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21315A -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21315A
KR20140021315A KR1020120087579A KR20120087579A KR20140021315A KR 20140021315 A KR20140021315 A KR 20140021315A KR 1020120087579 A KR1020120087579 A KR 1020120087579A KR 20120087579 A KR20120087579 A KR 20120087579A KR 20140021315 A KR20140021315 A KR 201400213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powder
skin
chinensis
radi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7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7160B1 (ko
Inventor
최신욱
김미성
정권희
석지현
명유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래디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래디안
Priority to KR1020120087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7160B1/ko
Publication of KR201400213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213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71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716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06Antidandruff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Abstract

본 발명은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우수한 두피 트러블 완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저자극성 두피 자극 완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on for skin-irritation alleviation with Inula britannica var. chinensis, Cynanchi Radix and Lysimachia foenum-graecum Hance}
본 발명은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미용을 중시하는 현대 사회에서는 개성 표현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대다수 사람이 염모제, 퍼머제 등을 사용하고 있다. 두피는 모발로 덮여있는 특수화된 피부조직으로 두피 이상으로 생기는 가장 대표적인 질환은 탈모, 비듬, 가려움증 등이 있는데, 일상생활 중 쉽게 나타나지만 치료는 쉽지 않다. 특히, 민감성 두피의 경우, 두피의 가려움이나 따가움과 같은 자극현상과 염증이 유발되어 더욱 문제를 일으킨다.
두피 트러블의 원인을 살펴보면, 두피 상재균인 피티로스포룸 오발레(Pityrosporum ovale)가 증식하여 지질을 분해함으로써 생성된 지방산이 자극성 물질로 작용하여 과잉의 각질층 생성 및 가려움증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된바 있다. 또한, 자외선이나 오염된 공기에 의한 산화반응으로 과산화 지질이 생성되고, 자극성 물질로 작용하여 두피 트러블을 일으키기도 한다. 또한, 케라틴(keratin) 대사의 항진, 피지 분비 기능 항진, 스트레스나 체질에 의한 호르몬 이상으로 두피 트러블이 생기기도 한다.
한편, 염증은 체내의 자극에 의해 변화된 손상 부위를 재생하려는 기전인데, 지속적인 염증 반응은 점막 손상을 촉진시켜 결과적으로 통증, 부종, 발적, 발열 등을 일으켜 기능 장애를 유발한다. 대식세포는 다양한 숙주반응을 통한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염증반응 시에는 유도성 산화질소 합성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해 만들어지는 산화질소(nitric oxide)와 사이클로옥시제나아제(cyclooxygenase)-2에 의해서 과량 만들어지는 프로스타글란딘(prostaglandin) E2 등과 같은 염증 촉진 인자들이 생성된다. 또한, 리포폴리사카라이드(lipopolysaccharide)에 의해 유발된 세포에서 염증매개 물질인 튜머 네크로시스 팩터(tumor necrosis factor)-α, 인터루킨(interleukin)-6 및 인터루킨(interleukin)-1β와 같은 사이토카인을 생산하여 다양한 염증반응을 매개한다.
염증성 사이토카인 등 염증매개체의 활성을 직접적으로 억제하는 물질들은 여드름, 아토피성 피부염,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같은 각종 염증 관련 질환을 억제하는 항염증제로 개발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합성항염증 치료제의 경우 가려움, 홍반과 같은 두피 자극 현상, 두피 염증, 탈모 등의 부작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다.
