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5598B1 -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5598B1
KR101625598B1 KR1020130104744A KR20130104744A KR101625598B1 KR 101625598 B1 KR101625598 B1 KR 101625598B1 KR 1020130104744 A KR1020130104744 A KR 1020130104744A KR 20130104744 A KR20130104744 A KR 20130104744A KR 101625598 B1 KR101625598 B1 KR 1016255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natural plant
cosmetic composition
sal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47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6216A (ko
Inventor
김은영
정관영
한상근
박인기
Original Assignee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콜마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콜마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047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5598B1/ko
Publication of KR20150026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6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55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55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Dermat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Bird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를 이용하여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하여 천연 식물 추출물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증기에 의해 천연 식물에 함유된 배당체들의 탈당현상 또는 섬유질성분이 단당류로 변화하여 당류 함량이 증가하여 보습효과가 우수하고, 다양한 아미노산의 증가로 의한 피부 영양 공급효과, 면역증강, 항산화, 항박테리아 효과를 구현하며, 특히 증기에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더 활용함으로써, 더욱 높은 온도에서 가공 처리하여 약효 보존에 유리하다. 이에,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부터 특히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하여 얻어진 천연 식물 추출물은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용도로도 유용하다.

Description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FOR EXTRACT OF NATURAL PRODUCTS USING TRADITIONAL PROCESS AND ANTI-AGING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본 발명은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포제 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에 의해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하고, 물 또는 유기용매를 이용하여, 상기 천연 식물의 추출물을 제조하고, 특히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하는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포제는 한약(생약)재의 안전성과 효능을 보장하기 위하여 행한다. 포제법은 한방의 전통제약기술로서 합화, 합약, 수치, 포자, 법제 및 수사 등으로 일컬어지며 이것은 한방이론에 근거하여 약재를 가공 처리함으로써 약재 본래의 성질을 변화시키는 제약기술이라 할 수 있다.
어떤 약재는 독성이 있거나 성질이 매우 강하여 직접 복용할 수 없고, 어떤 약재는 쉽게 약성이 변해 오래 저장할 수 없으며 또 어떤 것은 잡질과 어느 부분을 제거하여야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있다. 또한 동일한 약재라 하더라도 생재와 숙재는 성질이 같지 않거나 작용에서 차이가 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약재를 사용하기에 앞서 반드시 가공을 거쳐야 하는데 이를 약용식물의 포제
Figure 112013079917685-pat00001
라 한다. 포제는 경우에 따라, 보료를 가하여 함께 가공하는데, 보료를 사용하는 것은 변증에 따라 용약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함이다. 이때, 약물의 포제에 사용되는 보료의 종류에 따라 성질과 작용이 다양해지며, 이로 인해 포제한 약재가 일으키는 작용도 각기 다르게 된다.
상용되는 보료의 종류는 무수히 많으나 일반적으로는 크게 액체 보료와 고체 보료로 분류할 수 있다.
액체 보료로는 술, 식초, 꿀, 생강즙, 감초즙, 흑두즙, 식염수, 미감수 젖, 동변, 석회수 등을 사용하며, 고체 보료로는 쌀, 밀기울, 백반, 두부, 흙, 합분, 모래 등을 사용한다.
