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0197B1 - 발전용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발전용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0197B1
KR100300197B1 KR1019970065648A KR19970065648A KR100300197B1 KR 100300197 B1 KR100300197 B1 KR 100300197B1 KR 1019970065648 A KR1019970065648 A KR 1019970065648A KR 19970065648 A KR19970065648 A KR 19970065648A KR 100300197 B1 KR100300197 B1 KR 100300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ffect
skin
cosmetic composition
moisturizing
foo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6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47295A (ko
Inventor
김용호
임태교
공우식
Original Assignee
안용찬
애경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찬, 애경산업(주) filed Critical 안용찬
Priority to KR10199700656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0197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0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0197B1/ko

Links

Landscapes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습제인 요소를 주성분으로 함유하고 각질층 박리효과가 있는 α -히드록시산인 글리콜산을 보조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피부자극도가 낮고 안전하며, 경시안정효과가 크고, 각질제거 및 각질갈라짐에 개선효과를 보이며, 부드럽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화장료 조성물로써 특히 보습효과가 커서 두터운 발피부를 매끄럽고 부드럽게 유지하는데 효과적인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보습제인 요소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며, 각질층 박리효과가 있는 α -히드록시산인 글리콜산을 보조성분으로 함유하는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일정량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을때만이 정상적인 신체보호기능을 갖고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데, 외부환경 및 조건에 따라 피부의 상태는 매우 열악해지기 쉽고 또한 수분이 부족하여 건조해지기 쉽다. 따라서 외부환경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미용의 효과를 위하여 화장품을 사용하게 되는데, 1차적으로 직접 피부에 도포되는 기초화장료는 그 무엇보다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기초화장품은 피부에 수분의 공급 및 수분 손실방지에 의한 보습효과를 부여할 뿐만 아니라, 피부노폐물, 먼지 및 미생물 등의 제거를 통하여 피부의 청정 또는 피부를 미화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제품이다. 또한 메이크업의 기초가 되는 것으로 피부에 적당한 수분을 유지하도록 해야 2차 화장료의 도포가 용이하고 화장이 잘 받게 된다. 궁극적으로 기초화장품에 있어서 보습효과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써 화장품회사에서는 이를 효과적으로 부여하고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종래의 방법에서는 보습성분으로써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또는 솔비톨과 같은 다가알콜류가 주로 사용되었고, 또한 천연 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의 일종인 아미노산, 단백질 또는 뮤코다당류 등이 일부 사용되어 왔다.
상기 성분들은 얼굴용 및 바디용화장품에 대부분 사용되는 것이다.
그러나 발(足) 피부의 각층두께는 일반 체부 피부각층 보다 발등은 5배, 발바닥 각층은 40배 두껍다. 특히 발바닥 피부는 체부피부에 비하여 피지분비량이 적은데 추워서 발한(發汗)이 적거나 건조한 시기에 발바닥은 어린선 및 갈라짐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한선(發汗)인 에크린선(eccrine grand)이 발바닥 피부표면에 개구(開口)되어 있어 발한시에는 다량의 수분, 보습인자등이 분비되어 발냄새 또는 습진 등의 염려가 있다.
따라서 발피부에도 적당한 보습효과를 유지하며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는 화장료가 요구되고 있으나 기존의 다가알콜류 및 천연보습인자를 이용한 화장료는 발과 같이 두터운 각층을 갖는 피부에서는 보습작용이 미약하여 별 효과가 없었다.
또한 화장료의 보습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과량의 보습제를 사용할 경우에는 끈적임이 많아 사용시 불편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기존의 화장료보다 각층 침투효과가 우수하여 발(足) 피부를 매끄럽고 부드럽게 유지하며 적당한 보습효과를 유지하는 발(足) 전용 화장료의 개발이 필요하게 되었다.
본 발명자는 종래의 보습물질들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고 보다 우수한 보습효과를 갖는 원료를 찾고자 여러 물질들을 검색한 결과, 보습제인 요소를 주성분으로 하고 각질층 박리효과가 있는 α -히드록시산인 글리콜산을 보조성분으로 혼합사용함으로써 피부에 자극이 적으면서 우수한 보습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기존의 화장료보다 탁월한 보습효과가 있고, 각질제거 및 각질갈라짐에 개선효과가 있으며, 피부에 자극 등의 부작용이 없는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보습제인 요소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며, 각질층 박리효과가 있는 α -히드록시산인 글리콜산을 보조성분으로써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요소는 에멀젼에 안정하고, 피부에 안전하면서 피부 침투효과 및 각질층의 수분보지(保持) 능력이 우수하고 각질박리효과 및 증가된 세포부활의 정상화, 각화증방지효과, 만성습진을 억제하는 항균효과, 피부에 함께 도포되는 다른 보습성분의 침투를 촉진하는 등의 작용이 있는 물질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요소는 뇨(尿)에서 농축분리하거나 공업적으로 합성한 무색이나 백색의 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로 약한 살균작용, 창상치료 작용 및 세포부활작용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글리콜산은 각질 박리효과를 촉진하여 세포부활 작용이 있는데, 본 발명에 사용된 글리콜산은 사탕수수, 미숙한 포도잎과 열매에 존재하는 것으로 글리콜릭작산을 가수분해 하거나 글리신에 아질산을 작용시켜 수득된 것을 사용하였고 무색결정 또는 결정성 분말로 물에 잘 용해되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통상적인 화장품용 유화 베이스에 요소 및 글리콜산을 배합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완성된다.
