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59490B1 -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59490B1
KR100659490B1 KR1020040021316A KR20040021316A KR100659490B1 KR 100659490 B1 KR100659490 B1 KR 100659490B1 KR 1020040021316 A KR1020040021316 A KR 1020040021316A KR 20040021316 A KR20040021316 A KR 20040021316A KR 100659490 B1 KR100659490 B1 KR 100659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weight
hair
granite
hair ca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13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96052A (ko
Inventor
양대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트로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트로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트로젠
Priority to KR10200400213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59490B1/ko
Publication of KR20050096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96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59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594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06Algae
    • A61K8/9722Chlorophycota or Chlorophyta [green algae], e.g. Chlorell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65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inanimat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12Preparations containing hair condition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tech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르면 입경이 0.01~1.20㎛의 범위이고, 평균 입경이 0.05~0.80㎛이며, d(v)50(입자 부피 분포의 50%)=0.1∼0.5㎛의 범위인 심성화강암 분체와, 매생이,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및, 인진숙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종의 식물 분체와, 한련초 및 검은깨 분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되며,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가 대기의 열원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두피 내 수분의 분자 집적도에 영향을 주어 세포간 물질교류를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우수한 미백 및 보습 효과 외에, 우수한 탈모 예방 또는 발모 효과와 모발 흑화 효과를 나타낸다.
헤어 케어, 화장료, 심성화강암, 한련초, 검은 깨

Description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FOR HAIR CARE, PREPARING METHOD}
본 발명은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두피가 대기의 열원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두피 내 수분의 분자 집적도에 영향을 주어 세포간 물질교류를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우수한 미백 및 보습 효과 외에, 우수한 탈모 예방 또는 발모 효과와 모발 흑화 효과를 나타내는, 심성화강암 분체와 식물 분체 함유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화장료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예컨대, 헤어 팩 베이스, 헤어크림, 헤어크림, 헤어로션, 화장비누 등을 포함한다.
근래 들어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그 미용 기능 및 형태에 따른 다양한 종류의 제품이 제안되어 있기는 하나, 그 대부분은 화장료 본래의 세정 효과와 미용 기능, 또는 헤어 세팅에 주력하고 있을 뿐, 두피에서의 각종 작용에 의한 생체 활성 또는 생리 활성 효과를 발현시킴과 아울러, 두피에 작용하여 우수한 탈모 예방 또는 발모 효과와 우수한 모발 흑화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은 제안되고 있지 못하다.
한편, 본 발명자에 의한 특허 제10-0249928호(출원일: 1997.12.22.)는 비누 재료: 입경 325 메시(즉, 입경 8~10㎛) 정도의 심성화강암 분체의 중량비를 20~90:10~80으로 조성한 비누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안한 바 있으나, 충분한 원적외선 방사 효과 및 자외선 차단 효과를 얻기 위하여 첨가되는 심성화강암의 입경이 큰 관계로 사용감이 더욱 열등해지고 제조가 곤란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는 외에 피부의 땀샘을 폐색시켜 피부 트러블을 유발할 염려가 커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음과 아울러, 사용하는 심성화강암 분체의 입경이 상대적으로 크므로 그 상대적 중량도 커서 심성화강암 분체가 하방으로 갈수록 편재된다는 품질 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다대한 노력을 기울인 결과, 입경이 0.01~1.20㎛의 범위이고, 평균 입경이 0.05~0.80㎛이며, d(v)50(입자 부피 분포의 50%)=0.1∼0.5㎛의 범위인 심성화강암 분체와, 매생이,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및, 인진숙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종의 식물 분체와, 한련초 및 검은깨 분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미백 효과, 탈모 예방 또는 발모 효과, 그리고 모발 흑화 효과가 우수함과 아울러, 원적외선 방사 효과 및 사용감이 좋고, 더욱이 피부 트러 블의 염려가 없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에 기초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른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은 우수한 미백, 탈모 예방 또는 발모, 그리고 모발 흑화 효과를 갖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은 상기한 피부가 대기의 열원을 효율적으로 흡수하게 함과 아울러, 피부 내 수분의 분자 집적도에 영향을 주어 세포간 물질교류를 원활화함으로써 우수한 피부 미용 및 피부 보호 효과를 부여하고 체내 자유 활동 에너지를 활성화하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사용감이 우수하고 피부 트러블의 염려가 없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에 따른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을 이용한 헤어 케어 화장료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은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에 따른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효과적인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미백 성분으로서 매생이,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및, 인진숙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종의 식물의 분체와, 탈모 예방 또는 발모와 모발 흑화 성분으로서 한련초와 검은깨 분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첫 번째 목적에 따른 비누 조성물에 있어서, 입경이 0.01~1.20㎛의 범위이고, 평균 입경이 0.05~0.80㎛이며, d(v)50(입자 부피 분포의 50%)=0.1∼0.5㎛의 범위인 심성화강암 분체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양태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이 화장료 중량 기준으로 4.5~35.5중량% 함유되는 화장료가 제공된다.
상기한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양태에 따르면, 입경이 0.01~1.20㎛의 범위이고, 평균 입경이 0.05~0.80㎛이며, d(v)50(입자 부피 분포의 50%)=0.1∼0.5㎛의 범위인 심성화강암 분체와 통상의 화장료 성분을 혼합하는 단계와, 매생이,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및, 인진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종의 식물의 분체를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와, 한련초 및 검은 깨 분체를 첨가하고 균질화하는 단계로 구성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되는 천연 식물에 대하여 언급하기로 한다.
