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148227A -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48227A
KR20140148227A KR20130071907A KR20130071907A KR20140148227A KR 20140148227 A KR20140148227 A KR 20140148227A KR 20130071907 A KR20130071907 A KR 20130071907A KR 20130071907 A KR20130071907 A KR 20130071907A KR 20140148227 A KR20140148227 A KR 201401482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ginseng
extract
composition
green t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071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순성
장재만
강범구
이수경
황파
황승환
Original Assignee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20130071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48227A/ko
Publication of KR201401482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82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A61K36/258Panax (ginse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8Zanthoxylum, e.g. pricklya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2Acoraceae (Calamus family), e.g. sweetflag or Acorus calam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9Complex extraction schemes, e.g. fractionation or repeated extraction ste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50Methods involving additional extraction steps
    • A61K2236/51Concentration or drying of the extract, e.g. Lyophilisation, freeze-drying or spray-dry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각 성분의 중량비는 2.5:1:1:1:1:1:1:1:1:1:1 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로부터 유효한 추출물을 얻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Description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Composition for preventing depilation and hair growth promotion and Method of preparing thereof}
본 발명은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머리카락은 건강을 나타내는 중요한 척도로 건강이 나빠졌을 때는 머리카락이 거칠어지거나 빠지는 등의 현상이 나타난다. 인간의 머리에는 보통 평균적으로 100,000개의 성모가 있으며, 이들은 생장기 (anagen), 퇴행기(catagen), 휴지기 (telogen), 탈모기(exogen)의 주기적인 변화를 하면서 생성, 소멸을 반복한다. 모발을 구성하는 기본 성분으로는 18종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90% 케라틴과 10% 정도의 수분으로 이루어지며, 구성 원소는 탄소, 산소, 질소, 수소, 유황으로 이루어져 있다. 머리카락은 하루에 80∼100개 정도가 정상적으로 빠지며 빠진 자리에는 새로운 모발이 형성되게 된다. 탈모란 머리카락이 새로 나는 숫자보다 빠지는 숫자가 많은 상태를 말하는 것으로, 탈모의 원인은 개인에 따라 다르지만, 유전적인 요인을 포함하여 노화에 의한 두피 세포의 퇴화, 모근에 공급되는 영양소의 부족, 두피 지방질 과다로 인한 산소공급 부족, 지방질이나 이물질 또는 두피 질환에 의한 염증과 모공 폐쇄 현상, 스트레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혈액순환이 잘 되면 모근에 영양분과 산소가 원활하게 공급되어 모발이 건강하게 자라지만, 고지방식이나 흡연 등으로 혈액순환이 원활하지 않으면 탈모가 촉진된다.
탈모증에 대한 질병의 원인은, 모발 생성 장애, 내인성 요인에 의한 모발의 절단, 흐트러지는 모발, 모발주기의 이상, 털집의 파괴와 같은 여러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미만성으로 나타나는 탈모 중 일부는 모발 생성장애, 모발의 절단에 의해 나타나는데 유전적인 이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다.
유전적 요인에 의한 탈모의 유전자 발현에는 남성호르몬이 관여한다. 따라서 탈모가 되려면 일단 유전적 소인이 있어야 하고 발현 유무는 남성호르몬에 의해서 좌우된다. 남성 호르몬의 하나인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은 5 알파-리덕타아제 (5α-reductase)라는 효소에 의해서 활성형 남성 호르몬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 (dihydrotestosterone)으로 전환된다. 5 알파-리덕타아제 (5α-reductase)는 모근에 존재하며 디하이드로테스토 스테론이 모낭의 생장기를 단축시키고 모낭의 크기도 감소시키는 역할을 한다. 즉, 굵고 검은 머리털이 충분히 자라지 못하고 점점 가늘어지고 힘이 없어지면서 정상보다 훨씬 빨리 빠지도록 작용하고, 헤어 사이클을 단축시키기 때문에 처음에는 머리카락이 힘이 없고 가늘어지다 점차로 머리가 빠지고 새로 나지 않게 된다.