본 발명에서 요소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3.0∼20.0 중량%가 사용된다. 3.0 중량% 이하를 사용할 경우 그 효과가 미비하며, 20.0 중량% 이상일 경우 제품의 안정성이 나쁘고 그 효과도 그다지 증가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글리콜산의 경우는 전체 화장료 조성물 중 0.05∼5.0 중량%가 사용된다. 0.05 중량% 이하이면 그 효과가 미비하며, 5.0 중량% 이상일 경우 제품의 안정성이 나쁘고 그 효과도 그다지 증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내에서 다양한 실시예와 변화가 가능하다.
[실시예 1]
요소 5 중량%를 정제수 15 중량%에, 글리콜산 0.5 중량%를 정제수 5중량%에 각각 용해시켜둔다. 표 1에 제시된 조성에 따라 요소와 글리콜산을 첨가하지 않은 수상과 유상을 각각 준비하였다. 상기 시료를 75℃로 각각 가열하고 호모믹서를 이용,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4,000∼6,000 rpm으로 3∼5분간 교반한 후 50℃로 온도를 낮추었다. 이때 상기 요소 및 글리콜산 용액과 방부제 및 향료를 첨가하고 2500∼3500 rpm으로 1∼3분간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목적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요소의 함량을 10.0 중량%로 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여 목적하는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표 1에 제시된 조성에 수상과 유상을 각각 준비하였다. 상기 시료를 75℃로 각각 가열하고 호모믹서를 이용, 수상에 유상을 서서히 첨가하면서, 4,000∼6,000 rpm으로 1∼3분간 혼합한 후 실온으로 냉각시켜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수상 중 보습제로써 프로필렌글리콜을 10.0 중량% 더 추가한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수상 중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퓸(50% 수용액)을 20 중량% 더 추가한 것 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행하여 화장료를 제조하였다.
[표 1]
표 1.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3의 성분 조성 (단위 : 중량부)
Figure kpo0000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안전성, 보습효과, 피부개선효과 및 제품의 안정성 등을 측정하기 위하여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수분 보유능 측정 시험, 경시안정성 시험 및 실사용테스트를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성능평가시험예]
1.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제품의 피부자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남녀 30명을 대상으로 상박부 안쪽에 각 시료의 약 0.2g을 첩포시험용 쳄버에 묻혀서 48시간후 핀쳄버를 제거하고 4시간 경과후 육안으로 피부 변화 상태를 판독 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결과
Figure kpo00002
* 판정기준 - : 홍반이나 특이한 현상없음
+- : 주위보다 약간 붉어짐
+ : 주위보다 현저히 붉어짐
++ : 주위보다 심하게 붉어지고 부풀음
Figure kpo00003
상기 피부 1차 자극성 시험 결과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요소 및 글리콜산을 함유한 실시예 1과 2는 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과 거의 유사한 정도의 미미한 자극도를 보였으며, 프로필렌글리콜 및 피롤리돈카르본산나트륨을 함유한 비교예 2 및 3에 비하여 현저히 낮은 자극도를 나타내었다.
2. 수분 보유능 측정 시험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제품의 수분보유능을 알아보기 위하여 25℃, 상대습도 60%로 유지된 항온 항습실에서 건강한 성인 남,여 20명을 대상을 먼저 피시험자를 30분 이상 항온 실습실에서 휴식시킨 후 발바닥 3cm × 3cm 면적부분에 각 제품을 도포하기전과 도포후 시간에 따른 수분보유능을 피부 수분보유능 측정장치(Corneometer, Koln사, CM820, 독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수분보유능 측정 결과
Figure kpo00004
상기 수분보유능 측정결과 요소 및 글리콜산을 함유한 실시예 1과 2가 보습제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1에 비하여 매우 우수한 수분 보유능을 나타냈으며, 특히 요소의 ? 함량이 많은 실시예 2의 수분 보유능이 높았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보습제로써 비슷한 양을 사용한 실시예 2와 비교예 2를 비교해 보았을 때 실시예 2가 더 우수한 수분보유능을 나타내었고 실시예 2와 비교예 3을 비교해 보면 더 적은 보습물질을 사용한 본 발명의 화장료가 보다 우수한 수분보유능을 나타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3. 경시 안정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제품의 경시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각 제품 300g을 투명 유리용기에 담아서 실온(25℃), 고온(43℃) 및 저온(0℃)에서 일정기간 동안 보관한 후 관찰하고, 또한 냉동 및 해동실(-5∼43℃)에서 24시간 주기로 보관하고 관찰한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표 4] 경시 안정성 시험 결과
Figure kpo00005
판정기준 : ◎ 매우안정함 0 안정함 △ 약간불안함
× 일부분리됨 ×× 완전분리됨
상기 경시 안정성 시험 결과에 따르면 실시예 1, 2의 제품이 비교예 1, 2, 3의 제품과 비교하여 경시 안정성이 큰 것을 나타났다.
4. 실사용 테스트
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3에 따라 제조된 제품에 대하여 피부개선 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17∼40세의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각 제품에 대하여 1주일간 사용후 개별 설문지를 작성하도록 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각 결과는 좋고 나쁨의 효과에 따라 ABCD 순으로 표시하도록 하였고 A쪽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낸다.
[표 5] 실사용 테스트 결과 (단위 : 명)
Figure kpo00006
상기 실사용 테스트 결과, 요소 및 글리콜산을 첨가한 실시예 1과 2가 비교예 1 내지 3보다 각질제거 및 각질갈라짐개선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고, 피부가 더 부드럽고 촉촉한 것으로 설문되었으며 항균효과감지에도 더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이상 성능평가시험 결과에서도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자극도가 낮고, 경시안정효과가 크며, 각질제거 및 각질갈라짐에 개선효과를 보이고, 항균효과가 있으며, 부드럽고 촉촉한 피부를 유지하는데 우수한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발피부와 같이 두터운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유지할 수 있으며 적당한 보습상태를 유지하므로 발바닥의 갈라짐을 방지하고 발한시 땀 냄새를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기존에 과량의 보습제 사용으로 인한 끈적임도 적고 가벼운 사용감을 갖는 화장료 제조가 가능한 잇점이 있다.

