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2765B1 -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2765B1
KR101182765B1 KR1020100066302A KR20100066302A KR101182765B1 KR 101182765 B1 KR101182765 B1 KR 101182765B1 KR 1020100066302 A KR1020100066302 A KR 1020100066302A KR 20100066302 A KR20100066302 A KR 20100066302A KR 101182765 B1 KR101182765 B1 KR 101182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dermis
mixed extract
ginger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6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3269A (ko
Inventor
박병준
박성하
신용국
박용원
김진준
정관영
정태화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한국콜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한국콜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재단법인충북테크노파크
Publication of KR2011006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2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2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 A61K2800/522Antioxidants; Radical scave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0.001 내지 30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70 내지 99.9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0.1 내지 10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90 내지 99.9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은, 종래 기술보다 경제적으로 우수하며,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및 산화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줄이며, 이들의 발현 인자 단백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통하여 항산화, 피부보호 및 노화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나타나는 장점이 현저하다.

Description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Citrus sunki(Sanmul) S.Marcov And Zingiber Officinale Roscoe Mixed Extract Having Anti-oxidation and Anti-aging Effects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료 조성물로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0.001 내지 30중량%를 포함하여,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SOD) 측정방법 등을 통한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고, 인체 진피 섬유아세포를 이용한 콜라겐 생성 효과, 각질세포를 이용한 세포 내 발생하는 사이토카인의 분비 및 발현 억제 효과에 유효성을 가져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에 월등히 우수하며, 경제적으로도 우수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피부조직에서 일어나는 노화 현상은 매우 복잡하여 한 가지 기전으로 설명하기는 어렵다. 이중 가장 많은 지지를 받고 있는 노화 학설은 자유 라디칼 이론이며 이는 생체 내에서의 대사 반응이나 자외선, 매연 및 환경 호르몬 등에 의해 생체 내에 자유 라디칼이 생성되고, 이것이 조직을 파괴하여 노화 과정을 촉진시킨다는 것이다. 피부는 랑게르한스세포, 각질형성세포, 림프구, 혈관내피세포 및 탐식세포 등 다양한 면역세포들로 구성되고, 특히 각질 형성세포는 인터루킨 (interleukin, IL), 종양괴사인자알파 (tumor necrosis factor-a, TNF-a), 인터페론 (interferon) 및 억제인자들 (IL-10, IL-1 receptor antagonist, a-melanocyte-stimulating hormone)등을 분비하여 다른 세포나 기관의 성장과 분화에 영향을 미친다. TNF-a는 autocrine으로 작용하여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프로스타글란딘 E2 (PGE2)분비를 증가시키고, 과량의 TNF-α를 분비하여 피부염증반응을 가중시키고, TNF 수용체를 통한 NF-κB 활성화와 caspase-8 분비는 세포사멸을 유도한다. TNF-a는 외부 환경에 따라 fibroblasts에서 collagen 분비를 억제하고 collagenase 합성을 저해하는 기능을 한다. 다른 연구에서는 자외선에 의해 NADPH 산화효소 시스템이 활성화되고 IL-8 분비가 증가되어 산화적 스트레스를 유발한다고 보고하였다. 피부노화 억제를 위해 가장 많이 연구되는 분야는 항산화제로서 수퍼옥사이드 라디칼 (O2-)과 하이드록시라디칼 (OH)과 같은 라디칼과 과산화수소 (H2O2)와 같은 비라디칼에 의해 피부가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음으로써 세포가 손상되고 피부노화 현상이 촉진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따라서 각종 산화물질에 대한 직접적인 항산화 효과뿐만 아니라 피부 각질세포로부터 TNF-a 및 IL-8의 분비 억제효과는 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를 억제하고, 이후 각질세포로부터 분비되는 TNF-a 및 IL-8에 의한 랑게르한스세포, fibroblasts, 및 melanocytes 등의 주위 피부세포에 2차 반응을 억제하여 피부노화를 근본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진피(산물, Citrus sunki)는 산초과에 속하는 사철 푸른 작은 키 나무인 귤나무(밀감나무)의 열매껍질로써 귤피라고 하며 익은 열매의 껍질을 벗겨 햇볕에 말려 사용하며 한방에서는 오래 묵은 것일수록 좋다고 하여 진피라고 하였다.
