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4320A -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 Google Patents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4320A
KR20210034320A KR1020190116124A KR20190116124A KR20210034320A KR 20210034320 A KR20210034320 A KR 20210034320A KR 1020190116124 A KR1020190116124 A KR 1020190116124A KR 20190116124 A KR20190116124 A KR 20190116124A KR 20210034320 A KR20210034320 A KR 202100343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ation
spirulina
fermented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6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서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필메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필메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필메카
Priority to KR10201901161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34320A/ko
Publication of KR202100343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432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28Fungi, e.g. yea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microorganisms other than algae or fungi, e.g. protozoa or bacte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Dermatology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효성분을 증진시키고 생리활성물질의 생산 효과를 갖는 발효과정을 통해 수득한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천연물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각종 질병 및 노화 등에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를 갖는 화장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FUNCTIONAL COSMETIC COMPOSITIONS FOR PREVENTING SKIN AGING AND ENHANCING SKIN IMMUNITY USING THE NATURAL EXTRACTS AND THE COSMETIC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유효성분을 증진시키고 생리활성물질의 생산 효과를 갖는 발효과정을 통해 수득한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천연물추출물을 제공함으로써, 각종 질병 및 노화 등에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는 활성산소를 억제하는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노화를 설명하는 많은 가설 중에 특히 Harman에 의해 제안된 free radical theory는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이 가설에 의하면 free radical에 의한 연속적인 유해반응의 결과로 노화과정이 진행된다. 이후 reactive oxygen species(ROS)가 세포 구성 성분의 산화적 손상을 축적시키는 원인임이 밝혀지고, 이를 토대로 산화 스트레스 가설(oxidative stress theory)이 제안되었다.
ROS와 reactive nitrogen species(RNS)는 감염이나 염증반응에서 이물질을 제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과다 생성되어 축적되면 이들의 파괴적 성향으로 인해 염증과 활성산소 및 활성질소 생성이 지속적으로 중폭되고, 결국 세포의 항상성 상실을 가져와 노화 및 암, 심장혈관 질환, 관절염, 퇴해성 신경 질환 등의 노인성 질환을 초래하게 된다.
강력한 활성산소 및 질소종을 제거할 수 있는 항산화 방어 체계가 노화 및 노화 관련 질환의 예방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각종 질병 및 노화 등에 활성산소 및 과산화물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사실이 밝혀지면서 노화억제 및 질병과 관련된 항산화제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지고 있다.
더불어 사회적으로 최근 생활수준의 향상과 현대 의학의 진보에 따른 인간의 평균수명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과 함께 젊음과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분위기는 미용분야 외에 의학, 식생활분야에서까지 이어져 다양한 미용기술, 의술, 식품들이 개발되고 있으며, 또한 관련 분야의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국내 화장품 분야의 시장규모는 점차 확대되고 있고, FTA 협상으로 외국 대형 화장품 사의 국내 진출도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등 화장품 시장에서의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다.
특히 젊음과 아름다움에 대한 욕구가 증가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반영하여, 천연, 유기농, 자연주의 화장품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관련 분야의 배경에 기초하여 천연물질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이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과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들의 피부건강을 통한 젊음과 아름다움을 유지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하는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03523(등록일자: 20140528)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2-0010687(공개일자: 20120206)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0591(등록일자: 20140808)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280482(등록일자: 20130625) 일본특허 특개 2011-162457 일본등록특허 01375225(19870422) 중국특허 200980129606(20090507)
본 발명은 항산화 기능이 뛰어난 솔잎, 스피루리나 및 약재의 천연재료에 포함되어 있는 유효성분을 증진시키고 생리활성물질의 생산 효과를 갖는 발효과정을 통해 수득한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천연물추출물에 항산화활성 기능을 갖는 아마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와송 추출물, 양파껍질 추출물, 꽃송이버섯 추출물, 상황버섯 추출물, 차가버섯 추출물, 매생이 추출물, 파래 추출물, 미역 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천연추출물에 첨가하여 조성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송에서 채취한 솔잎을 물로 수세하고,
수세한 솔잎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후 절단하고,
절단한 솔잎 35~64.5wt%, 물(water) 35~64.5wt% 및 수크로스 0.5~15wt%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혼합물 중의 유용 성분이 삼투압에 의해서 용출됨과 동시에 자연발효가 일어나도록 18~25℃에서 30~90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10~15일 간격으로 전체 중량의 0.1~0.5wt%의 수크로스를 추가로 첨가하여 발효시키고,
발효과정을 거쳐 수득한 솔잎 액상 발효물을 감압농축하고,
감압농축 과정을 거친 발효물을 -65℃ ~ -50℃, 8~15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솔잎 발효추출물(A) 1~80wt%;
스피루리나를 2,000~3,000rpm에서 10~20분간 원심분리하여 가라앉은 스피루리나를 회수하고,
이와 같이 회수한 스피루리나에 70% 에탄올(ethanol)을 45배~55배로 가하여 38~42℃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물을 2,500~3,500rpm에서 10~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발효조에 투입하고 발효조의 당도를 20~25° Brix로 조정한 후 35~37℃의 조건에서 자연미생물에 의한 자연 발효 10~15일간 진행하여 발효물을 수득한 후,
상기 발효물을 감압농축한 후 -65℃ ~ -50℃, 8~15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B) 1~80wt%;
증류수 90~96wt%와 약재 4~10wt%를 혼합한 후 3~5시간 동안 전탕하여 탕액을 제조하고, 상기 탕액 85~90wt%, 약재 5~10wt%, 설탕 5~10wt%를 혼합하여 9~11일간 자연발효한 후, 증류수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침전여과 과정을 거쳐 당을 제거하고,
당을 제거한 약재 액상 발효물을 감압농축하고,
감압농축 과정을 거친 발효물을 -65℃ ~ -50℃, 8~15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약재발효
추출물(C) 1~80wt%;의 혼합(A+B+C)으로 조성된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 전체 중량에 대해 0.1~50wt%로 첨가하여 제조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과정을 통해 솔잎, 스피루리나, 약재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성분을 증진시킨 후 이들 성분들의 혼합을 통해 높은 항산화 기능을 가짐으로써 피부 노화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는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갖는다.
또한 항산화 기능 외에 천연물질에 의한 항균, 보습,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상기의 기술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적송에서 채취한 솔잎을 물로 수세하고,
수세한 솔잎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후 절단하고,
절단한 솔잎 35~64.5wt%, 물(water) 35~64.5wt% 및 수크로스 0.5~15wt%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혼합물 중의 유용 성분이 삼투압에 의해서 용출됨과 동시에 자연발효가 일어나도록 18~25℃에서 30~90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10~15일 간격으로 전체 중량의 0.1~0.5wt%의 수크로스를 추가로 첨가하여 발효시키고,
발효과정을 거쳐 수득한 솔잎 액상 발효물을 감압농축하고,
감압농축 과정을 거친 발효물을 -65℃ ~ -50℃, 8~15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솔잎 발효추출물(A) 1~80wt%;
스피루리나를 2,000~3,000rpm에서 10~20분간 원심분리하여 가라앉은 스피루리나를 회수하고,
이와 같이 회수한 스피루리나에 70% 에탄올(ethanol)을 4.5배~55배로 가하여 38~42℃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물을 2,500~3,500rpm에서 10~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발효조에 투입하고 발효조의 당도를 20~25° Brix로 조정한 후 35~37℃의 조건에서 자연미생물에 의한 자연 발효 10~15일간 진행하여 발효물을 수득한 후,
상기 발효물을 감압농축한 후 -65℃ ~ -50℃, 8~15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B) 1~80wt%;
증류수 90~96wt%와 약재 4~10wt%를 혼합한 후 3~5시간 동안 전탕하여 탕액을 제조하고, 상기 탕액 85~90wt%, 약재 5~10wt%, 설탕 5~10wt%를 혼합하여 9~11일간 자연발효한 후, 증류수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침전여과 과정을 거쳐 당을 제거하고,
당을 제거한 약재 액상 발효물을 감압농축하고,
감압농축 과정을 거친 발효물을 -65℃ ~ -50℃, 8~15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약재발효 추출물(C) 1~80wt%;의 혼합(A+B+C)으로 조성된다.
