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5942B1 -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5942B1
KR102305942B1 KR1020190073806A KR20190073806A KR102305942B1 KR 102305942 B1 KR102305942 B1 KR 102305942B1 KR 1020190073806 A KR1020190073806 A KR 1020190073806A KR 20190073806 A KR20190073806 A KR 20190073806A KR 102305942 B1 KR102305942 B1 KR 1023059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fermentation
turmeric
fermented
tempera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3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145169A (ko
Inventor
백양
유효중
문선영
Original Assignee
백양
유효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양, 유효중 filed Critical 백양
Priority to KR1020190073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5942B1/ko
Publication of KR202001451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51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59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59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6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ountering cellulit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제형 안정제를 첨가하여,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하는 3차 발효 단계; 및 d)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바디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는 제형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BODY COSMETICS COMPOSITION COMPRISING VEGETABLE EXTRACT AND TUMERIC EXTRACT BY MULTIPLE FERMENTATION STEPS}
본 발명은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울금 추출물을 발효하는 단계에 있어서 식물성 추출물을 혼합시켜 복수의 발효 단계를 거침으로써, 친환경적이면서도 보습 및 항산화 활성이 우수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람의 피부는 인체를 외부의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부터 보호하며, 수분이 손실되는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인간의 피부는 자외선에 노출됨으로써, 피부주름, 탄력저하, 색소침착 등으로 인해 노화가 일어나고, 활성 산소종에 의해 각질층인 피부장벽이 손상됨으로써, 각질유발, 건선, 수분감소, 모공 확장, 여드름 등 다양한 피부 질환 문제를 유발하게 된다.
아울러, 최근 들어 생활수준의 향상으로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가하면서, 여성들의 화장품, 특히 기능성 미용제품에 대한 관심이 날로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과 지방 제거 및 피부 탄력을 부여하는 슬리밍 제품에 대한 관심도 계속 증가되고 있다. 특히, 여성의 사회적 지위 향상과 경제적 독립 등의 사회적인 환경 변화에 의해 삶의 질을 높이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하게 되므로 미의 관점에서 아름다운 몸매에 대해 관심도 또한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셀룰라이트는 피하 지방조직의 이상 누적 외에도 임파체계의 이상으로 임파액이 인체조직 간극에 정체됨으로써 그 부위에 일종의 부종현상이 나타나 마치 살이 찐 것처럼 보이는 것으로, 조직 간극에 임파액이 정체되면 비만증과 같은 미용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체내에 독성물질이 누적되어 피부세포에 악영향을 끼치고 세포의 영양섭취를 위한 이온화 활동을 저해하여 피부의 노화는 물론세포의 괴사현상까지 유발하게 되어, 과도한 피하 지방의 제거 및 피부 탄력의 증진에 효과적인 슬리밍(slimming) 및 안티 셀룰라이트(anti-cellulite) 화장품에 대한 요구도 꾸준히 높아지고 있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피부의 기본적인 능력을 현저하게 떨어트리는 노화를 억제하기 위하여, 적절한 피부 수분을 유지하고, 갈라짐, 건조함 등을 방지하고, 활성 산소종을 중화시켜 항산화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피부의 노화를 지연시키고, 동시에 미적 기준을 충족시키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개시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7-0001996 (2017.01.06.)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공보 10-1246161 (2013.03.08.) [특허문헌 3] 한국등록특허공보 10-1567755 (2015.11.04.) [특허문헌 4]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6-0072740 (2016.06.23.)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복수의 단계를 거쳐 발효시킴으로써, 각질세포의 형성을 유도하여 적절한 피부 수분이 유지되고, 활성 산소종을 중화시키는 항산화 기능이 부여된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복수의 단계를 거쳐 발효시킴으로써, 인체의 자극이 없고, 지방세포 내에 축적되어 있는 중성지방을 글리세롤과 유리 지방산으로 분해하고 배출하는 과정을 촉진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은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제형 안정제를 첨가하여,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하는 3차 발효 단계; 및 d)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바디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는 제형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 사이에,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1,000 rpm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한 후, 40℃ 내지 70℃ 온도조건 및 600 bar 내지 1500 bar 압력조건에서 나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당귀, 허브, 쑥, 차조기, 우엉 및 올리브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울금 추출물은 울금 분말을 100℃의 온도에서 10~30분 볶는 후, 100~300mesh의 입도크기로 분쇄한 울금분말에 우유를 1:1 중량비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120℃의 온도에서 20분간 살균하는 제1공정; 상기 살균한 울금 혼합물에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과 함께, 락도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또는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중 1종을 선택하여 각각 1~2%(v/v)씩 접종하여 교반배양기에서 7일간 혼합 발효하는 제2공정; 상기 발효된 울금을 50~65℃의 온도에서 15일간 건조시킨 후 건조된 울금을 다시 한번 500~700mesh의 입도크기로 분쇄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된 울금 분말을 열수 수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2차 발효단계의 식물성 추출물은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형 안정제는 주정 알코올 및 잔탄검이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주정 알코올과 잔탄검이 각각 1 내지 5 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도록 첨가하여 바디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어느 한 가지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은 탄력 증진 효과 내지 셀룰라이트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복수의 단계를 거쳐 발효시킴으로써, 각질세포의 형성을 유도하여 적절한 피부 수분이 유지되고, 활성 산소종을 중화시키는 항산화 기능이 