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7380B1 -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7380B1
KR101957380B1 KR1020180079150A KR20180079150A KR101957380B1 KR 101957380 B1 KR101957380 B1 KR 101957380B1 KR 1020180079150 A KR1020180079150 A KR 1020180079150A KR 20180079150 A KR20180079150 A KR 20180079150A KR 101957380 B1 KR101957380 B1 KR 101957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extract
weight
test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9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은미
김수경
조소현
최미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7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73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5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animal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1Particular ingredients further characterized by their size
    • A61K2800/413Nanosized, i.e. having sizes below 100 n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Abstract

본 발명은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탄력, 보습, 진피치밀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아 효능 및 안전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product of animal oil for improving skin ealsticity moisture}
본 발명은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성 오일 발효물 및 띠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및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환경오염으로 인한 미세먼지, 자외선 노출 등으로 피부질환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어, 이를 일상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생활용품으로서 화장품의 기능이 기대되고 있다.
천연소재인 동물성 오일의 경우 인체피부에 더 친화적이고 안전함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취, 무거운 사용감 및 소비자 거부감으로 인하여 그 수요가 미미한 실정이었으나, 최근 들어 아시아권에서 동물성 오일 함유 화장품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동물성 오일의 특유의 취와 사용감을 개선하고 기능을 향상시키기 위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는데, 이와 관련하여 한국 등록특허 제10-1768058호에서는 표면 장력이 감소하여 유화 활성이 증진된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화장품 제조에 있어 가장 큰 이슈가 되는 것은 안전성과 유효성으로, 유효성분의 기능을 극대화 하면서도 안전성이 확보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효과와 안전성이 모두 확보될 수 있는 화장품의 원재료를 확보해야 할 뿐만 아니라, 유효성분의 효능을 극대화하면서 요구되는 다양한 기능이 발휘될 수 있는 성분의 조합 및 제형들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동물성 오일 함유 화장품 개발에 있어 동물성 오일 자체의 기능을 개선함과 동시에 이를 극대화 할 수 있는 안정성이 확보된 성분들을 조합하고 제형화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한편, 띠(Imperata cylindrica var.koenigii)는 외떡잎 식물 벼목 화본과의 여러해살이 풀로 북아메리카, 아시아, 아프리카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되어 있다.
띠의 뿌리, 즉 띠뿌리는 생약명으로 백모근이라 불리며, 해열, 이뇨, 소염, 지혈, 발한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민간에서는 급성 신장염이나 임신부종에 사용되기도 하며, 황달, 수종을 치료하는 한약재로 사용되기도 한다.
띠뿌리 추출물과 관련해서는 주로 비만 치료용 약제나 숙취 해소용 음료의 일 성분으로 사용하는 기술들이 개시되어 있으며, 한국 등록특허 제10-1746277호에서는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개선용 화장료가 개시된 바 있으나, 띠뿌리 추출물의 피부개선 효과에 대해서는 개시하고 있지 않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68058호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74627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동물성 오일의 효능을 극대화 하면서 안전성이 확보된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띠뿌리 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베타글루칸 0.01 내지 1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올리브오일 1 내지 50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0.01 내지 10 중량부 및 바이오틴 0.0001 내지 0.01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은 마유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은 20 내지 200 nm 의 입자크기 범위를 갖는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동물성 오일 발효물 및 띠뿌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피부 탄력, 보습, 진피치밀도를 개선할 뿐만 아니라,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아 효능 및 안전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실험예 1에 따른 양성대조군 올레아놀산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실험예 1에 따른 발효마유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은 실험예 2에 따른 양성대조군 올레아놀산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2에 따른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실험예 3에 따른 양성대조군 올레아놀산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6은 실험예 3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활성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7은 실험예 5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각질층 수분함량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는 실험예 5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각질층 수분함량 개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9는 실험예 6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전피 탄력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실험예 6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전피 탄력 개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실험예 7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피부 치밀도 변화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험예 7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피부 치밀도 개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실험예 9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크림 형태의 바디용화장료 조성물의 각질층 수분함량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실험예 9에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의 각질층 수분 함량 개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실험예 10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의 전피 탄력 개선 정도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실험예 10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의 전피 탄력 개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실험예 11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의 피부 치밀도 변화 추이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실험예 11에 따른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의 피부 치밀도 개선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동물성 오일 발효물 및 띠뿌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물성 오일 발효물은 동물성 오일(동물로부터 얻어진 기름)을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동물성 오일은 사람의 피부와 유사한 조직 구조를 가지고 있어 영양분이 빠르고 안전하게 흡수되는 장점이 있으며,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상어의 간유에서 얻어지는 스쿠알렌, 밍크의 피하 지방에서 얻어지는 밍크오일 등이있다.
