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1339B1 -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1339B1
KR102651339B1 KR1020230189752A KR20230189752A KR102651339B1 KR 102651339 B1 KR102651339 B1 KR 102651339B1 KR 1020230189752 A KR1020230189752 A KR 1020230189752A KR 20230189752 A KR20230189752 A KR 20230189752A KR 102651339 B1 KR102651339 B1 KR 102651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temperature
pow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897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균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상상바이오
Priority to KR10202301897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1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13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8Fungi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0Polysaccharides, gums
    • A23V2250/51Polysaccharid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54Proteins
    • A23V2250/542Animal Protein
    • A23V2250/5422Collag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기자추출분말 9-11 중량부, 녹차추출물 9-11 중량부, 황금추출분말 4-6 중량부, 강황추출물 3-5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9-11 중량부, 율무추출분말 15-17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9-11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9-11 중량부, 피쉬콜라겐 14-16 중량부, 히알루론산 0.8-1.2 중량부 및 덱스트린 8-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A food composition that helps improve acne by suppressing sebaceous gland proliferation by removing harmful oxygen radicals}
본 발명은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듦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된다.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고 환경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radical)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한편, 인간의 모공은 얼굴에 약 2 만 개가 존재하며, 지름은 대략 0.02 내지 0.05 mm 정도로 계절 및 나이와 같은 요인에 의해서 늘어나기도 한다. 또한, 모공은 피지선과 연결되어 있어, 피지선에서 만들어 내는 피지를 배출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이렇게 모공을 통해 방출되는 피지는 외부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세균 감염을 막아주며 피부를 촉촉하게 하는 기능을 하지만, 과도한 피지는 블랙헤드(blackhead) 또는 화이트헤드(whitehead)라 불리는 면포(comedo)를 유발할 수도 있다. 면포는 피지선의 활성화와 각화항진이 거듭되어 모낭공이 좁아져 피지의 배출이 지장을 받아 피지가 모낭공에 막혀 있는 상태를 말하며, 구진(papule), 농포(pustule), 낭종(cyst) 및 결절(nodule) 같은 염증성 병변의 원인이 되어 여드름으로 진행될 수 있다. 또한, 피지가 과도하게 분비되면 이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모공이 넓어지게 되고, 만약 모공 안에서 피지가 축적되는 경우 모공은 더욱 넓어지게 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모공이 넓어지는 또 다른 이유로는 피부의 노화를 들 수 있는데, 피부의 노화는 모공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콜라겐 섬유와 탄력 섬유의 변성이나 감소에 영향을 준다. 그 결과, 모공을 지지해 주는 힘이 부족하게 되면서 모공은 자연스럽게 넓어지게 된다. 또한, 피부 노화 현상이 진행되면 각질형성세포 및 섬유아세포의 분열 감소, 콜라겐 합성의 감소, MMP 생성의 증가, 멜라닌 생성의 신호 전달 증가 등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주름은 증가하게 되고 피부의 탄력이 감소하며, 기미, 주근깨 및 검버섯 등이 증가하게 된다.
이렇게 넓어진 모공은 미관상 좋지 않을 뿐 아니라, 매끈하지 못하고 울퉁불퉁한 피부를 야기시킨다. 또한, 모공이 커지면 화장품찌꺼기 등 노폐물과 세균이 잘 침투하게 되어 여드름 등 여러 피부병을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피부 상태를 개선하여, 과도한 피지 분비를 막아 모공을 청정하게 유지하고 유해균 증식을 막을 수 있으며, 모공 크기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조성물이 필요한 실정이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등록특허 10-1464914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함으로써 모공을 축소 시켜주며, 콜라겐 생성을 통해 여드름 흉터를 효과적으로 개선가능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천연원료에 함유된 플라보노이드 및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을 현격하게 증량하고, 채내흡수율을 향상시켜 여드름 개선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킨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기자추출분말 9-11 중량부, 녹차추출물 9-11 중량부, 황금추출분말 4-6 중량부, 강황추출물 3-5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9-11 중량부, 율무추출분말 15-17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9-11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9-11 중량부, 피쉬콜라겐 14-16 중량부, 히알루론산 0.8-1.2 중량부 및 덱스트린 8-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목이버섯발효추출물, 현호색발효추출물 및 신갈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목이버섯발효추출물, 현호색발효추출물 및 신갈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여드름 개선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에 포함된 성분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총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되고, 채내흡수율이 향상되어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는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특정한 실시예가 상세한 설명에서 자세하게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개시된 특정한 실시 예는 다양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이다. 따라서 개시된 특정 실시예에 의해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차, 2차,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술한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그 밖에도,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축약하거나 생략한다.
