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893106B1 - 발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893106B1
KR100893106B1 KR1020070068547A KR20070068547A KR100893106B1 KR 100893106 B1 KR100893106 B1 KR 100893106B1 KR 1020070068547 A KR1020070068547 A KR 1020070068547A KR 20070068547 A KR20070068547 A KR 20070068547A KR 100893106 B1 KR100893106 B1 KR 100893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hair
parts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685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5479A (ko
Inventor
정정임
Original Assignee
정정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정임 filed Critical 정정임
Priority to KR10200700685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893106B1/ko
Publication of KR20090005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5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893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8931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Abstract

본 발명은 허브에서 유래한 성분을 함유하는 헤어크림 및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 세럼을 혼합한 발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동백유, 하이퍼리큠 오일, 윗점 오일, 햄프씨드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비타민 E로 구성된 오일계열 성분 28~40 중량%, (ii) 로즈마리 워터, 일랑일랑 워터 및 정제수로 구성된 워터계열 성분 40~55 중량%, (iii) 세이지, 티트리, 로즈마리, 일랑일랑, 페파민트 및 라벤더로 구성된 에센셜 오일 성분 4~8 중량%, (iv) 유화제 7~12 중량% 및 (v) 자몽종자 추출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첨가제 3~10 중량%를 함유하는 헤어 크림(A)과 영지, 피마자, 황기, 칡, 창출, 구기자, 하수오, 당귀, 산수유, 동백, 오미자, 복분자, 창포와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세럼(B)이 1~10 대 1 중량비로 혼합된 발모제 조성물로, 모발에 적용시 모발에 윤기 및 탄력이 생기게하고 우수한 발모, 양모, 육모 효과를 나타내는 발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발모, 허브, 생약, 추출물

Description

발모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omoting hair growth}
본 발명은 허브에서 유래한 성분을 함유하는 헤어크림 및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 세럼을 혼합한 발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동백유, 하이퍼리큠 오일, 윗점 오일, 햄프씨드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이멀시파잉 왁스, 올리브 오일 및 비타민 E로 구성된 오일계열 성분 28~40 중량%, (ii) 로즈마리 워터, 일랑일랑 워터 및 정제수로 구성된 워터계열 성분 40~55 중량%, (iii) 세이지, 티트리, 로즈마리, 일랑일랑, 페파민트 및 라벤더로 구성된 에센셜 오일 성분 4~8 중량%, (iv) 유화제 7~12 중량% 및 (v) 자몽종자 추출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첨가제 3~10 중량%를 함유하는 헤어 크림(A)과 영지, 피마자, 황기, 칡, 창출, 구기자, 하수오, 당귀, 산수유, 동백, 오미자, 복분자, 창포와 생강 추출물 80~95 중량%를 함유하는 헤어세럼(B)이 1~10 대 1 중량비로 혼합된 발모제 조성물로, 모발에 적용시 모발에 윤기 및 탄력이 생기게 하고 우수한 발모, 양모, 육모 효과를 나타내는 발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모낭의 성장과정에 따라 여러 성장 인자들에 의해 복잡하게 조절되는 소기관으로, 정상적인 모발의 주기는 모발이 성장하는 단계인 성장기, 성장 정지기 인 휴지기. 모발의 소멸이 연결되는 퇴화기 및 신규 모발이 발생하여 성장하는 발생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와 같은 모발의 주기는 매번 동일하게 반복되고 있는 것은 아니며, 개인의 성별, 체질, 질환, 유전적 요인, 연령 등 다양한 상황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특히, 현대 사회가 복잡 다양화되어 감에 따라 대기 오염에 의한 산성비 및 강한 자외선 등과 같은 환경오염문제, 퍼머넌트제, 염색제 및 탈색제 등의 각종 화학물질, 정신적 스트레스 등과 같이 탈모나 모발을 손상시킬 수 있는 요인도 점차 증가해 가고 있고, 상기 요인들로 인해 모발은 영양결핍되어 윤기를 잃고 가늘어지고 약해지는 양상을 나타내며 더욱 심각한 경우에는 탈모로 발전한다.
최근 이러한 탈모 현상의 빈도가 증가하고 있고 평균 나이도 점차 낮아지고 있는데, 이는 당사자들에게 심각한 스트레스를 유발시키고 자신감을 잃게 만들어 대인관계에 지장을 초래하는 등 정신적 문제도 야기시키고 있다.