띠뿌리 추출물은 띠(Imperata cylindrica var.koenigii)의 뿌리 추출물을 의미하는 것으로, 띠의 뿌리는 성질이 차며 독이 없다고 알려져 있다.
띠 뿌리에는 자당, 과당, 시트릭애씨드, 숙신산, 트리테르펜과 같은 성분들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 면역력 향상, 항산화, 각질 정돈, 항염증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띠뿌리 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띠뿌리 추출물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띠뿌리 추출물 15 내지 8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띠뿌리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띠뿌리 추출물의 함량이 상기 기재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의 효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기재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동물성 오일 발효물과의 시너지 효과로 인한 항주름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상기 띠뿌리 추출물은 물, C1 ~ C10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사용하여 추출될 수 있다.
상기 알코올은 C1 ~ C10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C1 ~ C4의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일 수 있다.
에탄올을 추출용매로 사용할 경우, 유효성분을 보다 효과적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값이 싸고 독성이 적을뿐만 아니라 제거하기 쉬운 장점이 있다.
상기 띠뿌리 추출물의 추출은 구체적으로 10 내지 100 중량 % 알코올 100ml에 대하여 띠뿌리 분말 0.1 내지 20g을 혼합하고, 20 내지 60℃의 온도에서 12 내지 36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 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베타글루칸 0.01 내지 1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베타글루칸 0.01 내지 1 중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베타글루칸 0.02 내지 0.8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동물성 베타글루칸 0.03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만일, 베타글루칸의 함량이 상기 기재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동물성 오일 및 띠뿌리 추출물 효능이 저하될 수 있고, 상기 기재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동물성 오일 발효물, 띠뿌리 추출물과의 시너지 효과로 인한 항주름 개선 효과가 저하될 수 있다.
베타글루칸은 다당류의 일족으로 효모의 세포벽, 버섯류, 곡류 등에 존재하는 물질로, 면역증강작용을 가지고 있다.
또한, 항산화, 항균, 항염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히알루론산 보다 우수한 보습 기능이 있고, 상피세포 성장인자의 생성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올리브오일 1 내지 50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0.01 내지 10 중량부 및 바이오틴 0.0001 내지 0.01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올리브오일 1 내지 50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0.01 내지 10 중량부 및 바이오틴 0.0001 내지 0.01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올리브오일 5 내지 30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0.05 내지 5 중량부 및 바이오틴 0.001 내지 0.005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올리브오일,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및 바이오틴이 상기 기재된 범위를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의 효능이 충분히 발휘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기재된 범위 미만으로 포함될 경우 보습력 및 흡수력이 저하될 수 있다.
올리브오일은 올리브나무의 열매에서 추출한 천연물 성분으로, 비타민 E, 비타민 K, 나트륨, 칼륨, 스쿠알렌, 올레익애씨드등의 여러 지방산들이 함유되어 있다. 피부 관통력 및 흡수력이 뛰어나며, 대표적인 항산화 성분인 비타민 E로 인해 활성화 산소를 제거하는데 큰 효능이 있으며 피부 상처 치유에도 효과적이다.
바이오사카라이드검-1은 소르비톨에서 유래한 발효검 성분으로, 피부 보습을 효과적으로 유지하게 하는 복잡한 고분자 구조이며, 강한 수분 유지력을 가지고 있는 성분이다.
바이오틴은 황(sulfur)을 함유하고 있는 수용성 비타민으로, 비타민 B7 또는 비타민 H로 불리는 비타민B 복합체의 하나이다. 세포 성장, 포도당의 항상성, DNA 합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피부를 건강하게 유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은 마유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마유(馬油, horse oil)는 말의 지방 조직에서 추출한 지방 성분으로서, 염증을 가라앉게 해주며 열을 제거하는 작용이 있어 화상에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람의 피부를 보호하는 피지의 주요 성분으로 강력한 항균 작용을 하는 팔미톨레산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피부에 천연보호막을 형성시켜 고보습 효과를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비타민 E가 풍부해 잔주름이나 노화 예방에 유익한 것으로 알려져있다. 뿐만 아니라, 마유는 피지에 가장 가까운 성분으로, 지방산의 구성비, 유분, 수분의 밸런스도 거의 같기 때문에 인간의 피부와 친화성이 높으며, 불포화지방산이 약 60 % 이상 포함되어 있어 피부에 불포화지방산을 공급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져 있다.