본 발명은
구기자추출분말 9-11 중량부, 녹차추출물 9-11 중량부, 황금추출분말 4-6 중량부, 강황추출물 3-5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9-11 중량부, 율무추출분말 15-17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9-11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9-11 중량부, 피쉬콜라겐 14-16 중량부, 히알루론산 0.8-1.2 중량부 및 덱스트린 8-1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여드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구기자추출분말은 구기자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구기자(Lycium Chinensis Miller)는 가지과에 속하는 낙엽관목으로, 구기자는 베테인(betaine), 초린(cholin), 피살리언(physalien), 루틴(rutin), β-시트레롤(β-sitosterol), 제아잔틴(zeaxanthin) 등 다양한 기능성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효과, 항균 및 항암 효과, 면역증진효과, 간 기능개선 효과,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구기자추출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녹차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녹차(Green tea, Camellia teaceac)는 비타민과 무기질의 영양소를 공급하는 기능, 맛과 향 등의 기호를 충족시키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녹차 중 떫은맛의 주성분은 폴리페놀(polyphenol) 성분인 카테킨(catechin)인데, 카테킨은 그 유도체에 따라 에피카테킨(Epicatechin), 에피갈로카테킨(Epigallocatechin), 에피카테킨 갈레이트(Epicatechin gallate)와 에피갈로카테킨 갈레이트(Epigallocatechin gallate)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카테킨(Catethin)은 함량이 건조 녹차의 8~20% 정도에 달하며, 수용성으로 물과 함께 끓이면 수중으로 용출된다. 한편, 녹차에는 여러가지 생리활성물질이 포함되어 있는데, 특히 카테킨류는 혈중의 LDL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킴으로서 혈전의 생성억제 및 동맥경화를 예방하고, 과산화지질의 생성을 억제하고 지방 산화를 방지하는 기능성이 있음이 밝혀져 천연 항산화제로서도 이용되고 있다. 상기 녹차추출물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황금추출분말은 황금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황금은 속썩은풀 (Scutellariae Radix)의 뿌리로서 그대로 또는 주피를 제거한 것이다. 한국, 중국, 몽골 및 시베리아 동부 등지에 분포하며 한방에서는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한다. 상기 황금추출분말은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5-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강황추출물은 강황으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강황(Curcuma longa L.)의 주성분은 커큐민(curcumin), 디메톡시커큐민(demethoxycurcumin), 비스디메톡시커큐민(bisdemethoxycurcumin)과 같은 커큐미노이드(curcuminoid) 색소 성분과 ar-turmerone, curlone, α-turmerone, β-turmerone, bisacumol, zingiberene과 같은 휘발성 정유 성분 및 전분을 가지는 것을 알려져 있다. 상기 강황추출물은 3-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3.5-4.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도라지추출분말은 도라지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도라지(Platicodon grandiflorum A. DC.)는 초롱꽃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는 40-100 cm 이며,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다. 뿌리는 통통하고 줄기는 한 대 또는 여러 대가 뭉쳐난다. 7-8월에 흰색이나 하늘색 꽃이 피고 열매는 삭과(朔果)이다. 뿌리는 식용하거나 거담이나 진해의 약재로 쓴다. 도라지는 산이나 들에 저절로 나는데 재배하기도 하며, 한국, 일본,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도라지는 기침, 감기, 천식에 좋을 뿐 아니라 멜라닌 색소 생성을 억제하여 피부를 희고 매끄럽게 만들어준다. 