그런데, 근래 대중적으로 사용되는 진피는 근대화 과정에서 일본종 감귤(Citrus unshiu)의 재배로 인하여 이의 껍질을 의미하는 것이 되어버렸다. 하지만, 일본 책 ‘비후국사(肥後國史)’에 “삼한(三韓)으로부터 귤(橘)나무를 가지고 왔다.”는 기록 등으로 미루어 제주도에선 삼국시대부터 귤을 재배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따라서 국내 재래종 감귤인 ‘산물’을 예로부터 한의학에서 사용되던 진피의 원형으로 판단해야 하고, 또한 이러한 추세가 최근 한의학계에도 널리 알려져 그 쓰임이 점차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산물진피’는 국내의 재래종인 산물의 과피로서의 진피를 의미하며, 이하 같은 의미로 사용된다.
이때, 생강(Zingiber officinale Roscoe)은 생강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로서 우리나라를 비롯하여 온대의 각지에서 재배하며 이들의 뿌리줄기를 생강, 건강, 포강이라 하여 약재로 사용해왔다. 생강에는 진기베린, 진기베롤, 파르네솔 등의 정유성분과 매운 맛 성분인 진게론, 쇼가올이 함유되어 있다. 한방에서는 찬 기운을 내보내며 게우기를 멈추고 가래를 내보내는 효과가 있어 추위로 인한 머리아픔, 게우기, 위가 차고 배가 아픈 데, 기침 등에 사용해 왔으며 관절염에 외용으로 사용하기도 하나 대체로 주약으로보다 보조약으로 주성분의 효능을 배가시키는 데 널리 이용되고 있다. (약초의 성분과 이용, 문관심., 동의대백과 사전, 구본홍.)
이러한 산물진피 및 생강에 대한 연구 사례와 관련하여 진피 분야에서는 일본종 감귤의 경우, Kubo, M등의 Pharmacological study on citrus fruits. I. Anti-allergic effect of fruit of Citrus unshiu Markovich (1)(藥學雜誌,v.109 no.11,1989,pp.835-842), 양현석 등의 귤피로부터 분리한 마우스의 장관면역 활성 다당류의 검색(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v.33 no.9,2004,pp.1476-1485), 이병학 등의 생약진피(生藥陳皮)의 심혈관계(心血管系)에 대한 약리작용(藥理作用)(대한약리학잡지,v.10 no.2,1974,pp.31-37), Kang. O.H 등의 Citrus unshiu Water Extract Inhibits Trypsin-induced TNF-a and Tryptase Productions by Blocking the ERK Phosphorylation and Trypsin Activity(Natural product sciences,v.10 no.5,2004,pp.211-216), Jo, C 등의 Antibacterial and Anti-fungal activity of Citrus(Citrus unshiu) Essential Oil extracted from Peel By-products(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v.13 no.3,2004,pp.384-386), Fujita 등의 Anti-allergic effect of a combination of Citrus unshiu unripe fruits extract and prednisolone on picryl chloride-induced contact dermatitis in mice(Journal of natural medicines,v.62 no.2,2008,pp.202-206)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으나 국내 재래종인 산물(Citrus sunki)의 경우는 전무한 실정이다. 또한 생강 분야는 방면호 등의 생강(Zingiber officinale R.)근경으로부터 항산화 활성물질의 분리방(한국농화학회지, v.44 no.3, 2001,pp.202-205), 신정혜 등의 양하, 양하근경 및 생강분말이 고지혈증 유발 흰쥐의 지질성분에 미치는 영향(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31 no.4,2002,pp.679-684), S. P. Vishwakarma 등의 Anti-diabetic activity of Zingiber officinale in streptozotocin-induced type I diabetic rats(Journal of pharmacy and pharmacology, v.56 no.1,2004,pp.101-105), S. K. Singh 등의 Protective effect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e on experimental atherosclerosis in rabbits Verma(Indian journal of experimental biology,v.42 no.7,2004,pp.736-738), Schuhbaum, H. 등의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Zingiber officinale extracts(Pharmaceutical and pharmacological letters,v.10 no.2,2000,pp.82-85), 류혜숙 등의 생강 추출물 투여가 전구염증성 사이토카인 IFN-gamma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 IL-10 분비량에 미치는 영향(한국식품영양학회지,v.20 no.3,2007,pp.259-264), Fujimura, T.의 Anti-wrinkle efficacy of ginger (Zingiber officinale Roscoe) extract enriched for elastase-inhibitory activity(International Federation of Societies of Cosmetic Chemists; Integration of cosmetic sciences,2007,2007,pp.PC-128), Kuo, Ping-Chung 등의 Isolation of a natural antioxidant, dehydrozingerone from Zingiber officinale and synthesis of its analogues for recognition of effective antioxidant and antityrosinase agents.(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v.28 no.5,2005,pp.518-528) 등의 연구가 진행되었다.
