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29254B1 -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 Google Patents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29254B1
KR101229254B1 KR1020100111211A KR20100111211A KR101229254B1 KR 101229254 B1 KR101229254 B1 KR 101229254B1 KR 1020100111211 A KR1020100111211 A KR 1020100111211A KR 20100111211 A KR20100111211 A KR 20100111211A KR 101229254 B1 KR101229254 B1 KR 1012292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s ratio
composition
extract
cinnamon
ant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1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51163A (ko
Inventor
황성연
김홍준
Original Assignee
황성연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연, 주식회사한국전통의학연구소 filed Critical 황성연
Publication of KR20110051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51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292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292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12Materials from mamma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specified tissues or cells; Compositions comprising non-embryonic stem cells; Genetically modified cells
    • A61K35/32Bones; Osteocytes; Osteoblasts; Tendons; Tenocytes; Teeth; Odontoblasts; Cartilage; Chondrocytes; Synovial membra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1Solanaceae (Potato family), e.g. tobacco, nightshade, tomato, belladonna, capsicum or jimsonweed
    • A61K36/815Lycium (desert-tho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61K2236/3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using mixed solvents, e.g. 70% EtO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ell Biology (AREA)
  • Developmental Biology & Embryology (AREA)
  • Immunology (AREA)
  • Virology (AREA)
  • Zo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적정 성분비로 포함하여 면역증강, 체력증진 및 피로회복 등의 공진단과 유사한 약리활성을 나타내 사향이 제거된 가미공진단 제조에 이용하거나, 면역증강 및 피로회복을 위한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가능한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환제로 제조시 그 맛이 새콤달콤하여 취식성이 증대되므로 성장기 어린이나 청소년을 위한 제제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Composition for immune enhancement comprising the extract of Young antler, Ligusticum acutilobum, Cornus officinalis, Chinese matrimony vine, Curcuma aromatica Salisb, Yam, Aurantii nobilis pericarpium, Agastache rugosa, Gastrodia elata blume, Cinnamomum loureirii, Schizandra chinensis, Ginseng steamed red, snake's beard and citrus powder, as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한약재를 주재료로 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적정 성분비로 포함하여 면역증강, 체력증진 및 피로회복 등의 공진단과 유사한 약리활성을 나타내 사향이 제거된 가미공진단 제조에 이용하거나, 면역증강 및 피로회복을 위한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가능한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산업화와 환경의 변화 속에서 현대인들은 다양한 원인에 의한 면역력 저하로 인해 각종 질병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질병 치료를 위해 막대한 비용을 소모하고 있다. 특히, 최근 오염된 공기 및 신생활 변화, 즉, 인스턴트 식품, 탄산음료 등의 과잉섭취 등으로 인해 면역체계에 이상이 발생하여 알러지성 질환들이 지속적으로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알러지성 질환은 여러 알러지 유발인자에 의해 인체 면역체계를 과도하게 항진시켜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서 TNF-α(tumor necrosis factor-α), IL-1(interleukin-1), IL-6(interleukin-6),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din), 류코트리엔(luecotriene) 및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유발물질을 과도하게 유도하여 이는 염증반응으로 진행되어 알러지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만성 천식 및 면역 과민반응 증상 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면역질환을 예방 및 치료하기 위해, 여러 가지 약제가 개발되고 있으나, 대부분의 약제들이 화학약품들로 부작용이 있으며, 지속적인 치료효과를 내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한의학에서는 질병이 야기되기 이전에 예방하는 예방치료의 개념이 강하였으며, 종래의 보약이 이러한 개념이었다. 이러한 보약들의 대표적인 한의학적 처방약인 공진단은 녹용, 당귀, 산수유, 사향으로 구성된 처방으로 공진단의 활용을 살펴보면 노화를 방지하고 질병을 예방하는 경우, 수술이나 큰 병으로 원기가 쇠약해진 경우, 정신적 신체적 과로로 기력이 저하된 경우, 만성 피로가 심하여 휴식으로도 회복이 더딘 경우, 선천적으로 체질이 약한 경우, 혈액순환 저하로 몸이 무겁고 저린 경우, 신경이 예민하여 어지럼증과 불면증이 있는 경우, 과다한 스트레스와 음주로 간 기능이 약화된 경우 등에 유용하다고 알려져 있다. 동의보감에는 “대체로 남자가 장년시기에 진기(眞氣)가 몹시 약한 것은 타고날 때부터 약하고 허한 것이 아니므로 성질이 조(燥)한 약재를 쓰지 말아야 한다. 음혈을 보한다고 하는 처방들에 약품은 많으나 약효가 매우 약하여 효력을 보기 어렵다. 다만 타고난 원기를 든든히 하여 신수와 심화가 잘 오르내리게 되면 오장이 스스로 조화되고 온갖 병이 생기지 않을 것이다. 이런 때에는 이 처방을 쓴다.”라고 되어 있고 녹용(졸인 젖을 발라 구운 것), 당귀, 산수유 각각 160g, 사향(따로 간 것) 20g을 가루 내어 술을 두고 쑨 밀가루풀로 반죽한 다음 벽오동씨 만하게 알약을 만들어 한번에 70-100알씩 데운 술이나 소금 끓인 물로 복용하게 되어 있다.
