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1571B1 -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1571B1
KR101671571B1 KR1020140069505A KR20140069505A KR101671571B1 KR 101671571 B1 KR101671571 B1 KR 101671571B1 KR 1020140069505 A KR1020140069505 A KR 1020140069505A KR 20140069505 A KR20140069505 A KR 20140069505A KR 101671571 B1 KR101671571 B1 KR 1016715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seeds
ginseng seed
composition
seed 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69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1036A (ko
Inventor
고성권
Original Assignee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69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1571B1/ko
Publication of KR201501410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10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15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15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15Fatty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Fats or oi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5Araliaceae (Ginseng family), e.g. ivy, aralia, schefflera or tetrapanax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1/0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 C11B1/10Production of fats or fatty oils from raw materials by extract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된 인삼씨유를 포함하여 당 흡수 저해 효과를 갖는 인삼 씨 조성물에 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추출 방법으로서 헥산을 이용한 초음파 추출에 의하는 경우 압출이나 초임계 추출보다 더욱 우수한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α-Amylase 저해활성을 갖는 인삼 씨 조성물,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A ginseng seed composition having inhibitory effect of glucose absorption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인삼의 씨(seed)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한 인삼씨유(또는 인삼의 오일 성분)가 당 흡수 저해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건강기능성 식품, 또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에 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인삼(Panax ginseng C. A. Meyer)의 뿌리는 주로 약으로 이용하며, 인삼의 주요한 생리활성물질은 인삼사포닌(ginsenosides), 폴리아세틸렌(polyacetylenes), 인삼 단백질(proteins), 다당체(polysaccharides), 페놀계 화합물(phenolic compounds)을 함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도 인삼사포닌(ginsenoside)은 생화학 및 약리작용을 나타내는 인삼의 유효성분으로 주목 받아왔다. 즉, Shibata 등의 연구 시작으로 1960년대 후반부터 인삼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이 이루어지고 있고, 그것의 화학구조가 Shibata 그룹의 연구에 의해 명확히 확인되었다. 또한, 인삼사포닌은 화학구조의 특성에 따라 protopanaxadiol(PD)계, protopanaxatriol(PT)계, oleanane계 사포닌으로 구분할 수 있고, 현재까지 각각 22종, 13종, 1종의 화합물에 대한 구조가 규명되었다.
이러한 인삼사포닌(ginsenoside)의 약리 활성을 보면 항암작용을 비롯하여 항당뇨 작용, 중추신경 억제작용, 동맥경화 및 고혈압의 예방, 간기능 촉진 및 숙취제거효과, 항피로 및 항스트레스 작용, 항산화작용, 항염활성, 단백질 합성 촉진 작용, 면역증강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종래에 인삼 지하부와 인삼 지상부에 대한 인삼사포닌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으나, 인삼의 씨(seed)에에 대한 연구는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한편, 당뇨는 고혈당으로 인해 소변에 포도당이 섞여 나오는 질환이다. 우리몸은 혈관속에 적정 이상의 혈당이 존재하게 되면, 고혈당으로 인해 혈액 이 끈적끈적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인체 스스로 몸 밖으로 포도당을 배출해 균형을 잡는다. 당뇨는 크게 2가지 원인으로 발병된다.
첫 번째는 인슐린 저항성으로 인한 고혈당이다. 인체는 탄수화물을 섭취하면 흡수가 잘 되도록 포도당으로 전환하는데, 췌장 세포는 이를 감지하여 인슐린을 분비, 배출한다. 인슐린은 포도당을 필요로하는 근육세포에 포도당을 공급하면, 근육세포는 이를 흡수하여 에너지원으로 쓰게 된다. 그런데, 당뇨환자는 어떤 이유로, 근육세포의 인슐린 수용체가 인슐린과 결합을 거부하므로써, 포도당이 근육세포에 흡수되지 못하고, 혈관에 남게 되므로써 고혈당을 유발하게 된다.
두 번째는 췌장 세포의 기능저하로 인한 고혈당이다. 혈중 포도당이 증가하면 췌장 세포는 이를 처리할 인슐린을 분비, 배출 하여 근육세포에 포도당을 전달한다. 그런데, 당뇨환자는 췌장 세포의 기능이 정상인에 비해 현저하게 저하되어 있어서, 적정량의 인슐린을 분비하지 못하게 된다. 이로 인해, 근육세포로 전달되지 못한 포도당이 혈관에 남게 되어 고혈당 을 유발하게 된다.