종래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 제891,986호 생약추출물과 생약 분말을 함유하는 한방화장품에 관한 기술이 공개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진피(일본종) 및 생강 이외의 포공영, 산사, 용뇌 등 다른 여러 혼합물을 이용한 것으로, 본 발명은 국내 재래종 산물의 과피로서 산물진피와 생강만을 이용하여 경제적으로 우수하면서, 피부 노화와 관련된 사이토카인(cytokine) TNF-a 및 IL-8의 발현 및 분비 억제 효과를 통한 월등히 우수한 피부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그 유효성분으로 인하여 경제적으로 우수하며,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및 산화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줄이며, 이들의 발현 인자 단백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통해 해결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로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0.001 내지 30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70 내지 99.999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0.1 내지 10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90 내지 99.9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산물진피 및 생강에 용매를 가하여 50 내지 12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서 혼합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혼합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및
상기 여과된 혼합추출액을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하여 농축한 혼합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은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첨가하여 종래 기술보다 경제적으로 우수하며,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며,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및 산화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줄이며, 이들의 발현 인자 단백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통하여 항산화, 피부보호 및 노화방지에 우수한 효과가 있는 장점이 현저하다.
도 1은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에 의한 인간피부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2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에 의한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에 의한 24시간 반응시, 인체 표피 각질세포로부터의 TNF-α의 분비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4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에 의한 48시간 반응시, 인체 표피 각질세포로부터의 TNF-α의 분비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5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에 의한 24시간 반응시, 인체 표피 각질세포로부터의 IL-8의 분비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6은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에 의한 48시간 반응시, 인체 표피 각질세포로부터의 IL-8의 분비 억제 효과에 대한 결과 그래프이다.
도 7은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에 의한 인체 표피 각질세포로부터의 사이토카인 발현 인자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웨스턴블랏 결과이다.
B : Unsitmulated cells
CON : H2O2
Hes : H2O2 +hesperdin 20μg/ml
실시예1 : H2O2 +실시예1의 1 mg/ml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평균적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반복재현할 수 있도록 실시예, 시험예 및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0.001 내지 30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70 내지 99.999중량%, 더욱 상세하게는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0.1 내지 10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90 내지 99.9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때, 상기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그 함량이 0.1중량% 미만이면 본 발명의 목적인 항산화 및 항노화의 우수한 효과를 달성하기 어려우며, 30중량%을 초과하면 증가하는 함량만큼 뚜렷한 효과의 증대가 기대되지 않아 비경제적인 단점이 있다.
또한,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 내의 각종 유효 성분을 추출하는 방법은 당 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수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혼합추출물의 용매는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혼합추출물의 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또한, 상기 화장료 베이스는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크림,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크림 및 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다.
이때,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형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산물진피 및 생강에 용매를 가하여 50 내지 12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서 혼합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추출한 혼합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및
상기 여과된 혼합추출액을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하여 농축한 혼합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540nm에서의 흡광도 감소율을 이용하여 혼합추출물의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측정 시,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 0.1 내지 10중량%일 때, IC50값이 5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 측정 시,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 0.1 내지 10중량%일 때,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450nm에서의 흡광도 감소율이 2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750 내지 5,000 ㎍/㎖ 농도에서 100 내지 200%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처방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7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 제조
물 추출물의 제조
국내산 산물진피, 생강 혼합 시료 60g에 대한 1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100 내지 120도에서 2시간 동안 가온 추출 후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진피 및 생강 혼합물 추출물 6.92g(건조중량)을 얻었다.
95% EtOH 추출물의 제조
국내산 산물진피, 생강 혼합 시료 60g에 대한 3배의 추출용매(95% 에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의 추출물 3.99g(건조중량)을 얻었다.
70% EtOH 추출물의 제조
국내산 산물진피, 생강 혼합 시료 60g에 대한 3배의 추출용매(95% 메탄올)을 가하여 상온에서 72시간 동안 진탕추출하는 공정을 3회 진행한 뒤 추출액을 여과하여 회전 진공 증발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고 동결 건조하여 분말상의 추출물 5.81g(건조중량)을 얻었다.
