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3776B1 -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3776B1
KR101833776B1 KR1020160051751A KR20160051751A KR101833776B1 KR 101833776 B1 KR101833776 B1 KR 101833776B1 KR 1020160051751 A KR1020160051751 A KR 1020160051751A KR 20160051751 A KR20160051751 A KR 20160051751A KR 101833776 B1 KR101833776 B1 KR 101833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extract
present
zymo
composition ac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7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8245A (ko
Inventor
홍은경
박을용
Original Assignee
(주) 메드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메드빌 filed Critical (주) 메드빌
Publication of KR20160128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8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3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3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7Notopteryg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4Anemarrh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탈모를 방지하거나 발모를 개선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며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생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Composition for Preventing Alopecia and Improving Hair Growth Comprising the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Aralia Elata}
본 발명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들의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용도에 관한 것이다.
현대인의 고민거리 중에 하나는 탈모현상을 들 수 있으며 탈모 현상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한 많은 약물이나 샴푸 등이 개발되고 있으나 아직까지 획기적인 물질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
직접적인 탈모를 일으키는 원인은 남성 호르몬의 일종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이 5α-환원효소(reductase)에 의하여 활성형태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되고, 이 호르몬이 모낭세포의 특정 부위와 결합하여 모공이 죽게 되어 탈모로 이어지게 된다. 또한 혈액순환장애로 인해 모근에 영양을 공급받지 못하게 되어 일어나기도 한다. 기타의 원인으로 현대인들이 사용하는 샴푸, 무스, 스프레이 및 염색약이나 대기 중에 있는 황산, 매연 또는 흡연과 알코올이 두피의 세포를 죽이거나 기능을 떨어뜨려서 탈모가 진행된다.
현재 한국 성인 남성의 23%인 350여만 명이 탈모 증세를 보이고 있으며, 여성과 청소년까지 합하면 거의 천만 명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되고 있어 이에 따른 사회 경제적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현재 시판 중인 발모제 가운데 의약품은 프로페시아와 미녹시딜 등 2종으로, 미국 MSD의 프로페시아는 미국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최초의 대머리 치료 전문의약품으로 type Ⅱ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키는 물질로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로 개발되었으나 안드로겐성 탈모 환자에서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킴이 알려지면서 발모제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 제품은 발모 및 탈모방지 효과가 뛰어나지만 100명 중 1∼2명꼴로 성욕감퇴, 발기력 저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문제가 있다.
FDA가 공인한 또 하나의 치료제인 미녹시딜은 고혈압 치료를 위한 혈관확장제로 개발되었으나, 부작용으로 다모증이 보고되면서 발모제로 이용되고 있다. 또한 미녹시딜은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 cell)의 세포사멸(apoptosis) 저하를 통해 모유두세포를 증식시킴이 알려져 있다. 미녹시딜은 1일 2회 머리에 바르는 약으로 장기간 사용할 경우 접촉성 피부염이나 습진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및 미녹시딜(minoxidil)과 달리 생약 성분의 추출물을 포함한 샴푸, 화장료 조성물 등을 이용하여 두피에 바르거나 뿌림으로써 발모를 촉진시키려는 시도 또한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한국공개특허 제2007-96432호에서는 쑥, 갈근, 은행잎 및 솔잎의 추출물을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를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2009-95359호에서는 그리포니아(Griffonia simplicifolia) 추출물 및 편백(Chamaecyparis obtusa)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11-125722호에서는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발모 개선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발명들은 효능이 충분히 검증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그 효과 역시 일시적이거나 단편적이라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07-96432호 한국공개특허 제2009-95359호 한국공개특허 제2011-125722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탈모를 효과적으로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으면서 부작용이 없는 조성물을 개발하던 중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이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며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생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탈모를 