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22579B1 -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 Google Patents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22579B1
KR100522579B1 KR1020040030709A KR20040030709A KR100522579B1 KR 100522579 B1 KR100522579 B1 KR 100522579B1 KR 1020040030709 A KR1020040030709 A KR 1020040030709A KR 20040030709 A KR20040030709 A KR 20040030709A KR 100522579 B1 KR100522579 B1 KR 1005225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ess
extract
golden
effect
extrac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07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준철
김재환
박호재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주) 한약마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약마을 filed Critical (주) 한약마을
Priority to KR10200400307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225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25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25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14Wash-basins connected to the waste-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6Object-catching inserts or similar devices for waste pipes or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12Plumbing installations for waste water; Basins or fountains connected thereto; Sinks
    • E03C1/28Odour se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4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parts screwed directly on or into the ho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은 스트레스 해소 및 피로 회복 효과가 있으므로,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인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약학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s of Scutellaria root and Schizandra fruit mixture thereof having an effect of restraint stress}
본 발명은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트레스란 간단히 말하면 적응을 요구하는 주변 환경의 변화에 대한 우리 몸의 반응을 말하는 것으로 대개 신체적, 정신적, 정서적 반응의 형태로 나타난다. 이러한 스트레스는 피할 수 없는 삶의 한 부분으로써 긍정적으로 작용을 할 수도 있고 부정적으로 작용을 할 수도 있다. 스트레스를 좋은 방향으로 이용할 수 있다면 우리가 가진 역량을 최대한 발휘 할 수 있는 동기부여의 요인이 될 수도 있다. 그러나 감당하기 힘든 과도한 스트레스를 받거나 스트레스에 장기간 노출되면 신체질환이나 정신질환의 요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레스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다양하여 신경과민, 두통, 혈압상승 등의 증상을 유발하며, 스트레스가 지속되면 인체의 기능이 저하되어 다른 2차 질병으로 발전된다. 스트레스를 유발하는 원인은 생체에 가해지는 방법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다양하지만 공통적으로는 교감 신경계인 뇌하수체-부신계 (HPA)의 기능을 항진시켜 호르몬 분비를 유발함으로써 이하 모든 반응이 매개된다고 알려져 있다. 이 반응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부신피질 자극호르몬에 의해 자극된 부신은 무게가 증가되고, 지질 감소현상이 나타나며, 비장은 면역기능의 감퇴로 인하여 무게가 현저히 줄어든다. 한편, 부신은 다른 스테로이드 호르몬을 분비하여 혈액내에서 콜레스테롤, 혈당, 알카라인 포스페타제 (alkaline phosphatase; ALP), 락테이트 디하이드로게나제 (lactate dehydrogenase; LDH), 아스파테이트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spartate aminotransferase: AST or GOT), 알라닌 아미노트랜스퍼라제 (alanine aminotransferase: ALT or GPT) 등을 증가시키고, 심한 경우는 중성지질의 감소 등을 유발시킨다. 