천연 식물을 포제하는 목적은 약물을 청결하게 하고, 저장을 용이하게 하며, 약물의 독성과 부작용을 저하시키거나 제거하고, 약성을 변화시켜 약을 더욱 효과적으로 조제하며, 약물의 치료 효과를 증강시키고, 약재의 나쁜 냄새와 맛을 없애 복용하기 좋게 하기 위함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42498호에는 천마를 포제하여 건강기능식품으로 만들고, 체내 중성지방의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이때, 포제방법은 쌀뜨물, 천마, 복령, 천궁 등을 혼합하여 담근 후 건조하여 포제한 천마 조성물을 제조하고 중성지질함량을 낮추기 위한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화장품분야에서는 포제방법을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에 대한 보고가 다수 있다. 일례로,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10-56281호는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작약, 옥중 및 백합추출물 중 1종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을 보고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9-128677호에는 포제를 활용한 산수유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2009-128230호는 포제를 활용한 황금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탄력을 향상시키고, 노화방지 효능에 대하여 보고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포제 방법에 사용되는 약재선택과 포제시 사용되는 보료에 따라 성질과 그 작용이 달라질 것이고 그에 따른 다양한 용도개발이 가능한 기술적사상으로부터 안출된 발명으로, 포제 시 사용되는 보료를 특정하고 포제 가공방법을 개선하여 이를 이용한 약재기능을 최적화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포제 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를 이용하여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하여 얻어진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얻어진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세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천연 식물에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로 찌는 포제 가공공정, 2) 상기 포제 가공된 천연 식물을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하는 추출공정으로 이루어진, 포제 시 보료를 활용하여 가공한 천연 식물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염류가 소금 또는 설탕이 사용되며, 구체적인 실시형태로서,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이 소금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쑥 추출물 또는 설탕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단삼 추출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이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식물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들의 혼합성분이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서 천연 식물 추출물은 건조중량 대비 0.001 내지 10중량% 함유된다.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는 소금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쑥 추출물 또는 설탕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단삼 추출물이며, 이를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 세럼 에센스, 팩, 유화형 화운데이션, 고체형 화운데이션 및 자외선 차단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천연 식물 추출물이 목욕세정제, 샴푸 및 비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세정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포제 시 보료를 활용하여 가공한 천연 식물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되,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를 이용하여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함으로써, 천연 식물의 효능을 파괴 없이 보존하여 상기 효능을 최적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또는 세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포제 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를 이용하여 천연 식물을 삶거나, 찌거나, 불에 볶거나, 불에 굽거나 달구거나 또는 이들의 혼합 공정으로 포제 가공하고,
2)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을 이용하여 상기 1) 단계를 거친 천연 식물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1) 단계는 포제 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를 이용하여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하는 단계로서, 상기 추출용매 조건에서 삶거나, 찌거나, 불에 볶거나, 불에 굽거나 달구거나 또는 이들을 혼합한 공정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한 증기에서 찌는 방법으로 수행하는데, 이로써 천연 식물의 성미를 변화시켜 피부 부작용 감소 및 천연 식물의 유해세균, 벌레 사멸이 용이하며 약효의 보존과 추출을 용이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증기 추출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글리세린,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용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 바람직하게는 함수알코올, 함수글리세린 등 2개의 혼합용매 하에서 추출한다. 또한, 상기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에서 선택된 용매로 추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 단계에서 수행되는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를 이용한 방법에 의해, 천연 식물에 함유된 배당체들의 탈당현상 또는 섬유질성분이 단당류로 변화하므로, 당류의 함량이 증가하여 뛰어난 보습효과를 구현하고, 다양한 아미노산의 증가로 의한 피부 영양 공급효과, 면역증강, 항산화, 항박테리아 효과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의 포제 가공시,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를 이용함으로써, 동일부피에 용질 분자의 입자 수 증가에 따라 끊는점 오름 물성이 수반되는 용액의 총괄성(colligative properties)에 기반하여, 증기 단독으로 수행한 온도보다 더욱 높은 온도에서 가공 처리하여 효능 보존에 유리하다.
이때, 보료로는 용질의 종류에는 무관하여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서는 저렴하고 구입이 용이한 염류로서, 소금 또는 설탕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서 2) 단계는 물 또는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수득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4의 알코올은 메탄올, 에탄올, n-프로판올, iso-프로판올, n-부탄올, tert-부탄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매 중에서 함수 에탄올이 가장 바람직하며, 함유된 물의 양은 30 내지 90(wt/wt)% 이내가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70(wt/wt)%이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 상에서 얻어진 천연 식물 추출물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는 소금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쑥 추출물 또는 설탕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단삼 추출물이다.
이때,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은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진 공지된 추출법에 의해 제조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의 채택한 천연 식물 건조물을 세절하고 그 건조중량의 1∼5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을 중에서 선택된 용매를 부가하여 4∼30℃에서 3∼2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한 후, 용매를 감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채택한 천연 식물 건조물을 분쇄하여, 그 건조 중량의 1∼30배 부피량의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알코올 또는 함수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를 사용하며, 이어서 용매가 증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냉각 콘덴서를 구비한 추출기로 30∼100℃에서 1∼48시간 동안 가열 추출하거나 5∼30℃에서 1∼10일간 침적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고, 추출 용매를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수득한다.
