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14969B1 -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14969B1
KR101914969B1 KR1020180005424A KR20180005424A KR101914969B1 KR 101914969 B1 KR101914969 B1 KR 101914969B1 KR 1020180005424 A KR1020180005424 A KR 1020180005424A KR 20180005424 A KR20180005424 A KR 20180005424A KR 101914969 B1 KR101914969 B1 KR 1019149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smetic composition
mixed
hair
fermen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054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은
최성규
이대우
선우철
허정미
박은정
Original Assignee
(주)더마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더마랩 filed Critical (주)더마랩
Priority to KR10201800054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496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49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49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체열 이상으로 인한 탈모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두피열을 내려주고 영양성분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전통 한약들을 선별 후 혼합발효 추출함으로써, 두피 건강과 모발 보호 활성이 우수한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화장료로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Hair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extract of fermented oriental medicinal herbs}
본 발명은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체열 이상으로 인한 탈모현상을 개선하기 위해 두피열을 내려주고 영양성분을 공급해 줄 수 있는 전통 한약들을 선별 후 혼합발효 추출함으로써, 두피 건강과 모발 보호 활성이 우수한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화장료로 이용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탈모증은 모발이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부위에서 소실되는 질환으로 주로 두부에 발생한다. 안드로겐성 탈모증은 모든 남녀에서 사춘기 이후에 발생하는 가장 흔한 유형의 탈모증으로 남성 호르몬과 유전적인 소인이 중요한 인자로 생각되고 있다. 그러나 현대인의 탈모는 노화나 유전적인 요인뿐 아니라 각종 환경오염, 업무의 스트레스, 식생활 변화에 따른 호르몬 분비에 이상 등 후천적 요인의 영향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국내 탈모 인구의 증가로 탈모 시장은 급팽창하고 있으며 탈모관련 산업은 성장기에 들어섰다.
우리나라의 경우 탈모를 경험한 사람은 이미 700만명을 넘어섰고, 실제 탈모증 인구는 약 8만 명 이상으로 추산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여러 환경적, 심리적 요인으로 인해 20세 이상의 남성 중에 80%정도가 탈모로 고민하고 있으며 20~30대 젊은 층의 탈모 환자들이 크게 증가하고 여성 및 초등학생에 이르는 탈모 환자도 점차 늘어나고 있는 등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연령층도 점차 낮아지면서 탈모증이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킬 수 있는 새로운 치료방법의 모색과 개발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한의학은 서양 의학의 질병관과는 달리 인체의 평형을 중시하는 총체주의적 관점에서 질병을 바라보는 독특한 질병관으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 매우 흥미로운 분야 중에 하나이다. 한의학적 탈모치료 역시 탈모에 대해 포괄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개인의 특성에 맞는 치료법을 적용함으로써 치료에 따른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치료 효과를 극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므로 기존의 서양의학에서 수행해 온 탈모에 대한 분석적 접근과는 다른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기대되고 있다.
한의학에서는 인체의 열을 실열(實熱)과 허열(虛熱)로 나눈다. 그 중 실열은 정말로 열이 많은 것으로 체온이 높은 열이다. 허열은 실제적으로 체온이 높거나 국소적으로 열이 많은 경우는 거의 없고 환자가 느끼는 자각증상이다. 여러 보고에 따르면, 스트레스 등으로 발생하는 열들이 체질적 요인에 의해 두정부로 먼저 올라가는 경우 피지를 산화시키고 모근을 손상 시킨다고 하였으며, 또한, 폐와 신장, 간장 등의 오장 육부에 이상이 있는 경우 열이 발생하는데 이 열들은 바로 두정부에 올라가 모근에 손상을 주게 되고 모근은 열에 약해 상온에서도 쉽게 분해되는 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이러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나타나는 탈모증은 현대 사회에서 이미 중요한 질환으로 인식되고 있으며 사회문제로 부각되어 탈모관리와 예방 및 치료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탈모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면서 다양한 관리방법이 제시되고 있으나 아직도 적절한 탈모 치료 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전통적 약물요법에 기초하고 현대 과학에 의해 입증된 한방약초들을 최적의 비율로 혼합 발효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화장료로 사용하는 경우 내외적인 열 스트레스에 의해 나타나는 두피 손상으로부터 두피 건강 및 모발보호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0-0132664호 (2010.12.20)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744443호 (2017.05.31)