부틸렌글리콜 가용 추출물의 제조
국내산 산물진피, 생강 혼합 시료 60g에 대한 10배의 추출용매(50% 1,3-부틸렌글리콜)을 가하여 상온에서 5일간 침지시켜 추출한 후, 380메시(mesh) 여과포로 약재를 거르고, 와트만(Whatman) No.1 여과지로 여과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추출물 512g을 수득하였다.
프로필렌글리콜 가용 추출물의 제조
50% 1,3-부틸렌글리콜 대신 50% 프로필렌글리콜을 동량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추출물 536g을 수득하였다.
디프로필렌글리콜 가용 추출물의 제조
50% 1,3-부틸렌글리콜 대신 50% 디프로필렌글리콜을 동량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추출물 542g을 수득하였다.
글리세린 가용 추출물의 제조
50% 1,3-부틸렌글리콜 대신 50% 글리세린을 동량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수행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상의 추출물 396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항산화 효과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하여 프리라디칼 소거능 측정을 통해 항산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시료에 대한 전자공여능 측정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의 농도별 용액 100㎕에 5×10-4M의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100㎕를 넣고, 1분간 교반한 후, 25℃ 인큐베이터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엘-아스코르빈산(100㎍/㎖)을 사용하였으며,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시료(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10 89.40% 82.80% 93.80% 65.70% 70.90% 40.80% 19.70%
5 90.10% 75.40% 90.10% 39.80% 50.10% 16.90% 7.40%
1 89.50% 51.50% 70.80% 21.20% 36.10% 5.70% 2.50%
0.5 68.90% 37.20% 43.70% 9.80% 16.40% 1.90% 0.80%
0.1 52.50% 16.60% 22.60% 2.80% 5.70% 2.70% 0.90%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모두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실시예 1의 물 추출물의 경우,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이 0.1중량%일 때, IC50을 나타내어 가장 강력한 프리라디칼로 인한 세포 손상 및 피부노화 진행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구인 엘-아스코르빈산(100㎍/㎖)의 경우, 92.2%의 소거능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OD; Superoxide dismutase) 유사활성 측정
실시예 1 내지 7에 대하여 SOD 유사활성은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각 추출물 당 100ppm의 농도별 시료용액 20㎕에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분석 키트(SOD assay kit-WST) 내 더블류에스티 작업용액(WST working solution) 200㎕을 넣어 교반한 후, 다시 효소작업용액(Enzyme working solution) 20㎕를 넣어 혼합한 후, 37℃ 인큐베이터에서 20분간 반응시키고,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대조구로는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1,000units)을 사용하였으며,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 유사활성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내었다. 결과는 하기 표2에 기재하였다.
시료(중량%)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실시예 7
10 103.80% 92.80% 98.10% 70.00% 67.60% 55.10% 10.50%
5 97.50% 90.10% 91.40% 50.10% 39.10% 43.30% 4.90%
1 90.40% 81.70% 85.30% 45.30% 24.90% 30.50% 4.00%
0.5 73.80% 67.90% 71.90% 22.10% 11.60% 21.80% 2.10%
0.1 22.80% 10.80% 15.30% 4.90% 2.70% 6.70% 1.30%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모두 슈퍼옥사이드 디스큐타제 유사활성이 우수하였으며, 특히, 실시예 1의 물 추출물의 경우, 유사활성이 에탄올 추출물인 실시예 2, 3의 경우보다 낮은 농도에서 유지되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어 우수한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대조구인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1,000units)의 경우, 99.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세포 독성·증식 촉진 효과
상기 항산화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가장 항산화 활성이 높은 실시예 1의 물 추출물에 대한 세포 독성·증식 촉진 효과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상기 실시예 1에 대하여 인체 진피 섬유아세포(Human skin dermal fibroblast)에 대한 세포 독성을 측정하였다.
