥산다이올 1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1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1 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1 중량부, 스쿠알란 5 중량부, 덱스트린 2 중량부, 리날룰 2 중량부, 리모넨 2 중량부, 잔탄검 2 중량부, 아데노신 1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0.1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1 중량부, 발린 0.1 중량부, 이소퀘르시트린 0.1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0.1 중량부, 글루타믹애씨드 0.5 중량부 및 당근수 70 중량부를 혼합하여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총 폴리페놀 함량 분석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을 확인하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Folin-Denis법을 응용하여 측정하였다. 농도별로 희석한 추출물과 2배 희석된 Folin 시약을 동량 혼합하여 3분간 방치한 후 10% Na2CO3을 동량 넣어 1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Microplate Spectrophotometer를 이용하여 70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 총 폴리페놀 함량을 구하였다. 이 때 gallic acid를 이용하여 표준곡선을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내었다.
식물계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폴리페놀화합물은 천연색소로서 뿐만 아니라 생체 내 생성되는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천연항산화물로서 잘 알려져 있다. 폴리페놀화합물은 한 분자내에 2개 이상의 phenolic hydroxyl기를 가진 방향족 화합물로서 페놀산 뿐만 아니라 시남산유도체, 안토시아닌, 플라보노이드, 리그난, 레스베라트롤 및 탄닌 등 약 1,000 종류 이상의 다양한 종류가 있다. 폴리페놀화합물은 그들이 지니고 있는 phenolic hydroxyl기로 인하여 라디칼포착활성 뿐 아니라 강한 환원력과 금속 킬레이트 작용을 지니고 있어 항산화뿐 아니라 항암, 항당뇨, 항균, 항알러지, 항고혈압 및 항노화활성을 지니고 있는 중요한 phytochemical로 각광을 받고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번행초 추출물 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번행초 추출물 Ⅱ)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나문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은 각각 15.32, 20.24 및 17.01 mg GAE/g으로 실시예 2의 번행초 추출물이 가장 높은 함량의 폴리페놀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2,2-azino-bis (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radical 소거 활성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ABTS radical을 이용한 항산화력 측정은 ABTS+· cation decolorization assay 방법에 의하여 시행하였다. 7 mM ABTS 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를 최종농도로 동량 혼합하여 실온인 암실에서 24시간 동안 반응하여 ABTS+·을 형성시킨 후 732 nm에서 흡광도 값이 0.70 (±0.02)이 되게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pH7.4)로 희석하였다. 희석된 ABTS 용액 20 ㎕에 sample 180 ㎕를 혼합하여 1분 동안 방치 한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구분 Concentration (㎍/mL) Scavenging effect (%)
실시예 1
(번행초 추출물Ⅰ)
31.25 15.83±0.33
62.5 35.57±0.41
125 42.87±0.88
250 72.37±0.56
500 90.67±0.31
실시예 2
(번행초 추출물Ⅱ)
31.25 13.68±2.04
62.5 27.93±3.90
125 48.57±9.36
250 84.31±1.80
500 96.32±2.12
비교예 1
(나문재 추출물)
31.25 13.21±7.66
62.5 27.98±10.48
125 45.05±0.59
250 78.52±0.99
500 92.72±0.09
Vit.C 1 6.07±1.32
2.5 11.56±0.87
5 34.97±1.73
7.5 95.09±0.50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번행초 추출물 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번행초 추출물 Ⅱ)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나문재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을 ascorbic acid(Vit.C)와 비교하여 농도별로 측정한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250 ㎍/mL의 농도에서 실시예 2는 84.31%로 우수한 소거활성을 보였다. ABTS 라디칼 RC50 값은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이 각각 155.32 ㎍/mL, 138.22 ㎍/mL, 147.77 ㎍/mL로 확인되어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에서 가장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나문재 추출물에 비해 약 6.47% 향상된 DPPH 라디칼 저해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3> DPPH 라디칼 소거 활성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을 확인하였다. stable radical인 DPPH에 대한 환원력을 측정하는 원리로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 99% 메탄올에 추출물을 각 농도별로 희석한 160 ㎕을 517 nm에서 초기값을 측정 한 후 메탄올로 용해한 0.15 mM DPPH 용액 40 ㎕을 혼합하여 암실에 30분간 방치한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radical 소거활성은 하기 식에 따라 소거활성을 계산하였으며, 대조군으로 메탄올을 사용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식>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 = [100-(S/C×100)]
S : 시료군 반응 후 흡광도 - 시료군 반응 전 흡광도
C : 대조군 반응 후 흡광도 - 대조군 반응 전 흡광도
구분 Concentration (㎍/mL) Scavenging effect (%)
실시예 1
(번행초 추출물Ⅰ)
31.25 2.12±3.61
62.5 5.03±1.50
125 11.68±0.50
250 48.96±0.50
500 80.17±1.32
실시예 2
(번행초 추출물Ⅱ)
31.25 6.36±0.87
62.5 14.45±4.28
125 20.32±3.13
250 69.72±1.80
500 99.25±1.50
비교예 1
(나문재 추출물)
31.25 2.72±2.18
62.5 7.75±4.78
125 18.61±4.78
250 52.57±2.50
500 92.50±0.87
Vit.C 1 13.42±3.97
2.5 31.83±1.25
5 51.90±9.30
7.5 93.86±4.6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번행초 추출물 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번행초 추출물 Ⅱ) 및 상기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나문재 추출물과 ascorbic acid(Vit.C)의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다. 양성대조군으로 이용한 ascorbic acid(Vit.C)는 7.5 ㎍/mL에서 90% 이상의 항산화능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2의 경우 250 ㎍/mL의 농도에서 69.72%로 우수한 소거활성능이 있었다. RC50 값은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이 각각 267.37 ㎍/mL, 192.64 ㎍/mL, 237.52 ㎍/mL로 확인되어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에서 가장 라디칼 소거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특히, 비교예 1에서 제조한 나문재 추출물에 비해 약 18% 향상된 DPPH 라디칼 저해활성을 보였다.
