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71250A -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71250A
KR20190071250A KR1020170172131A KR20170172131A KR20190071250A KR 20190071250 A KR20190071250 A KR 20190071250A KR 1020170172131 A KR1020170172131 A KR 1020170172131A KR 20170172131 A KR20170172131 A KR 20170172131A KR 20190071250 A KR20190071250 A KR 201900712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moisturizing
whitening
cosmetic composition
skin whi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창규
정현식
조현영
홍은미
표재승
Original Assignee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큐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큐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71250A/ko
Publication of KR201900712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12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9Titanium;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and moisturizing skin}
본 발명은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의 미백 기능은 피부의 톤을 맑게 하거나, 색소 침착을 개선하여 피부를 맑게 보이게 하여 미화하는 것이다. 사람의 피부색은 멜라닌과 관련이 깊은데, 멜라닌은 자외선 흡수 등의 피부 보호 작용을 하는 동시에, 과잉 생산될 경우 피부의 색소 침착을 야기하거나, 기미, 주근깨 등을 발생시켜 피부 미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멜라닌 합성은 멜라노사이트라고 하는 세포에서 티로시나제라는 효소에 의해 티로신을 기질로 하여 도파, 도파퀴논을 거처 도파크롬을 생성시키는 과정을 거쳐 생성되며, 케라티노사이트로 옮겨져 28일간의 각화 과정을 거치면 피부 표면으로 올라온다. 이 과정에서 멜라닌이 과량 생성되고 피부 각질 탈락이 제대로 되지 않을 경우 색소 침착이 나타나게 된다. 이러한 색소 침착을 방지하기 위해 멜라닌 생성과정에서 티로시나제의 활성을 억제해 주거나, 멜라닌의 케라티노사이트의 이동을 방해함으로서 피부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종래 개발된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특허기술들을 살펴 보면, 한국공개특허 10-2004-0060157(2004년07월06일)에 섬유아세포 및 케라티노사이트 등의 증식에는 저해 효과를 갖지 않으면서 멜라노사이트의 증식만을 억제함으로써 멜라닌 합성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우수한 미백 효과를 가지며, 피부 안전성이 높고 제형내 안정성이 매우 우수한 트라넥사믹산을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멜라노사이트 증식 저해용 피부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1245563(2013년03월14일)에는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색소 침착을 저해하고 기미나 주근깨 개선 및 피부미백에 매우 효과적인 마데카소사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제가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 10-2016-0019808(2016년02월22일)에는 아세틸아코니틴(Acetylaconitine)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한국등록특허 10-2016-0020223(2016년02월23일)에는 샨즈히시드 메틸에스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들의 대부분의 미백 원료들은 안정성이 낮아 제품에 적용하는데 한계점이 많고, 단일 성분으로는 색소 침착과 관련된 여러 기작을 억제하는데 한계점을 갖고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를 혼합 처방하여 색소 침착 및 미백의 여러 기작에 작용하여 미백의 효능을 극대화하고자 했다.
또한, 보습 원료로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첨가하여 피부 보습 효능을 제공하고 반짝거림을 부여해 주며, 거칠음 개선, 피부 안색 개선, 각질 개선으로 인한 피부를 보다 촉촉하게 유지하여 맑은 피부로 보이게 하고 단기적으로 가시적 미백 효과에 도움을 줄 수 있음에 착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한국공개특허 10-2004-0060157(2004년07월06일) 한국등록특허 10-1245563(2013년03월14일) 한국공개특허 10-2016-0019808(2016년02월22일) 한국등록특허 10-2016-0020223(2016년02월23일)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각각 0.01~20중량%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토너, 로션, 에센스, 크림, 팩, 샴푸, 린스, 비누, 클렌징폼, 바디로션, 바디워시, 마스크팩, 미용 패치로 구성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상기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티타늄디옥사이드, 보론나이트라이드 중 하나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과제의 해결수단으로 한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색소 침착 및 미백의 여러 기작에 작용하여 미백의 효능을 극대화하며, 보습 원료로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첨가하여 피부 보습 효능을 제공하고 반짝거림을 부여해 주며, 거칠음 개선, 피부 안색 개선, 각질 개선으로 인한 피부를 보다 촉촉하게 유지하여 맑은 피부로 보이게 하고 단기적으로 가시적 미백 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피부밝기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기미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기미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윤기 개선 효과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보습 효과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가 각각 0.01~20중량% 포함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토너, 로션, 에센스, 크림, 팩, 샴푸, 린스, 비누, 클렌징폼, 바디로션, 바디워시, 마스크팩, 미용 패치로 구성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티타늄디옥사이드, 보론나이트라이드 중 하나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기술구성의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형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한다.