또한, 상기에서 열거한 용매에 공지된 초음파 추출법 등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은 물,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알코올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추출온도는 50 내지 100℃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천연 식물 추출물은 추출 용매로 추출한 추출액을 감압 농축한 농축액, 농축액을 동결건조한 분말 또는 농축액을 분무 건조하여 건조한 분말로 제공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되, 상기 천연 식물 추출물이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식물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들의 혼합성분이 추출된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천연 식물 추출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분말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0.001 내지 10중량%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분말형태 또는 액상형태로 0.01 내지 5중량% 함량으로 첨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식물이라 함은 상기 효능이 알려진 공지된 소재라면 적용가능하며, 바람직한 일례로는 쑥, 단삼, 권백, 감국, 진피, 작약, 옥죽, 백합, 산수유, 석류, 황금 및 인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단독 또는 그들의 혼합성분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형태로서 소금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쑥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쑥은 경동시장과 같은 재래 시장과 같은 오프라인 또는 인터넷 마켓 등으로도 구입할 수 있으며, 구입 후 정제수로 깨끗이 세척하여 사용하며, 추출방법에 따라 건조시켜 세절하거나 가루로 만들어 사용할 수 있다.
쑥(Artemisia)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번식력이 매우 강해 세계적으로 북반구에 200여종이 분포하고 우리나라 전역에서도 38여종이 봄철부터 자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쑥은 독특한 향기와 맛을 가지고 있어 예로부터 식용 또는 식품첨가물로 다양한 형태의 식품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한방에서는 지혈, 해열, 소염, 진통, 이뇨, 혈압강하, 이기혈, 한습, 이담 등의 효능이 알려져 있어 복통, 토혈, 창상출혈, 급ㆍ만성 간염, 황달, 지방간, 간경화 및 간 기능 개선, 식욕부진, 만성 위장염, 소화불량, 변비, 천식, 신경통, 부인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 오고 있다. 이에, 쑥은 항균, 항진균, 항암, 간 보호, 당뇨 증상 완화, 항산화, 항돌연변이 등의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인진쑥은 우리나라 냇가나 강가의 모래땅에서 자라는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서 높이가 약 30∼100㎝ 정도로 곧게 자라고 겨울철에도 죽지 않고 이듬해 줄기에서 다시 싹이 나온다 하여 사철쑥 또는 애탕쑥이라 불리며 생약명으로는 인진, 인진호 또는 추호라 불린다. 이러한 사철쑥의 과수를 단 지상부를 8∼9월에 채취한 것을 인진호라 하는데 이것이 흔히 인진쑥이라 불리고 있다.
인진쑥의 주요 성분은 수분, 단백질, 지질, 당질, 섬유질, 회분과 특수 성분으로 정유성분, 비타민, 알카로이드 등이 포함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녹엽 단백질원으로서 필수 지방산을 많이 함유하고 있어서, 영양학적으로 매우 우수하며 무기질 중 칼슘과 칼륨의 함량이 높아 알칼리성 식품으로 비타민 A와 C의 함량이 일반 야채류를 포함한 산야채류 중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스코피론(scoparone), 4-하이드록시아세로페논(4-hydroxyacerophenone), 카필라리신(capillarisin) 등의 성분은 이담작용에 유용하고, 외국에서는 쑥속(Artemisia sp.)의 잎과 ?으로부터 팅크(tincture), 앱솔루트(absolute), 정유 등의 제조법으로 추출된 쑥오일(armoise oil), 웜우드오일(wormwood oil), 다바나오일(davana oil), terrsgon, vestitas, 아프라오일(afra oil) 등의 향료가 음료, 과자, 식품, 화장품 등의 제조에 이용되고 있다.
