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4437B1 -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 Google Patents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4437B1
KR101794437B1 KR1020160012999A KR20160012999A KR101794437B1 KR 101794437 B1 KR101794437 B1 KR 101794437B1 KR 1020160012999 A KR1020160012999 A KR 1020160012999A KR 20160012999 A KR20160012999 A KR 20160012999A KR 101794437 B1 KR101794437 B1 KR 1017944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weight
shampoo
hair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2007A (ko
Inventor
서순금
Original Assignee
서순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순금 filed Critical 서순금
Priority to KR102016001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443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20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20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44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44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5/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hair
    • A61Q5/02Preparations for cleaning the 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에 관한 것으로,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삽주뿌리 추출물, 감초 추출물, 둥글레뿌리 추출물, 더덕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불개미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는 천연물질로 이루어져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현저히 적으며, 모공세포에 대한 영양 공급과 소염작용으로 비듬 제거, 탈모 예방 및 발모 효과와 더불어 머리결을 윤기 있게 하는 미용적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shampoo for anti hair loss and hair-restorer}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샴푸에 관한 것이다.
모발은 외부의 자극으로부터 완충작용과 자외선, 온도, 마찰 등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방어와 보호 작용을 하며, 신체에 불필요한 비소, 수은, 아연 등의 중금속을 흡수하여 체외로 배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외적 이미지 표현에 중요한 미적요소가 된다.
현재 알려진 탈모의 원인은 매우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먼저 남성호르몬의 영향으로서 유전 적인 요인에 따른 호르몬 과다 분비로 남성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이 모포에서 활성이 높은 DHT(5알파-디하이드 로 테스토스테론)로 변환되어 이 DHT가 안드로겐 수용체와 결합하여 모낭세포의 단백질 합성을 지연시켜 모낭의 생장기가 단축되고 모낭을 위축시켜 탈모를 유발시키거나, 또는 유두피에 공급되는 혈액순환 이상으로서 모포 및 모유두를 싸고 있는 말초 모세혈관의 혈류량이 감소하여 모유두 부위와 기저세포로 영양물질이 부족하게 되 면 신진대사가 저하되어 모발 성장에 이상을 일으키게 되거나, 두피 생리기능 저하로서 비듬이 많이 생기면 모 발의 표피 출구인 모구가 막히고 세균번식에 의해 두피가려움증, 염증 수반으로 탈모가 발생되거나, 두피긴장에 의한 국소 혈류장애로 두부 피하조직 말초 혈관의 혈류량 감소에 의해 모발 성장에 이상을 일으킴으로써 탈모가 발생되거나, 기타 영양부족, 약물에 의한 부작용, 유전, 스트레스, 환경적인 요인 등 여러 가지요인에 의해서 탈모가 유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탈모를 예방하고 발모를 촉진시키는 것은 미적 측면과 건강 관리 측면에서 주요한 과제로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와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10-2007-0070717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267198호 등을 비롯한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샴푸와 그 제조방법을 개시하고 있는 다수의 특허 출원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탈모를 방지하고 발모를 촉진하는 기능성 제품이 헤어로션, 헤어샴푸, 헤어트리트먼트, 헤어린스 등의 형태로 다수 출시되어 유통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제품들은 실질적으로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에 있어 효과가 미미하거나 예상 밖의 각종 부작용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인체에 부작용이 적으며 현저한 개선 효과를 보이는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와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는 어성초 추출물 20~24중량%, 자소엽 추출물 10~12중량%, 녹차 추출물10~12중량%, 한방 추출물 4.4중량% 및 더덕-도라지 추출물 3중량%를 배합하여 얻어지고, 상기 한방 추출물은 맥문동 5g, 삽주뿌리 5g, 감초 5g, 둥글레뿌리 5g, 불개미 2g을 열수 추출하여 10g~15g으로 농축시켜 얻어진다.