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33085A -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33085A
KR20190133085A KR1020180058005A KR20180058005A KR20190133085A KR 20190133085 A KR20190133085 A KR 20190133085A KR 1020180058005 A KR1020180058005 A KR 1020180058005A KR 20180058005 A KR20180058005 A KR 20180058005A KR 20190133085 A KR20190133085 A KR 201901330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hair loss
weight
rhubarb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80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동
염명훈
장이섭
Original Assignee
마루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루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마루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580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133085A/ko
Publication of KR201901330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3308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탈모증세에 대한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 유효 성분으로 하고, 산사나무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탈모방지 및 모발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합성물질 의약품들의 부작용들을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탈모증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생약 성분을 바탕으로 안전성을 높인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화학합성 의약품이 갖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그와 동시에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가 우수한 여러 약재들을 바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중 효과가 뛰어난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추출물, 파인애플추출물, 용아초추출물, 연꽃배아추출물, 노니(파극천)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Description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A composi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preventing hair loss and promoting hair growth, the composition comprising Rheum undulatum Linne extract and Chinese Hawthorn extract as main components}
본 발명은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두피의 생리활성에 관련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예로부터 탈모는 중장년층 남성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질환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현대사회로 오면서 탈모는 남녀노소를 가리지 않고 흔하게 나타나는 질환으로 그 범위가 넓어지면서 중장년층 남성뿐만 아니라 여성, 심하게는 학생들까지도 탈모로 인해 문제를 겪고 있다. 이러한 탈모는 외적인 자신감에도 영향을 미쳐 사회적인 문제로까지 이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인간의 모발은 두피 내에 존재하고 있는 모낭에서 만들어진다. 모낭은 모근을 감싸고 있는 내·외층의 피막이다. 표피가 피하조직까지 움푹 들어가 있고, 관모양을 하고 있으며 자루 역할을 한다. 그리고 모낭의 아래는 부풀어 있고 모구부를 감싸고 있다. 모발은 이 모낭에서 자라며 내모근소와 외모근소, 모유두, 기모근, 한지선, 한선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표피층에 연결되어 있다. 모낭은 태어날 때 형성되고 출생 후에는 더이상 형성되지 않으며 청소년기 및 장년기까지는 모낭의 수가 유지되지만, 장년기를 넘어서면서부터는 차츰 감소하게 된다.
인간의 모발 중 두발은 10 ~ 15만 개 정도이며 각각의 모발은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라는 주기로 생장과 소멸을 반복하게 된다. 이러한 모발의 주기는 3 ~ 6년을 거쳐 반복되며 유전적 요인 및 계절이나 질환 스트레스 등의 여러 요인에 의해서 영향을 받는다고 알려져있다. 정상적인 모발일지라도 하루에 50 ~ 100여 개 정도는 탈모가 이루어지는데, 일반적으로 탈모증이라 하면 상기 모발의 주기 중에서 성장기에는 모발이 적어지고 퇴행기 및 휴지기에 들어간 모발의 수가 많아지면서 탈모되는 모발의 숫자가 비정상적으로 많아지는 증상을 일컫는다.
탈모의 원인으로서 흔히 지적되는 것으로서 모낭의 혈류량 감소, 세균 번식이나 피지 분비 과다로 인한 두피 이상, 모근 및 피지선 등에 작용하는 남성호르몬에 의한 요인, 유전적 요인 및 노화 등이 있었다. 하지만 아직까지도 탈모에 대한 명확한 원인은 규명되지 않고 있다.
종래의 탈모증 치료방법으로 여성호르몬을 주 제재로 이용한 사례가 있으나,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염증의 발생, 호르몬 투여에 의한 부작용 발생 등의 보고가 있어 현재는 사용이 중단되고 있다. 발모제로서는 미국 엄존사의 미녹시딜, 이태리 크리노스사의 트리코사라이드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재가 사용되고 있으나 뚜렷한 효과의 부재 및 부작용 등의 사례가 대두 되고 있다. 또한, 머크사에서 개발한 피스레나이트는 모낭에서 남성호르몬 테스토스테론 대사에 작용하는 효소인 5-α-리덕테이즈(5-α-reductase)의 활성을 억제 시키는 물질로 알려져있으나 우울증을 유발할 수 있으며 이 또한 장기간의 치료가 필요하다는 문제점을 안고 있다. 이 외에도 크레시나와 로게인이 있지만, 탈모 질환이 완전히 진행되기 전인 정상 두피에 모근이 살아있는 경우에만 사용된다. 이처럼 종래의 여러 종류의 발모제는 일반적으로 두피의 혈행 촉진과 모근의 영양공급을 목적으로 하며 모발의 성장에 도움을 주도록 하는 방법이 시도되었으나 이 역시 독성과 부작용이 심하고 그 효과 또한 미흡한 것이 현재의 실정이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합성화학물질에 비해 더 안전하며 천연물을 대상으로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추출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종대황 및 서장호황련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이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상기 종대황 및 서장호황련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에 더하여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파극천)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을 배합하면 그 효과가 더 증가한다는 사실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합성물질 의약품들의 부작용들을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탈모증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생약 성분을 바탕으로 안전성을 높인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화학합성 의약품이 갖는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그와 동시에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 효과가 우수한 여러 약재들을 바탕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그 중 효과가 뛰어난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추출물, 파인애플추출물, 용아초추출물, 연꽃배아추출물, 노니(파극천)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혼합된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을 발명하게 되었다.