상기 마유 발효물은 칸디다 속(Candida sp.)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것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에 의해 발효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칸디다 속 미생물은 기탁번호 KCTC13058BP인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 BB-106)일 수 있다.
상기 마유 발효물은 발효되지 않은 마유와 비교하여 낮는 융해온도, 낮은 표면장력, 높은 유화활성 및 높은 피부 흡수력이 나타나는 효과가 있다.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은 20 내지 200 nm 의 입자크기 범위를 갖는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은 20 내지 200 nm 의 입자크기 범위를 갖는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150 nm 의 입자크기 범위를 갖는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일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200 nm 의 입자크기 범위를 갖는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 일 수 있다.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이 상기 기재된 입자크기 범위를 가질 경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의 피부 흡수율이 증대될 수 있으며, 유화 안정성이 확보될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은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폴리옥시에틸렌 올레일 에테르(Polyoxyethylene Oleyl Ether)를 포함하는 비이온성 계면활성제 10 내지 100 중량부, 글리세린(Glycerin) 10 내지 100 중량부 및 탈이온수(DI water) 10 내지 10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수중유형 에멀젼 조성물을 80 ~ 90 ℃의 온도범위로 가열한 후, 서서히 온도를 낮추어 투명한 바이컨티니어스상(bi-continuous phase) 조성물을 제조하는 단계; 및 상기 투명한 바이컨티니어스상(bi-continuous phase) 조성물을 냉각하여 나노화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상온도 유화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제형이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목적하는 바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킨로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로션, 맛사지크림, 영양크림, 모이스처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에센스, 팩, 비누,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린저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의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비누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이 이용될 수 있다.
한편, 피부 주름 형성에 관련이 있는 결합 조직은 주로 콜라겐 섬유(collagen fiber), 세망섬유(reticular fiber), 엘라스틴 섬유(elastic fiber) 등의 섬유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 조직 내에 있는 콜라겐과 엘라스틴은 서로 긴밀하게 관련되어 작용함으로써 피부의 유연성과 탄력을 유지하게 하는 중요한 섬유 조직이다.
콜라겐은 피부의 유연성을 주는 섬유 조직으로서 진피 조직의 약 70%를 차지하는 주요 구성 요소이다. 콜라겐 섬유의 합성은 피부 노화가 진행되면서 급격히 감소하여, 또한 외부환경에 의해 콜라겐 섬유가 변형되면서 피부에 주름이 많이 생성되고 깊어지게 된다. 이러한 콜라겐의 분해에는 콜라겐 분해 효소인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가 관여한다.
또한, 엘라스틴은 콜라겐과 마찬가지로 피부의 탄력성을 좌우하는 주요 섬유 조직으로서 그 양은 약 2 % 정도로 콜라겐과 비교하여 적은 양이지만 표피를 지탱하는 연결망 조직을 형성하고 있으므로 피부 탄력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엘라스틴은 엘라스타아제(Elastase)라는 분해 효소에 의하여 분해 되며, 18~19세까지는 섬유아세포에 의하여 계속 생성되지만 그 이후부터는 생성이 중단되고 이미 생성된 엘라스틴만으로 피부 탄력을 담당해야 하므로 엘라스틴이 한번 약화되면 그 탄력성을 회복하기가 매우 어렵다. 즉, 엘라스틴 섬유의 결핍과 응집, 엘라스타아제의 활성도의 현격한 증가는 피부 주름 생성의 주요 요인이므로, 엘라스틴을 분해할 수 있는 유일한 효소로서 이에 대한 저해는 피부 주름 개선을 근본적으로 줄여 줄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함유하여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효과를 나타내며, 특히 띠뿌리 추출물, 바이오틴과의 혼합에 의해 현저히 향상된 엘라스타아제 억제율을 보여 피부 주름 또는 피부 탄력 개선에 더욱 효과를 나타내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수분 함량 개선, 진피탄력 개선 및 피부치밀도를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피부에 자극이 없어 효능 및 안전성이 모두 확보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칸디다 속 미생물에 의한 발효마유의 제조
본 제조예에서는 동물성 오일로 마유를 이용하여 칸디다 속 미생물에 의한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제조하였다.