함초는 우리나라 서해안이나 남해안, 제주도, 울릉도, 백령도 같은 섬지방의 바닷물이 닿는 해안이나 개펄, 염전 주위에 무리지어 자라는 식물로서, 우리말 로는 퉁퉁마디라 칭하여진다. 중국의 옛 의학책인 신농초본경에는 맛이 몹시 짜다고 하여 함초(鹹草), 염초(鹽草)라고 하였고, 몹시 희귀하고 신령스러운 풀로 여겨 신초(神草)라고도 적혔다.
함초의 일반성분은 주로 탄수화물, 회분, 조단백질, 조지방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회분중 중량% 기준으로 소금이 13.5%를 차지한다. 또한, 함초에는 각종 미네랄을 함유하고 있는데 함초 100g에는 칼슘 670㎎, 요드70㎎, 그리고 나트륨이 6.5%, 소금기가 16%, 식물성 섬유질이 50%쯤 들어 있다.
이어서, 인진쑥은 한방에서는 인진호(茵蔯蒿)라고도 하고, 이뇨, 이담, 해열제로서 황달, 간염, 식중독, 신장염 등의 치료에 이용되고 있으며, 엽록소와 식물성 섬유소, 미네랄, 비타민, 칼슘, 카로틴 등을 함유하고 있고, 100그램중 단백질이 7700mg, 섬유질이 3300mg, 회분이 2000mg, 칼슘이 140mg, 인이 70mg, 철분이 10.9mg, 비타민A, 비타민B1, 비타민B2, 비타민C 등의 미량 성분을 포함한다.
이런 성분들이 가지는 여러 가지 효능을 나타내는 인진쑥 추출물은 항균 효과(Bosci Biotechnol Biochem 1998 Feb;62(2)363-5), 항말리리아 효과(Darassitologia 1997 Mar:39(1):3-7), 점막 합성 효과(J Nat Prod 1994 Apr 57(4):507-9), 알츠하이머병 치료 효과(Mol Cells 2000 Jun 30:10(3) 253-62), 항산화 효과 (Arch Pharm Res 2000 Jun:23(3): 237-9)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으며, 요통, 신경통, 관절통, 근육통, 치질, 냉증, 습진, 옻오른 데 등에 효과가 있고(약탕목욕- 오우우미 쥰), 산수하혈, 출혈. 회충, 곽란, 하리, 개선, 안태, 과식, 류혈, 뜸쑥용 등의 약재(한국의 자원식물- 김태정)로 해열작용, 이뇨 작용, 항 균 작용, 항바이러스 작용, 항진균 작용(대한약전외 생약규격집)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매생이는 녹조식물 갈파랫과의 바닷말로서 남해안이나 서해안에 분포하며 지형적으로 후미진 곳의 물이 잘 소통되는 깨끗한 곳에서 생육하며, 크기는 15cm 정도이고, 굵기는 2∼5mm 정도로서, 주로 2월쯤 암석 표면에 머리카락 모양으로 자리 잡고 활발히 번식하고, 외관은 파래와 비슷하며 매우 부드럽고 매끄러우며 파래보다 감미가 있고 부드러워서 식용으로 이용되어 왔다.
단백질 20.6% 지질 0.5% 탄수화물 40.6% 회분 22.7%로 구성되며, 철분, 칼륨, 요오드 등 각종 무기염류와 비타민A,C,등을 다량함유하고 있어, 어린이 성장발육촉진 및 골다골증 예방에 효험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위궤양이나 십이지장궤양을 예방하고 진정시키는 효과가 뛰어나 술 마신 후 숙취 해소 작용도 우수하고, 특히 저지방 저콜레스테롤을 섭취해야 하는 고혈압 및 동맥경화환자에 효과가 크며, 보습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문동은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서 남해의 해안가 풀숲이나 모래땅에 드문드문 생육하며 방추형의 뿌리줄기가 이용되며, 괴근에는 아스파라긴이, 베타-시토스테롤, 5-메톡시-메탈푸랄, 점액질, 스테로이드사포닌(스밀라게닌)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약리적으로는 아스파라긴이 거담작용, 진해작용, 항암작용, 약한 이뇨작용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급성임파성 백혈병, 만성단구성백혈병, 급성단구성백혈병 환자의 백혈구 탈수소효소를 억제하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다. 또한, 폐렴쌍구균을 비롯한 그램양성균에 대한 항균 작용을 갖는 것으로 보고 되어 있기도 하다.