발효는 복잡한 유기 화합물을 상대적으로 간단한 물질로 쪼개는 화학적 반응이다. 발효는 유용성분을 증진시키는 작용을 하며 이러한 과정을 통해 독성물질을 파괴시키고, 생리활성물질을 생산하는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발효과정을 통해 수득한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을 혼합하여 항산화기능이 뛰어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솔잎 발효추출물 1~80wt%와,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1~80wt와, 약재 발효추출물 1~80wt%의 혼합으로 화장료 조성물이 조성된다.
상기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의 함량이 각각 1wt% 미만인 경우에는 각 성분의 발효추출물에 통해 얻을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고, 8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들과의 적정배합이 이루어지지 않아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의 기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의 사용량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각각 1~8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이루는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 간의 구체적인 성분 배합예를 제시하자면, 솔잎 발효추출물 35wt%와,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50wt와, 약재 발효추출물 15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솔'은 오래전부터 식용과 약용, 공업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솔잎에는 비타민 C와 K, carotene, flavonoid, anthocyan, tannin, 정유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다양한 종류의 terpene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flavonoid, alkaloid, lignan, 유기산류 등에 혈청 콜레스테롤 저하·항당뇨·지질 저하·항산화·항균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솔잎은 예로부터 중풍을 예방하고 동맥경화,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노인성 질환을 예방하는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으로는 맛이 쓰고 따뜻하며 체내 조직에서 이루어지는 산화환원 과정의 촉진·소염·지혈작용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으며, 또한 구황작물로서 한의서와 민간요법에 따르면 간장·위장·피부질환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솔잎 발효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적송(Pinusdensiflora sieb, et Zucc)에서 채취한 솔잎을 물로 수세 후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고 절단하여 제조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건조된 솔잎의 발효를 위하여 솔잎과 물 그리고 수크로스를 각각 1 :1 :0.125의 비율로 혼합하고,
혼합 원료 중의 유용성분이 삼투압에 의해서 용출과 동시에 자연 발효가 일어나도록 20℃에서 60일간 발효시키면서 15일 간격으로 동량의 수크로스를 세 번 첨가한다.
그리고 발효시킨 솔잎 액상 발효물을 회전 감압 농축기(Model-NE,Tokyo RikakikaiCo,Japan)로 감압 농축한 후 동결 건조기(Bondiro,Ilsin Engen Co,Korea)를 이용하여 -60℃, 10mmHg에서 동결 건조 후 분말상의 시료로 사용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스피루리나(Spirulinaplatensis)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조류(algae)의 하나로 약 35억년 전에 탄생한 최초의 광합성 생명체이다. 라틴어로부터 유래된 나선(spiral)형이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민물에 사는 녹조류인 클로렐라와 같이 기능성 식품으로 활용되고 있다. 생물분류학에서 남조류(Blue-green algae)넨슈모목, 유레모과 스피루리나 속(屬)에 속하는 원핵세포(procaryotic cell)인 청색미생물로 크기는 폭 5~8 ㎛, 길이 0.3~0.5mm 정도의 가늘고 긴 세포가 하나의 생명체를 구성하고 있다.
구성성분으로는 60~70%의 단백질, 6~9%의 지질, 탄수화물 15~20%의 탄수화물 및 다량의 비타민, 무기질, 섬유질을 함유하고 있다. 지질 성분 중에는 free-fatty acid가 70~80%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리놀레산(linoleic acid), 감마리놀렌산(γ-linolenic acid) 등으로 구성하고 있다.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람노스, 만노스, 자일로스 등이 있고, 색소성분으로는 등황색의 카로티노이드, 녹색의 클로로필, 청색의 피코시아닌 등을 가지고 있다. 또한 비타민 B12와 항산화제 역할을 하는 페놀산(phenolicacid), 토코페롤(tocopherols), 베타 카로틴(β-carotene)을 다량 함유하고 있다.
상기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스피루리나를 3,000rpm에서 15분간 원심분리하여 가라앉은 스피루리나를 회수하고,
이와 같이 회수한 스피루리나에 70% 에탄올(ethanol)을 5배로 가하여 4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물을 3,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발효조에 투입하고 발효조의 당도를 25° Brix로 조정한 후 36℃의 조건에서 자연미생물에 의한 자연 발효 10일간 진행하여 발효물을 수득한 후,
상기 발효물을 감압농축한 후 -60℃, 10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다.
다음으로 상기 약재발효추출물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약재발효추출물은 가자(Terminalia chebula),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괴화(Sophora japonica), 단삼(Salviae Miltiorrhizae), 마가목(Sorbus commixta), 마치현(Portulaca oleracea), 작약(Paeonia lactiflora), 빈랑자(Areca catechu),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소목(Caesalpinia sappan), 음양곽(Epimedium koreanum), 정향(Syzygium aromaticum), 지골피(Lycium chinense),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 초두구(Alpinia katsumadai),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 홍화(Carthamus tinctorius), 갈근(Puerariae thunbergiana),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황련(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황금(Golden thread),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계지(Cinnamonum cassia Presl)로부터 선택되는 약재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한다.
상기 가자(Terminalia chebula)는 Combretaceae과의 낙엽교목인 가자 (Terminalia chebula Retz)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이다. 가자의 성숙한 열매에는 chebulinic acid, chebulagic acid, 1,3,6-β-trigalloylglucose 및 1,2,3,4,6-pentagalloyl-β-glucose, corlagin, terchebin, glucogalin, ellagic acid, 유기지방산, gallic acid, terflavin A, B, C, D, isoquercitrin등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Rhizoma, AO)은 생강과(Zingib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Hance)의 근경이다.
5-Hydroxy-7-(4'-hydroxy-3'-methoxyphenyl)-1-phenyl-3-heptanone과 3-Methylethergalangin 등은 Pancreaticlipase억제작용 물질로 보고되었으며, phenylpropanoids은 항산화물질로, diarylheptanoids, pinocembrin, galangrin 계열의 물질들은 염증억제 및 항암효능 물질로, galangrin은 미백, quercetin과 kaempferol은 fattyacidsynthase 억제 효능을 갖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상기 괴화(Sophora japonica)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한 낙엽교목인 회화나무의 미개한 꽃봉우리를 말한다. 약리작용으로는 Rutin과 Quercetin 성분에 의한 모세혈관의 혈관투과성을 떨어뜨리고 항염증작용 및 항궤양 작용을 한다. 이외에 지혈작용, 모세혈관 투과성 감소, 혈압강하, 콜레스테롤 강하, 항암작용 등을 한다.
상기 단삼(Salviae Miltiorrhizae)은 꿀풀과(Labiatae)에 속하며 중국이 원산지로서 드물게는 약용으로 재배하는 다년생초본이다. 단삼의 항산화 성분으로는 diethyl ether 추출물로부터 quinone-type 화합물인 tanshinone Ⅰ, dihydrotanshinone Ⅰ, tanshinone ⅡA, tanshinone ⅡB, methyenetanshinquinone, 그리고 danshenxinkun B 같은 유색물질이 밝혀졌고, 이들 중 tanshinone ⅡA를 제외하고 모든 quinone류가 BHA와 BHT의 항산화력과 비교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마가목(Sorbus commixta)은 낙엽 활엽 교목이다. 성분으로는 과실에는 sorbitol, cyanogenic 화합물, 잎에는 p-o-coumaric acid, 목부에는 β-sitosteril, aucuparin, methoxyaucuparin이 함유되어 있다.
상기 마치현(Portulaca oleracea)은 쇠비름과(Portulacaceae)에 속한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L의 전초이다. 성분으로 대량의 noradrenaline과 다량의 칼륨염이 함유되어 있으며 아미노산으로서 alanine, aspartic acid등이 있으며 다당체로는 glucose, fructose, sucrose가 있고, 유기산과 지방산으로 malic acid, oxalic acid, citric acid, glutamic acid, asparic acid, alanine 등이 보고되었으며, sterol로는 stigmasterol, campesterol이 있고 vitamin B1 및 C, saponin, tannin, flavonoid 등이 보고 되어 있다.
