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2445A -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2445A
KR20210042445A KR1020190124982A KR20190124982A KR20210042445A KR 20210042445 A KR20210042445 A KR 20210042445A KR 1020190124982 A KR1020190124982 A KR 1020190124982A KR 20190124982 A KR20190124982 A KR 20190124982A KR 20210042445 A KR20210042445 A KR 202100424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chc
hair loss
composite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24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76213B1 (ko
Inventor
도형록
김세기
이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셀드로우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셀드로우, 대구가톨릭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셀드로우
Priority to KR10201901249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762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424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24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762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762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1.2- 헥산디올 2.00중량부; 판테놀 1.00중량부; 프로듀-400 0.50 내지 5.00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30 내지 2.0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비오틴 0.06 내지 0.10중량부; 다이소듐 EDTA 0.03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자이트 0.03 내지 0.10중량부; 피리독신 HCl 0.10 내지 0.30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공중합체) 0.05 내지 0.10중량부; L-아르지닌 1.00중량부; 시트르산 0.50중량부; 구연산나트륨이수화물 0.6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부틸렌글리콜 10.00중량부; 올리브유 0.10중량부; 티트리오일 0.03중량부; 멘톨 0.20중량부; 살리실산 0.10 내지 0.15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60 내지 0.80중량부; 레몬에센셜오일 0.08중량부;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1.60 내지 5.00중량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 항염, 방부효과 등을 검증한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과 의약적 성분을 복합 구성함으로써 탈모 예방 및 두피 건강에 유익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loss care applied to the natural plant composite material extract}
본 발명은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우수한 항산화, 항염, 방부효과 등을 검증한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과 의약적 성분을 복합 구성함으로써 탈모 예방 및 두피 건강에 유익한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의 특징은 경쟁적 외모 가꾸기 등 미용을 중시하는 사회이며 이로 인한 샴푸, 염색, 파마 등은 피할 수 없는 선택적 미용 가꾸기 등으로 나타나는 사회적 행동이며 또한 끊임없는 경쟁 사회 속에 가해지는 스트레스 등과 개인별 유전적 특성 등으로 나타나는 탈모등은 누구도 원하지 않는 생리적 현상이다.
두발은 약 10만 개 정도이며, 일반적으로 사람의 모발은 하루에 40~100개 정도의 모발이 탈락한다. 또한, 탈락한 수치만큼의 모발이 다시 생성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그러나 두피 및 인체의 내적, 외적인 이상 현상이 발생한 경우에는 1일 탈모되는 모발의 수가 200개 정도로 늘어나고 기존의 성장기 모발기간이 짧아지는 특징과 모발의 연모화 현상을 볼 수 있다.
탈모의 원인으로는 크게 두피 타입에 의한 탈모로서 지성 두피는 혈액 순환이 잘 되지 않아 모근과 모구가 약해져 새로운 모발의 발생을 방해하게 된다.
특히 남성의 경우에는 남성 호르몬에 의해 모근이 가늘어지며 피지의 분비를 활발하게 한다. 두피를 청결하게 유지하지 못할 경우 탈모를 유발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건성 두피 탈모는 지성 두피와 반대로 두피가 당겨지기 때문에 모근이 약해져 탈모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외에 스트레스에 의한 탈모로는 스트레스가 지속적으로 쌓이게 되면 혈액순환장애와 불면증 등을 유발하게 되고, 이로 인한 두피의 긴장상태는 두피를 지성으로 변화시켜 모발의 발육은 물론 모발의 성장 및 발생에까지 악영향을 주게 된다.
또한 식생활에 의한 탈모로는 우리의 식생활이 서구화되면서 지방이 많이 함유된 기름진 음식, 고소한 음식 등을 자주 섭취하게 된다. 이러한 음식들은 남성호르몬과 같은 효과를 내어 두피를 지성으로 변회시키며 탈모를 유발하게 된다.
이밖에, 담배에 의한 탈모로서 술을 마시게 되면 알코올 성분이 염증 및 피지분비를 촉진시키고, 흡연은 체온을 떨어뜨려 혈관을 수출시켜 혈액순환을 방해하며 비타민의 부족 현상을 불러오며, 이러한 현상들은 탈모의 유발과 모발의 성장 및 발생에 악영향을 미치므로 적당한 음주와 금연, 비타민 섭취 등을 통해 탈모 예방 관리를 해야 한다.
또한 자외선에 의한 탈모로서는 강한 자외선은 두피에 직접적인 자극을 주어 모근을 건조하게 만들고 염증을 증가시켜 탈모를 촉진시키며, 또 자외선으로 인해 모발의 단백질층인 케라틴이 파괴되어 손상을 입게 됨으로써 머리카락을 가늘어지게 해 결국 탈모를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탈모를 예방하고, 발모를 촉진하기 위한 연구 및 기술 개발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으나, 뚜렷한 효과를 내는 연구 결과나 기술 개발은 아직 미진한 실정이다.
등록특허공보 제10-0659490호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우수한 항산화, 항염, 방부효과 등을 검증한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과 의약적 성분을 복합 구성함으로써 탈모 예방 및 두피 건강을 위한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의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1.2- 헥산디올 2.00중량부; 판테놀 1.00중량부; 프로듀-400 0.50 내지 5.00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30 내지 2.0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비오틴 0.06 내지 0.10중량부; 다이소듐 EDTA 0.03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자이트 0.03 내지 0.10중량부; 피리독신 HCl 0.10 내지 0.30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공중합체) 0.05 내지 0.10중량부; L-아르지닌 1.00중량부; 시트르산 0.50중량부; 구연산나트륨이수화물 0.6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부틸렌글리콜 10.00중량부; 올리브유 0.10중량부; 티트리오일 0.03중량부; 멘톨 0.20중량부; 살리실산 0.10 내지 0.15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60 내지 0.80중량부; 레몬에센셜오일 0.08중량부;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1.60 내지 5.00중량부; 를 포함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소듐라우레스설포썩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0.00 내지 40.00중량부; 라우릴글루코시드 5.00 내지 25.00중량부;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5.00 내지 10.0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글리세린 4.00 내지 10.00중량부; 소르비톨 4.00 내지 5.00중량부; 데실글루코시드 5.00중량부; 폴리쿼터늄-67 0.10 내지 1.00중량부; 폴리쿼터늄-10 0.10 내지 0.26중량부; 구아르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 0.20 내지 0.24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30 내지 2.00중량부; 비오틴 0.06 내지 0.10중량부; 프로듀-400 0.50 내지 3.00중량부; 다이소듐 EDTA 0.03중량부; 라우로일나트륨 글루타메이트 3.00 내지 10중량부; 글루카메이트 2.00 내지 3.00중량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0중량부; 1.2-헥산디올 2.00중량부; 모링가오일 0.50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30중량부; 티트리오일 0.10중량부; 멘톨 0.20중량부; 올리브유 0.10중량부; 액체실크아미노산 3.00중량부;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1.60 내지 3.00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 예에서 본 발명은,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르비톨 5.00중량부; 1.2-헥산디올 2.00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50 내지 2.00중량부; 나트륨 PCA 5.00 내지 10.00중량부; 프로듀-400 3.00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자이트 0.10중량부; 아데노신 0.10중량부; 비오틴 0.05 내지 0.10중량부; 락토비온산 0.01중량부; 글루코놀락톤 0.05중량부; 에탄올 5.00중량부; 히노키티올오일 0.05중량부; 멘톨 0.15중량부; 살실산 0.05중량부; 만델산 0.01중량부; 레몬에센셜오일 0.25 내지 0.30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70중량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3.00 내지 5.00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은,
겨우살이, 무화과, 금화규, 밀싹, 연교, 적작약, 백산차, 녹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은,
겨우살이 5 중량%; 무화과 5 중량%; 금화규 25 중량%; 밀싹 5 중량%; 연교 15 중량%; 적작약 15중량%; 백산차 5중량%; 녹차 20 내지 25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항산화, 항염, 방부효과 등이 우수한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무화과, 겨우살이, 금화규, 밀싹, 연교, 적작약, 백산차, 녹차)과 의약적 성분인 펩타이드, 판테놀, 비오틴 등과 복합 구성함으로써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할 수 있게 됨으로써 두피의 모낭과 모낭 주변에 피부 침투 효과를 극대화하여 휴지기 상태의 모발을 성장기 상태의 모발로의 촉진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두피의 탈모 예방 및 모발 성장을 극대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염색, 파마 등 반복적으로 모발과 두피에 가해지는 스트레스로서의 자극과 이로 인한 염증과 비듬 발생 또는 탈모 등을 예방하는 진정 작용의 효과도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이나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즉, 실시 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 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본 발명의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탈모 예방 및 두피 건강에 유익하도록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은 겨우살이, 무화과, 금화규, 밀싹, 연교, 적작약, 백산차, 녹차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겨우살이
겨우살이(Viscum Album)는 잎과 줄기가 모두 진한 녹색을 띠고 가지가 두 갈래로 계속 갈라지며 반기생성 식물(hemipatasote)로서 국내에서는 참나무, 팽나무, 뽕나무, 벚나무, 자작나무 등에 기생한다.