향약집성방에 의하면, 천문동은 폐, 신의 음을 보하고 열을 내리며 기침을 멈추게 하는 한편, 특히 미백 효과와 흰머리를 검은 머리로 만드는 데 효험이 있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백봉령은 소나무 벌채 후 자연 상태에서 약 5~9년이 경과되면 토양 속의 소나무 뿌리에 기생하는 백색 혹은 회백색의 균괴(일명, 솔뿌리 혹)로서, 다당류, 유기산, 단백질, 비타민 D, 레시틴, 아데닌, 콜린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 백봉령은 수분대사를 원활히 하게 도와주고, 기미 피부에서 침착된 색소를 제거해 주며, 노화 피부를 맑고 윤기 나게 해 주고, 특히 미백 효과와 혈액 순환 개선 효과가 우수하며 모공 수축을 통한 보습 효과를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수오는 중국원산의 여뀌과 식물인 다년생 넝쿨 초본으로서 우리나라의 원야에 자생하며, 하수오의 덩어리 뿌리를 생약으로 이용한다. 주요 성분으로서 안트라퀴노이드로서 크리소파놀, 에모딘, 레인, 사이시온, 크리소파놀, 안트론 등을 함유하며, 다수의 녹말과 3.1%의 지방, 레시틴을 함유하고, 에모딘과 사이시온 유리형과 배당체형의 두가지 형태로 존재하며 2,3,4,5'-테트라하이드록시스틸벤-2-0-β-D-글루코시드가 1.2%이상 함유되어 있다.
하수오라는 명칭은 중국의 하 왕이 이를 먹고 흰머리가 검게 변하였다는 전설에 따른 것으로서, 동의보감에는 염증을 삭이고 가래와 담을 없애며, 종기, 치 질, 만성피로, 산후병을 치료하고 기와 혈을 도우며 근골과 골수를 충실히 하며 모발을 검어지게 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검은 깨는 전통적으로 조미료로서 뿐만 아니라 보약으로 인정되어 왔으며, 단백질 19.65%, 지방 44.15%, 유기물 19.43%, 재성분 20.12%, 수분 6.65%로 구성되고, 올레인산 48%, 리놀산 37%, 팔미틴산 8%, 스테아린산 5%, 이 밖에 피로스테린, 세사민 등이 들어있으며 비타민 B1, 비타민 E가 많다.
검은 깨는 만성위장염, 신경염, 고혈압, 변비, 강정, 빈혈 등에 대한 효과가 우수함과 동시에, 본초학에 의하면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키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하며 피부와 머리카락을 윤택하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특히, 검은 깨는 두피 건강에 영향을 주어 탈모 방지에 매우 효과적이며 감마토코페롤(비타민 E의 일종)이 항산화 작용을 높여서 대머리에도 효과가 있는 등 노화방지 및 탈모예방에 탁월한 효과가 있고, 5-알파 환원효소의 저해제인 불포화 지방산이 많이 함유되어 탈모를 방지하며, 리놀산,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지방산이 혈액을 부드럽게 해주며 비타민 E가 말초혈관의 혈류를 촉진하여 신진대사를 높여 줌과 아울러, 다량 함유되어 있는 트립토판은 피부를 윤택하게 하고 모발에 윤기를 주며, 한방에서는 탈모가 혈액이 폐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는 바, 두피의 혈행을 좋게 하고 혈액을 보충하므로 탈모예방 및 검정 머리카락 재생과 발모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련초는 우리나라 중부와 남부 지방의 논이나 개울가, 물기 있는 땅에 생육하는 국화과의 한해살이풀로서, 예장초, 묵한련(墨旱蓮), 묵두초(墨頭草), 묵초( 墨草), 묵채(墨菜), 묵연초(墨烟草), 한련풀, 하련초 등으로 불리워진다.
한련초에는 사포닌, 탄닌, 에크립틴, 쿠마린 화합물인 웨텔로락틴,비타민A 등이 다량 함유되어 있다. 상기한 웨텔로락틴은 공기와 접촉하면 흑화되는 특성이 있으며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효력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향약집성방에 의하면 한련초 즙을 모발이나 눈썹에 바르면 머리카락과 눈썹이 빨리 자라면서 숱이 많아진다고 기재하고 있으며, 방약합편에 의하면 한련초는 모발을 흑화하며 수염도 나게 한다고 언급하고 있고, 동의보감에는 발모 효과가 있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미백 성분으로서 매생이,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및, 인진숙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종의 식물 분체와, 탈모 예방 또는 발모와 모발 흑화 성분으로서 한련초와 검은깨 분체를 포함하며, 입경이 0.01~1.20㎛의 범위이고, 평균 입경이 0.05~0.80㎛이며, d(v)50(입자 부피 분포의 50%)=0.1∼0.5㎛의 범위인 심성화강암 분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식물 분체는 상기한 식물체를 건조하여 말린 후 제분기로 미분쇄하여 미분체화한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분체를 사용하는 일 없이 상기한 식물체의 추출물을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경우에는 물, 에탄올,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 비율의 혼합 용매에 의한 추출물을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한련초 분체의 함량은 조성물 전 중량 기준으로 0.2~2.5중량%이며, 검은 깨 분체는 0.03~5중량%이고, 첨가되는 경우 매생이분체의 첨가량은 0.1~3중량%이며,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인진쑥의 첨가량은 0.5~3중량%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는, 예컨대, 헤어 팩 베이스, 헤어크림, 헤어마사지 크림, 헤어로션, 화장비누 등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유형의 광범위한 헤어 케어용 화장료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가 헤어 팩 베이스인 경우, 하기한 성분들 중 적어도 일부 및 그 외 당업계에 관용되는 성분들을 임의적으로 복수 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하기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의 일례를 들면, 상기한 식물 분체의 첨가 외에, 농글리세린 및/또는 소디움카르복실메칠셀룰로오스 5-40중량%, 통상적으로는, 농글리세린 5-35중량%, 소디움카르복실메칠셀룰로오스 0-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당분야에 사용되는 방부제를 미량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심성화강암 분체는 10-40중량%, 통상적으로는 15-25중량% 포함될 수 있다. 