상기 작약(Paeonia lactiflora)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하며, 줄기는 여러 개가 한포기에서 나와 곧게 서고 잎과 줄기에 털이 없고 뿌리가 굵다.
주요 효능, 효과로는 진통, 해열, 진경, 이뇨, 지한, 복통, 위통, 관절염, 빈혈, 타박상 등으로 쓰인다. 현대에 와서 작약에 대한 생리활성 연구는 항염, 항알러지 진통작용, 항균활성 및 미백효과가 밝혀져 있으며, 작약의 성분으로는 Paeoniflorin, Paeonol, Albiflorin 등이 있다.
상기 빈랑자(Areca catechu)는 빈랑(Areca catechu Linne (야자과 Palmae))의 잘 익은 씨로서 열매를 채취하여 물에 삶아 열매껍질을 벗긴 것이다.
동의보감에 따르면, 몸속에 있는 바람의 기운을 없애고 모든 기를 내려가게 한다. 뼈마디와 몸에 있는 9개의 구멍을 잘 통하게 하고 먹은 음식이 잘 소화되게 한다. 담이 옆구리로 가서 옆구리가 아픈 것과 몸이 붓는 것, 몸 속에 나쁜 기운이 몰려 있는 것 등을 낫게 하고 오장육부에 막혀 있는 기운을 잘 돌게 하는 효능을 갖는다.
상기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는 산초나무의 열매로 옛 동의 문헌에 의하면 열매껍질을 화초, 청초라 하고 씨를 초목이라 하여 따로 이용하였으나 지금은 씨가 있는 열매를 산초라 하여 함께 쓰고 있다. 열매 껍질에 정유가 2-4% 함유 되어있고 주성분은 디펜텐(㎗-리모넨), 시트로넬랄, ℓ-β-펠란드렌, 게라니올, 시트로넬롤 등으로 이루어졌다. 열매에는 성련독인 크산톡신, 마비성분인 크산톡신산, 스테롤로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β-시토스테롤이 확인된다.
상기 소목(Caesalpinia sappan)은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낙엽소교목 또는 관목으로 India, Malaysia 반도, 중국 남부 등 열대 아시아에 분포하는 식물이다. 효능으로는 항염증, 항산화, 항바이러스 등이 있다.
상기 음양곽(Epimedium koreanum)는 매자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서, 잎과 줄기에 다량의 flavonoids화합물을 함유하고 있는데, 주로 icariin, des-o-methylicariine, β-anhydroicaritine 등이다. Ebrevicornum에는 icariin, icarisid Ⅰ이 있고, Ekoreanum에는 icariin, epimedin A, B, C, quercetin, epimedokoreanoside Ⅰ, Ⅱ, campesterol, β-sitosterol, ikarisosideA가 있다.
상기 정향(Syzygium aromaticum)은 정향나무과의 꽃 봉오리로서 열대 각지에서 재배되는 상록교목으로 짧은 막대기 모양이고 전체 길이는 1~2cm이다. 정향의 꽃봉오리는 정유 16~19%를 함유하고 있으며 정유 중에는 eugenol 80~87%, caryophyllene 9~12%, methl-N-amylketone, methyl salicylate, 알파-caryophyllene, benzylalcohol, methyl acetate, benzylaldehyde, methoxy benzylaldehyde가 함유되어 있다.
상기 지골피(Lycium chinense)는 구기자나무의 뿌리껍질을 말하는 것으로서, 독특한 향이 나고, 주요성분으로는 betaine, β-sitosterol glucoside, linoleic acid, scopoletin, kukoamine 등이 있다. 그리고 메탄올 추출물에서 angiotensin I 전환효소 (Angiotensin Converting Enzyme: ACE)의 억제활성을 나타내어 혈압강하 효능이 있으며, 당뇨와 해열 등의 다양한 효능이 알려져 있어 한약재로 사용되고 있는 생약중의 하나이다. 또한 Alloxan으로 유도된 당뇨 mice에서 지골피의 혈당 저하효과와 혈청 콜레스테롤 및 중성지방의 저하효과를 확인 하였으며, UV에 의한 피부 손상 및 CCl4에 의한 간 손상을 억제하고, 그 기전으로 항산화능이 제시되었다.
상기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는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Linne 및 동속근연식물(장미과 Rosaceae)의 뿌리이다. 뿌리에 tannin, triterpenoid계 ziyu-glycosideⅠ,Ⅱ, sanguisorbin A, B, E 등과 sanguiin H-1, H-2, H-3 등이 함유되어 있다. 효능으로는 양혈지혈, 해독감담, 치편혈, 치출혈, 혈리, 붕루, 수화탕상, 옹종창독 등이다.
상기 초두구(Alpinia katsumadai)는 생강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초구, 두구, 누구라고도 불린다. 성죽한 종자를 건조시켜 한약재로 사용한다.
상기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은 민들레 (Taraxacum platycarpum), 흰민들레, 서양민들레(국화과 Compositae)의 전초로서 한국, 중국, 일본에 서식한다.약리작용으로는 항세균, 항진균작용, 면역증강작용, 항암작용이 있으며, 해열, 발한, 소염, 건위, 이뇨, 최유약으로 위염, 이담, 황달 등에 쓴다. 주요 성분으로는 austricin, luteolin, chrysoeriol, quercetin, caffeic acid, scopoletin, esculetin, cichoriin 등을 함유하고 있다.
상기 홍화(Carthamus tinctorius)는 국화과(Compositae)에 속하는 잇꽃CarthamustinctoriusL의 꽃이 필 때의 관상화를 그대로 또는 황색 색소의 대부분을 제거하고, 압축해서 판상으로 한 것을 약용으로 한다.
홍화는 본초강목에서 혈액순환을 좋게 하고 통증을 제거한다고 언급되어 있어 혈행 장해, 통경액, 맹증, 갱년기 장해, 특히 산전 산후의 부인병에 정혈제로 널리 쓰였으며 한방에서 뇌일혈 후의 반신불수에 중요하게 쓰인다고 알려졌으며 완하 작용, 발한 작용, 하열(下熱) 작용이 있으며 히스테리컬한 기분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갈근(Puerariae thunbergiana)은 콩과에 속하는 칡의 뿌리(갈근,葛根)로서 꽃(갈화,葛花)과 함께 예로부터 식용 및 약용으로 널리 사용되었다. 민간요법에서 갈근(PuerariaeRadix)은 감기, 두통, 해갈, 당뇨병, 설사, 이질 등의 치료에 사용했으며, 한방에서는 고혈압, 관상동맥경화증, 협심증, 노인성 당뇨, 숙취제거, 발한 및 해열 등에 사용했다.
또한 최근의 연구결과에서 혈압강하 작용, 항염작용,항산화 작용, 알코올 해독 및 간장보호작용 등의 효능이 보고된 바 있다.
갈근의 대표적인 생리활성 물질에는 isoflavone, saponin, 식물성 sterol과 phenol 화합물 등이 있다. Isoflavone에는 daidzin과 genistin 및 puerarin이 대표적인 성분이다.
상기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는 미나리아재비과(Ranunculaceae)에 속하는 승마(Cimicifugaheracleifoliakomarov) 또는 동속식물의 뿌리줄기를 말하며,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쬐어 말린 것을 쓰며 우리나라에서 자생한다. 다양한 종류의 9,19-cyclolanostane배당체가 승마에서 발견되었으며 acetylshengmanolxyloside와 cimicifugoside H-1도 승마에서 발견된 배당체다. 그 외에 cimicifugin, khellol, amminol, caffeic acid, ferulic acid 등의 화합물이 알려져 있다.