꽃은 3월에 황색으로 가지 끝에 피고 꽃대는 없으며, 작은 포(苞)는 접시 모양이고 암수딴그루이다. 화피(花被)는 종 모양이고 4갈래이며, 열매는 둥글고 10월에 연노란색으로 익는다.
겨우살이의 성분으로 lectin, amyrin, inositol, viscotoxin, viscine, flavonoid, polysaccharide, tyramine, histamine, choline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이러한 성분들은 cholesterol 저하, 혈압강하 작용, 이뇨,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 요통, 산후, 동상 등의 약리적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특히, 겨우살이의 주성분인 lectin은 세포독성 효과 및 면역력 증강 효과, 항암활성 등에 대한 보고가 있다.
주요성분: lectin, flavonoid, histamine
(2) 무화과
무화과(Ficus Carica)는 무화과나무의 열매로 대개 둥글거나 원뿔모양으로 녹색, 갈색, 검은색 등 다양하다. 단맛이 강하여 날로 먹거나 말려서 먹거나 가공하여 요리재료로 쓰인다.
알칼리성 식품으로서, 고대 이집트와 로마·이스라엘에서는 강장제나 암·간장병 등을 치료하는 약으로도 썼다. 민간에서는 소화불량·변비·설사·각혈·신경통·피부질환·빈혈·부인병 등에 약으로 쓰고, 주산지에서는 생즙을 치질과 사마귀를 치료하는 데 쓴다.
한국에서는 전남 영암군에서 국내 총생산량의 90% 이상을 생산한다. 열매의 생김새는 둥근 모양, 납작하면서 둥근 모양, 원뿔 모양 등이 있다. 과일의 껍질 색깔도 녹색, 노란빛을 띤 녹색, 노란색, 붉은빛을 띤 녹색, 자줏빛을 띤 갈색, 자줏빛을 띤 검은색 등 다양하다.
유럽과 미국에서는 건과(乾果)로 많이 쓰고 한국과 일본에서는 주로 날로 먹는다. 품종은 카프리형(Carpri), 스미루나형(Smyruna), 산페드로형(Sanpedro), 보통형(Common)의 네 계통으로 나뉘며 주로 유럽·아메리카 등지에서 재배한다.
한국에서는 보통형과 산페드로형을 많이 재배하고 주요 성분으로는 당분(포도당과 과당)이 약 10% 들어 있어 단맛이 강하다. 유기산으로는 사과산과 시트르산을 비롯하여 암 치료에 효과가 있는 벤즈알데히드와 단백질 분해효소인 피신이 들어 있다.
그밖에 리파아제, 아밀라아제, 옥시다아제 등의 효소와 섬유질 및 단백질이 풍부하다.
주요성분: benzaldehyde, ficin,
(3) 금화규
금화규(Hibiseu Smanihot L.) 일년생 초본식물로 뿌리 잎 꽃 모두 약용할 수 있다. 꽃은 7~8월에 피며 골드 히비스커스로도 불리며 중국에서는 황금 해바라기라고도 한다.
금화규는 맛이 달고 독이 없으며 플라보노이드 올레산 비타민E 셀레늄이 함유되어 있다. 변비, 장 속 독소제거 작용을 하며 위궤양, 위염 동맥경화 예방과 개선을 하고 심장병 발생을 감소하고 피를 맑게 하는 리놀레산도 함유하고 있다.
콜라겐은 피부의 주된 단백질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성분으로 피부의 수분 및 탄력 유지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금화규는 식물성 콜라겐이 풍부하여 피부미용에 도움이 된다.
강한 항염증 작용을 하는 Hypeoside 성분과 필수 아미노산을 다량 함유하고 있으며 천연식물성 에스트로겐은 갱년기 증후군에 좋다.
본초강목에는 금화규 줄기는 수면 질량을 높이고, 심신을 안정시키고 혈압을 낮추고 양기를 북돋고 신장을 보신하며 면역력을 높이는 효능이 있다고 전한다. 꽃은 해열해독, 장운동을 돕고, 소염 진통의 효과가 있으며 피로 회복과 혈압을 낮추는 효능을 가지고 있다.
주요성분: Flavonoid, Vitamin E, Linoleic acid, Selenium
(4) 밀싹
밀싹(Triticum Aestivum L.)은 밀 씨앗에서 싹을 내어 기른 채소이다.
모판에 흙을 깔고 물에 불린 통밀을 심은 뒤, 콩나물을 키울 때처럼 물을 주면 자란다. 발아가 되기 전에는 그늘진 곳에 놓아두며, 발아가 되면 햇볕이 잘 들고 공기가 잘 통하는 곳으로 옮긴다. 1주일 정도 후 싹이 15cm 정도 자라났을 때 잘라내 사용한다.
수확할 때는 부리를 두고 줄기를 자르는데, 자른 뒤에 싹이 다시 자라나므로 여러차례 먹을 수 있다.
밀싹은 피를 청결하게 해주며 장을 청소해주고, 식용 증진 및 체중 감소에 도움이 되며 어린이 성장 촉진에도 도움이 된다.
또한, 불면증 해소, 빈혈 및 변비에 탁월한 효과가 있으며 혈당조절 심장, 폐, 장, 혈관 등에 백혈구를 증가시켜 면역력을 증가시켜 준다. 그리고 엽록소를 통한 간 해독 및 적혈구 생성을 해주며 중금속 해독작용에도 효과가 있다.
주요성분: Amino acid, Biotin, Vitamin A, Vitamin B12, Vitamin C
(5) 연교
연교(Forsythiae Fructus)는 물푸레나무과 식물로 노란 꽃을 피우는 갈잎떨기나무이며 개나리라고도 한다. 한반도에서는 흔한 특산종으로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 집 가까이에서 흔히 볼 수 있으며, 울타리나 길 옆에 무더기로 심기도 하고, 한두 구루씩 심기도 한다. 양지바른 산기슭에서 자생하기도 한다.
줄기는 여러 대가 모여나며 가지가 많이 갈라져 빽빽하게 자란다. 줄기 속은 비어 있다. 암수 딴그루로 이른봄에 잎보다 먼저 꽃이 피고 잎겨드랑이에 노란색 꽃이 1~3개씩 달린다.
잎은 마주나고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며 윗부분에 톱니가 있거나 밋밋하다. 앞뒤 모두 털이 없고 앞면은 윤기가 나고 뒷면은 흰빛이 돈다.
가을에 달걀 모양으로 여무는 열매는 끝이 뾰족하고 갈색으로 익는다. 개나리 열매를 연교라 하여, 거둬서 약으로 쓴다. 쓰임새는 한열, 발열, 화농성질환, 림프선염, 소변불리, 종기, 신장염, 습진등에 처방한다.
주요성분: Flavonoid, Saponin, Alkaloid, Oleanolic acid
(6) 적작약
적작약(Paeonia Lactiflora Pall) 은 적작약의 적은 뿌리가 붉다는 뜻이고 작은 함박꽃이 선명하게 활짝 피어 아름답다는 뜻이다. 그 뿌리는 병을 잘 치료하는 약이므로 작약이라고 하였다. 몸속의 열을 내리고 피를 맑게 해주며, 어혈을 제거해서 통증을 가라 앉히는 등의 효능이 있다.
강원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보통 음력 2월과 8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복통, 뱃속에 생긴 단단한 덩어리, 오한이 나면서 열이 나는 것, 아랫배가 단단하고 통증이 심한 증상 등을 낫게 한다. 통증을 없애고, 소변을 잘 누게 하며 기를 보호하고 혈맥을 고루 잘 통하게 하며 비위를 고르게 한다.
또한, 수분 대사를 좋게 할 뿐만 아니라 방광과 대소장의 기능을 좋게 하는 효능도 있다. 풍증을 치료하고 허약한 증상에도 사용한다. 여자들에게 생기는 여러 가지 병과 산전, 산후의 여러 증상에 두루 이용하였다. 적작약은 소변을 잘 누게 하고 기를 내린다.
주요성분: Flavonoid, Tanin, triterpenoid
(7) 백산차
백산차(Ledum Palutre)는 높은 산의 숲 밑에서 자란다.
높이 15~70cm이며 뿌리에서 어린 싹이 돋고 어린 가지에 다갈색 털이 빽빽이 난다. 잎은 어긋나고 긴 타원형이거나 바소꼴로서 길이 2~7cm, 너비 4~12mm이고 짙은 녹색이며 주름이 많다. 뒷면에는 갈색과 흰색 털이 빽빽이 나며 향기가 있고 가장자리가 뒤로 말린다.
