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9290B1 -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9290B1
KR102089290B1 KR1020180136039A KR20180136039A KR102089290B1 KR 102089290 B1 KR102089290 B1 KR 102089290B1 KR 1020180136039 A KR1020180136039 A KR 1020180136039A KR 20180136039 A KR20180136039 A KR 20180136039A KR 102089290 B1 KR102089290 B1 KR 1020892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composition
improving
cosmetic composition
elastic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6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51880A (ko
Inventor
신언성
이홍
정혜선
문선영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주식회사 네이처앤네이처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51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92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92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해면 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조성물의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고 지속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에 대한 자극이 없어 피부 상태를 개선시키는 데 유용하다.

Description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s and elasticity}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시중에는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품이 많이 판매되고 있다. 또한, 종래의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품들은 일반적으로 피부 위에 단순히 도포하는 방식으로 이용된다. 그러나, 유효 성분이 피부 위에 도포되더라도, 이는 단순히 피부 각질층에 효능이 있는 성분을 도포하는 것에 불과하여, 유효 성분이 효과적으로 피부에 전달 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유효 성분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등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조성물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일 양상은 해면 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해면 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해면 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조성물은 해면 골편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경피로의 흡수를 촉진하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등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피부 자극을 최소화함으로써 피부 상태를 효과적으로 개선시킬 수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해면”은 해면동물문의 무척추동물 종에서 유래한 것으로 해면동물이라고도 한다. 약 5,000 종의 생존하고 있는 해면종이 해면동물문으로 분류되며 이것은 3개의 상이한 군, 즉 육방해면강 (Hexactinellida)(유리 해면), 보통해면강(Demospongia) 및 석회해면강(Calcarea)(석회질 해면)으로 구성된다.
해면은 무척추동물로서 알려진 단순한 동물종의 거대 그룹에 속하는 다세포 해생 동물이다. 해면은 골편으로 알려진 침상 구조체로 구성되는 경질의 골격에 의해 지지되는 젤리형의 단백질 매트릭스에 현탁된 연질의 조직으로 구성되어 있다. 골편은 주로 탄산칼슘 또는 실리카 및 콜라겐으로 구성된다. 상기 골편은 화장품 등에 이용될 수 있도록 가공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해면을 가수분해하고 분쇄한 후, 거름망으로 걸러서 얻은 골편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해면동물을 건조 및 분쇄하여 해면 분말을 준비하고, 이를 다시 증류수와 혼합하고, 가수분해효소를 넣고 반응 시켜 얻은 결과물일 수 있다. 필요한 경우, 결과물의 원심분리, 세척, 건조, 또는 필터링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해면동물은 제한이 없으나, 담수 해면동물일 수 있다.
본 명세서 내 용어, “피부 상태 개선”은 다양한 피부 상태의 개선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피부 상태 개선을 예를 들어 피부 노화 방지, 피부 결 개선, 피부 주름 개선, 탄력 증진, 피부 보습 및/또는 피부 미백 등의 직접적인 피부 상태 개선뿐만 아니라 항산화, 항염, 자외선 또는 외부 자극에 대한 피부 선상억제, 세포 재생 및 피지분비 억제 등과 같이 피부 알러지 및 피부 염증 반응을 억제 또는 개선하거나 콜라겐 분비 효소 억제 및 콜라겐 합성 증진 등과 같이 피부 노화를 방지하는 2차적인 피부 상태 개선도 모두 포함한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라 함은 피부 주름개선용, 피부 결 개선용, 피부 탄력 증진용, 피부 미백용 또는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손상억제용, 피부 노화 방지용 등을 일컫는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해면 골편은 화장료 조성물 총 조성물 중, 0.1 내지 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5 중량%, 0.1 내지 4 중량%, 0.1 내지 3.5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3 중량%, 1 내지 4 중량% 또는 1 내지 2.5 중량%일 수 있다. 이때 해면 골편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피부 상태를 충분히 개선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피부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갖는 성, 예를 들어 에스알-클로스트리듐보툴리눔폴리펩타이드-1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S,R-Clostridiumbotulinumpolypeptide-1S,H-oligopeptide-1) 또는 아데노신(adenosine)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해면 골편을 포함함으로써 유효성분의 경피로의 흡수를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을 경감시킴으로써 접촉피부염 등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피부 표면에 남아있는 각질이나 피지가 제거됨으로써 피부 결을 개선시킬 수 있다. 따라서, 피부 미백, 피부 결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및/또는 탄력 증진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일 양상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화장품 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는 방법으로 특정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화장품학적으로 허용되는 첨가제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로는 안정화제, 용해화제, 유탁화제, 비타민, 안료, 양료,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이 있으며, 제조하고자 하는 제형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임의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샴푸,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리퀴드 파운데이션 및 크림 파운데이션 등이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유액,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클린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팩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해면 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해면 골편의 구체적인 내용은 전술한 바와 같다.