방지하거나 발모를 개선하기 위한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탈모를 방지하거나 발모를 개선하는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며 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생체에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의 발모 개선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의 발모 개선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른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에 사용된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당업자들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는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지모(Anemarrhena asphodeloides)는 나리(Liliaceae)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중국이 원산지이며 한국에서는 중부지방에서 재배되는 다년초이다. 보통 근경을 건조하여 약재로 사용되어 왔으며 소염, 해열, 지사, 이뇨 작용과 요통 완화 및 진정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모의 유효성분으로서 아스포닌(Asphonin) 6% 이외에도, 살사사포닌(Sarsasaponin), 말코게닌(Markogenin; 2-hydroxy sarsasapogenin) 등의 스테로이드 사포게닌, 플라보노이드(Flavonoids) 및 탄닌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두릅(Aralia elata)은 두릅나무과(Araliaceae)과에 속하는 식물로 동아시아에서 자생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한방에서는 두릅의 뿌리, 과실 및 수피 등을 당뇨병, 신장병, 급성 간염, 류마치스성 관절염, 위암 및 위장장애 등에 사용해 왔다. 특히, 동의보감에는 뿌리 껍질을 벗겨 말린 것을 총목피라고 하여 당뇨병에 사용하였고, 두통, 산통, 대장염, 위궤양 및 강장약으로도 활용되었으며 민간에서는 전초를 위장질병에 사용하였다. 두릅의 껍질에는 사포닌을 포함한 여러 종류의 트리테르페노이드(triterpenoids)가 있고, 수피에는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엘라토시드(elatoside) E를 포함해 엘라토시드 F와 올레놀산 글리코시드 등 몇 가지의 글리코시드가 함유되어 있으며 에탄올 흡수를 저해하는 엘라토시드 A와 B도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자들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의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제모된 마우스의 발모 개선 효과, 동물에서의 5α-환원효소 저해효과, 마우스 대식세포에서의 TNF-α 생성 억제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은 제모된 마우스의 발모를 효과적으로 촉진하며(표 5 내지 표 6 및 도1 내지 도 2 참조), 지모 추출물은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 TNF-α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우수하며 동물에서 5α-환원효소를 효과적으로 저해함을 확인하였으며(표 1 및 표 2 참조), 두릅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3 참조).
또한, 본 발명자들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추출물을 마우스에 투여하여 약물의 급성 독성을 측정하고 병리조직학적 검사를 수행한 결과(실험예 4 참조), 상기 추출물은 독성을 거의 나타내지 않는 매우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참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은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을 위해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에 포함되는 지모와 두릅은 자연에서 채취하거나 또는 상업적으로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지모와 두릅은 전체부분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는 일예로 지모의 경우에는 근경부분, 두릅의 경우에는 줄기부분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되는 지모와 두릅은 그 전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출 효율을 증대시키기 위해 분쇄기로 분쇄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지모와 두릅의 건조방법으로는 양건, 음건, 열풍건조, 동결건조 및 자연건조 방법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은 지모와 두릅을 함께 추출하거나 또는 상기 지모와 두릅을 각각 추출한 후 각각의 추출물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된 지모와 두릅을 함께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한 후 추출하거나 또는 건조 지모 분말과 건조 두릅 분말을 일정한 비율로 혼합한 후 추출할 수 있다. 상기 지모와 두릅은 1~10:1~15의 건조 중량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는 당업계에 공지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추출물은 원료를 일정 크기로 절단하고 추출용매로 추출, 여과, 농축 및 건조하는 단계를 거쳐 제조하거나 또는 추출용매를 첨가하여 2시간 이상 가온한 다음 여과 및 농축시켜 제조할 수 있다. 상기에서 추출용매로는 물, C1~C6의 알코올 및 물과 C1~C6의 알코올의 혼합용매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한 추출용매로는 물 또는 에탄올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추출물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1단계: 건조시킨 지모와 두릅을 함께 분쇄하여 분말을 제조하고 여기에 물 또는 알코올과 같은 유기용매를 첨가하여 추출한다.
이때, 추출용매로서 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열탕 또는 120℃ 이상의 온도 및 15psi의 압력 조건 하에서 가열 추출하며, 추출용매로서 알코올을 사용할 때는 상온에서 추출한다. 상기에서 추출용매로 사용되는 알코올은 탄소수가 1 내지 6개의 알코올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2단계: 상기 제1단계에서 수득한 추출물을 원심 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한다.