아울러, 정유 성분은 약96종 화합물의 혼합체로서 시네올(cineole), 튜존(α-thujone), 미르센(β-myrcene), 캠퍼(camphor), 보르네올(borneol), 캐리오필렌(caryophyllene), 뮤로린(muurolene), 로그니버베논(logniverbenone), 세스퀴테르펜 알코올(sesquiterpene alcohol) 등의 다량 성분과 아데닌(adenine), 콜린(choline), 캄펜(camphene), 시멘(p-cymene), 튜자논(3-thujanone), α-테르피넨-4-올(α-terpinene-4-ol), 시스-1-메틸-4(1-메틸-에틸)-2-사이클로헥센-1-올 등이 함유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인진쑥은 일반 쑥과는 달리, 황달, 간염, 간경화에 효과적이고 간기능 항진에 효능이 뛰어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지금까지 인진쑥에 대한 연구로는 생육특성 및 성분함량, 정유성분과 관련한 생물학적 연구와 약리학적 연구로 간 보호 효과, 항균작용, 항염증 및 진통효과, 항암효과, 항산화작용, 담즙 분비효과, 당대사 개선효과, 과산화지질에 대한 효과, 혈압강하작용, 당뇨병 및 고혈당증의 치료 효과, 항진균, 항돌연변이효과, 용혈성 빈혈, 충치억제 효과 등이 보고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바람직한 제2실시형태로서 설탕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단삼 추출물을 함유한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단삼은 꿀풀과(Labiatae)의 뿌리에 속하며 중국이 원산지로서 다년생 초본이고 굵은 뿌리의 표피에 적색 색소가 침착되어 있으며 말린 근경(rhizomae)을 천연 식물로도 사용하며 혈관확장작용, 진정진통작용, 항균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단삼의 화학성분에 관한 연구를 보면 디에틸에테르 추출물에서 퀴논 타입의 화합물인 탄시논(tanshinone), 디하이드로탄시논(dihydrotanshinone), 크립토탄시논(cryptotanshinine) 및 danshenxinkum B 같은 유색물질이 밝혀졌고, 퀴논류가 BHA와 BHT의 항산화력과 비교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
특히 크립토탄시논은 관상동맥혈관확장에 효과가 커서 심근경색증을 예방하며, 협심증 치료에 사용됨이 밝혀져 있으며 세포독성, 항혈전, 항산화, 항염증, 치아우식세균에 대한 항균 등이 보고되어 있다.
이상의 소금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쑥 추출물 또는 설탕물 수증기로 포제 가공된 단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 세럼 에센스, 팩, 유화형 화운데이션, 고체형 화운데이션 및 자외선 차단 크림 등의 제형을 제공될 수 있다.
또한, 각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의 쑥 추출물 또는 단삼 추출물 외에, 기타 화장료의 제형 또는 사용목적 등에 따라 다른 성분들을 임의로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착색제(색소), 착향제(향료), 현탁화제, 유화제, 용해보조제, 안정제, 등장제, pH조절제, 점도조절제, 용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의 쑥 추출물 또는 단삼 추출물 외에,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다른 유효성분을 1가지 이상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부터 제조된 천연 식물 추출물은 목욕세정제, 샴푸 및 비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세정제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포제 가공에 의한 쑥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쑥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쑥 50g에 소금을 뿌려 덮고 증기(2기압, 120℃)로 찐 후, 이를 증류수 1㎏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300 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 비교예 1> 쑥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쑥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 쑥 50g에 증류수 1㎏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300 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 비교예 2> 수증기(증) 쑥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쑥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 쑥 50g을 증기(2기압, 120℃)로 찐 후, 이를 증류수 1㎏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300 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실시예 2> 포제 가공에 의한 단삼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단삼을 정제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킨 단삼 50g에 설탕을 뿌려 덮고 증기(2기압, 120℃)로 찐 후, 이를 증류수 1㎏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300 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 비교예 3> 단삼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단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 단삼 50g에 증류수 1㎏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300 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 비교예 4> 수증기(증) 단삼 추출물 제조
경동시장에서 구입한 단삼을 정제수로 세척한 후, 건조시킨 단삼 50g을 수증기(2기압, 120℃)로 찐 후, 증류수 1㎏을 넣고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80∼100℃로 2시간 끓여서 추출하였다. 이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하였다. 이후 300 메쉬 여과지로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하여 침전물을 에드벤텍 5번 여과지와 와트만 GFC 150mm 여과지로 2번 여과하였다.