본 발명에 의해, 종대황 추출물 및 서장호황련 추출물이 사람의 모낭세포로부터의 모발생성을 촉진한다는 것이 밝혀졌고, 따라서 상기 종대황 추출물 및 서장호황련 추출물은 탈모의 진행을 완화시키고, 모발의 양모/육모, 성장을 촉진하는 조성물, 즉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약학 조성물 혹은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탈모증세에 대한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며,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 유효 성분으로 하고, 산사나무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탈모방지 및 모발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종대황은 종대황 (Rheum undulatum Linne) (여뀌과 Polygonaceae)의 뿌리줄기이다. 종대황은 원반상, 원주상 등으로 그 형태가 고르지 않으며, 원반상의 것은 지름 3~10cm, 두께 0.5~3cm이고 가는 것은 거의 원주상이며, 지름 1 ~ 3cm, 길이 5~8cm이나 때로 세로로 쪼개진 것도 있다. 횡단면은 회갈색~황갈색이고 형성층 부근은 갈색을 띤 환층이 명확하다. 측면은 어두운 갈색이며, 가로 주름이 있고 껍질을 벗긴 것은 황갈색이다. 목부의 지름은 피부의 약 3 ~ 4배이다. 바깥 면은 매우 단단하나 섬유성이 아니다. 특유한 냄새가 약간 있고 맛은 떫고 쓰며 씹으면 가는 모래를 씹는 것 같고 침을 노랗게 물들인다. 종대황은 변비에 좋은 음식으로 복용하면 설사를 하여 체내의 독, 열을 없앤다는 "사하작용"이 일어난다. 장위를 세척하고 대사를 촉진하며 열성변비와 더부룩한 속을 치료한다. 또한, 두통, 충혈, 인후통, 변비, 코피, 토혈, 종기에 효과가 있고 이뇨, 부종에도 사용한다.
서장호황련은 서장호황련(西藏胡黃蓮) (Picrorhiza scrophulariiflora Pennell) (현삼과 Scrophulariae)의 뿌리줄기이다. 중국에서는 과거에 인도에서 수입한 호황련을 사용했으나 1960년에 서장(西藏)의 해발 3400m 이상의 지역에서 서장호황련을 찾아낸 후부터는 CP에도 서장호황련만을 기원식물로 수재하고 있다. 뿌리줄기는 원기둥모양이고 조금 구부러졌으며 길이 3 ~ 12cm, 지름 0.3 ~ 0.8cm이다. 바깥 면은 회갈색 ~ 어두운 갈색으로 거칠며 세로주름과 가로의 고리무늬가 있고 코르크층이 떨어진 부분은 갈색을 나타낸다. 질은 단단하면서도 부스러지기 쉬워 쉽게 꺾어진다. 꺾은 면은 평탄하고 황갈색~진한 갈색이며 4 ~ 10개의 유백색의 점상 유관속이 환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매우 쓰고 지속적이다. 서장호황련의 성질은 차며 간경, 위경, 대장경에 작용한다. 골증열을 없애고, 혈분의 열을 내리며, 습을 없앤다. 약리실험에서 물 우림액은 피부사상균에 대한 억제작용을 나타내고, 추출물은 열물내기작용, 억균작용을 나타내는 것이 밝혀졌다. 서장호황련은 감질, 경간, 설사, 이질, 골증열, 저절로 땀이 나는 데, 식은땀(도한), 피를 게우는 데, 코피, 결막염, 치질, 헌 데 등에 쓴다.
산사나무(Crataegus pinnatifida)는 장미목에 속하는 속씨식물로 한국, 중국, 시베리아 등지에 자생한다. 높이 3 ~ 6m로 자라는 낙엽교목이다. 산사나무는 일조량이 풍부한 지역을 선호하며 음지에서는 잘 자라지 못하는 나무이다. 나무껍질은 잿빛이고 가지에 가시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에 가까우며 길이 6 ∼ 8cm, 폭 5 ∼ 6cm이다. 가장자리가 깃처럼 갈라지고 밑부분은 더욱 깊게 갈라진다. 양면 맥 위에 털이 나고 가장자리에 불규칙한 톱니가 있으며 잎자루 길이는 약 2 ∼ 6cm이다. 산사나무 꽃은 5월에 흰색으로 피고 산방꽃차례에 달린다. 꽃잎은 둥글며 꽃받침조각과 더불어 5개씩 있다. 수술은 20개, 암술대는 3∼5개, 꽃밥은 붉은색이다. 열매는 사과모양을 띠는 이과(梨果)로 둥글고 흰 반점이 있다. 지름 약 1.5cm이고 9∼10월에 붉은빛으로 익으며 개당 3~5개의 종자가 함유되어 있다. 산사나무에는 리파제 성분이 풍부하여 음식물의 소화를 촉진하므로 식욕부진, 위산결핍이나 위산과다에 효과가 좋으며 체하여 답답할 때, 설사, 이질, 변비 등에도 효능을 발휘한다. 그리고 산사나무는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를 떨어뜨려 고지혈증, 동맥경화, 고혈압 등에 좋다. 또한, 혈관을 확장시켜 혈압을 내려주고 혈액순환을 촉진 시키는 효능이 있다.