부여된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천연재료 추출물을 이용하여 제조함으로써, 장기간 사용하거나 피부가 예민한 사람이 사용하여도 피부에 자극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을 이용해 피부보습력을 강화시킨 후, 발효 단계에 점성을 부여하는 재료를 첨가함으로써, 제형안정성이 강화된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의 발효 단계에 있어서, 경피 흡수가 더 용이한 나노화된 입자크기의 바디 화장료 조성물을 확보할 수 있는 공정을 추가함으로써,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의 유효성분을 효율적으로 피부 내로 전달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의 소정의 발효 단계를 거듭함에 따라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의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통해 바디 화장료 조성물이 노화방지, 주름개선 등 기능성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의 소정의 발효 단계를 거듭하여 제조된 바디 화장용 조성물이 지방세포 내에서 지방 분해를 촉진시키고, 개선된 혈류의 순환에 의해 노폐물의 축적이 방지됨으로써, 피부 탄력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의 공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발효물을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한 후 세포 생존율의 변화를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3은 발효물을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한 후 하알루론산의 생성향 변화를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4는 각질형성세포에 처리한 후 보습에 관련된 유전자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5는 실험예4의 결과로서, 발효물의 입자크기를 분석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은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제형 안정제를 첨가하여,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하는 3차 발효 단계; 및 d)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바디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는 제형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바디 화장료 제형은 바디로션, 바디오일 및 바디크림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디 화장료 조성물인 울금(Turmeric)은 생강목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인도를 중심으로 한 열대, 아열대 지역에서 주로 재배되며 줄기와 뿌리를 식용, 약용 등으로 사용한다. 인도, 중국. 동남아시아 등지에서 많이 재배되며, 우리나라는 전남 진도, 전남 해남, 전북 부안 등 남부지방에서 재배되고 있다. 울금은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성분인 커큐민(curcumin)과 터르페노이드(terpenoids) 성분인 투르메론(turmerone), 진기베렌(zingiberene) 등의 기능성 피토케미칼(phytochemicals)을 함유한다. 상기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성분은 항산화 작용을 통하여 피부노화를 막고 세포보호기능을 하며, 각질 형성 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를 촉진시킨다. 터르페노이드(terpenoids) 성분은 피부세포 내에 존재하는 세균들에 대항하여 항염 및 항균 작용과 피부 보습작용을 나타내기 때문에 여드름이나 아토피와 같은 피부손상에 있어서도 피부수복기능을 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은 보습과 항산화 및 항염에 효과가 있는 울금을 바디 화장료 조성물로서 이용하고, 울금 추출물의 피부 보습 효과 및 항산화 효과를 현저하게 증진시키기 위하여, 본 발명은 울금 추출물이 복수의 단계로 발효하였다.
발효는 유기물이 미생물작용에 의해 분해 및 변화하여 유용한 물질이 생산되는 것을 의미한다. 발효는 환경에 따라 다양하게 일어날 수 있는데, 전형적으로는 효모의 알코올발효, 글리세롤발효, 젖산균의 젖산발효, 헤테로젖산발효, 메탄세균의 메탄발효, 및 대장균 등에 의한 혼합유기산발효가 있다. 산화발효는 기질의 불완전산화에 의한 중간대사물의 축적을 이용하는 것으로 아세트산균에 의한 아세트산발효, 글루콘산발효, 소르보오스발효나 사상균에 의한 시트르산, 글루콘산, 푸마르산, 옥살산 등의 유기산발효가 있다.
본 발명의 1차 발효 단계에서는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킨다.
상기 1차 발효 단계의 주요 목적은 비교적 저온인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것은 저온에서 활성을 보이는 울금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발효 과정에서 참여하여 초산균에 총 균수증대와 울금 추출물의 총 향균력에 기여하도록 함에 있다.
상기 울금 추출물은 일반적인 울금 분말을 이용하여 추출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울금 추출물의 약리작용이 증진된 발효 울금 분말을 추출하여 사용한 것을 이용 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울금 분말을 100℃의 온도에서 10~30분 볶는 후, 100~300mesh의 입도크기로 분쇄한 울금분말에 우유를 1:1 중량비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120℃의 온도에서 20분간 살균하는 제1공정; a2) 상기 살균한 울금 혼합물에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과 함께, 락도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또는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중 1종을 선택하여 각각 1~2%(v/v)씩 접종하여 교반배양기에서 7일간 혼합 발효하는 제2공정; 상기 발효된 울금을 50~65℃의 온도에서 15일간 건조시킨 후 건조된 울금을 다시 한번 500~700mesh의 입도크기로 분쇄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된 울금 분말을 열수 수출하여 이용 할 수 있고, 더욱 구체적으로, 분쇄된 울금분말과 물을 1:150~250의 중량비로 농축기에 넣고 110~130℃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냉각시켜 제조된 울금 추출물을 사용 할 수 있다. 상기 울금 분말의 울금 추출물로 복수의 발효 단계를 거쳐 발효 될 경우, 발효 과정에서 인체에 유용한 유기산 및 에탄올과 같은 발효산물 뿐만 아니라 박테리오신(bacteriocin)의 함량을 더욱 증진시켜, 우수한 항산화 및 향균 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울금 추출물은 a1) 황토방에서 35~45℃의 온도로 30~65시간 동안 건조시키고, 분말화 하는 단계; a2) 황토방에서 35~45℃의 온도로 30~65시간 동안 건조한 울금을 미세하게 분쇄하는 단계; a3) 분쇄된 울금 분말과 물을 1:150~250의 중량비로 농축기에 넣고 110~130℃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냉각시켜 울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울금이 황토방에서 건조되는 이유는, 상기 황토방에서 방사되는 황토의 원적외선에 의한 효과를 기대함과 더불어 상기 울금의 차가운 성질을 황토의 따뜻한 성질에 의해 보완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울금을 35~45℃의 온도로 30~65시간 동안 햇빛이 들지 않는 황토방에서 건조하는 이유는, 상기 울금에 함유되어 있는 커큐민을 포함한 유효성분이 파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분쇄된 울금 분말과 물을 1:150~250의 중량비로 농축기에 넣고 110~130℃의 온도에서 2~5시간 동안 가열한 후 냉각시켜 울금 추출물을 제조함으로써, 울금이 살균되고 울금의 성분이 강화되며, 울금 분말이 물에 완전히 희석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외에,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울금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온도, 압력의 조건 하에서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예컨대, 본 발명에서는 울금 추출물에 물, 탄소 수 1 내지 4의 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부틸아세테이트, 1,3-부틸렌 글리콜,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탄올, 더욱 바람직하게는 프레타놀 A(prethanol A)을 사용하여 추출할 수 있다. 또한, 울금 추출물을 추출하는 방법은 상온 추출, 열수 추출, 냉침 추출, 환류 추출, 마이크로웨이브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추출할 수 있다.
