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2664B1 -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 Google Patents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2664B1
KR0172664B1 KR1019960026875A KR19960026875A KR0172664B1 KR 0172664 B1 KR0172664 B1 KR 0172664B1 KR 1019960026875 A KR1019960026875 A KR 1019960026875A KR 19960026875 A KR19960026875 A KR 19960026875A KR 0172664 B1 KR0172664 B1 KR 01726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weight
solution
alpha hydroxy
cosmetic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8217A (ko
Inventor
서충석
공우식
김영수
김용호
Original Assignee
안용찬
애경산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용찬, 애경산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안용찬
Priority to KR1019960026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72664B1/ko
Publication of KR980008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8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26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26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안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알파히드록시산 유도체 및 각질분해효소 용액으로 조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알파히드록시산 용액은 글리콜산, 만델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및 글루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의 물질을 0.1∼10.0중량% 사용하며, 각질분해효소 용액으로는 고초균(Basillus Subtilis)의 발효로 부터 얻는 케라타아제로서 0.05∼1.0중량%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세안용 화장료조성물은 중층화된 각질세포간의 결합력을 완화시켜 각질분해효소의 각질 부해력을 높임에 따라 피부의 이물질 및 각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의 기술]
본 발명은 세안용 화장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알파히드록시산 및 그 유도체와 단백질 분해효소와를 함유함으로써 각질 제거능력을 향상시킨 세안용 화장료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표면에 잔존하는 화장품성분들은 피부에 자극을 주기 쉽고, 민감한 피부를 갖은 사람들에게는 피부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그 제거가 피부관리에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잔존 화장품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세안용 화장료의 개발이 지속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메이컵 제거뿐만 아니라, 노화된 각질이나 피부분비물까지도 제거할 수 있는 원료들이 개발되고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에 의한 세안용 화장료조성물은 그 화장료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0.1∼10.0중량%, 알파히드록시산 유도체 0.1∼10.0중량%, 단백질 분해효소 용액 0.05∼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알파히드록시산 2용액은 글리콜산, 만델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및 글루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이상의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알파히드록시산은 피부침투력이 강한 산이기 때문에, 그 용액의 함유량이 10.0중량%이상을 사용하면 피부자극을 초래할 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0.1중량%미만인 경우는 세정용 화장료로서의 기능이 미미하기 때문에 제품으로서 가치가 없게 된다. 따라서 알파히드록시산 용액의 함유량은 화장료조성물전체에 대해 0.1∼10.0중량%가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알파히드록시산 유도체는 C12∼C13말산알킬, C12∼C13글리콜산알킬, C12∼C13만델산알킬, C12∼C13락트산알킬, C12∼C13시트르산알킬, C12∼C13타르타르산디알킬 및 타르타르산디미리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이상으 물질을 함유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알파히드록2시산인 말산과 CH3(CH2)11OH및 CH3(CH2)12OH의 두가지 알코올과의 축합반응으로 얻어진 C12∼C13말산알킬을 들수 있다. 알파히드록시산 유도체의 함유량은 전체 화장료조성물에 대해 0.1∼10.0중량%가 바람직하다.
단백질분해효소는 피부대사로 인한 사세포의 축적층인 각질층을 분해하는 역활을 하며, 주로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는 케라틴물질을 분해하기 위한 것이다. 단백질 분해효소 용액의 함유량은 전체 화장료조성물에 대해 0.05∼1.0중량%가 바람직하다. 1.0중량%를 초과하면 오래된 각질을 제거한다는 기능을 넘어 새로 형성된 각질까지 제거하기때문에, 각질 본래의 기능인 외부자극(물리적, 생리적, 화학적자극)에 대한 방어기능에 손상을 줄수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0.01중량% 미만에서는 각질제거능력을 기대할 수 없기때문에, 화장료로서 적합하지 않다.
본 발명의 세안용 화장료를 제조하기 위한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제조]
글리콜산 0.1∼2.0중량%, 만델산 0.1∼2.0중량%, 시트르산 0.1∼2.0중량% 및 락트산 0.1∼2.0중량%를 잔부 정제수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단백질 분해효소 용액 제조]
글리세린 5∼40.0중량%, 프로필렌글리콜 5∼30.0중량% 및 케라타아제(KERATASE : 프랑스 세디르마사제품) 1.0∼6.0중량%를 잔부 정제수에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세안용 화장료제조]
유동파라핀, 유화제, 보조유화제, 밀랍, 바세린 및 C12∼C13 말산알킬로 되는 유상용액과 프로필렌글리콜,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단백질 분해효소 용액 및 정제수로 되는 수상용액과를 75∼80℃까지 각각 가온한 후, 수상용액에 유상용액을 혼합하여 교반하였다. 교반후 혼합용액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최종제품으로 하였다.