그러나, 공진단의 주요성분 중 하나인 사향은 원료에 대한 공급이 원활하지 못하고 가격 또한 고가이며 진위에 대한 논란이 심하여 사용상의 문제가 있어 왔다. 또한, 최근에 사향의 대체품으로 사용하고 있는 목향은 의약품으로는 사용이 가능하지만 식품으로 개발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또한, 이러한 한약재를 주성분으로 하여 제조되는 공진단 등의 환제는 대부분 맛이 쓰게 되어 어린이나 청소년들이 취식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사향을 제외하면서도, 기존의 공진단과 유사한 약리 효과를 갖는 새로운 배합의 생약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연구를 거듭한 결과,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적정 성분비로 포함하는 조성물이 면역력 증진 및 피로회복 등의 효능을 나타내며, 환제로 제조시 식감이 우수하여 새로운 배합의 가미공진단으로 이용할 수 있음을 발견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제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질환 개선 및 피로회복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나의 양태로서, 본 발명은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생약 재료들은 재배한 것 또는 시판되는 것 등을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당업계의 통상적인 추출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건조, 동결 상태 또는 자연 그대로의 재료들을 적절히 세절하여 건조중량의 약 1 내지 15배, 바람직하게는 약 10 내지 15배 부피의 정제수(물),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추출 방법은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열수 추출한다. 또한, 상기 추출물을 정제 및 농축하기 위해 여과하여 동결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되는 녹용은 사슴과(鹿科;Cervidae)에 속한 매화록(梅花鹿) Cervus nippon Temminck, 마록(馬鹿) C. elaphus Linne 또는 대록(大鹿) C. canadensis Erxleben의 숫사슴의 털이 밀생하고 아직 골질화되지 않았거나 약간 골질화 된 어린 뿔을 자른 다음 말린 것이다. 녹용에는 16 종류의 아미노산이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proline, lysine, serine의 함량이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용의 상대에는 amine류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서 spermine, spermidine, putrescine이 풍부하다. 녹용의 중대와 하대에는 골화가 많이 진행된 상태이며 spermidine의 함량이 감소되어 있다. 이외에도 collagen, estrone, proteolip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당귀는 미나리과(形科:Umbelliferae)에 속한 다년생 초본인 당귀 참당귀 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건조시킨 것이다. 방향성분인 정유 및 데쿠신, 진정작용하는 베타시토스테롤, 자당, 니코틴산, 엽산 등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산수유는 층층나무과(山茶萸科:Cornaceae)에 속한 낙엽소교목인 산수유나무 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의 성숙한 열매를 건조한 것으로, 果肉에는 cornin, 즉 verbenalin, saponin, tannin, ursolic acid 및 vitamin A가 함유되어 있고, 종자의 지방유에는 palmitin acid, olein acid, linol acid 등이 함유되어 있다.