<실험예 4> 세포독성 및 항염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세포독성 및 항염활성을 확인하였다.
- 세포주 배양
실험에 사용된 RAW 264.7 (mouse macrophage cell line) 세포는 한국 세포주은행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다. RAW264.7 세포는 각각 10% fetal bovine serum (FBS), 100 ㎍/mL penicillin을 첨가한 DMEM 배지에서 95% 산소와 5% CO2가 존재하는 37℃ 배양기에서 2-3일에 한번 씩 계대 배양해주었다.
- 세포 생존율 측정
RAW 264.7 세포에서 실시예 1(번행초 추출물 Ⅰ), 실시예 2(번행초 추출물 Ⅱ), 비교예 1(나문재 추출물)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하기 위하여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MTT)로 cell viability를 측정하였다. 세포 (5×104/well)를 96-well plate에 100 ㎕씩 분주하여 24시간 동안 CO2 배양기에서 배양 후, seru free 배지로 교체 후 시료를 각 농도별로 처리하여 24시간 뒤에 5 mg/mL MTT를 10 ㎕씩 분주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켜 MTT가 환원되도록 하였다. 그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imethyl sulfoxide (DMSO)를 100 ㎕씩 분주하여 formazone된 cell 결정을 용해 시켜 Microplate 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생존율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Lipopolysaccharide (LPS)는 Gram 음성 세균의 세포벽 물질로서 면역 세포를 자극하여 NO의 생성을 증가시킨다고 보고되고 있다. LPS로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 RAW 264.7 세포에서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일정 시간 배양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을 도 5에 나타내었다. LPS 자극에 의한 세포독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의 추출물의 경우 31.25, 62.5, 125, 250, 500 μg/mL의 모든 농도에서 90% 이상 세포 생존율을 보여 세포에 대한 독성은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
- NO 생성 저해
NO 함량은 Green 등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1×105 cells/mL 농도로 96 well plate에 분주한 후, 시험시료와 LPS (100 ng/mL, Sigma Co.)를 함유한 새로운 배지를 동시에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세포배양 상등액 100 ㎕와 Griess시약 (1% sulfanilamide, 0.1% naphthylethylendiaminein 2.5% phosphoric acid) 100 ㎕를 혼합하여 96 well plate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auto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sodiumnitrate (Sigma Co.)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NO의 함량을 산출하였다.
LPS 자극에 의해 생성된 NO는 정상적인 생리 상태에서 혈관의 항상성, apoptosis 유도 작용 등 중요한 생리적인 기능을 매개하지만 다량의 NO는 정상세포를 죽이고 염증을 유도하여 급성 또는 만성 염증질환의 원인이 되는 물질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효과적인 NO 분비조절은 급성 또는 만성 염증질환의 치료방법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실시예 1(번행초 추출물 Ⅰ), 실시예 2(번행초 추출물 Ⅱ), 비교예 1(나문재 추출물)의 추출물이 NO의 생성을 저해할 수 있는지를 알아본 결과 도 6과 같이 나타났다. NO 생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기 전에 추출물이 세포에 독성을 나타내는지를 MTT assa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을 때, 3가지 추출물 모두 500 ㎍/mL의 농도에서 10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보여 추출물의 농도를 각각 62.5, 125, 250, 500 ㎍/mL의 농도로 세포에 처리하였다. 그 결과, LPS만 처리한 군에서는 NO가 약 31.24 μM로 처리하지 않은 군보다 약 5배 이상의 NO를 생성하였고 여기에 실시예 1(번행초 추출물 Ⅰ), 실시예 2(번행초 추출물 Ⅱ), 비교예 1(나문재 추출물)의 추출물을 처리하였을 경우 250 ㎍/mL의 농도에서부터 유의적인 NO 소거 활성을 보였다.