Claims (3)

  1.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전 조성물 중량 기준으로 보습제인 요소 3.0∼20.0중량%, 각질층 박리 성분으로서의 α -히드록시산인 글리콜산(CH2(OH)COOH) 0.05∼5.0 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요소 함량이 5.0∼10.0 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α -히드록시산인 글리콜산의 함량이 0.5∼5.0 중량%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足) 전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970065648A 1997-12-03 1997-12-03 발전용화장료조성물 KR100300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648A KR100300197B1 (ko) 1997-12-03 1997-12-03 발전용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648A KR100300197B1 (ko) 1997-12-03 1997-12-03 발전용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295A KR19990047295A (ko) 1999-07-05
KR100300197B1 true KR100300197B1 (ko) 2001-11-05

Family

ID=6609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648A KR100300197B1 (ko) 1997-12-03 1997-12-03 발전용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019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294A (ko) 2014-10-08 2016-04-19 이현기 식충식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미생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제거용 조성물
KR20210004603A (ko) * 2019-07-05 2021-01-13 이정범 피부각질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301B1 (ko) * 2002-04-03 2005-09-09 주식회사 인섹트 바이오텍 발 세정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351A (ko) * 1995-05-11 1996-12-17 한동근 피부의 보습 및 각질연화 조성물
JPH09278640A (ja) * 1996-04-05 1997-10-28 Kanebo Ltd 皮膚老化防止化粧料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40351A (ko) * 1995-05-11 1996-12-17 한동근 피부의 보습 및 각질연화 조성물
JPH09278640A (ja) * 1996-04-05 1997-10-28 Kanebo Ltd 皮膚老化防止化粧料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42294A (ko) 2014-10-08 2016-04-19 이현기 식충식물로부터 분리한 신규한 미생물의 배양액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각질제거용 조성물
KR20210004603A (ko) * 2019-07-05 2021-01-13 이정범 피부각질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17144B1 (ko) * 2019-07-05 2022-07-04 이정범 피부각질 제거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295A (ko) 1999-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01781B1 (en) Cosmetic composition
EA023290B1 (ru) Косметический способ и топическ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моложения, регенерации и упрочнения кожи во время сна
KR101700903B1 (ko) 병풀 추출물, 티모사포닌, 히아루론산 및 콜라겐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H0699267B2 (ja) 皮膚を保護する外用組成物
KR20090017336A (ko) 액정 형성 복합체를 함유하는 피부 보습 증진용 또는 각질감소용 화장료 조성물
JP3556595B2 (ja) レチノール及び表皮成長因子を含有する皮膚保護用化粧料組成物
JPS61180705A (ja) 皮膚外用組成物
JPS6016927A (ja) 皮脂分泌促進剤
JPS61152613A (ja) 皮膚化粧料
KR100300197B1 (ko) 발전용화장료조성물
KR102463133B1 (ko)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10013000A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33833B1 (ko) 진세노사이드 알이를 함유한 피부 보습 및 주름 개선용 화장 조성물
KR101077693B1 (ko) 자일리톨 및 베타-1,3-글루칸을 함유한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10208929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JP2002145753A (ja) 保湿用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含有する化粧料
JPS6281307A (ja) 皮膚化粧料
KR101667308B1 (ko) 티모사포닌, 히아루론산, 콜라겐 및 카렌듈라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S6241684B2 (ko)
JPH09291022A (ja) 皮膚収斂化粧料
KR0172664B1 (ko)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KR101011356B1 (ko) 로즈마린산을 함유하는 스틱형 화장료 조성물
KR20040020092A (ko) 피부 보습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KR100481631B1 (ko) 세안화장료조성물
KR20020088004A (ko) 수세미 성분과 비타민을 이용한 피부미용 화장품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8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