파인애플(Ananas comosus)은 외떡잎식물 파인애플과에 속하는 상록 여러해살이 풀로 중앙아메리카와 남아메리카 북부 원산으로서 신대륙에서는 옛날부터 재배하여 왔다. 신대륙 발견 뒤 포르투갈 사람과 에스파냐 사람들이 세계 각지에 전하였다. 높이는 50 ∼ 120cm이고 잎은 짧은 줄기 위에 뭉쳐나며 길이 60 ∼ 120cm, 나비 5 ∼ 7cm로 두꺼우며 섬유가 많고 겉면은 잿빛과 녹색이 섞인 갈색, 뒷면은 흰빛을 띤다. 잎 가장자리는 톱니가 있거나 없다. 꽃이삭은 공 모양이고 잎 무더기 사이에서 나온 줄기의 앞끝에 달린다. 꽃은 엷은 자줏빛을 띤 남색 또는 자줏빛을 띤 붉은색이며, 나선 모양으로 늘어선 짙은 갈색이 섞인 붉은빛의 작은 포(苞)에 붙는다. 안쪽화피조각·바깥화피조각은 각각 3개씩 모여서 통 모양으로 되고 밑동은 흰색, 앞끝은 연한 자주색이다. 수술은 6개로서 화피의 밑동에 붙는다. 씨방은 3실이며 3개의 심피가 붙어 있다. 1개의 암술대 끝에 3개의 암술머리가 달린다. 파인애플은 비타민이 풍부하여 피로회복에 도움을 주며, 효소성분이 소화와 연육작용을 돕는 역할을 한다. 또한, 변비예방에도 좋고 골다공증 예방에도 효과가 있으며 염증성질환 완화에도 효능이 좋다고 알려져있으며 혈액순환을 촉진해주는 효과도 있다.
용아초는 에우파토리아 짚신나물(Agrimonia eupatoria Linne)의 전초로 일명 선학초라고 불린다. 에우파토리아 짚신나물은 쌍떡잎식물 장미과 짚신나물속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이며, 유럽 북부와 중부, 북아메리카와 온화한 아시아 지역이 원산지이다. 아그리모니, 애그리모니로도 불리우며 영명은 Agrimony, church steeples, 학명은 Agrimonia eupatoria Linne이다. 크고 꼿꼿한 꽃차례에 수많은 꽃들이 밀집해 있는 특징이 있다. 냄새가 거의 없고 맛은 약간 쓰며 떫다. 용아초는 위궤양이나 장염, 설사 등에 효능이 있는 약초이며 통증을 완화 시켜주는 효능이 있어서 편두통이나 현기증에 좋다. 또한, 용아초는 지사, 수렴, 지혈 효능이 있으며 항균작용 및 소염 효능이 있는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탈모 예방 및 모낭염 치료에 좋은 효능이 있다.
연꽃배아는 연꽃(Nelumbo nucifera)의 씨인 연자육에 형성되어 있는 배아로서 연자심이라고도 부른다. 대개 가는 막대 모양이며 길이 1 ~ 1.4cm, 지름 0.2cm이다. 유엽은 녹색이며 하나는 길고 하나는 짧으며 감겨져서 화살 모양으로 선단이 아래를 향하여 반으로 꺾여있다. 두 개의 잎 사이에는 가늘고 작은 배아를 볼 수 있다. 배근은 원주형이고 길이는 약 0.3cm이며 황백색이다. 질은 취약하고 쉽게 절단된다. 자른 면에는 몇 개의 작은 구멍을 볼 수 있다. 냄새는 거의 없고 맛은 쓰다. 연꽃배아인 연자심은 쓴맛이 나서 대개 먹지는 않지만 심혈관을 확장시키고 혈압을 낮추는데 특효라고 전해진다. 또한, 맛은 쓰고 차가운 성질에 독이 없다. 일반적으로는 고혈압, 열병, 속이 답답한 증상이나 화병 등에 쓰인다. 하절기 갈증 해소와 신경성 불면증 등에도 효과가 있다.
