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35575A -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 Google Patents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35575A
KR20180035575A KR1020160125844A KR20160125844A KR20180035575A KR 20180035575 A KR20180035575 A KR 20180035575A KR 1020160125844 A KR1020160125844 A KR 1020160125844A KR 20160125844 A KR20160125844 A KR 20160125844A KR 20180035575 A KR20180035575 A KR 201800355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megalantha
hygrophila
inflammat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258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258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35575A/ko
Publication of KR201800355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55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19Acanthaceae (Acanthus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4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 A61K9/19Particulate form, e.g. powders, Processes for size reducing of pure drugs or the resulting products, Pure drug nanoparticles lyophilised, i.e. freeze-dried, solutions or disper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Abstract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항염증 약학 조성물 및 항염증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은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NO 및 TNF-α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 분비를 억제하므로, 이를 원료로 조성물은 효과적으로 염증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항염 조성물은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서 염증을 억제하는 항염증제 및 항염효과가 있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A composition comprising Hygrophila megalantha Merr. extracts having anti-inflammation activity}
본 발명은 항염증 활성을 갖는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항염증 약학 조성물 및 항염증 건강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신체의 전 표면을 덮고 있는 기관으로서, 외부의 환경 및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하고, 체내의 수분 증발을 억제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따라서, 피부는 외부환경에 직접적으로 노출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피부를 구성하는 세포의 활성과 외부 감염원에 대한 피부 방어능은 오존층 파괴에 따라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 증가, 스트레스에 의한 면역력 약화 및 유해 화학 물질 등의 오염원에 대한 노출이 증가하면서 감소하게 된다.
이에 따라, 피부는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되고, 홍반, 부종, 가려움증 등의 피부 트러블 및 염증 반응이 유발된다. 또한, 염증 반응 과정에서 생성되는 물질들이 부수적으로 피부의 색소 침착을 일으키고, 피부 탄력 섬유와 콜라겐 섬유의 붕괴를 촉진시켜 피부 주름의 증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염증은 외부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생리적인 방어반응의 하나로 임상적으로는 발적, 발열, 종창, 동통, 기능장애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 이는 해로운 주위환경, 즉 세균과 같은 외부 이물질의 침입과 기계적 손상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려는 생리기전이다. 다양한 염증성 매개물질들은 산화제 생성을 활성화하여 조직 항산화 능력을 감소시키므로 조직의 기본적인 대사 구조적 인자에 대한 손상을 주어 독성을 유발하고, 이러한 다양한 세포와 조직에서의 산화작용은 독특한 산화물질을 생성하게 되며 복잡한 활성 산소종의 이차적인 조직반응이 시작된다.
구체적으로, 염증반응이 일어나면 여러 가지 염증인자들이 만들어진다. 대식세포는 다양한 염증성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활성화된 대식세포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NO, 프로티아제 등을 분비한다고 보고되었다.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는 그람 음성균의 외막을 구성하는 지질 다당류로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들을 유도해서 염증 반응을 일으키게 된다. LPS에 의해 염증성 자극이 시작될 때 TLR4는 LPS의 신호를 받고 세포질에 있는 NF-kB는 inhibitory subunit인 I-kB와의 결합 상태에서 I-kB가 인산화를 일으켜 ubiquitin-mediated protein degradation을 유발하게 된다. I-kB로부터 자유로워진 NF-kB는 세포핵 속으로 이동하여 여러 염증관련 인자로 알려진 유도형 일산화질소 합성 효소(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시클로옥시게나아제(cyclooxygenase, COX-2),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등의 유전자를 활성화한다. NO는 neuronal NOS (nNOS), endothelial NOS (eNOS), iNOS 세 가지 형태의 NOS에 의해 합성된다. nNOS와 eNOS는 세포 내에 항상 존재하지만, iNOS는 interferon-γ(IFN-γ), LPS와 다양한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노출되는 경우에만 발현된다. 과도한 NO의 생성은 염증을 유발시켜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및 신경손상 등을 일으킨다. TNF-α는 활성화된 대식세포, 섬유모세포 및 다른 여러 세포에서 생성되는데 다양한 질병의 병태 생리적 반응들을 매개하는 세포활성물질로서 생체방어에 필수적이나 다량 분비될 경우 각종 염증 질환을 일으키는 염증 매개물질로 알려져 있다. LPS가 다량 존재하는 경우는 TNF-α가 과량 생성되어 조직의 손상이 유도되기도 하고 전신혈관응고, 내독소 쇼크 등으로 사망에 이르기도 한다. NO, TNF-α와 같은 염증 매개 물질이 과량 생산되면 과도한 면역 반응을 야기하게 되고 이로써 각종 염증성 질환을 악화시키는 원인이 된다. 이에 따라,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NO, COX-2, TNF-α와 같은 염증 매개 물질의 과도한 생성을 억제하는 것이 중요한다.