제3단계: 상기 제2단계에서 분리된 여액을 대상으로 클로로포름, 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사이클로헥산 등의 유기용매, 바람직하게는 클로로포름 또는 헥산을 사용하여 추출함으로써 수지, 섬유질 등의 불순물을 제거하고, 수층을 다시 탈크 등을 이용하여 정제함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추출물을 수득한다.
상기 추출물은 동결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탈모'란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 모발이 없는 상태를 말하며, 5α-환원효소에 의하여 생성된 활성형태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에 기인한 안드로겐성 탈모 및 불균형한 식생활, 과다한 음주와 흡연, 약물 복용, 수면 부족, 과도한 스트레스, 출산, 갱년기 장애, 잦은 파마와 염색 등에 기인한 탈모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1 내지 8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주사제, 크림제, 로션제, 외용연고제, 오일제, 보습제, 겔제, 에어로졸 및 비강 흡입제의 형태로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들, 예컨대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경구용 고형 제제로 제제화된 경우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을 포함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즈, 젤라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경구용 액상 제제화된 경우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을 포함하며, 물, 리퀴드 파라핀 등의 희석제,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비경구용 제제화된 경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를 포함하며,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류 등을 포함하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에 함유되는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연령,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은 1일 1 내지 2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0 mg/kg의 용량으로 투여할 수 있으며, 상기 투여는 하루에 한번 또는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포유동물에 어떠한 방법으로도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경구 또는 비경구적으로 투여할 수 있다. 비경구적인 투여방법으로는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경피 투여, 피하 투여, 국소 투여, 정맥 내, 근육 내 또는 복강 내 투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피 투여될 수 있다. 상기에서 경피 투여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세포 또는 피부에 투여하여 약학 조성물에 함유된 활성 성분이 피부 내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을 말하며 도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과 함께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하나 이상의 부형제 및 첨가제를 포함하여 당 분야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서 언급된 추출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서 약 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유효성분의 함량은 그의 사용 목적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파우더,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등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 예를 들어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또는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 로션, 크림, 에센스, 팩, 파운데이션, 색조화장품, 선크림, 투웨이케이크, 페이스파우더, 콤팩트, 메이크업베이스, 스킨커버, 아이쉐도우, 립스틱, 립글로스, 립픽스, 아이브로우 펜슬 등의 화장품에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기초 화장품 (일 예로, 화장수, 크림, 에센스, 클렌징 폼 및 클렌징 워터와 같은 세안제, 팩, 보디오일), 색조 화장품(일 예로, 화운데이션, 립스틱, 마스카라, 메이크업 베이스), 두발 제품(일 예로, 샴푸, 린스, 헤어 컨디셔너, 헤어젤) 및 비누 등의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안제 및 비누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통상의 세안제 및 비누 베이스에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첨가하여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크림을 제조하는 경우에는 일반적인 수중유적형(O/W)의 크림베이스에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 향료, 킬레이트제, 색소,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과 물성개선을 목적으로 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등 합성 또는 천연소재를 추가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 영양보조제, 건강 식품 및 식품첨가제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수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을 목적으로,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0.01 내지 95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80 중량% 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에 함유되는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의 제조에서 언급된 추출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을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 캅셀제는 통상의 경질 캅셀에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12호 (1680 ㎛), 14호 (1410 ㎛) 및 45호 (350 ㎛) 체를 써서 다음 입도시험을 할 때에 12호체를 전량 통과하고 14호체에 남는 것이 전체량의 5.0 %이하이고 또 45호체를 통과하는 것은 전체량의 1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개정판, p33-48, 1989).
또한, 건강 식품으로서 본 발명의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 자체를 차, 주스 및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과 탈모 예방 및 발모 개선 효과가 있다고 알려진 공지의 활성 성분을 함께 혼합하여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식품 첨가제의 형태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분말 또는 농축액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체'는 동물, 바람직하게는 사람을 비롯한 포유동물일 수 있으며, 동물에서 유래한 세포, 조직, 기관 등일 수도 있다.