구기자는 가지과(茄科:Solanaceae)에 속한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성숙한 과실로, Carotene 3.39㎎%, vitamin B1 0.23㎎%, vitamin B2 0.33㎎%, nicotin acid 1.7㎎%, vitamin C 3㎎%을 함유하고, β-sitosterol, linoleic acid등이 함유되어 있다.
울금은 생강과(生薑科;Zingiberaceae)에 속한 鬱金 Curcuma aromatica Salisb. 또는 溫鬱金 C. wenyujin Y. H. Chen et C. Ling, 薑黃 C. longa L. 廣西莪朮 C. kwangsiensis S. Lee et C. F. Liang, 我朮 C. aeruginosa Roxb. 川鬱金 C. chuanyujin C. K. Hsieh et H. Zhang의 塊根을 건조한 것으로, 주성분으로는 精油 6.1%가 함유되어 있는데, 그 중에는 d-camphene 0.8%, d-camphor 2.5%, sesquiterpene(l-α-curcumene, l-β-curcumene) 65.5%, sesqui-terpene alcohol 22% 등이 들어 있고, 또 curcumin 0.3%, demethoxy-curcumine, bisdemethoxycurcumin, turmerone, arturmerone 등도 들어 있다. 그 작용은 강황과 유사하다. 그 밖에 澱粉 30~40%, 脂肪油 3%, 黃色色素와 carvone 및 phellandrene이 들어 있다.
산약은 마과(薯科:Dioscoreaceae)에 속한 마 Dioscorea batatas Decne.(=D. opposita Thunb.)와 참마 D. japonica Thunb.의 껍질을 제거한 뿌리줄기 Saponin, 점액, cholin, 전분(16%), glycoprotein과 유리amino산을 함유하며, 또한 abscisin Ⅱ, polyphenol 산화효소, vitamin C(5mg%), 3,4-dihydroxy-phenyle-thylamine(dopamine)을 함유하고 점액 중에는 mannan과 phytin산이 함유되어 있다.
진피는 운향과(芸香科:Rutaceae)에 속한 귤나무(橘) Citrus unshiu Markovich (=Citrus reticulata Blanco) 및 동속 근연식물의 성숙한 과실의 과피로 성분 중 정유성분으로 주성분은 d-limonine이며 이 외에도 hesperidin, myoinositol, vitamin C 등이 함유되어 있고 또한 flavonoide 배당체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곽향은 꿀풀과(脣形科:Labiatae)에 속한 배초향(藿香) Agastache rugosa (Fisch. et Meyer) O. Kuntze의 전초의 지상부로 6~7月 사이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리거나 음건한다. 곽향에는 정유 0.28%를 함유되어 있으며, 주성분으로 methylchavicol이 80% 이상을 차지하고, anethole, anisaldehydel, α-limonene, ρ-metlioxycinnaldehyde, α-pinene, β-pinene, 3-ocatanone, 3-ocatanol, ρ-cymene, 1-octen-3-ol, linalool, 1-caryophyllene, β-elemen, β-humulene, β-farnesene, γ-cadinene, calamen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천마는 난초과(蘭科:Orchidaceae)에 속한 천마 Gastrodia elata Bl.의 덩이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Gastrodin, gastrodioside(p-hydroxybenzol), vanillyl alcohol, succinic acid, citric acid, palmitic acid, p-hydroxybenzaldehyde, 미량의 alkaloids 등을 함유하고 있다. 주성분으로 알려진 gastrodin함량은 산지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약 0.25~0.67% 정도이다.
계피는 녹나무과(樟科:Lauraceae)에 속한 육계 Cinnamomum cassia Presl의 수피로 정유성분이 1~2% 함유되어 있는데, 그 주성분은 cinnamaldehyde가 75~90%이다. 성질은 뜨겁고 맛은 맥고 달다.