이를 위해 개발된 가장 대표적인 탈모방지제로서 피나스테라이드 (finasteride, 미국특허등록 제5,547,957호)를 들 수 있는데, 이는 직접적인 탈모의 원인 물질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을 생성하는 5α-환원효소의 활성을 저해하는 약물이다. 그러나, 피나스테라이드 제제의 경우는 임산부에게는 태아의 기형을 유발할 수 있으며 장기간 투여시 성욕감퇴, 발기부전, 사정장애 등의 부작용이 보고되어 있어 복용에 주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 외에 널리 사용되고 있는 미녹시딜(minoxidil) 함유 발모제 또한 FDA 에서 일반의약품으로 승인을 받은 제제이지만, 여성에게는 투여할 수 없고 피부자극, 가려움, 홍조, 탈모의 악화 등의 부작용이 있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시 남녀 모두에게 안전하고 부작용이 없으면서 탈모방지 및 발모 효과가 있는 물질로서 예로부터 사용되어 왔던 허브 또는 생약들을 이용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특히 생약 성분의 추출물을 이용한 발모 촉진제의 개발로서 한국등록특허 제657380호는 대황, 백지, 당귀, 한련초 및 만형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개선을 위한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한국등록특허 제554947호의 경우 생지황, 하수오 및 황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 등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생약 추출물 함유 조성물의 경우 탈모 방지 또는 모발의 성장을 촉진시키는 효과가 미흡하므로 따라서 인체에 부작용이 없으며 우수한 탈모방지 및 발모 효과가 있는 다른 발모제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는 천연 재료를 이용하여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제제를 개발하기 위해 꾸준히 연구한 결과, 허브로 제조된 헤어 크림 및 한방 생약으로 제조된 헤어 세럼의 혼합물을 사용시 모발의 윤기, 탄력성이 향상되고, 우수한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허브로 이루어진 헤어 크림 및 한방 생약으로 이루어진 헤어 세럼을 함유하는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허브에서 유래한 성분을 함유하는 헤어크림(A) 및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 헤어 세럼(B)으로 구성된 발모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A) 헤어 크림은
(i)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동백유, 하이퍼리큠 오일, 윗점 오일, 햄프씨드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이멀시파잉 왁스, 올리브 오일 및 비타민 E로 구성된 오일계열 성분 28~40 중량%,
(ii) 로즈마리 워터, 일랑일랑 워터 및 정제수로 구성된 워터계열 성분 40~55 중량%,
(iii) 세이지, 티트리, 로즈마리, 일랑일랑, 페파민트 및 라벤더로 구성된 에센셜 오일 성분 4~8 중량%,
(iv) 유화제 7~12 중량%, 및
(v) 자몽종자 추출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첨가제 3~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고,
상기 (B) 헤어 세럼은 영지, 피마자, 황기, 칡, 창출, 구기자, 하수오, 당귀, 산수유, 동백, 오미자, 복분자, 창포와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A) 헤어 크림 및 (B) 헤어 세럼은 1~10 대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두피 및 모발에 적용시 모발을 윤기있고 탄력성 있게 만들어주고, 기능이 떨어져 성장이 멈추었거나 이미 죽은 모근과 모낭에 까지 영양분이 침투하여 기능을 회복시키고 건강하고 풍성한 모발로 성장하게 한다. 반복적으로 사용시 모발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모발을 굵게 하는 양모효과 뿐만아니라 모발 뿌리에 힘이 생기게 하고, 새로운 모발이 생기는 발모효과 및 새로 생긴 어린 모발을 잘 자라게하는 육모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두피가 건강해짐으로써 탈모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은 발모 촉진, 모발 건강회복, 양모, 육모, 탈모 방지 등에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i)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동백유, 하이퍼리큠 오일, 윗점 오일, 햄프씨드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비타민 E로 구성된 오일계열 성분 28~40 중량%, (ii) 로즈마리 워터, 일랑일랑 워터 및 정제수로 구성된 워터계열 성분 40~55 중량%, (iii) 세이지, 티트리, 로즈마리, 일랑일랑, 페파민트 및 라벤더로 구성된 에센셜 오일 성분 4~8 중량%, (iv) 유화제 7~12 중량%, 및 (v) 자몽종자 추출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첨가제 3~10 중량%를 함유하는 헤어 크림(A)과 영지, 피마자, 황기, 칡, 창출, 구기자, 하수오, 당귀, 산수유, 동백, 오미자, 복분자, 창포와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헤어세럼(B)이 1~10 대 1 중량비로 혼합된 발모제 조성물로, 모발에 적용시 모발에 윤기 및 탄력이 생기게하고 우수한 발모, 양모, 육모 효과를 나타내는 발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에서 헤어 크림(A)은 허브 등에서 유래한 천연물질을 함유하며, 바람직하게는 (i) 오일계열성분, (ii) 워터계열성분, (iii) 에센셜오일 성분, (iv) 유화제 및 (v) 첨가물을 함유한다.
(i) 오일계열 성분으로는 호호바 오일, 포도씨 오일, 동백유, 하이퍼리큠 오일, 윗점 오일, 햄프 씨드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비타민 E를 함유한다.
상기 호호바 오일(jojoba oil)은 호호바 열매에서 냉각압착법으로 추출한 오일로, 각종 비타민과 식물성 스테롤 효소,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을 골고루 함유하며, 인체의 피지와 지방산의 구조가 거의 같으므로 퍼짐성과 침투력이 매우 좋다. 항균작용이 있어 여드름 피부의 관리에 이용되고, 영양분을 공급해주는 효능이 뛰어나며 피부의 수분함량을 안정시키도록 도와주는 특성이 있어 모발 및 피부보호용으로 적합하다.
포도씨 오일(grape seed oil)은 와인을 짠 다음에 남은 씨앗에서 추출한 오일로, 불포화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 모든 피부유형에 잘 맞으며, 비타민E가 풍부하고 산화가 잘 되지 않아 노화방지에 효과적이다. 건성 피부와 지성 피부를 중성화시키고 피부보습과 영양공급에 뛰어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동백유는 동백나무 종자에서 추출한 기름으로, 예부터 윤기 있는 아름다운 검은 머리를 만드는 용도로 사용되어 왔으며, 올레익산이 풍부해 보습효과가 뛰어 나다.
하이퍼리큠 오일(hypericum oil)은 하이페리쿰 퍼포라툼 (Hypericum perforatum)으로 부터 추출한 오일로, 외용으로 사용하면 조직을 잘 아물게 하고 통증과 염증을 완화시키는 효과가 있다.
윗점 오일(wheat germ oil)은 소맥배아유로, 단백질, 비타민 B1 및 비타민 E 등이 풍부하여, 건성피부와 손상피부의 치유, 습진 및 건선 등의 치유, 임신선과 흉터의 감소 등 피부 탄력 촉진, 세포재생, 노화방지용으로 쓰인다.