이러한 생체 내의 변화들은 상기에서 언급한 신체외적으로 나타나는 증상들의 중간단계라고 알려져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를 예방하거나 치료하기 위하여는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발되는 다양한 인체 내 생리적 변화를 회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스트레스가 생체에 유발시키는 변화는 아주 다양하고, 이러한 상태가 지속될 경우에는 많은 질병의 근원이 되기 때문에 스트레스를 억제하는 것이 절실히 요구되고는 있으나, 단지 운동, 수면, 휴식 등의 물리적 치료방법들만이 제시되고 있을 뿐 약품이나 건강식품 등으로 스트레스에 의하여 유발되는 생리적 변화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방법은 충분히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으로, 스트레스에 대한 예방 및 치료효과를 갖는 약재의 개발 필요성이 제기되어 왔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서, 콜린산류를 이용하여 스트레스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갖는 항스트레스제가 개발되었다 (한국특허공개 제 1995-6225호). 상기 콜린산류를 함유한 항스트레스제는 주로 담석 용해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이담작용, 간장해독, 간혈류 개선작용, 지방의 흡수 촉진작용 및 미세담도를 통한 노폐물 배설작용을 갖고 있어 만성 간질환의 간기능 개선, 간기능 장애에 의한 전신권태, 소화불량, 식욕부진, 육체 피로 등에 효능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우루소데옥시콜린산 (Ursodeoxycholic acid),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으며, 지방간 치료에 효과가 있어 경구로 투여한 경우 간기능개선 및 간지방량의 감소가 보고되어 있는 (일본공개특허공보 平 4-235918 참조) 타우로우루소데옥시콜린산 (Tauroursodeoxycholic acid), 담석용해제로 시판되고 있는 체노데옥시콜린산 (Chenodeoxycholic acid) 및 디하이드로콜린산 (Dehydrocholic acid)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콜린산류를 이용한 항스트레스 조성물은 스트레스에 의한 부신무게의 증가 및 비장의 위축 예방, 부신의 아스코르빈산 함량변화 억제 및 혈액생화학적 변화의 억제 등 스트레스로 인해 유발되는 일반적인 증상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되었을 뿐으로 기억력 감퇴를 억제하거나 회복시키는 효과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실정에서, 현대사회에서 큰 문제가 되고 있는 스트레스에 의한 다양한 증상들에 대해 억제 효과가 있는 바람직한 항스트레스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생약성분의 추출물을 적절히 배합하여 다양한 원인에 의하여 유발되며 다양한 증상을 나타내는 스트레스에 대한 예방이나 치료효과가 우수한 바람직한 항스트레스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황금(Scutellaria root)는 원주상, 반관상 또는 평판상을 이루고, 길이 5~25㎝, 지름 5~30㎜이다. 바깥면은 황갈색을 띠고 조잡하고 뚜렷한 세로의 주름이 있으며 군데군데 곁뿌리의 자국 및 갈색의 주피 파편이 남아 있다. 윗끝에는 줄기의 자국 또는 잔기가 붙어 있다. 묵은 뿌리에서는 목부가 썩어서 흑갈색으로 되고 때때로 속이 비어있다. 질은 단단하고 부서지기 쉽다. 꺾은면은 황색이고 섬유성이다. 이 약은 거의 냄새가 없고 맛이 조금 쓰다(지형준 및 이상인, 대한약전외 한약 규격집 주해서, p638, 1988).
황금의 생리활성 및 약리작용으로 해열, 소염, 항알레르기 작용을 나타내며, 혈관을 확장시키고 더욱이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을 하며 죽상 동맥경화를 억제한다. 황금에 함유된 바이칼린은 진정작용을 하며 모세혈관의 투과성을 저하시키므로 지혈(止血)하게 된다. 또한, 비만 세포막을 강화하여 화학 전달 물질의 유리를 억제하여 항알러지 작용을 하며, 특히 알러지로 인한 간염을 개선하고 혈관투과성 항진을 억제하며 소염작용이 강하여 혈관의 염증성 출혈, 울혈을 완화하는 작용을 한다. 바이칼린은 가수분해되서 바이칼레인 및 글루쿠로닉 산(glucuronic acid)이 되고 바이칼레인은 이뇨작용을, 글루쿠로닉 산은 해독작용을 한다(한국의 약용식물, 교학사, 2000, p864-865, 배기환저). 이와 관련된 특허로, 한국공개특허 제1996-0003725호에서는 황금의 후라보노이드 성분으로 된 백내장 치료제에 대해 개시하고 있고, 한국공개특허 제1996-0040370호에서는 황금추출물을 비롯한 후라본 배당체들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알콜장해 예방 및 치료제 조성물에 관해 개시하고 있으며, 한국공개특허 제2002-0031608호에서는 항균효과가 우수한 황금 추출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에 관해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황금의 항스트레스 효과 및 항피로 효과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편이다.