이와 같은 당뇨병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인슐린 저항성을 개선하는 방법,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고, 이외에 당의 흡수를 저해하는 방법에 의해서도 당뇨병의 치료가 가능하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자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55348호(발명의 명칭 :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을 통하여, 인삼의 씨 분말을 유기용매로 추출함으로서 올레산 등과 같은 불포화 지방산 함유율이 높은 추출물을 인삼의 씨로부터 얻을 수 있고, 이러한 추출물을 식용 유지나 식용유 원료로써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인삼의 씨로부터 얻은 추출물 안에는 불포화지방산이 많은 양으로 포함되어 있다는 것일 뿐, 인슐린 저항성이나 당 흡수 저해에 대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서, 본 발명과 상이하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당 흡수 저해 효과를 갖는 인삼 씨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우수한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α-Amylase 저해활성을 갖는 인삼 씨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seed) 조성물은,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된 인삼씨유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삼씨유는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된 기름상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인삼의 씨는 표면 과육이 제거된 인삼 종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인삼씨유는 인삼의 씨를 압출하거나, 초임계 추출하거나, 또는 헥산 추출하여 얻은 것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헥산 추출은 인삼의 씨를 헥산(hexane) 용매가 포함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인삼씨유는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α-Amyl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한 조성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한 조성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것도 가능하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인삼의 씨로부터 인삼씨유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여기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인삼의 씨에서 표면 과육을 제거하여 인삼 종자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은 인삼 종자를 헥산(hexane) 용매가 포함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된 인삼씨유를 포함하여, 당 흡수 저해 효과를 갖는 인삼 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출 방법으로서 헥산을 이용한 초음파 추출에 의하는 경우 압출이나 초임계 추출보다 더욱 우수한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α-Amylase 저해활성을 갖는 인삼 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씨 조성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 일례를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씨 조성물의 α-Amylase 저해활성 일례를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임산의 씨(seed) 추출물 및/또는 조성물에 대한 것으로,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된 인삼씨유를 포함하여, 특별히 당 흡수 저해 효과를 가지는 것이 특징이다.
여기서, 상기 인삼으로는 이 기술분야에 널리 알려진 다양한 형태의 인삼을 포함하고, 본 발명에서 사용 가능한 인삼은 고려인삼(Panax ginseng)을 비롯한 서양삼(Panax quinquefolium), 삼칠삼(Panax notoginseng), 죽절삼(Panax japonicum) 또는 파낙스 베트남엔시스(Panax vietnamensis)와 같은 파낙스(Panax) 속 식물의 씨 또는 종자 및 이들을 가공 처리한 경우도 포함하는 것이며, 바람직하게는 지방산 함량이 높은 고려인삼의 씨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한 추출물 또는 인삼씨유(인삼의 오일 성분)을 얻은 것이 특징이다. 종래에 인삼 지하부와 지상부(주로, 홍삼의 주근이나 미근)에 대한 인삼사포닌 연구는 다수 이루어졌으나, 인삼의 씨(seed)에 포함된 지방산에 대한 연구는 아직 체계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더욱이, 인삼의 씨가 가지는 당 흡수 저해 효과 및/또는 당뇨병 예방이나 치료 효과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러한 점에 착안하여, 본 발명자들은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한 인삼씨유에 대한 당 흡수 저해 효과를 연구하였고, 그 결과 인삼씨유가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α-Amylase 저해활성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여기서, 상기 인삼씨유는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된 기름상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발명에서 인삼씨유는 또는 인삼의 씨(seed) 추출물은, 인삼의 씨를 유기용매를 이용하거나 이용하지 않고서 추출하여 얻은 지방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지방산 중에서도 불포화지방산, 더욱 바람직하게는 올레산(Oleic acid)을 60~80중량% 범위 내로 포함하는 기름상 추출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인삼의 근(뿌리)에는 식물성 스테롤 성분이 많이 포함되어 있고, 지방산 중에서도 팔미트산과 같은 포화지방산이 많이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본 발명에 따라 인삼의 씨로부터 얻은 추출물에는 불포화지방산인 올레산이 절반을 넘는 가장 많은 주요성분으로 포함되어 있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추출물은 인삼의 근(뿌리)과는 또 다른 생리활성이 기대되는 기능식품 신소재로서의 가능성 가지고 있다.