햄프 씨드 오일(hemp seed oil)은 대마의 종자에서 추출한 오일로, 끈적임이 없고 침투성이 높으며 보습효과가 탁월하다.
마카다미아 넛 오일(macadamia nut oil)은 팔미트레익산이 25% 정도로 풍부하고, 피부와 비슷한 성분이어서 트러블을 회복시켜 노화를 방지한다. 침투성이 높아 건조한 피부, 민감한 피부에도 효과적이다.
올리브 오일(olive oil)은 올리브 열매에서 채취하는 오일로 단백질, 미네랄, 비타민, 필수 지방산이 함유되어 탈수 피부와 자극받은 피부, 건성피부의 보습에 매우 좋고, 흉터와 튼살예방에 효과가 뛰어나다.
비타민 E는 항산화작용으로 노화방지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i) 오일계열성분에서 호호바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포도씨 오일은 1~5중량부, 동백유 1~4중량부, 하이퍼리큠 오일은 0.1~1중량부, 윗점 오일은 0.1~1중량부, 햄프 씨드 오일은 0.1~1중량부, 마카다미아 넛 오일은 0.5~2중량부, 올리 브 오일은 1~4 중량부, 비타민 E는 0.1~2 중량부의 비로 사용하는 것이 높은 발모 촉진, 모발 건강회복, 양모, 육모,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 오일계열 성분은 헤어크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28~40중량%로 함유되는데, 상기 오일계열성분이 28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A)헤어크림 자체가 묽어져 이하 (B)헤어세럼과 혼합하여 제조되는 최종 발모용 조성물도 묽어지게되고 따라서 최종 발모용 조성물의 흐름성이 과도하게 높아져 사용시 효과를 나타내기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4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크림 제조시 뻑뻑해지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ii) 워터계열 성분으로는 로즈마리 플로럴 워터, 일랑일랑 플로럴 워터 및 정제수를 함유한다.
플로럴 워터는 수증기 증류법으로 에센셜 오일을 제조할 때 생기는 부산물로, 추출하는 식물 성분의 수용성 정도에 따라 플로럴 워터 1리터당 에센셜오일이 0.005~0.2 ml 정도 분산되어 있는 것으로 에센셜 오일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수용성 물질이다.
본 발명의 로즈마리 플로럴 워터는 지성피부에 가장 많이 쓰이는 워터로 자극적이지 않고 안전하며 피부와 두피 관리에 널리 사용된다. 얼굴이나 몸에 버짐이나 가려움증 등 피부 트러블이 있는 경우 효과가 좋고, 체내 순환을 촉진시키고 수렴 작용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랑일랑 플로럴 워터는 거칠고 건조한 피부에 영양과 수분을 공급해 생기있는 피부로 만들고 피지샘을 조절해 지성, 건성 피부에 좋으며 피부 진정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상기 (ii) 워터계열성분에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로즈마리 플로럴 워터는 3~10 중량부, 일랑일랑 플로럴 워터는 0.1~2 중량부의 비로 사용하는 것이 높은 발모 촉진, 모발 건강회복, 양모, 육모,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i) 워터 계열 성분은 헤어크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0~55중량%로 함유되는데, 상기 워터 계열성분이 4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본 발명의 헤어크림 제조시 뻑뻑해지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며, 55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이하 (B)헤어세럼과 혼합하여 제조되는 최종 발모용 조성물이 묽어지게되고 따라서 최종 발모용 조성물의 흐름성이 과도하게 높아져 사용시 효과를 나타내기에 좋지 않은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iii) 에센셜오일 성분으로는 세이지, 티트리, 로즈마리, 일랑일랑, 페파민트 및 라벤더의 에센셜 오일을 함유하며,
본 발명의 세이지 에센셜 오일은 살비아 스카라리아(Salvia scalarea)의 잎과 꽃이 핀 선단부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얻은 오일로, 상승효과가 있어 이완제, 활력제로 사용된다. 강장, 건위, 방충, 소화, 수렴, 승압, 월경촉진, 이뇨, 항경련, 항균, 항염증, 항산화, 해열 등의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티트리 에센셜 오일은 티트리(Melaleuca alternifolia)의 잎 부분 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얻은 오일로, 부작용이나 알러지, 독성이 없는 강한 방부효과가 있고, 항염, 피부진정, 화상, 화농, 습진 치료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로즈마리 에센셜 오일은 로즈마리(Rosemarinus officinalis)의 잎과 꽃이 핀 선단부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얻은 오일로, 거담, 소독, 소화, 항균, 항세균, 항우울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일랑일랑 에센셜 오일은 일랑일랑(Cananga odorata)의 꽃에서 수증기 증류법으로 얻은 오일로, 방부, 진정, 최음, 항우울, 혈압 강하, 긴장된 근육 이완, 폐경기 증상 완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페퍼민트 에센셜 오일은 페퍼민트(Mentha piperrita)의 반건조된 잎을 수증기 증류법으로 얻은 오일로, 주요 성분인 멘톨(menthol)은 피부와 점막을 시원하게 해주고, 항균과 통증 완화에 효과적이어서 식용과 약용 및 방향제로, 원기 강화제와 목욕 첨가제로 사용하였다. 정신적 피로와 우울증, 신경성 발작 등에 효과가 있고, 건위, 구충, 담즙분비촉진, 마취, 발한, 소독, 소염, 수렴, 진경, 진통, 치통완화, 혈관수축, 해열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라벤더 에센셜 오일은 라벤더(Lavendula angustifolia)의 꽃에서 수증기증류법으로 얻은 오일로, 방부, 외상치유, 흉터방지, 진정, 항생, 항우울, 항진균, 항바이러스, 해독 효과가 있으며, 피부를 보호하는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iii)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상기 티트리 에센셜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세이지 1~4중량부, 로즈마리 1~2중량부, 일랑일랑 1~8 중량부, 페파민트 1~8중량부 및 라벤더 1~2중량부의 비로 사용하는 것이 높은 발모 촉진, 모발 건강회복, 양모, 육모,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iii) 에센셜 오일 성분은 헤어크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4~8중량%로 함유되는데, 상기 에센셜 오일 성분이 4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A) 헤어크림과 이하 (B)헤어세럼을 혼합하여 제조하는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에 함유되는 양이 너무 적어져 허브의 발모효과 및 향을 나타내기에 안 좋은 단점이 있으며, 8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제조 원가가 높아지게 되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iv) 유화제로는 당업계의 통상적인 유화제를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이멀시파잉 왁스를 사용한다.