오미자는 오미자과(Schisandraceae)에 속한 오미자(북오미자) Schisandra chinensis Baill. 또는 화중오미자(남오미자) S. sphenanthera Rehd. et Wils.의 완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정유 약 3%가 함유되어 있으며, 정유 속에 다양의 sesquicarene, β2 -bisabclene, β-chamigrene, α-ylange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건조된 과실은 citral 12%, 사과산 10% 및 소량의 주석산을 함유하고 그 밖에 과당, 수지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五加科:Araliaceae)에 속한 인삼 Panax ginseng C.A Mey의 뿌리를 가공한 것으로, 가을에 줄기와 잎이 마를 때 캐어 말린 것을 백삼이라 하고, 잔뿌리를 제거하고 쪄서 건조한 것을 홍삼이라 하며 설탕에 가공하여 건조한 것을 당삼이라 한다. 인삼에는 ginsenoside가 약 5.22% 함유되어 있다. 인삼 ginsenoside는 13종 이상의 saponin혼합물이며, 그 가운데에서 ginsenoside Rb1, Rc 및 Rg1의 함유량이 비교적 높다. saponin이 함유된 genin은 protopanaxadiol, protopanaxatriol, oleanol acid의 3종이 있다. 또한 정유가 약 0.05% 함유되어 있는데 여기에는 독특한 향기의 근원이 되는 β-elemen과 쉽게 수지로 변하는 panaxynol이 함유되어 있다. 또한 panax acid는 palmitin acid, stearin acid, olein acid, linol acid 등의 혼합물인데 뿌리에 함유되어 있는 지질의 가수분해에 의하여 생성된 것이다. 또 β-sitosterol, stigmasterol 및 campesterol과 daucosterol도 분리되었으며, cholin이 0.1~0.2% 함유되어 있는데 이것이 인삼의 강압성분이다. 또 많은 종류의 amino acid와 peptide류, vitamin AㆍBlㆍB2ㆍC 등과 포도당, 과당, 맥아당, 자당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맥문동은 백합과(百合科:Liliaceae)에 속한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또는 소엽맥문동 Ophiopogon japonicus Ker-Gawl. 의 塊根으로, 주요성분으로는 Glucose, fructose 등의 당류와 sucrose β-sitosterol, β-sitosterol-β-D-glucose및 기타 점액질을 함유한다. 최근에 와서 steroid, saponin 인 pohiopogonin A·B·C·D와 oligosaccharide가 발견되었다.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구성성분의 함량은 녹용 5~25질량비, 당귀 5~25질량비, 산수유 5~25질량비, 구기자 5~25질량비, 울금 5~15질량비, 산약 5~15질량비, 진피 5~15질량비, 배초향 5~15질량비, 천마 1~5질량비, 계피 1~5질량비, 오미자 1~5질량비, 홍삼 1~5질량비, 맥문동 1~5질량비 및 감귤분말 1~5질량비로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녹용 10~15질량비, 당귀 10~15질량비, 산수유 10~15질량비, 구기자 10~15질량비, 울금 8~12질량비, 산약 8~12질량비, 진피 8~12질량비, 배초향 8~12질량비, 천마 1~4질량비, 계피 1~4질량비, 오미자 1~4질량비, 홍삼 1~4질량비, 맥문동 1~4질량비 및 감귤분말 1~4질량비로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녹용 12질량비, 당귀 12질량비, 산수유 12질량비, 구기자 12질량비, 울금 10질량비, 산약 10질량비, 진피 10질량비, 배초향 10질량비, 천마 2질량비, 계피 2질량비, 오미자 2질량비, 홍삼 2질량비, 맥문동 2질량비 및 감귤분말 2질량비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상기한 구성성분비를 가질 때,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으면서도 최적의 면역력 증강 효능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이 환제 형태로 제공될 때, 상기한 구성성분비를 가지는 경우 식감이 우수하여 취식성이 높은 특징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면역증진과 체력증진, 스트레스 해소 작용을 가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대표적인 한의학 처방약인 공진단의 주요구성성분으로 알려진 녹용, 산수유 및 당귀를 포함하면서, 다른 약재들,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을 적정 비율로 포함함으로써, 면역증강 작용을 나타내므로, 사향이 제외된 가미공진단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특히 환제 형태로 가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환제 형태는 생약을 추출하여 농축한 후 각 약재를 분쇄기를 이용하여 극세말하여 추출물과 가루를 혼합하고, 약액과 혼합한 가루는 다시 분쇄기에 넣어 극세말을 하여 300 내지 500mesh의 체에 걸러내 미세한 입자로 만들어 꿀과 함께 환(丸) 또는 단(丹), 원(元) 등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복용의 편의성을 위해 3.75 ~ 6g 단위로 제작하여, 하루에 한 알 내지 두 알 섭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환ㆍ단ㆍ원으로 만든 약재는 다시 식용 금박(또는 은박)을 사용하여 포장을 할 수 있다. 금 또는 은은 예로부터 환약을 만들 때 사용되어 마음을 안정시키고 방충 방부의 효과로 공진단이나 우황청심원 같은 처방에 보조재료로 이용하여 왔다. 