잎자루는 길이 3~4mm이다. 꽃은 5~6월에 흰색으로 피는데, 지름 7~10mm로서 산방꽃차례에 달린다. 꽃이삭에는 지점이 있고 털이 난다. 포는 달걀모양이고 꽃받침조각과 꽃잎은 5개씩이며 수술은 10개이고 암술은 1개이다. 열매는 삭과로서 긴 타원형이고 9월에 익는다.
잎 길이 1~2cm 너비 2~3mm이며 뒷면에 흰 털이 없는 것을 좁은 백산차라고 한다. 백산차는 월경을 조절하는 작용이 있어서 생리불순이나 불임증, 위궤양을 치료한다. 또한 유럽에서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이나 관절의 통증에도 사용한다.
주요성분: Tanin, Terpene
(8) 녹차
녹차(Camellia Sinensis)는 발효시키지 않은 찻잎을 사용해서 만든 차이다. 녹차를 처음으로 생산하여 사용하기 시작한 곳은 중국과 인도이다. 그 후 일본·실론·자바·수마트라 등 아시아 각 지역으로 전파되었으며, 오늘날에는 중국에 이어 일본이 녹차 생산국으로 자리잡고 있다.
차는 제조과정에서의 발효 여부에 따라 녹차·홍차·우롱차로 나뉜다. 새로 돋은 가지에서 딴 어린잎을 차 제조용으로 사용하며, 대개 5.7.8월 3차례에 걸쳐 잎을 따는데, 5월에 딴 것이 가장 좋은 차가 된다.
차나무는 상록수로 비교적 따뜻하고 강우량이 많은 지역에서 잘 자란다. 녹차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딴 잎을 즉시 가열하여 산화효소를 파괴시켜 녹색을 그대로 유지하는 동시에, 수분을 증발시켜 잎을 흐늘흐늘하게 말기 좋은 상태로 말린다. 예전에는 사람이 가마솥에서 직접 잎을 손으로 비벼 말렸다. 그 후 가열을 계속하여 대부분의 수분을 제거하여 어느정도 바삭바삭하게 만든다.
근래에는 유기·유염기·재건기·정유기·건조기 등을 사용하여 차를 제조한다. 녹차의 폴리페놀 성분이 암 발생을 감소시켜 항암작용을 하며, 콜레스테롤 수치를 감소시켜 심혈관질환을 예방한다. 또한 당뇨병에도 효과가 있으며 피부 손상 방지 및 피부미백에 효과가 있다.
주요성분: Cianidanol, Amino acid, Vitamin B1, Vitamin B2, Vitamin C, Caffeine
<실험 1> 천연식물소재 각각의 항산화 활성 실험
(가) 8가지 원료 각각의 70%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실험결과
연교, 적작약, 백산차, 녹차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50㎍/㎖의 낮은 농도에서 DPPH 전자공여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모두 Vitamin C보다 높거나 유사한 활성을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 화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화과, 밀싹, 겨우살이, 금화규 70% 에탄올 추출물의 경우 1,000㎍/㎖의 높은 농도에서도 DPPH 전자공여능과 ABTS+ Radical 소거능 모두 Vitamin C보다 낮은 효과를 나타내었지만 항염 및 탈모방지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논문 및 문헌조사에서 알려져 있다.
(1) DPPH 전자공여능 측정 실험결과(연교, 적작약, 백산차, 녹차)
Figure pat00001
(2) DPPH 전자공여능 측정 실험결과(무화과, 밀싹, 겨우살이, 금화규)
Figure pat00002
(3) ABTS+ Radical소거능 측정 실험 결과(연교, 적작약, 백산차, 녹차)
Figure pat00003
(4) ABTS+ Radical소거능 측정 실험 결과(무화과, 밀싹, 겨우살이, 금화규)
Figure pat00004
<실험 2> 천연식물소재의 최적 복합 실험
무화과, 겨우살이, 금화규, 밀싹, 연교, 적작약, 백산차, 녹차가 공통적으로 우수한 항산화, 항염증, 주름개선 효과의 효능을 갖고 있는 점에 착안하여 이들 단일 천연식물소재의 항산화, 항염증, 항주름 효과 등을 선행연구를 통하여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의 분석을 바탕으로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을 구성하는 8가지 천연식물소재의 효능 등을 고려하여 CHC-1 ~ CHC-5로 구성하여 복합물로서의 효능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최적의 효과를 나타내는 헤어 제품용 활성성분으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주요효능 CHC-1 CHC-2 CHC-3 CHC-4 CHC-5
무화과 항염, 항균 15 10 5 5 5
겨우살이 항염, 해열 15 10 5 5 5
금화규 항산화, 항염 15 10 15 5 25
밀싹 항염, 항암 15 10 5 5 5
연교 항산화, 항염 10 15 20 25 15
적작약 항산화, 해열 10 15 20 25 15
백산차 항산화, 항염 10 15 10 2 5
녹차 항산화, 항염 10 15 20 25 25
총량 100 100 100 100 100
(가) 시료추출
시료의 추출은 시료 중량의 10배의 70% 에탄올을 첨가하여 실온에서 24시간 침지하여 3회 반복 추출하였다. 각 추출물들은 여과 및 농축 후 동결 건조하여 냉장실에 보관하면서 본 실험의 시료로 사용하였다.
(나) 추출 수율
70% 에탄올 사용하여 전술한 추출방법에 따라 표 2와 같이 8가지 천연식물 소재를 각 조성별로 계량하고 추출하여 수율을 측정한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각 조성 별로는 CHC-1: 20.8%, CHC-2: 22.4%, CHC-3: 23.3%, CHC-4: 24.1%, CHC-5: 23.8%로 얻어져 CHC-4의 수율이 24.1%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른 조성에서도 20% 이상의 수율이 확인되어 전체적으로 높은 수율이 얻어졌다.
Samples Yeild (%, w/w)
CHC-1 20.8
CHC-2 22.4
CHC-3 23.3
CHC-4 24.1
CHC-5 23.8
<실험 3>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가) 실험방법
폴리페놀의 정량은 100배 희석한 시료용액 3㎖에 1N-Folin - Ciocalteu phenol reagent 시약 1㎖를 가하고, 1N HCl 0.2㎖를 넣은 후 포화 Na2CO3 용액 1㎖를 가하여 혼합한 후 1시간 실온에서 방치하고, 6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후, 표준물질인 tannic acid로 미리 작성한 표준곡선의 흡광도 값과 비교하여 폴리페놀 함량을 산출하였다.
(나) 실험결과
Phenol성 화합물은 phenolic hydroxyl기를 갖기 때문에 단백질 및 기타 거대 분자들과 쉽게 결합하여 항산화, 항암, 항염증 및 항알레르기 작용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이런 phenol성 화합물들은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enzyme activity뿐만 아니라 enzyme expression을 조절하여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 일상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식용식물에서 천연 항산화제를 탐색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알려진 천연 항산화 영양성분으로는 β-carotene, 비타민 E, 비타민 C 등의 비타민과 같은 미량무기질 및 페놀 계 화합물들로 이들의 항암효과 또한 항산화 능력에 기인한다고 보고되고 있다.
Tannic acid를 기준물질로 지정한 후 표준곡선을 그리고 CHC-1~5의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여 표 3과 같이 나타내었다.
CHC-1 (156.32mg/g), CHC-2 (226.58mg/g), CHC-3 (238.25mg/g), CHC-4 (273.82mg/g), CHC-5 (221.97mg/g)를 나타내어 CHC-4에서 가장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나타내었다.
Compositions of extraction Total phenolics
(mg TAE/g)
CHC-1 156.32
CHC-2 226.58
CHC-3 238.25
CHC-4 273.82
CHC-5 221.97
1) The total phenolic contents was expressed as milligram of the tannic
acid equivalent (TAE) per gram of extract
<실험 4>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측정
(가) 실험방법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Nieva 등의 방법에 의해 측정. 즉 시료 100㎕를 80% ethanol 900㎕에 희석한 후 100㎕를 취하여 10% aluminum nitrate와 1㎛ postassium acetate를 함유하는 80% ethanol 4.3㎖에 혼합하여 실온에서 40분간 방치한 뒤 415㎚에서 흡광도를 측정. 이때 총 flavonoid 함량은 quercetin을 이용하여 작성한 표준곡선으로부터 함량을 구하였다.
(나) 실험결과
플라보노이드는 항균, 항암, 항바이러스, 항알레르기 및 항염증 활성을 지니며 독성은 거의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고되며 생체 내 산화작용을 억제하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플라보노이드계 물질의 개발 및 활용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최근 연구에서 천연식물 내 포함되어 있는 플라보노이드는 인체 내에서 항산화제나 다른 생물학적 활성을 나타내는데 충분한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보고되었고, 관련성이 입증되어 왔다(Lu et al., 1995; Crespy et al., 2001; Day et al., 2003).
