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8844B1 -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 Google Patents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8844B1
KR102078844B1 KR1020190142931A KR20190142931A KR102078844B1 KR 102078844 B1 KR102078844 B1 KR 102078844B1 KR 1020190142931 A KR1020190142931 A KR 1020190142931A KR 20190142931 A KR20190142931 A KR 20190142931A KR 102078844 B1 KR102078844 B1 KR 1020788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oil
shampoo composition
les
natur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9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하
Original Assignee
김은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은하 filed Critical 김은하
Priority to KR10201901429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88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88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88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 A61K8/46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sulfur containing sulfuric acid derivatives, e.g. sodium lauryl sulf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천연 계면활성제인 LES를 사용할 때의 단점인 머리를 감을 때의 뻑뻑함 및 거품 풍성화의 저하가 무릇 추출물의 추가에 의하여 획기적으로 감소된다.

Description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HERBAL SHAMPOO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FROM SCILLA SCILLOIDES}
본 발명은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무릇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시킴으로써 LES의 단점인 머리를 감을 때 느껴지는 뻑뻑함 및 거품 풍성함의 저하를 개선한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민감성 두피를 가지거나 또는 탈모 증상으로 고민하는 사람들이 증가함에 따라 천연 샴푸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일반적인 샴푸의 경우 두발의 세정효과를 우선적인 기능으로 하므로 계면활성제가 당연히 포함되어 있고, 이와 함께 보존제, 방부제 및 기타 첨가제가 포함되는데, 이들 성분은 대부분 합성화학물질에 해당한다. 한편, 세간에서 천연 샴푸라고 불리우는 것은, 이들 성분을 천연으로부터 유래한 물질로 대체한 것을 의미하는데, 통상적으로는 계면활성제를 천연에서 유래한 물질로 치환한 것을 의미한다. 일반 샴푸의 경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계면활성제는 SLS(Sodium Lauryl Sulfate, 라우릴황산나트륨) 또는 SLES(Sodium Laureth Sulfate, 라우레스황산나트륨)이고, 이 외에도 파라벤프로필렌글리콜, 라우릴황산나트륨(쇼듐라우릴설페이트), 트레에탄올아민, 알킬벤젠/알파/알파올레핀슬폰산나트륨, 알킬에테르유산에스테르나트륨(AES), 리니어 알킬벤젠 슬포산나트륨(LAS), 알파슬포산나트륨(AS), 알파올레핀슬포산나트륨(AOS) 및 폴리옥시에킬알킬에테르염(POE) 등이 사용된다. 이들 성분은 석유 부산물에 화학공정을 가해 만든 계면활성제로, 풍부한 거품을 만들고 두피의 노폐물을 씻어 내는 역할을 하지만 탈모를 일으키거나 민감성 두피를 가진 사람의 경우 피부자극을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SLS 및 SLES 성분은 알러지를 유발하는 성분이며, 실제, 두피를 건조하게 하고, 눈에 들어가면 눈이 붉어지는 등 자극이 심하다. 미국독성 연구소의 논문에 따르면 SLS와 SLES는 피부를 통해 쉽게 체내에 침투해 심장, 간, 폐, 뇌 등에 5일 정도 머문다고 하며, 아토피 유발 우려가 있는 물질에 대해 동물실험을 실시한 결과, SLES가 아토피 유발 가능성이 높은 물질로 판명되기도 하였다. 이를 대체하기 위하여, 최근 코코넛, 사탕수수, 사과 등 천연 계면활성제 개발이 활발해지고 있으며, 가장 대표적인 천연 계면활성제는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이다. LES는 팜오일을 고온 고압하에 수소첨가하여 얻은 라우릴알코올에 에틸렌옥사이드를 1~4몰 부가중합한 후 설포석시닉애씨드로 중화화여 얻은 음이온성 계면활성제로서 다른 합성 계면활성제와 비교하여 분자가 커서 피부로 침투하기 어려우므로 두피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대표적인 천연 계면활성제인 LES는 비록 합성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피부에 미치는 유해한 영향이 적다고 알려져 있지만, 머리를 감을 때 느껴지는 뻑뻑함이 크고, 또한 합성 계면활성제에 비하여 거품의 풍성함이 떨어지므로 소비자들로부터 그다지 선호되고 있지는 않은 것이 실정이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크게 요구되지만, 현재로서는 이와 같은 뻑뻑함 또는 거품 풍성화의 저하는 천연 샴푸를 사용할 때 어쩔 수 없이 감내해야 하는 것으로 인식되고 있을 뿐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 수단은 그 어디에도 개시된 바 없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999-48808호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2011-115919호
Surfactants and experimental irritant contact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Volume 33, Issue 4, October 1995) A study on the conditioning effects of natural shampoos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Volume 23, Issue 3, June 2001)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합성 계면활성제 대신 천연 계면활성제로서 LES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뻑뻑함 및 거품의 풍성함을 개선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합성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지 않고 천연 계면활성제인 LES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단점인 뻑뻑함 및 거품 풍성함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무릇 추출물을 LES의 중량대비 0.03 내지 0.1 중량부를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이와 같은 무릇 추출물의 추가에 의하여 본 발명의 천연 샴푸 조성물은 민감성 두피에 대한 자극도 경감된다.