상기 투여는 상술한 바와 같은 임의의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방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은 상기 약학 조성물에 대하여 상술한 바와 같다.
또한,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을 위한 치료제를 제조하기 위한,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은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을 위한 치료제의 유효 성분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지모 추출물 및 두릅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지모를 분쇄기로 분쇄하여 제조한 분말 300g 및 건조된 두릅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제조한 분말 300g에 정제수 3000ml를 각각 가하여 증기압 121℃, 15lb/in2하에서 1시간 동안 포화 추출한 다음 추출액을 분취하고 잔사를 제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층액을 여과한 다음 전량이 1500ml가 되도록 농축하였다. 상기 농축액을 분획 깔대기에 넣고 헥산 400ml를 가하여 수지 및 섬유질 등을 용출시키고 유기 용매층을 분리하여 제거하였다. 남은 층을 회수하여 70℃로 가온하고 탈크 500g을 가하여 교반한 후 감압여과함으로써 탈크를 제거하였다. 탈크가 제거된 여액을 여과한 후 원심분리하여 상층액을 취하고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함으로써 지모 수추출물과 두릅 수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지모와 두릅 혼합물의 수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지모와 두릅을 3:2의 중량비율로 넣고 이들을 분쇄기로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 중 300g을 취하여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지모와 두릅의 복합 수추출물을 제조하고 동결건조한 다음 분말화하였다.
<실시예 3>
지모와 두릅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 제조
건조된 지모와 두릅을 3:2의 중량비율로 넣고 이들을 분쇄하여 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분말 중 300g을 취하여 에탄올 3000ml를 첨가하고 상온에서 2일 동안 추출한 후 추출액을 분취하고 잔사를 제거하였다. 이후 상기 추출액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농축, 분획, 여과 및 동결건조하여 분말화하였다.
<실험예 1>
본 발명에 따른 지모 추출물의 TNF-α 생성 억제 조사
본 발명의 지모 추출물이 마우스의 대식세포에서 TNF-α 생성을 억제하는 정도를 측정하였다.
마우스 대식세포주인 Raw264.7 세포(한국 세포주 은행에서 분양받음)를 RPMI 배지에서 배양하면서 LPS(Lipopolysaccharide)를 16시간 동안 처리하면 TNF-α 생성이 증가한다. 이에 상기 대식세포주에 LPS를 처리하기 1시간 전에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지모 추출물을 각각 농도별(1mg/ml, 500㎍/ml, 250㎍/ml, 125㎍/ml)로 처리한 다음 상기 생성된 TNF-α 양을 측정함으로써 각각의 추출물이 LPS의 처리에 따른 대식세포의 TNF-α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생성된 TNF-α 양은 항 TNF-α 항체를 포함하는 ELISA 키트(Amersham Biosciences)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때 음성 대조군에는 RPMI1640 배지를 처리하였다. TNF-α 생성억제 정도는 LPS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생성된 TNF-α 차이를 100%로 하여 각 시료의 처리에 따른 억제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에 따른 지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음성 대조군에 비해 TNF-α 생성억제율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표 1).
그룹 TNF-α 생성억제률 (%)
음성대조군 0
지모 추출물 처리군 (125㎍/ml) 15.6
지모 추출물 처리군 (250㎍/ml) 32.8
지모 추출물 처리군 (500㎍/ml) 46.4
지모 추출물 처리군 (1mg/ml) 68.5
<실험예 2>
동물에서 지모 추출물의 5α-환원효소 저해 효능 조사
지모 추출물의 5α-환원효소 저해 효능을 확인하기 위해 전립선 미 발육의 웅성 SD 래트에 지모 추출물 250mg/kg 용량으로 2주간 1일 1회 경구투여한 후 복측 전립선(ventral prostate) 및 정낭(seminal vesicle)의 무게를 측정하여 저해 효능을 확인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 20mg/kg 용량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지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5α-환원효소 저해 효능 작용이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2).