Quercetin을 기준물질로 지정한 후 표준곡선을 그리고 CHC-1~5의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하여 표 4와 같이 나타내었다.
CHC-1 (18.45mg/g), CHC-2 (22.08mg/g), CHC-3 (25.41mg/g), CHC-4 (14.22mg/g), CHC-5 (26.89mg/g)를 나타내어 CHC-5에서 가장 높은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나타내었다.
Compositions of extraction Total flavonoids (mg QUE /g)
CHC-1 18.45
CHC-2 22.08
CHC-3 25.41
CHC-4 14.22
CHC-5 26.89
1) The total flavonoid contents was expressed as milligram of the quercertin equivalent (QUE) per gram of extract
<실험 5> DPPH radical 소거능
(가) 실험방법
DPPH 전자공여능 (EDA; electron donating ability)은 각 시료용액 2㎖에 0.2 mM의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1㎖ 넣고 교반한 후 30분간 방치한 다음 517㎚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Inhibition rate % = [(C-D)-(A-B)] / (C-D) X 100
(나) 실험결과
항산화 효과에 널리 사용되는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는 분자 중에 있는 여분의 전자를 공유함으로써 안정한 자유라디칼의 성질을 가지고 있고, DPPH 용액이 다른 물질과 혼합되면 환원이 많이 될수록 보라색을 잃게 되는 형상을 나타낸다. 517㎚의 흡광도에서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능력을 통하여 남아있는 DPPH의 비율로 항산화의 기능을 측정할 수 있다.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의 DPPH 라디칼 소거 활성능력을 측정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농도 의존적으로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100㎍/㎖ 농도에서 CHC-1: 81.9%, CHC-2: 92.2%, CHC-3: 90.7%, CHC-4: 91.5%, CHC-5: 90.0% 로 CHC-4에서 DPPH radical 소거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CHC-4의 경우 25㎍/㎖ 저농도에서 42.9%인 것에 반해, CHC-5는 68.4%의 DPPH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CHC-5가 CHC-4보다 25㎍/㎖ 이하의 저농도에서 더 우수한 항산화능이 있음을 의미한다.
Figure pat00005
CHC-1: CHC-1 extracted with 70% ethanol.
CHC-2: CHC-2 extracted with 70% ethanol.
CHC-3: CHC-3 extracted with 70% ethanol.
CHC-4: CHC-4 extracted with 70% ethanol.
CHC-5: CHC-5 extracted with 70% ethanol.
Vit. C: Vitamin C
ReSult are means ± S.D. of triplicate data.
<실험 6> ABTS radical 소거능
(가) 실험방법
7 mM ABTS buffer와 2.45 mM potassium perSulfate buffer(K2S2O8) 제조 후 ABTS: K2S2O8= 2: 1의 비로 섞은 후 12~16시간 차광하여 반응시켰다. Stock buffer를 734㎚에서 측정한 O.D 값이 0.70±0.02가 되도록 희석하고 buffer 100㎕에 농도별로 희석한 추출물 시료 100㎕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6분간 반응시켜 734㎚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첨가구와 무 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Inhibition rate % = [(C-D)-(A-B)] / (C-D) X 100
(나) 실험결과
DPPH radical의 소거활성과 같이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ABTS+ radical cation소거능은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diammonium salt (ABTS)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으로 ABTS+ radical이 생성되면 특유의 색인 청록색을 띠게 되는데, 시료를 첨가함에 따라 연한 녹색으로 decolorization 되는 것을 측정하는 방법이며, hydrogen-donating antioxidant와 chain breaking antioxidant 모두를 측정하여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농도 의존적으로 ABTS+ radical 소거능이 증가하였으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100㎍/㎖ 농도에서 CHC-1: 89.6%, CHC-2: 96.2%, CHC-3: 99.2%, CHC-4: 99.5%, CHC-5: 99.5%로 CHC-4와 CHC-5가 ABTS+ radical 소거능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CHC-5의 경우 50㎍/㎖ 저농도에서 90.16%의 ABTS+ radical 소거능을 보였으며, 이 결과는 양성대조군인 vit-C 101%의 ABTS+ radical 소거능보다 우수하진 않지만 vit-C가 단일 성분임을 감안했을 때 천연식물 복합소재가 아주 우수한 ABTS+ radical 소거능이 있음을 추측할 수 있다.
Figure pat00006
CHC-1: CHC-1 extracted with 70% ethanol.
CHC-2: CHC-2 extracted with 70% ethanol.
CHC-3: CHC-3 extracted with 70% ethanol.
CHC-4: CHC-4 extracted with 70% ethanol.
CHC-5: CHC-5 extracted with 70% ethanol.
Vit. C: Vitamin C
ReSult are means ± S.D. of triplicate data.
상기 <실험 3> 내지 <실험 6> 의 실험 결과에 따라 폴리페놀 함량,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항산화 효능이 가장 우수한 것으로 분석된 CHC-5를 최종적인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로 확정하고 이에 대하여 아래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실험 7> CHC-5의 세포독성확인
(가) 세포배양
각 세포의 배양은 10% fetal bovine serum (FBS)을 첨가한 Dulbe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배지를 사용하였으며, 37℃, 5% CO2 incubator에 적응시켜 계대 배양하였다.
(나) MTT assay
세포 생존율 측정은 Carmichael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각 세포주[Macrophage (Raw 264.7) cell]을 96 well plate에 0.6∼8×103cells/well이 되게 0.18㎖ 분주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조제하여 0.02㎖ 첨가한 후 37℃, 5% CO2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대조군은 시료와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여기에 5mg/㎖ 농도로 제조한 MTT 용액 0.02㎖를 첨가하여 4시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각 well당 DMSO:Ethanol(1:1) 0.15㎖를 가하여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뒤 ELISA reader로 5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생존율 측정은 시료용액의 첨가군와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다) 실험결과
대식세포의(Raw 264.7) 생존율은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 효소에 의해 자줏빛 formazan 생성물로 변하는 NTT 환원을 MTT assay에 의해 측정하였다. 효소실험 등을 통하여 가장 효능효과가 우수한 CHC-5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6∼50㎍/㎖의 농도까지 90% 이상의 생존률을 확인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고 DMEM을 동일 농도로 처리한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생존율의 차이는 10% 미만 이였다. CHC-5의 50㎍/㎖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이 다소 낮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실험결과를 토대로 이후 실험은 9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 한 50㎍/㎖ 농도 이하에서 진행하였다. CHC-5는 Raw 264.7에 대한 세포독성이 100, 200㎍/㎖의 농도에서 세포 생존율이 69.4, 46.0%로 측정되어 100㎍/㎖ 이상 농도에서는 세포독성이 어느 정도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pat00007
Raw 264.7 cells were treated with 6.25, 12.5, 25, 50, 100, 200㎍/㎖ dissolved in media for 1 h prior to the addition of LPS (1㎍/㎖), and the cells were further incubated for 24 h. Data represent the mean ± S.D. with three separate experiments.
<실험 8> CHC-5의 Nitric oxide 저해능
(가) 실험방법
NO의 농도는 배양액 내의 nitrite농도를 Griess Reag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Raw 264.7 세포에 추출물을 전처리하고 1시간 후 100ng/㎖의 LPS를 처리하여 18시간 배양하였다. ㎕
배양액 50㎕와 같은 양의 Griess Reagent를 넣어주고 1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로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Sodium nitrite의 농도별 표준곡선을 이용하여 배양액 내의 NO 농도를 결정하였다.
(나) 실험결과
Nitric oxide(NO)는 작고 비교적 불안정하며 독성이 있는 무기 저분자 라디칼로서 신경 전달기능, 혈액응고 및 혈압의 조진 및 종양세포나 세포 내 기생 생물에 대한 숙주 면역계의 방어기능 둥에 관여하고 있다.
NO를 생성하는 효소(NOS: nitricoxide synthase)는 정상적인 생리적 기능을 위한 NO 생성을 담당하는 constitutive NOS(c-NOS)와 특별한 상황에서 유도되는 inducible NOS(iNOS)로 두 가지로 크게 분류된다.