여기서, 상기 인삼의 씨는 싹이 튀어지거나 튀어지지 않은 것을 모두 포함하고, 인삼의 씨를 세말한 인삼 씨 분말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인삼의 씨는 표면 과육이 제거된 인삼 종자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즉, 인삼의 씨는 핵과류에 속하는 것으로 중앙에 인삼 종자가 있고 표면이 과육으로 둘러 쌓여있다. 그래서, 인삼의 씨로부터 표면 과육이 제거된 것을 이용하면, 빨간 장육의 부패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오일 성분이나 기름상 추출물을 더욱 많은 양으로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나아가, 장육 제거가 끝낸 종자 중 물에 뜨는 종자는 버리고 나머지는 그늘에 1~4일간 말린 후 이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인삼씨유는 인삼의 씨를 압출하거나, 초임계 추출하거나, 또는 헥산 추출하여 얻은 것이 가능하다. 그 중에서도, 상기 헥산 추출은 인삼의 씨를 헥산(hexane) 용매가 포함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와 같이 헥산 용매를 이용한 초음파 추출 방법에 의하면, 압출이나 일반적으로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진 초임계 추출에 의하는 것보다 더욱 우수한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α-Amylase 저해활성을 갖는 인삼 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추출된 후에 농축되거나 또는 농축된 액을 건조시킴으로써 용매를 제거하여 건조된 분말상의 가공인삼 추출물, 예를 들어 인삼이 연조 또는 건조된 엑스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유기용매에 의한 추출 이후에는, 후 가공처리의 일례로써 식초를 이용해서 추가 추출을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추출된 본 발명의 인삼 씨 조성물 또는 오일은 다양한 성분을 포함하며, 바람직하기로는 인삼 씨 추출물(인삼씨유)이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100중량% 범위 내로 포함되고, 주성분으로는 80 중량% 이상이 유지로 구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외에 0.1∼10 중량%의 인지질, 및 0.1∼5 중량%의 폴리아세틸렌을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인삼의 씨로부터 인삼씨유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의 제조방법이다.
상기 인삼의 씨로부터 인삼씨유를 추출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용매 추출법, 냉침법, 온침법, 침적법 등 여러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본 추출에 사용하는 유기 용매는 인삼 및 인삼박 분말 내 지용성 성분인 지방산을 효과적으로 추출하기 위한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대표적으로, 상기 유기 용매로는 주정, 헥산, 사이클로헥산,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톤, 테트라하이드로푸란, 헵탄, 벤젠, 석유 에테르, 디프로필 에테르, 푸르푸롤, 트리에틸아민, 아세토니트릴 및 이들의 혼합용매 등이 가능하다. 바람직하기로는 주정, 헥산, 아세톤 및 이들의 혼합 용매가 가능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헥산(hexane) 및/또는 올리브유를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때 용매추출은 이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기로는 압출 방법, 초임계 용매 추출 방법, 헥산 추출 방법, 초음파 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추출 온도는 당업자가 선택한 추출 방법에 적절한 온도 범위를 채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내지 150 등의 범위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추출방법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히 선택할 수 있으며, 약 1 시간 내지 10 일의 범위에서 단회 또는 복수회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추출은 상기한 1차 추출용매를 이용하여 실온에서 약 2 일씩 23회 추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렇게 얻어진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기름상 형태로 얻을 수 있다. 일례로서, 이러한 추출은 인삼의 씨 또는 인삼의 씨 분말 1g에 대하여 유기 용매를 50ml∼1L를 첨가하여 4 내지 50℃에서 30분 내지 24시간, 바람직하기로 25 내지 65℃에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필요한 경우 순도를 높이기 위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상기 인삼 씨 추출물에 대하여 정제 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정제는 본 발명에서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공지된 바의 방법이 가능하다. 일예로 감압 여과 후 이온교환수지 또는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거친 후 동결 건조하거나 농축시켜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하는 단계는, 인삼의 씨에서 표면 과육을 제거하여 인삼 종자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은 인삼 종자를 헥산(hexane) 용매가 포함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인삼 종자의 표면에 있는 과육을 제거하는 것을 장육제거라고 한다. 예를 들어, 채종한 종자를 하루정도 음지에 보관하면 과육이 물렁한 상태로 변하고 종피에 붙어있는 과육 찌꺼기가 탄력을 잃어 손으로 비벼도 과육이 잘 제거된다. 