이에, 두피에 안전하고 자극이 없으며, 두피염증이나 탈모에 효과적인 천연소재들에 대한 연구가 증대되고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10-0005481호 (공개일자 2010. 01. 15)에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자일리톨, 산화아연, 감초 추출물, 조팝나무 추출물 및 마치현 추출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함유함으로써 양이온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는 모발용 조성물로부터 유발될 수 있는 두피의 따가움, 가려움, 염증 등의 자극을 완화하고 진정시켜 주는 효과를 갖는 두피 및 모발 상태 개선용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천연식물을 이용하여 두피의 자극을 완화할 수 있는 새로운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개발하여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선복화 추출물, 백미(Cynanchi Radix) 추출물 및 영릉향 추출물이 혼합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복합추출물은 바람직하게 선복화 추출물, 백미(Cynanchi Radix) 추출물 및 영릉향 추출물이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10:80:1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추출 용매는 바람직하게 친수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첨가량은 원료의 중량 대비 5~30배 정도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은 선복화 분말, 백미(Cynanchi Radix) 분말 및 영릉향 분말을 혼합한 혼합 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혼합 분말은 바람직하게 선복화 분말, 백미(Cynanchi Radix) 분말 및 영릉향 분말이 10:80:1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이 좋다. 추출 용매는 바람직하게 친수성 용매를 사용할 수 있는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에탄올을 사용할 경우, 첨가량은 원료의 중량 대비 5~30배 정도 첨가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와 같이 수득한 복합추출물 또는 혼합분말의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에 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1 내지 5 중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특정의 제형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닌데, 일 예로, 모발 영양화장수, 스칼프트리트먼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헤어샴푸, 헤어로션 등의 제형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화장료 또는 외용제의 종류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합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첨가될 수 있는 성분의 예로는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알코올,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또는 향료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선복화(Inula britannica var , chinensis)는 국화과에 속한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는 60 cm 정도로 전체에 털이 있으며, 잎은 어긋나고, 7~9월에 노란 꽃이 핀다. 꽃은 약용되고 어린잎은 식용된다. 우리나라, 중국, 일본 등지에 분포하며 맛은 쓰고 짜며, 성질은 따뜻하다. 기를 내리는 힘이 있어 구토를 가라앉히고, 소화불량, 딸꾹질, 가래, 기침 등에 쓰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백미(Cynanchi Radix)는 박주가리과의 백미꽃 또는 동속식물의 뿌리로 만든 약재이다. 문헌에는 백미라는 이름이 뿌리가 가늘고 희기 때문에 생겼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 약은 특이한 냄새가 있으며, 맛은 쓰고 짜며 성질은 차다. 백미는 혈분의 열을 식혀 온열병 후기나 산후에, 인체의 기혈과 진액을 소모하여 내부에 미열이 가시지 않고 몸이 노곤한 증상을 치유하며, 발열, 폐열로 인한 해수, 이뇨, 종기, 악창, 인후염, 뱀에 물린 상처에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영릉향(Lysimachia foenum - graecum Hance)은 앵초과로 영향풀 또는 기타 동속 근연식물의 전초이다. 다른 말로는 훈초, 향초, 영향초라고 부르기도 한다. 영릉향은 원주형의 줄기와 어긋난 광난형의 잎을 가지고 있으며, 줄기는 길이 40~60 cm, 잎의 지름은 4~6 cm로서 선단은 뾰족하고 긴 엽병을 가지고 있다. 영릉향의 성질은 평하고 맛은 달며, 독이 없다. 명치 아래의 복통을 낫게 하며 몸에서 향기를 풍기게 한다. 효능으로는 풍한사를 없애며, 기의 순환을 촉진하며 통증을 멎게 한다. 또한, 염증 제거에 효과가 있어, 지루성 두피에 좋다고 널리 알려져 있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우수한 두피 트러블 완화 효과를 가지고 있어, 저자극성 두피 자극 완화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선복화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선복화를 세절한 후 다시 분쇄하여 분말 상으로 수득하였다. 수득한 선복화 분말에 70% 에탄올을 중량 대비 5~30배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하여 추출한 후, 여과지를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액은 회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하기에서 사용하였다.
[ 실시예 2: 백미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백미(Cynanchi Radix)를 세절한 후 다시 분쇄하여 분말 상으로 수득하였다. 수득한 백미 분말에 70% 에탄올을 중량 대비 5~30배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하여 추출한 후, 여과지를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액은 회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하기에서 사용하였다.