또한, 두피의 기저부에서는 끊임없이 세포분열이 일어나 점차 피부표면으로 밀려가면서 각화하여 두피의 제일 바깥쪽에 각질층을 형성하게 되는데 이는 시간이 지나면 표피가 떨어져 나가 비듬을 형성하게 된다. 이 비듬이 피지선에서 나오는 피지와 혼합하여 지루가 되는데, 이것이 모공을 막아 영양장애와 위축작용을 일으키면서 머리카락이 빠지게 된다. 그러나 지루 자체 역시 남성 호르몬 작용에 의한 이차적인 현상이며, 지루 자체가 탈모의 원인은 아니다. 즉 남성호르몬은 머리카락은 가늘게 하지만 피지선은 비대시켜 피지의 분비를 증가시킨다. 피지선이 비대해지고 기능이 활발해지면, 머리의 표면에 잔비듬이 많아지고 5 알파-리덕타아제 (5α-reductase)의 분비도 늘어나 모발의 발육과 성장에 영향을 주게 된다.
한편, 모발주기의 이상으로 나타나는 탈모는 휴지기 탈모증, 생장기 탈모증, 원형탈모증 등이 있는데, 휴지기 탈모증은 내분비 이상, 약물, 다양한 물리적, 정신적 스트레스에 대한 반응으로 나타날 수 있고, 생장기 탈모증은 방사선요법이나 항암제와 관련되어 나타날 수 있다. 원형탈모증은 아직 병인이 불확실하지만 자가면역질환으로 분류되고 있다. 안드로겐탈모증은 남성 호르몬과 유전에 의해 발생하며 국소성 모발 생성 장애 탈모로 분류된다. 이 외에도 발모벽, 두부 백선에 의한 탈모(Kuag, 2001), 국소감염(Muller et al., 1980), 내분비장애(Bergfeld, 1978), 유전 인자(Selman, wilzet al., 1974) 및 자가 면역(Friedman, 1981) 등 여러 원인에 의해 탈모증이 나타날 수 있다.
원형탈모증은, 반상 또는 융합성의 탈모가 두피나 몸에 발생하며 국소적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나 전두탈모증(전 두피의 털 소실), 범발성 탈모증(전신의 털 소실)과 같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다. 원형탈모증에서 두피는 정상으로 보이며 탈모 부위의 가장자리에서는 근위부가 가늘고 원위부의 끊어진 부위는 굵고 색이 진하며 짧게 부러져 있는 감탄부호모발을 관찰할 수 있다. 백색 또는 은빛의 털은 침범 받지 않기도 하며 갑상선 질환과 같은 자가면역질환이 동반되는 경우가 있고 손발톱의 이상이 동반되는 경우도 있다.
휴지기 탈모증은, 내분비 이상이나 약물 등의 원인 자극 발생 후 2~4개월이 지난 후부터 모발 탈락이 시작되며, 원인 자극이 제거되면 수개월에 걸쳐 휴지기 모발이 정상으로 회복됨에 따라 모발 탈락은 감소하게 되고 털의 밀도가 어느 정도 회복되는 데에는 6~12개월이 소요될 수 있다.
안드로겐탈모증은, 남자와 여자 모두의 약 50%에서 발생하며 30~40대에 시작하는 경우가 흔하지만 사춘기 직후에 시작되기도 한다. 주로 두정부에서 시작하여 점차 머리 전체로 진행하며, 남자에서는 양측 측두부 모발선의 후퇴와 정수리의 탈모가 주로 나타나며, 여자의 경우 얼굴 두피모발의 경계선은 일반적으로 잘 보존되며, 크리스마스 나무 형태를 보이는 것이 흔하다.
원형탈모증은 국소적으로 탈모반이 발생한 경우 4~6주 간격으로 스테로이드를 병변내 주입하거나 국소 또는 전신적인 스테로이드 사용이 필요한 경우도 있다. 다른 치료 방법에 반응하지 않는 원형탈모증, 광범위한 원형탈모증의 경우에는 면역요법을 사용할 수 있다.