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어성초 30g을 열수추출하여 100g~120g으로 농축시켜 얻어지고, 상기 자소엽 추출물은 자소엽 15g을 열수추출하여 50g~60g으로 농축시켜 얻어지며, 상기 녹차 추출물은 녹차잎 15g을 열수추출하여 50g~60g으로 농축시켜 얻어지고, 상기 더덕-도라지 추출물은 더덕 10g, 도라지 20g을 열수추출하여 10g~15g으로 농축시켜 얻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양태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의 제조 방법은 어성초 30g을 열수추출하여 100g~120g의 어성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자소엽 15g을 열수추출하여 50g~60g의 자소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녹차잎 15g을 열수추출하여 50g~60g의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맥문동 5g, 삽주뿌리 5g, 감초 5g, 둥글레뿌리 5g, 불개미 2g을 열수 추출하여 10g~15g의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더덕 10g, 도라지 20g을 열수 추출하여 10g~15g의 더덕-도라지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50℃ 온도 하에서, 상기 어성초 추출물 20~24중량%, 상기 자소엽 추출물 10~12중량%, 상기 녹차 추출물10~12중량%, 상기 한방 추출물 4.4중량% 및 상기 더덕-도라지 추출물 3중량%를 배합하여 천연 샴푸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천연 샴푸 베이스에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8중량%, CDE(coconut diethanolamide) 8중량%를 배합하여 샴푸 원액을 만드는 단계 및 20℃~30℃ 온도 하에서, 상기 샴푸 원액에 글리세린 2중량%, 코코베타인 18중량% 및 D-판테놀 2중량%를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는 천연물질로 이루어져 종래의 제품에 비하여 인체에 부작용이 현저히 적으며, 모공세포에 대한 영양 공급과 소염작용으로 비듬 제거, 탈모 예방 및 발모 효과와 더불어 머리결을 윤기 있게 하는 미용적 효과를 함께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2 내지 도 3은 본 실험에 참가하여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샴푸를 사용한 사용자의 샴푸 사용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
본 발명은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샴푸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는 어성초 추출물, 녹차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삽주뿌리 추출물, 감초 ?출물, 둥글레뿌리 추출물, 더덕 추출물, 도라지 추출물, 불개미 추출물을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의 샴푸에 포함되는 각 천연물 성분을 중심으로 하여 샴푸 베이스, 실시예에 따라 첨가될 수 있는 첨가물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어성초(houttuynia crdata)는 삼백초과에 속하는 다년생초로서 약모밀로 불리기도 한다. 흰색의 뿌리가 옆으로 기며 자라고 키는 20~40㎝ 정도이다. 꽃잎, 꽃받침잎이 없으나 노란색 꽃밥 때문에 꽃이 노랗게 보이며, 3개의 수술과 암술로 되어 있다. 꽃이 필 때 뿌리째 뽑아 그늘에 말린 것을 즙약이라고 하여 한방에서 임질 또는 요도염의 치료에 사용하며, 꽃이 필 때 잎을 따서 그대로 말리거나 불에 말려서 종기 또는 화농이 생긴 상처에 바르면 효과가 있다. 식물 전체를 차로 만들어 마시면 동맥경화의 예방 및 이뇨작용에 좋다. 울릉도에서 흔히 자라며, 길가 나무 밑의 그늘지고 약간 축축한 곳에서 잘 자란다. 향균 항산화작용으로 탈모효소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를 억제하고 발모를 촉진한다.
녹차(Camellia sinensis  O. Kuntze)는 강심작용, 이뇨작용, 해독작용, 살균작용, 수렴작용, 소염작용에 효가가 있다. 또한, 모발 및 피부에 적용시 녹차잎에 들어 있는 탄닌이 모공을 조여주고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모발을 깨끗하게 씻어주며, 지루성 비듬, 가려움증, 모발 건조에 효과가 있다. 또, 모발에 윤기와 영양을 공급하고, 비듬을 예방하며, 카데킨 성분이 독성을 제거하며, 여드름을 진정하고, 피부보습에 좋으며, 피지조절, 항균, 피부수렴, 모공수축 등의 효과가 있고, 폴리페놀 성분이 피부노화를 예방하고, 피부를 탄력있고 깨끗하게 만든다.