또한 노폐물을 배출하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며 항염작용으로 여드름 치료에도 효과가 있다. 상기 도라지추출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율무추출분말은 율무로부터 추출한 것으로, 율무는 외떡잎식물로 벼목 화본과에 속하는 한해살이풀이다. 천곡, 초주자미, 당맥 등으로 불리우는 율무는, 포화 지방산 함량이 높고, 그 성분으로는 포스파티딜 콜린(Phosphatidyl choline), 포스파티딜 에탄올아민(phosphatidyl ethanolamine), 포스파티딜 이노시톨(phosphatidyl inositol) 및 리소포스파티딜 콜린(lysophosphatidyl choline)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 전분의 조성으로는 아밀로펙틴(Amylopectin)의 함량이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상기 율무추출분말은 15-1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5-16.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우엉(Arctium lappa)은 분류학적으로 쌍떡잎 식물 초롱꽃목 국화과의 두해살이 식물로서, 원산지는 유럽이며, 시베리아, 만주, 한국 등에 널리 분포한다. 국내에서는 낙동강변을 중심으로 대량 재배되고 있으며, 특유의 향과 씹는 맛이 좋아 어린 순이나 잎을 삶아 먹거나 뿌리를 먹는 근채류이다. 통상 생으로 먹지 않고 소금에 절이거나, 식초에 데치거나, 또는 간장에 졸여 식용한다. 한방에서는 그 뿌리를 우방근, 열매를 우방자, 줄기를 악실경이라 부르며, 이눌린, 비타민 B1, 아세트산, 아르크티제닌, 베타-카로텐, 부티릭산, 커피산, 클로로겐산, 코스틱산, 이소바레익산, 로릭산, 리그닌, 미리스트산, 프로피오닉산, 시토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및 구리, 크롬, 망간, 인, 셀렌, 규소, 아연 등 다량의 미네랄을 포함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우엉농축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감초는 약용식물이다. 뿌리는 적갈색으로 땅속 깊이 들어가고 줄기는 모가 지며 1m 정도곧게 자란다. 또한 흰털이 밀생하여 회백색으로 보이며 선점(腺點)이 흩어져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7개씩이고 달걀 모양이며 끝이뾰족하다. 작은잎의 길이는 2-5 cm, 나비 l-3 cm로 양면에 흰털과 선점이 있으며 톱니는 없다. 꽃은 7-8월에 피는데 길이 1.4-2.5cm로 보라색이며, 총상꽃차례로 잎겨드랑이에 달린다. 꼬투리는 선처럼 가늘고 긴 모양으로 활처럼 굽으며 신장형의 종자가 6-8개씩 들어 있다. 뿌리는 단맛이 나서 감미료, 한약재로 사용한다. 감초는 타 약재들과의 상호 작용에서 서로의 효능을 강화해주는 특징이 있으며 감초 자체로도 소염작용을 하는 효능이 있다. 감초에 들어있는 핵심 성분에는 트리페르펜 계열의 식물화학성분 글리시진과 사포닌이 있다. 상기 감초농축분말은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5-10.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피쉬 콜라겐은 생선으로부터 얻은 콜라겐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생선 비늘, 생선 껍질 등에서 얻은 콜라겐일 수 있다. 상기 피쉬 콜라겐은 피쉬 비늘 콜라겐 분말일 수 있다. 피쉬 비늘 콜라겐 분말은 분자량이 300 내지 1,000 Da으로 매우 작아 인체에 흡수가 용이하며, 그에 따라 피부에 우수한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피쉬콜라겐은 14-1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4.5-15.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히알루론산은 0.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범위로 포함하여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목이버섯발효추출물, 현호색발효추출물 및 신갈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4-6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목이버섯(Auricularia auricula)은 담자균류 목이과의 버섯으로 활엽수 고목에서 자란다. 여름에서 가을까지 활엽수의 죽은 나무에 무리를 지어 자란다. 자실체는 지름 3~12㎝로 서로 달라붙어 불규칙한 덩어리로 되고 비를 맞으면 묵처럼 흐물흐물해진다. 건조하면 수축하여 단단한 연골질로 되고 물을 먹으면 다시 원형으로 된다. 주로 요리에 사용되며, 부드럽고 쫄깃쫄깃한 식감과 건은 색깔로 시각적인 측면으로 사용되었다.