배양액(글루코오스 15 g/L, 마유 100 g/L, 이스트 추출물 5 g/L, 말트 추출물 5 g/L, NH4NO3 2 g/L, KH2PO4 1g/L, MgSO4 0.5 g/L 함유) 50 L에 칸디다 봄비콜라(Candida bombicola BB106)를 접종하여 25 ℃, 200 rpm, 호기 조건 하에서 24시간 동안 전배양한 후, 마유 100 L를 첨가하고 1 M HCl 용액으로 pH를 5 내지 6으로 조정하여 25 ℃, 150 rpm, 호기 조건 하에서 상기 칸디다 속 미생물을 배양하였다.
이후, 시간대별(3, 7, 12, 24, 48, 72, 96, 120h)로 각각 배양액을 0.3 내지 0.5 L 씩 취하여 발효마유 부분만을 회수하였다. 또한, 회수된 발효 마유를 정제하고 표면장력을 측정하여 동물성 오일의 발효 정도를 확인하였다. 표면장력 측정 결과, 동물성 오일 첨가 후 배양 약 120시간에서 발효마유의 표면장력이 최저임을 확인하였고, 그 이후에는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표면장력은 Ring method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측정기기는 Kruss Processor Tensiometer K12를 이용하였다.
<제조예 2> 띠뿌리 추출물의 제조
띠뿌리를 건조한 다음 분쇄기를 이용하여 분말화하였다. 띠뿌리 분말 100 g에 70 부피%의 에탄올 수용액 500ml를 가하고, 2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한 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고형분을 제거하였다. 원심분리된 상등액만을 모아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화 하였다.
<실시예 1>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발효마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띠뿌리 추출물 20 ~ 30 중량부를 첨가하고 정제수와 혼합하여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발효마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띠뿌리 추출물 20 ~ 30 중량부 및 베타글루칸 0.05 ~ 0.06 중량부를 첨가하고 정제수와 혼합하여 발효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발효마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띠뿌리 추출물 20 ~ 30 중량부, 올리브오일 10 ~ 20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0.2 ~ 0.3 중량부, 베타글루칸 0.05 ~ 0.06 중량부 및 바이오틴 0.001 ~ 0.002 중량부를 첨가하고 정제수와 혼합하여 발효마유를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발효마유 100 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제조예 2에서 제조한 띠뿌리 추출물 40 ~ 50 중량부, 올리브오일 10 ~ 15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1 ~ 2 중량부, 베타글루칸 0.2 ~ 0.3 중량부 및 바이오틴 0.002 ~ 0.003 중량부를 첨가하고 정제수와 혼합하여 발효마유를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발효마유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 확인 실험
(1) 실험방법
기질로서 N-석시닐-(알라닌)3-p-니트로아닐라이드(N-succinyl-(Ala)3-p-nitroanilide, S4760, sigma)를 사용하여 실온에서 5분간 생성되는 p-니트로아닐라이드의 생성량을 410 nM 에서 측정하였다.
즉, 양성대조군인 올레아놀산 및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발효마유를 각 농도별로 제조하여 20 ㎕씩 epp.tube에 취하고, 기질로 1.6 nM N-석시닐-(알라닌)3-p-니트로아닐라이드 100 ㎕와 0.4 U/mL 돼지 췌장 유래 엘라스타아제 용액 20 ㎕, 10 mM tris-HCl 버퍼(pH 8.0) 60 ㎕를 차례로 첨가하여 5분간 실온에서 반응시킨 다음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엘라스타아제 억제율을 구하였다.