그룹 복측 전립선 무게 (g) 정낭 무게 (g)
음성 대조군 0.319 0.778
지모 추출물 처리군 (250mg/kg) 0.276 0.705
Finasteride 처리군 (20mg/kg) 0.145 0.263
<실험예 3>
두릅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조사
두릅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radical scavenger 로서의 작용을 하는 지의 여부를 조사하기 위해 DPPH 방법으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두릅 추출물을 에탄올을 이용하여 녹인 후 각각의 농도별 (10mg/ml, 1mg/ml, 0.1mg/ml)로 희석하고 0.1mM DPPH 용액을 첨가하였다. 37℃에서 30분간 반응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16nm 파장에서 흡광도 값을 측정하고 아스코르베이트 양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 결과, 두릅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된 아스코르베이트와 대등하게 항산화 작용이 유의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3).
그룹 광 강도의 억제율 (%)
Ascorbate 처리군 (10mg/ml) 99.9
Ascorbate 처리군 (1mg/ml) 99.9
Ascorbate 처리군 (0.1mg/ml) 99.85
두릅 추출물 처리군 (10mg/ml) 99.38
두릅 추출물 처리군 (1mg/ml) 98.01
두릅 추출물 처리군 (0.1mg/ml) 74.6
<실험예 4>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의 독성 실험
4-1)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의 경구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치사량 조사
본 발명에 따르는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의 안전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약물의 급성 독성을 나타내는 지표가 되는 LD50(실험동물의 50%를 치사시킬 수 있는 양)치를 다음과 같은 방법에 의하여 구하였다. 정상 ICR 마우스(웅성, 22±1 g) 36마리를 1개 군에 6 마리씩 A 내지 F의 6개 군으로 나누어, A군에게는 체중 1㎏당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지모와 두릅 혼합물의 에탄올 추출물 5g을, B군에는 7.5g, C군에는 10g, D군에는 12.5g 및 E군에는 15g을 각각 경구 투여하고 베렌스-칼버법(Behrens-Krber)(高木敬次郞 外: 藥物實驗, 南山堂, Japan, p131, 1960)을 이용하여 LD50 값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사망한 동물은 한 마리도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마우스에 15g/체중(kg)의 고용량으로 본 발명의 추출물을 투여하여도 사망한 동물이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의 경구 투여에 대한 치사량 LD50값이 15g/kg 이상임을 알 수 있었으며, 독성이 거의 없는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표 4).
실험군 투여 용량(g/㎏) 사망동물 수/사용동물 수 *Z **d
A 5 0 / 6 - -
B 7.5 0 / 6 0 2.5
C 10 0 / 6 0 2.5
D 12.5 0 / 6 0 2.5
E 15 0 / 6 0 2.5
*Z: 2개의 연속되는 용량으로 사망동물수의 1/2값
**d: 2개의 연속되는 용량의 차이
4-2)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의 부검 및 병리조직학적 검사
상기 실험예 4-1)에서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 복합 에탄올 추출물을 경구 투여한 마우스에 대해 부검 및 병리조직학적 시험을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하였다. 상기 실험예 4-1)의 실험 종료 후 모든 생존동물에 대하여 에테르 마취하여 방혈 치사시킨 다음 장기를 적출하고 육안으로 모든 장기의 이상을 검사하였다. 병리조직 검사를 위하여 부검한 모든 장기들을 10% 중성포르말린 용액에 10일 이상 고정시킨 다음 탈수 과정을 거쳐 파라핀 포매기(Fisher, Histomatic Tissue Processor, 166A)에 포매한 후 로터리 마이크로톰(AO Rotary Microtome)으로 5㎛ 절편을 만들어 헤마톡실린과 에오신 염색을 하여 관찰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추출물을 마우스 체중 1kg당 15g의 고용량으로 투여한 경우 마우스의 간 조직과 신장에 있어서 약물 투여에 의한 이상적인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또한, 심장의 심근세포, 위·장관, 췌장, 폐장, 비장, 부신, 뇌, 고환, 난소, 골수 등에 있어서 약물투여에 의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을 마우스에 투여할 수 있는 최대 용량인 체중 1kg당 15g씩을 투여하는 경우에도 본 발명의 추출물은 모든 장기에 대하여 급성독성에 의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며, 