또한, 다른 형태로는 환을 만드는 과정은 동일하게 하고 과거부터 염료로 사용해왔고 방충 방부의 효과가 있는 약재를 추출하여 표면에 코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자초 및 단삼 등의 한약재를 추출하여 천연 코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로 제조된 환제는 그 맛이 새콤달콤하여 취식성이 증대되므로,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면역증강을 위한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기능식품으로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면역증강용 조성물과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포함하는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제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면역질환"은 생체의 면역체계 이상으로 유발되는 다양한 염증성 질환, 알러지성 질환 및 암 등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감기, 천식, 폐렴, 알러지성 비염, 알러지성 결막염, 아토피성 피부염, 알러지, 류마티스 관절염, 알츠하이머병, 자가면역성 갑상선 질환, 염증성 장질환, 재생불량성 빈혈, 홍반성 루푸스 및 건선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으며, 담체와 함께 제제화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 마크로골,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약학적 조성물로 이용될 때, 추출물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건조 중량 기준으로 0.0001 ~ 50중량%, 바람직하게는 0.1 ~ 20중량%의 함량으로 포함되어 제제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건강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총 추출물의 건조 중량 기준으로 0.0001 내지 1000mg/kg,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00mg/kg의 양을 1일 1회 내지 수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경구 또는 비경구의 다양한 경로를 통하여 투여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구강, 직장, 국소, 정맥내, 복강내, 근육내, 동맥내, 경피, 비측내, 흡입, 안구 내 또는 피내경로를 통해 통상적인 방식으로 투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임의의 동물에 적용가능하며, 동물은 인간 및 영장류뿐만 아니라, 소, 돼지, 양, 말, 개 및 고양이 등의 가축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염증 질환 및 알러지성 질환 등의 면역질환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수술, 호르몬 치료, 약물 치료 및 생물학적 반응 조절제를 사용하는 방법들과 병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면역증강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면역질환 개선 및 피로회복 증진용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은 염증 질환 및 알러지성 질환 등의 면역질환 예방 또는 개선이나 피로회복 증진을 위한 목적으로 건강기능식품에 첨가될 수 있다. 이때,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재료들은 추출물 형태 외에도 재료 자체를 분말화하여 추가로 첨가하는 방식으로도 이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최종 제품의 상품성과 소비자 기호도에 따라 다른 식품소재를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유효한 첨가량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총 원료에 대하여 생약 건조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90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중량%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식품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식품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하여 제제화함으로써 제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제제의 형태로는 정제, 캡슐제, 환제, 액제 등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음료수, 차,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기능성 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다양한 향미제, 천연 탄수화물, 감미제, 비타민, 전해질, 착색제, 펙트산, 알긴산,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천연 탄수화물로는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 당 0.01~10 g 정도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면역증강 활성을 나타내면서도 인체 안정성이 뛰어나, 면역질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약학적 제제 또는 건강기능식품 제조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면역증강용 조성물은 면역력 증진, 자양강장, 수험생 체력증진 및 피로회복증진 등의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환제 형태로 가공시 식감이 우수하여 사향이 제외된 가미공진단 제조에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로 제조된 환제는 그 맛이 새콤달콤하여 취식성이 증대되므로, 성인뿐만 아니라, 특히, 어린이 및 청소년을 위한 제제로 이용될 수 있다.