바셀린은 2-10중량%, 통상적으로는 3-8중량% 포함된다. 그 외, 세토스테아릴알콜, 피오이(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 오일 및 모노스테아린산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등의 계면활성제 적어도 1종을 0.3-5중량%, 통상적으로는 0.5-2.5중량% 사용할 수 있다. 잔부는 정제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가 헤어크림인 경우, 하기한 성분들 중 적어도 일부 및 그 외 당업계에 관용되는 성분들을 임의적으로 복수 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하기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의 일례를 들면, 상기한 식물 분체의 첨가 외에, 유동파라핀 3-10중량%, 통상적으로는, 4-7중량%, 스쿠알란 1-8중량%, 통상적으로는, 2-6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밀랍 5-20중량%, 통상적으로는 6-15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농글리세린은 3.0-10중량%, 통상적으로는 4-8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폴리솔베이트 6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프로필렌글리콜, 트리에탄올아민, 소디움카르복실메칠셀룰로오스 등으로 이루어지는 그룹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3.0-20중량%, 통상적으로는 5-15중량%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한 심성화강암 분체는 1-15중량%, 통상적으로는 3-10중량%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방부제, 향료, 색소 등을 미량 포함시킬 수도 있다. 잔부는 정제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가 헤어마사지 크림인 경우, 하기한 성분들 중 적어도 일부 및 그 외 당업계에 관용되는 성분들을 임의적으로 복수 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하기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의 일례를 들면, 상기한 식물 분체의 첨가 외에,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2.0중량%, 세틸알콜 0.5-5.0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트리에탄올아민,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피이지-30 글리세릴코코에이트, 피이지-80 글리세 릴코코에이트, 소듐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2-18중량% 포함시킬 수도 있다. 상기한 심성화강암 분체는 1-15중량%, 통상적으로는 3-10중량% 포함되며, 방부제, 향료, 색소 등이 미량 포함될 수도 있고, 잔부는 정제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가 헤어로션인 경우, 하기한 성분들 중 적어도 일부 및 그 외 당업계에 관용되는 성분들을 임의적으로 복수 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하기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의 일례를 들면, 상기한 식물 분체의 첨가 외에, 프로필렌글리콜이소세테스-3 아세테이트 5-20중량%,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5-20중량%, 카올린3-10중량%을 포함된다. 또한, 선택적으로, 이산화티탄 0.5-5중량%,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2-1.0중량%, 산탄검 0.1-0.8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심성화강암 분체는 1-10중량%, 통상적으로는 5-9중량% 포함되며, 방부제, 향료, 색소 등이 미량 포함될 수도 있고, 잔부는 정제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가 화장비누인 경우, 하기한 성분들 중 적어도 일부 및 그 외 당업계에 관용되는 성분들을 임의적으로 복수 개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하기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하여야만 할 것이다.
일반적인 경우의 일례를 들면, 상기한 식물 분체의 첨가 외에, 야자유지방산 0.5-4중량%, 이산화티탄 0.1-1.0중량%를 포함하며, 상기한 심성화강암 분체는 1-15중량%, 통상적으로는 3-10중량% 포함된다. 그 외, 선택적으로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디나트륨을 0.1-0.5중량% 포함할 수도 있다. 건조 함초 분말은 0.01∼7중량% 포함되며, 방부제, 향료, 색소 등이 미량 포함될 수도 있고, 잔부는 비누칩 베이스이다.
상기한 한련초, 검은 깨, 매생이,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인진쑥은 잘 씻어서 그늘에서 송풍기의 송풍에 의하여, 바람직하게는, 수분함량 2%이하로 건조시키고, 각각 또는 임의로 혼합하여 잘게 절단하고 제분기로 미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다음 체로 쳐서 고운 분말을 얻은 다음, 이를 사용한다.
상기한 식물 분체는 통상의 화장료 조성물과 하기하는 심성화강암 분체를 적절한 비율로 혼합한 다음에 첨가되며, 바람직하게는, 매생이,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또는 인진쑥 분체를 첨가하여 다시 균질하게 혼합한 후, 한련초와 검은 깨 분체를 나중에 혼합한다.