현호색(Corydalis turtschaninovii BESS.)은 양귀비과(Papaveraceae)의 여러해살이풀로 전국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일본, 만주, 아물, 우수리에 분포한다. 덩이줄기를 현호색(玄胡索)이라 하며, 활혈, 산어, 이기, 진통의 효능 및 심복통, 요슬통, 월경불순, 산후혈훈을 치료한다고 알려져 있다. 성분으로는 베르베린(Berberine), 코리달린(Corydaline), 디엘 테트라히드로콥티신(dl tetrahydrocoptisine) 등이 있다.
신갈나무(Quercus mongolica)는 참나무과(Fagaceae)에 속하는 쌍떡잎식물 참나무목 참나무과의 낙엽교목으로 우리나라 전국 각지, 특히 북부의 산지대에 자생한다. 국외로는 중국, 사할린, 몽골 등지에도 분포한다. 돌참나무·물가리나무라고도 하며 주로 산지에서 자라고 높은 산에서는 순림을 만든다. 높이 약 30m, 지름 약 1 m에 이른다. 나무껍질은 검은빛을 띤 갈색이며 세로로 갈라지고 겨울눈은 달걀 모양이다. 전체적으로 털이 없으나 잡종성은 털이난다. 잎이 떡갈나무와 비슷하나 뒷면에 갈색 털이 없다는 점에서 다르다.
본 발명에서는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으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여드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특히,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인삼발효추출액을 이용한 발효기술을 통해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시켜 추출하여 적용함으로써 기능성이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필수 아미노산 성분을 증량시켜 추출한 것으로, 상기 필수 아미노산(essential amino acid, EAA)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거나 합성되더라도 그 양이 매우 적어 생리기능을 달성하기에 충분하지 않아서 반드시 음식에서 섭취해야만 하는 아미노산을 말한다. 상기 필수 아미노산은 이소루신(isoleucine, I), 류신(leucine, L), 리신(lysine, K), 메티오닌(methionine, M), 페닐알라닌(phenylalanine, F), 트레오닌(threonine, T), 트립토판(tryptophan, W), 발린(valine, V), 히스티딘(histidine, H) 및 아르지닌(arginine, R)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아미노산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목이버섯발효추출물, 현호색발효추출물 및 신갈나무잎발효추출물이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추출물 및 비타민나무열매발효오일 및 잇꽃씨발효오일이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는 복합 조성물 8-12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9-1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복합 발효오일은,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18-122℃의 온도에서 8-12분 동안 열처리하는 단계; 열처리한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8-12 중량부 및 헥산 88-92 중량부를 혼합하고, 28-32℃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비타민나무(Hippophae rhamnoides L.)는 중국, 몽골 등이 원산지인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의 관목성 목본으로 유럽과 중앙아시아에서 폭넓게 자생하고 있으며, 척박한 토양에서 생육이 가능하고 질소고정 능력이 뛰어나서 토양 유실방지와 토양 개간 목적으로도 활용되고 있다. 비타민나무는 열매에는 비타민과 아미노산의 함량이 매우 높고, 면역, 항염, 항산화 등의 생리활성도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globulins, albumins과 같은 단백질과 linoleic acids, linolenic acids와 같은 지방산의 함량이 매우 높을 뿐만 아니라, 폴리페놀류, 토코페롤, 카로테노이드, 플라보노이드 등의 항산화성 생리활성물질이 풍부하게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잇꽃(Carthamus Tinctorius)은 홍화라고도 불리는데, 붉은색 연지의 원재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홍화는 국화과에 속하는 일년생 풀인 잇꽃의 꽃으로 혈의 순환을 돕고 예로부터 여성에게 좋은 꽃으로 알려져 있는 꽃이다. 특히 혈액 순환을 촉진하고 홍화 씨에는 비타민 E가 풍부하여 항산화 효능이 있어서, 항노화 등의 다양한 작용이 있다고 보고되었다. 이외에도 플라보노이드, 글리코시드, 알칼로이드, 폴리아세틸린 글리코시드 및 기타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로부터 추출한 복합 발효오일을 여드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고자 하며,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적용함으로써 더욱 우수한 기능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합 조성물은,
정제수 68-72 중량부 및 인지질 28-32 중량부를 혼합하고, 58-6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오일 13-17 중량부를 첨가하고, 68-72℃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 및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 28-32 중량부를 첨가하고, 53-57℃의 온도에서 28-32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사용한다.