엘라스타아제 억제율( % )=100-(시료 첨가군 흡광도/무첨가군 흡광도)*100
(2) 실험결과
1) 양성대조군 올레아놀산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먼저, 항주름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올레아놀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농도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인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본 시험 과정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 % of control )
농도( % ) 1차 2차 3차 평균 표준편차
0 0.850277 1.219963 -0.99815 0.357363 1.188373
0.78125 4.177449 6.321627 3.659889 4.719655 1.411277
1.5625 8.761553 9.722736 11.0536 9.845964 1.150984
3.125 20.22181 20.36969 23.40111 21.33087 1.794405
6.25 38.04067 38.48429 38.48429 38.33641 0.256126
12.5 58.0037 58.74307 56.37708 57.70795 1.210403
25 62.88355 63.62292 62.5878 63.03142 0.533168
50 69.7597 69.83364 70.86876 70.15404 0.620074
2) 발효마유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발효마유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확인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마유는 농도 의존적으로 엘라스타아제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 % of control )
농도( % ) 1차 2차 3차 평균 표준편차
0 -0.64516 0.493359 0.151803 6.67E-07 0.584243
0.001563 22.12524 24.06072 22.12524 22.7704 1.11745
0.003125 36.35674 38.63378 38.97533 37.98862 1.423527
0.00625 53.54839 54.4592 53.32068 53.77609 0.602447
0.0125 64.25047 65.04744 64.70588 64.66793 0.399838
0.025 68.23529 69.37381 68.57685 68.72865 0.584243
0.05 70.28463 70.51233 71.42315 70.74004 0.602449
0.1 74.04175 73.58634 72.22011 73.28273 0.948012
<실험예 2>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 확인 실험
(1) 실험방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발효마유 대신 실시예 1에서 제조된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1) 양성대조군 올레아놀산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먼저, 항주름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올레아놀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3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농도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인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본 시험 과정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 % of control )
농도( % ) 1차 2차 3차 평균 표준편차
0 0.850277 1.219963 -0.99815 0.357363 1.188373
0.78125 4.177449 6.321627 3.659889 4.719655 1.411277
1.5625 8.761553 9.722736 11.0536 9.845964 1.150984
3.125 20.22181 20.36969 23.40111 21.33087 1.794405
6.25 38.04067 38.48429 38.48429 38.33641 0.256126
12.5 58.0037 58.74307 56.37708 57.70795 1.210403
25 62.88355 63.62292 62.5878 63.03142 0.533168
50 69.7597 69.83364 70.86876 70.15404 0.620074
2)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확인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4 및 도 4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엘라스타아제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효마유 단독 성분을 사용했을 때보다 저해 활성이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 % of control )
농도( % ) 1차 2차 3차 평균 표준편차
0 -0.18548 -0.23721 -0.48176 -0.30149 0.158251
0.001563 31.16627 30.08549 32.7494 31.33372 1.339826
0.003125 48.17943 44.88912 46.57959 46.54938 1.645363
0.00625 59.24888 58.93716 59.26825 59.15143 0.185816
0.0125 67.04416 69.21512 67.28169 67.84699 1.190773
0.025 71.87522 74.07452 73.64877 73.1995 1.166452
0.05 81.56466 79.12885 78.90481 79.86611 1.475249
0.1 83.74085 80.46321 82.43385 82.21264 1.64998
<실험예 3>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엘라스타아제(elastase) 저해 활성 확인 실험
(1) 실험방법
상기 제조예 1에서 제조된 발효마유 대신 실시예 2에서 제조된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을 사용하여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하였다.
(2) 실험결과
1) 양성대조군 올레아놀산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먼저, 항주름 활성을 가지는 것으로 알려진 올레아놀산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확인한 결과를 하기 표 5 및 도 5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시험농도 범위에서 농도 의존적인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내어 본 시험 과정에 문제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 % of control )
농도( % ) 1차 2차 3차 평균 표준편차
0 -3.36257 0.804094 3.581871 0.341131 3.495294
0.78125 2.850877 4.020468 7.967836 4.946394 2.681198
1.5625 14.54678 12.8655 12.8655 13.42593 0.970691
3.125 17.25146 13.88889 15.81871 15.65302 1.687399
6.25 31.72515 29.89766 30.70175 30.77485 0.915933
12.5 57.96784 57.23684 57.38304 57.52924 0.386806
25 65.64327 62.9386 63.37719 63.98635 1.451596
50 73.09942 73.24561 72.80702 73.05068 0.223322
2)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확인 실험의 결과를 하기 표 6 및 도 6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엘라스타아제를 억제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발효마유 단독 성분 또는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보다 저해 활성이 더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 % of control )
농도( % ) 1차 2차 3차 평균 표준편차
0 -0.52835 -0.37481 -0.58193 -0.49503 0.087778
0.001563 35.17549 36.25753 35.04468 35.49257 0.543541
0.003125 50.99942 47.34812 47.84225 48.72993 1.617401
0.00625 63.87216 63.01328 65.19877 64.02807 0.899008
0.0125 69.85532 68.73495 68.99343 69.19457 0.478991
0.025 78.16344 77.78211 78.07654 78.00736 0.163181
0.05 81.48153 79.66234 80.44512 80.52966 0.745083
0.1 86.01231 84.25386 83.28654 84.51757 1.128306
<실험예 4> 농도에 따른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비교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발효마유 단독성분,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및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각 농도 별 엘라스타아제 억제율을 비교하였다.