오미자(Schizandra fruit)는 고르지 않은 구형 또는 편구형을 이루고 지름 약 6㎜로 어두운 적색 또는 흑갈색을 띠며 바깥면에는 주름이 있고 때때로 흰 가루가 묻어 있다. 과육을 벗기면 길이 2~5㎜의 콩팥모양의 씨가 1~2개 들어 있고 그 씨의 바깥면은 광택이 있는 황갈색 또는 어두운 적갈색이며 단단하다. 외종피는 벗겨지기 쉬우나 내종피는 배유에 밀착되고 등면에는 명확한 봉선이 있다(지형준 및 이상인, 대한약전회 한약 규격집 주해서, p638, 1988). 오미자는 흔히 그 열매를 일컫으며, 8-9월경에 붉은 장과(奬果)가 이삭모양(種狀)으로 여러개 달리며, 열매 하나의 크기는 지름이 1cm 정도의 붉은 색을 띤 공모양이고 그 속에는 홍적색의 장즙(奬汁)과 2개의 홍갈색 종자를 갖고 있다.
이와 같은 오미자에는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A-Q), 시트럴(Citral), 알파이란진(α-Ylangene), 능금산(Malic acid), 구연산(Citric acic) 등이 주요 성분으로 포함되어 있고, 중추신경 흥분작용, 진해(鎭咳)작용, 거담(祛痰)작용, 자궁 수축작용, 항균작용, 혈압강하작용, 강심작용,트란스아미나제 (Transaminase) 저하 작용 등의 약리작용이 알려져 있으며, 한방에서는 심장을 강화하고 혈압을 내리며 면역력을 높여 주고, 강장제로서 폐 기능을 강하게 하고 진해(鎭咳) 및 거담(祛痰)작용이 있어 기침이나 갈증 등의 치료제로서, 또 한 간 기능 보호작용과 시력향상 그리고 당뇨병 등의 성인병 예방에 탁월한 효과를 인정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서양의학적인 부작용이 없는 황금 및 오미자 추룰물의 신경 보호 효과 및 항산화 활성효과를 약리학적으로 관찰하여, 스트레스 해소 및 피로 회복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항스트레스 효능을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에 효과적인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은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 알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에 가용한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수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채집하거나 구입하여 건조시키고 마쇄기로 분말화한 후, 황금 및 오미자의 건조중량의 약 2 내지 20배, 바람직하게는 약 8 내지 15배에 달하는 부피의 물 및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등과 같은 C1 내지 C4의 저급알콜 또는 이들의 약 1:0.1 내지 1:10의 혼합비를 갖는 혼합용매, 바람직하게는 물로 80 내지 100 ℃, 바람직하게는 100 ℃에서 약 1분 내지 12시간, 바람직하게는 15 분 내지 2시간 동안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또는 초음파 추출 등의 추출방법을 사용하여 추출한 다음, 진공여과에 의해 상층액을 회수한 후, 상기의 과정을 2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3회 반복 수행하여 상층액을 모으고 감압농축한 다음, 동결건조하여 본 발명의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법으로 얻어진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스트레스 해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은 오랫동안 생약으로 사용되어 오던 약재로서 이로부터 추출된 본 발명의 추출물 역시 독성 및 부작용 등의 문제가 없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얻어진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추출물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검색한 결과, 뛰어난 스트레스 해소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발명의 스트레스 해소용 약학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상기 추출물을 0.1 내지 50 중량%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적절한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약학적 투여 형태는 이들의 약학적 허용 가능한 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고, 또한 단독으로 또는 타 약학적 활성 화합물과 결합뿐만 아니라 적당한 집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외용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된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의 추출물은 1일 0.0001 내지 100mg/kg으로,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10mg/kg으로 투여하는 것이 좋다. 투여는 하루에 한번 투여할 수도 있고, 수회 나누어 투여할 수도 있다. 상기 투여량은 어떠한 면으로든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쥐, 생쥐, 가축, 인간 등의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의 모든 방식은 예상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경구, 직장 또는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intracerebroventricular) 주사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스트레스 해소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식품류,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건강 기능성 식품류 등이 있다.