본 발명은 전통적 약물요법에 기초하고 현대 과학으로 입증된 한방약초를 혼합 발효 추출한 후 제조되는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여 두피 건강 및 모발보호 활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르면, 무화과, 은행엽, 산수유, 석창포, 애엽, 당귀, 감초 및 생강의 제1혼합 발효추출물; 고삼, 황금, 홍화, 어성초, 당약, 다엽, 오미자 및 연교의 제2혼합 발효추출물; 및 영지, 울금, 구절초, 적하수오, 측백엽, 한련초, 검정콩 및 인삼의 제3혼합 발효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혼합 발효추출물은 무화과, 은행엽, 산수유, 석창포, 애엽, 당귀, 감초 및 생강을 1:2:1:1:1:3:2: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누룩으로 발효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혼합 발효추출물은 고삼, 황금, 홍화, 어성초, 당약, 다엽, 오미자 및 연교를 1:3:2:1:3:3:2: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누룩으로 발효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혼합추출물은 영지, 울금, 구절초, 적하수오, 측백엽, 한련초, 검정콩 및 인삼을 1:3:1:3:3:3:2: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누룩으로 발효하여 추출되는 것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1혼합 발효추출물, 제2혼합 발효추출물 및 제3혼합 발효추출물을 모두 포함하는 것이다.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혼합 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1~15 중량% 함유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열성 인자 조절, 모발성장 저해인자 조절, 모발성장 관여인자 조절, 세포 보호 및 두피진정 효과를 나타내므로 두피 건강 및 모발 보호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은 열성 인자 조절, 모발성장 저해인자 조절, 모발성장 관여인자 조절, 세포 보호, 진정 등의 효과가 우수하므로 두피 건강용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발효추출물의 열성 인자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발효추출물의 모발성장 저해인자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발효추출물의 모발성장 관여인자 조절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발효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혼합 발효추출물의 두피 진정 효과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무화과, 은행엽, 산수유, 석창포, 애엽, 당귀, 감초 및 생강의 제1혼합 발효추출물; 고삼, 황금, 홍화, 어성초, 당약, 다엽, 오미자 및 연교의 제2혼합 발효추출물; 및 영지, 울금, 구절초, 적하수오, 측백엽, 한련초, 검정콩 및 인삼의 제3혼합 발효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각 혼합 발효추출물은 전통적 약물요법에 기초하고 현대 과학으로 입증된 한방약초들을 선별한 후 혼합 발효하여 추출한 것이다. 상기 각 혼합발효추출물은 누룩을 첨가하여 발효시킨 후 열수추출한 추출물이거나, 물,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프로판올,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클로로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디클로로메탄, 헥산, 아세톤, 아세토나이트릴, 페트로레움에테르 및 디에틸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용매 또는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이다. 추출은 통상적인 방법에 의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발효된 한방약초들을 추출용기에 넣고 정제수를 이용하여 30분 내지 24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는 단계, 이를 여과하고 농축하는 단계를 통해 제조된다.
상기 제1혼합 발효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원물은 예로부터 영양공급 및 혈액순환에 도움이 되는 한방약초들로 선별된 것이다. 열성 탈모의 원인 중에서, 세포 대사활동이 비효율적이 되면 열은 더 많이 발생하게 되고 발생한 열을 처리하는데도 어려움을 겪게 되므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두피의 영양공급와 혈액 순환을 원활히 하는 성분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무화과(無花果)는 뽕나무과의 낙엽성 떨기나무인 무화과(Ficus carica L.)의 과실로, 건위청장(健胃淸腸), 소종해독(消腫解毒)의 효능이 있고 인후염, 피부종기, 옴이나 버짐, 악창 등에 활용한다.
은행엽(銀杏葉)은 은행나무과의 낙엽성 큰키나무인 은행나무(Ginkgo biloba L.)의 잎으로, 은행잎에서 추출한 성분은 예로부터 심장과 혈전에 좋다고 알려져 약차로 사용한다.
산수유(山茱萸)는 산수유과의 낙엽성 떨기나무인 산수유(Cornus officinalis S. et Z.)의 과육(果肉)으로, 보익간신(補益肝腎), 수렴고삽(收斂固澁)의 효능이 있고 정혈(精血)이 휴손(虧損)되고 신양(腎陽)부족일 때 사용한다.