외관은 암갈색으로 많은 뿌리가 남아 있고, 향은 없으며, 청열해독작용이 강하여, 두통, 피부질환 등에 사용한다. 또한 미용에 응용 가능한 약물들을 열거하였는데, 그 중 승마가 미백, 반점, 기미, 주근깨 등에 효과가 있다.
상기 황련(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은 미나리아재비과에 속한 다년생 초목으로서, 다양한 병원균에 대해 강한 항균작용을 나타내며 항염증, 항산화, 지혈, 혈압강하 및 항암 효과가 우수하다. 그 중에서 특히 항염증 효과가 탁월하다고 알려져 있는데, 황련 추출물이 염증매개체인 IL-1, IL-6, TNF-α, PGE2, NO의 생성을 억제시킨다는 연구가 다수 보고된 바 있다.
상기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한국, 중국 등지에서 오래전부터 약용으로 이용해 온 꿀풀과의 다년생초본이다. 황금은 강력한 약리작용을 발취하는 작물로 알려져 있으며, 항균, 항바이러스, 항암 및 항산화 효과를 위한 대체 의학의 재료로 활용되어 왔다. Baicalin, baicalein 및 wogonin 등이 황금이 유효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까지 약 50여종의 flavones이 확인되었다.
황금은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서의 효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예로부터 민간처방 약재로 사용되었을 뿐만 아니라 하방에서는 뿌리를 말려서 이질(dysentery), 발열(pyrexia), 황달(jaundice) 및 옹(carbuncle)의 치료제로 사용되고 있다.
황금의 뿌리에는 baicalein, baicalin, wogonin, acteoside와 같은 falvonoid계와 wogonoside, neobaicalein, roxylin, oroxylin A, skullcapflavone, dihydrooroxylin A, chrysin, stigmasterol, 베타-sitosterol등 생리활성 성분이 있으며, 이들 성분이 free radical 제거 및 항산화 활성 뿐만 아니라 in vitro와 in vivo에서 항균, 항알레르기, 항염증, 이뇨, 답즙배출, 항경련, 고혈압저하 및 해열작용은 물론 중추신경계와 지질대사 등의 다양한 약리효과를 나타낸다고 보고하고 있다.
상기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는 콩과(Leguminos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Glycyrrhiza uralensis, G inflata, G glabra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건조한 생약으로 glycyrrhizin을 6~14%로 함유하고 있어 달고 독이 없으며 따뜻한 기운을 가지고 있으며 항염증 작용, 항산화 작용, 항암효과, 간염치료효, 결핵치료 효과 등의 다양한 약리작용을 가진다.
감초의 성분 중 생리 활성 및 약리 작용을 가지는 물질로는 glycyrrhizin, licorion, teprenon 등이 있고 항균 ·항산화 활성에 관련된 물질은 flavonoid, terpenoid, quinone 등이 있다. 특히 감초 75% 에탄올추출물의 항균 활성 물질은 flavanone 화합물의 일종인 liquiritigenin이고, isoflavone 화합물의 일종인 glabridin 또한 항균활성과 항산화 활성을 갖는다.
상기 계지(Cinnamonum cassia Presl)는 녹나무과(Lauracease)의 상록수로 한방에서는 계피, 계지를 약제로 사용한다. 상기 계피는 계수나무의 수피이며 계지는 계수나무의 나뭇가지 중에서도 가장 가늘고 껍질이 얇으며 연한 것을 말한다.
상기 약재는 1종 또는 2종 이상을 배합(배합 1)하여 사용하나,
바람직한 배합예(배합 2)로서, 가자(Terminalia chebula) 0.1~30wt%,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0.1~30wt%, 괴화(Sophora japonica) 0.1~30wt%, 단삼(Salviae Miltiorrhizae) 0.1~30wt%, 마가목(Sorbus commixta) 0.1~30wt%, 마치현(Portulaca oleracea) 0.1~30wt%, 작약(Paeonia lactiflora) 0.1~30wt%, 빈랑자(Areca catechu) 0.1~30wt%,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0.1~30wt%, 소목(Caesalpinia sappan) 0.1~30wt%, 음양곽(Epimedium koreanum) 0.1~30wt%, 정향(Syzygium aromaticum) 0.1~30wt%, 지골피(Lycium chinense) 0.1~30wt%,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 0.1~30wt%, 초두구(Alpinia katsumadai) 0.1~30wt%, 포공영 (Taraxacum platycarpum) 0.1~30wt%, 홍화(Carthamus tinctorius) 0.1~30wt%, 갈근(Puerariae thunbergiana) 0.1~30wt%,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0.1~30wt%, 황련(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0.1~30wt%, 황금(Golden thread) 0.1~30wt%,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0.1~30wt%, 계지(Cinnamonum cassia Presl) 0.1~3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가자(Terminalia chebula) 4.5wt%,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0.10.1] 4.5wt%, 괴화(Sophora japonica) 4.5wt%, 단삼(Salviae Miltiorrhizae) 4.5wt%, 마가목(Sorbus commixta) 4.5wt%, 마치현(Portulaca oleracea) 4.5wt%, 작약(Paeonia lactiflora) 4.5wt%, 빈랑자(Areca catechu) 4.5wt%,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4.5wt%, 소목(Caesalpinia sappan) 4.5wt%, 음양곽(Epimedium koreanum) 4.5wt%, 정향(Syzygium aromaticum) 4.5wt%, 지골피(Lycium chinense) 4.5wt%, 지유(Sanguisorba officinalis) 4.5wt%, 초두구(Alpinia katsumadai) 4.5wt%,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 4.5wt%, 홍화(Carthamus tinctorius) 4.5wt%, 갈근(Puerariae thunbergiana) 3.0wt%,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4.5wt%, 황련(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3.5wt%, 황금(Golden thread) 3.5wt%,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4.5wt%, 계지(Cinnamonum cassia Presl) 4.5wt%로 혼합조성된 것을 사용한다.(배합 3)
더욱 바람직한 배합예(배합 4, 5)로는,
약재는 지골피(Lycium chinense) 10~30wt%, 빈랑자(Areca catechu) 10~30wt%, 갈근(Puerariae thunbergiana) 10~30wt%,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10~3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약재를 사용하거나,
또는 지골피(Lycium chinense) 10~30wt%, 빈랑자(Areca catechu) 10~30wt%, 황련(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10~30wt%, 황금(Golden thread) 10~30wt% 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약재로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지골피(Lycium chinense) 25wt%, 빈랑자(Areca catechu) 25wt%, 갈근(Puerariae thunbergiana) 25wt%,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2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약재로 사용하거나,(배합 6)
또는 지골피(Lycium chinense) 25wt%, 빈랑자(Areca catechu) 25wt%, 황련(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25wt%, 황금(Golden thread) 25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을 약재로 사용한다.(배합 7)
상기 약재 발효추출물의 구체적인 제조예는 다음과 같다.
증류수 95wt%와 약재 5wt%를 혼합한 후 4시간 동안 전탕하여 탕액을 제조한다. 이때 약재는 상기 구체적인 배합예(배합 3, 6, 7)로 제시된 것 중 1을 선택하여 사용하되, 배합예(배합 3, 6, 7)에 따라 100wt%로 조성된 것 중 5wt%를 취하여 사용한다. 그리고 상기 약재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건조하여 믹서기(HMF-985)로 분쇄한 다음 mesh sieve(0.42mm)로 분말의 입도를 균일하게 한 후 4℃에서 냉장 보관한 것을 사용한다.
상기 제조된 탕액 90wt%, 상기 탕액 제조에 사용된 약재와 동일한 약재 4wt%, 설탕 6wt%를 혼합하여 11일간 자연발효한 후, 증류수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침전여과 과정을 거쳐 당을 제거한다.
구체적인 예로는, 3회에 걸쳐 증류수와 에탄올의 혼합물에 침전 여과과정을 거치되, 1회에는 증류수와 에탄올을 1:3 중량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고, 2회에는 증류수와 에탄올을 1:55 중량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하고, 3회에 증류수와 에탄올을 1:19 중량비율로 배합하여 사용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당을 제거한 후에는 약재 액상 발효액을 감압농축(740mmHg, 60℃, 6시간)하고, 감압농축과정을 거친 발효물을 -60℃, 11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다.