그러나 염증반응 동에 의해 생성되는 NO는 lipopolysaccharide(LPS),tumor necrosis factor-a(TNF-a), interleukin-1β(IL-1β) 또는 interferon-γ(IFN-γ)에 의해 자극 받은 대식세포, 간세포, 신장세포에서 생성되는 iNOS에 의해 유도된다.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iNOS의 산물인 NO 생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Griess 시약을 이용하여 NO 생성량을 측정하였다. 1㎍/㎖의 LPS와 천연식물 복합소재의 추출물을 농도별로 처리하였을 때 LPS 단독 처리군에서 정상군에 비해 5배 이상 NO 생성량이 증가하였으나 CHC-5 처리군에서 각각 NO 생성량이 현저히 줄어드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가장 높은 농도 구간인 50㎍/㎖의 농도에서 대조군에 비해 52%의 NO 생성량을 억제 시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5㎍/㎖의 저농도에서도 NO 생성 저해율이 48%로 나타나 같은 농도의 EGCG 65%의 저해율과 비교시 EGCG 효능의 74%에 해당하고 이는 EGCG가 순수한 단일물질임을 감안하면 높은 항염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정량적 목표인 EGCG효능의 60% 이상 효과를 달성하였다.
Figure pat00008
Raw 264.7 cells were cultured with LPS (1㎍/㎖)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C-5 ethanol extracts for 24 h to determine the level of NO. Nor: LPS not induced group, Con: LPS induced group. Data represent the mean ± S.D. with three separate experiments.
<실험 9> CHC-5의 PGE 2 발현량 측정
(가) 실험방법
세포 배양액 내의 PGE2 양을 측정하기 위해 commercial competitive enzyme immuno assay kit를 R&D systems (Minneapolis,MN)에서 구입하여 실험하였다. 세포에 추출물을 전처리하고 100ng/㎖의 LPS를 처리하였다. 18시간 후 세포 배양액을 얻어 PGE2 측정에 사용하였다.
배양액을 goatanti-mouse로 coating된 96-well plate에 각각 100㎕씩 loading하고, 여기에 primary antibody solution 50㎕와 PGE2 conjugate 50㎕씩 첨가하여 4℃에서 overnight시켰다. Washing buffer로 4회 세척하고 substrate solution을 200㎕씩 처리하여 5~20분간 반응시킨 후, 50㎕의 stop solution을 처리한 후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나) 실험결과
내독소의 하나인 lipopolysaccharide(LPS)는 Raw 264.7 macrophage에서 nitric oxide(NO), prostaglandinE2(PGE2) 등의 염증매개물질을 분비한다. 염증상태에서는 cyclooxygenase-2(COX-2)와 NO synthase(NOS)가 유도되어 과량의 PGE2, NO 등이 생성 되며 여러 가지 질병 및 암 발병(carcinogenesis)이 촉진된다.
특히 NO를 생성하는 효소인 NOS와 다양한 prostaglandins(PGs)의 생합성을 매개하는 효소인 cyclooxygenase(COX)가 염증반응을 조절하는 중요한 매개체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이 NO 및 PGs가 염증반응과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기에, Nitric oxide 생성 억제능 측정에서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CHC-5를 LPS에 의해 유도되는 또 다른 염증성 대사산물인 PGE2의 생성 저해효과를 확인하였다.
Raw264.7세포에 LPS를 처리한 결과 처리하지 않은 그룹에 비하여 10배 이상의 PGE2 발현량이 측정되었다. CHC-5의 경우 6.25, 12.5, 25, 50㎍/㎖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각각 10, 17, 26, 36%로 농도에 비례하여 저해시키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CHC-5의 농도에 비례하여 PGE2 발현 억제 효과도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9
Production of PGE2 were measured in the medium of Raw 264.7 cells clutured with LPS (1㎍/㎖) in the presence or absence of CHC-5 ethanol extracts for 24 h. The amount of PGE2 was measured by immunoassay as described in materials and methods. Nor: LPS not induced group, Con: LPS induced group. Data represent the mean ± S.D. with three separate experiments.
<실험 10> CHC-5의 탈모 방지 효과 실험
(가) 세포주 및 세포배양
실험에 사용한 세포는 50대 성인남자의 두피에서 분리한 인간 모유두 세포 HDPC(Hair Dermal papilla cell)을 경북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면역학 실험실에서 분양받아 in vitro 평가에 사용하였다.
세포배양에 사용한 배지는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Gibco BRL) 배지에 10% fetal bovine serum(FBS, Sigma)을 첨가하여 기본 배지로 사용하였고,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 하였다.
Figure pat00010
(나) MTT assay에 의한 세포 생존율 측정결과
인간 모유두 세포 HDPC(Hair Dermal papilla cell)의 생존율은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탈수소 효소에 의해 자줏빛 formazan 생성물로 변하는 NTT 환원을 MTT assay에 의해 측정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CHC-5의 샘플처리 농도에 따른 HDPCl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한 결과 3.13, 6.25, 12.5㎍/㎖의 CHC-5 추출물 처리 시 HDPC 세포에서는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며, 25, 50, 100㎍/㎖의 농도에서는 세포 생존율이 각각 2.9±0.55%와, 0±0.28%로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CHC-5의 25㎍/㎖ 이상의 농도에서는 세포생존율이 낮은 결과가 확인되어 이 결과를 토대로 이후 실험은 80% 이상의 세포 생존율을 확인 한 12.5㎍/㎖ 농도 이하에서 진행하였다.
Figure pat00011
MTT assay of DP cells treated with CHC-5 extracts. HDPC treated with CHC-5 control, 3.13㎍/㎖, 6.25㎍/㎖, 12.5㎍/㎖., 25㎍/㎖, 50㎍/㎖ and 100㎍/㎖ for 24 h show the reduction of viability in a dose dependent manner(*p<0.005).
(다) 합성계면활성제 SLS, SLES의 HDPC(Hair Dermal papilla cell) 세포 생존율 측정결과
세정 제품에 광범위하게 사용하고 있는 합성 음이온 계면활성제인 SLS(Sodium lauryl Sulfate)와 SLES(Sodium laureth Sulfate)가 DP cell의 생존율에 미치는 독성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MTT assay를 활용하였다.
농도별로 SLS, SLES를 HDPC에 24시간 동안 처리하여 세포 생존율을 비교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HDPC에 SLS, SLES를 처리하지 않은 대조군은 100%의 생존율을 나타내었으나 SLS, SLES 100㎍/㎖ 처리 시 HDPC에서 각 27%와, 25%로 농도 의존적으로 생존율이 감소하였다.
10㎍/㎖의 저농도에서도 세포생존율이 80% 이하로 떨어져 SLS와 SLES 모두 세포독성이 일정부분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SLES가 SLS 보다 독성이 조금 더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12
(라) CHC-5의 인간 모유두 세포 발현능 검증 결과
IGF-1은 모낭 및 상피세포의 성장을 촉진하는 대표적인 성장인자로 알려져 있다. 또한 모낭이 성장기에서 퇴행기로 이행할 때 IGF-1을 첨가하면 퇴행기로의 이행을 억제한다고 보고하였다. 모유두세포의 세포사멸을 방지하며, 모유두세포에서 IGF-1 생성에 남성호르몬이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모유두세포에 다양한 농도의 CHC-5 추출물을 처리하여 IGF-1의 활성을 측정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모낭 및 상피세포의 성장인자인 IGF-1의 활성은 CHC-5 추출물 3.13, 6.25, 12.5㎍/㎖를 처리하였을 때 75 ± 5.4%, 85 ± 0.9%, 95 ± 7.1%로 12.5㎍/㎖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IGF-1의 활성능을 나타내었다.
IGF-1 활성이 CHC-5 추출물의 농도에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보이므로 CHC-5 추출물은 모낭세포의 성장 촉진을 유도하여 모발 성장 촉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Figure pat00013
(마) CHC-5의 5a-reductase 활성 억제 실험 결과 (증식률의 지표화를 위해 실험 수행)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모낭에서 5α-reductase의 작용을 받으면 DHT로 전환이 된다. 이렇게 전환된 DHT가 전두부와 두정부에 있는 모유두 세포막의 안드로젠 수용체와 결합하면 모모 세포 (Hair mother cells)의 DNA에 세포파괴 신호가 전달되어 세포괴사인자인 BMP, DKK-1, TGF-β가 생성된다.
이렇게 생성된 세포괴사인자는 모모 세포를 공격하여 파괴시켜, 모발의 생장기를 짧게하고 이른 시기에 퇴행기가 오게한다.
5α-reductase는 주로 피지선에 분비되는 제1형과 모낭의 외측모근초, 모유두에 분포하는 제2형이 있으며 탈모에는 제2형 효소가 주된 원인이다. Finasteride는 제2형 5α-reductase를 억제하여 탈모 예방 및 치료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라서 5α-reductase를 억제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면 남성형 탈모와 같은 안드로젠성 탈모증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으므로 5α-reductase 억제능 평가는 탈모 방지 효과 유무를 알 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존 탈모 치료제인 Minoxidil(MI)과 비교하여 CHC-5의 5α-reductase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낭세포에서 cytoplasm protein을 추출하여 5α-reductase의 활성을 알아보았다.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모유두 세포에서의 5α-reductase의 활성 대비 시료를 처리한 모유두 세포에서의 5α-reductase의 활성을 백분율로 나타낸 결과, 5α-reductase의 활성을 억제한다고 알려진 Minoxidil의 경우 5㎍/㎖의 농도에서 56 ± 5.7%의 활성도가 측정되었다.