석창포(石菖蒲)는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석창포(Acorus gramineus Soland)의 뿌리로, 개규안신(開竅安神), 화습화위(化濕和胃)의 효능이 있고 마음과 정신을 안정, 종기, 피부의 옴이나 버짐 및 타박상에 응용한다.
애엽(艾葉)은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쑥(Artemisia princeps var. orientalis (Pampan.) Hara), 산쑥(Artemisia montana Pampan.), 황해쑥(Artemisia argyi Lev. et Vnt.)의 잎으로, 온경지혈(溫經止血), 산한지통(散寒止痛), 제습지양(除濕止痒)의 효능이 있고, 기혈(氣血)과 경맥(經脈)을 따뜻하게, 피부습진, 가려움증 등을 치료하는데 쓰인다.
당귀(當歸)는 산형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당귀(當歸, Angelica sinensis Dies)의 뿌리이나, 국내에서는 당귀(土當歸, Angelica gigas Nakai)와 일당귀(Angelica acutiloba S. et Z.)를 약용한 것으로, 보혈활혈(補血活血), 조경지통(調經止痛), 윤장통변(潤腸通便)의 효능이 있고, 단백질합성을 촉진, 혈류량을 촉진, 적혈구생성을 왕성, 항염증작용, 진통작용이 있다.
감초(甘草)는 콩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감초(Glycyrrhzia uralensis Fisch.), 창과 감초(Glycyrrhzia inflata Bat.)의 뿌리이다. 봄가을에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건조한 것으로, 보비익기(補脾益氣), 청열해독(淸熱解毒), 거담지해(祛痰止咳)의 효능이 있고, 항염증작용, 해독작용을 한다.
생강(生薑)은 생강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의 뿌리줄기로, 해표산한(解表散寒), 온중지구(溫中止嘔), 화담지해(化痰止咳), 한담해수(寒痰咳嗽)의 효능이 있고, 혈액순환을 촉진, 항염증 및 진통작용을 한다.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본 결과, 무화과, 은행엽, 산수유, 석창포, 애엽, 당귀, 감초 및 생강을 1:2:1:1:1:3:2:2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 추출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열성인자 조절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2혼합 발효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원물은 예로부터 냉감 및 진정 효과에 도움이 되는 한방약초들로 선별된 것이다. 두피의 열은 곧 열을 배출하는 모공을 넓혀 모근을 붙잡는 힘을 약화시킴으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우리는 두피의 진정 및 염증 완화효과에 도움을 주는 성분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고삼(苦蔘)은 콩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고삼(Sophora flavescens Ait.), 개느삼(Echinosophora koreensis Nakai)의 뿌리로 청열조습(淸熱燥濕), 습진(濕疹), 습창(濕瘡), 피부소양(皮膚搔痒)의 효능이 있고, 피부가려움증과 농포창, 옴이나 버짐 등에 활용된다.
황금(黃芩)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 Georgi)의 뿌리로, 청열조습(淸熱燥濕), 사화해독(瀉火解毒), 지혈(止血), 안태(安胎)의 효능이 있고, 소양경열(少陽經熱)을 다스리고 피부염증반응을 치료한다.
홍화(紅花)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식물인 잇꽃(Carthamus tinctorius L.)의 꽃으로, 활혈통경(活血通經), 산어지통(散瘀止痛)의 효능이 있고, 다형성홍반 치료, 신경성피부염 치료를 한다.
어성초(魚腥草)는 삼백초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약모밀(Houttuynia cordata Thunb.)의 지상부로, 청열해독(淸熱解毒), 배농(排膿), 이뇨통림(利尿通淋)의 효능이 있고, 열을 내리면서 농(膿:고름)을 배출하는 작용, 열이 많고 소변을 잘 못 보며 통증을 호소하는 증상에 쓰인다.
당약(當藥)은 용담과의 한두해살이 초본식물인 자주쓴풀(Swertia pseudo-chinensis (Bunge) Hara)의 뿌리와 지상부로, 청열해독(淸熱解毒), 건위(健胃)의 효능이 있고, 건위, 소화작용, 항염증작용을 한다.
다엽(茶葉)은 차나무과의 상록성 떨기나무인 차나무(Thea sinensis L.)의 잎으로, 청두목(淸頭目), 제번갈(除煩渴), 화담(化痰), 소식(消食), 이뇨(利尿),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고, 간기능을 활성화, 해독작용을 한다.