<실시예 1 내지 16>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정향, 작약, 숙지황, 복령, 건강, 우슬, 대추 및 애엽을 음건하고 세절하였다. 감귤은 분말을 사용하였다. 이들을, 각각 동일한 질량비로 하기 표 1에 따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각각의 혼합물 총 무게의 10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10 시간 동안 끓여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감귤
정향
작약
숙지황
복령
건강
우슬
대추
애엽
<실험예 1>
건강한 성인의 혈액을 채취하여 실온에서 약 15분간 방치하여 응고시킨 후, 응고된 혈액을 절단하고 약 5분간 상온에서 방치시킨다. 이 혈액을 다시 4℃에서 약 20분간 방치한 다음 원심분리(3,000 rpm, 20분, 4℃)하여 혈청을 분리한 뒤 미량 원심분리용 튜브에 1 mL씩 분주하여 -70℃에서 냉동 보관하여, 시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혈청에 GVB++(gelatin veronal buffer, pH 7.4, 0.1% gelatin, 0.15 mM Ca++, 0.5 mM Mg++ 함유) 및 실시예 1 내지 16의 추출물을 각각 50 μL씩 혼합하여 37℃에서 30분간 1차 반응 시켰다. 그 후, GVB++ 350 μL를 가하고, 이를 10~160배 까지 연속 희석시켜, 750 μL의 GVB++와 양의 감작적혈구 (Ig M-sensitizated sheep erythrocyte, EA cell, 1× 108 cells/mL) 250 μL를 가하여 37℃에서 50분간 2차 반응시켰다. 그 후 PBS(phosphate buffered saline, pH 7.4) 2.5 mL를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상기 반응액은 2,000 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였으며, 얻어진 상등액을 412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잔존 용혈활성을 측정하였다.
항보체 활성은 정상인의 혈청과 GVB++, 증류수만을 반응시킨 음성대조군의 총보체용혈(50% total complement hemolysis, TCH50, %)에 대한 저지율(inhibition of 50% total complement hemolysis, ITCH50, %)로써 나타내었다. 양성대조군으로는 polysaccharide K(PSK)를 사용하였다.
<식 1>
ITCH50 (%)=(대조군의TCH50-실시예의 TCH50 / 실시예의TCH50) X 100
그 결과, 실시예 2, 3, 8, 12, 13 및 16의 ITCH50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표 2). 그러므로 항보체 활성이 높은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을 이용하여 이후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7 8
ITCH50 16 48 45 12 17 20 23 51
9 10 11 12 13 14 15 16 PSK
14 18 17 42 40 21 15 40 72
<실시예 17~32>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을 하기 표 3의 질량비로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각각의 혼합물 총 무게의 10배의 증류수를 가하고 10 시간 동안 끓여 열수 추출하였다. 상기 열수 추출물을 여과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농축하였다.
실시예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녹용 12 30 5 15 10 15 15 15 12 10 15 10 25 25 25 15
당귀 12 30 5 15 10 15 15 15 12 10 15 10 25 25 25 15
산수유 10 30 5 15 12 15 15 15 12 10 15 10 25 25 25 15
구기자 10 30 5 15 12 15 15 15 12 10 15 10 25 25 25 15
울금 8 15 20 5 8 8 20 20 10 8 20 20 20 15 5 8
산약 8 15 20 5 8 8 20 20 10 8 20 20 20 15 5 8
진피 8 15 20 5 10 8 20 20 10 8 20 20 20 15 15 12
배초향 10 15 20 5 10 8 20 20 10 8 20 20 20 15 15 12
천마 1 5 10 2 1 2 2 20 2 1 2 10 5 5 4 2
계피 2 5 10 2 1 2 2 20 2 1 2 10 5 5 4 2
오미자 1 5 10 2 1 2 2 20 2 1 2 10 5 5 4 2
홍삼 1 5 10 2 1 2 2 20 2 1 2 10 5 5 4 2
맥문동 1 5 10 2 1 2 2 20 2 1 2 10 5 5 4 2
감귤 2 5 10 2 1 2 2 20 2 1 2 10 5 5 4 2
<실험예 2>
비장(spleen)은 혈액으로부터 항원을 수집하여, B 및 T 림프구의 성숙과 항원에 의해 자극받은 후 림프구의 분화가 이루어지는 주요 림프기관으로 비장 내 림프구의 증식은 면역시스템에 있어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6~8주령 암컷 Balb/c 마우스를 1 주일 동안 23 ℃, 40-60 % 습도, 12시간 명암주기 조건환경에서 적응시켰다. 그 후, 실시예 17~32의 추출물을 70 ml/kg 의 용량으로 첨가하여 일반 사료(퓨리나)와 함께 1달 간 투여하고, 혈액을 채취하였다. 형광색소(FITC, PE)를 이용하여 염색 후 유세포분석기(flow cytometry)를 이용하여 상기 혈액 내 총 T 림프구 및 총 B 림프구의 수를 측정하였다(표 4).