일 예로, 염증을 치료하기 위한 천연 생약제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5903호는 고사리삼 알코올 추출물이 염증성 사이토카인 IL-6, TNF-α, IL-1β의 발현을 감소시키고, ERK 인산화를 억제하며 NF-κB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의 염증 반응을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의 상피 해면증 또는 진피 부종을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므로 염증성 피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고 개시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105903호
본 발명자들은 항염증 활성을 갖고, 부작용과 관련된 문제 소지가 적은 천연 성분에 대하여 연구 노력한 결과,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이 항염증 활성을 나타내,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은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서 염증을 억제하는 항염증제 및 항염효과가 있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건강식품 조성물 등으로 응용가능함을 확인하고, 이를 토대로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천연식물에서 비롯하여 부작용 등이 문제되지 아니하고, 안전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NO 및 TNF-α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 분비를 억제할 수 있는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증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은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NO 및 TNF-α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 분비를 억제하므로, 이를 원료로 조성물은 효과적으로 염증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상기 항염 조성물은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서 염증을 억제하는 항염증제 및 항염효과가 있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식품 조성물 등으로 응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는 통화식물목 쥐꼬리망초과의 한해살이 풀이며 높이 30 ~ 60 ㎝이며 직립한 원줄기에서 많은 곁줄기가 나오고 마디가 굵다. 잎은 난형 또는 타원상으로 길이 4 ~ 8 ㎝, 너비 8 ~ 15 mm이다. 꽃은 7 ~ 9월에 가지 끝에 달리며 꽃받침은 길게 갈라진다. 중국 광동지방에 흔하게 자생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은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으로부터 추출하여 얻은 것으로,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의 잎, 꽃, 줄기, 가지, 뿌리, 전초 및 열매 중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에 용매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기로 전초를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원료로 사용하는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은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로부터 침출, 전출하여 얻은 침출액, 또는 그 침출액을 다시 일부 또는 전부 농축하여 얻은 농축물, 또는 다시 그 농축물을 건조시켜 제조한 추출 엑기스 및 추출액 중에 함유되고 있는 주 효과를 발휘하는 화학물질 그 자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즉, 통상적인 용매를 사용하여,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냉침, 환류 냉각추출, 열수추출, 실온추출, 가온추출, 초음파추출, 초임계추출 등의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정제수, 탄소수 1 내지 6의 알코올, 글리세린,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렌글리콜, 탄소수 1 내지 6의 알칸, 탄소수 1 내지 6의 할로겐화 탄화수소, 탄소수 2 내지 6의 알킬 알카노에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및 그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추출용매의 사용량은 원료 중량의 5 내지 30 배 부피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0 배이다.
추출온도는 당업자가 추출 방법에 적절한 다양한 온도 범위를 채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 내지 100 ℃ 등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추출방법에 따라 상이하며, 당업자가 적절한 추출 시간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으나, 약 1 시간 내지 수일의 범위에서 단회 또는 복수회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용매로 추출을 수행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얻거나, 얻어진 액상 형태의 추출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감압농축 및/또는 건조하여 분말 형태로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건강한 피부를 위한 소재로서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이 가지는 항염증 기능을 확인코자 하였으며, 항염증 기능은 염증매개인자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실험예 1 및 실험예 2를 통해 염증 매개인자로는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종양괴사인자(Tumor Necrosis Factor, TNF-α)의 변화를 세포수준에서 측정하였으며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이 산화질소와 종양괴사인자의 생성억제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본 발명에서 제시하는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는 약학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또는 건강 식품 조성물로 적용시 피부 염증 등과 같은 염증과 관련된 질병에서 염증 완화, 개선, 치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1 내지 30.0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NO 및 TNF-α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의 생성,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최소한의 항염증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추출물을 조성 성분으로 사용함에 있어서는 동결 건조된 분말 형태로는 물론이고, 물 또는 통상의 유기용매에 분산 또는 용해된 액체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성분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본 발명의 조성물은 고형 제제, 반고형제제 또는 액상 제제일 수 있다. 이때 각 제형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한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 이외의 다른 성분들은 기타 약학 조성물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는 바가 없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겔, 로션, 에센스, 크림, 파우더, 비누, 팩마스크, 클렌징, 오일, 파운데이션, 스프레이로 등의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조성들은 그 제형의 제제화에 필요하고 적절한 각종의 기제와 첨가물을 함유할 수 있으며, 그 효과를 떨어트리지 않는 범위 내에서 비이온 계면활성제, 실리콘 폴리머, 체질안료, 향료, 방부제, 살균제, 산화 안정화제, 유기 용매,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증점제, 유연화제, 산화방지제, 자유 라디칼파괴제, 불투명화제, 안정화제, 에몰리언트(emollient), 실리콘, α-히드록시산, 소포제, 보습제, 비타민, 곤충 기피제, 향료, 보존제, 계면활성제, 소염제, 물질 P 길항제, 충전제, 중합체, 추진제, 염기성화 또는 산성화제, 또는 착색제 등 공지의 화합물을 포함하여 제조된다.