오미자(五味子)는 목련과의 낙엽성 덩굴나무인 오미자(Schizandra chinensis Baill)의 성숙한 열매로, 수렴고삽(收斂固澁), 익기생진(益氣生津), 보신영심(補腎寧心)의 효능이 있고, 수렴작용, 진액(津液)의 생성작용, 뇌력(腦力), 지력(智力)을 향상시킨다.
연교(連翹)는 물푸레나무과의 낙엽성 떨기나무인 산개나리(Forsythia saxatilis Makai)의 열매로, 청열해독(淸熱解毒), 소종산결(消腫散結)의 효능이 있고, 항염작용, 간보호작용, 해열작용을 한다.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본 결과, 고삼, 황금, 홍화, 어성초, 당약, 다엽, 오미자 및 연교를 1:3:2:1:3:3:2:2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 추출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모발성장 저해인자(TGF-β2)를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3혼합 발효추출물의 제조에 사용된 원물은 예로부터 화기를 조절하는 장부인 신장의 기능을 조절하는데 도움이 되는 한방약초들로 선별된 것이다. 신장의 기능이 저하되면 결국 신장의 열조절 기능에 문제가 생겨 두피 열의 상승을 막을 수 없기 때문에, 이를 개선하기 위해 우리는 몸의 항상성 기능을 유지하고 혈의 기 상승에 도움을 주는 성분을 제공하도록 하였다.
영지(靈芝)는 구멍쟁이버섯과의 영지버섯(Ganoderma lucidum Karst)의 지상부로, 허로(虛勞), 해수(咳嗽), 기천(氣喘), 실면(失眠), 소식(消食)의 효능이 있고, 정기(精氣) 증강, 간기능 활성화에 효력이 있다.
울금(鬱金)은 생강과에 속한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울금(Curcuma aromatica Salish)의 덩이뿌리로, 활혈지통(活血止痛), 행기해울(行氣解鬱), 청열량혈(淸熱凉血), 청심개규(淸心開竅), 이담퇴황(利膽退黃)의 효능이 있고, 행기해울(行氣解鬱), 청열(淸熱)작용, 심장기능을 활성화시킨다.
구절초(九折草)는 국화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latilobum Kitamura), 바위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alpinum Kitamura), 포천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var. tenuisectum Kitamura), 낙동구절초(Chrysanthemum zawadskii Herbich ssp. naktongense (Nakai) Y. Lee, stat. nov)의 지상부로, 난단전(煖丹田)하고, 조경(調經)하여 자궁허냉(子宮虛冷)을 치료하고, 생리불순, 생리통, 불임증에 유효하다.
적하수오(赤何首烏)는 여뀌과 식물인 붉은조롱(Polygonum multiflorum Thunb.)의 덩이뿌리를 말린 것으로, 보익정혈(補益精血)의 효능이 있고, 정혈(精血)에 유효, 해독작용과 피부종기를 치료한다.
측백엽(側柏葉)은 측백나무과의 늘푸른큰키나무 측백나무(Thuja orientalis L.), 서양측백(Thuja occidentalis L.), 화백(Chamaecyparis pisifera (S. et Z.))의 잎으로, 양혈지혈(凉血止血), 거담지해(祛痰止咳)의 효능이 있고, 머리가 빠지는 증상, 지루성 피부염에 이용한다.
한련초(旱蓮草)는 국화과의 한해살이 초본식물인 한련초(Eclipta prostrata L.)의 지상부로, 자음익신(滋陰益腎), 양혈지혈(凉血止血)의 효능이 있고, 머리가 어지럽고 허리와 무릎에 힘이 없는 증상에 쓰인다.
검은콩, 흑대두(黑大豆)는 콩과의 한해살이 초본식물인 검은콩(Glycine max Merr)의 종자로, 활혈(活血), 이수(利水), 거풍(祛風), 해독(解毒)의 효능이 있고, 거풍(祛風)작용, 해독작용을 한다.
인삼(人蔘)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초본식물인 인삼(Panax ginseng C.A. Mayer)의 뿌리로, 대보원기(大補元氣), 보비익폐(補脾益肺), 생진지갈(生津止渴), 안신(安神), 증지(增志)의 효능이 있고, 진액(津液)을 생성하는 작용, 기혈(氣血)을 보(補)한다.