노니(morinda citrifolia)는 꼭두서니과, 노니속에 속하는 상록관목이다. 남태평양 일대에 주로 서식하는 열대 식물로 감자모양의 흰 열매를 맺는다. 노니의 열매는 감자처럼 생겼으며, 표면이 울퉁불퉁하고 패인 자국이 있다. 열매에는 여러 개의 작은 갈색 씨가 들어있으며, 익을 경우 역한 냄새가 나기도 한다. 꽃은 작고 하얗게 생겼다. 노니는 주로 열대 지방 특히 해안가의 화산성 토양에서 많이 서식한다. 동의보감에는 해파극(海巴戟) 또는 파극천(巴戟天)이라고 되어 있다. 노니나무는 높이 3 ∼ 12m로 크기가 다양하다. 잎은 달걀 모양으로 길이 30cm, 나비 15cm이다. 꽃은 작고 흰색인데, 무리를 이루어 잎겨드랑이에서 나오며 주로 여름에서 가을까지 여러 번 핀다. 노니는 착과시엔 연두색을 띄고 있다가 익을수록 하얀빛이 돈다. 노니는 근육과 뼈를 튼튼하게 해주고 기력 증진과 원기 회복에 탁월하다고 기록되어 있다. 노니에는 200가지가 넘는 식물 생리 활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으며 그중에서도 가장 대표적인 항염 성분이 스코폴레틴 성분이다. 스코폴레틴 성분은 혈관의 염증을 제거하고 부종을 없애는 데 탁월한 효과를 가지고 있다. 또한, 건강한 세포를 재생시켜주고 세포 기능 강화 효과가 있는 프로제로닌 성분이 풍부해서 병든 세포를 건강하게 재생시켜준다. 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 혈관염증 질환, 혈액순환, 암, 치매예방 등에 효능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하는 용어 "추출물"은 약재 혹은 과실을 말린 약재로부터 얻은 것을 의미한다. 추출물은 통상적인 추출용매 물, 탄소수 1 내지 4개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 예 : 메탄올, 에탄올, 부탄올), 아세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및 1-3부틸렌 글리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 "추출물"은 상술한 바와 같이 추출용매를 이용한 추출방식의 의미를 갖지만,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혼합물"은 농축된 액상 형태일 수도 있으며, 건조된 분말형태 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 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탈모방지 및 모발생성 촉진용 조성물은 우수한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효과를 나타내며, 적용 제품들에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등 여러 경로를 통하여 투여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국부투여,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포에 의한 국부 투여 방식으로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함량은 환자의 상태,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의 형태 및 투여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통상되는 제품들을 바탕으로 포괄적인 기준을 잡으면 전반적인 조성물의 함량은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종대황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종대황 추출물이 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효과에 있어 그 효과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종대황에 남아있는 잔류 이산화황의 농도가 높아져 피부가 허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장호황련으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 3.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서장호황련 추출물이 0.01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효과에 있어 그 효과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두피가 약한 사람에게는 두피가 따끔거리는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산사나무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산사나무 추출물이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효과에 있어 그 효과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두피가 약한 사람에게는 가려움증이 나타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파인애플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파인애플 추출물이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효과에 있어 그 효과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파인애플 추출물이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파인애플에 포함된 단백질을 분해하는 효소인 브로멜라인 효소의 농도가 높아져 모근 생장력이 약화되는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용아초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용아초 추출물이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효과에 있어 그 효과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지나치게 과도한 혈류증가로 인해 고혈압 환자에게 혈압 상승의 부작용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연꽃배아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연꽃배아 추출물이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효과에 있어 그 효과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5.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노니로부터 얻어진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 5.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노니 추출물이 1.0 중량% 미만으로 함유될 경우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효과에 있어 그 효과가 명확히 나타나지 않는 문제가 있으며, 5.0중량%를 초과할 경우 피부 가려움증 및 두피가 따가운 증상을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의 제형은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황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은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탈모방지 및 모발생성 촉진용 조성물의 작용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종래부터 사용해오던 양모제 또는 육모제를 함께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의 제형은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포함된 탈모방지 및 모발생성 촉진용 조성물을 바탕으로, 헤어토닉, 헤어크림,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컨디셔너, 헤어스프레이, 포마드, 분말, 젤 등과 같이 용액, 솔젤, 에멀젼, 오일, 왁스, 에어졸 등의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들로 제한된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은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을 촉진하며 궁극적으로는 탈모를 방지하고 모발성장을 촉진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예로부터 널리 사용되어오던 약재인 종대황, 서장호황련,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파극천) 등을 사용하기 때문에 인체적으로 안전하다.
본 발명의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 포함한 탈모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을 얻기 위한 제조방법은 종대황, 서장호황련,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로부터 각각 추출액을 얻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로부터 얻어진 종대황과 서장호황련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에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배합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을 일정 기간에서 일정한 온도 숙성시키는 단계(S30)로 이루어진다.
상기 단계(S3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에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황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더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먼저, 종대황, 서장호황련,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로부터 각각 추출액을 얻는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종대황, 서장호황련,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를 수세하여 건조시킨 후 분쇄기를 이용하여 용매에 의해 용액이 잘 우러나오도록 잘게 분쇄한 후, 분쇄한 약재를 중량대비 20 내지 40배수의 50%(w/w)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농도를 조절하여 냉각 콘덴서가 설치된 콘덴서에서 50 ~ 60℃가 되도록 3 ~ 8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한 후 냉각한다. 그 후 3 ~ 8㎛ 여과지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한 농축액을 각각 얻는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10)로부터 얻어진 종대황과 서장호황련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에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배합하는 단계(S20)를 수행한다.
각 추출물 간 배합비율은 종대황 추출물 또는 서장호황련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1 ~ 3.0 중량%가 되도록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1.0 ~ 5.0 중량%가 되도록 배합한다.
상기 배합단계에서는 온도, 속도, 시간을 고려하면서 배합한다. 15 ~ 40℃의 온도에서 10 ~ 100 rpm의 속도로 5 ~ 60분 가량 교반하여 혼합물을 완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단계(S2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을 일정 기간에서 일정한 온도로 숙성시키는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숙성 단계(S30)에서는 상기 단계(S2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을 0 ~ 20℃의 온도로 20 ~ 72시간 동안 숙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단계(S30)에서 얻어진 혼합물로부터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황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더 포함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보조제의 구성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황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더 광범위한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조예 및 실시예,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의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종대황 , 서장호황련 , 산사나무 , 파인애플, 용아초 , 연꽃배아 , 노니(파극천)의 추출액을 얻는 단계
건조된 종대황, 서장호황련,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파극천)를 작은 조각으로 분쇄한 후, 분쇄한 약재를 중량대비 30배수의 50%(w/w) 에탄올 수용액이 되도록 농도를 조절하여 냉각 콘덴서가 설치된 콘덴서에서 50 ~ 60℃가 되도록 8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한 후 냉각하였다. 그 후 5㎛ 여과지로 여과하여 추출액을 수득한 후 감압 농축기를 이용하여 50℃에서 농축한 농축액을 얻었다.
