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1334B1 -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334B1
KR101691334B1 KR1020160111109A KR20160111109A KR101691334B1 KR 101691334 B1 KR101691334 B1 KR 101691334B1 KR 1020160111109 A KR1020160111109 A KR 1020160111109A KR 20160111109 A KR20160111109 A KR 20160111109A KR 101691334 B1 KR101691334 B1 KR 1016913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d ginseng
ginseng
hot water
extract
pulver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1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승
Original Assignee
최승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승 filed Critical 최승
Priority to KR1020160111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33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24Heat, thermal treatme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50Concentrating, enriching or enhancing in functional factor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을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고 이를 숙성하여 전분을 활성화시킨 후, 열수 추출로 추출하여 농축시켜서 제조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은, 수삼을 정선하여 증숙하고 건조시킨 홍삼을 준비하는 홍삼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된 홍삼을 분쇄하여 홍삼 분쇄물을 제조하는 홍삼분쇄단계(S20); 상기 분쇄된 홍삼 분쇄물을 숙성하는 홍삼 분쇄물 숙성단계(S30); 추출액에 상기 숙성된 홍삼 분쇄물을 혼합하고 60 ~ 65℃에서 열수 추출하는 열수 추출단계(S40); 상기 열수 추출로 추출된 열수 추출물을 60 ~ 65℃에서 농축하는 농축단계(S50); 및 상기 농축단계(S50)에서 농축된 농축물을 50 ~ 55℃의 범위에서 3 ~ 4일간 숙성시키는 농축물 숙성단계(S60)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METHOD FOR PRODUCING RED GINSENG EXTRACT WITH ENHANCED GINSENOSIDE CONTENT, RED GINSENG EXTRACT AND RED GINSENG PROCESSED-FOOD THEREOF}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홍삼을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고 이를 숙성하여 전분을 활성화시킨 후, 열수 추출로 추출하여 농축하고 이를 2차 숙성하여 제조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홍삼은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 (두릅나무과 Araliaceae)의 뿌리를 찐 것으로, ‘인삼산업법’에 따르면 홍삼은 홍삼본삼, 원형홍삼, 홍미삼류 및 기타 홍삼류로 나뉘고 있다. 홍삼본삼은 머리와 몸통 및 다리부분이 같이 붙어 있는 상태로 제조된 것을 말하고, 원형홍삼은 머리, 몸통, 다리 및 다리의 잔뿌리까지 수삼원형 그대로 제조된 것을 말한다. 또한, 홍미삼류는 제조된 홍삼으로부터 분리한 다리 또는 잔뿌리로 제조된 것을 말하며, 기타 홍삼류는 절삼홍삼, 절편홍삼 및 분쇄홍삼을 말한다. 이러한 홍삼의 연근은 4년근, 5년근 및 6년근으로 이용하게 된다.
홍삼성분 함유 제품에는 원기 회복, 면역력 증진, 자양강장 효과 등의 기능이 있으며, 홍삼에는 백삼에 없는 항산화 작용 성분인 말톨과 다양한 아미노산, 유기지방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 위장 등 소화기 계통이 약하면서 원기가 떨어진 사람이 복용하면 효과가 좋다. 홍삼 제조 과정에서 인삼의 주요 약리 작용을 하는 진세노사이드의 화학구조가 변한다. 이때 항암 성분, 항당뇨 성분, 항염증 성분, 항산화 성분, 간 기능 해독 성분, 중금속 해독성분 등 수삼에는 없거나 함유량이 극히 미미했던 성분 10여 가지가 새로 생겨나거나 함유량이 몇 배로 증진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홍삼은 인삼에 비해 장기 보관이 용이하고 효능도 훨씬 좋다.
한편, 홍삼의 원료인 인삼에는 약리 성분으로 알려진 사포닌(saponin)이 광범위하게 분포되어 있다. 인삼에 함유되어 있는 사포닌은 담마란(dammarane)계 사포닌으로서 인삼(Panax)속 식물에만 특이적으로 존재한다. 인삼 사포닌은 최근까지 약 40여종 정도의 구조가 밝혀져 있으며, 뇌기능항진 효능, 항암활성, 면역기능 조절작용, 항당뇨작용, 간 기능 항진효능, 혈압조절기능, 항산화활성 및 노화억제효과가 보고되었다.
수삼을 증숙한 후 건조하여 제조한 홍삼은 이러한 증숙과정에서 수삼이나 백삼과는 다른 성분이 생성된다고 알려져 있다.