[ 실시예 3. 영릉향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영릉향을 세절한 후 다시 분쇄하여 분말 상으로 수득하였다. 수득한 영릉향 분말에 70% 에탄올을 중량 대비 5~30배로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하여 추출한 후, 여과지를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액은 회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하기에서 사용하였다.
[ 시험예 1: 세포독성확인 - MTT 어세이 ]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에 대한 세포독성을 확인하고자 MTT 어세이(assay)를 수행하였다. 사람 유래의 각질 형성 세포(HaCaT)를 96 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하고 배양한 후, 실시예 1 내지 3에서 각각 제조한 백미, 영릉향, 선복화 추출물을 무혈청 배지를 이용하여 각각 하기 표 1에 기재된 농도가 되게 희석한 후,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MTT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사용하였다. 추출물의 처리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능(%)을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시료(μg/ml) 세포생존율(%)
대조군 100.0±5.2
실시예 1 0 100.0±8.4
10 85.7±0.7
20 80.3±2.22
50 43.7±0.95
100 26.4±2.19
실시예 2 0 100.0±4.99
0.5 84.5±1.88
1 65.1±3.87
3 45.8±2.47
5 37.8±2.19
10 32.7±1.09
실시예 3 0 100.0±8.4
10 88.8±2.24
20 44.2±4.28
50 4.8±0.09
100 4.8±0.09
200 5.2±0.22
표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선복화 추출물 및 실시예 3에서 제조한 영릉향 추출물의 경우, 20 μg/ml 농도까지 처리 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실시예 2에서 제조한 백미추출물의 경우, 낮은 농도에서 독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 시험예 2: 항염 효능 평가 - NO 생성 저해능 평가]
96웰 플레이트에 5×105의 Raw 264.7 세포가 들어있는 부유약 100 μl를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에 하기 표 2에 기재된 농도의 추출물을 각각 처리한 후, 염증 반응 유도 인자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를 0.1 μ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이용하여 NO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액 50 μl와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50 μl를 혼합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NMMA(iNOS 효소의 기질 유사물)을 이용하여 효능을 비교하였다.
시료(μg/ml) NO 생성 저해능(%)
대조군 5 39.8±7.8
10 58.3±5.2
20 75.3±4.8
실시예 1 1 5.6±2.8
5 12.3±0.7
10 25.5±2.4
실시예 2 1 15.5±3.5
3 38.5±3.7
5 77.00.5
실시예 3 10 8.6±1.9
20 15.4±3.3
50 25.5±5.1
상기 표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 3에서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인 NMMA 대비 우수한 NO 생성 저해능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3: 항산화 효능 평가 - 세포 내 ROS 생성 저해능 평가]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각각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의 ROS(Reactive Oxigen Species) 생성 저해능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 유래의 각질 형성 세포(HaCaT)를 96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ml의 농도로 접종하고 배양한 후, 실시예 1, 2, 3에서 각각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을 무혈청 배지를 이용하여 하기 표 3에 기재된 농도로 각각 희석한 후,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형광 물질인 DCFH-DA를 20 μM의 농도로 20분 동안 처리한 후. 과산화수소(H2O2)를 처리하여 1시간 추가 배양한 뒤, 485 nm / 535 nm에서 흡광값 측정하여 ROS 생성 저해능을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퀘르세틴(Quercetin)을 사용하였다.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ROS 생성 저해능(%)을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μg/ml) ROS 생성 저해능 (%)
대조군
(NMMA)
10 6.29±5.68
50 37.30±0.22
100 45.13±3.29
실시예 1 1 16.9±5.7
5 39.1±6.7
실시예 2 10 0.0±4.2
50 82.8±4.5
실시예 3 1 0.0±7.0
5 9.3±1.2
10 56.6±3.1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 3에서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인 퀘르세틴 대비 우수한 ROS 생성 저해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4: 피부 턴 오버 주기 정상화 평가 - 각질형성세포의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 1 발현 평가]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의 피부 턴 오버(turn over) 주기 정상화를 평가하고자 각질형성세포의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1의 발현을 평가하였다. 각질층에서 세포 간 지질막과 더불어 견고한 장벽을 이루는 주요 구조물인 각질세포막은 세포 내 칼슘 유입과 이에 의해 활성화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1의 효소작용에 의해 매개된다. 따라서, HaCaT를 이용하여 세포 내에 존재하는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1의 발현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표피세포의 분화를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른 피부의 턴 오버 주기 정상화를 평가할 수 있다.