상기의 추출방법을 통해 수득한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을 이용하여 조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는 다음의 표 1과 같다.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3)
성분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솔잎 발효추출물 40wt% 35wt% 30wt%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40wt% 35wt% 30wt%
약재 발효추출물* 20wt% 30wt% 40wt%
합계 100wt% 100wt% 100wt%
(* 상기 약재 발효추출물은 배합 3에 따라 조성된 약재로부터 제조된 발효추출물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산화 기능성을 더욱 높이기 위하여, 아마씨, 포도씨, 와송, 양파껍질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으로부터 수득된 항산화활성 추출물 0.5~10wt%를 더 포함하여 조성된다.
앞서 제시된 성분 구성 외에 본 발명은 항산화 기능성을 더욱 강화시키기 위하여, 아마씨 추출물 0.1~0.5wt%, 포도씨 추출물 0.1~0.5wt%, 와송 추출물 0.1~0.5wt%, 양파껍질 추출물 0.1~0.5wt%를 더 포함하여 조성하거나,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추출물 0.1~0.5wt%,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추출물 0.1~0.5wt%,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 0.1~0.5wt%를 더 포함하여 조성하거나,
또는 매생이(Caposiphon fulvescens) 추출물 0.1~0.5wt%, 파래(Enteromorpha intestinalis) 추출물 0.1~0.5wt%, 미역(Undaria pinnatifida) 추출물 0.1~0.5wt%를 더 포함하여 조성한다.
상기 아마씨(Flaxeed)의 학명은 Linum usitatissimum이고, 아마과(Linaceae) 식물의 종자로 자생력이 강하며, 약 40%의 유지를 함유한 종유작물이다.
아마씨의 영양성분은 지방, 단백질, 식이섬유, 무기질 및 비타민 등 수많은 필수성분이 집약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높은 함량의 a-linolenic acid의 높은 함량과 오메가-3 지방산, 리그난, 토콜페롤, 엽산, 미네랄 등 다양한 필수성분과 아미노산을 함유하고 있으며 동의보감에 의하면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지질 저하효과, 항암효과, 골대사에 관하여 서양에서는 예로부터 약리효과로 인정되었다. a-linolenic acid는 혈중 콜레스테롤을 배출시켜 동맥경화증 치료와 간 해독, 피부보습, 노화억제 등의 기능을 한다.
아마씨의 일반 성분은 조지방 36.6∼42.5%, 탄수화물은 30.0∼34.5%, 조단백질은 18.0∼22.7%, 조회분은 3.1∼4.0%, 수분은 0.2∼6.8%의 함량을 나타낸다.
상기 아마씨에는 리그난(Lingan)이 매우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다. 리그난은 우리 몸에서 분비되는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로겐의 구조와 유사한 물질이며, 필수 지방산이 많아 보습효과가 좋고 갱년기 여성의 노화로 인한 건조증, 콜라겐 감소와 탄력저하를 해결할 수 있다. 고도의 불포화지방산 대사조절, 간장에서 지방산의 합성감소, 콜레스테롤 흡수와 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콜레스테롤 농도 저하, 알코올 분해를 촉진하면서 간 기능의 개선 및 항고혈압 효과를 갖는다.
상기 아마씨 추출물은 시료 200g에 메탄올(MeOH) 4000ml을 가하여 shaker로 5시간씩 3회 추출하고, 추출액을 여과지(Watman No2)로 여과하고 감압농축(740mmHg, 60℃, 6시간)하여 MeOH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포도(vitis vinifera)는 갈대나무목(Rhamnales) 포도과(vitaceae)에 속하는 낙엽성 덩굴식물로, 포도과에는 11속, 700여종의 포도가 있다.
포도(Vitis vinifera Linne)에는 유기산, 비타민, 미네랄은 물론anthocyanins, benzoic acid, flavonol, procyanidin, prophylgallate 등의 페놀성 화합물과 항산화물질로 알려져 있는 resveratrol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어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저하시켜 동맥경화, 뇌졸중, 심장병 예방 및 치료효과가 있으며 항암, 항산화, 항진균 작용을 한다.
포도씨에는 카테킨, 레스베라트롤, 탄닌 등의 항산화 성분들이 포함되어 항산화, 항염증,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등의 생리 효과를 지니고 있다.
상기 포도씨 추출물은 포도씨 분말시료 300g에 대하여 10배의 MeOH를 가하여 Shaker로 6시간씩 3회 반복 추출한 뒤 추출액을 여과지(Watman No2)로 여과하고 감압농축(740mmHg, 60℃, 6시간)하여 MeOH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와송(Orostachys japonicus A Berger)은 돌나물과(Crassulaceae)의 다년생 초본식물로서 일명 바위솔, 신탑, 탑송이라 불리는 경천과에 속한다.
와송의 일반성분은 수분(48.5%)이 가장 많고, 그 외 탄수화물(38.2%), 조섬유(15.8%), 조단백(13.2%), 환원당(12%) 등이 포함되어 있다. 또한 와송에는 알루미늄(Al), 칼슘(Ca), 구리(Cu), 철(Fe), 칼륨(K), 마그네슘(Mg), 망간(Mn), 나트륨(Na), 인(P), 아연(Zn) 등의 무기질을 포함하고 있으며, 그 중 칼슘과 칼륨의 함량이 높다. 와송은 총 17종의 아미노산으로 조성되어 있고 글루탐산(glutamic acid)의 함량이 가장 높으며, 그 밖에 아스파르트산(aspartic acid)과 류신(leucine), 알라닌(alanine), 발린(valine), 티로신(tyrosine) 등이 있다. 와송의 유리당은 글루코스(glucose), 수크로오스(sucrose)가 주된 유리당이며 프룩토오스(fructose), 갈락토오스(galactose), 말토오스(maltose)로 구성되어 있다.
와송은 무기질 등의 기본 영양성분을 비롯해 와송의 항산화와 항암 작용을 하는 생리 활성 성분이 높은 여름과 가을에 채취하여 약용으로 사용한다. 한방에서는 청열, 해독, 이습, 지혈, 소종 등을 치료하는데 사용되고 있으며, 오래전부터 민간요법으로서 암의 치료제로 이용된 바 있다.
상기 와송 추출물은 시료 중량에 대하여 20배의 메탄올을 가하여 65~80℃에서 5시간 동안 환류 냉각하면서 3회 반복 추출한다. 추출액을 여과지(Watman No2)로 여과하고 감압농축(740mmHg, 60℃, 6시간)하여 MeOH 추출물을 수득한다.
양파 (Allium cepa L)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재배 역사가 오래되었고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향신료 중의 하나로 고추, 마늘 등과 더불어 우리 식단에 없어서는 안 되는 주요한 조미채소 중의 하나이다.
양파의 수분은 약 88~90 %, 탄수화물은 6.8~10.0 %로 조성으로는 과당(fructose)이 가장 많고, 포도당(glucose)과 설탕 (sucrose)은 거의 같은 양이 포함되어 있으며 다당류도 많다. 이들 다당류를 구성하는 당은 galactose, arabinose, ribose 및 rhamnose 등이 있으며 전분은 거의 함유되어 있지 않다.
양파의 주요한 생리활성물질로는 강력한 항산화능과 체내 지방 수준을 감소시켜주는 기능을 가진 플라보노이드(flavonoid)와 황 화합물 (sulphur compounds)이 대표적이다.
상기 양파 추출물은 양파껍질과 양파육질을 동량으로 취하여 70%에탄올을 10배씩 가하고 실온에서 12~15시간 침출시킨 후 여과하고 나머지 잔사를 같은 방법으로 2회 반복 추출하여 여과시킨 후에 감압농축(740mmHg, 60℃, 6시간)시켜 농축액을 얻는다. 농축액은 동결건조하여 -18℃에서 냉동보관하면서 시료로 사용한다.