홍삼은 인삼에 있는 성분들, 즉 진세노사이드 Rg1, Rb1, Rb2, Rc, Re, Rd등이 증자하는 과정에서 물리화학적 전환체인 진세노사이드 Rg3 가 다량 생성되며, 그 밖에도 진세노사이드 Rh2 와 Rh1 도 소량 함유한다. 일반적으로 진세노사이드는 구조적으로 triterpenoid dammarane 골격에 arabinose, glucose, rhamnose, xylose 등의 당이 결합되어 생성된 배당체로서 인삼의 중요한 약리활성성분이다. 또한 이러한 배당체 화학물질들은 함량과 분포상에서 가장 많고, 식물 유래 의약품 중에서 terpenoid 다음으로 많이 사용되는 천연물질이다.
이처럼, 약리학적 측면에서 인삼과 홍삼의 연구는 사포닌에 대하여 중점적으로 이루어져 ginsenoside -Rb1, -Rc, -Rd, -Rf, -Rg1, -Re 등의 주요 사포닌이 인체에 미치는 약리작용과 가열처리에 의해 변화된 성분 ginsenoside-Rg3, -Rg5, -Rh1, -Rh2, compound K(C-K), F2 등의 사포닌의 약리효능을 규명함으로써 인삼과 홍삼은 같은 식물을 기원으로 하였지만, 전혀 다른 약리효능 및 약리작용을 가지는 것으로 연구되고 있다.
홍삼 산성다당체를 제조하는 일반적인 방식은 홍삼을 70% 에탄올로 추출 후, 추출물에 정제수를 넣고 95 ~ 100℃에서 3시간씩 4회 추출하고, 상기 추출액을 한외여과(Ultrafiltration Kit, Miliporre Co., MA, USA)하여 10KDa 이상의 여과액을 제조한 후, 상기 제조된 여과액을 농축한 다음 5배량의 주정을 혼합 교반하고 저온(4℃)에서 24시간 이상 방치하여 얻은 침전물을 50℃ 이하에서 열풍 건조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에 의해 제조된 홍삼 추출액은 산성다당체의 함량이 낮고, 에탄올 추출 후 다시 열수 추출이 수행됨에 따라 그 산성다당체의 추출 과정이 복잡한 단점이 있다.
인삼으로부터 산성다당체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제조방법으로서, 등록특허공보 제10-1603169호에 산성다당체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의 기술은 (a) 로스팅한 인삼을 절단하여 절단 삼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a)단계의 준비한 절단 삼을 건조하고 팽화시키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팽화시킨 절단 삼을 분쇄한 분말에 에탄올을 혼합한 후 추출하는 단계 및 (d) 상기 (c)단계의 추출한 추출물을 아임계 추출장치에 넣고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기술은 인삼으로부터 산성다당체의 함량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인삼과 홍삼은 같은 식물을 기원으로 하지만 전혀 다른 약리효능 및 약리작용을 가지는 것이며, 이에 따라 인삼으로부터 산성다당체의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상기 기술을 홍삼에 적용한다고 하더라도 동일한 결과물을 얻을 수 없는 한계가 있다.
KR 10-1603169 B1(2016. 03. 08.)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홍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를 용이하게 추출할 수 있는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홍삼 추출액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은, 수삼을 정선하여 증숙하고 건조시킨 홍삼을 준비하는 홍삼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된 홍삼을 분쇄하여 홍삼 분쇄물을 제조하는 홍삼분쇄단계(S20); 상기 분쇄된 홍삼 분쇄물을 숙성하는 홍삼 분쇄물 숙성단계(S30); 상기 숙성된 홍삼 분쇄물을 혼합하고 70 ~ 80℃에서 열수 추출하는 열수 추출단계(S40); 상기 열수 추출로 추출된 열수 추출물을 60 ~ 65℃에서 농축하는 농축단계(S50) 및 상기 농축단계(S50)에서 농축된 농축물을 50 ~ 55℃의 범위에서 3 ~ 4일간 숙성시키는 농축물 숙성단계(S60)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열수 추출단계(S40)는 3 ~ 5회 반복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홍삼분쇄단계(S20)에서 분쇄된 홍삼 분쇄물은 300 ~ 500 메쉬로 분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홍삼으로부터 진세노사이드를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농축액은 면역관련 질환의 예방 및 개선에 탁월한 효능을 얻을 수 있고, 홍삼 농축액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농축액을 이용하여 기능성 식품, 건강보조식품, 음료조성물, 식품첨가제, 차류 및 과자류 등을 제공하여 홍삼 가공업의 발전에 이바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에서 홍삼을 제조하는 과정의 흐름도.
도 3은 비교예 1을 이용하여 제조된 홍삼 추출물의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을 검사한 검사성적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검사한 시험·검사성적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을 제품화하여 생산된 제품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검사한 시험검사성적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홍삼을 분쇄하여 분말로 제조하고 이를 숙성하여 전분을 활성화시킨 후, 열수 추출로 추출하여 농축시켜서 제조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에 관한 것이다.