사람 유래의 각질 형성 세포(HaCaT)를 96 웰 플레이트에 5×105 cell/ml의 농도로 접종하고 배양한 후, 실시예 1, 2, 3에서 각각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을 무혈청 배지를 이용하여 하기 표 4에 기재된 농도로 각각 희석한 후, 48시간 동안 추가 배양하였다.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1 (E-6) 항체(SC-166467)를 이용하여 웰 당 100 μl 처리한 후(1% BSA in PBS), 1시간 상온에서 인큐베이션한 후, 2차 항체를 이용하여 웰 당 100 μl 처리한 후, 1시간 상온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각 웰의 수분을 건조한 후, OPD(o-phenylenediamine)을 웰 당 200 μl씩 처리 후, 30분간 인큐베이션한 뒤, 490 nm에서 흡광값 측정하여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1의 발현능을 평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알란토인(Allantoin)을 사용하였다.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1의 발현능(%)을 표 4에 나타내었다.
시료(μg/ml)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1 발현능(%)
대조군
(Allantoin)
5 -3.4±0.5
10 10.1±5.6
20 21.34±8.8
실시예 1 1 2.1±4.4
5 3.7±2.3
10 9.31±4.0
실시예 2 10 8.3±3.8
50 4.4±1.9
100 15.2±6.8
실시예 3 1 -5.8±2.1
5 8.1±2.5
10 13.6±3.8
상기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2, 3에서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으로 트랜스글루타미나아제(transglutaminase) 1 발현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5: 항알러지 효능 평가 - β- 헥소아미니다아제 저해율 어세이 ]
상기 실시예 1, 2, 3에서 각각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의 항알러지 효능을 확인하고자 β-헥소아미니다아제의 방출 여부를 확인하였다. 두피 트러블 중 가려움증이 있는데, 이는 두피가 자극원에 노출되어 일어나는 현상으로 알러지 반응이 유발된다. 알러지 반응은 마스트(Mast) 세포가 탈과립되어 일어나게 된다. β-헥소아미니다아제 방출능 어세이는 마스트 세포가 탈과립되어 분비하는 히스타민의 방출량을 확인하기 위한 실험으로, β-헥소아미니다아제는 히스타민의 방출량과 비례하기 때문에 간접적으로 측정 가능한 것이다.
β-헥소아미니다아제의 방출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RBL-2H3(basophilic leukemia)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에 3×105 cell/ml의 농도로 접종하고 배양한 후, 실시예 1, 2, 3에서 각각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을 티로드의 버퍼(Tyrodes buffer)에 DNP-BSA를 200 ng/ml로 100 μl 씩 처리하여 하기 표 5에 기재된 농도로 희석한 후, 1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상등액에 기질을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배양한 후 세포에 라이시스 버퍼(lysis buffer)를 넣어 상등액을 또 다른 96 웰 플레이트에 옮기고 기질을 첨가하고, 37℃에서 1시간 추가 배양한 후 스탑 버퍼(Stop buffer)를 넣고 405 nm에서 흡광을 측정하여 β-헥소아미니다아제의 방출 저해 여부를 평가하고자 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알란토인(Allantoin)을 사용하였다. 선복화, 백미, 영릉향 추출물의 처리 농도에 따른 β-헥소아미니다아제 방출 저해능을 표 5에 나타내었다.