안드로겐(androgen)탈모증에서는 국소 요법으로 미녹시딜(미녹시딜) 2~5% 용액을 사용하거나 여성 안드로겐탈모증에서는 경구 피임약을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남성 안드로겐탈모증에서는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를 사용하며 1년이 지난 뒤 약 50%의 환자에서 발모가 증가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외에도 수술적 요법인 모발 이식과, 세정용 삼푸 등의 국ㆍ내외의 특허기술에 의하면 천연생약초를 혼합ㆍ배합시킨 발모촉진제 및 그 제조방법들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 알려진 수많은 발모촉진제 및 그 방법들이 소개되어 있으나, 환자들의 모발이 획기적으로 촉진되어 재생되고 장기적으로 탈모가 예방되었다는 보고는 전혀 없다. 앞서 언급된, 탈모환자의 병변내 주입용 스테로이드나 미녹시딜 및 경구용 피임약을 장기간 사용하거나 복용하는 경우 소수에서 여성형 유방이 나타나기도 하고, 피나스테라이드에 대한 FDA의 7년간의 임상실험 결과에 의하면 전립선암 진단률 자체는 낮게 나타났지만 악성도가 높은 데다 한층 강한 공격성을 띄는 고등급(high-grade) 전립선암 발생률은 증가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탈모치료용 약제들은 몸에 축적되지 않으므로 24시간만 지나면 대부분 몸에서 빠져나간다는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약을 끊게 되면 3-6개월 후부터 다시 점차 탈모가 진행되므로 가능한 한 오랫동안 약을 복용하는 것이 요구되므로 그에 따른 부작용도 여전히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81316호에서는 충을자, 감송향, 감국, 도인, 산수유, 토사자, 오미자, 백출, 솔잎과 당귀의 수종 한약재 혼합 추출액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에 대해 언급하고 있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09210호에서는 당귀뿌리와 우엉뿌리의 에탄올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서 당귀 뿌리의 베타시토스테롤 성분에 의한 5-알파 환원효소의 억제 효과와 우엉뿌리의 이눌린 성분에 의한 혈류개선 효과로 탈모방지 효과를 가지는 탈모방지 샴푸 조성물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사례 중 많은 경우가 임상적으로 나타나는 탈모 방지 효과의 작용 기작을 명확하게 규명할 수 없는 경우가 많으며, 본 발명의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에 대한 모유두 세포 증식, 혈행 촉진효과 및 두피 항상화 효과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알려진바 없다.
본 발명은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각 성분의 중량비는 2.5:1:1:1:1:1:1:1:1:1:1 이다.
또한, 본 발명은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로부터 유효한 추출물을 얻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생약 복합물의 각 성분의 꽃, 잎, 가지, 뿌리, 열매 또는 껍질이나 이의 분쇄물에 추출용매를 가함으로써 제조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본 발명은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현삼(玄蔘, Scrophularia buergeriana)은 현삼과의 다년초 식물로, 중대(重臺), 현대(玄臺), 귀장(鬼藏), 축마(逐馬)라고도 한다. 한방에서 뿌리를 현삼이라고 하며 해열제로 인후염, 종기, 림프선염에 사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감초(Glycyrrhiza uralensis Fischer)는, 다른 약의 작용을 순하게 하며, 간장에서 해독작용을 하기 때문에 간장 기능을 회복시키고 특히 리퀴리틴(Liquiritin), 리퀴리티게닌(Liquiritigenin) 등의 성분은 소화성 궤양의 발생을 억제하여 새치와 탈모를 방지한다. 또한, 감초는 콜라겐(Collagen) 합성 및 히알루론산(Hyarulonnic acid) 합성 증진효과에 탁월하고 멜라닌(melanin) 색소 생성 억제효과가 있기 때문에 피부탄력 및 주름개선에도 효과적인 역할을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감초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키는 30~80cm로 직립하고, 기부는 목질화하며 가지가 많고 껍질이 얇고 붉은 빛을 띠며, 곧고 길고 아주 단 것이 좋다. 감초의 주성분과 효능을 살펴보면, 먼저 주성분은 글리시리진산(glysyrihizic acid)이며, 그 밖에 글리브리딘(glabridin), 사포나레틴(saponaretin) 플라보노이드(flavonoid)인 리쿠라시드, 플라보노이드(flavonoid), 트리펜계 사포닌(sapon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성질은 평하고 온갖 약의 독을 풀어주고 맛이 달며 독이 없고 간장에서 유독물질과 결합하여 해독작용을 하기 때문에 간장 기능을 회복시켜 주며 약물중독, 감염, 두드러기, 피부염, 습진 등에 효과가 좋다.