상기 1차 발효 단계에서 첨가되는 정제수에 있어서, 상기 정제수는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대하여 1500 내지 2500 중량부를 첨가하고, 더욱 구체적으로는 2000 중량부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수는 화장품, 비누, 세정제, 샴푸 등에 적용되고, 사람에게 무해한 것으로서, 당업자들에게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정제수를 사용한다. 울금 100 중량부에 대하여 정제수 1500 내지 2500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정제수가 1500 중량부 미만으로 혼합되면, 발효 효율이 저감 될 수 있고, 상기 정제수가 2500 중량부를 초과하여 혼합되면, 단위 부피당 울금 추출물의 함량이 적어, 피부 개선 효과가 미미해 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2차 발효 단계에서는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킨다.
상기 2차 발효 단계의 주요 목적은 울금 추출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하여 함께 발효함으로써, 바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 색소개선, 피부진정, 항산화 및 지방분해 등 피부개선 외의 부수적인 미용기능성을 보일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당귀, 허브, 쑥, 차조기, 우엉 및 올리브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박하는 향균작용을 가지며, 피부의 모세혈관을 확장하여 열을 배출시킴으로써, 피부개선 효과가 있다. 아울러, 박하는 향기를 발산함으로써, 청량감을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박하는 수렴작용이 뛰어나 모공이 넓은 피부나 지성피부에 효과적이고, 간지러운 피부에도 진정효과가 뛰어나며, 피부탄력, 노화예방에도 좋은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또한, 당귀는 방향유, 비타민, 유기산 및 미량 원소 등 다양한 유기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 피부를 희게 하는 약재로 알려져 있으며, 혈관 장애를 개선시켜 혈액 순환을 증진시키고, 멜라닌 형성을 억제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있다. 특히, 황갈색 반점과 주근깨 등의 색소성 피부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허브는 방부 및 살균효과가 있고, 피부 pH 균형을 조절하며,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알레르기의 예방 및 경감과 피부 질환을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쑥은 유파틸린, 자세오시딘, 아피게닌(apigenin), 유파폴린(eupafolin), 아밀라아제, 콜린, 아르데모즈, 유칼립톨, 정유 성분, 비타민류, 단백질, 칼슘,마그네슘, 철분, 칼륨 및 인 등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방부 효과, 항산화 효과로 인해, 지혈, 여드름, 가려움증, 습진, 화상, 무좀 및 거친피부에 이용하여 용이하게 피부를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차조기는 항산화 작용을 하는 베타카로틴의 성분이 다량 포함되어 있어, 세포의 산화를 방지하고, 염증을 가라앉힌다. 비타민B2, 비타민C 및 미네랄 등 성분으로 피부에 영양을 공급함으로써, 피부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
우엉은 사포닌 및 탄닌 성분을 함유하고 있어서 피부 미용 및 노화 예방에 뛰어나다고 알려져 있고, 항바이러스와 항곰팡이 및 항염증 효과가 있다.
상기 올리브는 올리브 열매 또는 종자, 나아가 과실의 껍질, 종자의 껍질, 잎, 줄기 및 싹 등을 건조 또는 그대로 분쇄하여 얻어진 분쇄물을 친수성 유기용매 또는 소수성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올리브 추출물은 피부의 피지와 유사하여, 영양과 보습을 동시에 공급하기 할 수 있다. 또한, 올리브 추출물은 피부에 자극이 없으면서도 항산화 효과와 함께 항염증 효과까지 갖추고 있어, 민감성 피부인 사용자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 방법에 따라서, 올리브 추출물의 부가적인 기능을 보충하기 위하여, 당업계의 통상적인 식물성 추출물인 호호바 추출물, 코코넛 추출물, 미강 추출물, 시어버터 추출물, 코코넛 추출물, 팜 추출물, 목화씨 추출물, 카리테열매 추출물, 포도씨 추출물, 면실 추출물, 대두 추출물, 피마자 추출물, 유달맞이꽃 종자 추출물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혼합물을 이용하여,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10~30 중량%, 당귀 5~20 중량%, 허브 5~20 중량%, 쑥 5~10 중량%, 차조기 5~10 중량%, 우엉 5~10중량% 및 올리브 10~30 중량%로 제조될 수 있다.