이멀시파잉 왁스(emulsifying wax)는 코코넛 오일에서 추출한 천연 성분으로 크림 베이스 제조시의 유화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오일계열성분 및 워터계열성분 등을 유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 (iv) 유화제는 헤어크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7~12중량%로 함유되는데, 상기 유화제가 7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본 발명의 헤어크림 제조시 골고루 유화가 잘 되지 않는 단점이 있으며, 12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유화제 외 다른 성분의 함량이 낮아질 수 있어 발모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v) 첨가물로는 자몽종자 추출물과 같은 천연방부제 및 글리세린을 함유하며,
자몽종자 추출물은 자몽의 종자를 건조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것으로 비타민 C와 나린진이 주성분으로 되어 있다. 이 중 나린진은 비타민 P라고 알려져 있는 후라보노이드라는 성분으로 미생물의 성장을 정지시키는 정균작용과 미생물을 살균하는 항균작용이 매우 뛰어나다.
글리세린(C3H8O3)은 무색의 맑은 끈기있는 액으로수분을 흡수하는 보습능력 때문에 화장품에서는 기초 보습성분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v) 첨가물에서는 상기 자몽종자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은 0.5~2 중량부가 되도록 사용한다.
이 (v) 첨가물은 헤어크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10중량%로 함유되는데, 상기 첨가물이 3 중량%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본 발명의 헤어크림의 장기간 보존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10 중량%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첨가물 외 다른 성분의 함량이 낮아질 수 있어 발모 효과가 줄어들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못하다.
상기의 허브로부터 유래한 물질 및 기타 성분들은 당업계 통상의 제조방법을 통해 제조되거나, 이미 시판되는 물질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오일계열의 재료인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동백유, 하이퍼리큠 오일, 윗점 오일, 햄프 씨드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올리브오일, 비타민 E 및 이멀시파잉 왁스를 유리 비이커에 담아 혼합하여 60~70 도로 가열하고, 워터 계열의 재료인 로즈마리 워터, 일랑일랑 워터 및 정제수를 별개의 유리 비이커에 담아 혼합하여 60~70 도로 가열한 후, 상기 가열한 워터계열의 재료들을 오일계열의 재료에 넣고, 여기에 첨가물로서 천연방부제인 자몽종자 추출물(G.S.E.) 및 글리세린도 첨가한 다음 이를 저어주어 혼합한다. 그 다음 천천히 식히면서 온도가 30도 정도로 떨어진 후, 세이지, 티트리, 로즈마리, 일랑일랑, 페퍼민트 및 라벤더의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헤어 크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에서 헤어 세럼(B)은 영지, 피마자, 황기, 칡, 창출, 구기자, 하수오, 당귀, 산수유, 동백, 오미자, 복분자, 창포와 생강으로 이루어진 한방 생약 추출물을 함유한다.
상기 본 발명에서 사용한 한방 생약 중 영지(靈芝, Ganoderma lucidum)는 불로초과에 속하는 근주심재(根株心材) 부후성 버섯으로, 여러 가지 아미노산과 수용성 단백질, 스테로이드물질, 안트라퀴논 유도체, 탄수화물, 각종 배당체, 소량의 알칼로이드 환원성 물질들과 리그닌을 분해하는 효소를 함유하고 있다. 영지버섯은 부작용이 없으며, 항암효과, 조압(調壓)작용, 정혈(淨血)작용, 감당(減糖)작용, 천식억제작용, 면역작용, 보간(補肝)작용, 강정(强精)작용, 이뇨작용, 해독작용, 소 염작용, 강심작용 등의 효과가 알려져 있다.
피마자는 대극과의 피마자(Ricinus communis L.)의 씨를 말하며, 종자에서 짜낸 기름은 피마유 또는 피마자유라고 한다. 피마자는 염증을 제거하고 독을 뽑아내 변으로 내보내는 효능이 있어 종기 초기, 옴, 버짐, 악창, 경부림프절염, 변비, 소변이 잘 나오지 않는 증상, 장내적취에 쓰고, 약리작용은 복통과 설사유발, 피부염 및 기타 피부병 치료작용이 보고되었다.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 (FISCH.) BGE)는 콩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뿌리를 건조시켜 사용하고, 글루쿠론(glucuron)산, 단백질, 수종의 아미노산, 엽산 등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어 있다. 강심작용이 있으며, 관상동맥 또는 전신의 말초혈관을 확장시켜 혈압 강하 및 이뇨작용을 가진다. 또한, 간장을 보호하여 간 글리코겐의 감소를 막는 작용, 진정작용, 자궁수축, 혈당치의 감소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칡(Pueraria lobata)은 콩과식물로, 이의 뿌리인 갈근(葛根)에는 이소플라본 유도체인 다이드진(daidzin) 및 이의 아글리콘인 다이드제인(daidzein)과 퓨에라린 (puerarin) 등이 함유되어 있고, 잎에는 로키닌(rokinin), 캄프페롤-람노사이드 (kaempferol-rhamnosid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땀을 내며, 열을 내려 고열·두통을 치료하고 갈증을 멎게 하며, 소화불량, 두통, 빈혈, 이질, 복통, 술독, 감기, 구토와 부인들의 하혈에 쓰이고 소화를 돕는다고 알려져 있다.