특히, 상기 감초의 주성분 중에서, 상기 글라시리진산(glysyrihizic acid)은 감초의 뿌리에서 채취되며 설탕보다 30~50배 단맛이 있어 인공감미료 등으로 사용되며 암과 종양의 발생을 억제하고 콜레스테롤을 감소시켜 동맥경화를 개선하며 간을 보호하는 효과 등이 있다. 또한, 상기 글리브리딘(Glabridin)은 항산화 효과와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효과가 있고 플라보노이드(flavonoid)는 강력한 항산화력에 의한 항암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당귀는 신감채의 뿌리를 한방에서 이르는 말이며 두피의 혈행을 개선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창포는 습지에서 자라는 다년초이다. 지방에 따라 챙피, 쟁피풀이라 하고, 한자로는 백창(白昌), 취창(臭菖), 수창포(水菖浦), 이창(泥菖)이라 한다. 부들(蒲)과 비슷한 식물이라 하여 창포라는 이름이 붙었다. 창포는 예로부터 여인들이 좋아했던 자생 수초이다. 홍석모(洪錫謨)의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에는 단옷날에 창포가 여인들의 모발 세정제로 쓰였다는 것을 기술하고 있다. 창포는 근경을 비롯하여 잎과 뿌리 등 전체에 방향성 물질을 갖고 있다. 창포를 삶으면 향기로운 물이 우러나와 목욕물로 사용하게 되는데 이때 쑥이나 당귀 뿌리를 함께 삶기도 한다. 모두 방향물질을 갖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천궁(Cnidium officinale)은, 혈액과 기(氣)를 잘 돌게 하는 대표적인 약재로서 두통, 진통, 진정, 보혈강장에 좋고, 특히 머리를 맑게 하여 어혈을 풀어주고 멜라닌색소의 모태인 멜라노사이트(melanocyte) 자극 호로몬의 활성화를 저해시켜 색소 침착을 방지하며 미백 효과를 나타낸다.
더욱 상세하게는, 천궁은 산형과(Ap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로, 다소 매운 맛을 가지고 있으며 따뜻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동의보감에 의하면, "천궁은 두통을 치료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되며, 그러므로 정수리와 뇌가 아플 때에는 모름지기 천궁을 써야 한다"라고 하였다. 즉, 체내에서 혈액이 잘 돌지 못하면 두통, 어지럼증, 월경부조, 월경통, 부월경, 복통 등 여러 가지 증상이 생기는데 천궁은 이러한 증상을 개선시켜 준다. 또한 외상이나 타박상으로 비정상적인 혈액이 정체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데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그리고 임신 후 빈혈이나 혈액 성분이 될 영양물질을 함유하고 있어 보혈제의 역할을 한다.
따라서 천궁은 혈관을 확장하고 혈액 응고를 막아주어 혈액순환을 정상화시킴으로써, 비만과 동맥경화증, 고지혈증 등의 성인병과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뇌경색을 막아주고 생리 때가 되면 머리가 아프다는 여성들에게 아주 좋은 효능을 발휘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인삼(人蔘)은 두릅나무과의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뿌리로서 가는 뿌리와 코르크 층을 제거한 것을 말한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는 백삼(白蔘:생 것), 홍삼(紅蔘:찐 것), 미삼(尾蔘:가는 뿌리)으로 구분하여 기록했으나 민간에서는 야생삼도 장뇌와 산삼으로 구별한다.
중국에서는 인삼의 뿌리와 뿌리줄기를 말하며 원삼(재배삼), 홍삼, 산삼(야생삼)으로 구별한다. 인삼은 뿌리 모양이 사람과 같아서 붙여진 이름이며 귀신 같은 효험이 있다고 하여 신초(神草)로 불리기도 하고 높은 계급에 해당되어 사람이 받든다는 의미로 인함(人銜)이라고도 하며 해를 등지고 음지를 향해 있으므로 귀개(鬼蓋)라고도 한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달고 약간 쓰며 성질은 약간 따듯하다. 인삼은 원기를 보하고 신체허약, 권태, 피로, 식욕부진, 구토, 설사에 쓰이며 폐기능을 도우며 진액을 생성하고 안신작용 및 신기능을 높여 준다.