한편,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심성화강암은 SiO2 70~80wt%, Al2O3 8~16wt%, Fe2O3 0.1~5wt%, K2O 3.5~4.5wt%, Na2O 2~3wt%, CaO 1.5~2.5wt%, MgO 0.5~1.0wt%와 잔부가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미량 성분으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SiO2 79.76wt%, Al2O3 9.87wt%, Fe2O3 0.21wt%, K2O 3.79wt%, Na2O 2.81wt%, CaO 1.59wt%, MgO 0.86wt%와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미량 성분 1.11wt%로 구성되는 심성화강암이거나, SiO2 73.41wt%, Al2O3 14.56wt%, Fe2 O3 1.13wt%, K2O 4.13wt%, Na2O 2.48wt%, CaO 2.28wt%, MgO 0.72wt%와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미량 성분 1.29wt%로 구성되는 심성화강암 이거나, 또는 SiO2 73.53wt%, Al2O3 12.52wt%, Fe2O3 4.76wt%, K2O 3.78wt%, Na2O 2.07wt%, CaO 1.56wt%, MgO 0.51wt%와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미량성분 1.27wt%로 구성되는 심성화강암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용도 및 의도하는 바에 따라 이들 3종의 심성화강암 중 적어도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심성화강암에 있어서 게르마늄의 함량은 0.5 ~ 2ppm의 범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는 심성화강암은 지각 내의 순수 마그마가 환원상태에서 냉각된 것으로 각각 특유의 색상을 가지고 있으며 그 색상은 4000℃ 이상의 고온 마그마가 냉각되어 형성되는 고유의 색상이고 원적외선 방사율이 0.90 이상인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심성화강암은 입경이 0.01~1.20㎛의 범위이고, 평균 입경이 0.05~0.80㎛이며, d(v)50(입자 부피 분포의 50%)=0.1∼0.5㎛의 범위임은 전술한 바와 같다.
사용되는 심성화강암의 종류, 혼합 방법 및 혼합 비율에 따라 원적외선 방사율은 다소간 변화될 수 있다. 전형적인 예로서 앞서 언급한 3 종류의 대표적인 심성화강암 들은 각각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이들의 임의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그 상대적인 첨가 비율 또한 임의적임은 물론이다.
한편, 상기한 입도 분포를 갖는 심성화강암 분체로의 미분화(微粉化)는 통상의 세라믹 소재 미분 수단인 볼밀이나 크러셔 등을 이용하여 30분~2시간 정도 분쇄한 후, 다시 충격 연마기를 이용하여 30~2시간 정도 미분쇄하는것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미분쇄된 심성화강암 분체의 입도 분포 조사 및 확인은 입자들에 대한 이러한 부피 분포는 레이저광 산란 장치, 예컨대, Cis-1(갈리아사 제), Helos(심파텍사 제) 및 Mastersizer X(말버른사 제) 등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전술한 입도 분포를 갖는 심성화강암 분체는 도포 과정에서 두피의 사멸세포층 및 이들이 경화된 각질층을 마찰에 의해 효과적으로 박리시키며 두피 표면에 흡착 코팅되어 자외선은 반사시키면서도 대기의 태양복사에너지는 반사시키지 않고 거의 흡수한다. 즉, 대기의 복사에너지와 두피 층에 흡착 코팅된 심성화강암 분체 및 인체 내에 존재하는 물 분자 구조가 상호 공명 효과를 일으켜 대기의 열원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되며 7~14nm 대역의 파장영역에서 에너지 흡수가 최대치에 이른다. 그리고 심성화강암 분체가 수분의 분자 집적도를 분자수 10~15개가 1개의 클러스터(cluster)를 형성하게 함으로써 물분자 집단의 규모가 작아져서 세포막 출입을 자유롭게 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세포간 물질 교류가 원활해지며, 도포 시 침투된 심성화강암 분체가 땀샘 내의 피지도 제거하게 되고 땀구멍을 좁혀 피부 수렴성을 증대시키므로 두피를 부드럽게 하고, 두피에 흡착 코팅된 심성화강암 분체는 그 자체가 원적외선을 방사하므로 말초혈관의 혈행을 원활히 하여 두피 및 모발 건강에 도움이 되며 탈모 예방 및 모발의 백화를 방지하게 되고 발모를 촉진하게 된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 실험예 및 처방예를 들어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있어서는 본 명세서로 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영역 내이다.
실시예 1~3 및 비교예 1~3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3은 통상적인 헤어 팩 베이스 처방에 본 발명에 따른 식물 분체와 심성화강암 분체를 배합하여 제조하였으며, 비교예 1은 헤어 팩 베이스만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2는 녹두 분체, 비교예 3은 쑥 분체를 배합하여 제조하였다. 표 1의 조성에 따라 각기 다른 용기에 A와 C상의 각 원료들을 배합, 75℃까지 가온 용해하고 A상에 B를 첨가하면서 교반하여 잘 분산시킨 후, 75℃에서 A상에 다시 C상을 넣어주고, 호모믹서로 잘 교반하면서 냉각 시켰다. 50℃ 이하에서 D와 E, F를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투입하면서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구분 원료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A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농글리세린 10.0 10.0 10.0 10.0 10.0 10.0
소디움카르복실메칠셀룰로오스 0.5 0.5 0.5 0.5 0.5 0.5
방부제 qs qs qs qs qs qs
B 심성화강암 분체 20.0 20.0 20.0 카올린 20.0 카올린 20.0 카올린 20.0
C 세토스테아릴알콜 1.0 1.0 1.0 1.0 1.0 1.0
바셀린 4.5 4.5 4.5 4.5 4.5 4.5
피오이(60)하이드로제네이티드 캐스터오일 0.3 0.3 0.3 0.3 0.3 0.3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칠렌 소르비탄 0.5 0.5 0.5 0.5 0.5 0.5
D 벤토나이트 - - - 5.0 5.0 5.0
E 매생이 분체 1.0 1.0 - - - -
함초 분체 1.0 - 1.0 - - -
천문동 분체 1.0 1.0 - - - -
백봉령 분체 1.0 1.0 1.0 - - -
하수오 분체 1.0 - 1.0 - - -
인진쑥 분체 1.0 1.0 - - - -
녹두 분체 - - - - 3.0 -
쑥 분체 - - - - - 3.0
F 한련초 분체 1.0 1.0 1.0 - - -
검은 깨 분체 1.0 1.0 1.0 - - -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탈모 예방 효과 및 모발 흑화 효과, 피부안전성, 피부보습, 제품 안정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탈모 예방 시험, 모발 흑화 시험, 피부에 대한 1차 자극성 시험, 수분 보유능 측정시험, 실사용 테스트 및 경시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제품들의 탈모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40대 후반의 성인 남성 30명을 5명씩 6 그룹으로 나누고 앞머리 두발에 1일 2회 각 시료의 일정량(약2.0g)을 1분에 걸쳐 도포한 다음, 3일 후 빗질하 게 하고 빗질에 의해 탈모된 중량을 측정하고 30인의 평균치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제품 피시험자수 탈모 수효 평균치 평가
실시예1 5 57 매우 양호
실시예2 5 64 매우 양호
실시예3 5 73 양호
비교예1 5 186 열등
비교예2 5 154 열등
비교예3 5 92 양호
실험예 2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제품들의 모발 흑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백의 40대 후반의 성인 남성 30명을 5명씩 6 그룹으로 나누고 두발에 3개월 동안 1일 2회 각 시료의 일정량(약4.0g)을 1분에 걸쳐 도포하도록 한 다음, 각자에게 설문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평가 기준은 4인 이상 만족 시 매우 양호, 3인 만족시 양호, 2인 이하 만족시 열증으로 평가하였다.