각 재료들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사용하는 경우, 각 재료들이 가지는 항균, 항산화, 해독, 혈액순환, 보습, 모세혈관 확장, 비타민과 미네랄 등의 영영소 공급, 각종 세균 제거 및 또는 청량감 등의 효능이 전체적으로 최적 조합되어, 피부 개선이 현저한 효과가 있는 식물성 추출액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2차 발효단계의 식물성 추출물은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이 최적의 활성 효과를 발휘 할 수 있다.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5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식물성 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의 활성효과가 미흡하며, 상기 식물성 추출물이 20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첨가량 초과에 따른 이익이 없어 경제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식물성 추출물은 상기 기재된 범위로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본 발명의 3차 발효 단계에서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제형 안정제를 첨가하여,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시킨다.
상기 3차 발효 단계의 주요 목적은 울금 추출 및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이 상온과 비슷한 온도에서 발효되어, 상온에서 보습, 항산화 및 지방 분해를 유도할 수 있고 활성 물질을 함유한 조성물이 제조되도록 함에 있다.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형 안정제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들에 의해 주로 사용되는 것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주정 알코올 및 잔탄검이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주정 알코올과 잔탄검이 각각 1 내지 5 중량% 첨가 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주정 알코올과 잔탄검이 1 중량% 미만으로 첨가되면, 발효물의 제형안전성이 저감 될 우려가 있고, 5 중량%를 초과하여 첨가되면, 점성 증가에 따라서 울금 추출물의 유효성분이 흡수력이 떨어져, 피부 개선, 항산화 및 슬리밍 효과가 저감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주정 알코올과 잔탄검은 상기 기재된 범위로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첨가하는 것이 적절하다.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도록 첨가하여 바디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이면 효과가 미미하고, 10 중량%를 초과하게 되면 함량에 비해 상승효과를 가지기 어렵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 사이에,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1,000 rpm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한 후, 40℃ 내지 70℃ 온도조건 및 600 bar 내지 1500 bar 압력조건에서 나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이 1,000 rpm 미만의 속도로 교반되면, 불균일한 조성을 갖게 될 수 있고, 2,000 rpm 초과의 속도로 교반되면, 고속 회전에 의한 마찰열 발생, 안정도의 저하 등이 발생 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rpm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하는 것 일 수 있다. 상기 교반 시간보다 작을 경우에는 수화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의 시간보다 많을 경우에는 발효물의 가수분해가 촉진되어 안정도가 좋지 못한 단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이 교반 된 후, 고압 균질화기에 투입 할 수 있다. 상기 고압 균질화기의 온도가 40℃ 미만이면, 발효물의 유화 온도보다 낮아 고압 균질화기에서 처리할 수 없을 수 있다. 70℃를 초과하면 고압 균질화기에서 가해지는 에너지와 더불어 높은 온도로 발효물 자체가 변성되거나, 고에너지로 인해 겔(Gel)화 되어 나노화로 밀집된 입자를 얻을 수 없을 수 있다.
또한, 상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이 교반 된 후, 상기 고압 균질화기에 투입하였을 경우, 압력이 약 6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7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8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9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1,000 bar 내지 약 1,500 bar, 약 1,100 bar 내지 약 1,400 bar, 또는 약 1,200 bar 내지 약 1,300 bar의 압력 하에서 수행될 수 있다. 압력이 600 bar 미만이면, 나노 크기의 균질한 입자를 형성하기 어렵고, 1,500 bar를 초과하는 경우 너무 강한 힘에 의한 마찰로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활성물질인 발효물에 손상을 일으켜 안정도가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기재된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상기 바디 화장료 조성물은 탄력 증진 효과 내지 셀룰라이트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 팩인 경우 공지의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셀롤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의 제조.
울금 추출물의 발효단계와 발효단계에서 추가로 첨가되는 추출물의 유무에 따라 하기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시료를 제조하였다.
또한, 실시예3 내지 실시예5에서 2차 발효 단계에 사용된 식물성 추출물은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10 중량%로 첨가되었고,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추출물 10~30 중량%, 당귀 추출물5~20 중량%, 허브 추출물5~20 중량%, 쑥 추출물5~10 중량%, 차조기 추출물5~10 중량%, 우엉 추출물5~10중량% 및 올리브 추출물 10~30 중량%로 구성되어 제조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실시예4 내지 실시예5에서, 3차 발효 단계에 사용된 주정알코올과 잔탄검은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3 중량%가 첨가되었다.
구분 발효 방법
실시예1 1차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실시예2 1차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발효.
2차 발효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실시예3 1차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
2차 발효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발효.
3차 발효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실시예4 1차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
2차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발효.
3차 발효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실시예5 1차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
2차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발효.
3차 발효 주정 알코올과 잔탄검을 첨가한 후 ,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실시예6 1차 발효 울금 추출물 100중량부에 2000 중량부의 정제수를 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
2차 발효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일주일간 발효.
3차 발효 교반기(Agitator)를 사용하여 1,000 rpm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한 후,
55℃에서 고압형 균질기에 투입하여 1,300 bar의 압력으로 연속 5회 통과 시켜 나노화 시키고,
주정 알코올과 잔탄검을 첨가한 후 ,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1년 이상 발효.
■ 실험예 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의 인체 무해 검증 실험.
울금 추출물이 인간각질형성세포(HaCaT,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울금 추출물 내지 식물성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시료가 인간각질형성세포(HaCaT, Human immortalized keratinocyte)의 생장에 미치는 효과를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그 결과, 인간각질형성세포에 울금 추출물을 처리한 실시예 1 내지 3경우, 울금 추출물이 인간각질형성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식물성 추출물이 첨가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5 또한, 인간각질형성세포의 세포 생존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울금 추출물내지 식물성 추출물이 인체에 독성을 나타 내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 참조).