유동파라핀은 잔존화장료, 먼지, 피지등의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역활을 하고 윤활성을 주기 위한 것으로, 그 함유량은 20∼40중량%가 바람직하다. 유동 파라핀 이외에 옥탄산세틸 또는 디메치콘을 사용할 수도 있다.
유화제로는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모노스페아린산소르비탄,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모노올레인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 바람직게는 스테아레스-3-(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및 라우레스-20(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을 들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0.5∼4.0중량%이 바람직하다.
보조유화제는 보다 안정적으로 유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자기유형화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스테아린산글리세린/라우레스-23, 바람직하게는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PEG-100(폴리옥시에틸렌 100)을 들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0.5∼4.0중량%이 바람직하다.
밀랍은 화장료의 경도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외에 백랍 또는 경랍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1.0∼3.0중량%가 바람직하다.
바세린은 밀랍과 같은 역활을 하는 것으로, 그 외에 라놀린 또는 쉐어버터를 사용할 수 있으며, 그 함유량은 1.0∼5.0중량%가 바람직하다.
프로필렌글리콜은 수용성 오염의 용해역활 및 겨율에 화장료가 얼지 않도록 하는 부동액역활을 하는 것으로, 그 함유량은 3.0∼8.0중량%가 바람직하며, 1, 3-부틸렌글리콜 또는 글리세린을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된 O/W(에멀션)형 세안용 화장료는 각질 분해효소 단독으로 사용한 제품에 비해 각질을 제거하는 효과가 우수하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유동파라핀 34.0중량%, 스테아레스-3 2.0중량%, 라우레스-20 2.0중량%,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PEG-100(폴리옥시에틸렌 100)2.0중량%, 밀랍 2.0중량%, 바세린 3.0중량% 및 C12∼C13 말산알킬 5.0중량%로 되어 있는 유상용액과 프로필렌글리콜 5.0중량% 및 잔부 정제수로 되어 있는 수상용액과를 각각 75∼80℃까지 가온한 뒤, 수상용액에 유상용액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이것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세안용 화장료 100g 을 수득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을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2]
유동파라핀 39.0중량%, 스테아레스-3 2.0중량%, 라우레스-20 2.0중량%, 모노스테아린산글리콜/PEG-100(폴리옥시에틸렌 100)2.0중량%, 밀랍 2.0중량% 및 바세린 3.0중량%로 되어 있는 유상용액과 프로필렌글리콜 5.0중량%,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5.0중량% 및 잔부 정제수로 되어 있는 수상용액과를 각각 75∼80℃까지 가온한 뒤, 수상용액에 유상용액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이것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세안용 화장료 100g 을 수득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을 표 1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수상용액에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대신에 단백질분해효소 용액 0.5중량%를 함유한 것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세안용 화장료 100g을 수득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을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4]
수상용액에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5.0중량%를 추가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세안용 화장료 100g을 수득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을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5]
수상용액에 단백질분해효소 용액 0.5중량%를 추가한 것외에는 실시예 2과 동일하게 하여 세안용 화장료 100g을 수득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을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6]
수상용액에 단백질분해효소 용액 0.5중량%를 추가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세안용 화장료 100g을 수득하였다. 각 성분의 함율량을 표1에 나타낸다.
[실시예 7]
수상용액에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5.0중량% 및 단백질분해효소 용액 0.5중량%를 추가한 것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세안용 화장료 100g을 수득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을 표1에 나타낸다.
[비교예]
유동파라핀 39.0중량%, 스테아레스-3 2.0중량%, 라우레스-20 2.0중량%,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PEG -100(폴리옥시에틸렌 100)2.0중량%, 밀랍 2.0중량% 빛 바세린 3.0중량%로 되어 있는 유상용액과 프로필렌글리콜 5.0중량% 및 잔부 정제수로 되어 있는 수상용액과를 각각 75∼80℃까지 가온한 뒤, 수상용액에 유상용액을 투입하여 교반하였다. 이것을 실온까지 냉각하여 세안용 화장료 100g을 수득하였다. 각 성분의 함유량을 표 1에 나타낸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부터 제조된 세안용 화장료의 각질 제거능력을 알아 보기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하였다.
[실험예1]
건강한 여성지원자 7명의 왼쪽팔 안쪽하박부에 디히드록시아세톤 0.1중량%, 순도 95%의 에탄올 50.0중량%및 잔부 정제수로 되는 디히드록시아세톤 용액을 가로 3cm× 세로3cm의 정방형 크기로 상하 두곳에 각각 0.5g씩 3회에 걸쳐 도포하여 각질을 착색시켰다. 그 결과를 표2에 나타낸다.