반면, CHC-5는 3.13, 6.25, 12.5㎍/㎖에서 각 97 ± 3.8%, 68 ± 13.2% 55 ± 10.8%의 활성도가 측정되어 12.5㎍/㎖ 농도에서 Minoxidil(MI)보다도 더 효과적으로 5α-reductase의 활성이 억제되는 결과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CHC-5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5α-reductase 발현이 감소하였으며, CHC-5 첨가량이 12.5㎍/㎖ 일 때 CHC-5 무첨가 control과 비교하여 5α-reductase가 45.0%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 결과로부터 CHC-5의 농도에 비례하여 5α-reductase의 발현을 크게 저해하였으며 독성이 크지 않은 12.5㎍의 저농도에서 대조군 대비 45%의 저해 효능을 나타내었다.
5α-reductase의 발현 억제는 모낭세포의 증식에 영향을 미친다고 알려져 있으므로 간접적으로 모낭세포의 증식 효과가 45%에 비례하여 증가할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igure pat00014
상기 <실험 7> 내지 <실험 10> 의 실험 결과에 따라 생리 활성 및 탈모 방지 효능이 확인된 CHC-5를 샴푸, 세럼, 리퀴드형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적용하여 아래의 실험들을 수행하였다.
<CHC-5의 제형 적용 실험에 따른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1.2- 헥산디올 2.00중량부; 판테놀 1.00중량부; 프로듀-400 0.50 내지 5.00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30 내지 2.0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비오틴 0.06 내지 0.10중량부; 다이소듐 EDTA 0.03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자이트 0.03 내지 0.10중량부; 피리독신 HCl 0.10 내지 0.30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공중합체) 0.05 내지 0.10중량부; L-아르지닌 1.00중량부; 시트르산 0.50중량부; 구연산나트륨이수화물 0.6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부틸렌글리콜 10.00중량부; 올리브유 0.10중량부; 티트리오일 0.03중량부; 멘톨 0.20중량부; 살리실산 0.10 내지 0.15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60 내지 0.80중량부; 레몬에센셜오일 0.08중량부; CHC-5(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1.60 내지 5.00중량부; 를 포함한다.
<CHC-5의 제형 적용 실험에 따른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소듐라우레스설포썩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0.00 내지 40.00중량부; 라우릴글루코시드 5.00 내지 25.00중량부;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5.00 내지 10.0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글리세린 4.00 내지 10.00중량부; 소르비톨 4.00 내지 5.00중량부; 데실글루코시드 5.00중량부; 폴리쿼터늄-67 0.10 내지 1.00중량부; 폴리쿼터늄-10 0.10 내지 0.26중량부; 구아르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 0.20 내지 0.24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30 내지 2.00중량부; 비오틴 0.06 내지 0.10중량부; 프로듀-400 0.50 내지 3.00중량부; 다이소듐 EDTA 0.03중량부; 라우로일나트륨 글루타메이트 3.00 내지 10중량부; 글루카메이트 2.00 내지 3.00중량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0중량부; 1.2-헥산디올 2.00중량부; 모링가오일 0.50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30중량부; 티트리오일 0.10중량부; 멘톨 0.20중량부; 올리브유 0.10중량부; 액체실크아미노산 3.00중량부; CHC-5(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1.60 내지 3.00중량부; 를 포함한다.
<CHC-5의 제형 적용 실험에 따른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르비톨 5.00중량부; 1.2-헥산디올 2.00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50 내지 2.00중량부; 나트륨 PCA 5.00 내지 10.00중량부; 프로듀-400 3.00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자이트 0.10중량부; 아데노신 0.10중량부; 비오틴 0.05 내지 0.10중량부; 락토비온산 0.01중량부; 글루코놀락톤 0.05중량부; 에탄올 5.00중량부; 히노키티올오일 0.05중량부; 멘톨 0.15중량부; 살실산 0.05중량부; 만델산 0.01중량부; 레몬에센셜오일 0.25 내지 0.30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70중량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CHC-5(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3.00 내지 5.00중량부; 를 포함한다.
<실험 11>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적 pH 측정 실험
(가)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적 pH 측정 결과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시적인 화학적 안정성 및 물리적 안정성 등을 예측하기 위하여 경시적 pH 측정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즉, 45℃에서 보관한 실험품의 pH를 60일 동안 측정한 결과 경시적으로 pH가 안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15
(나)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적 pH 측정 결과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시적인 화학적 안정성 및 물리적 안정성 등을 예측하기 위하여 경시적 pH 측정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즉, 45℃에서 보관한 실험품의 pH를 60일 동안 측정한 결과 pH에 큰 편차가 발생하지 않아 경시적으로 pH가 안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16
(다)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적 pH 측정 결과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시적인 화학적 안정성 및 물리적 안정성 등을 예측하기 위하여 경시적 pH 측정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즉, 45℃에서 보관한 실험품의 pH를 60일 동안 측정 결과 경시적으로 pH가 안정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17
<실험 12>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적 점도 측정 실험
(가)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적 점도 측정 결과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시적인 화학적 안정성 및 물리적 안정성 등을 예측하기 위하여 12rpm 조건에서 경시적으로 점도를 측정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즉, 12rpm 조건에서 최초의 점도가 0이었으며 경시적으로도 점도 0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18
(나)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적 점도 측정 결과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시적인 화학적 안정성 및 물리적 안정성 등을 예측하기 위하여 경시적 점도 측정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즉, 45℃에서 보관한 샘플의 점도를 60일 동안 측정한 결과 최초 3,000cps였던 점도가 큰 편차 없이 유지됨을 관찰하여 경시적으로 화학적, 물리적 안정성이 확보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19
(다)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의 경시적 점도 측정 결과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경시적인 화학적 안정성 등을 예측하기 위하여 경시적 점도 측정 실험을 수행한 결과 아래의 그래프와 같이 확인되었다.
즉, 12rpm 조건에서 최초의 점도가 0이었으며 경시적으로도 점도 0을 유지함을 확인하였다.
Figure pat00020
<실험 13>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 실험
(가)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 실험 결과
CHC-5와 기능성 펩타이드 성분을 적용한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45℃ 가속조건하에서 2개월(60일)간 온도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아래 표 5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실험결과, 2개월(60일)간 큰 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45℃ 가속조건하에서 3개월(90일)간 안정하게 유지되는 경우 경험적으로 시중 유통 중 3년 정도 안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므로, 45℃ 가속조건하에서 2개월(60일)간 안정도 확보는 유통이 충분한 정도로의 안정성을 확보했다고 할 수 있다.
Temp.
Day
CHC-5 적용 탈모 케어 세럼
4℃ 25℃ 38℃ 45℃ 자외선
1 O O O O O
3 O O O O O
5 O O O O O
7 O O O O O
15 O O O O O
30 O O O O O
60 O O O O O
(나)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 실험 결과
CHC-5와 기능성 펩타이드 성분을 적용한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자발적인 경시적 열화현상과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45℃ 가속조건하에서 2개월간(60일) 간 온도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아래 표 6과 같이 2개월(60일)간 큰 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mp.
Day
CHC-5 적용 탈모 케어 샴푸
4℃ 25℃ 38℃ 45℃ 자외선
1 O O O O O
3 O O O O O
5 O O O O O
7 O O O O O
15 O O O O O
30 O O O O O
60 O O O O O
(다)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안정성 실험결과
CHC-5와 기능성 펩타이드 성분을 적용한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자발적인 경시적 열화현상과 화학적, 물리적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45℃ 가속조건하에서 2개월간(60일) 간 온도 안정성 평가를 실시하였으며 아래 표 7과 같이 2개월(60일) 간 큰 변화 없이 안정하게 유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Temp.
Day
CHC-5 적용 탈모 케어 리퀴드
4℃ 25℃ 38℃ 45℃ 자외선
1 O O O O O
3 O O O O O
5 O O O O O
7 O O O O O
15 O O O O O
30 O O O O O
60 O O O O O
<실험 14>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순환에 따른 안정성 실험
(가)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순환에 따른 안정설 실험결과
CHC-5와 기능성 펩타이드 성분을 적용한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을 -15, -10, -5, 0, 5, 10, 15, 25, 37.5, 40℃에서 각각 24시간 보관한 후 온도 순환에 따른 안정성을 관찰한 결과 아래의 표 8과 같이 확인되었다.
실험결과 6 cycles 모두에서 상의 분리와 변색, 변취 없이 안정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Cycle 1 2 3 4 5 6
Stability O O O O O O
O: Stable X: Unstable
(나)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순환에 따른 안정설 실험결과
CHC-5와 기능성 펩타이드 성분을 적용한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을 -15, -10, -5, 0, 5, 10, 15, 25, 37.5, 40℃에서 각각 24시간 보관한 후 온도 순환에 따른 안정성을 관찰한 결과 아래의 표 9와 같이 확인되었다.