종자의 양이 많을 때는 부대자루에 있는 상태에서 가볍게 발로 밟아주고 난후 물을 담은 수반에서 비비는 것도 가능하다. 다만, 장육제거 시 너무 힘을 가하면 종자가 으깨지므로 조심해야 한다. 그리고 인삼의 종피는 껍질 바깥 면이 우툴두툴하므로 과육 찌꺼기가 굴곡진 곳에 끼지 않도록 깨끗이 제거하는 것이 적합하다. 이와 같이, 인삼의 씨로부터 표면 과육이 제거된 것을 이용하면, 빨간 장육의 부패를 막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목적하는 오일 성분이나 기름상 추출물을 더욱 많은 양으로 얻을 수 있어서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얻은 인삼 종자를 헥산(hexane) 용매가 포함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는 단계는, 인삼 종자로부터 인삼씨유을 얻기 위하여 특별히 헥산 추출 방법 및/또는 초음파 추출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일례로, 인삼 씨를 세말한 시료에 헥산(hexane)을 10배 정도 넣고, 초음파 추출기에서 2시간씩 2회씩 상온에서 추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압출이나 초임계 추출에 의하는 것보다 더욱 우수한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α-Amylase 저해활성을 갖는 인삼 씨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와 함께, 본 발명의 일 구체예는 상기한 조성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 내 인삼씨유 추출물이나 조성물의 함량은 대상체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등에 따라서 적절히 조절 가능하며, 전체 조성물 중량을 기준으로 5 내지 80중량%, 바람직하게는 10내지 50중량%이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 흡수 저해 효과를 위하여는 인삼씨유 추출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1일 체중 kg 당 10 내지 1000 mg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1일 투여량을 2 내지 3회에 나누어 투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 흡수 저해 효과 및 당뇨병 개선을 위한 건강기능식품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건강기능식품이라 함은 건강기능식품에 관한 법률 제6727호에 따른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가진 원료나 성분을 사용하여 제조 및 가공한 식품을 의미하며,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 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을 목적으로 섭취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조성물은 통상의 식품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식품 첨가물"로서의 적합 여부는 다른 규정이 없는 한, 식품의약품안전처에 승인된 식품 첨가물 공전의 총칙 및 일반시험법 등에 따라 해당 품목에 관한 규격 및 기준에 의하여 판정한다.
상기 식품 첨가물 공전에 기재된 품목으로는 예를 들어, 케톤류, 글리신, 구연산칼륨, 니코틴산, 계피산 등의 화학적 합성물, 감색소, 감초추출물, 결정셀룰로오스, 고량색소, 구아검 등의 천연첨가물, L-글루타민산나트륨 제제, 면류첨가알칼리제, 보존료제제, 타르색소제제 등의 혼합제제류들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당 흡수 저해 효과 및 당뇨병 개선을 위한 식품 및 음료 등에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으며, 예컨대,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성 보조 식품, 식품 첨가제 등에 사용될 수 있고, 분말, 과립, 정제, 캡슐 또는 음료인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기재한 것 외에도 모든 식품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인삼씨유 추출물 이외에도 보조성분으로 비타민 B, C, E나 베타카로틴, Ca, Mg, Zn 등의 미네랄 함유 화합물이나 레시틴 등의 인지질 또는 말톨, 올리고당, 아미노산 등의 성분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특히, 비타민 C, E 나 베타카로틴, 말톨 등의 성분 2-3개를 혼합하여 사용하면 생체 활성효과를 보강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성분에 추가로 미각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공지의 첨가체로써, 매실, 레몬향, 파인애플향 또는 허브향과 같은 천연향료나 천연과즙, 플로로필린, 플로보노이드 등의 천연색소 및 감미성분인 과당, 벌꿀, 당알코올, 설탕 등, 구연산, 구연산나트륨 같은 산미체를 첨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 음료형태인 경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오스, 수크로오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코올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식품 조성물은 당 흡수 저해효과 및 당뇨병 개선을 위한 목적으로,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환 등의 형태로 제조 및 가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삼씨유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및 다른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통상의 방법으로 과립화한 다음, 활택제 등을 넣어 압축성형하거나, 상기 혼합물을 직접 압축성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정제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필요에 따라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할 수도 있다.