또한, 스트레스 예방 및 개선 효과를 목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에 첨가될 수 있다. 이 때, 식품 또는 음료 중의 상기 추출물의 양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5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 기능성 음료 조성물은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외에는 다른 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추출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추출물들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추출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황금 및 오미자 추출물의 제조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경희의료원(서울, 대한민국)으로부터 제공받은 황금 및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오미자(경동시장, 서울, 대한민국)를 정선하여 세절한 후 각각의 약재를 1:1, 2:1, 1:2, 9:1, 1:9의 비율로 혼합하여 10배 용량의 증류수를 가하고 80~100℃의 온도에서 2시간 동안 환류 가열하여 얻어진 추출액을 동결건조기(Elela, model FD-5N)에서 동결건조하여 황금:오미자의 1:1 혼합 추출물 36.40g, 1:2 혼합 추출물 36.65g, 2:1 혼합 추출물 36.40g, 1:9 혼합 추출물 38.93g, 9:1 혼합 추출물 41.33g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실험동물의 준비
실험동물로는 6주령의 ICR 마우스(25 - 30 g)를 (주)샘타코(오산, 경기도, 대한민국)에서 공급받아 경희대학교 약학대학의 무균실(clean cage)에서 약 7일간 적응시켜 사용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고, 온도(23± 2 ℃), 습도(55 ± 10 %) 및 명암주기(12 시간)는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하여, 사육실에서 1주간 안정화 시켰다.
실시예 3. 시약투여
상기 실시예 2의 마우스를 처음 3일 동안 안정화시킨 후 시료를 투여하지 않은 정상군, 생리식염수(5ml/kg/일)를 경구투여한 대조군, 황금:오미자의 1:1(CB11군), 1:2(CB21군), 2:1(CB12군), 1:9(CB91군), 9:1(CB19군) 혼합 추출물을 각각 200mg/kg/일의 농도로 7일 동안 경구투여하였다. 시료를 투여한 7일동안은 스트레스를 가하지 않았고, 이후 5일 동안은 시료을 투여한 후 스트레스에 노출시켰다.
실험예 1. 스트레스 유도 방법
상기 실시예 3의 마우스를 스트레스에 노출시키기 위하여 공기가 잘 통하는 원뿔모양의 플라스틱 튜브(폭3cm, 길이7cm)에 매일 30분씩 가두어 물과 사료를 공급하지 않은 상태에서 억압(restraint) 스트레스를 유도하였으며, 그 다음 1초간 1mA의 전류를 20초 간격으로 전기쇼크에 5분간 노출시켰다.
실험예 2. 로코모터 활동성(Locomotor activity)측정
약물의 효과가 단순한 운동성 변화에 의한 것인지 확인하기 위해 개방형 필드 시험(open field test)에서 마우스의 로코모터 활동성(locomotor activity)을 하기와 같은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로코모터 활동성(Locomotor activity)은 자가 제조된 개방형 필드 시험(open field test)용 상자(box)에서 측정하였다. 개방형 필드 시험(Open field test)용 상자는 가로 41.5 cm, 세로 41.5 cm, 높이 43 cm가 되도록 만들었으며, 하나의 상자에서 한 마리씩 35분간의 최종 스트레스를 유도한 다음 10분 후에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혼합 비율이 1:1, 2:1, 1:2, 9:1 및 1:9로 하여 200 mg/kg/일의 농도로 경구 투여하였고, 대조군은 생리식염수를 경구 투여하였다. 아울러 총 이동 거리를 비디오 추적 장치(Video tracking system)를 이용하여 저장한 후, 에쏘비젼 프로그램(Ethovision program, Noldus Information Technology, Wageningen, Netherlands)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정상군 및 대조군의 총 이동 거리는 하기 표 1 및 도 1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각각 2344.695± 111.563 cm, 1877.348± 151.696 cm이었고, 황금 및 오미자 추출물을 혼합 비율이 1:1, 2:1, 1:2, 9:1 및 1:9로 하여 200 mg/kg/일의 농도로 경구 투여한 군의 이동거리는 각각 2353.154±75.430 cm(101.81%), 2254.690±89.041 cm, 2301.199±73.576 cm, 2423.304±157.265 cm(144.68%) 및 2395.070± 70.482 cm(122.15%)로 대조군에 대하여 유의성 있는 감소를 나타내었다.