■ 실험예 2: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의 히알루론산(Hyaluronan) 합성 촉진.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에 따라 제조된 시료가 Hyaluronan 생성량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인간각질형성세포를 24 well 세포배양접시에 1㎖의 배양액을 넣고 약
Figure 112019063574234-pat00001
의 농도로 세포를 접종한 후, 37℃, 5% CO2 환경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그 후,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 (10, 및 50㎍/㎖)을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배양액을 회수(harvest)하여 4℃, 7,500rpm 환경에서 5분간 원심분리(centrifuge)한 뒤, ELISA 방법을 이용하여 Hyaluronan(Hyaluronan kit, R&D Systems, Inc., Minneapolis, MN, USA)의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히알루론산(HA, Hyaluronan, Hyaluronic acid)은 주로 표피 각질형성세포와 진피 섬유아세포에 의해 합성되며, 수분과 결합하여 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피부에서 히알루론산의 감소는 피부 탄력 저하 및 수분 함유량 감소의 직접적인 원인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실험 예에서는 인간각질형성세포 내에서 히알루론산의 생성량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료 무 처리군(Nor)이나, 용매 대조군(Con)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5의 처리 군에서는 히알루론산(Hyaluronan)의 생성량이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하는 양상을 확인 하였다(도 3 참조).
또한,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히알루론산 생성량(Hyaluronan)을 비교해보면, 울금 추출물이 복수의 발효단계를 통해 발효된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3은 울금 추출물이 단일 단계로 발효된 실시예1에 비해 히알루론산 생성량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고, 0 내지 10℃ 저온 발효를 거친 실시예 3은 실시예 2에 비해 20% 이상 개선된 히알루론산 생성량이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발효단계에 있어서, 울금 추출물에 식물성 추출물이 첨가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 5는 유사한 정도의 히알루론산(Hyaluronan) 생성량의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고, 울금 추출물로 단일 발효시킨 실시예 3에 비해 약 30% 이상 개선된 히알루론산 생성량이 증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5는 시료 무처리군(Nor)에 비해 약 3.6배 이상 증가한 가장 높은 히알루론산 생성량 증가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서, 울금 추출물이 복수의 발효 단계를 거치게 됨으로써,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현저하게 증가시켜 피부 보습을 개선시키고, 식물성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이 발효되는 단계에 더 첨가됨으로써, 울금 추출물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피부 보습을 더욱 증진 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실험예 3: Filaggrin 및 Hyaluronan synthase-3 유전자 발현 분석.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5에 따라 제조된 시료가 Filaggrin(FLG, 각질층 형성 인자) 및 Hyaluronan synthase-3(HAS-3, 피부보습 인자)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실험하였다. 먼저, 100mm 세포 배양 접시에 인간각질형성세포를 10% FBS를 첨가한 DMEM 배지에 1×10세포 농도로 접종하여37℃, 5% CO2 배양기에서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배양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5의 추출물을 각각 10μg/mL 및 50μg/mL 농도가 되도록 DMEM 배지에 희석하여 제조한 희석용액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동일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이후 Trizol reagent(invitrogen, USA)를 이용하여 세포를 회수하여 RNA를 분리하였다. RTPCR방법을 이용하여 Filaggrin 및 hyaluronan synthase-3의 mRNA 발현량을 확인하였다. 사용한 프라이머는 다음과 같다.
- Filaggrin : 정방향 5′-AAG CTT CAT GGT GAT GCG AC-3′, 역방향 5′-TCA AGC AGA AGA GGA AGG CA-3′
- Hyaluronan synthase-3: 정방향 5′-CCC AGC CAG ATT TGT TGA TG-3′, 역방향 5′-AGT GGT CAC GGG TTT CTT CC-3′
- GAPDH: 정방향 5'-ACC ACA GTC CAT GCC ATC AC-3', 역방향 5'-CCA CCA CCC TGT TGC TGT AG-3'.
- 상기와 같은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RT-PCR 수행하고, 그 결과를 도 4에 정리하였다.
필라그린은 표피 과립층에서 케라토히알린과립(keratohyalin granule)을 형성하는 단백질인 프로필라그린(profilaggrin)의 형태로 존재하다가, 각질형성세포의 최종분화과정에서 필라그린으로 분해된 후에 각질세포막을 형성할 때 케라틴 필라멘트를 응집하여 각질세포의 단단하고 편평한 구조를 만듦으로써 피부장벽에서 벽돌(brick)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히알루론산(HA, Hyaluronan, Hyaluronic acid)은 탄수화물 형태의 성분으로 진피층 및 표피 내에서 수분과 결합하여 세포가 정상적으로 활동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물질이다. 진피층 및 표피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물질의 하나인 히알루론산은 섬유아세포에서 합성되는 물질로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an synthase)에 의해 생산된다. 따라서, 본 실험예에서는 피부 보습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인간각질형성세포 내에서 필라그린과 히알루론산 합성효소의 mRNA 발현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시료 무처리군에 비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5의 처리군에서는 필라그린(filaggrin) 및 히알루론산 합성효소(hyaluronan synthase-3)의 mRNA 발현량이 약 2배 정도증가하는 양상을 확인하였다(도 4 참조).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은 세포 독성이 없고, 각질형성 및 히알루론산의 합성을 증가하여 피부 보습에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특히, 일련에 발효단계에 있어서, 식물성 추출물이 첨가된 시료 군에서 피부 보습에 가장 높은 시너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실험예 4: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의 입자 크기 분석
상기 실시예6 에서 제조된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의 직경 및 비표면적을 레이저 광산란(laserlight scattering) 기술을 이용하여 측정하기 위해, 용매로 사용된 증류수를 기준광으로 하여 입자 측정 후, 실시예 6의 발효물 1g을 취해 증류수 100㎖에 분산시켜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실시예6 에서 제조된 발효물의 입자크기는 225nm로 확인되어, 피부 침투가 더 용이한 사이즈로 나노화 됨을 확인 할 수 있다.(도 5참조)
■ 실험예 5: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의 항산화 활성 확인.