< 실험예 1> 크산틴 산화효소( Xanthine Oxidase ) 저해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0.1중량%, 0.2중량%, 0.5중량%, 1.0중량%, 2.0중량%, 5.0중량% 농도별로 준비하고, NBT(Nitro-Blue Tetrazolium) 환원법을 사용하여, 크산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에 의해 생성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의 소거 활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0.4mM 크산틴(xanthine)과 0.24mM NBT를 포함하는 0.1M 칼륨 인산완충용액(pH 7.5) 1㎖에 시료 0.1㎖을 혼합한 후, 크산틴 산화효소 (0.05U/㎖) 1㎖을 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1M HCl 1㎖을 첨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후, 52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크산틴 산화효소(XO)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1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13079917685-pat00002
상기에서, B (Blank): 0.4mM 크산틴을 포함한 0.1M 칼륨 인산완충용액(pH 7.5)와 1M HCl만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C (Control): 시료 대신 0.24mM NBT를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고,
S (Sample): 시료를 첨가한 반응액의 흡광도이다.
Figure 112013079917685-pat00003
상기 표 1의 결과로부터, 통상의 추출법(비교예 1 및 비교예 3) 또는 증기추출법(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보다, 포제 가공시 증기에 보료로서 사용된 소금 또는 설탕을 첨가하여 가공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은 동일농도대비, 우수한 NBT 환원 제거능을 보였으며, 상기 NBT 환원 제거능은 농도에 비례하였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 및 단삼 추출물은 크산틴 산화효소(Xanthine oxidase)에 의해 생성된 슈퍼옥사이드 라디칼에 대한 소거 활성을 확인하였다.
< 실험예 2> 과산화물제거효소( Superoxide Dismutase , SOD )유사 활성 효과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0.1중량%, 0.2중량%, 0.5중량%, 1.0중량%, 2.0중량%, 5.0중량% 농도별로 준비하고, 과산화물제거효소(SOD) 유사활성을 평가하였다.
SOD 유사활성은 마크룬드에 의해 공지된 방법[Eur. J. Biolchem., 1975, 47, p468]에 따라, 촉매하는 피로갈롤(pyrogallol)의 생성량을 측정하여 과산화수소로 전환시키는 반응에 대한 SOD 유사활성을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시료 0.2㎖에 Tris-HCl 완충용액(50mM Tris[hydroxymethyl] amino methane, 10mM EDTA, pH 8.5) 3㎖에 7.2mM 피로갈롤 0.2㎖을 첨가하여 25℃에서 10분간 반응시킨 후, 1N HCl 1㎖을 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반응액 중 산화된 피로갈롤의 생성량은 4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에, SOD 유사활성은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Figure 112013079917685-pat00004
Figure 112013079917685-pat00005
상기 표 2의 결과로부터, 포제 가공시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로 쪄서 포제 가공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은 우수한 과산화물제거효소(SOD) 유사활성을 보였으며, 상기 SOD 유사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였다. 이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 및 단삼 추출물은 항산화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3> 아질산염 ( NO ) 소거 활성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추출물을 0.1중량%, 0.2중량%, 0.5중량%, 1.0중량%, 2.0중량%, 5.0중량% 농도별로 준비하고, 아질산염 (NO) 소거 활성을 평가하였다.