약리작용은 대뇌피질흥분과 억제, 평형, 항피로, 항노화, 면역증강, 심장수축, 성선촉진, 고혈당억제, 단백질합성촉진, 항상성유지, 항암, 해독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생김새는 가늘고 긴 원주형이나 방추형으로 2~5개의 곁뿌리가 나 있고 바깥 면은 엷은 황갈색이며 세로주름과 가는 뿌리 자국이 있다. 근두부에는 줄기의 잔기가 붙어 있던 노두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녹차(Green tea / Thea sinensis Linnaeus)는 차나무과(Theaceae)에 속하는 상록 교목 또는 관목이다. 녹차는 물 다음으로 널리 소비되는 음료로 그 효능 효과에 대해서는 오래 전부터 연구되어 왔다. 그 잎으로부터 녹차, 홍차, 우롱차 등이 생산된다. 상기 녹차는 차잎, 줄기 또는 꽃을 증기시킴으로써 산화 관련 효소들을 불활성 시키고, 폴리페놀 성분을 안정하게 유지하여 얻어지는 것이다. 녹차에서 발견되는 폴리페놀 성분은 플라보놀과 카테킨 성분으로 알려져 있으며, 항산화, 항암, 항염증, 항균 등의 다양한 효능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화장품 원료로서도 많이 이용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두피에 사용하여 두피의 민감성을 완화시켜 주고, 비듬을 예방하며, 탈모 유발 호르몬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보고된 바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도인은 장미과의 복숭아나무(Prunus persica Batsch) 또는 산복사(Prunus persica Franchet var. davidiana Maximowicz)의 씨로 만든 약재(한국, 일본)이다. 도인은 어혈을 제거하여 하복통, 월경폐색, 월경불순, 타박상, 폐농양, 맹장염에 쓰이며, 장을 윤활하게 하여 변비에 사용되며, 피부가려움증, 건조, 기미, 주근깨 등에 쓰인다. 약리작용으로 혈관확장작용, 혈류량증가, 자궁수축 및 자궁지혈작용 촉진, 배변작용, 항염증작용, 진해작용, 진통작용, 항알레르기작용, 항종양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단삼(丹蔘)은 Salvia miltiorrhiza Bunge의 뿌리로 만든 약재(한국, 중국)이며 일본에서는 사용하지 않는다. 다섯 가지 삼(參)- 인삼, 고삼, 단삼, 현삼, 사삼은 오색(五色)을 띄며 오장(五臟)에 각각 배속되는데 단삼은 심(心)에 들어가기 때문에 적삼(赤參)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또한 단삼은 풍병(風病)을 치료하여 하지무력감을 없애주므로 달리는 말을 쫓아갈 수 있게 한다 하여 분마초(奔馬草)라는 이름으로 부르기도 하였다. 이 약은 약간 특이한 향기가 있고 약성은 쓰고 떫으며 약간 차다.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제거하며 사지관절 동통을 완화시킨다. 부인의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복통, 어혈성심 복부통, 타박상 등을 치료한다. 고열로 인한 정신혼몽, 헛소리, 번조, 불면증, 피부발진, 심계항진 등을 치료한다. 약리작용은 관상동맥 확장, 콜레스테롤 강하, 혈압 강하, 간기능 활성화, 진정 항염, 항암, 항균작용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산초는 운향과의 초피나무(Zanthoxylum piperitum De Candolle) 또는 동속 식물의 과피로서 씨를 최대한 제거하여 만든 약재이다. 복부의 찬 기운으로 인한 복통, 설사와 치통등에 사용되며, 국소마취작용등이 보고되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홍화는 높이는 1m 정도이며, 꽃은 7월과 8월경에 노란색으로 피며, 모양이 엉겅퀴와 같으나 시간이 지나면 붉은색으로 됩니다. 열매는 길이가 6㎜정도이며 색은 흰색이고 윤이 난다. 약재는 홍색의 화관과 황색의 화주, 수술로 되어 있으며 길이는 10㎜내외이며 5개의 수술이 긴 암술을 둘러싸고 있습니다. 주로 심장과 간에 작용하여 온 몸의 혈액순환을 돕고 어혈을 풀어주는 동시에 통증을 완화시키는 효능이 있어서 내과, 부인과, 외과를 막론하고 어혈에 사용하는 약재이다.