하기 표 7에 나타난 바와 같이, 각 성분들은 농도 의존적으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을 나타냈으며, 발효마유 단독 성분, 발효마유 및 띠뿌리 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 함유 화장료 조성물의 순으로 저해 활성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경우 0.03 % 의 농도에서 70 % 이상의 억제율을 보였으며, 0.10 % 의 농도에서 80 % 이상의 억제율을 보여 낮은 농도에서도 엘라스타아제 억제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농도 별 엘라스타아제 억제율
0.03 % 0.05 % 0.10 %
제조예 1
(발효마유)
68.72 % 70.74 % 73.3 %
실시예 1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73.2 % 79.9 % 82.21 %
실시예 2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베타글루칸)
78 % 80.53 % 84.52 %
<실험예 5>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피부수분 함량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피험자 21명을 선정한 후, 상기 실시예 3의 화장료 크림을 아침, 저녁 하루 2회씩 안면부에 도포한 뒤, 2주 후와 4주 후 각질층 수분함량 변화를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의 결과를 표 8, 도 7 및 도 8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 시험부위 모두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05)으로 각질층 수분 함량이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측정값
(Corneometer value)
개선율 p-value
좌측 시험부위 시험전 46.36 - <0.001
시험 2주후 58.00 25.10 %
시험 4주후 61.82 33.34 %
우측 시험부위 시험전 47.10 - <0.001
시험 2주후 57.37 21.80 %
시험 4주후 60.49 28.42 %
<실험예 6>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진피탄력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피험자 21명을 선정한 후, 상기 실시예 3의 화장료 크림을 아침, 저녁 하루 2회씩 안면부에 도포한 뒤, 2주 후와 4주 후 전피 탄력 변화를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를 표 9,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4주간의 시험 기간 동안 좌측과 우측 시험 부위 모두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05)으로 증가한 전피 탄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측정값
(R2, Ua/Uf in cutometer, 8mm aperture )
개선율 p-value
좌측 시험부위 시험전 0.6753 - <0.001
시험 2주후 0.7867 16.49 %
시험 4주후 0.9002 33.31 %
우측 시험부위 시험전 0.6745 - <0.001
시험 2주후 0.7742 14.78 %
시험 4주후 0.8958 32.80 %
<실험예 7>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피부치밀도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피험자 21명을 선정한 후, 상기 실시예 3의 화장료 크림을 아침, 저녁 하루 2회씩 안면부에 도포한 뒤, 2주 후와 4주 후 피부층 치밀도 변화를 Ultrasou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결과를 표 10, 도 11 및 도 12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4주간의 시험 기간 동안 좌측과 우측 시험 부위 모두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05)으로 피부층 치밀도가 증가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Dermal Density (%) 개선율 p-value
좌측 시험부위 시험전 29.4 - <0.001
시험 2주후 35.9 22.3 %
시험 4주후 39.9 35.9 %
우측 시험부위 시험전 33.7 - <0.001
시험 2주후 37.8 12.1 %
시험 4주후 42.3 25.5 %
<실험예 8>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화장료 크림의 피부자극 실험
(1) 실험방법
선정 기준에 부합하고 제외기준에 해당되지 않는 피험자 33명을 선정하여, 상기 실시예 3의 화장료 크림을 피험자의 등에 24시간 첩포하고, 첩포제거 30분, 24시간, 48시간 후에 관찰하였다.
이 때, 시험부위를 70 % 에탄올로 닦아낸 뒤 건조시키고 피험자의 등에 15 ㎕의 시료를 핀 챔버(finn chamber)에 도포후 플라스터로 고정하여 첩포하였다.
상기 관찰된 결과를 국제접촉피부염학회(ICDRG) 및 미국화장품협회(PCPC) 기준을 응용한 자체기준에 의거하여 피부자극을 평가하였으며 평가 기준을 표 11에 나타내었다.