이동거리(㎝) 효과(%)
정상군 2344.695±111.563
대조군 1877.348±151.696
CB11군 2353.154±75.430 101.81
CB21군 2254.690±89.041
CB12군 2301.199±73.576
CB91군 2423.304±157.265 144.68
CB19군 2395.070±70.482 122.15
실험예 3. 상승된 십자미로(EPM) 실험
3-1. 상승된 십자미로(Elevated plus-maze; EPM) 실험 방법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의 항스트레스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스트레스와 연관된 행동을 확인하는 방법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험 방법인 상승된 십자미로(EMP) 실험을 수행하였다(G. R. Dawson, et al., Trends Pharmacol. Sci., 16, pp33-36, 1995; R G. Lister, Psychopharmacology., 92, pp180-185, 1987; Imaizumi M., et al, Nippon Yakurigaku Zasshi, 115, pp5-12, 2000).
상기 실시예 3의 약물 투여가 종료된 후 항스트레스 효과의 측정은 플라스틱으로 자가 제조된 EPM을 이용하였으며, EPM은 간접 조명이 있는 암실에 설치하였다(20 Lux). EPM의 장치는 두개의 열려있는 공간(open arms, 30ㅧ6cm)과 직각으로 교차된 두개의 닫혀있는 공간(closed arms, 20cm)으로 하였고, 중심 플랫폼(platform)은 가로 7 cm 및 세로 7 cm로 하였고, 가로대는 지상에서 50 cm 떨어진 위치에 조정하여 사용하였다. 35분 동안 최종스트레스를 유도한 후, 마우스의 머리는 미로(maze)의 중심 플랫폼에서 닫혀있는 공간(closed arm) 쪽으로 향하게 놓은 다음 미로를 자유롭게 탐색하도록 하였다. 행동은 5분 간 관찰하였으며, 마우스가 열려있는 공간(open arm)과 닫혀있는 공간(closed arm)에 머문 시간을 에쏘비젼 프로그램(EthoVision program, Noldus Ingormation Technology, Wageningen, Netherlands)으로 각각 측정하여 항스트레스 효과를 측정하였다.
3-2. 가로대에 머무는 시간
상기 실험예 3-1의 EMP 실험결과, 실험동물이 열려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을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표 2 및 도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열려있는 공간에 머무는 시간이 정상군에서 43.02 ±2.54%였으며, 대조군인 생리식염수 투여군에서는 28.35±1.97%로 정상군보다 유의성있게 감소함을 확인하였다(P < 0.001).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혼합 비율이 1:1, 2:1, 1:2, 9:1 및 1:9인 경우에 각각 46.16±3.80%, 29.26±1.74%, 33.46±2.69%, 22.28±1.16% 및 38.31±1.37%(P < 0.001)로 열려있는 공간에 머문 시간이 유의성있게 증가(P < 0.05)하였음을 확인하여,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이 스트레스에 의해 유도된 불안을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열려있는 공간에 머문 시간(%)
정상군 43.02±2.54
대조군 28.35±1.97
CB11 46.16±3.80
CB12 29.26±1.74
CB21 33.46±2.69
CB19 22.28±1.16
CB91 38.31±1.37
실험예 4. 비장 무게 측정 실험
상기 실시예 3의 35분 동안의 최종스트레스를 유도한 직후, 마우스의 심장에서 1.0ml의 혈액을 채취하여 헤파린이 들어있는 튜브에 넣었고, 마우스의 비장은 적출하여 무게를 측정하였다.
혈청 코르티코스테론 수치는 SI-2 3001 펌프, Si-2 3002 UV-가시광선 검출기, SI-2 3004 컬럼 오븐, 분리기(Shiseide, Tokyo, Japan), 5㎛, 3×250mm의 컬럼 카파셀 팍(column Capacell Pak) C18 MG120로 구성된 HPLC 시스템을 이용하여 변형된 방법으로 측정하였다(Harikai et al, 203). 코르티코스테론(Sigma, ST. Louis, MO, U.S.A) 및 DEX(dexamethasone, Sigma, ST. Louis, MO, U.S.A)는 국제 표준을 이용하였다. 40㎕ 샘플용액을 HPLC 컬럼에 주입하였다. 이동상으로는 아세토니트릴: 메탄올: 술폰산 용액(32:4:64)을 500㎕/분의 속도로 이용하였다. 코르티코스테론 수치는 dsCHROM 컴퓨터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240nm 파장에서 측정하였다(Shiseido, Tokyo, Japan).