CCD-986sk 인간피부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에 대한 세포독성 측정은 소량의 세포의 생세포수를 측정하기 위한 방법으로 잘 알려진 염색법의 일종인 MTT 분석법을 실시하였다. MTT 분석법이란 살아있는 세포들이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L-tetrazolium bromide, Sigma)를 미토콘드리아에 존재하는 탈수소효소의 환원작용으로 blue formazan product로 전환시키고, 이 형성된 청색의 생성물을 용매로 용출하여 이의 흡광도를 측정함으로써 살아있는 세포의 상대적 성장(growth)을 알아보는 방법으로 즉, CCD-986sk(Human dermal skin fibroblast)을 10% FBS-IMDM(Iscove's Modified Dulbecco's Medium, Gibco)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5×104cells/㎖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96well-plate에 200㎕씩 분주하고, 이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한 후, 10% FBS-IMDM로 조제한 농도별 추출물 200㎕과 FBS-free IMDM 180㎕를 다시 첨가하여 동일 조건에서 48시간 반응시켰다. 이 때 FBS-free IMDM만을 사용한 실험구를 시료의 대조구로 사용하였다. 반응 완료 3시간 전, 5㎎/㎖ MTT 용액(in 1× PBS(-))을 20㎕씩 첨가한 뒤, 다시 48시간까지 반응을 진행, 완료하였다. MTT 반응액을 제거한 후, DMSO(Dimethyl sulfoxide) 150㎕씩 첨가한 뒤 5분간 교반(상온)하고 이를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7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결과는 하기 표 3에 기재하고, 도 1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
대조구
(control)
4000 2000 1000 500 250 100 50
실시예 1 100.0% 88.4% 128.6% 130.5% 115.2% 98.3% 103.7% 95.9%

상기 표 3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산물진피 및 생강 물 추출물인 실시예 1의 경우, 농도 4,000㎍/㎖에서 독성을 나타내었으나 이하 최대농도 2,000㎍/㎖까지는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았으며 250㎍/㎖~1,000㎍/㎖까지 농도의존적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특히, 농도 1,000㎍/㎖에서는 가장 높은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내어 비처리구인 대조구보다 약 30%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은 세포 독성이 없으며 인체 피부 진피 섬유아세포에 대한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세포독성이 없으며 세포 증식을 촉진시키는 농도 내에서 세포 내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CCD-986sk(Human skin dermal fibroblast) 내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SIRCOL collagen assay(Biocolor Ltd)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즉, CCD-986sk(Human dermal skin fibroblast)을 10% FBS-IMDM에 배양한 후, 이를 취하여 세포농도를 1.5× 105cell/㎖로 조정한 세포액을 조제한 후, 이를 35× 10㎜ plate에 2㎖씩 분주하고, 이를 37℃, 5% CO2 인큐베이터에서 24시간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배지를 제거하고 새로운 10% FBS-IMDM 1㎖을 넣은 뒤 농도별로 준비한 시료(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를 다시 1㎖씩 넣고 동일조건에서 다시 24시간 동안 배양시켰다. 24시간 배양 후, 각 plate로부터 배양액 0.5㎖씩 취하여 마이크로튜브(Microtube)로 옮기고 DYE Reagent(SIRCOL collagen assay, Biocolor Ltd) 1㎖를 첨가하였다. 이를 상온에서 30분간 교반시킨 뒤, 원심분리(15,000rpm, 5분)하여 상등액인 DYE Reagent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이에 다시 ALKALI Reagent(SIRCOL collagen assay, Biocolor Ltd) 0.1㎖을 첨가하여 5분간 교반한 뒤 이를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96well microplate)로 옮겨 마이크로플레이트 계수기를 이용하여 54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실험 비교구로는 엘-아스코르빈산(100㎍/㎖)을 사용하였으며, 콜라겐 생합성 촉진효과는 시료용액의 첨가구의 무첨가구 대비 흡광도 증가율로 나타내었다.
여기서,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은 상기 실시예 1을 이용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 4에 기재하고, 도 2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
대조구
(control)
비교구 10 100 750 1000 1500 3000
실시예 1 100.0% 200.0% 99.0% 98.4% 105.0% 116.6% 118.2% 177.2%

상기 표 4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농도의존적인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보였으며, 1000과 1500㎍/㎖에서는 약하였지만 3000㎍/㎖ 농도에서 약 177%의 높은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보였다. 비교구인 엘-아스코르빈산(100㎍/㎖)의 경우, 200%의 촉진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 대조구는 무첨가구를 말한다.
<실험예 5> 인체 표피 각질세포로부터의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 효과
상기 항산화 실험에서 얻어진 결과를 토대로 가장 항산화 활성이 높은 실시예 1에 대한 사람 각질형성세포주 내 사이토카인 분비 및 이들 발현 인자의 억제를 통한 피부 항노화 효과를 측정하였다.