창출(蒼朮)은 삽주(Atractylodes japonica) 및 동속 근연식물의 근경으로, 정유 5-9%를 함유하며,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의 히네솔(hinesol)로 베타-유 데스몰(β-eudesmol), 알파-비스아보롤(α-bisabolol), 알파-이소베티벤(α-isobetivene) 등 외에 p-시멘(p-cymene), 아트락틸로딘 (Atractylodin) 등이 함유되어 있다. 중추억제작용, 항히스타민작용, 진정작용, 혈당강하 작용 등을 보이며, 건비(建碑), 거풍(祛風), 발한(發汗) 등의 효능이 있다.
구기자(枸杞子)는 구기자나무(Lycium chinense Miller) 또는 동속식물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베타인(betain), 지아잔틴(zeaxanthin),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피살린(physalin), 콜린(cholin), 루틴(rutin) 및 단백질·지방·당질·칼슘·인·철분·비타민(A·B1·B2·C) 등이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강장제·해열제로 쓰고 간기능 보호 작용이 뛰어나며 폐와 신장의 기능을 좋게 하고, 허약체질을 보하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약리작용으로 비특이성면역증강 작용, 조혈작용, 콜레스테롤 강하작용, 항지방간작용, 혈압강하, 혈당강하, 생장촉진, 항암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하수오(何首烏)는 마디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덩굴초본인 하수오(Pleuropterus multflorus)의 갈색 덩이뿌리로, 이는 피를 생성하여 원활하게 해주는 작용, 염증, 종기, 부스럼을 없애주는 작용을 하고, 가래와 담을 삭히고 부인의 산후병, 냉, 대하 등을 치료하며, 골수를 채우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 머리를 검게 할 목적으로는 사용할 때는 검은 콩, 검은 깨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좋다고 되어 있다.
당귀(當歸)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로,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등의 쿠마린 성분이 함유되어 있고, 진 통, 배농, 지혈, 보혈(補血), 강장작용이 있으며, 종기, 타박상 및 부인병에 이용된다.
산수유(山茱萸)는 층층나무과의 산수유나무(Cornus officinalis SIEB. et ZUCC.)의 성숙한 과실을 건조한 것으로, 과육에는 코르닌(cornin)·모로니사이드(Morroniside)·로가닌(Loganin)·탄닌·사포닌 등의 배당체와 포도주산·사과산·주석산 등의 유기산이 함유되어 있고, 그 밖에 비타민 A와 다량의 당(糖)도 포함되어 있다. 종자에는 팔미틴산·올레인산·리놀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성분 중 코르닌은 부교감신경의 흥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강음(强陰), 신정(腎精)과 신기(腎氣)보강, 수렴 등의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고, 두통·이명(耳鳴)·해수병, 해열·월경과다 등에 약재로 쓰이며 식은땀·야뇨증 등에도 사용된다.
동백(冬柏, Camellia japonica)은 산다과(Theaceae)에 속하는 상록의 작은 교목으로, 본 발명의 동백 추출물은 동백나무의 다양한 기관 (꽃, 과실, 줄기, 뿌리, 잎 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동백의 잎과 꽃에는 트리테르페노이드 사포닌 (triterpenoid saponin)으로서 항균성분인 카멜리딘 I(camellidin Ⅰ)과 카캄카멜리딘 Ⅱ가 함유되어 있고, 동백 나무 추출물은 여드름 피부를 진정시키고 여드름상처의 피부 치유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오미자(五味子)는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Baillon)의 열매를 말린 것으로, 시잔드린(Schizandrin), 고미신(Gomisin A-Q), 시트럴(Citral), 알파-이란진(α-Ylangene), 능금산(Malic acid), 구연산 등이 주요 성분으로 포함되어 있고, 약리작용으로 대뇌피질 흥분작용, 혈압 강하작용, 거담, 진해 작용, 호흡 흥분 작용, 강심작용, 당 대사 촉진과 당분해작용, 세포 면역 기능 증강작용, 자궁 흥분 작용, 담즙 분비 촉진 작용, 위액 분비 조절 작용, 억균작용이 보고되었다.
복분자(覆盆子)는 복분자딸기(Rubus coreanus Miquel)의 미성숙열매를 약용한 것으로, 안토시안, 폴리페놀, 카로틴, 염화시안 배당체, 색소 등을 함유하고 있고, 비타민 B, C, E 및 레몬산, 사과산, 살리실산, 카프론산 등의 유기산을 함유하고 있다. 예로부터 보간신(補肝腎), 명목(明目), 이뇨제의 효능이 있고, 정력감퇴, 유정, 빈뇨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창포(Acorus calamus)는 창포과의 다년생 초본으로, 잎과 뿌리의 추출액으로 머리를 감거나 목욕을 하는 식물로 잘 알려져 있다. 근경에는 정유, 탄닌(tannin), 비타민 C, 녹말, 팔미틴 산(palmitin acid)등이 함유되어 있고, 정유는 유게놀(eugenol), 세스퀴테르펜(sesquiterpene), 아사론(asarone)등이 함유되어 있다. 진정, 진통, 항경련, 진해거담 작용이 있으며, 위산분비를 증가시키며 특히 위산도가 저하된 경우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체온강하작용이 있으며 화담(化痰), 개규(開竅), 건비(建碑), 이습(利濕) 효능이 있다
생강(生薑)은 생강과의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의 신선한 뿌리줄기로, 외감성 감기로 인한 오한, 발열, 두통, 구토, 해수, 가래를 치료하며 식중독으로 인한 복통설사, 복만에도 효과가 있다. 약리작용으로 위액분비촉진, 소화력 증진, 심장흥분 작용, 혈액순환촉진, 억균작용 등이 보고되었다.