상기 인지질은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리소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포스파티딜산, 포스파티딜 세럼, 포스파티딜 글리세롤 및 포스파티딜 이노시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을 사용한다.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과 상기 복합 발효오일을 이용하여 복합화한 복합 조성물을 여드름 개선 식품 조성물에 적용하며, 상기 복합 조성물은 플라보노이드 및 아미노산의 함량이 현격하게 증량하여 추출한 복합 발효추출물과 복합화된 복합 발효오일을 포함하고, 유효성분의 흡수성이 우수하여 기능성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1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5℃의 온도에서 24시간 동안 침지한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2℃의 온도에서 3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48시간 동안 끓이고,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어 인삼발효추출액을 제조하였다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복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90℃의 온도로 가열하여 발효를 멈추고, 25℃의 온도로 식혔다.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5 중량부를 첨가하고, 34℃의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효소반응하고, 정제수 50 중량부를 추가하고, 100℃의 온도에서 6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2>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2
상기 제조예 1에서 인삼발효추출액을 사용하지 않고 정제수를 사용하며,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3> 복합 발효추출물의 제조-3
상기 제조예 1에서 효소반응을 수행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상기 제조예 1과 동일하게 수행하여 복합 발효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4> 복합 발효오일의 제조
비타민나무열매 및 잇꽃씨를 세척하고, 120℃의 온도에서 10분 동안 열처리한 후, 영하 50℃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고, 분쇄하고,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 혼합분말 50 중량부 및 상기 인삼발효추출액 50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1 중량부를 첨가한 후 32℃의 온도에서 6일 동안 발효하였다. 발효 후, 여과하여 고형분을 얻고, 상기 고형분 10 중량부 및 헥산 90 중량부를 혼합하고, 30℃의 온도에서 3일 동안 교반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추출물을 여과하고 감압농축한 후 원심분리하여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감압증류하여 복합 발효오일을 제조하였다.
<제조예 5> 복합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70 중량부 및 인지질로 포스파티딜에탄올아민 30 중량부를 혼합하고, 6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1차 초음파처리하였다. 1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오일을 15 중량부 첨가하고, 70℃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2차 초음파처리하였다. 2차 초음파처리 후,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55℃의 온도에서 30분 동안 3차 초음파처리하여 복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식품 조성물의 제조-1
구기자추출분말 10 중량부, 녹차추출물 10 중량부, 황금추출분말 5 중량부, 강황추출물 4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10 중량부, 율무추출분말 16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10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10 중량부, 피쉬콜라겐 15 중량부, 히알루론산 1 중량부 및 덱스트린 9 중량부를 혼합하여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식품 조성물의 제조-2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5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식품 조성물의 제조-3
상기 실시예 1의 식품 조성물에 상기 제조예 4에서 제조한 복합 조성물을 10 중량부 추가하여 혼합함으로써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성분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의 플라보노이드 함량 및 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기 위하여,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 및 아미노산 분석기(Amino acid analyzer biochrom 30, Biochrom, UK)를 이용한 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을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mg/g)
총 아미노산 함량
(mg/g)
필수아미노산 함량
(mg/kg)
제조예 1 46.13 17943.34 6243.46
제조예 2 19.47 8085.86 2583.53
제조예 3 30.47 14679.43 4844.22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총 아미노산 함량 및 필수아미노산 함량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항산화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항산화력을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라디칼 소거 활성으로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은 Mensor 등의 방법을 참고하였다. 80㎕의 0.2mM DPPH 에탄올 용액을 각 시료에 20㎕ 가한 후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10분간 반응시켜 ELISA reader를 사용하여 517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은 하기 계산식 1에 따라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1>
시료명 항산화효과 (DPPH소거 활성율,%)
제조예 1 56.0
제조예 2 49.7
제조예 3 52.4