본 발명에 의하여, LES를 계면활성제로 사용하는 천연 샴푸의 단점인 뻑뻑함 및 거품 풍성화의 저감이 획기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종래 천연 샴푸와 비교하여 민감성 두피에 대한 자극이 현저하게 개선된다. 나아가, 탈모지연, 지루성두피완화, 두피의 가려움완화. 비듬예방, 두피 유수분 밸란스 조절, 모발의 강도강화, 모발의 부드러움, 천연향으로 심신안정, 이마나 턱선의 여드름 완화의 효과도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는 공정도이다.
도 2는 실시예 2 및 비교예 1에 따른 천연 샴푸 조성물로 머리를 감았을 때 발생하는 거품의 정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자는 천연 계면활성제인 LES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뻑뻑함 및 거품 풍성함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한 결과, 무릇 추출물을 추가로 포함시킴으로써 위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지견을 얻었다. 한국 자생식물 종의 하나인 무릇(Scilla scilloides)은 한방명으로 면조아라고 불리워지고 있으며, 디기탈리스와 같은 강심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무릇은 민간에서 식용으로 사용되어진 바 있으며 그의 인체에 대한 독성은 보고 된 바가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999-48808호에는 음건한 무릇 지하부를 세절하여 물과 메탄올의 혼합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한 다음, 그 농축액을 헵탄으로 탈지한 후에 디에틸 에테르 및/또는 에틸 아세테이트로 순차적으로 세척하고 분획하여 얻어진 무릇 추출물이 항산화활성을 나타내는 것을 개시한 바 있으며,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1-0115919호에서는 무릇으로부터 추출한 실라실로사이드계 화합물이 특정 미생물에 대하여 항균 활성이 항균 활성을 나타낸다고 보고한다. 그러나, 그 어떤 문헌에서도, 무릇 추출물을 천연 계면활성제인 LES를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에 추가하였을 때, 뻑뻑함의 개선 및 거품을 풍성하게 할 수 있음을 보고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에서는 LES를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에 있어서, LES 1 중량부 당 무릇 추출물 0.03 내지 0.1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아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변형예가 존재할 수 있다.
실시예 1 : 무릇 추출물의 제조
무릇잎과 줄기, 뿌리를 그늘에 2주 정도 말린 후 분쇄하여 가루로 한 후, 이 가루 200g에 95% 에탄올 2리터를 넣어 3주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하고, 여과액을 진공농축기에 넣어 에탄올을 휘발시켜 무릇 추출물 파우더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의 제조(본 발명에 따른 천연 샴푸의 제조)
아래와 같은 제조방법을 사용하여, 500ml 천연 샴푸 조성물 20개 분량을 제조하였다. (1) 로즈마리드라이허브(로즈마리잎) 160g을 정제수 4500ml에 6시간 우려낸다. (2)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무릇추출물 100g 및 에스피노질리아(로에셀리아 맥시카나잎 농축파우더) 100g을 네틀추출물(하이드롤라이즈드네틀잎추출물) 400ml에 녹인다 (3) (1)의 로즈마리허브를 우려낸 정제수 500ml에 케라틴분말(Hydrolyzed keratine) 400g을 녹인다. (4)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3kg과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2kg을 계량해 저어 섞어준다. (5) (1)의 허브를 우려낸 정제수 중 4000ml와 (4)를 섞어 75℃까지 온도를 올려준다. (6) 코카마이드엠이에이(Cocamide MEA) 50g을 계량해서 비이커에 담아 75℃까지 온도를 올려준다. (7) (5)와(6)를 섞어 점도를 낸다. (8) 정제수 500ml에 폴리쿼터 80g을 녹여 (7)에 넣고 잘 섞어준다. (9) 마지막으로 (2), (3), 실크아미노산액상(Liquid Silk Amino Acid) 80g, D판테놀(D-Panthenol 75) 120g, 식물성글리세린(Glycerin) 200g과 SPT(Caprylhydroxamic acid 및 Caprylyl Glycol을 포함하는 보존제) 30g, 아로마에션셀오일 만다린(Citrus Nobilis (Mandarin Orange) Peel Oil) 5g, 로즈마리(로즈마리꽃오일) 7.5g, 팔마로사(Cymbopogon Martini Oil) 5g, 편백(Chamaecyparis Obtusa Oil) 2.5g, 을 첨가한 후, (8)의 조성물에 9번의 첨가물을 혼합하여 완성한다.