자소엽(Perilla frutescens)은 미네랄뿐만 아니라 비타민 B1, B2, B6, 비타민 C, 비타민 E, 비타민 K나 이아신이 다량함유되어 있고, 체내에 콜레스테롤을 분해하는 알파리놀렌을 비롯한 칼슘, 칼륨, 철분, 마그네슘, 아연 등이 풍부하여 인체에 필요한 코엔자임 성분이 거의 다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자소엽에 포함된 페릴알데 하이드, 베타카로틴은 강한 항균 작용 및 항산화작용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피토케미컬은 모낭세포의 활성 화 및 노화방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한방에서 식물인 감초, 광과감초(光果甘草) 또는 창과감초(脹果甘草)의 뿌리 및 뿌리줄기를 한약명으로 감초(甘草)라 부른다. 감초의 감미성분은 글리시리진(glycyrrhizin)의 사포닌 화합물로서 뿌리에 3~7% 함유되어 있다. 이 성분은 분해되어 부신피질호르몬 유사작용과 해독, 소염작용을 가지는 글리시레틴산(glycyrrhetic acid)을 생성한다.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호흡기·순환계 질환을 다스리고, 건강 생활에 효험이 있다. 가슴답답증, 각기, 각혈, 감기, 강심제, 강장보호, 건뇌, 건위, 건해, 근육통, 기관지염, 기울증, 담, 당뇨병, 두통, 명목, 번열, 변비, 보로, 보양, 보폐·청폐, 불로장생, 불면증, 비만증, 서증, 소갈증, 심기불녕, 심장병, 심장쇠약, 심장판막증, 안구건조증, 양기부족, 완하, 유즙분비부전, 음위, 이뇨, 자궁발육부전, 자양강장, 졸도, 종기, 진정, 창종, 총명제, 탈모증, 태부장양, 토혈, 폐결핵, 피부노화방지, 해수, 해열, 허약체질, 호흡곤란 등 다양한 질환에 사용되는 약재이다.
더덕(Codonopsis lanceolate)은 비뇨기·순환계·신경계 질환을 다스리며, 호흡기 질환에 효험이 있다. 사포닌 성분을 포함하여 피로회복과 집중력 향상, 해독작용, 피부염증 제거에 효과가 있다.
도라지(Platycodon   grandiflorum)는 길경(桔梗), 백약(白藥), 경초(梗草), ·고경(苦梗)이라고도 한다. 도라지의 뿌리에는 인삼의 주요 성분 가운데 하나인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약재로 쓰이기도 한다. 도라지의 지질은 점성과 독특한 향기를 가지고 있으며, 포화지방산이 불포화지방산보다 많다.
삽주뿌리는 국화과의 삽주(Atractylodes  japonica) 또는 백출(Atractylodes macrocephala)의 뿌리줄기를 말린 약재이다. 비위(脾胃)의 기능이 허약해서 소식, 권태감이 생기고 얼굴빛이 황색이며 대변을 묽게 보거나 설사에 좋으며 수분이 정체되어 전신이 붓고 소화가 안 될때 수분 배설을 돕는다. 비(脾)에 수(水)와 습(濕)이 쌓여 담음(痰飮)을 인한 가슴 뜀, 기침, 맑은 가래등에도 쓰며  비기(脾氣) 허약으로 피부에 땀이 저절로 날때, 임신 구토에도 사용한다. 위장 장애가 있는 감기, 사지동통 에도 쓴다. 약리적으로 체중 증가와 지구력 증가, 세포 면역 기능 촉진 효과가 있다. 또한 장관(腸管) 억제 작용과 흥분 작용을 조절, 항궤양 및 간 기능 보호 작용,  면역 기능 항진작용, 혈관 확장 작용, 이뇨 작용 및 혈당 강하 작용, 항암 작용 등이 보고 되고 있다.
불개미(Formica  yessensis)는 한반도, 일본(혼슈 중부 이북), 중국, 대만, 러시아(동시베리아) 등지에 분포한다. 관절염과 신경통에 탁월한 효능을 보이며, 산후 골절통에 좋다.
둥글레 뿌리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인 둥글레(Polygonatum odoratum)의 뿌리로서, 뿌리는 강장작용(强壯作用)이 있어서 사지노권무력(四肢勞倦無力), 비위허약(脾胃虛弱), 폐결핵 등에 쓰이고 보간(補肝), 명목(明目) 및 살충 목적으로도 이용된다. 피부미용, 혈액순환에도 효능이 있다.
살구씨 오일은 피부를 윤기나게 해주고 피부미용과 항암 작용에 효과가 있다.
동백오일은 모발과 피부에 수분을 공급하고 수분의 증발을 방지하여 자극이 없고 보습력이 좋다.