생체는 면역기능에 의하여 자신을 보호하는데, 면역 시스템은 자기성분(self)과 비자기성분(Non-self)을 식별하여 비자기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가지며, 생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세포가 조화 있게 생존할 수 있도록 항상성을 유지하는데 있다. 그러나 스트레스, 화학물질 노출, 알코올 섭취 등의 요인으로 인해 생체의 항상성의 부조화가 발생하게 되면 면역기능이 붕괴되어 각종 질병이 발생하게 된다. 면역계란 원래 생체 내에 갖추어져 있고 면역기능을 활성화함으로써 각종 질병을 예방하는 기능이 있으며, 면역증진기능은 다른 어떤 기능분야보다도 영양상태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
인삼(홍삼)의 면역증진의 기능성은 인삼(홍삼)성분 중 사포닌 뿐만아니라 다당체에 의해서도 효과도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 산성다당체(RGAP, red ginseng acidic polysaccharide)는 고형암(Sarcoma-180) 종양세포가 이식된 마우스에서 대식세포(macrophage)를 증가시켜 일산화질소생성효소 (nitric oxide synthase)를 유도하여 세균 및 외래항원 살해인자인 NO(nitric oxide) 생성을 증가시키는 등 우수한 면역조절 작용 기능이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또한, 암세포가 이식된 마우스에 투여한 결과 대식세포 및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의 활성화에 의해 현저하게 종양생성이 억제되었고, 우수한 수명연장(life span) 효과도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아울러, 홍삼에는 수삼이나 백삼 등 다른 인삼에는 들어 있지 않은 특이성분들, 중추신경계에 대한 진정작용, 흥분작용, 조혈작용 및 혈당치 저하, 간보호, 내분비계에 작용하여 성행동이나 생식효과에 간접적으로 유효하게 작용하는 효과, 항염 및 항종양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본 발명은 홍삼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증진시킬 수 있는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조된 홍삼 농축액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높여 고지혈증 개선 및 면역조절 능력 개선에 효과적으로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농축액은 통상적인 기호성 식품에 첨가하여 통상적으로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각종 식품을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일반적인 제형으로 제형화 될 수 있으며, 제형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는 재료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의 제조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은 홍삼 준비단계(S10), 홍삼 분쇄단계(S20), 홍삼 분쇄물 숙성단계(S30), 열수 추출단계(S40), 농축단계(S50) 및 농축물 숙성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1. 홍삼준비단계(S10)
홍삼준비단계(S10)는 수삼을 정선하여 증숙하고 건조시킨 홍삼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수삼은 4 ~ 6년근이 사용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 4년근이 사용될 수 있다. 표 1은 수삼의 연근별 사포닌 함량을 조사한 결과이다.
사포닌 함량 4년근 5년근 6년근
천연 사포님 1.26% 1.11% 0.96%
총 사포닌 0.96% 0.78% 0.77%
상기 표 1에 의하면, 총 사포닌의 함량이 4년근에서 가장 우수하고, 5년근과 6년근 순으로 점진적으로 감소되는 경향을 보인다.
4년근은 5년근 및 6년근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내육이 적고 껍질이 더 두꺼워 생장을 위한 세미가 발달되어 있다. 즉, 6년근은 생장이 정지된 단계로서 세미가 4년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그러나 상기 세미에 대한 기술은 일반적인 것으로서, 일부 세미가 잘 생장된 6년근은 4년근보다 총 사포닌이 더 많이 함량될 수 있다. 따라서 4년근과 6년근을 비교하여 어느 것이 더 좋다고 볼 수는 없으나, 가격 대비 6년근보다 4년근이 우세한 장점을 가질 수 있으며, 세미가 잘 발달된 수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준비된 수삼은 크게 세정, 증삼 및 건조 과정을 통해 홍삼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에서 홍삼을 제조하는 과정의 흐름도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홍삼 제조과정은 세정단계(S11), 발효단계(S12), 증삼단계(S13) 및 건조단계(S14)로 이루어질 수 있다.
1-1. 세정단계(S11)
세정단계(S11)는 선별된 수삼을 세척하는 단계이다. 이때, 수삼의 외피 즉 수삼의 껍질에는 많은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기 때문에 수삼의 외피가 상하지 않도록 세척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라, 수삼의 세척은 버블세척과 수압세척을 병행하거나 버블세척 후에 수압세척을 수행하도록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1-2. 발효단계(S12)
발효단계(S12)는 상기 세정단계(S11)를 통해 세척된 수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발효를 시키면서 안정화시키는 과정이다.
이때, 발효는 10℃ 내외의 지하 암반수에 침지하여 12 ~ 24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1-3. 증삼단계(S13)
증삼단계(S13)는 상기 발효단계(S12)를 통해 발효된 수삼을 증삼기를 이용하여 증포(蒸曝)하는 단계이다.