시료(μg/ml) β-헥소아미니다아제 방출 저해능(%)
대조군 10 37.4±3.8
20 44.8±2.9
50 46.8±5.4
실시예 1 1 42.4±0.8
5 50.8±2.9
10 43.3±1.4
실시예 2 1 49.6±2.1
5 65.1±1.4
10 65.5±1.8
실시예 3 1 34.3±1.9
5 36.8±1.8
10 43.5±3.4
표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조군의 경우 농도가 증가될수록 β-헥소아미니다아제 방출 저해능이 높아져 항알러지 효능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3에서는 농도 의존적으로 β-헥소아미니다아제의 방출 저해능이 높아졌으며 특히, 백미추출물의 경우, 저농도에서도 β-헥소아미니다아제의 방출 저해능이 높아 항알러지 효능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시예 4: 선복화 , 백미, 영릉향 복합 추출물의 제조]
건조된 선복화, 백미, 영릉향을 10:80:10(w/w/w) 비율로 혼합하여 세절한 후 다시 분쇄하여 분말 상으로 수득하였다. 수득한 혼합 분말에 70% 에탄올을 중량 대비 5~30배 첨가하여 상온에서 3시간 교반하여 추출한 후, 여과지를 사용하여 추출액을 회수하였다. 회수된 추출액은 회전 감압 농축기를 사용하여 농축하여 하기에서 사용하였다.
[ 시험예 6: 세포 독성 평가 - MTT 어세이 ]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복합추출물의 세포독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람 유래의 각질 형성 세포(HaCaT)를 96 웰 플레이트에 1×105 cells/ml의 농도로 접종하고 배양한 후,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복합추출물을 무혈청 배지를 이용하여 하기 표 6에 기재된 농도로 희석한 후, 24시간 동안 처리하고 MTT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의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대조군은 시료를 처리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사용하였다. 복합추출물의 처리농도에 따른 세포 생존능(%)을 표 6에 나타내었다.
시료(μg/ml) 세포생존율(%)
대조군 100.±05.2
실시예 4 10 100±3.5
20 85±4.3
50 62±6.2
100 60±5.1
200 54±4.8
표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복합 추출물의 경우, 20 μg/ml 농도까지 처리 시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백미추출물의 경우 단독 처리 시, 낮은 농도에서는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복합추출물로 제조 시, 세포 독성이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7: 항염 효능 평가 - NO 생성 저해능 평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복합추출물의 NO 생성 저해능을 확인하고자 96 웰 플레이트에 5×105의 Raw 264.7 세포가 들어있는 부유약 100 μl를 넣고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무혈청 배지에 최종 농도가 표 7에 기재한 바와 같이 되도록 복합추출물을 처리한 후, 염증 반응 유도 인자인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를 0.1 μg/ml의 농도가 되도록 처리하였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이용하여 NO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액 50 μl와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 50 μl를 혼합하여 10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값을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NMMA(iNOS 효소의 기질 유사물)을 이용하여 효능을 비교하였다.
시료(μg/ml) NO 생성 저해능(%)
대조군(NMMA) 50 μM 30.5±3.2
실시예 4 10 31.2±5.8
20 54.6±4.3
50 62.3±6.5
100 61.5±7.1
200 61.8±4.2
표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복합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과 비교 시 우수한 항염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8: 피부 자극 유발 여부 평가]
실시예 4에서 제조한 복합추출물의 인체에 대한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인체 첩포 시험 (Human patch test)을 통하여 인체에 대한 1차 자극 시험을 수행하였다. 건강한 성인 남녀 20명을 대상으로 CTFA 가이드라인 (참고문헌: The Cosmetic, Toility and Fragrance Association. Inc. Washington, D.C., 20036, 1991)에 따라 실시하였다. 핀 챔버(Finn chamber)에 시료 20 μl를 적하시킨 후, 이를 시험 부위인 인체의 팔 안쪽에 얹은 다음 테이프로 고정시켰다. 1차 피부 자극 시험은 24시간 동안 첩포한 후, 첩포를 제거하고 다시 4시간, 24시간 경과 한 다음 시험 부위의 피부 반응을 다음 기준에 따라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8에 나타내었다.