상기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은 민주름버섯목(Aphyllophorales), 꽃송이버섯과(Sparassidaceae), 꽃송이버섯속(Sparassis)에 속하고 은은한 향과 씹는 질감이 좋아 식용뿐만 아니라 약용에도 쓰이는 버섯이다.
식이섬유가 풍부하고 포도당이 베타-1, 3-글루칸으로 연결된 주쇄에 베타-1, 6-글루칸이 결합된 가지를 이루고 있는 고분자 다당류로 베타 글루칸의 함량이 식용 가능한 버섯 중에서 가장 높다고 보고되어 있다. 꽃송이 버섯의 일반성분에서 총 식이섬유(TDF, total dietary fiber) 분석에서 불용성 식이섬유가 61.8 g/100 g, 수용성 식이섬유가 2.6 g/ 100 g 으로 총식이섬유 중 96%가 불용성 식이섬유이다.
상기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은 상황이라는 말은 중국에서 유래된 말로 桑(뽕나무상)黃(누를황)이라 쓰며, 우리말로는 진흙버섯이라 한다. 담자균류(Basidiomycetes) 소나무 비늘 버섯과(Hymenochaetaceae)에 속하는 버섯이며, 진흙버섯(phellinus)에 속하는 흰색 발후균 버섯이다. 고산지대에서 서식하고 있는 활엽수 또는 산뽕나무의 고목에서 자생하는 번식이 잘 되지 않는 매우 희귀한 담자균류의 다년생 버섯으로 목질진흙(상황)이라 한다.
상기 차가버섯은 러시아에서 자생하는 검은 자작나무 암종병균의 일종으로 학명은 Inonotus obliquus이다. 항암 생리활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차가버섯의 유효성분으로는 페놀, 알데히드, β-글루칸, 옥시페놀카본산, 폴리페놀등이 있으며, 약리학적 활성을 지닌 리그닌도 차가 버섯의 주요성분 중 하나이다. 차가버섯은 또한 호르몬과 호르몬계에 영향을 끼쳐 인체의 적응력을 높여주고 면역력을 향상시키는 스테로이드 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으며, 중앙신경계 활동과 호르몬계 활동 그리고 신진대사를 자극함으로써 인체의 외적, 내적 저항력을 높이며 항암 생리활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상기 매생이(seaweed fulvescens,Capsosiphon fulvescens)는 갈파래목 갈파래과에 속하는 녹조식물로 최근 각광을 받고 있는 해조류 중의 하나이다.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다른 해조류에 비해 월등히 높으며 비타민 A,C 및 지방산도 다량 함유 하고 있어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식물이다.
매생이에 대한 연구로는 면역 및 항암을 억제하는 효과, 지질 과산화를 억제하는 효과 및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을 저해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파래(Enteromorpha intestinalis)는 3대 영양소 중에서 탄수화물과 단백질이 다량으로 포함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비타민 A, 비타민 B1, 리보플라민, 나이아신도 매우 풍부하여 체구성 물질로서 뿐만 아니라 열량 면에서 도 우수한 식품이다. 미네랄로는 칼슘과 철분이 많이 들어 있고 대장의 연동운동을 돕는 식물성 섬유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배변을 원활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미역(Undaria pinnatifida)은 미역과(시엽조과Alariaceae) 식물로서 겨울에서 2~4 월까지 경엽이 무성할 때 지상부분을 채취하여 폭건한 후 식품 또는 약재로 사용하고 있다.
미역은 줄기와 잎 등 부위별로 함량이 다르지만, 탄수화물 35.3%, 회분 30.8%, 단백질 15%, 수분 13%, 지방 3.2%, 섬유질 2.7%, 카로틴, 비타민(A, B1, B2, B3, B12, C) 등의 성분과 약리작용을 갖는 요오드, 브롬, 칼슘이 약 1.8%, 유기산 1.6%, 알긴산, 알라닌, 글리신, 프롤린, 팔미트산, fucosterol, fucoidan, 마니톨 등이 함유되어 있다.
미역은 혈압과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내리며, 갑상선 기능부족을 바로 잡고, 조직이나 혈액에 들어간 후 병리적 산물의 흡수를 촉진시켜 병태조직을 붕괴하고 용해시키는 작용을 하고, 위암치료의 식이요법으로 미역을 권한 바와 같이 미역이 항암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조성물에 아마씨 추출물 0.1~0.5wt%, 포도씨 추출물 0.1~0.5wt%, 와송 추출물 0.1~0.5wt%, 양파껍질 추출물 0.1~0.5wt%를 더 첨가하여 조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실시예4~6)는 다음의 표 2와 같다.
성분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솔잎 발효추출물 35wt% 35wt% 35wt%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35wt% 35wt% 35wt%
약재 발효추출물 29.6wt% 28.8wt% 28wt%
아마씨 추출물 0.1wt% 0.3wt% 0.5wt%
포도씨 추출물 0.1wt% 0.3wt% 0.5wt%
와송 추출물 0.1wt% 0.3wt% 0.5wt%
양파껍질 추출물 0.1wt% 0.3wt% 0.5wt%
합계 100wt% 100wt% 100wt%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조성물에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추출물 0.1~0.5wt%,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추출물 0.1~0.5wt%,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 0.1~0.5wt%를 더 첨가하여 조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실시예 7~9)는 다음의 표 3과 같다.
성분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솔잎 발효추출물 35wt% 35wt% 35wt%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35wt% 35wt% 35wt%
약재 발효추출물 29.7wt% 29.1wt% 28.5wt%
꽃송이버섯 추출물 0.1wt% 0.3wt% 0.5wt%
상황버섯 추출물 0.1wt% 0.3wt% 0.5wt%
차가버섯 추출물 0.1wt% 0.3wt% 0.5wt%
합계 100wt% 100wt% 100wt%
솔잎 발효추출물,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약재 발효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조성물에 매생이(Caposiphon fulvescens) 추출물 0.1~0.5wt%, 파래(Enteromorpha intestinalis) 추출물 0.1~0.5wt%, 미역(Undaria pinnatifida) 추출물 0.1~0.5wt%를 더 첨가하여 조성되는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예(실시예 10~12)는 다음의 표 4와 같다.
성분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솔잎 발효추출물 35wt% 35wt% 35wt%
스피루리나 발효추출물 35wt% 35wt% 35wt%
약재 발효추출물 29.7wt% 29.1wt% 28.5wt%
매생이 추출물 0.1wt% 0.3wt% 0.5wt%
파래 추출물 0.1wt% 0.3wt% 0.5wt%
미역 추출물 0.1wt% 0.3wt% 0.5wt%
합계 100wt% 100wt% 100wt%
[시험예 1]
상기 실시예 1 내지 12를 통해 제시된 화장료 조성물의 항산화능을 측정함으로써 화장품에 적용가능한지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1) DPPH법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12)에 대해 피부노화 및 피부면역강화의 원인 물질로 특히 간주되고 있는 free radical 소거활성을 측정하였다.(DPPH법 이용)
메탄올에 용해시킨 0.3mM DPPH 용액 2㎖과 에탄올 2㎖를 혼합한 후, 여기에 실시예 4 내지 1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각각 2㎖씩 첨가한다.
실온에서 15분간 방치한 후 분광광도계(spectrophotometer)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활성의 크기는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넣은 것을 실험군으로 하고, 화장료 조성물을 넣지 않은 것을 대조군으로 하여 DPPH의 활성 저해율로 나타내었다.
free radical 소거 활성은 DPPH의 농도가 50% 감소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FSC50, ㎍/mL)로 표기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5와 같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대조군
free
radica
l
소거
활성
5.82 5.90 5.98 4.62 4.85 4.95 4.53 4.65 4.86 5.01 5.23 5.62 22.02
항산화 능력은 안정한 free radical인 DPPH와의 반응을 통하여 알아볼 수 있는 것으로서, 표 5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라디칼 소거 활성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확연하게 크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Luminol 발광법을 이용한 Fe 2+ - EDTA/H 2 O 2 계에 있어서 활성산소 소거 활성
Fe3+ -EDTA/H2O2계는 각종 ROS를 생성시키고, 철은 이 반응을 촉매한다. 따라서 이 계를 이용하면 ROS에 대한 총 항산화능을 측정할 수 있다. 생성된 ROS의 검출은 luminol과 ROS 사이의 반응을 통한 화학발광을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화학발광 측정용 튜브에 증류수 2㎖를 넣고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1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넣었다. 여기에 3mM EDTA 40㎕ 및 5mM FeCl3· 6H2O 10㎕를 가한 후 36mM luminol 80㎕를 넣고 흔들어 섞어 준다.