비교예 1 :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천연 샴푸의 제조
무릇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천연 샴푸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거품발생의 측정
(1) 거품발생량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샴푸 조성물(실시예 2)과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천연 샴푸 조성물의 거품 발생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2에서 제조한 천연 샴푸 조성물 5% 수용액 300ml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천연 샴푸 조성물 5% 수용액 300ml를 40℃로 하여 거품이 일지 않도록 1000 ml 메스 실린더에 각각 넣은 후, 에어펌프를 이용하여 거품을 일게 한 후, 거품의 양을 측정(목측)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실시예 2 비교예 1
거품발생량 630ml 210ml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천연 샴푸 조성물은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은 비교예 1과 비교하여 3배 이상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2) 패널 테스트
20 명의 남녀 (24 ∼47 세) 를 패널리스트로 하여, 35 ℃의 물을 사용하여 시료 5 ㎖ 를 손에 덜어, 실제 머리를 감았을 때(샤워기로 충분히 머리를 적신 후, 샴푸를 두피에 30초간 손으로 비빈 후)의 거품발생을 테스트하였다. 거품발생력을 아래와 같은 기준으로 스코어 평가하였다.
10 : 거품발생이 충분히 많다
7 : 거품발생이 충분하지는 않지만, 부족하다고 느껴지지 않는다.
4 : 거품발생이 부족하다고 느껴진다.
1 : 거품발생이 많이 부족하여 샴푸로 쓰기에는 부적당하다.
패널테스트의 평균점수는 다음과 같다.
남자 여자
실시예 2 9.5 9.0
비교예 1 3.5 4.0
위 패널테스트에 참가한 사람 중 남자 1명(47세) 및 여자 1명(24세)의 실제 사진을 도 2에 도시하였고, 이와 함께 위 표2에 의할 때 남녀 공히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샴푸 조성물의 거품 발생력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 뻑뻑함 정도에 대한 패널 테스트
20 명의 남녀 (24 ∼47 세) 를 패널리스트로 하여, 시료 (샴푸 조성물) 5 ㎖ 를 사용하여 세발을 실시하고, 헹굼 후, 모발을 드라이어로 건조시켰다. 머리를 감을 때 느껴지는 뻑뻑함의 정도에 대하여, 뻑뻑하다고 느껴진 경우를 10점으로 하고, 뻑뻑하다고 느껴지지 않은 경우를 0점으로 하여 20 명의 합계점을 구하여 평균 스코어로 계산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남자 여자
실시예 2 1.5 1.8
비교예 1 6.6 8.0
위 표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천연 샴푸 조성물은 머리를 감을 때 느껴지는 뻑뻑함의 정도가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2)

  1. 로즈마리잎 추출물, 무릇추출물, 로에셀리아 맥시카나잎 농축파우더, 하이드롤라이즈드 네틀잎 추출물, 케라틴분말,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라우라미도프로필베타인, 코카마이드엠이에이(Cocamide MEA), 폴리쿼터, 실크아미노산, D 판테놀, 식물성 글리세린, SPT(Caprylhydroxamic acid 및 Caprylyl Glycol을 포함하는 보존제), 아로마에션셀오일 만다린(Citrus Nobilis (Mandarin Orange) Peel Oil), 로즈마리꽃 오일, 팔마로사 오일(Cymbopogon Martini Oil), 편백오일(Chamaecyparis Obtusa Oil) 및 정제수로 이루어지는 천연 샴푸 조성물로서, 상기 무릇 추출물은 LES로 인한 머리 감을 때의 뻑뻑함 및 거품 풍성화의 저하를 개선하기 위한 첨가제로서 사용되며 상기 LES 1 중량부 당 0.03 내지 0.1 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릇 추출물은 에탄올에 의하여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1020190142931A 2019-11-08 2019-11-08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KR1020788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931A KR102078844B1 (ko) 2019-11-08 2019-11-08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931A KR102078844B1 (ko) 2019-11-08 2019-11-08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8844B1 true KR102078844B1 (ko) 2020-02-19

Family

ID=69670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931A KR102078844B1 (ko) 2019-11-08 2019-11-08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8844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808A (ko) 1997-12-10 1999-07-05 차동천 무릇(scilla scilloides)으로부터 추출분리된 천연 항산화성 성분