이때, 증삼은 94 ∼ 100℃의 증기(Steam)에서 2 ~ 7시간 동안 증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증삼에 사용되는 증삼액에는 식품 첨가물에서 추출된 추출액이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식품 첨가물은 구기자, 오미자, 산수유, 당귀 및 곡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구기자는 인삼, 하수오와 함께 3대 명약으로 알려져 있는 것으로, 오렌지보다 비타민C가 500배가 많이 함유되어 있고, 많은 양의 베타 카로틴이 함유되어 있다. 베타 카로틴은 인체의 지방조직에 저장되면서 강력한 항산화 작용으로 독성물질과 발암 물질을 무력화시킨다. 즉 카로틴은 인체의 유해산소(활성산소) 작용으로 체내 세포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여 세포를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여 암의 발생과 진행을 저지한다. 또한, 고혈압을 유발하는 안지오텐신 전환 효소의 활성을 막는 효소를 다량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동맥경화와 고혈압 치료에 탁월한 효능을 보이며, 혈관을 튼튼하게 하여 저혈압에도 효과가 좋고, 다당은 백혈구 수를 증가시켜 면역력을 키우는데 효과가 좋고, 특히 노년층에게 체력과 뇌기능 보호하는데 많은 도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ruprecht)는 목련과(Magnoliaceae)에 속하는 낙엽성 만성 목본식물로서, 6 ~ 8월에 꽃이 피어 열매는 9 ~ 10월에 성숙하여 심홍색을 띄우며 서리가 내린 후 채취하여 사용한다. 오미자는 단맛, 신맛, 쓴맛, 매운맛, 짠맛의 다섯 가지 맛이 난다고 해서 그 명칭이 유래된 것으로 껍질과 과육의 맛은 시고 단맛, 과실의 인은 맵고 쓴맛, 전체적으로 짠맛도 있다고 한다. 이 중 가장 주된 맛은 신맛으로 주로 사과산, 주석산 등 높은 수준의 유기산 함량에 기인하며, 구연산이 주종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오미자에 대한 기록을 보면, 도홍경의 명의별록에서‘가장 좋은 오미자는 고려에서 나는 것인데, 이것은 신맛과 단맛이 있다’고 하였다. 이것으로 미루어 보아 우리나라에서는 적어도 삼국시대부터는 오미자를 이용한 식생활이 이루어졌음을 문헌으로나마 알 수 있다. 동의보감에서는 ‘폐와 신을 보하고 허로, 구갈, 번열, 해소를 고친다’고 소개되고 있으며, 예로부터 한방에서 전신쇠약, 정신 육체적 피로, 기관지염, 기관지천식, 신경쇠약, 저혈압, 심장 기능 저하, 영양실조궤양과 상처의 치료 및 시력을 증진시키는데 이용되었으며, 노화 방지와 건망증을 예방하는 약재로도 사용되어 왔다. 옛날부터 우리나라 한의학에서 거담, 자양 및 강장제 등으로 이용되는 생약재로 약리 기능이 다양하여 진정, 진해, 해열 등의 중추 억제 작용, 간 보호 작용, 혈압 강하 작용 및 알코올 해독 작용이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오미자에 관한 연구로서는 중추신경계의 반사 기능 항진 작용을 비롯하여 혈당 강하 작용, 손상된 간 기능의 복구 효과, 항균 및 항궤양 작용, 항암 및 항종양 효과, nitric oxide생성 촉진 작용 및 cortisone에 의한 면역 억제를 증강시키는 작용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층층나무과(Comaceae)에 속하는 약용식물로 그 열매는 길이 1.5cm 내외의 중추원형의 모양이며, 신맛이 두드러져 촉산초라고도 불리며, 자양강장 효과를 가진 천연식품으로 널리 이용하고 있다. 산수유 과육에는 결정성 유기산, 몰식자산, 사과산, 포도주산 등이 있으며, 모르로니시드, 로가닌 등 이리도이드 배당체가 알려져 있고, 민간에 알려진 효능으로는 이뇨작용, 혈압강하작용, 항균작용, 간보호 작용이 있으며, 한방에서는 자양강장, 수렴약으로 콩팥을 보하며, 땀을 자주 흘리고, 오줌이 조금씩 자주 나올 때 사용하고 있다
상기 당귀는 고랭지대에서 주로 재배되는 약용식물로서, 보혈강장 및 진통 작용을 목적으로 냉증, 빈혈, 혈행장애 및 정신증상 등의 부인과 질환에 주로 보혈청혈약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이러한 당귀는 산형과(미나리과, Umbelliferae)에 속하는 2 ~ 3년생 초본식물로서, 현재 국내에서 재배되는 당귀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와 일본수출을 목적으로 재배되는 일당귀(Angelica acutiloba (S. et Z.)Kitagawa)가 있으며, 중국에서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가 주로 재배되고 있다. 이들 당귀는 그 종류에 따라 유효성분의 종류가 다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참당귀의 주요성분은 쿠마린(coumarine)계 물질인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데커시놀(decursinol), 노다케네틴(nodakenetin), 움벨리페론(umbelliferon), 노다케닌(nodaken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및 베타-유데스몰(β-Eudesmol)이 있으며, 일당귀의 주요성분은 버갑텐(bergapten), 히드로프탈리드(hydropthalid), 발레로페놈(valerophenome)이 있다.