상기 화학발광 측정용 튜브를 화학발광기의 셀 홀더(cell holder)에 넣고 6분간 항온을 유지한 후, 150mM H2O2 40 ㎕를 넣고 화학발광을 30분 동안 측정한다.
대조군(control)은 실시예 1 내지 12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 대신에 증류수를 넣고, 공시험(blank)은 실험군과 조건이 동일하나 H2O2와 FeCl3· 6H2O를 첨가하지 않은 것으로 하였다.
활성산소 소거활성의 크기는 화학발광의 세기가 50% 감소되는데 필요한 시료의 농도(reactive oxygen species scavenging activity, OSC50, ㎍/mL)로 표기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의 표 6과 같다.
실시예1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실시예5 실시예6 실시예7 실시예8 실시예9 실시예10 실시예11 실시예12 대조군
활성
산소
소거
활성
1.78 1.72 1.70 1.50 1.48 1.42 1.49 1.47 1.45 1.52 1.51 1.47 2.45
상기 표 6을 통해 확인되는 바와 같이 화장료 조성물의 활성산소 소거활성(총항산화능, OSC50)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크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은 앞서 제시된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 전체 중량에 대해 0.1~50wt%로 첨가하여 제조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첨가량이 0.1wt% 미만인 경우에는 조성물을 통한 항산화기능성을 부여하기 어렵고, 50wt%를 초과하게 되는 경우에는 화장품의 기본 조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고 제조단가의 상승으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화장품 전체 중량에 대해 0.1~50wt%의 범위 내로 한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위에서 살펴본 화장료 조성물(실시예 1~12)을 이용하여 제조된 화장품(로션)에 대한 구체적인 예(실시예 13~24)는 다음의 표 7과 같다.(단위:wt%)
구분 원료명 실시예13 실시예14 실시예15 실시예16 실시예17 실시예18 실시예19 실시예20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비교예1
유상 Butly
parab
en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Parso
l mcx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0.20
Cetan
ol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80 0.80
Arlac
el165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Tagoc
are45
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Meado
wfoam
Seed
oil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Vitam
ine E
Aceta
te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DC
345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Salac
os99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Silic
one
200F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수상 Methy
lpara
ben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TEA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0.10
Glyce
rin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2.00
EDTA
2Na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0.01
Propy
lene
Glyco
l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4.00
DI
Water
68.2 68.2 68.2 68.2 68.2 68.2 68.2 68.2 68.2 68.2 68.2 68.2 73.2
점증제 Carbo
pol
940
0.14 0.14 0.14 0.14 0.14 0.14 0.14 0.14 0.14 0.14 0.14 0.14 0.14
DIW
ater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7.00
향료 향료(D
4174
9)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실시예1 화장료
조성물
5.00 0 0 0 0 0 0 0 0 0 0 0 0
실시예2 화장료
조성물
0 5.00 0 0 0 0 0 0 0 0 0 0 0
실시예3 화장료
조성물
0 0 5.00 0 0 0 0 0 0 0 0 0 0
실시예4 화장료
조성물
0 0 0 5.00 0 0 0 0 0 0 0 0 0
실시예5 화장료
조성물
0 0 0 0 5.00 0 0 0 0 0 0 0 0
실시예6 화장료
조성물
0 0 0 0 0 5.00 0 0 0 0 0 0 0
실시예7 화장료
조성물
0 0 0 0 0 0 5.00 0 0 0 0 0 0
실시예8 화장료
조성물
0 0 0 0 0 0 0 5.00 0 0 0 0 0
실시예9 화장료
조성물
0 0 0 0 0 0 0 0 5.00 0 0 0 0
실시예10 화장료
조성물
0 0 0 0 0 0 0 0 0 5.00 0 0 0
실시예11 화장료
조성물
0 0 0 0 0 0 0 0 0 0 5.00 0 0
실시예12 화장료
조성물
0 0 0 0 0 0 0 0 0 0 0 5.00 0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2]
상기 실시예 1 내지 12에서 제시된 항산화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여 제조된 화장품 로션(실시예 13~24)과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하지 않은 화장품 로션(비교예 2)의 보습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대상은 과거에 알레르기성 질환이나 아토피 피부염 등의 질환 병력이 없는 22~28세의 건강한 피부를 가진 남여 60명을 피험자를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시험 부위는 팔 하박 부위로 한정하였다.
피험자들을 5명씩 12 그룹으로 나누어, 제1그룹은 실시예 13의 화장품 로션을, 제2그룹은 실시예 14의 화장품 로션을, 제3그룹은 실시예 15의 화장품 로션을, 제4그룹은 실시예 16의 화장품 로션을, 제5그룹은 실시예 17의 화장품 로션을, 제6그룹은 실시예 18의 화장품 로션을, 제7그룹은 실시예 19의 화장품 로션을, 제8그룹은 실시예 20의 화장품 로션을, 제9그룹은 실시예 21의 화장품 로션을, 제10그룹은 실시예 22의 화장품 로션을, 제11그룹은 실시예 23의 화장품 로션을, 제12그룹은 실시예 24의 화장품 로션을 이용하여 피부의 보습효과를 5점 척도법으로 평가하였다. 그리고 그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단 각 피험자는 동일한 비누를 이용하여 팔의 하박부위를 씻은 후 항온항습조건(온도 26℃, 상대습도 45%)에서 20분 동안 시험부위를 안정화시킨 다음 실험을 진행하였다.