다양한 비율로 혼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여 본 결과, 영지, 울금, 구절초, 적하수오, 측백엽, 한련초, 검정콩 및 인삼을 1:3:1:3:3:3:2:2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 추출하는 경우 가장 우수한 모발성장 저해인자(DKK-1)를 조절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제1혼합 발효추출물, 제2혼합 발효추출물과 제3혼합 발효추출물은 단독으로 또는 서로간의 혼합물 형태로 유효성분으로 함유될 수 있으며, 상기 혼합 발효추출물을 모두 혼합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혼합 발효추출물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다양한 부분, 즉 열성 인자 조절, 모발성장 저해인자 조절, 모발성장 관여인자 조절, 세포 보호, 진정 등의 효과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더욱 우수한 두피 건강 및 모발 보호 활성을 나타내므로 가장 바람직하다. 각 혼합추출물의 혼합비는 제한적이지 않지만, 동일 중량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은 열성 인자 조절, 모발성장 저해인자 조절, 모발성장 관여인자 조절, 세포 보호, 진정 등의 효과가 우수하므로 두피 건강용 및 모발 보호용 화장료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혼합 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1~15 중량% 함유된다.
본 발명의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유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영양화장수, 크림, 에센스 등이 있으며, 가용화 제형의 화장품으로는 유연화장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1 내지 3의 혼합발효 추출물별 각각의 화장료는 화장품 이외에도 피부 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함으로써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국소 적용 또는 전신 적용할 수 있는 보조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혼합 발효추출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 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로션, 스킨 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처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 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 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샴푸,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유액, 프레스파우더, 루스파우더, 아이섀도 등의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제조예 1~3: 제1혼합 발효추출물 제조
건조된 무화과, 은행엽, 산수유, 석창포, 애엽, 당귀, 감초 및 생강을 하기 표 1의 비율로 혼합 한 후, 건조 중량의 2배에 해당하는 누룩반죽 속에 35℃, 24시간 발효시키고, 발효된 혼합 천연물을 건조 중량의 10배가 되는 정제수에서 100℃, 2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이를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제1혼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g) 무화과 은행엽 산수유 석창포 애엽 당귀 감초 생강
제조예 1 4 2 2 2 2 4 4 6
제조예 2 2 4 2 2 2 6 4 4
제조예 3 2 2 4 2 2 4 6 4
시험예 1: 열성 인자 TRPV-1 발현 조절 효과
상기 제조예 1 ~ 3에서 제조된 혼합발효 추출물에 대해, 열성인자인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HHFK(Human hair follicular keratinocytes)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Keratinocyte medium을 가지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HFK 세포에 각 시료 200ug/ml씩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한 후 3 시간 동안 고온(≥43℃)에 노출시켜 열 스트레스를 유발시켰다. 이 후 24시간 회복 시간을 주고, 세포에서 RNA를 추출한 후 RT-PCR을 수행하여 TRPV1 유전자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정상세포군 열처리 세포군
무시료 무시료 제조예 1 제조예 2 제조예 3
TRPV1 expression(%) 100% 128% 115% 109% 113%
상기 표 2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조예의 추출물들에서 TRPV1 유전자 발현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무화과, 은행엽, 산수유, 석창포, 애엽, 당귀, 감초 및 생강이 1:2:1:1:1:3:2:2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되어 추출된 제조예 2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조예 4~6: 제2혼합 발효추출물 제조
건조된 고삼, 황금, 홍화, 어성초, 당약, 다엽, 오미자 및 연교를 하기 표 3의 비율로 혼합한 후, 건조 중량의 2배에 해당하는 누룩반죽 속에 35℃, 24시간 발효시키고, 발효된 혼합 천연물을 건조 중량의 10배가 되는 정제수에서 100℃, 2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이를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제2혼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g) 고삼 황금 홍화 어성초 당약 다엽 오미자 연교
제조예 4 4 2 6 6 4 4 2 6
제조예 5 2 4 2 4 2 2 6 2
제조예 6 2 6 4 2 6 6 4 4
시험예 2 : 모발성장 저해인자인 TGF-β2 조절 효과
상기 제조예 4 ~ 6에서 제조된 혼합발효 추출물에 대해, 모발 성장 저해인자인 TGF-β2 (Transforming growth factor-β2)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HHFK(Human hair follicular keratinocytes)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Keratinocyte medium을 가지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HFK 세포에 각 시료 200ug/ml씩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한 후 3 시간 동안 고온(≥43℃)에 노출시켜 열 스트레스를 유발시켰다. 이 후 24시간 회복 시간을 주고, 세포에서 RNA를 추출한 후 RT-PCR을 수행하여 TGF-β2 유전자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정상세포군 열처리 세포군