본 발명의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일 예로 생약 복합물의 각 성분의 꽃, 잎, 가지, 뿌리, 열매 또는 껍질이나 이의 분쇄물에 추출용매를 가함으로써 제조하거나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제조한 조추출물에 분획용매를 가하여 분획하여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물 및 유기용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상기 알코올 희석수 에틸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톤 등의 극성용매와 에테르, 클로로포름, 벤젠, 헥산 또는 디클로로메탄의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이소프로판올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알코올 희석수는 알콜을 50 내지 99.9%(v/v)로 물에 희석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얻기 위해 사용된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5의 알코올, 알코올 희석수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물,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99% 에탄올 수용액 또는 주정일 수 있다. 상기 추출과정은 일 예로, 4℃ 내지 120℃, 또는 50℃ 내지 90℃, 또는 70℃ 내지 85℃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추출시간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으나, 10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시간 내지 6시간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은 통상의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것일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냉침추출법, 온침추출법, 열 추출법, 초음파 추출법 등일 수 있으며, 통상의 추출기기, 초음파분쇄 추출기 또는 분획기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로 추출한 추출물은 이후,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에틸에테르, 클로로포름, 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의 용매로 분획과정을 더욱 실시할 수 있다. 상기 분획 시 용매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으며, 용매의 극성에 따라 순차적으로 사용하거나 혼합하여 사용하여, 각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획과정은 일 예로, 4℃ 내지 120℃, 또는 50℃ 내지 90℃, 또는 70℃ 내지 85℃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제조된 추출물 또는 상기 분획과정을 수행하여 수득한 분획물은 이후 여과하거나 농축 또는 건조과정을 수행하여 용매를 제거할 수 있으며, 여과, 농축 및 건조를 모두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여과는 여과지를 이용하거나 감압여과기를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 농축은 감압 농축기, 일 예로 회전 증발기를 이용하여 감압 농축할 수 있으며, 상기 건조는 일 예로 동결건조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은 제형화 하는데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나,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은, 모유두 세포 증식, 혈행 촉진효과 및 두피 항상화 효과를 통해 모발 성장 촉진 및 탈모예방에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로부터 유효한 추출물을 얻는 새로운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모유두 세포(HHDCP)를 이용한 세포 증식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모발 성장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3은 모낭조직 활성화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내용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시료의 제조
생약 복합물(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 각 20g)에 현삼 50g을 곱게 분쇄하여 제조한 11개 복합 시료 250 g에 30% 주정, 2000 ㎖ 넣고 환류시켜 2시간 동안 추출하였다. 제조된 추출물을 감압회전농축기(Eyela N-1000, Tokyo, Japan)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하여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2. 테스토스테론 5-α- 리덕타아제 효소조제 방법
본 실험에 필요한 테스토스테론 5 알파-리덕타아제 효소를 아래와 같이 제조하였다. 24시간 절식한 래트(rat)의 간장을 빙냉한 크랩스 링거 완충액(krebs-Ringer phosphate buffer, pH 7.2)으로 관류하여 혈액을 제거하였다. 여기에 1.4배 양의 빙냉한 0.01 M 트리스 염화수소 완충액(Tris-HCl buffer, pH 7.2)을 가하여 균질화하고, 3000 rpm, 4℃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다. 원심분리하여 분리된 상층을 7,000 rpm, 4℃에서 10분간 다시 원심분리하고, 여기서 분리된 상층액을 10,000 rpm, 4℃에서 10분간 한번 더 원심분리하여 얻어진 상층액을 효소액으로 사용하였다. 효소액은 -70℃에서 동결보존하여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실험예 3. 5-α- 리덕타아제 효능 억제 연구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500 ㎍/㎖) 50 ㎕, 시료를 각각 녹인 시험액 50 ㎕ (6.67ug/ml), 상기에서 제조한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 효소액 160 ㎕를 혼합하고, NADPH(0.77 ㎎/㎖) 80 ㎕, 2 mM 디티오토레이톨(dithiothreitol) 400 ㎕를 가하여 반응을 개시한 다음 37℃에서 30분간 인큐베이션하였다.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에 내부표준물질(p-hydroxybenzoic acid n-hexyl ester, 0.01 mg/㎖)을 녹인 다음 820 ㎕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켰다. 그 후, 볼텍싱(vortexing)하여 상하를 잘 섞이게 한 다음 3,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을 제거한 후, 디클로로메탄(Dichloromethane)층을 질소로 날렸다. 여기에 메탄올(Methanol) 500 ㎕를 가하고,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로 남아있는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량을 측정하여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 활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로 나타내었다.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 활성억제 실험의 양성대조군으로는 시중에서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 저해제로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와 에치닐에스트라디올(Ethinylestradiol)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4. 고속액제크로마토그래피 ( HPLC ) 측정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의 측정조건 - 컬럼(Column)은 Thermo Hypersil Gold C18(150×4.6 mm) 사용하였고, 이동상으로는 메탄올과 물을 65:35의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유속은 1.0 ㎖/min, 컬럼온도는 40℃, 주입량은 20 ㎕, 검출파장은 254 nm에서 측정하였다. 측정은 내부표준물질법을 이용하였고, 피크-면적 비(테스토스테론/내부표준물질)로 테스토스테론 5알파-리덕타아제 억제률을 % 값으로 나타내었다.