실시예 17 18 19 20 21 22 23 24
B림프구* 29 11 2 15 31 26 18 4
T림프구* 26 4 1 10 24 20 7 8
실시예 25 26 27 28 29 30 31 32
B림프구* 38 28 13 6 14 35 30 28
T림프구* 34 20 10 2 11 21 24 23
*B 림프구 및 T 림프구는 세포수 X 10 5으로 나타냄.
그 결과, 실시예 17, 21, 22, 25, 26, 30, 31 및 32의 추출물을 투약 시 면역 증강 효능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 분말을 각각 5~25: 5~25: 5~25: 5~25: 10~15: 10~15: 10~15: 10~15: 1~5: 1~5: 1~5: 1~5: 1~5: 1~5 의 질량비로 혼합하여 열수추출하는 것이 효과가 좋았다.

Claims (7)

  1.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각각 10~25: 10~25: 10~25: 10~25: 8~15: 8~15: 8~15: 8~15: 1~5: 1~5: 1~5: 1~5: 1~5: 1~5의 중량비로 포함하는, B 림프구 및 T 림프구 증식에 의한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구성성분의 함량은 녹용 10~15질량비, 당귀 10~15질량비, 산수유 10~15질량비, 구기자 10~15질량비, 울금 8~12질량비, 산약 8~12질량비, 진피 8~12질량비, 배초향 8~12질량비, 천마 1~5질량비, 계피 1~5질량비, 오미자 1~5질량비, 홍삼 1~5질량비, 맥문동 1~5질량비 및 감귤분말 1~5질량비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식품 조성물은 사향이 제외된 가미공진단 제조를 위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탄소수1 내지 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로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환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면역증강용 식품 조성물.

  6. 삭제
  7. 삭제
KR1020100111211A 2009-11-09 2010-11-09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2292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7539 2009-11-09
KR20090107539 2009-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163A KR20110051163A (ko) 2011-05-17
KR101229254B1 true KR101229254B1 (ko) 2013-02-26

Family

ID=443615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11211A KR101229254B1 (ko) 2009-11-09 2010-11-09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2925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524230A (zh) * 2015-02-02 2015-04-22 王新 用于大叶性肺炎恢复期调理的药物及其制备方法
CN104623410A (zh) * 2015-01-14 2015-05-20 朱时才 一种治疗放射性肺炎的中药
KR102176756B1 (ko) 2019-10-29 2020-11-09 김득수 녹용 홍삼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녹용 홍삼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70784B (zh) * 2012-05-09 2014-06-04 王子英 一种治疗鼻炎、鼻窦炎的中药制剂
KR101731859B1 (ko) * 2014-12-10 2017-05-04 한국 한의학 연구원 진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이상 체중 감소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939192B1 (ko) * 2017-08-10 2019-01-16 서창산업주식회사 급성 염증 개선 및 면역 증진용 조성물.