중국당귀의 주요성분으로는 부틸이데네프탈리드(butylidenephthalide), 페룰산(ferulic acid), Z-리구스틸리드(Z-ligustillide), 히드로프탈리드(hydropthalid), 발레로페놈(valerophenome)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 곡류는 보리, 콩, 현미, 결명자, 율무, 쌀, 메밀, 수수, 조, 귀리, 이들의 발아물 및 발효물 중에서 하나 이상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증삼액에 혼합되는 추출액은 상기 식품 첨가물을 정선 및 세척하여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분쇄하고, 상기 분쇄된 식품 첨가물을 스티밍(steaming), 블랜칭(blanching), 로스팅(roasting), 팽화(extrusion), 침수(watering) 중 하나 이상의 방식으로 전처리하고. 상기 전처리된 식품 첨가물을 건조시킨 후, 상기 건조된 식품 첨가물을 용매로 추출 후 농축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증삼에 사용되는 증삼액에 사용되는 식품 첨가물은 구기자, 오미자, 산수유, 당귀 및 곡류 중에서 선택된 단일 추출액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둘 이상이 혼합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이 모두 포함된 혼합된 식품 첨가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식품 첨가물이 모두 포함된 혼합된 식품 첨가물의 비율은 구기자 100중량부에 대하여, 오미자 30 ~ 50중량부, 산수유 20 ~ 30중량부 및 곡류 10 ~ 20중량부로 혼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삼액에 혼합되는 추출액(단일의 식품 첨가물 또는 혼합된 식품 첨가물)의 농도는 10 ~ 15%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증삼단계(S13)에서 사용되는 증삼기는 온수에서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는 온수 스팀부와 상기 추출액을 희석시켜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는 추출액 스팀부가 각각 구비되고, 상기 온수 스팀부와 추출액 스팀부가 교번으로 스팀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발효된 수삼이 증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온수 스팀부와 추출액 스팀부가 교번되는 주기는 30초를 1주기로 하여 상기 온수 스팀부 25 ~ 28초, 추출액 스팀부 2 ~ 5초로 구성될 수 있다.
1-4. 건조단계(S14)
건조단계(S14)는 상기 증삼된 수삼을 냉각한 후,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단계이다.
이때, 증삼된 수삼의 건조 조건은 10 ~ 20℃에서 12 ~ 24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으며, 함수율이 8∼14wt% 범위로 건조되도록 구성된다. 이때, 사포닌의 손실을 줄이기 위해 냉풍건조 방식이 채택될 수 있다.
상기의 같은 홍삼의 제조 과정에서 증삼단계(S13) 및 건조단계(S14)는 3 ~ 5회 반복수행될 수 있다.
2. 홍삼 분쇄단계(S20)
홍삼분쇄단계(S20)는 준비된 홍삼을 분쇄하는 단계이다. 이때, 홍삼은 300 ~ 500메쉬 범위의 입자를 가지도록 분쇄될 수 있다.
이에, 홍삼이 300 ~ 500메쉬의 작은 입자로 분쇄됨에 따라 홍삼의 유효성분이 용이하게 추출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홍삼 분쇄물 숙성단계(S30)
홍삼 분쇄물 숙성단계(S30)는 상기 분쇄된 홍삼 분쇄물을 숙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홍삼 분쇄물의 숙성은 상온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1 ~ 2일 동안 지속될 수 있다.
상기 숙성 과정을 통해 홍삼에 포함된 전분은 호화되어 전분입자가 가지고 있던 결정성이 상실되게 된다. 즉, 숙성과정을 통해 전분이 호화됨으로써 홍삼으로부터 유효성분의 추출은 현저히 상승하게 된다.
4. 열수 추출단계(S40)
열수 추출단계(S40)는 상기 홍삼 분쇄물 숙성단계(S30)를 통해 숙성된 홍삼 분쇄물에서 추출액을 이용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단계이다.