캅셀 형태의 건강기능식품 중 경질캅셀제는 통상의 경질캅셀에 인삼화뢰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 또는 그의 입상물 또는 제피한 입상물을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연질캅셀제는 인삼화뢰 추출물, 및 부형제 등의 첨가제와의 혼합물을 젤라틴 등 캅셀기제에 충진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연질캅셀제는 필요에 따라 글리세린 또는 소르비톨 등의 가소제, 착색제, 보존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환 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삼씨유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성형하여 조제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백당이나 다른 적당한 제피제로 제피를, 또는 전분, 탈크 또는 적당한 물질로 환의를 입힐 수도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삼씨유 추출물,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등의 혼합물을 적당한 방법으로 입상으로 제조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착향제, 교미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과립형태의 건강기능식품은 12호 (1680 m), 14호 (1410 m) 및 45호 (350 m) 체를 써서 다음 입도시험을 할 때에 12호체를 전량 통과하고 14호체에 남는 것이 전체량의 5.0 %이하이고 또 45호체를 통과하는 것은 전체량의 15.0 %이하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 결합제, 붕해제, 활택제, 교미제, 착향제 등에 대한 용어 정의는 당업계에 공지된 문헌에 기재된 것으로 그 기능 등이 동일 내지 유사한 것들을 포함한다 (대한약전 해설편, 문성사, 한국약학대학협의회, 제 5 개정판, p33-48, 1989).
본 발명의 당 흡수 저해 효과 및 당뇨병 개선용 건강식품은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해독작용이 우수할 뿐 아니라 복용이 용이하고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여 당 흡수 저해 효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는 상기한 조성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인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당 흡수 저해 효과 또는 당뇨병 개선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 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는 인삼씨유 추출물은 약제학적으로 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 등과 함께 제제화할 수 있으며, 제제화에 관한 내용은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최근판),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등의 문헌을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현형태로써, 본 발명에 따른 인삼씨유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또는 멸균 주사용액 등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여기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 등을 들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로 제제화되는 경우,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가능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인삼씨유 추출물 이외에 적어도 한 가지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 수크로스 또는 락토오스, 젤라틴 등을 혼합하여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액상제제로 제제화되는 경우,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가능하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로 제제화되는 경우,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바람직한 효과를 위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유효성분인 인삼씨유 추출물 함량을 기준으로 성인 남성 기준 1일 10 mg/kg 내지 1000 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100 mg/kg 내지 500 mg/kg 이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주는 상기 투여량 및 투여횟수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랫트, 마우스,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예를 들면, 경구로, 또는 복강내, 직장내, 정맥내, 근육내, 피하, 자궁내 경막 또는 뇌혈관내(Intracerebroventricular)로 주사 등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당 흡수 저해 효과 또는 당뇨병 개선을 위한 인삼씨유 추출물의 용도, 당 흡수 저해 효과 또는 당뇨병 개선을 위한 약제의 제조를 위한 인삼씨유 추출물의 용도, 인간을 포함한 포유류에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인삼씨유 추출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당 흡수 저해 효과 또는 당뇨병 개선을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준비예 : 인삼 씨의 준비
본 실시예에서 사용한 고려 인삼(Panax ginseng) 씨로는 한국 충북 음성에서 재배(재배자, 남성엽)된 5년생 인삼 씨를 채집하였고, 이것으로부터 장육을 탈피하여 건조시킴으로서 건조된 인삼 씨를 준비하였다.
실시예 1 : 압출 방법에 의한 인삼씨유의 제조
상기 준비예를 통해 준비한 건조된 인삼 씨 5kg을 착유기에 넣고, 압출 착유하여 1.6kg의 압출 인삼씨유(EE)를 얻었다.
실시예 2 : 초임계 추출에 의한 인삼씨유의 제조
상기 준비예를 통해 준비한 건조된 인삼 씨 133kg을 초임계 추출기에 넣고, CO2를 326ℓ~562ℓ 사용하여 42.6g의 초임계 인삼씨유(SE)를 얻었다.