피마자는 염증을 제거해 주고 보습효과가 좋으며 탈모 예방, 발모 촉진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창포에 있는 천연성분은 두피 트러블을 진정시키고 머리결을 아름답고 건강하게 관리해 준다.
유용미생물군 (Effective Microorganisms, EM)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많은 미생물 중에서 사람에게 유익한 미생물 수십 종을 조합, 배양한 것이다. 광합성세균(이산화탄소와 수소를 흡수, 산소생산), 유산균(당분을 유산균으로, 강력한 살균작용으로 유해균 증식억제), 효모(술과 빵을 만드는데 사용되며 발효를 돕고 비타민류와 생리활성 물질을 생산) 등이 결합되어 있는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선옥균(善玉菌)은 전통 발효식품에서 추출한 유산균, 효모균 및 광합성세균을 대표로 하는 유용 미생물군으로서, 각각의 균들을 설탕 또는 당밀을 먹이원으로 하여 따로 배양 한 후 사용목적에 맞게 배합하여 결합체 균으로 사용할 수 있다.
로즈마리(Rosmarinus   officinalis)는 살균작용, 소독작용, 방충작용, 산화방지 작용이 있어 식품보존을 돕는다. 감기, 신경통에 잘 듣고, 활력을 증진하며 노화를 방지하고 상큼하고 강력한 로즈메리 향은 뇌의 활동을 높이고 기억력, 집중력을 높여 준다. 목욕재는 피부의 윤기와 탄력을 유지하며, 류마티스, 신경통의 외용약으로도 쓴다.
나프리는 본 발명에 따른 샴푸에 첨가될 수 있는 첨가물로 기존의 합성방부제가 피부 트러블 등의 문제가 있는 점을 보완하여, 천연 식물에서 초임계 추출방법으로 생산되어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으면서 제품 내에서의 방부효과를 갖는 천연 방부제이다.
상술한 천연 물질과 첨가물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샴푸 베이스와 함께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에 포함될 수 있다. 샴푸 베이스는 계면 활성제, 증점제, 보습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물에 녹기 쉬운 친수성 부분과 기름에 녹기 쉬운 소수성 부분을 가지고 있는 화합물이다. 이런 성질 때문에 비누나 세제 등으로 많이 활용되어 왔다. 계면활성제는 일정 농도 이상에서 계면활성제 분자들끼리 모여 미셀(micelle)이라는 구조를 형성한다. 미셀은 계면활성제의 농도가 임계 미셀 농도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 이상이고 온도가 임계 미셀 온도(critical micelle temperature, 또는 Kraft 온도) 이상에서 형성된다. 미셀이 물에서 형성될 때, 계면활성제의 소수성 부분은 중심부에 모여 핵을 형성하고 친수성 부분은 물과 접촉하는 외곽 부분을 형성한다. 기름과 같이 소수성 물질은 미셀의 안쪽 부분에 위치하게 되어 안정화 되고 물에 녹게 되는데 이를 용해화(solubilization)라 하며 이는 세제 작용의 기본 원리이다.
계면활성제 중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 움 코코일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 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에틸렌옥사이드 1~3개)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비이온성 계면 활성제는 구체적으로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 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양이온성 계면활성 제는 구체적으로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계면활성제 중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 늄클로라이드 등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샴푸 베이스에 적용될 수 있는 계면 활성제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면,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는 식물성 원료인 야자수와 호박산에 화학적 반응을 일으켜 만들어진 계면 활성제중 하나이며, PH 6.5~7.5 정도인 음이온 계면 활성제로 거품이 부드럽고 풍부하다.
코코 베타인(lauramidopropyl Betaine)은 코코넛 오일에서 얻은 양쪽성 천연 계면활성제이다. 샴푸 샤워젤 등에 사용하였을 때, 피부점막에 대한 자극을 줄여주며 점도를 올려준다. 양이온성을 갖지 때문에 향균력이 있으며 정전기 방지 효과를 갖고 있어서 샴푸에 컨디셔닝 효과를 줄 수 있다.
증점제는 구체적으로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 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샴푸 베이스에 적용될 수 있는 증점제의 구체적인 일례를 설명하면, CDE는 코코넛의 지방산인 라우릭산(LAURIC ACID)으로 만든 점도를 높이는 증점제 거품이 오래 지속되도록 하는 거품 안정제, 점도 형성제로 미색의 액체로 수용성이며 지용성이다.