즉, 추출액에 상기 숙성된 홍삼 분쇄물을 혼합하여 추출하는 것으로서, 추출액으로는 지하 암반수가 이용될 수 있고, 추출에 따른 추출액의 온도는 75 ~ 85℃의 범위에서 3 ~ 10 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열수 추출에는 상기 추출액을 교반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교반은 교반기를 이용하여 일정한 시간 간격으로 이루어지도록 하여 추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이에, 미세하게 분쇄된 홍삼 분쇄물은 고가의 추출액(예를 들면 에탄올 등)을 사용하지 않으면서 중온(75 ~ 85℃)에서도 추출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추출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기서, 열수 추출단계(S40)는 3 ~ 5회 반복 수행될 수 있다.
5. 농축단계(S50)
농축단계(S50)는 상기 열수 추출로 추출된 열수 추출물을 농축하는 단계이다.
여기서, 농축에 따른 온도는 60 ~ 65℃에서 이루어질 수 있으며, 12 ~ 24시간 동안 이루어질 수 있다.
6. 농축물 숙성단계(S60)
농축물 숙성단계(S60)는 상기 농축단계(S50)에서 농축된 농축물을 숙성시키는 단계로서, 농축물의 숙성은 50 ~ 55℃의 범위에서 3 ~ 4일간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농축물의 숙성을 통하여 인삼에 포함된 전분의 활성화를 통해 진세노사이드 성분이 더욱 증가될 수 있다.
농축물의 숙성의 온도가 55℃를 초과하는 경우 또는 50℃ 미만인 경우에는 전분의 활성화가 저하되어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고, 숙성 기간이 4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농축물의 변질의 우려가 있고, 숙성 기간이 3일 미만인 경우에는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이 감소되는 단점이 있다.
제조예 1. 홍삼 농축액의 제조(홍삼 분쇄물, 열수 추출)
(a) 준비된 홍삼을 300메쉬로 분쇄하였다.
(b) 분쇄된 홍삼 분쇄물을 상온에서 1일 동안 숙성하였다.
(c) 숙성된 홍삼 분쇄물을 지하 암반수에 투입하고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d) 상기 (c)에서 열수 추출된 추출물을 60℃에서 12시간 동안 농축하여 홍삼 농축물을 제조하고 50℃에서 3일간 숙성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홍삼 농축액의 제조(홍삼 절단물, 열수 추출)
(a) 준비된 홍삼을 1 ~ 2㎝로 절단하였다.
(b) 절단된 홍삼 절단물을 상온에서 1일 동안 숙성하였다.
(c) 숙성된 홍삼 절단물을 지하 암반수에 투입하고 온도를 75℃로 유지하면서 5시간 동안 열수 추출하는 과정을 3회 반복하였다.
(d) 상기 (c)에서 열수 추출된 추출물을 60℃에서 12시간 동안 농축하여 홍삼 농축액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홍삼 농축액의 제조(홍삼 절단물, 에탄올 추출)
(a) 준비된 홍삼을 1 ~ 2㎝로 절단하였다.
(b) 절단된 홍삼 절단물을 상온에서 1일 동안 숙성하였다.
(c) 숙성된 홍삼 절단물을 50%ml 에탄올에 투입하고 온도를 55℃로 유지하면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실시예 1.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측정
상기 제조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2에서 제조한 홍삼 농축액 시료 중 산성 다당체 함량은 카르바졸-황산 방법(Bitter, T. and Muir, H. M. (1962) A modified uronic acid carbazole reaction. Anal. Biochem. 4: 330-334)으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시료 5㎖를 붕산나트륨/진한 황산(sodium borate/c-H2SO4) 시약 2.5 ㎖에 중층시켜 잘 혼합하여 10분간 끓는 물로 가열한 후 식힌 다음 카르바졸/에탄올(carbazole/ethanol) 시약 0.2 ㎖를 가해 15분간 끓는 물에 가열 발색시킨 것을 530 ㎚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측정.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shimadzu(LC 20A) HPLC system(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HPLC 분석은 Gemini 5u C18 110A (4.6 mm × 150 mm, 1μm) column을 사용하였고, column 온도는 30℃로 유지히면서 UV 검출기의 검출 파장은 203nm로 하여 분석하였다.
도 3은 비교예 1을 이용하여 제조된 홍삼 농축액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검사한 검사성적서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비교예 1을 통해 제조된 홍삼 농축액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표시되는 함량의 81%를 만족하는 10.53mg/g으로 검사되어, 기준 80% 이상에는 충족하나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이었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과 이를 제품화하여 생산된 제품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을 검사한 시험·검사성적서이다.
첨부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표시량 11mg/g의 151%에 해당하는 16.6mg/g로 검사되었다.
또한, 이를 제품화한 제품명(한수위 진풀)의 진세노사이드 함량은 표시량 12mg/g의 138%에 해당하는 16.6mg/g로 검사되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홍삼 농축액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종래 기술로 제조되는 홍삼 농축액에 포함된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대비 58%가 향상됨을 알 수 있다.