일 구체예에 따른 외용제 조성물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크림, 젤, 패취, 분무제, 연고제, 경고제, 로션제, 리니먼트제, 파스타제 및 카타플라스마제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상기 제형에 따라 각종 공지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 구체예에 따르면 담체, 유화제, 보습제, 계면활성제, 킬레이팅제, 산화방지제, 살균제, 안정화제, 및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로는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가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락토오스, 실리카,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칼슘 실리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화제로는 유동 파라핀, 세틸올타노에이트, 스테아린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로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펜틸렌글리콜,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솔비톨, 및 로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폴리올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올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5 내지 50 중량%, 5 내지 30 중량%, 10 내지 30 중량%, 또는 5 내지 10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이때, 폴리올의 함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 보습 지속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끈적임 및 눅눅함이 증가하여 사용감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킬레이팅제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나트륨(EDTA), α-하이드록시 지방산, 락토페린, α-하이드록시산, 시트르산, 락트산, 말산, 빌리루빈, 빌리버딘(biliverdin)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는 부틸히드록시아니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또는 프로필 갈레이트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성분으로서 유지 성분, 에몰리언트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pH 조절제, 알코올, 색소, 항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제 등이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 및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적용하고자 하는 피부 면적에 따라 적절한 양을 피부에 도포함으로써, 적용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하루 1회 내지 수 회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적용하는 양 및 횟수는 개인의 피부 상태, 연령 등에 따라 필요에 의해 증감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해면 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유효 성분의 경피 흡수를 촉진하고 지속력을 향상시키는 등 피부에 효과적으로 전달되는바, 피부 미백을 향상시키고, 피부 결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도 1a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 피부 흡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 피부 흡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피부 결 개선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각 원료를 비커에 계량한 후, 실온에서 교반기(homogenizer)를 이용하여 7,000 rpm으로 5분 동안 균일하게 혼합하였다. 이후, 기포를 제거하고 냉각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6.00
나이아신아마이드 2.00
하이드롤라이즈드해면 1.8948
1,2-헥산디올 1.51
에스알-클로스트리듐보툴리늄폴리펩타이드-1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0.5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35
콜레스-24 0.30
잔탄검 0.10
카보머 0.05
아데노신 0.04
트로메타민 0.04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글리세린 0.012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비교예]
비교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2의 성분 및 함량을 사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성분 함량(중량%)
정제수 To 100
부틸렌글라이콜 6.00
나이아신아마이드 2.00
1,2-헥산디올 1.51
에스알-클로스트리듐보툴리늄폴리펩타이드-1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0.5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0.35
콜레스-24 0.30
잔탄검 0.10
카보머 0.05
아데노신 0.04
트로메타민 0.04
디소듐이디티에이 0.02
글리세린 0.012
방부제 적량
향료 적량
[실험예]
피부 흡수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흡수도 효과를 인체피부 유사 인공막을 이용하여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인체피부유사 인공막 1.2㎝ x 1.2㎝의 동일한 면적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조성물을 각각 50㎎씩 도포한 후 Diffusion cell system을 이용하여 HPLC-PDA 분석법으로 피부의 지방산과 세라마이드를 형성하고 미백 기능성 유효성분인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흡수량을 측정하였다. 측정값은 나이아신아마이드 표준용액의 검량선을 통해 비교 분석함으로써 나이아신아마이드 피부 흡수도를 평가하였다.