점수 판정기준
0(-) No signs of inflammation, normal skin
0.5(±) Doubtful or slight reaction
1(+) Slight erythema
2(++) Moderate erythema with or without partial edema or papules
3(+++) Moderate erythema with diffuse edema
4(++++) Intense erythema with diffuse edema with vesicles
피험자들의 피부 반응 점수를 이용하여 다음과 같이 자극 지수를 계산하였다.
* 자극지수= 24, 48, 72 시간에서 반응 점수의 총합/피험자의 수
평균 자극 지수를 산출한 후, Draiz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 및 EPA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Standard Procedure Dermal Classification System을 응용한 판정표인 표 12에 따라 자극성의 정도를 판정하였다.
자극 지수 자극성 평가
0≤ <0.02 무자극 no irritancy
0.02≤ <0.25 저자극 low irritancy
0.25≤ <1 경자극 slight irritancy
1≤ <2.5 중자극 moderate irritancy
2.5≤ 강자극 severe irritancy
(2) 실험결과
상기 실험의 결과 피부자극 지수 0점을 얻어 실시예 3의 화장료 크림은 무자극 물질인 것으로 판정되었다.
<실험예 9>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의 피부수분 함량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피험자 21명을 선정한 후, 상기 실시예 4의 화장료 크림을 아침, 저녁 하루 2회씩 전완부에 도포한 뒤, 2주 후와 4주 후 각질층 수분함량 변화를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의 결과를 표 13,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 시험부위 모두 시험 2주 후부터 시험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각질층 수분 함량이 증가하여 피부 수분함량 개선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분 측정값
(Corneometer value)
개선율 p-value
좌측 시험부위 시험전 34.51 - <0.001
시험 2주후 46.74 35.44 %
시험 4주후 52.30 51.56 %
우측 시험부위 시험전 35.36 - <0.001
시험 2주후 48.05 35.88 %
시험 4주후 53.06 50.04 %
<실험예 10>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의 진피탄력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피험자 21명을 선정한 후, 상기 실시예 4의 화장료 크림을 아침, 저녁 하루 2회씩 전완부에 도포한 뒤, 2주 후와 4주 후 전피층 탄력 변화를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의 결과를 표 14, 도 15 및 도 16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4주간의 시험 기간 동안 좌측과 우측 시험 부위 모두 시험 2주 후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p<005)으로 증가한 전피 탄력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측정값
(R2, Ua/Uf in cutometer, 8mm aperture )
개선율 p-value
좌측 시험부위 시험전 0.7617 - <0.001
시험 2주후 0.8583 12.69 %
시험 4주후 0.9282 21.87 %
우측 시험부위 시험전 0.7741 - <0.001
시험 2주후 0.8599 11.08 %
시험 4주후 0.9292 20.03 %
<실험예 11>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의 피부치밀도 개선 효과 확인
(1) 실험방법
피험자 21명을 선정한 후, 상기 실시예 4의 화장료 크림을 아침, 저녁 하루 2회씩 양측 전완부에 도포한 뒤, 2주 후와 4주 후 피부층 치밀도 변화를 Ultrasoun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의 결과를 표 15, 도 17 및 도 18에 나타내었다.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과 우측 시험부위 모두 시험 2주차부터 시험 전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p<0.05)으로 피부층 치밀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구분 Dermal Density (%) 개선율 p-value
좌측 시험부위 시험전 63.8 - <0.001
시험 2주후 70.4 10.3 %
시험 4주후 73.7 15.5 %
우측 시험부위 시험전 64.6 - <0.001
시험 2주후 69.9 8.2 %
시험 4주후 73.4 13.8 %
<실험예 12> 발효마유, 띠뿌리 추출물 및 바이오틴을 함유하는 바디용 화장료 크림 피부자극 실험
(1) 실험방법
실시예 3의 화장료 크림을 사용하는 대신, 실시예 4의 화장료 크림을 사용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실험을 진행하였다.
(2) 실험결과
상기 실험의 결과 피부자극 지수 0점을 얻어 실시예 4의 화장료 크림은 무자극 물질인 것으로 판정되었다.