제품 피시험자수 평가
실시예1 5 매우 양호
실시예2 5 양호
실시예3 5 매우 양호
비교예1 5 열등
비교예2 5 열등
비교예3 5 양호
실험예 3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제품들의 피부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남녀 30명을 대상으로 팔하박부에 각 시료의 일정량(약2.0g)을 첩보시험용 헤이즐챔버에 묻혀 48시간 첩포한 후, 헤이즐챔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후 육안으로 피부상태 변화를 판독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제품 피시험자수 판정결과 자극도
A B C D
실시예1 30 26 3 1 0.16
실시예2 30 27 3 0.1
실시예3 30 27 3 0.1
비교예1 30 26 2 2 0.19
비교예2 30 22 6 1 1 0.33
비교예3 30 24 4 2 0.25
* 판정표
A: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B: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C: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D: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음
(B수x1)+(C수x2)+(D수x3)
*자극도 = -----------------------------
(B수x1)+(C수x2)+(D수x3)+A수
실험예 4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제품들의 수분보유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피시험자 성인 남녀 20명을 30분 이상 항온항습실에서 휴식을 취하게 한 후, 팔하 박부 안쪽에 4x4㎠의 구획을 설정한 후 제품을 2㎍/㎠의 두께로 도포하고 시간의 경과에 따라 피부수분 함유량을 수분보유능 측정장치(corneometer CM 820, Courage + Khazaka electronic Gmbh사, Germany)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제품 도포전측정평균값 도포후 측정평균값
30분 1시간 2시간 3시간 4시간
실시예 1 63 82 80 78 75 71
실시예 2 62 87 84 81 78 72
실시예 3 62 83 82 79 76 72
비교예 1 63 74 73 70 67 64
비교예 2 64 81 79 72 69 66
비교예 3 63 79 77 72 68 65
실험예 5
상기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제품에 대하여 18~45세의 여성패널 30명을 대상으로 사용평가 테스트를 하였다. 사용기간은 3주이며 매일 아침과 저녁에 2회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시험항목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촉촉한 느낌 (보습성) 5 16 18 8 13 10
4 6 7 7 5 8
3 5 3 7 6 4
2 3 1 6 4 3
1 1 2 2 5
평균 4.17 4.33 3.43 3.77 3.5
두피트러블 해소 5 4 6 1 1 3
4 10 11 3 5 5
3 8 9 13 14 17
2 5 1 10 6 3
1 3 3 3 4 2
평균 3.23 3.53 2.63 2.77 3.13
종합평가 전체평균 3.64 3.92 2.91 3.14 3.25
* 5 포인트 스케일 :
5 : 매우 좋다 4 : 좋다 3 : 보통 2 : 나쁨 1 : 매우 나쁨
실험예 6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3의 제품에 대한 경시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제품을 각각 120g씩 투명 유리용기에 담아 실온, 고온(43℃), 저온(4℃), 및 내광 조건에서 보관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보관조건 안정성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온 3개월
6개월
43℃ 3개월
6개월 ×
4℃ 3개월
6개월
내광 3개월
6개월 ×
* ◎ : 매우 안정 ○ : 안정 △ : 약간 불안정 × : 불안정
처방예 1
하기한 표 8과 같이 헤어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유동파라핀 6.0
스쿠알란 4.0
소르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폴리솔베이트 60 1.5
밀랍 10.0
심성화강암 분체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농글리세린 6.0
프로필렌글리콜 3.0
부틸렌글리콜 2.0
트리에탄올아민 0.2
소디움카르복실메칠셀룰로오스 0.1
매생이 분체 0.4
천문동 분체 0.9
하수오 분체 0.8
인진쑥 분체 1.2
한련초 분체 0.5
검은 깨 분체 0.1
방부제 미량
향료 미량
색소 미량
정제수 잔부
처방예 2
하기한 표 9와 같이, 헤어마사지 크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45
트리에탄올아민 0.9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1.5
세틸알콜 2.0
피이지-30글리세릴코코에이트 1.0
피이지-80글리세릴코코에이트 1.0
소듐코코암포프로피오네이트 4.0
심성화강암 분체 6.0
매생이 분체 1.0
천문동 분체 1.0
하수오 분체 0.5
인진쑥 분체 1.0
한련초 분체 1.0
검은 깨 분체 0.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부
처방예 3
하기한 표 10과 같이 헤어로션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프로필렌글리콜이소세테스-3 아세테이트 10.0
옥틸도데실 네오펜타노에이트 10.0
카올린 5.0
이산화티탄 3.0
심성화강암 분체 6.0
함초 분체 0.7
천문동 분체 0.3
백봉령 분체 1.2
하수오 분체 1.0
한련초 분체 0.7
검은 깨 분체 0.5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0.7
산탄검 0.3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정제수 잔부
처방예 4
하기한 표 11과 같이 화장비누를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야자유지방산 1.5
이산화티탄 0.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디나트륨 0.15
심성화강암 분체 9.0
매생이 분체 1.0
백봉령 분체 1.0
인진쑥 분체 2.0
한련초 분체 1.2
검은 깨 분체 1.5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색소 적량