도 1a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흡수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a에 나타나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도포 전과 비교하여 도포 6시간 후 25.75±0.16㎍/㎝2, 도포 12시간 후 57.90±0.06㎍/㎝2, 도포 24시간 후 147.82±0.14㎍/㎝2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흡수량이 점차 증가하였으며, 비교예 1의 경우, 도포 전과 비교하여 도포 6시간 후 22.46±0.31㎍/㎝2, 도포 12시간 후 48.52±0.01㎍/㎝2, 도포 24시간 후 112.63±0.07㎍/㎝2로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흡수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비교예 1과 비교하여 실시예 1의 경우 도포 시간에 따라 유의적으로 피부 흡수량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b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나이아신아마이드의 피부 흡수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b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경우, 도포 전과 비교하여 도포 6시간 후 4.46±0.03%, 도포 12시간 후 10.03±0.01%, 도포 24시간 후 25.61±0.02% 피부 흡수도가 증가되었으며 비교예 1의 경우 도포 전과 비교하여 도포 6시간 후 3.94±0.05%, 도포 12시간 후 8.33±0.00%, 도포 124시간 후 19.74±0.01%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의 나이아신아마이드 피부 흡수도는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도포 6시간 후 0.52±0.03%, 도포 12시간 후 1.70±0.01%, 도포 24시간 후 5.86±0.02%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실시예 1의 경우 비교예 1과 비교하여 나이아신아마이드가 도포 24시간 이내에서 최대 25.61±0.02% 피부흡수율을 나타냈으며, 피부 흡수도는 최대 5.86±0.02%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나이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함으로써, 피부 흡수율이 증가하는바 미백에 탁월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피부의 지방산과 세라마이드를 형성함으로써 피부 장벽을 건강하게 만드는바 피부 탄력 강화에 효과가 있다.
피부 결 개선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피부 결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5명을 대상으로 실시예 1의 조성물을 시험부위에 1일 2회씩 4주간 사용하도록 하였다. 사용 1주, 2주 및 4주 후에 20∼24 ℃ 및 40~60%의 상대습도 조건에서 피부결을 촬영하였다. 측정기기 Antera 3D (miravex, UK), Cutometer (CK electronic, Germeny)를 사용하였으며 측정부위 전면의 동일 면적을 지정한 뒤, Roughness Ra, Roughness Rq 값을 분석하여 피부결 개선 정도를 수치화 하여 평가하였다. Roughness Ra(거칠기 척도 1)는 피부단면을 파장화 하여 수치화한 피부 높낮이의 절대값 산술평균을 의미한다. Roughness Rq(거칠기 적도 2)는 피부 단면을 파장화 하여 수치화한 피부 높낮이의 표준편차를 의미한다.
도 2는 실시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피부 결 개선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피부 거칠기(Ra 및 Rq)는 사용 전에 비하여 시간이 경과할수록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 1주 후부터 피부 결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해면 골편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결을 개선시킬 수 있다.
주름 개선 평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주차 별 주름 사진의 Indentation 수치를 분석하여 얻은 값으로 0주차 분석 값과 비교 평가 하였다. Indentation(A.U)은 지정된 분석부위에서의 평균적인 피부의 침하 정도를 나타내며 값이 감소할수록 주름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한다.
도 3은 실시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Indentation 값은 사용 전에 비하여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 1주 후부터 피부 주름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해면 골편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시킬 수 있다.
탄력 개선 평가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의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3회 측정 값의 평균을 산출하여 0주차 측정값과 비교 평가하였다. R2 값이 1에 가까울수록 탄력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하였다.
도 4는 실시예 1의 도포 시간에 따른 피부 탄력 개선을 확인한 그래프이다.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R2 값은 사용 전에 비하여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사용 1주 후부터 피부 탄력이 증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해면 골편을 포함함으로써 피부 탄력을 증진시킬 수 있다.
피부 1차 자극 평가
상기 실시예 1의 조성물의 피부 자극에 대한 평가를 위하여 20세 이상의 성인 남녀 32명을 대상으로 Finn Chamber를 이용하여 피부첩포시험(patch test)을 실시하였다. 상기 32명은 피부 질환을 포함하는 급, 만성 신체질환이 없는 건강한 사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민감성, 과민성 피부를 가진 사람 또는 시험 부위에 점, 여드름, 홍반, 모세혈관 확장 등의 피부 이상 소견이 있는 사람은 제외하였다.