1) 총 폴리페놀 함량 측정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시료 100㎕(10mg/㎖)에 80% 에탄올 900㎕를 혼합하여 희석한 후 시료 500㎕에 10% 알루미늄 니트레이트(aluminium nitrate) 100㎕, 1M 아세트산칼륨(potassium acetate) 100㎕, 80% 에탄올 4,300㎕를 차례로 가하고 40분간 상온에서 반응시킨 후 415nm에서 흡광도를 특정하였다.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표준물질은 퀘세틴(quercetin)을 이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다음 QE(quercetin equivalents)로 나타내었다.
2)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분석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 검정은 7mM 2,2'-Azino-bis(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acid)와 2.45mM 과황산칼륨(potassium persulfate)을 1:1 비율로 혼합하여 실온인 암소에서 24시간 방치 후,라디칼을 형성시키고, UV-vis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732nm에서 흡광도 값이 0.70(±0.02)이 되게PBS(phosphate saline, pH 7.4)로 희석한 후, 희석용액 990㎕에 시료 10㎕를 가하여 10분간 반응시킨 후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각 시료 추출물의 ABTS 라디칼 소거 활성은 대조군에 대한 ABTS 라디칼 소거능을 백분율로 나타내었고 소거 활성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3) 실험 결과
구분 총 폴리페놀 함량
(mg/g)
ABTS 라디칼 소거 활성
(mg/g)
실시예 1 110±2.35 85±1.45
실시예 2 135±0.97 75±2.14
실시예 3 162±1.55 53±1.37
실시예 4 183±1.23 41±1.23
실시예 5 181±0.27 39±0.52
실시예 6 175±0.13 25±0.12
상기 표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3의 발효물의 생리활성을 비교해 본 결과,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실시예 3의 총 폴리페놀 함량(실시예3: 162±1.55 mg/g)과 ABTS라디칼 소거 활성(실시예3: 53±1.37mg/g)이 가장 우수하였고, 식물성 추출물이 첨가된 실시예 4 내지 실시예5는 경우, 실시예 3보다 총 폴리페놀 함량과 ABTS 라디칼소거 활성을 더욱 개선함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나노화된 입자크기의 공정단계를 거친 실시예 6은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의 경피 흡수가 더 용이하게 되어, 더 큰 항산화 활성을 갖게 됨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울금 추출물이 복수의 발효 단계를 거치게 됨으로써, 항산화 활성이 증가하고, 식물성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이 발효되는 단계에 더 첨가됨으로써, 울금 추출물과 항산화 활성의 시너지 효과를 발휘하여,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이 노화방지, 주름개선 등 기능성 화장료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실험예 6: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발효물의 지방 축적 억제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의 발효물을 이용하여, 미분화 상태의 3T3-L1 세포주(Korean Cell Line Bank, KCLB 10092.1)의 지방세포(adipocyte)로의 분화 저해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미분화된 3T3-L1 세포주는 10% 우아혈청(bovine calf serum)이 포함된 DMEM 배지에서 유지하였다. 미분화 3T3-L1 세포주를 밀도가 90% 정도 될 때까지 배양한 다음, 분화를 유도하기 위해 10% 우태혈청(fetal bovine serum)과 덱사메타손, IBMAX, 인슐린이 포함된 DMEM 배지를 교체하였고, 이때부터 실험군의 배지를 교체할 때마다 상기 실시예의 발효물을 디메틸설폭사이드(DMSO)에 녹여 지속적으로 처리해주였다. 이틀 간 배양한 다음, 10% 우태혈청, 인슐린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해주었다. 이어서 이틀 간격으로 10% 우태혈청 만이 포함된 DMEM 배지로 교체해 주었다. 재분화를 유도한 시점부터 8일 후에 지방세포로의 재분화는 완결되었다. 이때 대조군은 실험군과 완전히 동일한 간격으로 배지를 교체하되, 동일한 농도의 DMSO만을 처리하였다. 재분화가 완결된 다음, 지질 성분만을 선택적으로 빨간색으로 염색시키는 오일 레드오로 염색한 후, 오일 레드오 염색약을 세포로부터 추출한 다음, 이 용액의 흡광도(500 nm)를 분광광도계로 측정하여 지방세포로의 분화정도를 비교하였다. 지방세포분화 저해율은 하기의 식과 같이 계산 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의 표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9063574234-pat00002
구분 분화 저해율(%)
실시예 1 15
실시예 2 18
실시예 3 25
실시예 4 31
실시예 5 32
실시예 6 38
■ 실시예 :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의 표 4의 조성으로 바디 크림을 제조하였다.