HPLC를 이용한 진세노사이드 함량의 분석 결과, 본 발명에 따라 홍삼을 분말화하여 추출한 진세노사이드의 함량은 원형삼을 그대로 추출하였을 때 보다 상대적으로 20%를 상회하여 검출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진세노사이드의 추출수율이 높아짐에 따라 홍삼의 유효성분 또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진세노사이드의 함량 분석 결과를 통해 유추하면 보면, 원형삼을 이용한 유효 성분의 추출방식과 대비하여, 홍삼을 분말화한 후 유효 성분을 추출하게 되면, 추출액과 분말과의 접촉면적이 증가됨에 따라 상대적으로 많은 유효성분을 추출할 수 있는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Claims (5)

  1. 수삼을 정선하여 증숙하고 건조시킨 홍삼을 준비하는 홍삼준비단계(S10);
    상기 준비된 홍삼을 분쇄하여 홍삼 분쇄물을 제조하는 홍삼분쇄단계(S20);
    상기 분쇄된 홍삼 분쇄물을 숙성하는 홍삼 분쇄물 숙성단계(S30);
    상기 숙성된 홍삼 분쇄물을 혼합하고 60 ~ 65℃에서 열수 추출하는 열수 추출단계(S40);
    상기 열수 추출로 추출된 열수 추출물을 60 ~ 65℃에서 농축하는 농축단계(S50); 및
    상기 농축단계(S50)에서 농축된 농축물을 50 ~ 55℃의 범위에서 3 ~ 4일간 숙성시키는 농축물 숙성단계(S60);
    를 포함하여 제조되고,
    상기 홍삼준비단계(S10)는,
    선별된 수삼을 세척하는 세정단계(S11);
    상기 세정단계(S11)를 통해 세척된 수삼을 발효기에 투입하여 발효를 시키면서 안정화시키는 발효단계(S12);
    상기 발효단계(S12)를 통해 발효된 수삼을 증삼기를 이용하여 증포(蒸曝)하되, 구기자, 오미자, 산수유, 당귀 및 곡류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부터 추출된 추출액을 이용하여 증삼하는 증삼단계(S13); 및
    상기 증삼단계(S13)에서 증삼된 수삼을 냉각한 후, 건조기를 통해 건조하여 홍삼을 제조하는 건조단계(S14);
    를 포함하되,
    상기 증삼단계(S13)에서는,
    온수에서 발생된 스팀을 분사하는 온수 스팀부와 상기 추출액을 희석시켜 가열된 스팀을 분사하는 추출액 스팀부를 이용하며, 상기 온수 스팀부와 추출액 스팀부가 교번으로 스팀을 분사하여 수삼이 증포되도록 하고,
    상기 홍삼분쇄단계(S20)에서 분쇄된 홍삼 분쇄물은 300 ~ 500 메쉬로 분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수 추출단계(S40)는,
    3 ~ 5회 반복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3. 삭제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농축액.
  5. 청구항 4의 홍삼 농축액을 이용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가공식품.
KR1020160111109A 2016-08-30 2016-08-30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 KR101691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109A KR101691334B1 (ko) 2016-08-30 2016-08-30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1109A KR101691334B1 (ko) 2016-08-30 2016-08-30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1334B1 true KR101691334B1 (ko) 2016-12-29

Family

ID=5773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1109A KR101691334B1 (ko) 2016-08-30 2016-08-30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1334B1 (ko)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832B1 (ko) 2017-09-19 2018-11-2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증삼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1507B1 (ko) 2017-03-23 2018-11-26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인삼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CN108977300A (zh) * 2017-05-31 2018-12-11 环翠楼红参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红参发酵酒的制备方法
KR20190126474A (ko) * 2018-05-02 2019-11-12 농업회사법인 명성제분 주식회사 기능미의 제조 방법
KR20200024055A (ko)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에스엠나노바이오 홍삼분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5111B1 (ko) * 2018-11-19 2020-04-2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성분이 강화된 에너지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1060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고로쇠 수액으로 추출된 홍삼 추출물
CN113142580A (zh) * 2020-01-22 2021-07-23 株式会社Lg生活健康 含使用水耕栽培人参叶的人参皂苷低配糖体的食品组合物
KR102300188B1 (ko) * 2020-08-07 2021-09-09 원신희 인삼을 가공한 특이 진세노사이드(Rg3, Rg5, C.k) 제조방법
CN113855717A (zh) * 2020-06-30 2021-12-31 农业会社法人株式会社邂隣 人参皂苷含量高的红参提取液的制备方法及使用该方法制备的红参提取液
KR20230072108A (ko)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호성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12A (ko) * 2005-06-17 2006-12-21 (주)김가고려인삼 숙성된 홍삼 농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11508A (ko) * 2007-07-26 2009-02-02 한국식품연구원 분말화에 의한 홍삼의 신속 추출방법
KR20110038538A (ko) * 2009-10-08 2011-04-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색도 및 유동성이 증가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방법
KR101603169B1 (ko) 2015-09-17 2016-03-14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산성다당체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32212A (ko) * 2005-06-17 2006-12-21 (주)김가고려인삼 숙성된 홍삼 농축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090011508A (ko) * 2007-07-26 2009-02-02 한국식품연구원 분말화에 의한 홍삼의 신속 추출방법