시료 피시험자수 판정 결과 자극도
++ + +- -
실시예 4 20 - - - 5 0
대조군 20 - - - 5 0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 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어 오름

[계산식]
자극도 =[{(±)수×1} + {(+)수×2} +{(++)수×3}]/피시험자 수
표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4에서 제조한 선복화, 백미, 영릉향 복합 추출물의 경우, 인체에 대한 피부 자극 시험을 평가한 결과, 자극을 유발하지 않으며 피부에 적용하기에 안전한 소재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4)

  1. 선복화 추출물, 백미(Cynanchi Radix) 추출물 및 영릉향 추출물이 혼합된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추출물은,
    선복화 추출물, 백미(Cynanchi Radix) 추출물 및 영릉향 추출물이 고형분 함량을 기준으로, 10:80:1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3. 선복화 분말, 백미(Cynanchi Radix) 분말 및 영릉향 분말을 혼합한 혼합 분말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분말은,
    선복화 분말, 백미(Cynanchi Radix) 분말 및 영릉향 분말이 10:80:10의 중량 비율로 혼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087579A 2012-08-10 2012-08-10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579A KR101397160B1 (ko) 2012-08-10 2012-08-10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7579A KR101397160B1 (ko) 2012-08-10 2012-08-10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21315A true KR20140021315A (ko) 2014-02-20
KR101397160B1 KR101397160B1 (ko) 2014-05-20

Family

ID=50267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7579A KR101397160B1 (ko) 2012-08-10 2012-08-10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71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544B1 (ko) * 2021-12-20 2022-05-19 주식회사 더마룹 소금을 통해 스크럽 기능을 강화한 모발 및 두피 세정용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447B1 (ko) 2020-10-19 2021-03-05 주식회사 에이케이인터내셔널 두피 및 모발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8275B1 (ko) 2021-04-27 2022-01-06 주식회사 래디안 피부 자극 완화 및 항염 효능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55539B1 (ko) 2021-07-06 2023-07-13 주식회사 래디안 오크라 발아 삼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06838B1 (ko) 2023-01-20 2023-11-29 그린코스 주식회사 식물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30960B1 (ja) * 2005-08-12 2006-10-11 建仁 河乃 育毛物質
KR101456061B1 (ko) * 2007-07-02 2014-11-0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피부트러블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05692B1 (ko) 2007-08-30 2008-02-21 (주)유니허브 탈모방지용 한방추출물 및 이를 이용한 탈모방지용 샴푸
KR101345727B1 (ko) * 2007-12-27 2013-12-27 박연종 두피 및 모발 개선용 샴푸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9544B1 (ko) * 2021-12-20 2022-05-19 주식회사 더마룹 소금을 통해 스크럽 기능을 강화한 모발 및 두피 세정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7160B1 (ko)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529811B2 (ja) 皮膚外用剤
KR101704874B1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02279A (ko) 아토피 증상 개선의 효과가 있는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JP2008273875A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20130015339A (ko) 여드름 치료용 크림 조성물
KR101555354B1 (ko) 발효식물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과 이의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이용한 헤어샴푸
KR102300581B1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2443283B1 (ko) 마이크로바이옴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981344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CN110339124A (zh) 一种用于美白祛斑的美容面霜及其制备方法
KR101303807B1 (ko)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20130143241A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8685B1 (ko) 벼룩이자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504878B1 (ko) 능소화 꽃, 매화 꽃, 붉가시나무의 가지 또는 잎의 혼합발효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염, 피부진정 및 가려움증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14212B1 (ko) 화장료 크림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305942B1 (ko)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7952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46610B1 (ko) 스코폴린, 스코폴레틴 및 진세노사이드가 증진된 인체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이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