구분 성분 함량(중량%)
제형 실시예 (함량) 제형 비교예
1 2 3 4 5 6 1
1 실시예1 5.0 - - - - - -
실시예2 - 5.0 - - - - -
실시예3 - - 5.0 - - -
실시예4 - - - 5.0 - - -
실시예5 - - - - 5.0 - -
실시예6 - - - - - 5.0 -
2 불포화 레시친 5.0 5.0 5.0 5.0 5.0 5.0 5.0
3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 0.5 0.5 0.5 0.5 0.5 0.5 0.5
4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5 피이지-30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5 1.5 1.5 1.5 1.5 1.5 1.5
6 피이지-80
글리세릴코코에이트
1.5 1.5 1.5 1.5 1.5 1.5 1.5
7 소듐 아스코빌 포스페이트 5.0 5.0 5.0 5.0 5.0 5.0 5.0
8 부틸렌글리콜 3.0 3.0 3.0 3.0 3.0 3.0 3.0
9 페녹시에탄올 3.0 3.0 3.0 3.0 3.0 3.0 3.0
10 향료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11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 실험예 7: 제형 안정성 분석
본 발명의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의 보관 조건의 변화에 따른 제형 안정성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에서 제조한 화장료 조성물을 0℃에서 1일 → 영상 25℃에서 1일 보관하는 사이클을 반복하고 제형의 변화를 관찰하여 보관 조건의 변화에 따른 화장용 조성물의 제형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총 7회의 사이클을 반복하면서, 매 사이클마다 제형의 안정성을 확인하였으며 제형에이상이 생기는 사이클의 횟수를 표시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구분 제형이 안정성이 유지되는
사이클 횟수
제형 실시예 1 2회까지 안정
제형 실시예 2 3회까지 안정
제형 실시예 3 5회까지 안정
제형 실시예 4 5회까지 안정
제형 실시예 5 8회까지 안정
제형 실시예 6 10회까지 안정
그 결과, 울금 추출물이 복수의 발효 단계를 거치게 됨으로써, 제형안정성이 증가하고, 발효 단계에서 제형 안정제를 첨가(실시예5)하거나 나노화 공정을 더 실시(실시예6)함으로써, 제형 안정성을 더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실험예 8: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의 슬리밍 효과 확인.
상기 제형 실시예 1 내지 제형 실시예 6 및 제형 비교예 1의 각 조성물에 대한 항-셀룰라이트 효과를 측정하였다.
1) 허벅지 둘레 감소 효과
30세 이상의 여성으로 외관상 허벅지에 비만 증세를 갖고 있는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 실시예 1 내지 제형 실시예 6 및 제형 비교예 1의 크림을 사용하여, 1일 2회씩 허벅지에 충분한 양을 8주간 도포하여 항-셀룰라이트 효과를 측정 하였다. 단, 본 실험에 참여한 피검자들은 시험기간 동안 규칙적인 생활과 일정한 식생활을 유지하도록 관리되었다. 측정방법은자(ruller)를 이용하여 줄어든 길이 (△L = L0 - L12)를 측정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이와 같은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구분 허벅지 둘레 변화 (cm)
제형 실시예 1 0.7
제형 실시예 2 0.9
제형 실시예 3 1.5
제형 실시예 4 2.8
제형 실시예 5 2.9
제형 실시예 6 3.5
제형 비교예 1 0.3
상기 표 6에서 알 수 있듯이, 제형 실시예 1 내지 제형 실시예 6을 사용한 경우.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는 비교예1과 비교하여 허벅지 둘레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2) 복부 둘레 감소 효과
30세 이상의 여성으로 외관상 복부에 비만 증세를 갖고 있는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상기 제형 실시예 1 내지 제형 실시예 6 및 제형 비교예 1의 의 크림을 사용하여, 1일 2회씩 복부에 충분한 양을 8주간 도포하였고, 본 실험에 참여한 피검자들은 시험기간 동안 규칙적인 생활과 일정한 식생활을 유지하도록 관리되었다. 8주 후, 적용 전과 후의 복부 지방율과 신체 지방율을 체성분 측정기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복부 지방율은 배꼽선에서의 최대 허리둘레 측정값을 엉덩이 둘레 길이로 나누어 계산하였다. 하기의 결과는 크림을 적용 후 체지방율 및 복부 지방율이 감소한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체지방율 변화(%) 복부지방율 변화(%)
제형 실시예 1 -2.00 -0.12
제형 실시예 2 -2.12 -0.15
제형 실시예 3 -2.25 -0.20
제형 실시예 4 -3.91 -0.31
제형 실시예 5 -3.95 -0.29
제형 실시예 6 -4.90 -0.38
제형 비교예 1 -1.79 -0.05
상기 표 7에서 알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을 사용한 경우.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되지 않는 비교예1과 비해, 체지방율 및 복부지방율이 더 크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상기 제형 실시예 1 내지 제형 실시예 3에 있어서, 울금 추출물이 복수의 발효 단계를 거치게 됨으로써, 지방 분해가 더욱 촉진 되어 체내 지방을 감소시켰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또한, 제형 실시예 4 내지 제형 실시예5 에 있어서, 식물성 추출물은 울금 추출물이 발효되는 단계에 더 첨가됨으로써, 울금 추출물과 지방세포 내에서 지방 분해 시너지 효과를 발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형 실시예 6에 있어서, 나노화된 입자크기의 조성물이 경피 흡수가 보다 용이해짐으로써, 지방 분해가 더욱 촉진 되어 체내 지방을 감소시켰음을 확인 할 수 있다.
■ 실험예 9: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의 탄력 증진 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8의 실험에 참가한 여성 지원자 40명 전원에 대해 시험 기간 동안 탄력 증진 효과에 대한 설문 평가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4에 정리하였다. 이 때 탄력 증진 정도를 다음의 5등급으로 분류하여 평가하고 그 평균을 표 8에 기재하였다.
<탄력 증진 정도 등급>
-2 : 탄력 매우 감소.
-1 : 탄력 약간 감소.
0 : 탄력 변화 없음.
1 : 탄력 약간 증진.
2 : 탄력 매우 증진.