KR100877669B1 (ko) * 2007-07-06 2009-01-08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5919A (ko) 2010-04-16 2011-10-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릇으로부터 얻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405429B1 (ko) * 2012-10-29 2014-06-11 정다운 야생초 화장품
KR101794437B1 (ko) * 2016-02-02 2017-12-01 서순금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8808A (ko) 1997-12-10 1999-07-05 차동천 무릇(scilla scilloides)으로부터 추출분리된 천연 항산화성 성분
KR100877669B1 (ko) * 2007-07-06 2009-01-08 보령메디앙스 주식회사 오신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115919A (ko) 2010-04-16 2011-10-24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릇으로부터 얻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211669B1 (ko) * 2010-04-16 2012-12-12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무릇으로부터 얻은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405429B1 (ko) * 2012-10-29 2014-06-11 정다운 야생초 화장품
KR101794437B1 (ko) * 2016-02-02 2017-12-01 서순금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 study on the conditioning effects of natural shampoos using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International Journal of Cosmetic Science, Volume 23, Issue 3, June 2001)
Surfactants and experimental irritant contact dermatitis (Contact Dermatitis, Volume 33, Issue 4, October 199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86385A (zh) 一种头发头皮清洁组合物
KR20190005426A (ko) 산화질소수 및 한방 추출물을 함유하는 모발 및 두피 개선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N105476950B (zh) 保湿泡沫洁面乳及其制备方法
CN108245454B (zh) 一种含有天然抗氧化成分的温和洁面膏及其制备方法
JP3787566B2 (ja) 男性の皮膚および毛髪を手入れするための化粧品組成物
KR102015173B1 (ko)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0163118B1 (ko) 유백피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용 세정제 조성물
JP4101106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外用剤、化粧料、浴用剤及び洗浄剤
JP4551053B2 (ja) 保湿性植物抽出物並びに該抽出物を含有する保湿外用剤、化粧料、浴用剤および洗剤組成物
CN108771645B (zh) 一种藜麦洗发水及其制造方法
KR101272375B1 (ko) 흑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비누조성물
KR20100077554A (ko) 무환자 나무로부터 사포닌을 정제하는 방법, 무환자 나무의디클로로메탄 분획물, 및 이를 포함하는 모발 화장료 조성물
KR102078844B1 (ko)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JP2012162508A (ja) 発毛・育毛剤
JP2001288098A (ja) メラニン産生促進剤及び白髪改善剤
JP2005089402A (ja) 外用抗掻痒剤
CN108451818A (zh) 一种榆树皮提取液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732231B1 (ko) 두피보호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44947B1 (ko) 천궁 추출물 및 프로테아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JP3397552B2 (ja) 化粧料
BRPI1101172A2 (pt) composiÇço desodorante e antiperspirante, processo para produÇço de composiÇço desodorante e antiperspirante e mÉtodo para prevenÇço e/ou reduÇço dos odores da transpiraÇço
CN110974764A (zh) 一种全天然植物精华原浆沐浴露及其制备方法
JP4021363B2 (ja) 皮膚外用剤
KR102348604B1 (ko) 산삼배양근 추출물에서 수득한 진세노사이드 복합물과 고삼추출물에서 수득한 옥시마트린과 스코리아추출수를 이용한 모낭충 제거, 탈모증상완화 및 육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569171B1 (ko) 모발 톤업 샴푸 조성물, 이를 이용한 모발 톤업 샴푸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