장기손상 독성도 유발하지 않는 안전한 물질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실험예 5>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의 발모력 시험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의 발모촉진 효능을 확인하기 발모시험의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인 비보 발모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중이 비슷한 개체들로 선별하여 6주령된 C57BL/6 마우스 암컷을 25℃, 습도 50% 사육조건에서 1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갖고, 7주령이 되는 주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우스를 에테르가 들어있는 데시케이터에 넣고 1분간 마취시킨 후, 마우스의 등 부분을 제모기를 이용하여 털을 제거하였다. 1일 후 등 부위에 상처가 없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지모와 두릅 에탄올 복합 추출물을 도포하였으며, 시료의 도포는 1일 1회 100㎕ 씩 도포하였다. 15일간 도포 후 사진촬영을 하고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하여 도포 부위의 색깔의 변화를 수치화함으로써 발모 정도를 수치화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 모앤모아(LG 생활건강)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을 도포한 경우 음성대조군에 비해 모발성장에서 29% 증가하여, 양성대조군(LG 생활건간, 모앤모아) 보다 우수한 발모 개선 효과를 나타났다(표 5 및 도 1).
그룹 모발 성장 (%)
음성대조군 (saline 도포) 100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 도포군 129
양성대조군 (LG 생활건강, 모앤모아 도포) 122
<실험예 6>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의 발모력 시험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의 발모촉진에 있어서의 상승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발모시험의 용도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인 비보 발모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체중이 비슷한 개체들로 선별하여 6주령된 C57BL/6 마우스 암컷을 25℃, 습도 50% 사육조건에서 1주일간의 순화기간을 갖고, 7주령이 되는 주에 실험을 실시하였다.
마우스를 에테르가 들어있는 데시케이터에 넣고 1분간 마취시킨 후, 마우스의 등 부분을 제모기를 이용하여 털을 제거하였다. 1일 후 등 부위에 상처가 없는 마우스를 대상으로 지모 추출물, 두릅 추출물 및 지모와 두릅 에탄올 복합 추출물을 각각 도포 하였으며, 시료의 도포는 1일 1회 100㎕씩 도포하였다. 15일간 도포 후 사진촬영을 하고 이미지 분석기를 이용하여 도포 부위의 색깔의 변화를 수치화함으로써 발모 정도를 수치화하였다. 양성대조물질로서 모앤모아(LG 생활건강)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본 발명의 지모와 두릅 복합 추출물을 도포한 경우, 양성 대조군보다 우수한 발모 개선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발모 개선에 있어서 지모 추출물과 두릅 추출물 각각을 도포한 경우보다 20% 이상의 상승효과를 나타내었다(표 6 및 도 2).
본 발명에 따른 지모와 두릅의 추출물의 발모 개선 효과 (%)
D0 D3 D7 D10 D12 D14
G1 (음성대조군) 0 0 0 22.39539 32.45549 50.28845
G2
(양성대조군)
0 0 0 65.94527 73.1114 92.50303
G3
(지모추출물)
0 0 0 34.94236 60.00581 71.62141
G4
(두릅추출물)
0 0 0 33.63838 48.4728 77.15175
G5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
0 0 0 78.21315 82.53295 94.65959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백하다.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와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12)

  1.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지모 추출물과 두릅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지모와 두릅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약학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물, C1~C6 의 알코올, 및 물과 C1~C6 의 알코올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되는 약학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또는 에탄올인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시 지모와 두릅의 혼합 비율이 중량 기준으로 1~10:1~15인 약학 조성물.