구분 제형 실시예 1 제형 실시예 2 제형 실시예 3 제형 실시예 4 제형 실시예 5 제형 실시예 6 제형 비교예 1
탄력 증진 정도 1.0 1.0 1.5 2.0 2.0 2.0 0
상기 표의 결과로부터 제형 실시예1 내지 실시예 6의 맛사지 크림은 탄력 증진효과도 가지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9)

  1. a) 울금 추출물에 정제수를 첨가한 후 0 내지 10℃의 온도에서 5일 내지 10일간 발효시키는 1차 발효 단계;
    b)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식물성 추출물을 첨가한 후, 10 내지 20℃의 온도에서 2차 발효시키는 2차 발효 단계;
    c)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에 제형 안정제를 첨가하여, 20 내지 30℃의 온도에서 발효 하는 3차 발효 단계; 및
    d)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바디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는 제형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b) 및 상기 단계 c) 사이에,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1,000 rpm 내지 2,000 rpm의 속도로 20분간 교반한 후, 40℃ 내지 70℃ 온도조건 및 600 bar 내지 1500 bar 압력조건에서 나노화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추출물은 박하, 당귀, 허브, 쑥, 차조기, 우엉 및 올리브로부터 추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울금 추출물은
    울금 분말을 100℃의 온도에서 10~30분 볶는 후, 100~300mesh의 입도크기로 분쇄한 울금분말에 우유를 1:1 중량비로 첨가하여 혼합한 후 120℃의 온도에서 20분간 살균하는 제1공정;
    상기 살균한 울금 혼합물에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과 함께, 락도바실러스 불가리쿠스(Lactobacillus bulgaricus) 또는 락토바실러스 액시도필러스(Lactobacillus acidophilus) 중 1종을 선택하여 각각 1~2%(v/v)씩 접종하여 교반배양기에서 7일간 혼합 발효하는 제2공정;
    상기 발효된 울금을 50~65℃의 온도에서 15일간 건조시킨 후 건조된 울금을 다시 한번 500~700mesh의 입도크기로 분쇄하는 제3공정;을 포함하여 제조된 울금 분말을 열수 수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발효단계의 식물성 추출물은 1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5 내지 20 중량%로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c)에서, 상기 제형 안정제는 주정 알코올 및 잔탄검이며, 2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의 전체 중량 대비 주정 알코올과 잔탄검이 각각 1 내지 5 중량% 첨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계 d)에서, 상기 3차 발효 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내지 10 중량%로 함유하도록 첨가하여 바디 화장료 제형으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에 의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 화장료 조성물은 탄력 증진 효과 내지 셀룰라이트 개선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73806A 2019-06-21 2019-06-2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3059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06A KR102305942B1 (ko) 2019-06-21 2019-06-2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3806A KR102305942B1 (ko) 2019-06-21 2019-06-2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169A KR20200145169A (ko) 2020-12-30
KR102305942B1 true KR102305942B1 (ko) 2021-09-28

Family

ID=740878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3806A KR102305942B1 (ko) 2019-06-21 2019-06-21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5942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23B1 (ko) 2013-02-27 2014-02-0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481371B1 (ko) 2014-04-02 2015-01-14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5085B1 (ko) * 2008-01-09 2010-04-28 윤종림 솔잎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용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246161B1 (ko) 2010-11-23 2013-03-20 서정국 울금의 발효방법
KR101447337B1 (ko) * 2012-12-31 2014-10-06 이용현 식물성 오일과 생약추출물을 이용한 세안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79828B1 (ko) * 2013-08-09 2015-12-23 이용현 식물성 피부 영양 보습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7755B1 (ko) 2014-11-19 2015-11-11 일동제약주식회사 프로바이오틱 유산균을 이용한 항산화, 보습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기능성 울금 발효겔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항산화, 보습 및 항균 활성을 갖는 기능성 울금 발효겔
KR20160072740A (ko) 2014-12-15 2016-06-23 닥터하스킨 주식회사 허브추출물과 손바닥 선인장을 이용한 친환경 피부 보습제
KR20170001996A (ko) 2015-06-29 2017-01-06 (주)바로나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923B1 (ko) 2013-02-27 2014-02-07 동신대학교산학협력단 울금 추출물과 비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KR101481371B1 (ko) 2014-04-02 2015-01-14 유한회사 비엔트리니티 울금을 함유한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5169A (ko) 202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580797B (zh) 一种美白祛斑霜及其制备方法
KR101677254B1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769422B1 (ko) 다중기능성 세럼형 화장품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769419B1 (ko) 다중기능성 영양크림의 혼합 조성물 및 제조방법
KR101059471B1 (ko)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67284B1 (ko) 흑삼 및 혼합 생약의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452770B1 (ko) 유산균 발효액을 함유하는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53095B1 (ko) 여드름 피부 개선 화장료,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피부 개선 기능성 화장품
KR20100130878A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397160B1 (ko) 선복화, 백미 및 영릉향을 이용한 두피 자극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40141A (ko) 쌀 추출물과 쌀 발효 추출물의 혼합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730852B1 (ko) 5색 컬러푸드 복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00006796A (ko) 생약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노화 방지 화장료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00264B1 (ko) 진피 및 우슬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장벽강화용 조성물
JP2012162487A (ja) 美白剤、抗老化剤及び皮膚化粧料
KR101757457B1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열노화 방지 및 피부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
CN115414308A (zh) 一种祛痘组合物及制备方法和应用
KR102305942B1 (ko) 복수의 발효단계를 거친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추출물이 함유된 바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435679B1 (ko)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1214344B1 (ko) 쌀겨와 감초발효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5423A (ko) 주름개선, 항염증 및 항산화 활성을 갖는 위도 상사화 추출물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60020038A (ko) 프랜지패니 오일 또는 프랜지패니 오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