상기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파극천)는 종래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촉진제로 사용된 사례가 있기 때문에 별도의 두피에 대한 안전성 및 독성실험이 필요치 않은 것으로 판단되어 상기 본 발명에서 처음으로 모발성장 촉진 효과를 밝혀낸 종대황과 서장호황련 추출물에 대해서만 안전성과 독성 실험을 실시하기로 했다.
실시예 1: 종대황 추출액의 함량을 달리하여 증류수에 희석한 희석액을 만들었다.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얻어진 추출액 중 두피에 대한 안전성과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종대황 추출액의 함량을 달리하여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종대황 추출액을 각각 0.005중량%, 0.01중량%, 1.0중량%, 2.0중량%, 3.0중량%, 4.0중량%, 5.0중량%, 6.0중량%가 되도록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실시예 2: 서장호황련 추출액의 함량을 달리하여 증류수에 희석한 희석액을 만들었다.
상기 제조예 1로부터 얻어진 추출액 중 두피에 대한 안전성과 독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서장호황련 추출액의 함량을 달리하여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서장호황련 추출액을 각각 0.005중량%, 0.01중량%, 1.0중량%, 2.0중량%, 3.0중량%, 4.0중량%, 5.0중량%, 6.0중량%가 되도록 증류수에 희석하였다.
실험예 1: 실시예 1 과 2의 희석액의 두피에 대한 안전성 및 독성 확인
상기 실시예 1 과 2의 희석액에 대해, 상기 희석액들이 세포증식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세포증식 및 독성 확인을 위하여 하기와 같은 방식으로 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 3T3(fibroblast cell line)을 96 웰 마이크로 플레이트에 30분간 항온조에서 배양한 후, 상기 실시예에서 각각 함량을 달리한 종대황 추출물,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을 각각 시료로 투여하여 72 시간 배양하였다. 72시간 배양 후 티아졸린 블루를 투여하고 4시간 동안 추가 배양을 실시한 후, 배양액을 모두 버리고 마이크로플레이트의 각 웰에 반응 정지액을 가한 다음 5분간 교반 후, 57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시료 투입 실험군의 세포증식율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으로는 시료주입량만큼 우태아혈청 배지를 투여하여 세포 성장의 최적 조건으로 동시 배양을 했으며, 대조군의 세포증식율을 100%로 기준하여 실험군의 세포증식율을 계산하였다.
혼합 조성물에 의한 세포 증식 및 독성 완화 효과
실험예 대상 세포증식율
대조군 100%
실시예1의 희석농도 0.005중량% 99.84%
실시예1의 희석농도 0.01중량% 99.65%
실시예1의 희석농도 1.0중량% 99.27%
실시예1의 희석농도 2.0중량% 99.21%
실시예1의 희석농도 3.0중량% 90.73%
실시예1의 희석농도 4.0중량% 59.74%
실시예1의 희석농도 5.0중량% 41.25%
실시예1의 희석농도 6.0중량% 38.16%
실시예2의 희석농도 0.005중량% 99.78%
실시예2의 희석농도 0.01중량% 99.37%
실시예2의 희석농도 1.0중량% 98.93%
실시예2의 희석농도 2.0중량% 98.77%
실시예2의 희석농도 3.0중량% 90.45%
실시예2의 희석농도 4.0중량% 58.39%
실시예2의 희석농도 5.0중량% 40.76%
실시예2의 희석농도 6.0중량% 33.54%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의 세포성장 최적조건의 세포증식을 100%로 하였을 때,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까지는 수치에 있어 안전하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을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를 초과하면 수치가 하락하기 시작하여 안전성에 있어서 문제가 야기될 우려가 있으며,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4.0 중량%부터는 세포증식율이 현저히 떨어져 독성이 있는것으로 판단되어 사용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의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안정성에 있어 적절한 중량%는 3.0중량%까지가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의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5 ~ 2.0중량%가 적절한 것으로 보인다.