실험결과, 일반적으로 스트레스에 노출하였을 시 마우스의 비장의 무게는 감소되지만, 하기 표 3 및 도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 투여하였을 경우, 감소된 마우스의 비장의 무게가 회복됨을 확인하였다.
비장 무게(mg/100g) 효과(%)
정상군 0.437±0.0192
대조군 0.358±0.0063
CB11 0.408±0.0074 63.29
CB21 0.413±0.0092 69.62
CB12 0.395±0.0084 46.83
CB91 0.430±0.0132 91.13
CB19 0.393±0.0225 44.30
본 발명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약학조성물의 제제예를 설명하나,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고자 함이 아닌 단지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함이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20 mg
유당 100 mg
탈크 10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10 mg
옥수수전분 100 mg
유당 100 mg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mg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10 mg
결정성 셀룰로오스 3 mg
락토오스 14.8 mg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mg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주사제의 제조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10 mg
만니톨 180 mg
주사용 멸균 증류수 2974 mg
Na2HPO4,12H2O 26 mg
통상의 주사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1 앰플당(2㎖) 상기의 성분 함량으로 제조한다.
제제예 5. 액제의 제조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20 mg
이성화당 10 g
만니톨 5 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를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6. 건강 식품의 제조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1000 ㎎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7. 건강 음료의 제조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 1000 ㎎
구연산 1000 ㎎
올리고당 100 g
매실농축액 2 g
타우린 1 g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900 ㎖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은 로코모터 활동성(Locomotor activity)측정 실험, 상승된 십자미로(EMP)실험 및 비장의 무게 측정 실험에서 뛰어난 항스트레스 효과를 나타내므로, 황금 및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스트레스의 해소용 의약품 및 건강기능식품으로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로코모터 활동성(Locomotor activity)변화를 나타낸 도이고,
도 2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상승된 십자미로(Elevated plus-maze) 실험의 결과를 나타낸 도이며,
도 3은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마우스의 비장 무게 변화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Claims (6)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황금 및 오미자 1:1~9(w/w) 혼합비를 갖는 혼합 추출물 및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보조 첨가제를 포함하는 불안증 예방용 건강기능식품.
  6. 삭제
KR1020040030709A 2004-04-30 2004-04-30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05225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09A KR100522579B1 (ko) 2004-04-30 2004-04-30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0709A KR100522579B1 (ko) 2004-04-30 2004-04-30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22579B1 true KR100522579B1 (ko) 2005-10-19

Family

ID=373054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0709A KR100522579B1 (ko) 2004-04-30 2004-04-30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22579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34387B2 (en) 2002-04-30 2011-10-11 Unigen,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gnitive decline and age-related memory impairments
US8247007B2 (en) 2006-10-12 2012-08-21 Unigen,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s of bamboo and Scutellaria
US8568799B2 (en) 2002-03-22 2013-10-29 Unigen, Inc. Isolation of a dual COX-2 and 5-lipoxygenase inhibitor from acacia
US8790724B2 (en) 2003-04-04 2014-07-29 Unigen, Inc. Formulation of dual cycloxygenase (COX) and lipoxygenase (LOX) inhibitors for mammal skin care
US9370544B2 (en) 2002-04-30 2016-06-21 Unigen,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as a therapeutic agent
KR101714543B1 (ko) * 2016-09-02 2017-03-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오미자 정유 및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
KR20180041388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팜크로스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오미자와 참당귀 정유를 함유하는 포도향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80084201A (ko)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더큰프라임 약용작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21019434A1 (en) * 2019-07-29 2021-02-04 Neilos S.r.l.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symptoms related to tiredness and fatigue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68799B2 (en) 2002-03-22 2013-10-29 Unigen, Inc. Isolation of a dual COX-2 and 5-lipoxygenase inhibitor from acacia
US9168242B2 (en) 2002-03-22 2015-10-27 Unigen, Inc. Isolation of a dual COX-2 and 5-lipdxygenase inhibitor from Acacia