보습제는 구체적으로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될 수 있는데, 글리세린은 유지성분으로 10%이하 농도를 사용하며 과량 사용시 흡수성이 강하여 고습도의 환경에서는 고기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트리트먼트제에 배합한 글리세린은 모발이나 피부의 수분을 보급하는 작용과 트리트먼트 자체의 건조화를 막아준다.
D-판테놀은 침투성이 있는 보습제로 사용하며, 세포분열을 촉진하고 피부조직의 회복을 도와주며, 피부에 무자극으로 소습과 컨디셔닝 느낌을 전달할 수 있다. 판테놀은 비타민 B1, 비타민 B2, 비타민 B3, 비타민 B5, 비타민 B6 등 다양한 군으로 나누어져 복합체를 이루고 있으며 피지 분비와 여드름 생성을 억제한다. 판테놀의 비타민 B2는 혈액순환을 돕고 피부염증을 예방한다. D-판테놀은 피부보습, 상처 치료 및 재생, 모발성장을 촉진한다.
본 발명의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샴푸는 액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또는 고체상 등의 통상적으로 두피 및 모발에 적용시킬 수 있는 모든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의 첨가제를 가하여 샴푸, 헤어린스, 헤어토닉, 헤어젤, 헤어로션, 헤어팩,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트리트먼트, 염모제, 헤어컨디셔너, 이들의 혼합형, 예컨대, 샴푸와 린스의 혼합형, 린스와 트리트먼트의 혼합형, 액상의 발모제 타입 등의 조성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의 제조 방법은 어성초 30g을 열수추출하여 100g~120g의 어성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자소엽 15g을 열수추출하여 50g~60g의 자소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녹차잎 15g을 열수추출하여 50g~60g의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맥문동 5g, 삽주뿌리 5g, 감초 5g, 둥글레뿌리 5g, 불개미 2g을 열수 추출하여 10g~15g의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더덕 10g, 도라지 20g을 열수 추출하여 10g~15g의 더덕-도라지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50℃ 온도 하에서, 상기 어성초 추출물 20~24중량%, 상기 자소엽 추출물 10~12중량%, 상기 녹차 추출물10~12중량%, 상기 한방 추출물 4.4중량% 및 상기 더덕-도라지 추출물 3중량%를 배합하여 천연 샴푸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천연 샴푸 베이스에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8중량%, CDE(coconut diethanolamide) 8중량%를 배합하여 샴푸 원액을 만드는 단계 및 20℃~30℃ 온도 하에서, 상기 샴푸 원액에 글리세린 2중량%, 코코베타인 18중량% 및 D-판테놀 2중량%를 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술한 단계에 더하여 첨가물을 배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첨가물은 동백오일, 피마자오일, 창포 추출물, EM, 로즈마리, 나프리일 수 있다.
표 1은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배합비를 보여준다.
Figure 112016011295953-pat00001
본 발명의 실시 일례에 따른 샴푸 500g을 기준으로 상세한 제조방법(제조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샴푸 베이스 제조단계에서 샴푸 베이스는 상술한 바와 같이 LES, 코코베타인, CDE, 글리세린, D-판테놀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례로 LES 90g, 코코베타인 90g, CDE 40g, 글리세린 10g, D-판테놀 10g을 배합하여 샴푸 베이스를 제조한다.
천연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에 있어서,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녹차 추출물은 열수추출법에 따라 얻어진다.