먼저, 피시험자의 등부위를 70% 에탄올로 닦아내고 건조시킨 다음, 실시예 1의 조성물 20μL을 직경 8㎜의 Finn Chamber에 적하하고 시험부위에 부착하여 고정하였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부착하였고,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48시간 경과 후 피부과 전문의에 의하여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판정기준(표 3)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기호 점수 판정기준
- 0 무자극
± 0.5 미자극(희미한 또는 가까스로 감지할 수 있는 가벼운 홍반)
+ 1 경자극(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 2 중자극(뚜렷한 홍반, 구진 및 소수포)
+++ 3 강자극(심한 홍반 및 대수포, 가피형성)
그 결과, 첩포 제거 후 30분, 24시간 및 38시간 경과 후에 자극이 관찰되지 않았으며 평균 피부 반응도는 0.00으로 판정 기준에 따라 무자극으로 판정되었다. 즉, 일 양상에 따른 조성물은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바,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을 경감시킴으로써 접촉피부염 등과 같은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5)

  1. 해면 골편 및 에스알-클로스트리듐보툴리눔 폴리펩타이드-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S,R-Clostridiumbotulinumpolypeptide-1S,H-oligopeptide-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으로서,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과 대비하여 상기 해면 골편은 0.1 내지 5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피부 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부 상태 개선은 피부 미백, 피부 결 개선, 피부 주름 개선 또는 탄력 증진인 것인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경피 흡수를 촉진시키는 것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외부 자극에 의한 피부 손상을 경감시키는 것인 조성물.
  5. 해면 골편 및 에스알-클로스트리듐보툴리눔 폴리펩타이드-1 에스에이치-올리고펩타이드-1 (S,R-Clostridiumbotulinumpolypeptide-1S,H-oligopeptide-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외용제 조성물으로서, 외용제 조성물 총 중량과 대비하여 상기 해면 골편은 0.1 내지 5중량%으로 포함되는 것인, 해면 골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80136039A 2017-11-07 2018-11-07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892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626 2017-11-07
KR20170147626 2017-11-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880A KR20190051880A (ko) 2019-05-15
KR102089290B1 true KR102089290B1 (ko) 2020-03-16

Family

ID=66579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6039A KR102089290B1 (ko) 2017-11-07 2018-11-07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92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0566A (ja) * 2016-11-04 2018-05-10 花王株式会社 メラニン分解促進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199A (ja) 2000-04-04 2001-10-16 Kenji Nakamura 海綿動物タンパク質の加水分解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37389B1 (ko) * 2009-01-23 2010-01-19 (주)스킨메디언스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62594B1 (ko) * 2016-11-10 2017-08-02 주식회사 에스파코 담수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76796B1 (ko) * 2015-03-25 2016-11-16 제너럴바이오(주) 침상 구조를 갖는 해면 파우더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침상 구조를 갖는 해면 파우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88199A (ja) 2000-04-04 2001-10-16 Kenji Nakamura 海綿動物タンパク質の加水分解物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937389B1 (ko) * 2009-01-23 2010-01-19 (주)스킨메디언스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관리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762594B1 (ko) * 2016-11-10 2017-08-02 주식회사 에스파코 담수 해면 골편을 이용한 피부 치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070566A (ja) * 2016-11-04 2018-05-10 花王株式会社 メラニン分解促進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880A (ko) 2019-05-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6399B1 (ko)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14892B1 (ko) 피부 상태의 치료 방법 및 그를 위한 조성물
JP5780623B2 (ja) 肌の手入れ用のすすぎ洗い可能なマスク型化粧品組成物
KR20080055984A (ko) 인산화당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CN113041172B (zh) 用于肌肤屏障修护的皮脂膜仿生组合物及其应用和化妆品
JP2022511023A (ja) シスツス・モンスペリエンシス(Cistus monspeliensis)の抽出物の新規な化粧品的及び皮膚科学的使用
KR20130090169A (ko) 글루코노락톤과 락토바이오닉산을 포함하는 피부 각질 제거, 피부 미백 또는 피부 톤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6513B1 (ko)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CN111631965A (zh) 一种植物来源的具有清洁和卸妆功能的面膜
KR20190071250A (ko)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189991B1 (ko) 백련초 추출물, 자작나무 수액, 엑스트라 버진 올리브 오일및 폴리올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803271B1 (ko) 피부 보습용 또는 탄력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8929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CN112754978A (zh) 一种保湿舒缓修复组合物
CN112451400A (zh) 一种油包水型多重功效美白面霜
KR20110052095A (ko) 흰목이 버섯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83569B1 (ko) 동백씨오일 아미노프로판디올 아마이드/에스터를 함유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14221754A (ja) 化粧料
KR101956155B1 (ko) 데아닌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11195539A (ja) エラスターゼ活性阻害剤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060067296A (ko) 자일리톨 및 베타-1,3-글루칸을 함유한 피부보습용 화장료조성물
KR20080098731A (ko) 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116766B (zh) 胶原酶抑制剂,含该胶原酶抑制剂的睡眠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957380B1 (ko)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