[실험예 2]
각 지원자의 착색된 부위를 색차계인 크로마미터 CR-200을 이용하여 피부색을 측정하였다. 여기에 각 지원자의 착색된 부위에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로 부터 제조되는 세안용 화장료로 세안시키고 티슈로 닦아낸 다음 색차계인 크로마미터 CR-200을 이용하여 피부색을 측정하였다. 이러한 방법으로 5일간 6회에 걸쳐 피부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측정한 지원자 1∼7의 각각의 색강도를 하기의 식 1에 의해 계산하였고, 각 지원자들의 사용전(최초)과 1, 2, 3, 4, 5회 사용후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해당하는 부위의 색강도의 차를 하기의 식 2에 의해 구하였다. 실시예에 해당하는 피부색의 완화강도를 각질 제거지수로 표시하기 위해 각 지원자의 색강도 차이를 X(측정회수), Y(색강도의 차) 그래프상의 기울기를 구하여 그것을 각질 제거지수로 표 3에 나타내었다.
[발명의 효과]
상기 표3에서 본 바와같이, 실시예 1∼7의 방법으로 제조된 세안용 화장료의 각질 제거지수중, 각질제거 성분 3가지 (C∼C알킬말산,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및 단백질분해효소 용액)를 혼합한 제품인 실시예 7의 각질 제거지수가 각질제거성분중 1또는 2개를 조합한 실시예 1∼6의 각질 제거지수 보다 295.1∼39.6%정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각질제거 성분 3가지를 모두 혼합한 화장료가 1또는 2개를 조합한 화장료 보다 중층화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었다.

Claims (5)

  1. 화장료 전체에 대하여, 알파히드록시산 용액 0.1∼10.0중량%, 알파히드록시산 유도체 0.1∼10.0중량%, 단백질 분해효소 용액 0.05∼1.0중량%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히드록시산 용액은 글리콜산, 만델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타르타르산 및 그루콘산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물질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히드록시산 용액은 글리콜산 0.1∼2.0중량%, 만델산 0.1∼2.0중량%, 시트르산 0.1∼2.0중량%, 락트산 0.1∼2.0중량%및 잔부 정제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파히드록시산 유도체는 C12∼C13말산알킬, C12∼C13글리콜산알킬, C12∼C13만델산알킬, C12∼C13락트산알킬, C12∼C13시트르산알킬, C12∼C13타르타르산디알킬 및 타르타르산디미리스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상의 물질을 함유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백질 분해효소는 글리세린 5∼40.0중량%, 프로필렌글리콜 5∼30.0중량%, 케라타아제 1.0∼6.0중량%및 잔부 정제수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KR1019960026875A 1996-07-03 1996-07-03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KR01726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875A KR0172664B1 (ko) 1996-07-03 1996-07-03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875A KR0172664B1 (ko) 1996-07-03 1996-07-03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217A KR980008217A (ko) 1998-04-30
KR0172664B1 true KR0172664B1 (ko) 1999-02-18

Family

ID=19465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875A KR0172664B1 (ko) 1996-07-03 1996-07-03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7266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301B1 (ko) * 2002-04-03 2005-09-09 주식회사 인섹트 바이오텍 발 세정용 조성물
KR100507960B1 (ko) * 2002-10-22 2005-08-19 (주)나노팜 피부 각질 제거용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세안조성물
KR100722675B1 (ko) * 2005-12-27 2007-05-29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글루콘산 및 헥사노일트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8217A (ko) 1998-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312259B4 (de) Kosmetische oder dermopharmazeutische Zusammensetzung, umfassend ein Enzym, das in einem wässrigen Medium unlöslich ist, sowie deren Verwendung
EP0301781B1 (en) Cosmetic composition
US6579516B1 (en) Methods of delivering materials into the skin, and compositions used therein
EP0776191B1 (en) Compositions for delivering materials into the skin
JP5210513B2 (ja) 化粧料及びそれに含有される抽出物
EP0440058B1 (en) Cosmetic composition
JP2000229834A (ja) 化粧料
EP0531387B1 (en) A method of reducing the irritating properties of a cosmetic composition
JPH0676311B2 (ja) 皮膚の皺及び過剰色素沈着の治療のための3‐フエニルアセチルアミノ‐2,6‐ピペリジンジオンの局所的用法
JPS6016927A (ja) 皮脂分泌促進剤
JPH08325130A (ja) 化粧料
JP3747141B2 (ja) 皮膚化粧料キット
KR102281086B1 (ko) 점액성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피부를 세정하는 방법
KR0172664B1 (ko) 세안용 화장료조성물
KR102472483B1 (ko) 각질제거효과와 보습효과를 동시에 갖는 화장료 조성물
JP3342050B2 (ja) 化粧料
KR101009767B1 (ko) 파파인과 노팔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JPH0925213A (ja) 皮膚外用剤
JPH11158054A (ja) 皮膚外用剤
KR100728443B1 (ko) 해조 추출물 함유 화장료 첨가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화장료
KR20080098731A (ko) 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220001161A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조성물
JP3044690B2 (ja) 化粧料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010050016A (ko) 외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