아질산염(NaNO2) 소거작용은 카토 등 (Kato H. et al., Agric . Biol . Chem., 1987, 51, p1333)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1mM의 아질산나트륨(NaNO2) 용액 2㎖에 시료를 첨가하고, 0.1N HCl(pH 1.2)과 0.2M 구연산염 완충용액(Citrate buffer)를 사용하였다. 반응 용액의 pH를 각각 1.2, 3.0, 6.0으로 조정한 후, 반응 용액의 부피를 10㎖으로 하여 37℃에서 1시간 반응시킨 후 각각 1㎖씩 취하여 2% 아세트산(acetic acid) 5㎖을 첨가하였다. 그리고 그리스시약(Griess Reagent, A:B=1:1, A: 30% 아세트산에 1% 술파닉산(sulfanilic acid) 함유, B: 30% 아세트산에 1% 나프틸아민 함유) 0.4㎖ 첨가한 후 실온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반응 후 52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아질산염 소거 활성은 하기 수학식 3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3
Figure 112013079917685-pat00006
Figure 112013079917685-pat00007
상기 표 3의 결과로부터, 포제 가공시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로 쪄서 포제 가공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은 동일농도대비, 통상의 추출법(비교예 1 및 비교예 3) 또는 증기추출법(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보다, 우수한 아질산염 소거 활성(%)을 보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로부터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 및 단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4> NO 생성 억제 효과 확인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O(Nitric Oxide) 생성 억제에 대한 효과를 알아보았다. 일반적인 NO의 형성은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염증상태에서 iNOS에 의해 생성된 NO는 혈관 투과성, 부종 등의 염증반응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염증매개체의 생합성을 촉진하여 염증을 심화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aw 264.7 세포를 10% 륜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Lipopolysaccharide, 1㎍/㎖)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NO의 양은 NO 검출키트(iNtRON)를 이용한 측정값을 하기 수학식 4에 의해 산출하고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이다. NO 생성 억제율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4
Figure 112013079917685-pat00008
Figure 112013079917685-pat00009
상기 표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로 쪄서 포제 가공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은 동일농도대비, 통상의 추출법(비교예 1 및 비교예 3) 또는 증기추출법(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보다, 우수한 NO 생성 억제율(%)을 보였다. 이에,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 및 단삼 추출물의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5>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억제 효과 확인
염증 유발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프로스타글란딘 E2(prostaglandin E2, PGE2) 생성 억제 효과를 알아보았다. Cyclooxygenase(COX)는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을 프로스타글란딘으로 전환하는 효소로 COX-1과 COX-2로 분류된다. COX-1은 체내에서 혈소판의 형성, 위벽보호, 신장기능의 유지 등 정상적인 생체기능에 작용하며, COX-2는 염증매개 물질인 PGE2를 형성시킨다. PGE2는 염증반응, 면역반응 그리고 혈관형성(angiogenesis)을 촉진하는 등 암 발생에도 깊이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Raw 264.7 세포를 10% 륜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Lipopolysaccharide, 1㎍/㎖)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PGE2의 양은 PGE2 ELISA kit (R&D systems,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하기 수학식 5에 의해 산출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수행하였다.
수학식 5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0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1
상기 표 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 및 단삼 추출물은 동일농도대비 높은 프로스타글란딘(PGE2) 생성 억제율을 보임으로써, 우수한 항염증 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6> TNF -α 생성 억제 효과 확인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초기 염증성 분자 중 하나인 TNF-α 생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TNF-α와 같은 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의 형성은 포스포리파제 A2(phospholipase A2)의 활성으로 인해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이 프로사타글란딘(prostaglandin)으로 바뀌는 과정 및 NO 형성 과정으로 이어지게 된다.
Raw 264.7 세포를 10% FBS가 첨가된 DMEM 배지를 이용하여 5×105 cell/well로 조절한 후 24 well plate에 접종하고, 시료를 처리하고 30분 배양 후 LPS(Lipopolysaccharide, 1㎍/㎖)를 첨가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생성된 TNF-α의 양은 TNF-α ELISA kit (eBioscience,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하기 수학식 6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이때, 대조군은 LPS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수행하였다.
수학식 6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2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3
상기 표 6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 및 단삼 추출물은 동일농도대비 높은 TNF-α 생성 억제율을 보임으로써, 농도에 비례하였다. 이에, 포제 가공시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로 쪄서 포제 가공하여 얻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에 대한 우수한 항염 활성 효과를 확인하였다.
< 실험예 7>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반응 억제 확인
사람 피부각질세포(human keratinocyte)를 페니실린(100 IU/ml), 스트렙토마이신(100 g/ml), 10% FBS(fetal bovine serum)를 함유하는 DMEM배지를 넣고 37℃를 유지하며 5% 이산화탄소를 포함하는 배양기 내에서 배양하였다. 수득된 피부각질세포를 6 well plate에 각 웰당 3×105 개로 분주한 다음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세포에 25mJ/㎠ 량의 자외선을 조사한 후 시료를 첨가한 후 24시간 추가 배양하였다. 생성된 TNF-α와 IL-1α의 양은 ELISA kit (eBioscience, Inc, USA)를 이용하여 측정한 값을 하기 계산식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대조군은 자외선를 단독으로 처리한 실험군으로 하였다.