무시료 무시료 제조예 4 제조예 5 제조예 6
TGF-β2 expression(%) 100% 127% 117% 115% 111%
상기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조예의 추출물 모두에서 TGF-β2 발현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고삼, 황금, 홍화, 어성초, 당약, 다엽, 오미자 및 연교가 1:3:2:1:3:3:2:2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되어 추출된 제조예 6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조예 7~9: 제3혼합 발효추출물 제조
건조된 영지, 울금, 구절초, 적하수오, 측백엽, 한련초, 검정콩 및 인삼을 하기 표 5의 비율로 혼합 한 후, 건조 중량의 2배에 해당하는 누룩반죽 속에 35℃, 24시간 발효시키고, 발효된 혼합 천연물을 건조 중량의 10배가 되는 정제수에서 100℃, 2시간 환류 추출하였다. 이를 감압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제3혼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g) 영지 울금 구절초 적하수오 측백엽 한련초 검정콩 인삼
제조예 7 6 2 6 4 2 4 2 6
제조예 8 4 4 4 2 4 2 6 2
제조예 9 2 6 2 6 6 6 4 4
시험예 3 : 모발성장 저해인자인 DKK-1 조절 효과
상기 제조예 7 ~ 9에서 제조된 혼합발효 추출물에 대해, 모발 성장 저해인자인 DKK-1(Dickkopf-1)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HHFK(Human hair follicular keratinocytes)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Keratinocyte medium을 가지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HFK 세포에 각 시료 200ug/ml씩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한 후 3 시간 동안 고온(≥43℃)에 노출시켜 열 스트레스를 유발시켰다. 이 후 24시간 회복 시간을 주고, 세포에서 RNA를 추출한 후 RT-PCR을 수행하여 DKK-1 유전자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정상세포군 열처리 세포군
무시료 무시료 제조예 7 제조예 8 제조예 9
DKK-1 expression(%) 100% 126% 118% 117% 114%
상기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 제조예의 추출물 시료 모두에서 DKK-1 발현억제효과가 나타났으며, 영지, 울금, 구절초, 적하수오, 측백엽, 한련초, 검정콩 및 인삼이 1:3:1:3:3:3:2:2의 중량비로 혼합 발효되어 추출된 제조예 9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4: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상원료 제조
상기 시험예에서 가장 바람직한 혼합 발효추출물로 확인된 제조예 2, 제조예 6 및 제조예 9의 혼합 발효추출물과 이들을 동일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발효추출물을 제조하고 이를 포함한 액상원료를 하기의 표 7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 분 함량(중량%)
대조예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제조예 2 - 2.42 - - -
제조예 6 - - 2.42 - -
제조예 9 - - - 2.42 -
한방복합발효추출물 - - - - 2.42
하이드록시프로필
사이클로덱스트린
1.0 1.0 1.0 1.0 1.0
1,2-헥산다이올 2.5 2.5 2.5 2.5 2.5
부틸렌글라이콜 30.0 30.0 30.0 30.0 30.0
정제수 64.8 64.8 64.8 64.8 64.8
합계 100 100 100 100 100
시험예 4: 혼합 발효추출물 함유하는 액상원료에 대한 TRPV-1, TGF-β2, DKK-1 조절 효과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된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상원료에 대한 열성 인자 조절효과와 모발성장 저해인자 조절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열성인자인 TRPV1(Transient receptor potential vanilloid 1)과 모발 성장 저해인자인 TGF-β2(Transforming growth factor-β2)와 DKK-1(Dickkopf-1) 발현량을 측정하였다. HHFK(Human hair follicular keratinocytes)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Keratinocyte medium을 가지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HFK 세포에 각 시료 1%씩, 양성 대조군으로 10uM Capsazepine을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한 후 3 시간 동안 고온(≥43℃)에 노출시켜 열 스트레스를 유발시켰다. 이 후 24시간 회복 시간을 주고, 세포에서 RNA를 추출한 후 RT-PCR을 수행하여 TRPV1, TGF-β2와 DKK-1 유전자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구 분 정상 세포군 열처리 세포군
무시료 대조예 실시예 10uM Capsazepine
1 2 3 4
TRPV1 expression(%) 100% 127% 109% 115% 113% 105% 103%
TGF-β2 expression(%) 100% 126% 117% 111% 115% 106% 110%
DKK-1 expression(%) 100% 125% 118% 117% 114% 106% 105%
상기 표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제조예 2의 제1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의 액상원료에서 열성 인자 조절효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고, 제조예 6의 제2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2의 액상원료와 제조예 9의 제3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3의 액상원료에서 모발성장 저해인자 조절 효과가 비교적 높게 나타내었다. 상기 제1, 제2 및 제3 혼합발효추출물을 모두 함유하는 실시예 4의 액상원료에서는 상승작용에 의하여 열성 인자 조절효과와 모발성장 저해인자 조절 효과 모두에서 가장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도 1 ~ 3으로 나타내었다.