어성초 30g을 열수추출하여 100g~120g의 어성초 추출물을 얻는다. 구체적인 일례로 어성초 30g에 정제수 1200cc를 붓고 센불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불의 세기를 낮추어 100cc~120cc가 될 때까지 달여서 100g~120g의 어성초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자소엽 15g을 열수추출하여 50g~60g의 자소엽 추출물을 얻는다. 구체적인 일례로 자소엽 15g에 정제수 600cc를 붓고 센불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불의 세기를 낮추어 50cc~60cc가 될 때까지 달여서 50g~60g의 자소엽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녹차잎 15g을 열수추출하여 50g~60g의 녹차 추출물을 얻는다. 구체적인 일례로 녹차잎 15g에 정제수 600cc를 붓고 센불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불의 세기를 낮추어 50cc~60cc가 될 때까지 달여서 50g~60g의 녹차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맥문동 5g, 삽주뿌리 5g, 감초 5g, 둥글레뿌리 5g, 불개미 2g을 열수 추출하여 한방 추출물을 얻는다. 맥문동 5g, 삽주뿌리 5g, 감초 5g, 둥글레뿌리 5g, 불개미 2g에 정제수 400cc를 붓고 센불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불의 세기를 낮추어 10cc~15cc가 될 때까지 달여서 10g~15g의 한방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더덕 10g, 도라지 20g을 열수 추출하여 더덕-도라지 추출물을 얻는다. 더덕 10g, 도라지 20g에 정제수 200cc를 붓고 센불로 가열하여 끓기 시작하면 불의 세기를 낮추어 10cc~15cc가 될 때까지 달여서 10~15g의 더덕-도라지 추출물을 얻을 수 있다.
샴푸 베이스와 천연 추출물의 배합은 살균처리된 교반기에서 어성초 추출물, 자소엽 추출물, 맥문동 추출물, 한방 추출물, 더덕-도라지 추출물을 배합하고 50℃로 식혀 천연 샴푸 조성물을 제조한다.
50℃로 천연 샴푸 조성물에 샴푸 베이스를 배합하여 골고루 섞이도록 같은 방향으로 서서히 저어준다.
이후 첨가물을 더 배합할 수 있는 첨가물로는 동백오일, 피마자 오일, 창포 추출물, EM이 포함될 수 있으며, 로즈마리 향과 천영 방부제 나프리를 더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샴푸의 효능 시험을 위해 표 2와 같이 4가지 비교예를 제조하여 시험하였다.
Figure 112016011295953-pat00002
제조된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는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샴푸의 유효성분에서 각각 한방 추출물, 더덕-도라지 혼합 추출물, 불개미 추출물, EM을 제외한 나머지 유효성분을 배합하여 제조한 것이다. 표 2에서 배합되는 각 재료는 중량%로 나타낸 것이며, 제외되는 유효 성분에 해당하는 중량%는 정제수로 대신하였다.
탈모 예방 및 발모촉진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탈모증이 있는 남성 피시험자 60명을 12명씩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각 제조예의 샴푸와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4의 샴푸를 4개월간 하루에 1회 사용하여 샴푸하도록 하여 효과 정도를 평가하였다.
아래 표 3은 효과의 평가 기준표이며 표 4는 평가 결과이다.
Figure 112016011295953-pat00003
Figure 112016011295953-pat00004
표 4의 결과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샴푸의 사용자 그룹에서 세발시 탈모량이 현저히 감소하고 자각증상의 개선 및 육안 판정 결과가 뛰어남을 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은 본 실험에 참가하여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른 샴푸를 사용한 사용자의 샴푸 사용 전후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진으로, 샴푸 사용으로 현저히 개선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3)

  1.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코코베타인, CDE(coconut diethanolamide), 글리세린, 및 D-판테놀로 이루어진 삼푸베이스 48중량%,
    어성초 추출물 20~24중량%,
    자소엽 추출물 10~12중량%,
    녹차 추출물 10~12중량%,
    더덕-도라지 추출물 3중량%, 및
    정제수 400cc에, 불개미 2g, 맥문동 5g, 삽주뿌리 5g, 감초 5g, 및 둥글레 뿌리 5g을 담지시켜 열수추출하여 얻어진 한방 추출물 4.4중량%를 포함하는 샴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어성초 추출물은 정제수 1200cc에 대하여 어성초 30g을 담지시켜 열수추출하여 얻어지고,
    상기 자소엽 추출물은 정제수 600cc에 대하여 자소엽 15g을 담지시켜 열수추출하여 얻어지며,
    상기 녹차 추출물은 정제수 600cc에 대하여 자소엽 15g을 담지시켜 열수추출하여 얻어지고,
    상기 더덕-도라지 추출물은 정제수 200cc 에 대하여 더덕 10g 및 도라지 20g을 담지시켜 열수추출하여 얻이진 것인,
    삼푸.