본 발명의 건강식품 조성물은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카라멜,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더욱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추출물 제조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전초를 동결건조 후 분쇄하여 분말화 한 다음, 함수 에탄올을 천연물 분말 중량의 10배를 가하여 상온에서 5일 반응시키고 취한 액을 여과한 다음 감압 농축하여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NO의 분비 억제 효능 확인
NO는 산화질소 합성효소(NOS)에 의해 L- 아르지닌으로부터 합성된다. 병리적인 조건 하에서 증가된 NO는 염증발생을 촉진하게 되는데, 다른 염증 매개체와 함께 상승효과를 나타내는 iNOS에 의해 NO가 합성된다. 또한, iNOS는 염증성 사이토카인과 박테리아성 엔도톡신(endotoxin)에의 노출에 의하여 강하게 자극된다. 따라서, iNOS에 의한 NO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은 항염증제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50 wt% 1,3-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1 중량% 농도로 녹이고 배양액을 사용하여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시료액으로 사용하여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의 NO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5 X 104 셀/웰로 접종하고,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추출물 5, 10, 20, 40 ug/ml 함유한 배지를 처리하여 1시간 배양하고 LPS(0.1μg/ml)를 처리하여 16시간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샘플들로부터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NO의 양을 그리스 시약(Griess reagent)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위에서 배양된 샘플들의 세포배양 상등액 150μl와 그리스 시약(2.5% 술파닐아미드, 10% 인산에 용해된 0.25% 나프틸에틸렌디아민) 150μl를 혼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서 15분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고, 표준 농도 곡선은 아질산나트륨을 배지로 연속 희석한 결과를 이용하였으며, 생성된 NO의 양을 측정하여 평가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또한,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인도메타신을 사용하여 시험결과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NO 생성 억제(%)
양성 대조군 5
ug/ml
10
ug/ml
20
ug/ml
40
ug/ml
46.0 16.7 36.4 44.8 45.1
상기 표 1을 참조하면,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은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NO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감소의 정도가 농도 의존적이라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TNF -α의 분비 억제 효능 확인
대식세포, 단핵구 및 자연 킬러세포에서 분비되는 TNF-α는 염증 매개성 사이토카인(cytokine)으로서 생체 내에서 단독 또는 IL-1, IFN-γ와 같은 사이토카인(cytokine)과 작용하여 종양 괴사를 유발하거나 미생물에 의한 감염을 숙주의 저항성을 유도시키며, 급격한 과다 생성은 생체에 매우 해로운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TNF-α 생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물질은 항염증제로 활용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추출물을 50 wt% 1,3-부틸렌글리콜을 이용하여 1 중량% 농도로 녹이고 배양액을 사용하여 적정 농도로 희석하여 시료액으로 사용하여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의 TNF-α 생성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RAW 264.7 세포를 DMEM 배지를 이용하여 24 웰 플레이트에 2 X 105 셀/웰로 접종하고, 6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추출물 5, 10, 20, 40 ug/ml 함유한 배지를 처리하여 1시간 배양하고 LPS(0.1ng/ml)를 처리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렇게 배양된 샘플들로부터 세포배양액 중에 존재하는 TNF-α의 양을 TNF-α Immunoassay(R&D system)을 이용하여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양성 대조군(positive control)으로 덱사메타손을 사용하여 시험결과의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TNF-α 분비 억제(%)
양성
대조군
5
ug/ml
10
ug/ml
20
ug/ml
40
ug/ml
47.8 12.4 18.6 23.5 32.4
상기 표 2를 참조하면,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은 LPS로 유도된 RAW 264.7 세포에서 TNF-α의 생성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킨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감소의 정도가 농도 의존적이라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1에서 제조된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함유한 조성물의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조성물이 이들 제형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형예 1) 유연화장수(스킨로션)
하기의 표 3과 같이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함유하는 유연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 1.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2.0
프로필렌글리콜 2.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폴리솔베이트 80 0.4
에탄올 10.0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2) 영양화장수(밀크로션)
하기의 표 4와 같이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화장수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 1.0
스쿠알란 4.0
밀납 4.0
폴리솔베이트 60 1.5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5
유동파라핀 0.5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0
글리세린 3.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3) 영양크림
하기의 표 5와 같이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함유하는 영양크림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 1.0
밀납 10.0
폴리솔베이트 60 1.5
피이지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0.5
유동파라핀 10.0
스쿠알란 5.0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4.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0
프로필렌글리콜 3.0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4) 팩
하기의 표 6과 같이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함유하는 팩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 1.0
폴리비닐알콜 12.0