시험예 5: 혼합 발효추출물 함유 액상원료에 대한 모발성장 관여인자 β-catenin 조절 효과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상원료에 대한 모발성장 관여인자 조절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발성장 관여인자인 β-catenin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HFDPC(Human Follicle Dermal Papilla Cells)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Follicle Dermal Papilla Cell Growth Medium을 가지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FDPC 세포에 DKK-1 (Dickkopf-1) 0.5ng과 함께 실시예 4의 1%, 100uM minoxidil 양성대조군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세포에서 단백질을 추출한 후 BCA protein assay kit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그리고 PAGE(polyacrylamide gel electrophoresis)를 하여 단백질을 분자량 별로 분리한 후 Western blot(단백질 발현 확인 시험)을 수행하여 β-catenin 발현 수준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4는 양성대조군 보다 우수한 모발성장 관여인자 조절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를 도 4로 나타내었다.
시험예 6: 혼합 발효추출물 함유하는 액상원료에 대한 세포보호효과
상기 실시예 4에서 제조된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액상원료에 대한 세포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세포의 변화를 관찰하였다. HHFK(Human hair follicular keratinocytes) 세포를 6 well plate에 1×106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Keratinocyte medium을 가지고,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HHFK 세포에 실시예 4의 1%를 처리하고, 24시간 배양 한 후 5 시간 동안 고온(≥43℃)에 노출시켜 열 스트레스를 주었다. 현미경을 이용하여 시료 처리 군과 시료 무처리 군의 세포 변화를 관찰하고 촬영하였다.
본 발명의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4를 처리한 군이 처리하지 않은 군 보다 우수한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를 도 5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5: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 제조
상기 시험예에서 가장 바람직한 혼합 발효추출물로 확인된 실시예 4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를 하기의 표 9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이를 함유하지 않는 미스트를 비교예 1로 하였다.
성분 중량%
실시예 5 비교예 1
글리세린 2.50 2.50
다이프로필렌글라이콜 2.50 2.50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0.02
알란토인 0.10 0.10
1,2-헥산다이올 2.00 2.00
솔비톨 0.06 0.06
카보머 0.16 0.16
포타슘하이드록사이드 0.3 0.3
혼합 발효추출물(실시예 4) 1.0 -
향, 방부제 미량 미량
정제수 잔량 잔량
100 100
시험예 7: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미스트에 대한 두피진정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5의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두피 진정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건강한 20세에서 50세의 성인 10명을 대상으로 시험하였다.
두피 진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각 5명씩 나누어 뒷 목의 평평한 부위에 30분간 IR(Infrared ray)을 조사하여 열감을 유도한 다음, 상기 비교예 1 및 실시예 5의 제형을 도포하고 20분 간 대기하여 흡수를 유도하였다. 이후 도포 부위의 열조사로 인한 홍반 및 자극을 시간 경과에 따라 비교 평가 하였다. 평가는 Aram 300 렌즈 카메라를 이용하여 실내온도 22±2℃, 습도 50±10% RH의 항온항습 조건에서 측정하였으며 객관적 측정을 위하여 연구자 1인이 측정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5의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1 보다 우수한 두피 진정 효과를 나타내었고, 이를 도 6으로 나타내었다.