실험예 2: 실시예 1 과 2의 희석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평가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를 1.5 × 10⁴cell/well이 되도록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FBS가 없는 배지로 교체하여 Minoxidil 과 실시예 1, 2 의 희석액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5mg/ml의 MIT (3-(4,5-dimethylthiazol-2-y1)-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50㎕씩 가하고 3시간 배양한 다음, DMSO를 200㎕씩 넣고 30분간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보라색 크리스탈을 녹였다. 마지막으로 다 녹은 크리스탈은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1, 2의 희석액을 포함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100%로 기준하여 실시예에서 각각 함량을 달리한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고, minoxidil을 실험결과의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1 과 2로부터 얻어진 함량을 달리한 희석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실험예 대상 세포증식율
음성대조군 100%
양성대조군 113.2%
실시예1의 희석농도 0.005중량% 100.2%
실시예1의 희석농도 0.01중량% 106.9%
실시예1의 희석농도 1.0중량% 110.6%
실시예1의 희석농도 2.0중량% 112.7%
실시예1의 희석농도 3.0중량% 110.3%
실시예1의 희석농도 4.0중량% 103.8%
실시예1의 희석농도 5.0중량% 102.3%
실시예1의 희석농도 6.0중량% 101.4%
실시예2의 희석농도 0.005중량% 100.1%
실시예2의 희석농도 0.01중량% 105.4%
실시예2의 희석농도 1.0중량% 109.8%
실시예2의 희석농도 2.0중량% 111.9%
실시예2의 희석농도 3.0중량% 107.2%
실시예2의 희석농도 4.0중량% 103.9%
실시예2의 희석농도 5.0중량% 102.8%
실시예2의 희석농도 6.0중량% 101.4%
상기 [표 2]에 아무것도 첨가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은 100%로 하였을 때, 양성대조군인 Minoxidil은 113.2%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과 2로부터 얻어진 각각 함량을 달리한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의 효과를 관찰한 결과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05 중량%에서는 그다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0.01 중량%부터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다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에서 최고 효과를 보이고, 3.0 중량%를 초과하면서 효과가 급격히 감소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1 및 2를 통해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적절한 중량%는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의 경우 그 효능에 있어 0.01 중량% 이상이어야 하며, 안전성에 있어서 3.0 중량%를 초과해서는 안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은 가장 효과가 좋았던 2.0 중량%로 실시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의 함유량을 변화시켜 실시하였다.
실시예 3: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5 중량%, 1.0 중량%, 3.0 중량%, 5.0 중량%, 6.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5 중량%, 1.0 중량%, 3.0 중량%, 5.0 중량%, 6.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5 중량%, 1.0 중량%, 3.0 중량%, 5.0 중량%, 6.0 중량%로 희석한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6: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5 중량%, 1.0 중량%, 3.0 중량%, 5.0 중량%, 6.0 중량%로 희석한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7: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5 중량%, 1.0 중량%, 3.0 중량%, 5.0 중량%, 6.0 중량%로 희석한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험예 3: 실시예 3 ~ 7의 혼합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평가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를 1.5 × 10⁴cell/well이 되도록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FBS가 없는 배지로 교체하여 Minoxidil 과 실시예 3 ~ 7의 혼합액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5mg/ml의 MIT (3-(4,5-dimethylthiazol-2-y1)-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50㎕씩 가하고 3시간 배양한 다음, DMSO를 200㎕씩 넣고 30분간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보라색 크리스탈을 녹였다. 마지막으로 다 녹은 크리스탈은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7의 혼합액을 포함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100%로 기준하여 실시예에서 각각 함량을 달리한 혼합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고, minoxidil을 실험결과의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 ~ 7의 혼합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평가
실험예 대상 세포증식율
음성대조군 100%
양성대조군 113.2%
실시예3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산사나무 추출물 0.5 중량% 100.8%
실시예3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산사나무 추출물 1.0 중량% 111.4%
실시예3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산사나무 추출물 3.0 중량% 115.8%
실시예3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산사나무 추출물 5.0 중량% 110.5%
실시예3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산사나무 추출물 6.0 중량% 102.9%
실시예4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파인애플 추출물 0.5 중량% 100.1%
실시예4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파인애플 추출물 1.0 중량% 110.7%
실시예4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파인애플 추출물 3.0 중량% 113.7%
실시예4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파인애플 추출물 5.0 중량% 110.1%
실시예4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파인애플 추출물 6.0 중량% 101.6%
실시예5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용아초 추출물 0.5 중량% 100.6%
실시예5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용아초 추출물 1.0 중량% 110.9%
실시예5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용아초 추출물 3.0 중량% 114.6%
실시예5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용아초 추출물 5.0 중량% 109.7%
실시예5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용아초 추출물 6.0 중량% 102.2%
실시예6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연꽃배아 추출물 0.5 중량% 100.4%
실시예6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연꽃배아 추출물 1.0 중량% 110.3%
실시예6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연꽃배아 추출물 3.0 중량% 114.2%
실시예6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연꽃배아 추출물 5.0 중량% 109.3%
실시예6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연꽃배아 추출물 6.0 중량% 101.9%
실시예7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노니 추출물 0.5 중량% 100.5%
실시예7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노니 추출물 1.0 중량% 110.1%
실시예7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노니 추출물 3.0 중량% 114.4%
실시예7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노니 추출물 5.0 중량% 109.0%
실시예7의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노니 추출물 6.0 중량% 102.1%
상기 [표 3]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5 중량%, 1.0 중량%, 3.0 중량%, 5.0 중량%, 6.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를 평가한 결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이 0.5 중량% 혼합된 혼합물에서는 그다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부터는 효과가 나타나기 시작하여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에서 최고 효과를 보이고, 5.0 중량%를 초과하면서 독성으로 인해 안정성이 급격하게 떨어져 효과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을 통하여 탈모방지 조성물에 혼합되는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의 농도는 1.0 중량% 이상이어야 하며, 5.0 중량%를 초과해서는 안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이 종대황 및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에 혼합되는 농도는 가장 효과가 좋았던 3.0 중량%를 기준으로 하여 실시하였다.