DPPH 라디칼 소거활성의 수치가 높다는 것은 항산화 효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표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높은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수치값이 측정되었으며, 우수한 항산화 기능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3> 항염 기능성 분석
상기 제조예 1-3에서 제조한 복합 발효추출물을 시료로 하여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Nitric Oxide) 생성 억제에 대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일반적인 NO의 형성은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상태에서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aw 264.7 세포를 10% 륜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Lipopolysaccharide, 1㎍/㎖)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NO 검출키트(iNtRON)를 이용한 측정값을 하기 계산식 2에 의해 산출하고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이다. NO 생성 억제율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2>
Figure 112023144565802-pat00002
시료명 NO 생성 억제율(%)
제조예 1 79
제조예 2 70
제조예 3 75
상기 표 3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복합 발효추출물은 매우 높은 NO 생성 억제율을 나타내었으며, 우수한 항염 효과가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4> 콜라겐 생성 기능성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콜라겐 생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HDF(p7) 세포를 3×104 cell/well의 밀도로 24 well plate에 배지(DMEM)와 함께 500 ㎕/well씩 분주한 뒤 5% CO2, 37℃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한 후 DPBS로 세척하였다. 이후, 대조군(비처리군으로 Control), 100 ng/ml EGF(양성대조군) 및 실시예 1-3의 조성물로 500 ㎕씩 처리한 후 5% CO2, 37℃ 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Antibody coated microtiterplate에 Procollagen Type I과 실시예 1-3의 조성물이 처리된 세포배양액을 20 ㎕씩 처리하고, 모든 well에 Antibody-POD Conjugate solution을 100 ㎕씩 처리한 후, 필름을 씌워서 증발을 방지하면서, 5% CO2, 37℃ incubator에서 3시간 배양하고, PBS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필름을 씌워서 증발을 방지하면서, TMBZ(3, 3', 5, 5'-Tetramethylbenzidine)을 100 ㎕씩 처리한 후, 상온에서 15분 동안 반응시켰다. Stop solution(1N H2SO4)을 100 ㎕씩 처리한 후, 450nm에서 흡광값 측정하고, 하기 계산식 3에 따라 콜라겐 생성 효능을 산출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계산식 3>
PIP expression (% of Contorl) = (실험군 450 ㎚ 흡광값/대조군 450 ㎚ 흡광값) × 100
PIP 발현 (%)
대조군 (Control) 100
양성대조군 (100 ng/ml EGF) 148
실험군 1(실시예 1) 128
실험군 2(실시예 2) 125
실험군 3(실시예 3) 122
상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PIP의 발현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피지 억제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피지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18-26세의 여성 중 여드름 증상을 나타내고 피지 분비량이 평균보다 많은 여성을 대상으로, 평균 연령을 동일하게 실험군을 조성한 후, 각 실험군별로 7명씩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을 1일 1회씩 섭취하게 한 후 피지 분비량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피지 분비량은 이마와 볼 부분의 피지분비량을 10 tape strip으로 스트립핑하여 지방함량(㎍/cm2)을 정량하였다.
섭취 전
지방함량 (㎍/cm2)
섭취 8주 후
지방함량 (㎍/cm2)
실시예 1 134.6 28.4
실시예 2 135.1 20.1
실시예 3 133.6 14.6
상기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피지 분비량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6> 모공 축소 효과 분석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 모공 축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모공 축소 효과는 Lee 등의 방법(Lee JT, Jeong YS, An BJ. 2002. Physiological activity of Salicornia herbacea and its application for cosmetic materials. Kor J Herbology 17(2): 51-60.)에 준하여, 피부 단백질과 유사한 혈액 단백질(hemoglobin)을 사용하여 원심분리관 용기에 상기 실시예 1-3에서 제조한 식품 조성물을 각각의 시료 용액과 헤모글로빈 용액(Sigma-Aldrich Co., Louis, MO, USA)을 1:1로 넣어서 진탕 혼합한 다음, 1,500 rpm에서 3분간 원심분리 후 흡광도 576 nm에서 측정하였으며, 피부에 대한 수렴작용을 나타내는 astringent 효과를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Astringent effect (%)
실시예 1 19.3
실시예 2 24.7
실시예 3 26.1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을 적용하는 경우 모공 수축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종합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여드름 완화 기능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3)