실시예 6: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 화장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발효추출물을 포함한 유연 화장수를 하기의 표 10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6
혼합 발효추출물(실시예 4) 1.0
1,3-부틸렌 글리콜 5.2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3.2
폴리솔베이트 20 3.2
벤조페논-9 2.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글리세린 3.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실시예 7: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제조
본 발명의 혼합 발효추출물을 포함한 영양 화장수를 하기의 표 11의 조성 및 함량으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성분(중량%) 실시예 7
혼합 발효추출물(실시예 4) 1.0
글리세린 5.1
프로필렌글리콜 4.2
토코페릴아세테이트 3.0
유동파라핀 4.6
트리에탄올아민 1.0
스쿠알란 3.1
마카다미아너트오일 2.5
폴리솔베이트 20 1.6
솔비탄세스퀴롤레이트 1.6
프로필파라벤 0.6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5
미량
방부제 미량
정제수 잔량
100

Claims (8)

  1. 무화과, 은행엽, 산수유, 석창포, 애엽, 당귀, 감초 및 생강을 1:2:1:1:1:3:2: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누룩으로 발효하여 추출되는 무화과, 은행엽, 산수유, 석창포, 애엽, 당귀, 감초 및 생강의 제1혼합 발효추출물; 고삼, 황금, 홍화, 어성초, 당약, 다엽, 오미자 및 연교를 1:3:2:1:3:3:2: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누룩으로 발효하여 추출되는 고삼, 황금, 홍화, 어성초, 당약, 다엽, 오미자 및 연교의 제2혼합 발효추출물; 및 영지, 울금, 구절초, 적하수오, 측백엽, 한련초, 검정콩 및 인삼을 1:3:1:3:3:3:2:2의 중량비로 혼합하여 누룩으로 발효하여 추출되는 영지, 울금, 구절초, 적하수오, 측백엽, 한련초, 검정콩 및 인삼의 제3혼합 발효추출물로 이루어지는 혼합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유효성분으로서의 상기 혼합 발효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해 0.01~15 중량% 함유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진정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모발성장 촉진용임을 특징으로 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05424A 2018-01-16 2018-01-16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149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424A KR101914969B1 (ko) 2018-01-16 2018-01-16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05424A KR101914969B1 (ko) 2018-01-16 2018-01-16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4969B1 true KR101914969B1 (ko) 2018-11-06

Family

ID=643297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5424A KR101914969B1 (ko) 2018-01-16 2018-01-16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496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491B1 (ko) * 2018-11-07 2019-05-20 배기연 모발 도포용 발효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 방법
KR20210042445A (ko) *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셀드로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434A (ja) * 2000-08-08 2002-02-19 Terumi Kato 毛髪処理剤及び、毛髪処理方法
KR101600012B1 (ko) * 2015-08-18 2016-03-04 이해덕 탈모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모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3434A (ja) * 2000-08-08 2002-02-19 Terumi Kato 毛髪処理剤及び、毛髪処理方法
KR101600012B1 (ko) * 2015-08-18 2016-03-04 이해덕 탈모 개선용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탈모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0491B1 (ko) * 2018-11-07 2019-05-20 배기연 모발 도포용 발효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펌 시술 방법
KR20210042445A (ko) *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셀드로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6213B1 (ko) 2019-10-10 2021-07-12 주식회사 셀드로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2533052B1 (ko) 한방 샴푸 조성물
KR20120038585A (ko)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헤어용품 조성물
CN104784507A (zh) 一种具有多重美容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CN106074306A (zh) 一种用于皮肤和头发养护的组合物及其应用
CN105288246A (zh) 一种美白抗皱中药组合物及其混合提取物和应用
CN110755358A (zh) 一种五养归源中草药养发组合物及其制剂
KR100564108B1 (ko) 피부노화 방지 효과를 갖는 혼합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CN104984074A (zh) 一种美容护肤制品及其生产方法与应用
KR101752232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30105003A (ko) 대나무 통 한방 발효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914969B1 (ko)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CN114432225A (zh) 一种防晒护肤品及其制备方法
KR101948597B1 (ko) 세정력 및 두피 진정효과가 우수한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2656930A (zh) 一种生发、乌发的中药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20140021315A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2353853A (zh) 疏通经络调理亚健康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2081066B1 (ko) 한방 초고압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0930688B1 (ko) 천연한방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68536B1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5356B1 (ko) 동백박(동백종실 껍질 분말) 및 그 추출물의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