실시예 8: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9: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0: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1: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2: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3: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4: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5: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6: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7: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8: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19: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0: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1: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2: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3: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4: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5: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6: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7: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8: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29: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30: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31: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32: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33: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험예 4: 실시예 8 내지 33의 혼합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평가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를 1.5 × 10⁴cell/well이 되도록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FBS가 없는 배지로 교체하여 Minoxidil 과 실시예 8 내지 33의 혼합액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5mg/ml의 MIT (3-(4,5-dimethylthiazol-2-y1)-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50㎕씩 가하고 3시간 배양한 다음, DMSO를 200㎕씩 넣고 30분간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보라색 크리스탈을 녹였다. 마지막으로 다 녹은 크리스탈은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8 내지 33의 혼합액을 포함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100%로 기준하여 실시예 8 내지 33의 혼합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고, minoxidil을 실험결과의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8 내지 33의 혼합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평가
실험예 대상 세포 증식율
음성대조군 100%
양성대조군 113.2%
실시예8 114.8
실시예9 118.3
실시예10 114.9
실시예11 116.2
실시예12 114.2
실시예13 113.9
실시예14 114.3
실시예15 115.4
실시예16 115.6
실시예17 115.3
실시예18 112.4
실시예19 112.1
실시예20 112.7
실시예21 113.2
실시예22 112.9
실시예23 112.7
실시예24 111.9
실시예25 112.2
실시예26 111.7
실시예27 110.8
실시예28 107.5
실시예29 106.8
실시예30 106.4
실시예31 105.6
실시예32 105.7
실시예33 101.3
상기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를 평가한 결과 종대황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물이 4가지 이상으로 구성시에는 효과가 감소하며 혼합물이 6가지 일 경우 효과가 그다지 나타나지 않았다.
실시예 34: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 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35: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36: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37: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38: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39: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0: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1: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2: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3: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4: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5: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6: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7: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8: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49: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0: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1: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2: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3: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4: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5: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6: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7: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8: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59: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60: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61: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62: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63: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시예 64: 종대황 추출물 희석액과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배합하여 혼합액을 만들었다.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종대황 추출물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희석액을 25℃의 온도에서 50 rpm의 속도로 30분 가량 교반한 후 10℃의 온도로 48시간 동안 숙성하여 혼합물을 완성했다.
실험예 5: 실시예 34 내지 64의 혼합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평가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를 1.5 × 10⁴cell/well이 되도록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한 후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FBS가 없는 배지로 교체하여 Minoxidil 과 실시예 34 내지 64의 혼합액을 처리하고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후 5mg/ml의 MIT (3-(4,5-dimethylthiazol-2-y1)-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50㎕씩 가하고 3시간 배양한 다음, DMSO를 200㎕씩 넣고 30분간 쉐이킹 인큐베이터에서 보라색 크리스탈을 녹였다. 마지막으로 다 녹은 크리스탈은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세포 증식 정도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34 내지 64의 혼합액을 포함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100%로 기준하여 실시예 34 내지 64의 혼합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고, minoxidil을 실험결과의 신뢰성을 더하기 위해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34 내지 64의 혼합액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
실험예 대상 세포 증식율
음성대조군 100%
양성대조군 113.2%
실시예34 114.7%
실시예35 113.1%
실시예36 113.6%
실시예37 113.3%
실시예38 113.5%
실시예39 114.1%
실시예40 117.2%
실시예41 113.3%
실시예42 113.2%
실시예43 113.6%
실시예44 113.4%
실시예45 113.3%
실시예46 114.2%
실시예47 114.3%
실시예48 113.9%
실시예49 111.2%
실시예50 110.9%
실시예51 110.7%
실시예52 110.4%
실시예53 111.6%
실시예54 110.5%
실시예55 110.3%
실시예56 110.4%
실시예57 110.3%
실시예58 110.1%
실시예59 106.8%
실시예60 105.7%
실시예61 105.6%
실시예62 104.8%
실시예63 104.5%
실시예64 101.3%
상기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2.0 중량%로 희석한 서장호황련 추출물 희석액과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3.0 중량%로 희석한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의 인간 유래 모유두 세포의 증식 촉진 효과를 평가한 결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물이 가장 효과가 좋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혼합물이 4가지 이상으로 구성시에는 효과가 감소하며 혼합물이 6가지 일 경우 효과가 그다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전반적으로 종대황에 의한 혼합물보다는 수치가 적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으로 볼 때, 혼합물이 4가지 이상일 경우 추출물 전체 농도가 높아져 독성이 나타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종대황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액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며, 다만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고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모발성장 촉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제조예 2: 종대황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액으로 헤어토닉을 제조
성분명 함량(중량%)
에탄올 0.10
글리세린 0.20
프로필렌글라이콜 0.03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40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1.0
살리실릭애씨드 0.06
향료 0.7
종대황+산사나무+용아초 추출물 2.0
산사나무 추출물 3.0
용아초 추출물 3.0
정제수 잔량
에탄올 0.10 중량%, 글리세린 0.20 중량%, 프로필렌글라이콜 0.03 중량%, 피이지-60하이드로제네이티드캐스터오일 0.40 중량%,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1.0 중량%, 살리실릭애씨드 0.06 중량%, 향료 0.7 중량%, 종대황 추출물 2.0중량%, 산사나무 추출물 3.0중량%, 용아초 추출물 3.0 중량%를 혼합하고 잔량을 정제수로 채운 후 혼합기에서 실온에서 30 ~ 35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헤어토닉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종대황 추출물, 산사나무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을 혼합한 혼합액으로 헤어샴푸를 제조
성분명 함량(중량%)
코카미도프로필메타인 0.10
티에이-라우릴설페이트 0.20
소듐라우릴설페이트 0.03
코카마이드디이에이 0.40
디메치콘 1.0
디메치콘올 0.06
라우라마이드디에이 0.7
종대황+산사나무+용아초 추출물 2.0
산사나무 추출물 3.0
용아초 추출물 3.0
정제수 잔량
코카미도프로필메타인 0.10 중량%, 티에이-라우릴설페이트 0.20 중량%, 소듐라우릴설페이트 0.03 중량%, 코카마이드디이에이 0.40 중량%, 디메치콘 1.0 중량%, 디메치콘올 0.06 중량%, 라우라마이드디에이 0.7 중량%, 종대황 추출물 2.0 중량%, 산사나무 추출물 3.0 중량%, 용아초 추출물 3.0 중량%를 혼합하고 잔량을 정제수로 채운 후 혼합기에서 75℃에서 30 ~ 35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헤어샴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예에 따른 성분과 함량으로 혼합기에서 30 ~ 35rpm의 속도로 교반하여 헤어토닉과 헤어샴푸를 제조하였다. 다만, 제조예 3과 4의 제조방법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은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양한 성분과 함량으로 제조된 모든 제형을 포함한다.