실험결과 6 cycles 모두에서 상의 분리와 변색, 변취 없이 안정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Cycle 1 2 3 4 5 6
Stability O O O O O O
O: Stable X: Unstable
(다)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의 온도 순환에 따른 안정설 실험결과
CHC-5와 기능성 펩타이드 성분을 적용한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을 -15, -10, -5, 0, 5, 10, 15, 25, 37.5, 40℃에서 각각 24시간 보관한 후 온도 순환에 따른 안정성을 관찰한 결과 아래의 표 10과 같이 확인되었다.
실험결과 6 cycles 모두에서 상의 분리와 변색, 변취 없이 안정함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Cycle 1 2 3 4 5 6
Stability O O O O O O
O: Stable X: Unstable
<실험 15>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방부력 실험
(가) 균배양
Bacteria의 종류인 Escherichia coli와 Staphylococcus epidermis 액체배지로는 nutrient broth (NB) Difco Lab. (Sparks, USA)를 사용하였고 Staphylococcus aureus (KCTC 1621)의 액체배지로는 tryptic soy broth (TSB)를 사용하였으며, yeast와 mold의 종류인 Candida albicans와 Aspergillus niger의 배양을 위한 액체 배지로는 brain heart infusion(BHI)을 사용, 고체배지는 상기 액체배지에 agar를 첨가하였다.
E. coli, S. epidermidis, S. aureus 균은 37℃ incubation에서 18~24시간 배양하였고 C. albicans와 A. niger는 25~30℃ incubation에서 3~5일 간 배양하였다.
(나) 균수측정
균수측정은 배양균주를 액체 배지에 희석(배지 100㎖ + 배양액) 초기균수 Bacteria는 1×106 CFU/g으로 하였으며, Sample 100㎖에 희석액 1㎖를 접종한 다음 고체 배지에 분주하여 Bacteria는 24~48시간 배양하고, Yeast 및 Mold는 48~72시간 배양 후 30~300개의 균수를 가진 plate를 가지고 균수를 측정하였다.
균수계산은 colony수 ×희석 배수를 함 생균수 판정이 불가한 경우 TNTC(Too numberous to counter)로 균수를 계산하였다.
(다) 실험방법
천연 성분의 항균력을 최대한 활용한 방부 시스템의 검증을 위하여 CHC-5와 기능성 펩타이드 성분을 적용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을 세럼, 샴푸, 리퀴드형으로 구분하여 Challenge test를 수행하였다.
천연 방부 시스템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CHC-5 1,2 Hexanediol Salicylic acid EDTA-2Na
탈모 케어 세럼 A 5.0% 4.0% 0.15% 0.02%
탈모 케어 세럼 B 5.0% 2.0% 0.15% 0.02%
탈모 케어 세럼 C 5.0% 1.0% 0.15% 0.02%
탈모 케어 세럼 D 5.0% 0.0% 0.50% 0.02%
CHC-5 1,2 Hexanediol
탈모 케어 샴푸 A 5.0% 4.0%
탈모 케어 샴푸 B 5.0% 2.0%
탈모 케어 샴푸 C 5.0% 1.0%
CHC-5 1,2 Hexanediol Salicylic acid Ethanol
탈모 케어 리퀴드 A 5.0% 4.0% 0.05% 5.0%
탈모 케어 리퀴드 B 5.0% 2.0% 0.05% 5.0%
탈모 케어 리퀴드 C 5.0% 1.0% 0.05% 5.0%
탈모 케어 리퀴드 D 5.0% 0.0% 0.05% 5.0%
(라)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세럼용 화장료 조성물의 방부 실험 결과
Micro Organism Initial Inoculum/㎖ ATCC. No
Pa: Pseudomonas aeruginosa 1 Ⅹ 106 Gram negative bacterium 10145
Sa: Staphylococcus aureus 1 Ⅹ 106 Gram positive bacterium 6538
Ec: Escherichia coli 1 Ⅹ 106 Gram negative bacterium 8739
Ca: Candida albicans 1 Ⅹ 105 Yeast 10231
An: Aspergillus niger 1 Ⅹ 105 Black mold 16404
탈모 케어 세럼 A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ND ND ND ND ND ND
Ec
Sa
Ca ND ND ND ND ND ND
An
탈모 케어 세럼 B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1 X 103 ND ND ND ND ND
Ec
Sa
Ca ND ND ND ND ND ND
An
탈모 케어 세럼 C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1 X 103 ND ND ND ND ND
Ec
Sa
Ca ND ND ND ND ND ND
An
탈모 케어 세럼 D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1 X 103 ND ND ND ND ND
Ec
Sa
Ca ND ND ND ND ND ND
An
(마)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샴푸용 화장료 조성물의 방부 실험 결과
Micro Organism Initial Inoculum/㎖ ATCC. No
Pa: Pseudomonas aeruginosa 1 Ⅹ 106 Gram negative bacterium 10145
Sa: Staphylococcus aureus 1 Ⅹ 106 Gram positive bacterium 6538
Ec: Escherichia coli 1 Ⅹ 106 Gram negative bacterium 8739
Ca: Candida albicans 1 Ⅹ 105 Yeast 10231
An: Aspergillus niger 1 Ⅹ 105 Black mold 16404
탈모 케어 샴푸 A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2 X 103 ND ND ND ND ND
Ec
Sa
Ca ND ND ND ND ND ND
An
탈모 케어 샴푸 B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ND ND ND ND ND ND
Ec
Sa
Ca ND ND ND ND ND ND
An
탈모 케어 샴푸 C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ND ND ND ND ND ND
Ec
Sa
Ca ND ND ND ND ND ND
An
(바)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리퀴드용 화장료 조성물의 방부 실험 결과
Micro Organism Initial Inoculum/㎖ ATCC. No
Pa: Pseudomonas aeruginosa 1 Ⅹ 106 Gram negative bacterium 10145
Sa: Staphylococcus aureus 1 Ⅹ 106 Gram positive bacterium 6538
Ec: Escherichia coli 1 Ⅹ 106 Gram negative bacterium 8739
Ca: Candida albicans 1 Ⅹ 105 Yeast 10231
An: Aspergillus niger 1 Ⅹ 105 Black mold 16404
탈모 케어 리퀴드 A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ND ND ND ND ND ND
Ec
Sa
Ca ND ND ND ND ND ND
An
탈모 케어 리퀴드 B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ND ND ND ND ND ND
Ec
Sa
Ca ND ND ND ND ND ND
An
탈모 케어 리퀴드 C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1 X 103 ND ND ND ND ND
Ec
Sa
Ca 1 X 103 ND ND ND ND ND
An
탈모 케어 리퀴드 D
Day 1(24h) 3 7 실험결과 14 21 28 실험결과
Dilution 10-3 10-0 10-0 방부력 10-0 10-0 10-0 방부제
유효성
Pa ND ND ND ND ND ND
Ec
Sa
Ca 6 X 103 ND ND ND ND ND
An
이상과 같은 방부 실험 결과, CHC-5가 적용된 모든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에서 3일차에 미생물이 사멸하여 방부력이 적정한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험 16>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헤어 케어 제품의 품질 및 효능 품평 실험
(가) 실험방법
CHC-5와 기능성 펩타이드 성분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헤어 케어 제품(세럼, 샴푸, 리퀴드)의 품질 및 효능 품평 테스트를 위해 선정된 설문 요원은 사전 충분한 교육을 거쳐 사용감을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20 ~ 40대 남성과 여성을 21명(학생 등 포함 지성피부) 이상을 선발하여 진행하였다.