상기의 한방 생약은 건조한 것, 건조하지 않은 것 또는 이들을 서로 혼합한 상태의 것을 추출에 사용할 수 있고, 이를 세절 또는 분말화한 형태로 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영지 1중량부에 대하여, 피마자 1~2중량부, 황기 1~2중량부, 칡 1~2중량부, 창출 1~2중량부, 구기자 1~2중량부, 하수오 1~2중량부, 당귀 1~2중량부, 산수유 1~2중량부, 동백 1~2중량부, 오미자 1~2중량부, 복분자 1~2중량부, 창포 1~2중량부와 생강 1~2중량부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각 생약을 동량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높은 발모 촉진, 모발 건강회복, 양모, 육모, 탈모 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혼합 한방생약의 추출물은 당업계 공지의 추출 방법, 예를 들면, 물 또는 에탄올 수용액 등의 음용 가능한 용액으로 통상의 추출 방법을 통해 제조되거나, 이미 시판되는 추출물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생약을 세절한 후, 생약 무게의 약 2배 내지 5배의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혼합용매를 혼합하여 100 ℃에서 약 1시간 내지 8시간 가열한 다음 그 용액을 회수하는 방법으로 1~3회 추출한 후, 통상의 여과지나 면직물을 사용하여 추출 잔여물을 분리하여 추출 여과액으로 수득하여 사용한다.
이에 추가적으로 감압농축 또는 동결건조의 과정을 수행하여 농축액 또는 분말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14종의 생약에서 추출한 한방생약 추출물은 액상 또는 농축액 또는 분 말 형태로서 통상 화장품 제제에 함유될 수 있는 다른 성분을 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한방생약 추출 여과액 그대로 본 발명의 헤어 세럼(B)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14종의 생약을 6 g 씩 혼합하고 이에 물을 약 300 ml 를 넣고 가열하여 추출하는데, 최종 약 100~110 ml 의 추출액이 남을 때까지 가열한다. 이 추출액을 여과함으로써 본 발명의 헤어세럼을 제조한다.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은 상기의 헤어 크림(A) 및 헤어 세럼(B)을 1~10 대 1의 중량비, 바람직하게는 3~7 대 1,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대 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다. 상기 헤어크림이 헤어세럼에 비하여 1배 중량비 미만으로 함유되는 경우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이 액상에 가깝게 되어 탈모부분에 도포시 흘러내리게 되고, 이에 따라 두피 및 모근과 모낭에 본 발명의 조성물의 효과가 전달되지 않을 수 있고, 사용하기 불편한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또한 헤어크림이 헤어세럼에 비하여 10배 중량비를 초과하여 함유되는 경우 발모용 조성물이 발모 효과가 충분히 나타나지 않는 단점이 있어 바람직하지 못하다.
이렇게 본 발명의 헤어 크림(A) 및 헤어 세럼(B)을 혼합한 발모용 조성물을 두피 및 모발에 적용시 모발을 윤기있고 탄력성 있게 만들어주고, 기능이 떨어져 성장이 멈추었거나 이미 죽은 모근과 모낭에 까지 영양분이 침투하여 기능을 회복시키고 건강하고 풍성한 모발로 성장하게 한다. 반복적으로 사용시 모발에 충분한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모발을 굵게 하는 양모효과 뿐만아니라 모발 뿌리에 힘이 생기게 하고, 새로운 모발이 생기는 발모효과 및 새로 생긴 어린 모발을 잘 자라게하는 육모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두피가 건강해짐으로써 탈모도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 제조
1-1) 헤어 크림 1의 제조
헤어 크림에 함유시킬 각 재료 및 사용양을 표 1에 나타내었다.
먼저, 오일계열의 재료인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동백유, 하이퍼리큠 오일, 윗점 오일, 햄프 씨드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올리브오일 및 비타민 E와 유화제인 이멀시파잉 왁스를 유리 비이커에 담아 혼합하여 60~70 도로 가열하였다.
워터 계열의 재료로서, 로즈마리 워터, 일랑일랑 워터 및 정제수를 별개의 유리 비이커에 담아 혼합하여 60~70 도로 가열하였다.
상기 가열한 워터계열의 재료들을 오일계열의 재료에 넣고, 여기에 첨가물로 서 천연방부제인 자몽종자 추출물(G.S.E.) 및 글리세린도 첨가하였다. 이를 5분간 저어준 후 핸드블렌더를 이용하여 10~15분 동안 저어주었다.
그 다음 천천히 식히면서 온도가 30도 정도로 떨어진 후, 세이지, 티트리, 로즈마리, 일랑일랑, 페퍼민트 및 라벤더의 에센셜 오일을 첨가하여 골고루 혼합함으로써 본 발명의 헤어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49748968-pat00001
1-2) 헤어 세럼 1의 제조
영지, 피마자, 황기, 칡, 창출, 구기자, 하수오, 당귀, 산수유, 동백, 오미자, 복분자, 창포와 생강 각 6g 을 혼합한 후, 이에 300ml의 물을 넣고 가열하여 추출액이 100ml정도 될 때까지 가열하였다. 이를 천천히 식히고, 여과지로 여과하여 액상의 본 발명의 헤어 세럼을 제조하였다.