구분 보습효과 평균점수
실시예13 3.2 = [(4점*1)+(3점*4)/5]
실시예14 3.4 = [(4점*2)+(3점*3)/5]
실시예15 3.4 = [(4점*2)+(3점*3)/5]
실시예16 4.2 = [(5점*2)+(4점*2)+(3점*1)/5]
실시예17 4.2 = [(5점*2)+(4점*2)+(3점*1)/5]
실시예18 4.6 = [(5점*3)+(4점*2)/5]
실시예19 3.4 = [(5점*1)+(3점*4)/5]
실시예20 3.8 = [(5점*2)+(3점*3)/5]
실시예21 4.2 = [(5점*3)+(3점*2)/5]
실시예22 3.4 = [(5점*1)+(3점*4)/5]
실시예23 3.4 = [(5점*1)+(3점*4)/5]
실시예24 3.8 = [(5점*2)+(3점*3)/5]
비교예2 2.4 = [(3점*2)+(2점*3)/5]
(1: 매우 나쁘다, 2: 나쁘다, 3: 보통이다, 4: 좋다, 5: 매우 좋다)
상기 표 8의 결과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한 화장품 로션(실시예 13~24)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포함하지 않은 화장품 로션(비교예 2)과 비교하여 볼 때 보습효과가 매우 뛰어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6~18 및 21에 따른 화장품 로션의 보습효과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로션 보다 좋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아마씨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와송 추출물, 양파껍질 추출물을 더 포함하여 조성하는 화장품 로션을 제조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고 판단할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른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은 발효과정을 통해 솔잎, 스피루리나, 약재에 포함되어 있는 유용성분을 증진시킨 후 이들 성분들의 혼합을 통해 높은 항산화 기능을 가짐으로써 피부 노화에 중요한 원인으로 작용하는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가지며, 또한 항산화 기능 외에 천연물질에 의한 항균, 보습, 미백효과를 갖는 화장품을 제공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Claims (3)

  1. 적송에서 채취한 솔잎을 물로 수세하고,
    수세한 솔잎 표면의 물기를 제거한 후 절단하고,
    절단한 솔잎 35~64.5wt%, 물(water) 35~64.5wt% 및 수크로스 0.5~1.5wt%를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하고,
    상기 혼합물 중의 유용 성분이 삼투압에 의해서 용출됨과 동시에 자연발효가 일어나도록 18~25℃에서 30~90일 동안 발효시키면서 10~15일 간격으로 전체 중량의 0.1~0.5wt%의 수크로스를 추가로 첨가하여 발효시키고,
    발효과정을 거쳐 수득한 솔잎 액상 발효물을 감압농축하고,
    감압농축 과정을 거친 발효물을 -65℃ ~ -50℃, 8~15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솔잎 발효추출물(A) 1~80wt%;
    스피루리나를 2,000~3,000rpm에서 10~20분간 원심분리하여 가라앉은 스피루리나를 회수하고,
    이와 같이 회수한 스피루리나에 70% 에탄올(ethanol)을 45배~55배로 가하여 38~42℃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상기 추출물을 2,500~3,500rpm에서 10~15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수득하고, 상기 상등액을 발효조에 투입하고 발효조의 당도를 20~25° Brix로 조정한 후 35~37℃의 조건에서 자연미생물에 의한 자연 발효를 10~15일간 진행하여 발효물을 수득한 후,
    상기 발효물을 감압농축한 후 -65℃ ~ -50℃, 8~15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스피루리나발효추출물(B) 1~80wt%;
    증류수 90~96wt%와 약재 4~10wt%를 혼합한 후 3~5시간 동안 전탕하여 탕액을 제조하고, 상기 탕액 85~90wt%, 약재 5~10wt%, 설탕 5~10wt%를 혼합하여 9~11일간 자연발효한 후, 증류수와 에탄올을 이용하여 침전여과 과정을거쳐 당을 제거하고,
    당을 제거한 약재 액상 발효물을 감압농축하고,
    감압농축 과정을 거친 발효물을 -65℃ ~ -50℃, 8~15mmHg의 조건에서 동결건조하여 분말상으로 제조한 약재발효 추출물(C) 1~80wt%;의 혼합(A+B+C)으로 조성된 것으로서,
    상기 약재는 가자(Terminalia chebula) 0.1~30wt%, 고량강(Alpinia officinarum) 0.1~30wt%, 괴화(Sophora japonica) 0.1~30wt%, 단삼(Salviae Miltiorrhizae) 0.1~30wt%, 마가목(Sorbus commixta) 0.1~30wt%, 마치현(Portulaca oleracea) 0.1~30wt%, 작약(Paeonia lactiflora) 0.1~30wt%, 빈랑자(Areca catechu) 0.1~30wt%, 산초(Zanthoxylum schinifolium) 0.1~30wt%, 소목(Caesalpinia sappan) 0.1~30wt%, 음양곽(Epimedium koreanum) 0.1~30wt%, 정향(Syzygium aromaticum) 0.1~30wt%, 지골피(Lycium chinense) 0.1~30wt%, 지유 (Sanguisorba officinalis) 0.1~30wt%, 초두구(Alpinia katsumadai) 0.1~30wt%,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 0.1~30wt%, 홍화(Carthamus tinctorius) 0.1~30wt%, 갈근(Puerariae thunbergiana) 0.1~30wt%, 승마(Cimicifuga heracleifolia) 0.1~30wt%, 황련(Scutellaria baicalensis George) 0.1~30wt%, 황금(Golden thread) 0.1~30wt%,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 0.1~30wt%, 계지(Cinnamonum cassia Presl) 0.1~30wt%의 혼합으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의 전체 중량에 대해 아래의 1, 2 또는 3 중 어느 하나를 더 첨가하여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1. 아마씨 추출물 0.1~0.5wt%, 포도씨 추출물 0.1~0.5wt%, 와송 추출물 0.1~0.5wt%, 양파껍질 추출물 0.1~0.5wt%
    2. 꽃송이버섯(Sparassis crispa) 추출물 0.1~0.5wt%, 상황버섯(Phellinus linteus) 추출물 0.1~0.5wt%, 차가버섯(Inonotus obliquus) 추출물 0.1~0.5wt%
    3 매생이(Caposiphon fulvescens) 추출물 0.1~0.5wt%, 파래(Enteromorpha intestinalis) 추출물 0.1~0.5wt%, 미역(Undaria pinnatifida) 추출물 0.1~0.5wt%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화장료 조성물을 화장품 전체 중량에 대해 0.1~50wt%로 첨가하여 제조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1020190116124A 2019-09-20 2019-09-20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202100343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24A KR20210034320A (ko) 2019-09-20 2019-09-20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6124A KR20210034320A (ko) 2019-09-20 2019-09-20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4320A true KR20210034320A (ko) 2021-03-30

Family

ID=752652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6124A KR20210034320A (ko) 2019-09-20 2019-09-20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343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980A1 (ko) 2021-03-16 2022-09-22 신정훈 단층 권취형 승강 케이블 릴
KR20230089631A (ko) 2021-12-13 2023-06-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면역기능이 향상된 혼합 한약재 조성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2457A (ja) 2010-02-05 2011-08-25 Maruzen Pharmaceut Co Ltd 植物発酵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料
KR20120010687A (ko) 2010-07-27 2012-02-06 닥터후 주식회사 발효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의약품 및 화장품의 조성물
JP2013075225A (ja) 2013-01-30 2013-04-25 Toshiba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1280482B1 (ko) 2010-05-31 2013-07-01 (주)내츄럴코리아 야국화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인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KR101403523B1 (ko) 2012-02-22 2014-06-11 이은영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의 제조방법
KR101430591B1 (ko) 2014-01-08 2014-08-18 최낙문 발효 화장품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62457A (ja) 2010-02-05 2011-08-25 Maruzen Pharmaceut Co Ltd 植物発酵エキス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料
KR101280482B1 (ko) 2010-05-31 2013-07-01 (주)내츄럴코리아 야국화 발효 추출물에 포함된 인중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기능성 화장품
KR20120010687A (ko) 2010-07-27 2012-02-06 닥터후 주식회사 발효인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 식품, 의약품 및 화장품,의약품 및 화장품의 조성물
KR101403523B1 (ko) 2012-02-22 2014-06-11 이은영 발아 곡물의 발효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발효 화장품의 제조방법
JP2013075225A (ja) 2013-01-30 2013-04-25 Toshiba Corp 医用画像診断装置および画像表示方法
KR101430591B1 (ko) 2014-01-08 2014-08-18 최낙문 발효 화장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96980A1 (ko) 2021-03-16 2022-09-22 신정훈 단층 권취형 승강 케이블 릴
KR20230089631A (ko) 2021-12-13 2023-06-2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면역기능이 향상된 혼합 한약재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hikara et al. Bioactive compounds and pharmacological and food applications of Syzygium cumini–a review
Joseph et al. Review on nutritional, medicin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of guava (Psidium guajava Linn.)
KR101946236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항균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Muhammad et al. The morphology, extractions, chemical constituents and uses of Terminalia chebula: A review
KR101691334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
KR101952695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주름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1903987B1 (ko) 천연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102016027B1 (ko) 피부탄력, 주름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1931549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Raj et al. Plant Opuntia dillenii: A review on its traditional uses,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KR20210034320A (ko)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20110092971A (ko) 항산화 및 항염증 효과를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042657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041419B1 (ko) 피부 상처 개선 기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20190027178A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Dadhwal et al. Ethnopharmacology, pharmacotherapeutics, biomedicinal and toxicological profile of Morus alba L.: a comprehensive review
CN103566150A (zh) 一种具有降血脂作用的药食同源食品的组合物及其应用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171255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미백,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CN107712845A (zh) 火棘果提取物在制备提高视觉敏感度保健食品与药品中的用途
Rehman et al. Biochemical, phytochemical and antioxidant composition of Equisetum debile Roxb
KR101684869B1 (ko) 세리포리아락세라타 추출물 함유 목욕용제
KR101931952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항노화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노화 화장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