Claims (5)

  1.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띠뿌리 추출물 20 내지 60 중량부 및 베타글루칸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은 20 내지 200 nm 의 입자크기 범위를 갖는 수중유형 나노 에멀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올리브오일 1 내지 50 중량부, 바이오사카라이드검-1 0.01 내지 10 중량부 및 바이오틴 0.0001 내지 0.01 중량부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물성 오일 발효물은 마유 발효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180079150A 2018-05-31 2018-07-09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101957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62405 2018-05-31
KR1020180062405 2018-05-3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7380B1 true KR101957380B1 (ko) 2019-03-13

Family

ID=65761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9150A KR101957380B1 (ko) 2018-05-31 2018-07-09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738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2218A1 (fr) * 2000-02-23 2001-08-30 Sederma Compositions a usage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contenant un extrait d'imperata, notamment d'imperata cylindrica l
KR101550422B1 (ko) * 2014-12-04 2015-09-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주인디 쪽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14618B1 (ko) * 2017-01-25 2017-03-22 루안코리아 주식회사 Pit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수중유형 나노입자 에멀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746277B1 (ko) 2015-06-29 2017-06-27 (주)바로나 탈모 개선용 천연 모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68058B1 (ko) 2016-07-08 2017-08-1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칸디다 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동물성 오일 발효물
KR101860307B1 (ko) * 2017-03-08 2018-05-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62218A1 (fr) * 2000-02-23 2001-08-30 Sederma Compositions a usage cosmetique ou dermopharmaceutique contenant un extrait d'imperata, notamment d'imperata cylindrica l
KR101550422B1 (ko) * 2014-12-04 2015-09-08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제주인디 쪽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46277B1 (ko) 2015-06-29 2017-06-27 (주)바로나 탈모 개선용 천연 모발 화장료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
KR101768058B1 (ko) 2016-07-08 2017-08-14 주식회사 비앤비코리아 칸디다 속 미생물에 의해 발효된 동물성 오일 발효물
KR101714618B1 (ko) * 2017-01-25 2017-03-22 루안코리아 주식회사 Pit 시스템에 의해 제조되는 수중유형 나노입자 에멀션 화장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860307B1 (ko) * 2017-03-08 2018-05-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수용성 규소가 포함된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 ‘리제떼 매직 화이트닝 크림 퍼펙트’, 인터넷 URL : https://blog.naver.com/jin_joo87/220818347162(2016.09.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969B1 (ko) 피부 화장료 조성물
KR102156898B1 (ko) 유산균발효 혼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피부 보습, 항산화, 항염, 피부장벽 강화 및 피부흡수 기능을 개선한 섭취 가능한 화장료 조성물
CN111700853B (zh) 一种具有抗敏修复功效的化妆品组合物及其应用
KR101810231B1 (ko) 프로폴리스 미세침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63946B1 (ko) 인삼꽃 흑효모 발효를 통한 진세노사이드 Rg3 강화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09266B1 (ko) 프로폴리스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08977B1 (ko) 렌즈콩, 캐럽콩, 연꽃씨 및 퀴노아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모공 수축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7728A (ko) 석류, 서양장미꽃, 홍화 및 해당화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855207B1 (ko) 흑효모 발효를 통해 비타민 c 함량이 증가된 카카두플럼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303644B1 (ko) 울금 추출물과 식물성 혼합 추출액을 함유한 얼굴 화장용 발효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62272B1 (ko) 흑미의 배아와 미강 추출물 및 보리 추출물 혼합액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과 그의 제조방법
KR102445830B1 (ko) 밀싹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57380B1 (ko) 동물성 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또는 수분 개선 화장료 조성물
KR20160003918A (ko) 한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탄력 증진 또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775485B1 (ko) 계혈등 발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82058A (ko)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각질 박리용 화장료 조성물
KR100966836B1 (ko) 두피 보호 및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54772B1 (ko) 대추 추출물 및 호두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화장료 조성물
KR10208929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을 위한 화장료 조성물
KR101969684B1 (ko) 천연 미세침 분말과 천연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및 모공축소 기능의 화장료 조성물
KR20130115566A (ko) 두족류 추출물 및 발효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화장료
KR101363029B1 (ko) 우뭇가사리, 미역, 밀싹 및 베르가못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산화 효과 및 피부 노화 예방 효과를 갖는 있는 화장용 조성물
KR101323068B1 (ko) 아왜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028238B1 (ko) 자작나무, 상지 및 설강화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20080098731A (ko) 밤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