실험예 5. 모유두 세포( HHDCP )를 이용한 세포 증식 활성실험
a. 세포배양: 인간 모유두 세포(HHDPC)는 10% FBS, 1% antibiotics를 함유하는 MSC medium, 37℃, 5% CO2의 조건 하에서 배양하며, 3일 간격으로 계대 배양하여 사용하였다.
b. MTT assay(모유두 세포 증식활성): 배양된 HHDPC를 혈구 계산기를 이용하여 세포 수를 0.5×104 cells/mL로 맞춘 후 각 well에 200 μL씩 넣어 24시간 배양하였다. 시약 처리 농도에 따라 두 개의 실험군과 대조군으로 나누고, 실험군에는 추출물을 처리하고 양성대조군으로 10 μM 농도의 미녹시딜을 사용하였다. 시료는 100 mg/mL의 농도로 DMSO에 녹인 추출물액을 이용하여 0.001 μg/mL, 0.01 μg/mL, 0.1 μg/mL과 1μg/mL의 네 가지 농도로 처리하였다. 선발 추출물의 효과는 MTT 검정법에 의하여, 처리 농도에서 세포 증식률을 알아보기 위하여 96-well plate에 최종농도 0.5 mg/mL가 되도록 MTT 용액을 첨가하여 3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종료 후, MTT 용액이 섞여 있는 배양액을 제거하고 DMSO를 첨가하여 배양 시 생성된 formazan을 용해하여 ELISA reader로 550 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6. C57BL /6 마우스를 이용한 모발 성장 실험( in vivo )
a. 실험동물 사육: 생후 6주 된 수컷 C57BL/6 mouse를 (주)중앙실험동물로부터 구입하여 1주간 동물 사육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동물 사육실은 온도 23±3℃ 상대습도 50±10%, 12시간씩 밤낮을 유지시킨다. 실험동물은 Clean rack에서 사육하였고 실험동물용 사료를 자유로이 급여하고 cage는 매 3일마다 교체하였다.
b. 모발성장실험: 제모 크림(비키로 크림,태극제약)을 이용하여 40초동안 방치하여 털을 제거하고 충분히 증류수로 닦아서 남아있는 여분의 제모크림을 없애준 후 알코올로 닦아준다. 48시간 동안 방치하여 미세 상처가 회복되도록 하였다. 시료 도포는 면봉을 이용하여 제모 부위에 시료 용액 100 μL씩을 mouse의 등에 골고루 도포하였고 시료 처리는 매일 오후 4시에 1회씩 21일간(3주) 실시하였다. 시험 시료 추출물은 50mg/mL의 농도로 70% 에탄올에 용해시켜 사용하고, 음성대조군은 70% 에탄올을 사용하고, 양성대조군으로 5% 미녹시딜을 사용하였다. 실험 시작 후 매일 모발이 성장하는 상태를 육안적으로 확인하기 위하여 7일에 한 번씩 마취제(2,2,2-tribromoethyl alcohol + tert-amyl alcohol)로 마취한 후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진 촬영을 실시하였다.
c. 조직학적 분석: 실험 3주 후에 마우스 희생과 조직 채취 실시하였다. 4% 중성 포르말린 용액으로 고정하였다. 각 개체별로 넓이 0.5㎝, 길이 2.5㎝의 피부조직 절편 4개를 얻었는데, 4개의 피부조직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일반적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파라핀 블럭(paraffin block)으로 제작한 후, 5㎛ 두께로 박절하여 H&E 염색(stain)을 실시하였다. Hematoxylin과 Eosin (H&E)으로 염색하여 광학현미경으로 모낭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억제률(%)=100×{(테스트 샘플의 면적 - 30분동안 반응이 진행된 샘플의 면적/(0분동안에서 반응이 정지된 샘플의 면적 - 30분동안 반응이 진행된 샘플의 면적)}
MTT 분석법은 살아있는 세포에서만 활성을 보이는 미토콘드리아의 탈수소 효소 작용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formazan이라는 색소 산물을 형성시켜 그것을 측정함으로 시험물질의 세포 독성 정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모발형성 세포인 HHDPC로부터의 현삼 단일성분과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에 대한 세포 증식 효과를 보기 위해 MTT assay법으로 흡광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도 1a 및 도 1b에 도시하였다. 여기서, A는 본원발명의 생약 복합물에서 현삼을 제외한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그 결과,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을 처리한 군이 처리하지 않은 군에 비해 높은 증식률을 나타내었다. 현삼 추출물을 0.05㎍/mL, 0.1㎍/mL, 0.2㎍/mL, 0.5㎍/mL와 1㎍/mL 농도로 처리 후 24, 48, 72시간째의 증식률을 측정한 결과, 활성 증식은 48 시간에서 농도별로 약 110%로 측정되어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고, 또한 양성대조군인 2μM minoxidil과도 유사한 증식률을 나타냈다.