<실험 방법>
과산화물에 의한 HaCaT 인체각질형성세포주(Human skin epidermal keratinocyte)세포의 산화적 스트레스 억제 효과 측정을 위하여 이들 세포로부터 분비되는 사이토카인 TNF-α및 IL-8의 분비량을 통하여 피부 항노화 효과를 수행하였다. 즉, HaCaT 인체각질형성세포주를 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DMEM), 10% fetal bovine serum, penicillin-streptomycin 100 IU-100 u㎍/㎖ (Gibco, Carlsbad, CA)와 함께 배양접시에서 37℃, 5% CO2의 조건으로 배양했다. 실험에 사용할 세포를 24-웰(well) 세포 배양판에 5×104 cells/500㎕씩 분주하여 하룻밤 안정화시키고, 안정화된 세포에 실시예 1의 물 추출물 시료(1㎎/㎖) 및 대조구로 이용한 헤스페리딘(hesperidin, 20㎍/㎖)을 30분 동안 전 처리했다. 이후 H2O2를 100uM 농도로 처리하고 24시간 또는 48시간 동안 각각 반응한 후, 상층액과 세포를 분리하여 정량에 사용하였다.
IL-8과 TNF-α생성량은 효소면역반응인 ELISA방법을 통해 정량하였다. ELISA는 96개의 작은 용기가 들어있는 플레이트에 IL-8과 TNF-α특이성을 지닌 항체를 코팅하여 수행했다 (Nunc, Denmark). 코팅된 플레이트는 0.05% Tween-20이 함유된 PBS (PBST)로 3번 세정했다. 시험에 쓰이는 모든 시약과 코팅된 용기는 1시간 동안 실온에 방치했다. 이후 위에서 언급한 상층액과 표준액을 코팅된 플레이트에 처리하고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표준 곡선을 위해, 재조합형의 human IL-8 및 TNF-α항체가 있는 플레이트에 처리했다. 2시간 후 바이오틴이 결합된 human IL-8 및 TNF-α항체를 처리하고 1시간 반응 후, 아비딘 과산화효소를 반응시켰다. 상온에서 30분 간 반응시킨 후 기질 ABTS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를 처리하여 그 변색 정도를 405nm에서 측정했다 (VersaMax, Molecular Devices).
결과는 하기 표 5에 기재하고, 도 3, 4, 5, 6에 그래프로 도시하였다.
시료 반응시간(Hour) 대조구 H2O2
(100uM)
실시예 1
(1㎎/㎖)
Hesperidine
(20㎍/㎖)
TNF-a
(pg/㎖)
24시간 87.8 589.5 542.5 506.7
48시간 97.5 303.3 200.0 152.0
IL-8
(ng/㎖)
24시간 3.705 5.254 4.729 4.632
48시간 5.856 12.808 10.565 6.510

상기 표 5 및 도 3, 4, 5, 6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1㎎/㎖ 농도에서 H2O2에 의하여 증가된 TNF-α의 분비량을 24시간 반응 시에는 약 8%((1-(542.5/589.5))×100)에 의한 값), 48시간 반응 시에는 약 34.1%((1-(200.0/303.3))×100)에 의한 값) 정도 감소시켰으며 IL-8의 경우, 역시 24시간 반응 시에는 약 10%((1-(4.729/5.254))×100)에 의한 값), 48시간 반응 시에는 약 18%((1-(10.565/12.808))×100)에 의한 값) 감소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험예 6 인체 표피 각질세포로부터의 사이토카인 발현 인자 억제 효과
<실험 방법>
인체 각질형성세포주 내 사이토카인 생성에 영향을 주는 인자 단백질의 발현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웨스턴블랏 (western blotting) 방법을 사용하였다. pIkB, pp38 및 NF-kB levels의 분석을 위하여 실험이 종료된 세포는 ice-cold PBS로 두 번 세정하고 ice-cold lysis buffer (1% Triton, 1% Nonidet P-40, 0.1% SDS, 1% deoxycholate in PBS)에 용해시켰다. 세포 lysates는 15,000 rpm, 4℃, 15분간 원심분리 했다. 그 후 상층액을 2 × SDS sample buffer에 동량으로 섞고, 5분간 95℃로 끓인 후 10% SDS-PAGE gels에 전기영동으로 분리하고 전기장을 이용한 이동(electrophoretic transfer)으로 나이론 멤브레인(nylon membranes)에 이동(transfer)했다. membranes은 5% skim milk에 2시간동안 block하고 PBST에 1차 항체(primary antibodies)를 4°C에서 하룻밤 배양했다. 멤브레인(membranes)은 PBST로 4회 씻어내어 멤브레인을 에치알피-컨쥬게이션된 이차 항체(HRP(horseradish peroxidase)-conjugated secondary antibodies)로 1시간 동안 배양했다. PBST로 6회 세척 후, 화학발광분석법(chemiluminescence assay, Amersham Pharmacia Biotech, NJ, USA)을 이용하여 처리하고 X-ray 필름에 켰다.