Claims (6)

  1. 종대황 추출물과 서장호황련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주 유효성분으로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파극천)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종대황 추출물 또는 서장호황련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1 ~ 3.0 중량%가 되도록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1.0 ~ 5.0 중량%가 되도록 배합한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3. 종대황, 서장호황련,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로부터 각각 추출액을 얻는 단계(S10),
    상기 단계(S10)로부터 얻어진 종대황과 서장호황련의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에 산사나무, 파인애플, 용아초, 연꽃배아, 노니로부터 얻어진 추출물 중 어느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배합하는 단계(S20),
    상기 단계(S20)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을 일정 기간에서 일정한 온도로 숙성시키는 단계(S30)로 이루어진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20)에서의 종대황 추출물 또는 서장호황련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0.01 ~ 3.0 중량%가 되도록 하며, 산사나무 추출물, 파인애플 추출물, 용아초 추출물, 연꽃배아 추출물, 노니 추출물은 탈모방지 조성물 전체 중량 대비 각각 1.0 ~ 5.0 중량%가 되도록 배합한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S30)에서의 숙성방법은 0 ~ 20℃의 온도로 20 ~ 72시간 동안 숙성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제조방법.
  6. 상기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의해 제조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헤어제품.
KR1020180058005A 2018-05-21 2018-05-21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9013308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05A KR20190133085A (ko) 2018-05-21 2018-05-21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8005A KR20190133085A (ko) 2018-05-21 2018-05-21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33085A true KR20190133085A (ko) 2019-12-02

Family

ID=68847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8005A KR20190133085A (ko) 2018-05-21 2018-05-21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13308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993A (ko) 2020-02-07 2021-08-18 (주)메종 오리나무 속 식물 추출물 또는 오레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45385A1 (zh) * 2022-09-02 2024-03-07 曼秀雷敦(中国)药业有限公司 黑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0993A (ko) 2020-02-07 2021-08-18 (주)메종 오리나무 속 식물 추출물 또는 오레고닌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의 개선,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4045385A1 (zh) * 2022-09-02 2024-03-07 曼秀雷敦(中国)药业有限公司 黑发精华液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5723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기능을 갖는 나노입자 조성물
KR100910747B1 (ko) 항균, 항여드름, 피부진정, 보습 및 피지 조절 활성이 우수한 생약 혼합 추출물
CN110519997B (zh) 通过辣木叶提取物和杜仲提取物的复合物的抗生、抗氧化、抗炎、抑制牙周骨损失和再生牙周骨缓解牙龈炎和牙周炎的方法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9518455A (ja) 発毛促進剤及びその製造方法
KR20150045036A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00213B1 (ko) 청시닥나무, 개시닥나무 또는 시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76213B1 (ko)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48056B1 (ko) 조롱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1441A (ko) 화산석 송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2310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발과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90133085A (ko) 종대황 추출물과 산사나무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생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9944B1 (ko)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KR101039532B1 (ko) 연잎, 지부자, 지골피 추출물로 구성되는 천연항균복합체를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70107943A (ko) 산닥나무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42819B1 (ko) 양모 또는 발모 촉진용 한약재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63597B1 (ko) 접시꽃 캘러스 추출물 또는 수정목 캘러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3530B1 (ko) 솔잎 추출액을 포함한 모발의 생장 촉진용 샴푸 조성물 및 그 방법
KR20110020691A (ko)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27970B1 (ko) 능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분비 억제 및여드름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56531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KR100773421B1 (ko) 탈모방지, 발모촉진 또는 육모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2275551B1 (ko) 산수국 추출물을 포함하는 체취 억제용 조성물
KR100753863B1 (ko) 탈모방지 및 양모 활성 보조기능을 갖는 조성물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KR20150052907A (ko) 도화, 괴화, 대황, 정향의 혼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