  6.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지모 추출물과 두릅 추출물의 혼합물 또는 지모와 두릅의 혼합물의 추출물인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 추출물은 물, C1~C6 의 알코올, 및 물과 C1~C6 의 알코올의 혼합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수득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용매는 물 또는 에탄올인 화장료 조성물.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의 제조시 지모와 두릅의 혼합 비율이 중량 기준으로 1~10:1~15인 화장료 조성물.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헤어토닉, 헤어컨디셔너, 헤어에센스, 헤어로션, 헤어영양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트리트먼트, 헤어크림, 헤어영양크림, 헤어모이스처크림, 헤어맛사지크림, 헤어왁스, 헤어에어로졸, 헤어팩, 헤어영양팩, 헤어비누, 헤어클렌징폼, 머릿기름, 모발건조제, 모발보존처리제, 모발염색제, 모발용 웨이브제, 모발탈색제, 헤어겔, 헤어글레이즈, 헤어드레싱어, 헤어래커, 헤어모이스처라이저, 헤어무스 및 헤어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학적 제형으로 제제화되는 화장료 조성물.
  12.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개선용 식품 조성물.
KR1020160051751A 2015-04-28 2016-04-27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8337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9579 2015-04-28
KR20150059579 2015-04-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8245A KR20160128245A (ko) 2016-11-07
KR101833776B1 true KR101833776B1 (ko) 2018-03-02

Family

ID=571996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751A KR101833776B1 (ko) 2015-04-28 2016-04-27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33776B1 (ko)
WO (1) WO201617555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66409A (zh) * 2017-02-22 2019-10-22 株式会社Nil 生发用皮肤外用剂
KR102136838B1 (ko) 2017-11-25 2020-08-13 주식회사 파머스그레인코리아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의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71765B2 (ja) * 1989-12-15 1999-03-17 株式会社資生堂 養毛化粧料
JP2001181144A (ja) * 1999-12-24 2001-07-03 Eag Kk 育毛剤および毛髪用化粧料
KR100604219B1 (ko) * 2004-10-19 2006-07-28 (주) 메드빌 지모와 두릅의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성 피부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27321B1 (ko) 2006-03-24 2012-03-29 김성오 탈모방지 및 발모 촉진용 샴푸
KR100950437B1 (ko) * 2007-11-19 2010-04-02 게놈앤메디신(주) 발모, 양모 촉진 및 탈모 방지를 위한 생약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090095359A (ko) 2008-03-05 2009-09-0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그리포니아 추출물과 편백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모발용 조성물
KR101231582B1 (ko) 2010-05-14 2013-02-08 김수근 녹나무 추출물을 이용한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발모 촉진 또는 탈모 방지용 조성물
ES2647680T3 (es) * 2011-01-21 2017-12-26 Igisu Co., Ltd. Fármaco terapéutico para la alopecia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헬스조선. ‘두릅 효능, 사무직 회사원에게 딱 맞네’. 2014.04.04.(http://health.chosun.com/site/data/html_dir/2014/04/04/2014040401166.htm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75559A2 (ko) 2016-11-03
KR20160128245A (ko) 2016-11-07
WO2016175559A3 (ko) 2016-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598B1 (ko) 녹용, 산수유, 당귀, 진피, 구기자, 연근, 산약, 울금, 천마, 배초향, 계피, 복분자, 오미자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229254B1 (ko)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20120007275A (ko) 식물혼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
KR20090005479A (ko) 발모용 조성물
KR20120041514A (ko) 한방 생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용 세정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EP1812029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anemarrhena asphodeloides and aralia elata, and use thereof
KR10122141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WO2007133054A1 (en) A novel process for preparing black ginseng and the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434717B1 (ko) 인삼 및 톳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833776B1 (ko)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624704B1 (ko) 탈모 또는 전립선 비대증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용 조성물
KR100800359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
KR101794006B1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개선용 조성물
KR10136023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WO2016117705A1 (ja)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KR101948597B1 (ko) 세정력 및 두피 진정효과가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03262B1 (ko) 필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1914969B1 (ko)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125011A (ko) 항산화, 주름개선 또는 항염증용 한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48227A (ko)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3542A (ko) 레몬머틀 및 꽃송이 버섯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및 안티 폴루션용 조성물
KR20140118322A (ko) 탈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과 그 제조 방법
KR101360233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폐암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249407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감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42995B1 (ko) 레몬머틀, 맥문동 및 당귀의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항균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