  1. 구기자추출분말 9-11 중량부, 녹차추출물 9-11 중량부, 황금추출분말 4-6 중량부, 강황추출물 3-5 중량부, 도라지추출분말 9-11 중량부, 율무추출분말 15-17 중량부, 우엉농축분말 9-11 중량부, 감초농축분말 9-11 중량부, 피쉬콜라겐 14-16 중량부, 히알루론산 0.8-1.2 중량부, 복합 발효추출물 3-7 중량부 및 덱스트린 8-1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 발효추출물은,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을 세척하고, 영하 48-52℃의 온도에서 동결건조하는 단계; 동결건조한 목이버섯, 현호색, 신갈나무잎을 분쇄하고, 1: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복합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복합분말 48-52 중량부 및 인삼발효추출액 48-52 중량부를 혼합하고, 바실러스 레펜스(Bacillus repens) 및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accharomyces bayanus)가 1:1의 중량비율로 혼합된 혼합균주 0.8-1.2 중량부를 첨가한 후 30-34℃의 온도에서 5-7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고, 23-27℃의 온도로 식히는 단계; 식힌 후, β-글루코시다아제 0.3-0.7 중량부를 첨가하고, 32-36℃의 온도에서 10-14시간 동안 효소반응하는 단계; 효소반응 후, 정제수 48-52 중량부를 첨가하고, 98-102℃의 온도에서 5-7시간 동안 추출하여 추출액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액을 감압농축 및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을 수행하여 제조되고,
    상기 인삼발효추출액은,
    인삼 및 정제수를 1:1의 중량비율로 혼합하고, 3-7℃의 온도에서 22-26시간 동안 침지하는 단계; 침지 후, 아스페르길루스 오리제(Aspergillus oryzae)를 첨가하고, 30-34℃의 온도에서 2-4일 동안 발효하는 단계; 발효 후, 88-92℃의 온도로 가열하여 46-50시간 동안 끓이는 단계; 및 끓인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얻는 단계;를 수행하여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드름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삭제
KR1020230189752A 2023-12-22 2023-12-22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KR102651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752A KR102651339B1 (ko) 2023-12-22 2023-12-22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89752A KR102651339B1 (ko) 2023-12-22 2023-12-22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1339B1 true KR102651339B1 (ko) 2024-03-26

Family

ID=90472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89752A KR102651339B1 (ko) 2023-12-22 2023-12-22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133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914B1 (ko) 2014-02-28 2014-11-25 김인숙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86317A (ko) * 2018-01-12 2019-07-22 김유근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4914B1 (ko) 2014-02-28 2014-11-25 김인숙 피부 장벽 강화와 세포 재생으로 여드름을 치료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20190086317A (ko) * 2018-01-12 2019-07-22 김유근 한방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또는 개선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피부기묘증 증상 관리법’(2021.05.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4742B1 (ko) 피부노화개선용 화장료조성물
KR101704874B1 (ko) 노근, 함초 및, 매실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및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716680B1 (ko) 자운고 발효 오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87308B1 (ko) 황칠나무 발효산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150045036A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63722B1 (ko) 천연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012732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염증 및 모공축소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0975135B1 (ko) 항산화 효과를 가지는 한방 복합 약술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13645B1 (ko) 미세침 분말 및 천연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1549B1 (ko) 천연물질을 이용한 미백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미백화장품
KR100753186B1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2032298B1 (ko) 셀레늄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 주름개선 및 두피 건강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36090B1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피부항염증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KR102010404B1 (ko) 피부 재생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KR102004366B1 (ko) 중대가리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80887B1 (ko) 하늘타리 추출물 및 박주가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4764B1 (ko) 천연추출물을 이용한 고보습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립스틱
KR101829891B1 (ko) 은목서 추출물 및 사위질빵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164506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재생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09124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1954275B1 (ko) 골드키위 껍질 및 용과 껍질의 복합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50105029A (ko) 상엽, 상지, 상백피, 상심자 및 상목이 혼합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88295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2651339B1 (ko) 유해활성산소를 제거함으로써 피지선 증식 억제를 통해 여드름 개선에 도움을 주는 식품 조성물
KR20200107444A (ko) 천연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항산화 및 주름개선용 피부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