실시예 3 : 헥산 추출에 의한 인삼씨유의 제조
상기 준비예를 통해 준비한 건조된 인삼 씨를 세말한 시료 100g에 헥산(hexane)을 10배 정도 넣고, 초음파 추출기(울트라 소니케이터, 발진기 600W, 진동부 600W)에서 2시간씩 2회씩 상온에서 추출하였으며, 이것을 여과 후 여액을 합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헥산 추출 인삼씨유(HE)를 얻었다.
실험예 1 : 인삼시유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 측정
α-Glucosidase 저해 활성 측정을 위하여, α-Glucosidase(0.35 U/mL)과 NPG(1.5 mM ρ-nitrophenyl-α-D-glucopyranoside)는 0.1 M sodium phosphate buffer(pH 7.0)에 용해하여 사용하였으며, 여기에 상기 실시예 1~3 각각의 인삼씨유 50 ㎕를 0.35 unit/mL α-glucosidase 효소액 100 L와 혼합하여 37℃에서 10분간 전배양한 후, 1.5 mM ρNPG 50 ㎕를 가하고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그리고, 1 M의 Na2CO3 1 mL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킨 후 ELISA를 사용하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positive control로는 acarbose(sigma, USA)를 사용하였다.
α-Glucosidase 저해활성 결과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씨 조성물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 일례를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1에 나타난 참조부호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1) 동일 시료의 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2)동일 농도의 다른 시료 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동일 시료의 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있음 (*: p<0.05, **: p<0.01, ***: p<0.001)
Samples : EE(압출 인삼씨유), SE(초임계 추출 인삼씨유), HE(헥산 추출 인삼씨유)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시료는 농도에 따라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001), 10 m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HE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은 64.39% 이었으며, SE와 EE는 각각 58.82 및 52.25%이었다. 20 mg/mL에서도 HE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나타내어 86.92%의 α-Glucosidase 저해활성을 기록하였고, SE는 77.13%, EE는 65.83%이었다. 양성대조물로 사용한 acarbose의 저해활성은 2.5 mg/mL의 농도에서 36.21%이었다.
실험예 2 : α-Amylase 저해활성 측정
α-Amylase 저해활성 측정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 1~3 각각의 인삼씨유 125 ㎕에 12 unit/mL pancreatin 기원의 α-amylase 효소액 62.5 ㎕, 200 mM potassium phosphate buffer(pH 6.8) 62.5 ㎕를 혼합하고 37℃에서 10분간 전배양한 후, 1% starch를 125 ㎕ 가한 다음 37℃에서 5분간 반응시켰다. 이러한 반응액에 48 mM DNS(3,5-dinitrosalicylic acid and 30% sodium potassium tartrate in 0.5 M NaOH) 발색시약 125 ㎕를 넣고 100℃에서 15분간 끊여 발색을 시킨 후 충분히 냉각시키고, 이 반응액에 3배량의 증류수를 가한 후 ELISA를 사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저해율을 계산하였다.
α-Amylase 저해활성 결과는 도 2와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삼 씨 조성물의 α-Amylase 저해활성 일례를 실험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참조부호는 아래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1)동일 시료의 농도에 따라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2)동일 농도의 다른 시료 간 서로 다른 머릿글자는 유의적인 차이가 있음(p<0.05)
* 동일 시료의 농도에 따른 유의적 차이가 있음 (*: p<0.05, **: p<0.01, ***: p<0.001)
Samples : EE(압출 인삼씨유), SE(초임계 추출 인삼씨유), HE(헥산 추출 인삼씨유)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시료가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1 mg/mL의 농도에서 α-glucosedase 저해활성 결과와 같이 HE가 가장 우수한 α-Amylase 저해활성을 보여 65.39%이었으며, SE가 57.25%, EE가 50.36%이었다. 2 mg/mL의 농도에서도 HE가 89.68%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으며, SE가 76.99%, EE가 65.70%이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α-Glucosidase 저해활성 결과, 모든 시료는 농도에 따라 높은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p<0.001), 10 mg/mL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낸 HE는 64.39%이었으며, 20 mg/mL에서도 HE가 86.92%로 가장 우수하였다. α-Amylase 저해활성 결과에서도, 모든 시료가 농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1 mg/mL의 농도에서 α-glucosedase 저해활성 결과와 같이 HE가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여 65.39%이었으며, 2 mg/mL의 농도에서 HE가 89.68%로 가장 우수한 활성을 보였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Claims (10)

  1. 인삼의 씨로부터 헥산(hexane) 용매가 포함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는 초음파 추출법을 이용하여 추출된 인삼씨유를 포함하는 α-Glucosidase 저해활성 및 α-Amylase 저해활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유는 인삼의 씨로부터 추출된 기름상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의 씨는 표면 과육이 제거된 인삼 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삼씨유는 인삼의 씨를 압출하거나, 초임계 추출하거나, 또는 헥산 추출하여 얻은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헥산 추출은 인삼의 씨를 헥산(hexane) 용매가 포함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6. 삭제
  7.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성 식품.