테스트 항목은 사용감, 세정력, 기포력, 보습력, 모발상태, 피부자극, 향취, 사용 후 느낌 중 제품에 따라 7 ~ 8개의 문항으로 평가하며 설문 항목에 대해 7점 만점{ 매우좋다(7점), 비교적 좋다(6점), 조금좋다(5점), 어느쪽도 아님(4점), 조금 나쁘다(3점), 비교적 나쁘다(2점), 매우 나쁘다(1점)}을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나)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세럼 품평 결과 요약 보고서
Figure pat00021
(다)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샴푸 품평 결과 요약 보고서
Figure pat00022
(라)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 리퀴드 품평 결과 요약 보고서
Figure pat00023
<실험 17>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제품의 피부 안전성 및 피부자극 실험
(가) 실험방법
CHC-5와 기능성 펩타이드 성분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제품(세럼, 샴푸, 리퀴드)의 피부 안전성 및 피부자극을 실험하기 위하여 Waggoner 등, Matsumura 등의 방법을 응용하여 두피 케어 제품 소재를 팔 안쪽 부위의 피부에 Finn chamber on Scanpor 테이프를 사용하여 48시간 동안 밀폐 첩포 한 후 피부의 반응을 육안으로 확인하며, 판정기준은 국제 접촉 피부염 연구회의 판정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본 실험을 위해 사전 충분한 교육을 거쳐 사용감을 판별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춘 남학생 4명, 여학생 7명을 설문 요원으로 선발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Reaction Expression
Negative -
Imperfection erythema ±
Erythema +
Small blister, Papule, Edema ++
Big blister, Necrosis +++
Finn chamber on Scanpor 테이프의 각각의 chamber a, b, c, d에는 다음 순서로 완제품을 담은 후 시험을 실시하였다.
chamber a: 헤어 세럼 제품
chamber b: 헤어 샴푸 제품
chamber c: 헤어 리퀴드 제품
chamber d: CHC-5 5% 용액
(나) 실험결과
11명에 대하여 실험한 결과 1명이 헤어 리퀴드 제품에서, 또 다른 1명은 헤어 샴푸 제품에서 의양성(±)을 나타낸 것을 제외하고 모두 음성(-)을 나타내어 피부에 안전한 무자극 제품으로 판단할 수 있었다.
<실험 18> CHC-5가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적용된 제품의 임상 실험 평가 (식약처 인증 외부임상업체에서 임상 계속 진행중)
(가) 탈모완화 평가 진행 사진 자료(45도 촬영 사진)
Figure pat00024
(나) 탈모완화 평가 진행 사진 자료(90도 촬영 사진)
Figure pat00025
(다) 탈모완화 모발 밀도 평가 진행 사진 자료
Figure pat00026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알칼리화한 두피의 pH를 정상화하며, 두피 각질 연화 및 제거 성분이 혼합됨에 따라 활성성분의 두피 침투를 높이고 두피의 피지와 노폐물은 제거하며 두피의 재생을 돕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술한 장치 및/또는 운용방법을 통해서만 구현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에 대응하는 기능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그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 매체 등을 통해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구현은 앞서 설명한 실시 예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전문가라면 쉽게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5)

  1.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1.2- 헥산디올 2.00중량부; 판테놀 1.00중량부; 프로듀-400 0.50 내지 5.00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30 내지 2.0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비오틴 0.06 내지 0.10중량부; 다이소듐 EDTA 0.03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자이트 0.03 내지 0.10중량부; 피리독신 HCl 0.10 내지 0.30중량부;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레이트(VP 공중합체) 0.05 내지 0.10중량부; L-아르지닌 1.00중량부; 시트르산 0.50중량부; 구연산나트륨이수화물 0.6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부틸렌글리콜 10.00중량부; 올리브유 0.10중량부; 티트리오일 0.03중량부; 멘톨 0.20중량부; 살리실산 0.10 내지 0.15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60 내지 0.80중량부; 레몬에센셜오일 0.08중량부;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1.60 내지 5.00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2.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디소듐라우레스설포썩시네이트(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0.00 내지 40.00중량부; 라우릴글루코시드 5.00 내지 25.00중량부; 소듐코코일애플아미노산 5.00 내지 10.0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글리세린 4.00 내지 10.00중량부; 소르비톨 4.00 내지 5.00중량부; 데실글루코시드 5.00중량부; 폴리쿼터늄-67 0.10 내지 1.00중량부; 폴리쿼터늄-10 0.10 내지 0.26중량부; 구아르하이드록시프로필트리암모늄클로라이드 0.20 내지 0.24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30 내지 2.00중량부; 비오틴 0.06 내지 0.10중량부; 프로듀-400 0.50 내지 3.00중량부; 다이소듐 EDTA 0.03중량부; 라우로일나트륨 글루타메이트 3.00 내지 10중량부; 글루카메이트 2.00 내지 3.00중량부; 코카미도프로필베타인 5.00중량부; 1.2-헥산디올 2.00중량부; 모링가오일 0.50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30중량부; 티트리오일 0.10중량부; 멘톨 0.20중량부; 올리브유 0.10중량부; 액체실크아미노산 3.00중량부;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1.60 내지 3.00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3. 탈 이온수 100중량부에 대하여,
    소르비톨 5.00중량부; 1.2-헥산디올 2.00중량부; 니아신아미드 0.50 내지 2.00중량부; 나트륨 PCA 5.00 내지 10.00중량부; 프로듀-400 3.00중량부; 디포타슘 글리시리자이트 0.10중량부; 아데노신 0.10중량부; 비오틴 0.05 내지 0.10중량부; 락토비온산 0.01중량부; 글루코놀락톤 0.05중량부; 에탄올 5.00중량부; 히노키티올오일 0.05중량부; 멘톨 0.15중량부; 살실산 0.05중량부; 만델산 0.01중량부; 레몬에센셜오일 0.25 내지 0.30중량부; PEG-60(수소화된 피마자유) 0.70중량부;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0.10중량부; Apep CTP-10 0.10 내지 0.50중량부; Apep Actigrowth-10 0.10 내지 0.50중량부;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 3.00 내지 5.00중량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은,
    겨우살이, 무화과, 금화규, 밀싹, 연교, 적작약, 백산차, 녹차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은,
    겨우살이 5 중량%; 무화과 5 중량%; 금화규 25 중량%; 밀싹 5 중량%; 연교 15 중량%; 적작약 15중량%; 백산차 5중량%; 녹차 20 내지 25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124982A 2019-10-10 2019-10-10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62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82A KR102276213B1 (ko) 2019-10-10 2019-10-10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24982A KR102276213B1 (ko) 2019-10-10 2019-10-10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2445A true KR20210042445A (ko) 2021-04-20
KR102276213B1 KR102276213B1 (ko) 2021-07-12

Family

ID=757430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24982A KR102276213B1 (ko) 2019-10-10 2019-10-10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7621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155B1 (ko) * 2021-04-23 2021-10-05 주식회사 바스케어 천연 식물을 활용한 복합 기능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33515A1 (de) * 2021-05-05 2022-11-10 Henkel Ag & Co. Kgaa Multi-potente haarreinigungszusammensetzung
WO2023277224A1 (ko) * 2021-07-01 2023-01-05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29107B1 (ko) * 2022-06-24 2023-05-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금화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비듬 억제 및 모발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31585A (ja) * 2004-11-09 2006-05-25 Nippon Fine Chem Co Ltd 毛髪化粧料
KR100659490B1 (ko) 2004-03-29 2006-12-20 주식회사 비트로젠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40115730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미슬바이오텍 겨우살이 추출물 및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용 샴푸조성물
KR101914969B1 (ko) * 2018-01-16 2018-11-06 (주)더마랩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9490B1 (ko) 2004-03-29 2006-12-20 주식회사 비트로젠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6131585A (ja) * 2004-11-09 2006-05-25 Nippon Fine Chem Co Ltd 毛髪化粧料
KR20140115730A (ko) * 2013-03-22 2014-10-01 주식회사 미슬바이오텍 겨우살이 추출물 및 편백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발모촉진용 샴푸조성물
KR101914969B1 (ko) * 2018-01-16 2018-11-06 (주)더마랩 한방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게시물, TS샴푸 전성분 확인해봤습니다, 2017.09.18. (URL: https://m.blog.naver.com/gdidvbicy/221099516156) *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08155B1 (ko) * 2021-04-23 2021-10-05 주식회사 바스케어 천연 식물을 활용한 복합 기능성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2233515A1 (de) * 2021-05-05 2022-11-10 Henkel Ag & Co. Kgaa Multi-potente haarreinigungszusammensetzung
WO2023277224A1 (ko) * 2021-07-01 2023-01-05 주식회사 네이처 보타닉스 금화규를 포함하는 한방 추출물 및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529107B1 (ko) * 2022-06-24 2023-05-03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금화규 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두피비듬 억제 및 모발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76213B1 (ko) 202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46206B1 (ko) 화장품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309172B1 (ko) 항염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Jikah et al. Moringa oleifera: a valuable insight into recent advances in medicinal uses and pharmacological activities
KR20200063612A (ko)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10295325A (ja) 健康食品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473940B1 (ko) 당약, 작약, 쇠뜨기 및 복숭아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예방 및 두피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047612B1 (ko) 여드름 및 여드름양 발진 완화용 또는 치료용 화장료 조성물
KR101443182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효과를 가지는 한방 약재 복합추출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모발성장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52560B1 (ko) 봉숭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03827B1 (ko) 수제 한방 비누 및 그 제조방법
KR10121353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01233727A (ja) 化粧品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76983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1678B1 (ko) 모발 성장 촉진 및 두피 및 모발 개선용 복합 항산화 추출물 및 화장료 조성물
Roy et al. Herbs Used In Peptic Ulcer: A Review.
KR102096703B1 (ko) 무화과잎 주정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1543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