TNF-α및 IL-1α 생성 억제율은 하기 수학식 7 및 수학식 8에 의해 산출되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7표 8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7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4
수학식 8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5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6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7
상기 표 7 및 표 8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로부터 제조된 쑥 추출물 및 단삼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반응에 있어서, 동일농도대비 TNF-α 생성 억제율(%) 및 IL-1-α 생성 억제율(%)이 통상의 추출법(비교예 1 및 비교예 3) 또는 증기추출법(비교예 2 및 비교예 4)에 의해 얻어진 추출물보다 높게 확인되었으며, 상기 항염 활성은 농도에 비례하였다. 따라서, 포제 가공시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로 쪄서 포제 가공하여 얻은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추출물은 자외선에 의해 유발되는 염증반응에 내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 제형예 1> 화장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금물 수증기로 가공된 쑥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수(스킨로션)를 하기의 표 9에 제시된 함량으로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8
상기 표 9에서 11번 물질에 2, 3, 4, 8번 물질을 순서대로 반응용기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용해시킨 후, 5번 물질을 60℃ 정도로 가열하여 용해시켰다. 이후, 10번 물질을 투입하여 용해한 후 11번 물질에 투입하였다. 마지막으로 1, 6, 7, 9번 물질을 투입하여 충분히 교반시킨 후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 제형예 2> 화장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설탕물 수증기로 가공된 단삼 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화장수를 제조하였다.
< 제형예 3> 영양 로션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금물 수증기로 가공된 쑥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로션을 하기의 표 10에 제시된 함량과 하기 제조방법에 의해 1kg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79917685-pat00019
상기 표 10에서 10, 11, 13, 16번 물질을 혼합 교반하면서 80∼85℃ 온도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2, 3, 4, 5, 6, 7, 8, 9, 12번 물질을 80∼85℃ 온도로 가열 용해한 후 유화시켰다. 상기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50℃까지 냉각한 뒤 15번 물질을 투입하고 45℃까지 냉각한 뒤 14번 물질을 투입하고 35℃에서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 제형예 4> 영영로션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설탕물 수증기로 가공된 단삼 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 제형예 5> 영양 세럼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금물 수증기로 가공된 쑥 추출물을 함유한 영양 세럼을 하기의 표 11에 제시된 함량과 하기 제조방법에 의해 1kg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79917685-pat00020
상기 표 11에서 2, 3, 5번 물질을 혼합 교반하면서 40∼45℃로 가열하여 제조부에 투입한 후 유화기를 작용시키고 4, 6, 7번 물질을 제조부에 투입하고 유화시켰다. 유화가 끝나면 교반기를 이용하여 교반하면서 35℃까지 냉각하고 1번 물질을 투입하여 25℃까지 냉각한 뒤 25℃에서 3일간 숙성시켜 표제의 영양 세럼을 제조하였다.
< 제형예 6> 영양 세럼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설탕물 수증기로 가공된 단삼 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영양 세럼을 제조하였다.
< 제형예 7> 에센스 제조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금물 수증기로 가공된 쑥 추출물을 함유한 에센스를 하기의 표 12에 제시된 함량과 하기 제조방법에 의해 1kg을 제조하였다.