또한, C57BL/6 마우스를 이용한 모발 성장 효과를 관찰하고 이를 도 2에 나타내었다. 그 결과, 음성대조군에 비해 양성 대조군, 현삼을 제외한 본원발명의 생약 복합물의 5% 추출물 및 본원발명의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을 도포한 시험군의 모발 성장 상태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도포 7일 후, 음성대조군에서는 모발 성장이 미흡하였으나, 본원발명의 추출물을 도포한 시험군에서는 우수한 모발 성장 효과가 나타났고, 특히 21일 후에는 몸통 전체에 모발이 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모낭조직 활성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실험을 도시한 것이다. 각 개체별로 넓이 0.5㎝, 길이 2.5㎝의 피부조직 절편 4개를 얻었는데, 4개의 피부조직을 하나의 쌍으로 하여 일반적 조직처리 과정을 거쳐 파라핀 블럭(paraffin block)으로 제작한 후, 5㎛ 두께로 박절하여 H&E 염색(stain)을 실시하였다. 조직 절편은 광학 현미경하에서 모낭 조직의 조직학적 변화를 관찰하였다.
현삼을 제외한 본원발명의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 및 본원발명의 추출물에서 모근세포가 길게 자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특히, 본원발명의 추출물을 처리한 군에서 모근세포의 성장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본원발명의 추출물이 모근활성의 촉진을 통한 우수한 발모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 내지 도 3에서 A는 본원발명의 생약 복합물에서 현삼을 제외한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을 의미한다.

Claims (8)

  1.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현삼, 감초, 당귀, 창포, 천궁, 인삼, 녹차, 도인, 단삼, 산초, 홍화로 이루어진 생약 복합물의 각 성분의 중량비가 2.5:1:1:1:1:1:1:1:1:1:1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3. 제1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생약 복합물에 저급 알코올을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및
    추출액을 농축하여 감압 농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저급 알코올이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에탄올이 30% 에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가 2회 이상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압 농축하는 단계 이후에 농축액을 분획하는 단계 및/또는 동결 건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이 헤어토닉,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및 헤어로션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제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30071907A 2013-06-21 2013-06-21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1482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907A KR20140148227A (ko) 2013-06-21 2013-06-21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071907A KR20140148227A (ko) 2013-06-21 2013-06-21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8227A true KR20140148227A (ko) 2014-12-31

Family

ID=5267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071907A KR20140148227A (ko) 2013-06-21 2013-06-21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1482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166A (zh) * 2015-09-18 2016-02-03 北华大学 一种骨科敷药的质量标准及其检测方法
KR20190018810A (ko) 2017-08-16 2019-02-26 이기용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8459A (ko) 2020-08-12 2020-08-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상처 치유, 미용 성형, 탈모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01166A (zh) * 2015-09-18 2016-02-03 北华大学 一种骨科敷药的质量标准及其检测方法
KR20190018810A (ko) 2017-08-16 2019-02-26 이기용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98459A (ko) 2020-08-12 2020-08-2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갈색거저리(Tenebrio molitor) 유충의 단백 가수분해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 상처 치유, 미용 성형, 탈모 치료, 또는 발모 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32246B1 (ko) 진세노사이드 알지3와 알에이치2를 주성분으로 하는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를 함유하는 모발 화장제
KR102326660B1 (ko) 한방 허브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발모촉진 및 모발 굵기 증대용 조성물
KR10122141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1503211B1 (ko) 발모 활성화 효능을 가지는 원추리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KR20090051586A (ko) 발모, 양모 촉진 및 탈모 방지를 위한 생약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101686008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양모효능이 있는 조성물
KR100970126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03745B1 (ko) 탈모방지 또는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20210058772A (ko) 탈모 치료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148227A (ko) 발모 촉진 및 탈모 방지 효능을 갖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43182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가지는 한방 약재 복합추출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발성장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34108B1 (ko)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1705354B1 (ko)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341274B2 (ja) エンドセリン変換酵素阻害剤
US20240115642A1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milk thistle flower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KR101833776B1 (ko)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0521800B1 (ko) 다래 추출물을 함유한 탈모 및 지루성 피부 증상의 예방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1724870B1 (ko) 두피 염증 완화와 Wnt/β-catenin 신호전달 활성을 갖는 모발성장 촉진 조성물
KR20180092438A (ko) 발모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00333B1 (ko) 배암차즈기, 원지 및 알로에베라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58730A (ko)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432873B1 (ko) 인삼 및 연교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EP409477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animal, and food composition, each comprising natural substance extract, and preparation method therefor
KR102650115B1 (ko) 좀깨잎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개선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