결과는 하기 도 7로 나타내었다. 이때, B는 Unsitmulated cells을 나타내며, CON은 H2O2을 나타내며, Hes은 H2O2 +hesperdin 20μg/ml을 나타내며, 실시예1은 H2O2 +실시예 1의 1 mg/ml을 나타낸다.
여기서, 사이토카인 분비 조절에 관여하는 세포내 신호전달 단백질에 대한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과 비교구인 hesperidin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하여 웨스턴블랏을 사용하였다. H2O2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 및 발현의 증가는 NF-κB에 의한 경로가 많이 밝혀져 있기 때문에, 먼저 NF-κB에 대한 영향을 확인하였다.
도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 결과 H2O2에 의해 NF-κB의 활성이 확인되었고 또한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이 전처리에 의해 NF-κB의 활성이 억제됨을 확인 하였다. NF-κB의 억제 단백질인 IκBα의 활성화 형태인 pIκB의 실험결과에서도 억제효과를 관찰하였으며, 이러한 결과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이 NF-κB/IκB 경로를 억제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세포 증식 및 세포 활성에 중요한 신호조절 단백질인 p38에 대한 영향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H2O2 자극에 의하여 p38의 활성화 형태인 인산화된 p38의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에 의해 그 활성이 감소되었다.
따라서, 이러한 일련의 항산화 효과, 피부세포 증식 및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 그리고 산화 스트레스에 의한 사이토카인 분비 및 이들의 발현인자 억제 효과 확인을 통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이 산화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스트레스를 억제하여 노화를 방지하는 효과에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처방예 1>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표6과 같은 조성으로 유연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여기서,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은 항산화와 피부세포 증식 촉진 효과, 콜라겐 생성 촉진 효과 및 손상받은 피부 세포로부터의 사이토카인 분비 억제와 이들 발현에 관여하는 단백질 생성 억제 효과가 가장 우수한 실시예 1이다.
(단위: 중량%)
성 분 처방예1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실시예1) 0.05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0.4
글리신 3.5
디포타슘 글리시리제이트 0.1
1,3-부틸렌 글리콜 3
소듐 히아루로네이트 0.1
에탄올 5
항산화제 0.1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0.2
정제수 87.35

<처방예 2>
본 발명에 따른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실시예 1)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화장수의 처방예 2는 표7과 같이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성 분 처방예 2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실시예 1) 0.1
글리세린 7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슈크로오즈코코에이트 2
미네랄 오일 4
트리옥타노인 1
스테아릭 에씨드 1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0.5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1
디메치콘 0.5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카보머 0.2
EDTA 0.1
방부제 0.2
정제수 82

<처방예 3>
본 발명에 따른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실시예 1)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에센스의 처방예 3은 표8과 같이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성 분 처방예 3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실시예 1) 0.5
글리세린 5
1,3-부틸렌 글리콜 2
폴리에칠렌 글리콜 2
카보머 1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3
폴리아크릴아마이드 2
히드록시에칠셀룰로이즈 0.2
에탄올 3
폴리옥시에칠렌경화피마자유 1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0.2
정제수 79.5

<처방예 4>
본 발명에 따른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실시예 1)을 함유한 화장료 중 영양크림의 처방예 4는 다음과 같다.
(단위: 중량%)
성 분 처방예 4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실시예 1) 0.5
1,3-부틸렌글리콜 3
글리세린 3
하이드로제네이티드 레시친 1
옥틸도데카놀 3
트리옥타노인 2
스테아릭에씨드 1.5
세토스테아릴알콜 2
폴리솔베이트 60 1.5
소르비탄 세스퀴올레이트 2
디메치콘 3
항산화제 0.3
산탄검 0.2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0.2
정제수 76.6

<처방예 5>
본 발명에 따른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실시예 1)을 함유한 화장료 중 바디크림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단위: 중량%)
성 분 처방예 5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실시예 1) 0.5
1,3-부틸렌글리콜 6.0
글리세린 4.0
소듐세틸설페이트 0.1
판테놀 1.0
산탄검 1.0
카보머 0.1
비스왁스 0.3
세탄올 2.5
글리세릴 스테아레이트 2.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5
미네랄오일 5.0
스쿠알렌 2.0
항산화제 0.3
디메치콘 1.0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0.2
정제수 71.8

<처방예 6>
본 발명에 따른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실시예 1)을 함유한 화장료 중 팩의 처방예는 다음과 같다.