Figure 112013079917685-pat00021
상기 표 12에서 2, 3, 4, 5 및 6번 물질을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을 제조하였다. 상기 비이온계 양친매성 지질과 1, 7, 8 및 14번 물질을 혼합하고 일정한 온도에서 균질화하여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를 통과시키고 이어 9번 물질을 50∼60℃로 가온하여 서서히 첨가하여 균질화한 후 다시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져에 재차 통과시켰다. 그후, 10, 11, 12, 13번 물질을 투입하여 분산시켜 안정화하고 숙성시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 제형예 8> 에센스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설탕물 수증기로 가공된 단삼 추출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형예 7과 동일한 방법으로 에센스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8> 제형 안정도 평가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된 소금물 수증기로 가공된 쑥 추출물 및 실시예 2에서 제조된 설탕물 수증기로 가공된 단삼 추출물을 함유한 각 제형에 대하여 실내(25℃), 냉장(4℃) 및 항온(45℃) 조건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실내, 냉장고 및 인큐베이터에서 방치하고 불투명 초자 용기에 담아 12주 동안 보관 및 관찰하였다. 이때, 변색, 변취 및 상 분리 등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Figure 112013079917685-pat00022
상기 표 13에서 확인된 바와 같이, 제형예 1 내지 8에서 얻어진 화장료가 25℃, 4℃ 및 45℃ 온도 조건하에서 변색, 변취 및 상 분리 현상이 관찰되지 않고 제형 안정성을 유지하였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포제 시 보료를 활용하여 가공한 천연 식물의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하되,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를 활용하고 증기를 이용하여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함으로써 천연 식물의 효능을 파괴 없이 보존하여 효능을 최적화할 수 있는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방법으로부터 항산화, 미백, 주름개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는 천연 식물을 포제 가공하여 수득한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천연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한 세정제로도 적용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포제 시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가 활용되어 가공된 천연 식물의 추출물이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되,
    상기 천연 식물의 추출물이 상기 소금이 보료로 활용되어 가공된 쑥 추출물 또는 상기 설탕이 보료로 활용되어 가공된 단삼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의 추출물이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대비, 분말형태 또는 액상 형태로 0.001 내지 10중량%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6. 삭제
  7. 삭제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천연 식물의 추출물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로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영양 세럼, 에센스, 팩, 유화형 화운데이션, 고체형 화운데이션 및 자외선 차단 크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9. 포제 시 소금 또는 설탕에서 선택된 보료가 활용되어 가공된 천연 식물의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되되,
    상기 소금이 보료로 활용되어 가공된 쑥 추출물 또는 상기 설탕이 보료로 활용되어 가공된 단삼 추출물이 목욕세정제, 샴푸 및 비누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제형에 유효성분으로 함유된 세정제.
KR1020130104744A 2013-09-02 2013-09-02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16255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44A KR101625598B1 (ko) 2013-09-02 2013-09-02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4744A KR101625598B1 (ko) 2013-09-02 2013-09-02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16A KR20150026216A (ko) 2015-03-11
KR101625598B1 true KR101625598B1 (ko) 2016-05-30

Family

ID=53022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4744A KR101625598B1 (ko) 2013-09-02 2013-09-02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55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7071B1 (ko) * 2020-03-09 2020-05-06 이재환 두피 지루 피부염 개선용 샴푸 조성물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6216A (ko) 2015-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57360B2 (ja) 抗老化剤
JP2008273875A (ja) 幹細胞増殖因子発現上昇抑制剤
JP4658290B2 (ja) 線維芽細胞増殖作用剤、美容用飲食品および皮膚化粧料
KR101302222B1 (ko) 아토피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피부질환 예방, 개선 및 치료용 식물성 혼합 추출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69270B1 (ko) 항산화 활성이 증진된 고구마 추출물 제조방법
KR101930264B1 (ko) 현호색, 캣츠클로, 센티드제라늄, 아그리모니, 인동덩굴, 개박하 및 솔잣나무 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생성 억제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8257B1 (ko) 풋귤, 울금 및 감귤꽃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여드름용 화장료 조성물
KR20220028612A (ko) 인진쑥 추출물 및 올리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항산화, 미백 및 항염증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159563A (ja) プロポリス組成物
KR102077069B1 (ko) 갯끈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또는 피부 미백 개선용 조성물
KR101914628B1 (ko) 식물 유래의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조성물
JP2008081440A (ja) アロマターゼ活性促進剤
KR101625598B1 (ko) 포제를 활용하여 가공된 천연 식물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노화 화장료 조성물
KR102154139B1 (ko) 고로쇠나무 수액의 발효액, 카카오닙스 추출물 및 석류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180111016A (ko) 식물 유래의 오일 또는 하이드로졸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60139632A (ko) 생리활성을 가지는 달래추출물
JP3128727B2 (ja) 活性酸素消去剤
JP2008031049A (ja) 抗アクネ菌組成物
KR101888133B1 (ko) 감국 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콜라겐 생성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506912B1 (ko) 모과, 레몬밤 또는 오렌지블러썸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공 수축 및 항산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13083B1 (ko) 등수국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용 조성물
KR102334192B1 (ko) 흰민들레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JPH0769843A (ja) 育毛剤
KR20180035575A (ko) 히그로필라 메가란타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조성물
KR20110090409A (ko) 항염증 활성을 갖는 천연화장료 이로미스 No.4 콤플렉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