CN108686151A (zh) * 2018-08-10 2018-10-23 刘晓东 一种健脑复原的中药
KR102390386B1 (ko) * 2019-07-30 2022-04-25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반려동물용 기능성 음료 조성물
KR102291941B1 (ko) * 2019-11-29 2021-08-19 최병길 천연물 혼합 숙성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2241B1 (ko) * 2019-12-13 2020-03-23 (주)헬스앤라이프 건강즙 제조방법
KR102131602B1 (ko) 2020-02-19 2020-07-08 코스맥스엔비티 주식회사 배초향 및 감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775A (ko) * 1998-06-03 2000-01-25 최수부 새로운처방의우황청심원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KR20030008080A (ko) * 2001-07-16 2003-01-24 김희숙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기능성 식품
KR20030036435A (ko) * 2003-03-31 2003-05-09 박년두 산수유(Comi Fructus)액 제조를주제로한 건강식품
KR20050043388A (ko) * 2003-11-06 2005-05-11 고한길 한방 건강 보조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11445A (ko) * 2008-04-22 2009-10-27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생맥산과 그 가감방의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05775A (ko) * 1998-06-03 2000-01-25 최수부 새로운처방의우황청심원조성물및그의제조방법
KR20030008080A (ko) * 2001-07-16 2003-01-24 김희숙 면역증강 활성이 우수한 생약재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기능성 식품
KR20030036435A (ko) * 2003-03-31 2003-05-09 박년두 산수유(Comi Fructus)액 제조를주제로한 건강식품
KR20050043388A (ko) * 2003-11-06 2005-05-11 고한길 한방 건강 보조 식품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90111445A (ko) * 2008-04-22 2009-10-27 (주) 김형민한약연구소 생맥산과 그 가감방의 피부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또는면역증강용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623410A (zh) * 2015-01-14 2015-05-20 朱时才 一种治疗放射性肺炎的中药
CN104524230A (zh) * 2015-02-02 2015-04-22 王新 用于大叶性肺炎恢复期调理的药物及其制备方法
KR102176756B1 (ko) 2019-10-29 2020-11-09 김득수 녹용 홍삼액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녹용 홍삼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51163A (ko) 2011-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79598B1 (ko) 녹용, 산수유, 당귀, 진피, 구기자, 연근, 산약, 울금, 천마, 배초향, 계피, 복분자, 오미자 및 홍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1229254B1 (ko) 녹용, 당귀, 산수유, 구기자, 울금, 산약, 진피, 배초향, 천마, 계피, 오미자, 홍삼, 맥문동 및 감귤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100998225B1 (ko)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KR0126431B1 (ko) 혈당강하 효과가 있는 건강식품 조성물
KR100913243B1 (ko) 숙취해소용 음료 조성물
CN104487079A (zh) 通过微波辐照产生的具有提高的人参皂苷Rg3、Rg5和Rk1含量比的人参属植物提取物、制备所述人参属植物提取物的方法以及包含所述人参属植物提取物的组合物
KR101392204B1 (ko) 홍삼, 당귀, 진피 및 녹차의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관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62306B1 (ko) 월경 전기 증후군 및 월경통 완화의 기능을 갖는 조성물
CN104258063A (zh) 提高鸡免疫力的中草药组合物
CN103168883A (zh) 可增强免疫力、抗病原微生物、抗病毒的茶饮料颗粒剂及其制备方法
KR20190045057A (ko) 비만 개선용 다이어트 한방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8578544A (zh) 一种具有降糖作用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08813501A (zh) 具有清热润肺止咳化痰平喘和调节人体机能的养生蜂蜜膏
WO2016117705A1 (ja) 肝細胞増殖因子産出誘導剤
KR101833776B1 (ko) 지모와 두릅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용 조성물
KR101479096B1 (ko) 생약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전산후부종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CN105963556A (zh) 一种健胃益脾降血压的铁皮石斛药酒及其制备方法
KR20220085088A (ko) 가미공진단 한약재를 활용한 면역질환개선 식품첨가물
KR102494072B1 (ko)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우울감 개선 또는 예방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50002048A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조성물
KR101662887B1 (ko) 다래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비알콜성 지방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1571B1 (ko)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CN104000180A (zh) 一种辅助降血糖的人参组合物、制备方法及其用途
KR101195447B1 (ko)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생약조성물
Mishra et al. A review of the multifunctional benefits of herbal products in the management of diabe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