1-3)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 1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헤어 크림 및 실시예 1-2의 헤어세럼을 5 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4) 헤어 크림 2의 제조
하기 표 2에 기재된 헤어 크림의 성분 및 함량을 가지고 상기 실시예1-1)의 방법과 동일하게 헤어 크림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07049748968-pat00002
1-5) 헤어 세럼 2의 제조
영지 5g, 피마자 7g, 황기 5g, 칡 5g, 창출 5g, 구기자 5g, 하수오 10g, 당귀 8g, 산수유 8g, 동백 10g, 오미자 7g, 복분자 5g, 창포 7g와 생강 7g 을 혼합한 후, 이에 400ml의 물을 넣고 3시간 정도 가열하여 추출하였다. 이를 여과지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하고 건조하여 약 11g의 추출분말을 수득하였다.
상기 11 g의 추출분말을 증류수 100 ml에 용해시켜 본 발명의 헤어 세럼을 제조하였다.
1-6)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 2 제조
상기 실시예 1-4의 헤어 크림 및 실시예 1-5의 헤어세럼을 4 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 3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헤어 크림 및 실시예 1-2의 헤어세럼을 3 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 4 제조
상기 실시예 1-1의 헤어 크림 및 실시예 1-2의 헤어세럼을 7 대 1 중량비로 혼합하여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의 발모효과 확인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모발의 수가 정상에 비해 현저히 적거나, 탈모증상이 보이며 모발이 약한 남녀 총 20 명을 대상으로 하여 1주에 3회씩 6개월 동안 모발 및 두피에 사용하였다.
탈모가 진행된 부분에 실시예 1-3)의 조성물을 도포하고, 30분 정도 두었다가 미온수에 헹구어 내는 방식으로 사용하였다.
또한, 비교예 1로서 실시예 1-1)의 헤어크림만을 모발 및 두피에 도포한 경우와 비교예2로서 실시예 1-2)의 헤어세럼만을 도포한 경우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사용 후 평가는 모발의 밀집 정도, 모발의 건강한 정도(탄력성, 굵기) 및 전체적 평가 항목에 대하여 개선정도(매우 개선됨, 약간 개선됨, 변화없음, 악화됨)를 표시하게 하여 표 3에 나타내었다.
또한,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사용기간 중에 발모용 조성물에 따른 일반 증상의 변화는 관찰되지 않았으며, 가벼운 홍조 이외에 홍반, 가피형성, 부종 등의 증상은 관찰되지 않아 피부에 대한 자극성은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모발의 탄력성 모발의 굵기 모발의 밀집정도 전체 평가
매우개선됨 19 17 15 18
약간 개선됨 1 3 5 2
변화 없음 0 0 0 0
악화됨 0 0 0 0
(단위:인원수)
또한, 적용기간동안의 새로 자란 모발의 성장길이를 측정하여 또한 표 4에 나타내었다.
1개월 2개월 3개월 4개월 5개월 6개월
피시험자 1 (45세, 남성, 앞머리 M자형 탈모증상) - 약 0.5 cm 약 0.9 cm 약 1.4 cm 약 1.8 cm 약 2.3 cm
피시험자 2 (39세, 남성, 정수리 부분의 탈모증상) - 약 0.2 cm 약 0.5 cm 약 1.0 cm 약 1.4 cm 약 1.9 cm
피시험자 3 (60세, 남성, 앞머리와 정수리 부분의 탈모증상) - 약 0.3 cm 약 0.8 cm 약 1.2 cm 약 1.6 cm 약 2.0 cm
대부분의 피시험자의 경우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탈모부위에 적용시작 1개월이 지난 후부터 탈모부위에서 솜털같은 잔머리가 많이 나며 계속적인 적용으로 기존의 모발도 윤기와 탄력성을 나타내고 또한 새로 자라나는 모발로 인해 모발의 밀집정도도 높아지고, 건강한 모발로 자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에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적용한 피시험자의 (a) 적용시작시의 모발상태 및 (b) 적용 3개월 후의 모발상태를 찍은 사진을 나타내었으며,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의 발모, 육모, 양모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비교예 1의 경우도 발모효과를 나타내었으나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적용한 경우보다 잔머리가 새로 나는 수가 적었으며, 모발이 자라나는 정도도 약했다. 또한, 비교예 2의 경우는 비교예 1 보다도 더 낮고 미미한 발모효과를 나타내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발모용 조성물을 적용한 피시험자의 (a) 적용시작시의 모발상태 및 (b) 적용 3개월 후의 모발상태를 찍은 사진이다.