US9849152B2 (en) 2002-04-30 2017-12-26 Unigen,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as a therapeutic agent
US8652535B2 (en) 2002-04-30 2014-02-18 Unigen,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gnitive decline and age-related memory impairments
US8034387B2 (en) 2002-04-30 2011-10-11 Unigen,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cognitive decline and age-related memory impairments
US9370544B2 (en) 2002-04-30 2016-06-21 Unigen,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as a therapeutic agent
US9655940B2 (en) 2002-04-30 2017-05-23 Unigen, Inc. Formulation of a mixture of free-B-ring flavonoids and flavans as a therapeutic agent
US9622964B2 (en) 2003-04-04 2017-04-18 Unigen, Inc. Formulation of dual cycloxygenase (COX) and lipoxygenase (LOX) inhibitors for mammal skin care
US8790724B2 (en) 2003-04-04 2014-07-29 Unigen, Inc. Formulation of dual cycloxygenase (COX) and lipoxygenase (LOX) inhibitors for mammal skin care
US8771761B2 (en) 2006-10-12 2014-07-08 Unigen,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s of bamboo and scutellaria
US9623068B2 (en) 2006-10-12 2017-04-18 Unigen,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s of bamboo and scutellaria
US8247007B2 (en) 2006-10-12 2012-08-21 Unigen, Inc. Composition for treating atopic dermatitis comprising extracts of bamboo and Scutellaria
KR101714543B1 (ko) * 2016-09-02 2017-03-13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오미자 정유 및 참당귀 정유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심리적 안정 및 스트레스 완화용 향료 조성물
KR20180041388A (ko) * 2016-10-14 2018-04-24 주식회사 팜크로스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오미자와 참당귀 정유를 함유하는 포도향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101877290B1 (ko) * 2016-10-14 2018-07-11 주식회사 팜크로스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는 오미자와 참당귀 정유를 함유하는 포도향 향료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80084201A (ko) 2017-01-16 2018-07-25 주식회사 더큰프라임 약용작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WO2021019434A1 (en) * 2019-07-29 2021-02-04 Neilos S.r.l. Composition for use in the prevention and/or treatment of symptoms related to tiredness and fatigu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4455B1 (ko) 간경변, 세포 독성 개선 및 간손상 억제 활성을 갖는 혼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간질환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EP2436388B1 (en) Composition for increasing the bioavailability of saponin
KR100980819B1 (ko)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및 이의제조방법
KR20080099362A (ko) 가공인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만의 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522579B1 (ko) 항스트레스 효과를 갖는 황금 및 오미자 혼합 추출물을함유하는 약학조성물
KR101486857B1 (ko) 지황 및 갈근의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갱년기 증상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552813B1 (ko) 사군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080008929A (ko) 오록실린 a를 함유하는 인지 기능 장애 관련 질환의 예방및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KR102080410B1 (ko) 엘더베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KR101534142B1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51567B1 (ko) 항알레르기 효능을 갖는 복합생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JP2018506524A (ja) バーンアウト症候群の予防、改善、または治療用組成物
KR100769412B1 (ko) Pr-119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전립선 비대증의예방 및 치료용조성물
KR100506824B1 (ko) 장기능 및 변비 질환 개선용 생약조성물
KR101423875B1 (ko)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졸중 또는 퇴행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25432B1 (ko) 독활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및 알러지 질환의 예방 또는치료용 조성물
KR100543405B1 (ko) 산마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성 질환의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131719B1 (ko) 백두옹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염증성 질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KR101248378B1 (ko)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0760386B1 (ko) Acp 혼합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0646595B1 (ko) 죽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뇌신경계 관련 정신질환의 치료및 예방용 약학조성물
KR100638344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vdt 증후군의 안증상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618215B1 (ko) 생지황, 구기자, 침향, 복령, 인삼 및 꿀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남성 불임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0538983B1 (ko) 생약추출물이 함유된 간기능 개선용 약학 조성물
KR101671571B1 (ko) 당 흡수 저해용 인삼 씨 조성물 및 이것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