특히, 실시예 2의 번행초 추출물의 경우 125 ㎍/mL의 농도에서부터 유의적인 소거활성을 보였고, 비교예 1의 나문재 추출물과 250 ㎍/mL의 동일농도에서 비교하였을 경우, 약 32% 소거활성이 증가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5> 미백활성 분석-1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추출물의 미백활성을 확인하였다.
- 세포주 배양
실험에 사용한 B16F10 melanoma 세포주는 ATCC (Virginia, USA)에서 구입하였고 10% heat-inactivated FBS, 1% penicillin/streptomycin, 1.5 g/L sodium bicarbonate을 포함한 DMEM 배지로 37 ℃, 5% CO2 조건 하에서 배양하였다.
- 멜라닌 생성량 확인 실험
B16F10 세포를 5×104 cells/well 밀도로 6 well plate에 분주하여 1일간 배양 후 2% FBS를 포함한 배지 조건에서 번행초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여 3일간 배양 한다. 멜라닌 생성 유도를 위해 200 nM α-MSH를 동시 처리하고 양성 대조군으로는 200 μM 알부틴을 사용한다. 배양 종료 후 세포를 회수하고 1 M NaOH를 200 ㎕씩 처리하여 용해하였다. 분광광도계로 용해물에 대한 490 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의 멜라닌 합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100, 200, 400 ㎍/mL 농도로 B16F10 세포에 처리한 후 멜라닌 생성율을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내었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번행초 추출물에 의한 농도 의존적인 멜라닌 생성 억제가 관찰되었다.
<실험예 6> 미백활성 분석-2
상기 실시예 3-4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의 미백활성을 확인하였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하여 36명의 건강한 30-40세 여성을 무작위로 2개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2의 화장료 조성물을 매일 아침, 저녁 2회씩 세안 후 안면 좌측 부위와 안면 우측 부위에 적당량을 2개월간 연속적으로 도포하게 하였다. 미백 효과는 실험 개시 1개월 후 및 실험 종료 후의 안면의 개선 정도를 관찰하여 효과가 나타난 실험 대상자의 인원수로써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관찰 시기 구분 유효
(명)
약간 유효
(명)
무효
(명)
유효율
(%)
1개월 후 실시예 3 28 6 2 94.4
실시예 4 30 6 0 100.0
실험 종료후 실시예 3 30 5 1 97.2
실시예 4 32 4 0 100.0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1. 번행초 추출물 1-5 중량부, 귤 추출물, 키위 추출물, 배 추출물 및 오렌지 추출물이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과일 추출물 0.5-1.5 중량부, 인동덩굴꽃 추출물, 양하꽃 추출물 및 작약꽃 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꽃 추출물 0.5-1.5 중량부, 자몽 유래 엑소좀 0.5-1.5 중량부, 옥수수 발효추출물 및 병풀 발효추출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발효추출물 0.5-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알지닌 0.5-1.5 중량부, 페닐알라닌 0.5-1.5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5-1.5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5-1.5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5-1.5 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0.5-1.5 중량부, 스쿠알란 3-7 중량부, 덱스트린 1-3 중량부, 리날룰 1-3 중량부, 리모넨 1-3 중량부, 잔탄검 1-3 중량부, 아데노신 0.5-1.5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0.05-0.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5-0.2 중량부, 발린 0.05-0.2 중량부, 이소퀘르시트린 0.05-0.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0.05-0.2 중량부, 글루타믹애씨드 0.3-0.7 중량부, 및 당근수 68-72 중량부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번행초(Tetragonia tetragonioides) 원물을 40-60℃의 온도에서 건조하는 단계; 건조한 번행초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번행초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번행초 분말을 에탄올에 침지하여 20-30℃의 온도에서 교반하여 침출하고, 침출한 침출물을 여과하되, 상기 침출 및 여과를 2-3회 반복 수행하는 단계; 및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을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번행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귤, 키위, 배 및 오렌지를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귤분말, 키위분말, 배분말 및 오렌지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준비된 귤분말, 키위분말, 배분말 및 오렌지분말을 3:3:2:2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과일분말을 에탄올 및 헥산을 1:1의 부피비로 혼합한 혼합 용매와 1:9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여과지로 여과하고, 여과된 여과액을 영하 48-52℃의 온도에서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과일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인동덩굴꽃, 양하꽃 및 작약꽃을 세척하고 동결건조한 후 분쇄하여 인동덩굴꽃분말, 양하꽃분말 및 작약꽃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제조된 인동덩굴꽃분말, 양하꽃분말 및 작약꽃분말을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한 혼합분말 20 g을 물 200 ml와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78-82℃의 온도에서 6-10시간 동안 1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1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1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교반하면서 118-122℃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2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2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2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남은 고형물을 다시 물과 혼합하되, 고형물 및 물의 