성분 처방예 6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실시예 1) 1.0
글리세린 7.0
1,3-부틸렌 글리콜 3.0
스쿠알렌 3.0
디메치콘 3.0
소듐히아루로네이트 0.1
글리신 2.0
폴리아크릴아마이드 5.0
항산화제 0.3
트리에탄올아민 0.1
EDTA 0.1
방부제 0.2
정제수 75.2

여기서,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내 활성 산소를 제거하고 세포 손상 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세포의 증식을 촉진시켜 콜라겐 생합성을 향상시키는 효과 및 산화 스트레스로 인하여 발생하는 여러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줄이며 이들의 발현 인자 단백질을 억제하는 효과를 통하여 항산화, 피부보호 및 노화방지 효과를 갖는 제형으로서의 화장료 조성의 예를 보여준 것으로, 이것은 이 제형에 한정하지는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처방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처방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9)

  1.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0.001 내지 30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70 내지 99.999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0.1 내지 10중량%와 화장료 베이스 90 내지 99.9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의 용매는 물, 에탄올,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및 글리세린 군에서 선택되는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추출물의 용매는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화장료 베이스는 유연화장수(스킨로션), 영양화장수(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크림,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크림 및 팩으로 구성된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6.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자공여능은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540nm에서의 흡광도 감소율을 이용하여 혼합추출물의 프리라디칼 소거능을 측정 시,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 0.1 내지 10중량%일 때, IC50값이 50 내지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7.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아제(Superoxide dismutase, SOD) 유사활성 측정 시, 전체 조성물의 중량에 대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 0.1 내지 10중량%일 때, 시료용액의 첨가구와 무첨가구의 450nm에서의 흡광도 감소율이 20 내지 1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8.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750 내지 5,000 ㎍/㎖ 농도에서 100 내지 200%의 콜라겐 생합성 촉진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9.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서,
    S1) 산물진피 및 생강에 용매를 가하여 50 내지 120℃에서 1 내지 20시간 가열하여 추출하거나, 5 내지 40℃에서 1 내지 15일간 침적시켜서 혼합추출액을 추출하는 단계;
    S2) 상기 추출한 혼합 추출액을 여과하는 단계;및
    S3) 상기 여과된 혼합추출액을 진공 증발기를 이용하여 동결 건조하여 농축한 혼합추출물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는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제조방법.

KR1020100066302A 2009-12-04 2010-07-09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182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90119802 2009-12-04
KR1020090119802 2009-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69A KR20110063269A (ko) 2011-06-10
KR101182765B1 true KR101182765B1 (ko) 2012-09-14

Family

ID=44397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6302A KR101182765B1 (ko) 2009-12-04 2010-07-09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276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761B1 (ko) * 2012-05-22 2015-02-04 (주)제주사랑농수산 온주 밀감 미숙과 추출물을 이용한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자외선 차단용 조성물
KR101713486B1 (ko) 2016-05-27 2017-03-07 (주)토니모리 소시지나무 열매, 작두콩 콩깍지 및 옥수수 속의 혼합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42409B1 (ko) 2020-03-09 2021-12-23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수국 전초의 가수분해물 및 그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3269A (ko) 2011-06-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1837B1 (ko) 병풀 부정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6470B1 (ko) 용안육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00678B1 (ko)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2622B1 (ko) 인삼 새싹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70137564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2158780B1 (ko) 천연소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134589A (ko) 분갈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유래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101182765B1 (ko) 항산화 및 항노화 효과를 가지는 산물진피 및 생강 혼합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612017B1 (ko)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620811B1 (ko) 홍국균으로 발효시킨 적색 병풀 및 이의 용도
KR101668357B1 (ko)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2017013754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6912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50145704A (ko) 단풍콩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Dhongade et al. Therapeutic potentials of Murraya koenigii Spreng (Rutaceae)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KR20170137559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170137560A (ko) 복합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조성물
KR20210028291A (ko) 초진공 저온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염, 보습, 피부 주름 개선 및 피부 재생 활성을 갖는 피부상태 개선용 조성물
KR20140018596A (ko) 콩꼬투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26592B1 (ko) 드라이아이스를 이용한 천연물의 추출방법 및 이에 따라 수득된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KR102014960B1 (ko) 콩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1922131B1 (ko) 멀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220046162A (ko) 울릉산마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08215B1 (ko) 삼채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 및 항산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0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