소듐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0.2
글리세린 5.0
알란토인 0.1
에탄올 6.0
핑지-12 노닐페닐에테르 0.3
폴리솔베이트 60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5) 젤
하기의 표 7과 같이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함유하는 젤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 1.0
에틸렌디아민초산나트륨 0.05
글리세린 5.0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3
에탄올 5.0
피이지-60 경화피마자유 0.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제형예 6) 산제
하기의 표 8과 같이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함유하는 산제를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배합성분 중량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 0.001g
유당` 1g
(제형예 7) 과일주스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사과 또는 포도 주스 1,000 mL에 가하여 건강 증진용 과일주스를 제조하였다.

Claims (13)

  1.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약학적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3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액상, 농축된 고상 및 동결 건조된 분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산,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약학적 조성물.
  5.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3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액상, 농축된 고상 및 동결 건조된 분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산,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겔, 로션, 에센스, 크림, 파우더, 비누, 팩마스크, 클렌징, 오일, 파운데이션,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의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10. 히그로필라 메가란타(Hygrophila megalantha Merr.)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건강식품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 3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액상, 농축된 고상 및 동결 건조된 분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정제수, 메탄올, 에탄올, 1,2-프로판디올,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헥산, 디클로로메탄, 디클로로에탄, 에틸아세테이트 및 이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 추출용매를 사용하여 추출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염증용 건강식품 조성물.
KR1020160125844A 2016-09-29 2016-09-29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800355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44A KR20180035575A (ko) 2016-09-29 2016-09-29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25844A KR20180035575A (ko) 2016-09-29 2016-09-29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5575A true KR20180035575A (ko) 2018-04-06

Family

ID=6197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25844A KR20180035575A (ko) 2016-09-29 2016-09-29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3557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4286A (zh) * 2022-02-18 2022-06-03 中国热带农业科学院香料饮料研究所 一种具有抗炎活性的胡椒精油及其制备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574286A (zh) * 2022-02-18 2022-06-03 中国热带农业科学院香料饮料研究所 一种具有抗炎活性的胡椒精油及其制备方法
CN114574286B (zh) * 2022-02-18 2024-03-22 中国热带农业科学院香料饮料研究所 一种具有抗炎活性的胡椒精油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3857B1 (ko) 미백, 항균, 항산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한방 화장료 조성물
JP5137457B2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KR101828584B1 (ko) 참여로, 가래나무, 도깨비 부채 및 모과나무의 복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산화 또는 미백용 조성물
KR101458887B1 (ko) 히카마, 콜리플라워, 말로우 및 아이슬란드 이끼 천연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보습, 피부 자극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80486B1 (ko)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1885120B1 (ko) 옥수수 수염, 들깻잎 및 포도가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염용 조성물
KR101817941B1 (ko)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043890A (ko) 백련오행차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화장료
KR102150927B1 (ko) 조릿대 추출물 및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약학적 조성물
KR100864915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매화 및 이화 혼합 추출물을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
KR101869763B1 (ko) 무좀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0564225B1 (ko) 사간, 청피, 지유, 사상자, 오미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무좀,습진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1427462B1 (ko) 연교, 하고초, 산사, 목통 추출물로 이루어지는 복합 천연방부제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5575A (ko)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1182765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80036024A (ko) 사우로푸스 스파투리포리우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80039390A (ko) 엘리오카르푸스 하이나넨시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70040659A (ko) 고염 미생물의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038815A (ko) 말바비스쿠스 아르보레우스 바. 펜두리플로루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80038242A (ko) 백학등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80039396A (ko) 브리델리아 모노이카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80037813A (ko) 포도카르푸스 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