혼합비율이 0.1 g/ml가 되도록 혼합하고, 여기에 [BMIm][TFSI](1-Butyl-3-methylimidazoliumbis trifluoromethylsulfonyl)imide)를 1-2 g 첨가한 후 교반하면서 98-102℃의 온도에서 6-10시간 동안 3차 열수추출을 수행하는 단계; 3차 열수추출 후, 여과지로 여과한 다음 그 여액을 동결건조하여 3차 혼합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1차 혼합추출물, 2차 혼합추출물 및 3차 혼합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꽃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자몽을 세척하여 18-22℃의 온도에서 140-160 MPa의 압력으로 3-7분 동안 전처리하는 단계; 전처리된 자몽을 착즙하여 자몽착즙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자몽착즙액을 원심분리하여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수득하는 단계; 상기 엑소좀을 포함하는 상층액을 동결건조하여 동결건조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동결건조물에 폴리에틸렌글리콜/덱스트란을 사용하여 수성 2상계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수성 2상계 내 엑소좀이 농축된 하층액을 수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자몽 유래 엑소좀을 제조하는 단계;
    옥수수 알갱이 및 병풀을 끓인 물로 세척하고, 분쇄하여 옥수수분말 및 병풀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옥수수분말 23-27 중량부, 병풀분말 23-27 중량부 및 물 58-62 중량부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제조하고, 혼합물에 효모균으로 사카로미케스 케레비시아이(Saccharomyces cerevisiae)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8-42℃의 온도에서 34-38시간 동안 발효시키는 단계; 발효된 혼합물 및 부틸렌글리콜을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4-6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 및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번행초 추출물 1-5 중량부, 상기 과일 추출물 0.5-1.5 중량부, 상기 꽃 추출물 0.5-1.5 중량부, 상기 자몽 유래 엑소좀 0.5-1.5 중량부, 상기 발효추출물 0.5-1.5 중량부, 나이아신아마이드 1-3 중량부, 알지닌 0.5-1.5 중량부, 페닐알라닌 0.5-1.5 중량부, 1,2-헥산다이올 0.5-1.5 중량부, 펜틸렌글라이콜 0.5-1.5 중량부, 글리세릴카프릴레이트 0.5-1.5 중량부, 아스코빌글루코사이드 0.5-1.5 중량부, 스쿠알란 3-7 중량부, 덱스트린 1-3 중량부, 리날룰 1-3 중량부, 리모넨 1-3 중량부, 잔탄검 1-3 중량부, 아데노신 0.5-1.5 중량부, 스테아릴알코올 0.05-0.2 중량부, 소듐하이알루로네이트 0.05-0.2 중량부, 발린 0.05-0.2 중량부, 이소퀘르시트린 0.05-0.2 중량부, 폴리글리세릴-6스테아레이트 0.05-0.2 중량부, 글루타믹애씨드 0.3-0.7 중량부 및 당근수 68-72 중량부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240011948A 2024-01-26 2024-01-26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 KR1026592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1948A KR102659269B1 (ko) 2024-01-26 2024-01-26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40011948A KR102659269B1 (ko) 2024-01-26 2024-01-26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9269B1 true KR102659269B1 (ko) 2024-04-22

Family

ID=90881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11948A KR102659269B1 (ko) 2024-01-26 2024-01-26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926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885A (ko) * 2016-10-18 2018-04-2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노화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2885A (ko) * 2016-10-18 2018-04-27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 및 항노화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90055309A (ko) 피부미백 및 주름개선용 피부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6294B1 (ko) 애기수영 또는 산수국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주름개선 또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50050310A (ko) 청호, 님잎,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931549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KR101292837B1 (ko) 가래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903987B1 (ko) 천연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20090017282A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822092B1 (ko) 알로에베라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43106A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노화방지,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210034320A (ko)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100937187B1 (ko) 복분자주 제조 후 잔사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2012000B1 (ko) 문신 부위 감염방지용 코팅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659269B1 (ko) 미백 활성 및 항염 활성을 나타내는 번행초 추출물
KR102303400B1 (ko) 제주 용암해수, 제주 보리누룩 및 천연식물을 이용한 발효물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2137919B (zh) 竹荪蛋提取物在制备美容美肤外用品中的应用及基于其的美容外用品
KR102198589B1 (ko) 바위돌꽃, 바위손, 맨드라미 및 쑥 혼합추출물과 피톨(phytol)의 복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375347B1 (ko) 홍삼약초 음료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음료
KR100266740B1 (ko) 미백용 식품 조성물
KR2017013691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