비누칩베이스 잔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은 두피가 대기의 열원을 효율적으로 흡수하여 두피 내 수분의 분자 집적도에 영향을 주어 세포간 물질교류를 원활하게 함과 아울러, 우수한 미백 및 보습 효과 외에, 우수한 탈모 예방 또는 발모 효과와 모발 흑화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6)

  1. 삭제
  2. 매생이,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및 인진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종의 식물 분체와;
    한련초와 검은깨 분체; 및
    입경이 0.01 내지 1.20 ㎛의 범위이고, 평균 입경이 0.05 내지 0.80 ㎛이며, d(v)50(입자 부피 분포의 50%) = 0.1 내지 0.5 ㎛의 범위인 심성화강암 분체를 포함하여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되,
    상기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매생이 분체 0.1 내지 3 중량%, 함초 분체 0.5 내지 3 중량%, 천문동 분체 0.5 내지 3 중량%, 백봉령 분체 0.5 내지 3 중량%, 하수오 분체 0.5 내지 3 중량%, 인진쑥 분체 0.5 내지 3 중량% 그리고, 한련초 분체 0.2 내지 2.5 중량%, 검은깨 분체 0.03 내지 5 중량%와, 심성화강암 분체 1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심성화강암이 SiO2 70 내지 80 중량%, Al2O3 8 내지 16 중량%, Fe2O3 0.1 내지 5 중량%, K2O 3.5 내지 4.5 중량%, Na2O 2 내지 3 중량%, CaO 1.5 내지 2.5 중량%, MgO 0.5 내지 1.0 중량%와 잔부가 게르마늄을 포함하는 미량 성분으로 구성되며,
    상기 심성화강암 분체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이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한련초 분체 0.2 내지 2.5 중량%, 검은깨 분체 0.03 내지 5 중량%, 매생이 분체 0.1 내지 3 중량%, 함초 분체 0.5 내지 3 중량%, 천문동 분체 0.5 내지 3 중량%, 백봉령 분체 0.5 내지 3 중량%, 하수오 분체 0.5 내지 3 중량%, 인진쑥 분체 0.5 내지 3 중량%, 심성화강암 분체 1 내지 40 중량%를 포함하며,
    화장료에 처방할 때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함유량은 화장료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4.5 내지 35.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6. 입경이 0.01 내지 1.20 ㎛의 범위이고, 평균 입경이 0.05 내지 0.80 ㎛이며, d(v)50(입자 부피 분포의 50%) = 0.1 내지 0.5 ㎛의 범위인 심성화강암 분체와, 통상의 화장료 성분을 혼합하되, 상기 심성화강암 분체의 함유량은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0 중량%이고 상기 화장료는 4.5 내지 35.5 중량% 혼합하는 단계와;
    매생이, 함초, 천문동, 백봉령, 하수오 및 인진쑥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3종의 식물 분체를 첨가하되, 조성물 전체 중량을 기준으로 매생이 분체 0.1 내지 3 중량%, 함초 분체 0.5 내지 3 중량%, 천문동 분체 0.5 내지 3 중량%, 백봉령 분체 0.5 내지 3 중량%, 하수오 분체 0.5 내지 3 중량%, 인진쑥 분체 0.5 내지 3 중량% 첨가하고 혼합하는 단계와;
    한련초 및 검은깨 분체를 첨가하되, 한련초 분체 0.2 내지 2.5 중량%, 검은깨 분체 0.03 내지 5 중량%첨가하고 균질화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서 구성되는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040021316A 2004-03-29 2004-03-29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659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16A KR100659490B1 (ko) 2004-03-29 2004-03-29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1316A KR100659490B1 (ko) 2004-03-29 2004-03-29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052A KR20050096052A (ko) 2005-10-05
KR100659490B1 true KR100659490B1 (ko) 2006-12-20

Family

ID=3727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1316A KR100659490B1 (ko) 2004-03-29 2004-03-29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594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445A (ko)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셀드로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7019723A2 (de) * 2006-10-23 2007-02-22 Oberboersch Michel Nahrungsergânzungsmittel auf gesteinsbasis
KR100799633B1 (ko) * 2006-12-15 2008-01-30 전택환 한약재 추출액을 함유한 헤어젤
KR101458877B1 (ko) * 2013-06-10 2014-11-07 주식회사 더마랩 오배자, 함초 및 감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모제 조성물
KR101652584B1 (ko) * 2014-10-15 2016-08-31 장진영 탈모방지 또는 발모개선용 조성물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6007A (en) 1981-01-11 1982-07-19 Taiyo Haitsu Kk Preparation of hair growing liquid
KR900005952A (ko) * 1988-10-19 1990-05-07 손봉기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KR960033445A (ko) * 1995-03-21 1996-10-22 성재갑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천문동 비극성 지질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9990052148A (ko) * 1997-12-22 1999-07-05 성성기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KR20010044451A (ko) * 2001-02-21 2001-06-05 강춘암 복숭아나무피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제