KR20110038538A (ko) * 2009-10-08 2011-04-14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색도 및 유동성이 증가된 홍삼농축액 과립의 제조방법
KR101603169B1 (ko) 2015-09-17 2016-03-14 대동고려삼 주식회사 산성다당체 및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Cited B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1507B1 (ko) 2017-03-23 2018-11-26 농업회사법인 금산흑삼주식회사 인삼 사포닌 함량이 증가된 흑삼 제조방법
CN108977300A (zh) * 2017-05-31 2018-12-11 环翠楼红参生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红参发酵酒的制备方法
KR101921832B1 (ko) 2017-09-19 2018-11-23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증삼액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6474A (ko) * 2018-05-02 2019-11-12 농업회사법인 명성제분 주식회사 기능미의 제조 방법
KR102079383B1 (ko) 2018-05-02 2020-02-19 농업회사법인 명성제분 주식회사 기능미의 제조 방법
KR20200024055A (ko) 2018-08-27 2020-03-06 주식회사 에스엠나노바이오 홍삼분말 및 그 제조 방법
KR102105111B1 (ko) * 2018-11-19 2020-04-27 경남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생리활성성분이 강화된 에너지 음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81060A (ko) * 2018-12-27 2020-07-07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고로쇠 수액으로 추출된 홍삼 추출물
KR102166296B1 (ko) * 2018-12-27 2020-10-16 주식회사 한국인삼공사 고로쇠 수액으로 추출된 홍삼 추출물
CN113142580A (zh) * 2020-01-22 2021-07-23 株式会社Lg生活健康 含使用水耕栽培人参叶的人参皂苷低配糖体的食品组合物
CN113855717A (zh) * 2020-06-30 2021-12-31 农业会社法人株式会社邂隣 人参皂苷含量高的红参提取液的制备方法及使用该方法制备的红参提取液
KR102300188B1 (ko) * 2020-08-07 2021-09-09 원신희 인삼을 가공한 특이 진세노사이드(Rg3, Rg5, C.k) 제조방법
KR20230072108A (ko) 2021-11-17 2023-05-2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기호성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의 제조방법
JP7479747B2 (ja) 2021-11-17 2024-05-09 エルジー ハウスホールド アンド ヘルスケア リミテッド 嗜好性が向上した紅参濃縮液の製造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334B1 (ko)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진된 홍삼 농축액 제조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된 홍삼 농축액 및 홍삼 가공식품
KR101946236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항산화, 항균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KR100935847B1 (ko) 홍삼 절편의 제조 방법
KR101915031B1 (ko) 석류 과실과 칡뿌리 추출물을 이용한 여성 갱년기 개선용 기능성 더치커피의 제조방법
KR101903987B1 (ko) 천연발효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20150037109A (ko)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을 함유하는 건강식품 조성물
CN107549379A (zh) 一种药制红茶及其生产方法
KR20120066725A (ko) 와송분말과 추출물을 이용한 기능성 와송떡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042798B1 (ko)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KR101307718B1 (ko) 아토피, 여드름 및 건선 피부 개선용 한방 비누
KR100717420B1 (ko) 알러지와 무좀균을 치료할 수 있는 치료용 조성물
KR20210034320A (ko) 천연물추출물을 이용한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여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면역강화 효과를 갖는 화장품
KR102485016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02789B1 (ko) 꾸지뽕 부위별 산물을 이용한 꾸지뽕 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833776B1 (ko)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CN107593979A (zh) 一种药制黑茶以及药制黑茶的加工方法
KR20190125011A (ko) 항산화, 주름개선 또는 항염증용 한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70852B1 (ko) 피부 노화를 개선하는 효능을 보유한 분말 형태의 복합소재 및 상기 소재를 활용한 입욕제
KR101889409B1 (ko) 피부 보습 효과를 가지는 민들레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선식 조성물
KR102565623B1 (ko) 홍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150037106A (ko)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환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산양삼 및 생약재 추출액과 기능성 물질을 함유하는 환
KR102485019B1 (ko) 기능성 침출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647026A (zh) 一种药制绿茶及其加工方法
Okafor et al. Studies on the Effect of Processing Methods on the Antihyperglycemic activity of Herbal Teas from Leaves of Vernonia amygdalina Del
KR102173430B1 (ko) 도라지 복합발효추출물과 식물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