  3. 정제수 1200cc에 어성초 30g을 담지시켜 열수추출하여 100g~120g의 어성초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 600cc에 자소엽 15g을 담지시켜 열수추출하여 50g~60g의 자소엽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 600cc에 녹차잎 15g을 담지시켜 열수추출하여 50g~60g의 녹차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 400cc에 맥문동 5g, 삽주뿌리 5g, 감초 5g, 둥글레뿌리 5g, 불개미 2g을 열수 추출하여 10g~15g의 한방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정제수 200cc에 더덕 10g, 도라지 20g을 열수 추출하여 10g~15g의 더덕-도라지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50℃ 온도 하에서, 상기 어성초 추출물 24중량%, 상기 자소엽 추출물 10중량%, 상기 녹차 추출물 10중량%, 상기 한방 추출물 4.4중량% 및 상기 더덕-도라지 추출물 3중량%를 배합하여 천연 샴푸 조성물을 만드는 단계;
    상기 천연 샴푸 조성물에 LES(Disodium Laureth Sulfosuccinate) 18중량%, CDE(coconut diethanolamide) 8중량%를 배합하여 샴푸 원액을 만드는 단계;
    20~30℃ 온도 하에서, 상기 샴푸 원액에 글리세린 2중량%, 코코베타인 18중량%, D-판테놀 2중량% 및 살구씨 오일, 동백 오일, 로즈마리 및 나프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 이상의 첨가물 0.6 중량%를 배합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샴푸 제조방법.
KR1020160012999A 2016-02-02 2016-02-02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KR1017944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999A KR101794437B1 (ko) 2016-02-02 2016-02-02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999A KR101794437B1 (ko) 2016-02-02 2016-02-02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07A KR20170092007A (ko) 2017-08-10
KR101794437B1 true KR101794437B1 (ko) 2017-12-01

Family

ID=596520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999A KR101794437B1 (ko) 2016-02-02 2016-02-02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443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744A (ko) * 2018-07-25 2020-02-04 농업회사법인(주)제이케이크래프트 막걸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8844B1 (ko) * 2019-11-08 2020-02-19 김은하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11744A (ko) * 2018-07-25 2020-02-04 농업회사법인(주)제이케이크래프트 막걸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0047B1 (ko) 2018-07-25 2020-03-17 농업회사법인(주)제이케이크래프트 막걸리 발효물을 포함하는 샴푸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8844B1 (ko) * 2019-11-08 2020-02-19 김은하 무릇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샴푸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2007A (ko) 2017-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3636B1 (ko) 천연물 복합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및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CN105997836A (zh) 一种酵素洗发水及其配制方法
KR101294762B1 (ko) 기능성 비누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1606B1 (ko) 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5505635B (zh) 一种含有荷花活性成分的洁肤组合物及其制备方法
KR101744103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4382786A (zh) 一种防脱乌发剂及其制备方法
KR101263181B1 (ko) 발모촉진 양모 및 탈모방지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그 조성물을 이용한 샴푸
KR101953779B1 (ko) 복합 한방 조성물, 한방 샴푸 제작 방법 및 이를 이용한 복합 한방 조성물 및 한방 샴푸
KR101206998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용 두피 케어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헤어 제품
KR20170050222A (ko) 발효 홍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발모촉진용 두피 케어 샴푸 조성물 제조 방법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샴푸 조성물
CN105132219A (zh) 一种淡化萎缩纹的香皂及其制备方法
KR20100074880A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샴푸조성물
CN105326733A (zh) 一种细致毛孔洁面乳及其制备方法
CN107582460A (zh) 一种氨基酸洁面乳及其制备方法
KR101794437B1 (ko) 탈모 예방 및 발모 촉진 샴푸
KR101334827B1 (ko) 참외씨오일을 주성분으로 하는 미용 팩 제조방법
KR20140145278A (ko) 피부 수렴 및 탄력 효과를 갖는 승마 추출물, 산수유 추출물 및 현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213279A (zh) 一种消除萎缩纹的身体乳及其制备方法
CN102670479B (zh) 中药消炎拔痘美容霜及其制备方法
CN105213285A (zh) 一种祛痘洗面奶及其制备方法
KR101163069B1 (ko) 주름 및 잡티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237635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 조성물 그리고 이를 이용한 제품
CN106177192B (zh) 一种双组分用于治疗头油与头屑的复方药物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