KR20020035551A (ko) * 2002-04-24 2002-05-11 남상용 광물질에 의한 모발 미용 클리닉 용제 및 이를 이용한모발 미용 클리닉 방법
US20020155169A1 (en) 2001-02-06 2002-10-24 Huang Hsueh Hung Method using microelements in natural minerals for changing property of a material
KR20020085112A (ko) * 2001-05-04 2002-11-16 이진태 함초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05077A (ko) * 2002-10-19 2003-01-15 김기철 피부각질제거 및 미백 세정제
KR20030013833A (ko) * 2001-08-09 2003-02-15 조영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화장품
KR20030021811A (ko) * 2001-09-07 2003-03-15 김진영 미백제 및 그 미백제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116007A (en) 1981-01-11 1982-07-19 Taiyo Haitsu Kk Preparation of hair growing liquid
KR900005952A (ko) * 1988-10-19 1990-05-07 손봉기 발모촉진제의 제조방법
KR960033445A (ko) * 1995-03-21 1996-10-22 성재갑 흑화 성분을 제거하여 개선된 미백효과를 갖는 천문동 비극성 지질 분획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기미, 주근깨 개선 및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9990052148A (ko) * 1997-12-22 1999-07-05 성성기 비누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비누의 제조방법
US20020155169A1 (en) 2001-02-06 2002-10-24 Huang Hsueh Hung Method using microelements in natural minerals for changing property of a material
KR20010044451A (ko) * 2001-02-21 2001-06-05 강춘암 복숭아나무피를 이용한 탈모방지 및 발모제
KR20020085112A (ko) * 2001-05-04 2002-11-16 이진태 함초를 이용한 기능성 음료 및 그 제조방법
KR20030013833A (ko) * 2001-08-09 2003-02-15 조영호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화장품
KR20030021811A (ko) * 2001-09-07 2003-03-15 김진영 미백제 및 그 미백제 제조방법
KR20020035551A (ko) * 2002-04-24 2002-05-11 남상용 광물질에 의한 모발 미용 클리닉 용제 및 이를 이용한모발 미용 클리닉 방법
KR20030005077A (ko) * 2002-10-19 2003-01-15 김기철 피부각질제거 및 미백 세정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2445A (ko) 2019-10-10 2021-04-20 주식회사 셀드로우 천연식물 복합소재 추출물이 적용된 탈모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96052A (ko) 2005-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utchens Indian herbalogy of North America: The definitive guide to native medicinal plants and their uses
US5578312A (en) Skin care system and method for improving moisture retention in skin
KR102212305B1 (ko)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Priya et al. Phyllanthus emblica Linn.(Amla)—a natural gift to humans: an overview
KR20110105142A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KR101798026B1 (ko) 혈액순환 및 아토피 진정 효능을 갖는 기능성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4495406B2 (ja) センダングサ属植物抽出物含有組成物
KR100867514B1 (ko) 지초 비누의 제조방법
KR101089879B1 (ko) 자외선차단 테이프
KR100878080B1 (ko) 피부 미용을 위한 영양 팩의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37927B1 (ko) 골쇄보 추출물로 이루어진 복합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품
JP2003212749A (ja) AGEs生成抑制剤及びそれを含有する皮膚外用剤
KR100659490B1 (ko) 헤어 케어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362498B1 (ko) 함초 함유 화장료
JP2000226322A (ja) 寒天又はアルギン酸ナトリウム顆粒含有化粧料組成物
KR20110128384A (ko) 미담 경옥고를 이용한 피부 주름, 보습, 미백을 위한 조성물질 및 제조법
KR20180125757A (ko) 포포나무 유효성분의 추출 방법 및 그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2496150B1 (ko) 황칠 추출물 및 감태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윤광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6333918A (zh) 凹凸棒晒后修护面霜
KR950000686B1 (ko) 호장근 추출물을 함유한 미백화장료
CN102552102B (zh) 天然唇膏
ES2960038T3 (es) Extracto de semillas de moringa peregrina rico en 2,5-diformilfuran, procedimiento para su obtención y su uso en composiciones cosméticas
CN108158961A (zh) 一种具有修护作用的茶树口红
KR100984057B1 (ko) 황토과립의 제조방법과 이를 주요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