Claims (7)

  1. 헤어 크림 및 세럼으로 구성된 발모용 조성물로,
    상기 헤어크림은
    (i) 호호바오일, 포도씨 오일, 동백유, 하이퍼리큠 오일, 윗점 오일, 햄프씨드 오일, 마카다미아 넛 오일, 올리브 오일 및 비타민 E로 구성된 오일계열 성분 28~40 중량%,
    (ii) 로즈마리 워터, 일랑일랑 워터 및 정제수로 구성된 워터계열 성분 40~55 중량%,
    (iii) 세이지, 티트리, 로즈마리, 일랑일랑, 페파민트 및 라벤더로 구성된 에센셜 오일 성분 4~8 중량%,
    (iv) 유화제 7~12 중량%, 및
    (v) 자몽종자 추출물 및 글리세린으로 구성된 첨가제 3~1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이고,
    상기 오일계열성분에서 호호바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포도씨 오일은 1~5중량부, 동백유 1~4중량부, 하이퍼리큠 오일은 0.1~1중량부, 윗점 오일은 0.1~1중량부, 햄프 씨드 오일은 0.1~1중량부, 마카다미아 넛 오일은 0.5~2중량부, 올리브 오일은 1~4 중량부, 비타민 E는 0.1~2 중량부로 혼합하고,
    상기 헤어 세럼은 영지, 피마자, 황기, 칡, 창출, 구기자, 하수오, 당귀, 산수유, 동백, 오미자, 복분자, 창포와 생강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며,
    상기 헤어크림 및 헤어세럼은 1~10 대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용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워터계열성분에서 정제수 100 중량부에 대하여 로즈마리 워터는 3~10 중량부, 일랑일랑 플로럴 워터는 0.1~2 중량부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센셜 오일 성분에서 티트리 에센셜 오일 1 중량부에 대하여 세이지 1~4중량부, 로즈마리 1~2중량부, 일랑일랑 1~8 중량부, 페파민트 1~8중량부 및 라벤더 1~2중량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첨가물에서 자몽종자 추출물 1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은 0.5~2 중량부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크림 및 헤어세럼은 3~7 대 1 중량비로 혼합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영지, 피마자, 황기, 칡, 창출, 구기자, 하수오, 당 귀, 산수유, 동백, 오미자, 복분자, 창포 및 생강 추출물은 각각 동량으로 혼합되어 추출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발모용 조성물.
KR1020070068547A 2007-07-09 2007-07-09 발모용 조성물 KR100893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547A KR100893106B1 (ko) 2007-07-09 2007-07-09 발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68547A KR100893106B1 (ko) 2007-07-09 2007-07-09 발모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79A KR20090005479A (ko) 2009-01-14
KR100893106B1 true KR100893106B1 (ko) 2009-04-10

Family

ID=404870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68547A KR100893106B1 (ko) 2007-07-09 2007-07-09 발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8931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438B1 (ko) * 2014-02-13 2014-05-20 주식회사 더마랩 감, 동백나무 잎, 캐럽콩의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983622A (zh) * 2015-06-29 2015-10-21 柳州弘天科技有限公司 一种有效清洁头皮的洗发组合物
CN107569408A (zh) * 2017-09-08 2018-01-12 新时代健康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增加头发光亮度的护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KR101896070B1 (ko) * 2017-03-09 2018-09-06 이선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66952B1 (en) * 2010-05-06 2015-06-30 Carolyn Brown Rejuvenating hair oil system and method of use
FR3004344A1 (fr) * 2013-04-12 2014-10-17 Daphne Pascale Bernardine Chevolleau Produit par voie externe contre la chute de cheveux et utilisation de ce produit
WO2016102177A1 (en) * 2014-12-22 2016-06-30 Unilever Plc Hair composition
EP3258942B1 (en) * 2015-02-16 2021-01-13 APIRX Pharmaceutical USA, LLC Cosmetic and topical compositions comprising cannabigerol and cannabidiol
CN107184435A (zh) * 2017-05-24 2017-09-22 杜健敏 一种洗发水
CN108403611A (zh) * 2018-06-04 2018-08-17 云南健牛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杀菌防脱促生发洗发水及其制备方法
KR102182685B1 (ko) * 2018-12-26 2020-12-08 (주)멋있는생활 백모 완화, 탈모 및 모발굵기 개선용 헤어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CN112206190B (zh) * 2020-10-26 2023-03-17 云南省热带作物科学研究所 一种高品质的澳洲坚果护肤霜及其制备方法
KR102217697B1 (ko) * 2020-10-30 2021-02-22 바이오닉랩 주식회사 천연 아로마 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테라피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452A (ko) * 1996-06-03 1998-03-30 한영일 한방 액상 보정양혈제 및 모발 보양제환
KR100691791B1 (ko) 2006-02-28 2007-03-12 왕중권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 및 헤어토닉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80000452A (ko) * 1996-06-03 1998-03-30 한영일 한방 액상 보정양혈제 및 모발 보양제환
KR100691791B1 (ko) 2006-02-28 2007-03-12 왕중권 탈모방지 및 발모용 샴푸 및 헤어토닉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6438B1 (ko) * 2014-02-13 2014-05-20 주식회사 더마랩 감, 동백나무 잎, 캐럽콩의 천연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4983622A (zh) * 2015-06-29 2015-10-21 柳州弘天科技有限公司 一种有效清洁头皮的洗发组合物
KR101896070B1 (ko) * 2017-03-09 2018-09-06 이선우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7569408A (zh) * 2017-09-08 2018-01-12 新时代健康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增加头发光亮度的护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CN107569408B (zh) * 2017-09-08 2020-10-16 新时代健康产业(集团)有限公司 一种增加头发光亮度的护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5479A (ko) 200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0668878B1 (ko) 발모제 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발모제조성물, 발모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US20100104646A1 (en) Nanoparticle composition for prevention of hair loss and promotion of hair growth
KR10070160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550179B1 (ko)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조성물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128564B1 (ko) 생숙조화(生熟調和) 발효식초로 산도를 조절한 지초비누의 제조방법
US9554985B2 (en) Agent for promoting hair growth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050222A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KR1012069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KR20180137101A (ko)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52232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CN107412709A (zh) 一种具有止脱生发的中草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20200137526A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20090012565A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방지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CN112773748A (zh) 治疗脂溢性脱发的中药洗发水及其应用
KR100664400B1 (ko) 탈모예방 및 양모(養毛) 조성물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30275B1 (ko) 모발 세정제 조성물
KR100930688B1 (ko) 천연한방 모근 강화 및 두피 청결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14969B1 (ko)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40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