  8. 청구항 1항 내지 청구항 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성물이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9. 인삼의 씨로부터 인삼씨유를 추출하는 단계; 및 인삼의 씨에서 표면 과육을 제거하여 인삼 종자를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은 인삼 종자를 헥산(hexane) 용매가 포함된 초음파 추출기에 넣고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의 제조방법.
  10. 삭제
KR1020140069505A 2014-06-09 2014-06-09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6715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505A KR101671571B1 (ko) 2014-06-09 2014-06-09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9505A KR101671571B1 (ko) 2014-06-09 2014-06-09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036A KR20150141036A (ko) 2015-12-17
KR101671571B1 true KR101671571B1 (ko) 2016-11-01

Family

ID=550809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9505A KR101671571B1 (ko) 2014-06-09 2014-06-09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157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96A (ko) 2020-03-20 2021-09-29 김귀숙 인삼씨 추출물의 비오일층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4762B1 (ko) * 2011-09-27 2013-10-04 주식회사 한국지네틱팜 인삼열매 또는 씨앗을 발효시켜 추출한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발효식품
KR101429820B1 (ko) * 2012-10-31 2014-08-12 세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인삼의 씨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또는 유지 및 이것의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resource Technology. 2010, Vol.101, pp.4676-4689*
J Ginseng Res. 2013, Vol. 37, No. 4, pp.468-474*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17696A (ko) 2020-03-20 2021-09-29 김귀숙 인삼씨 추출물의 비오일층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1036A (ko) 2015-12-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8225B1 (ko) 녹용, 산수유, 당귀, 구기자, 산약, 진피, 천마, 배초향, 계피, 홍삼, 및 오미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면역증강 조성물
JP6053873B2 (ja) サポニンの生体利用率増進組成物
JP6404339B2 (ja) 月経前症候群及び月経痛緩和の機能を持つ組成物
RU2358749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обработанного женьшеня с повышенным количеством гинзенозида rg5
JP2005531533A (ja) 加工処理された人参抽出物及びそれから分離されたサポニンの新規の使用
CN101612315A (zh) 一种用于调整人体机能的中药复方制剂
JP2019065056A (ja) 肥満抑制組成物
JP2008528483A (ja) 三七根、熟地黄、五加皮の混合生薬材抽出物及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関節炎予防及び治療用組成物
KR102064651B1 (ko) 여주 추출물, 구절초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당뇨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427784B1 (ko) 인삼 및 뽕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당뇨 조성물
KR101228920B1 (ko) 황칠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장질환 치료 및 예방을 위한 조성물
KR20160141027A (ko) 아위버섯 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대사성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성식품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910013B1 (ko) 한약재 추출물(socg)을 함유하는 통증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71571B1 (ko)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KR101779536B1 (ko) 둥굴레 추출물을 함유하는 수면 장애 치료 및 수면 시간 증진을 위한 조성물
KR100542876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20110006921A (ko) 천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제2형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50031373A (ko) 비타민나무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KR101994483B1 (ko) 생강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및 건강 기능 식품
KR20120138392A (ko) 알코올성 간손상 내지 알코올성 지방간 예방 및 숙취해소 효과를 갖는 조성물
KR102128510B1 (ko) 홍삼 추출물 및 맥문동 추출물을 포함하는 학습장애, 인지장애 또는 기억력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750873B1 (ko) 천초근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알레르기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CN110801469A (zh) 一种调节血糖的功能性食品及其制备方法
KR20100108869A (ko) 생약재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