트라넥사믹애씨드는 유기산이며 식용 의약품으로는 기미 억제제로 사용되고 있으며, 멜라닌 합성을 억제한다는 보고가 있다.(Journal of Health Science, 53(4) 389-396(2007). 티로시나제라는 효소가 지나치게 자극을 받으면 멜라닌 색소가 과잉 분비되는데, 이 때 프로스타글란딘이라는 물질이 티로시나제를 자극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트라넥사믹애씨드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억제하는 물질로 기미에 효과를 주게 된다.(Cli Exp Dermatol. 2016 Jul ;41(5):480-5)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멜라닌 색소의 이동을 저해함으로써 미백에 효과가 있으며, 트라넥사믹애씨드의 병용 처방으로 색소 침착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Skin Res Technol, 2014 May 20(2): 208-12)
글루타치온은 생체 내에 존재하는 항산화제로 아스코르빈산(비타민C), 토코페롤 (비타민E) 등과 같은 생체 내 다른 항산화제와 가역적으로 반응하면서 생체 내의 라디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며, 생체의 대표적 환원제로 헥산, 불포화지방산 등 생합성에 관여하는 생체 내의 필수 성분이다.
비사보롤은 천연의 단환 세스퀴테르펜 알코올로, 독일 카모마일 (German chamomile) 및 미오포룸 크라시폴리움 (Myoporum crassifolium)으로부터 에센셜 오일의 주된 성분으로 무색 점성오일이다. 약간 달콤한 꽃으로 만든 아로마를 가지고 있으며, 피부 치유적 속성으로 화장품에 사용되어 왔으며, 미백에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다.
아스코르브산은 퀴놀류를 페놀류로 환원시켜 티로시나제 활성을 저해함으로서 미백제로 많이 사용되나, 불안정한 경향이 있어 열, 공기, 수분 등에 쉽게 산화되어 피부에 자극을 유발하여, 보다 안정한 형태인 유도체로서 에칠아스코빌에텔이라는 물질을 사용하였다. 에칠아스코빌에텔은 항산화제로서 피부 표면의 항염, 티로시나제의 억제 효과가 있어 미백에 효능을 줄 수 있는 성분이다.(Journal of Japanese cosmetic Science Society v.27 no.4 2003 pp. 257-258)
마데카소사이드는 케라틴 세포에서 UV에 의한 PEG2, PGF2α생성을 억제하고 UV에 의한 멜라닌 생성을 억제하여 (특허 10-1245563) 미백 효능을 줄 수 있는 성분이다.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는 식물 유래의 라놀린 대체 원료로서 고보습 효능을 갖고, 체온과 비슷한 녹는점을 갖고, 높은 굴절율을 갖고 있어 촉촉하면서도 브라이트닝 효과를 줄 수 있는 성분이다.
본 발명은 상기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각각 0.01~20중량% 혼합 포함하여 색소 침착 및 미백의 여러 기작에 작용하여 미백의 효능을 극대화하고 피부 보습 효능을 나타내도록 한 것이 핵심적 특징이다.
본 발명의 미백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스킨토너, 로션, 에센스, 크림, 팩, 샴푸, 린스, 비누, 클렌징폼, 바디로션, 바디워시, 마스크팩, 미용 패치 등을 들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본 발명의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티타늄디옥사이드, 보론나이트라이드 중 하나를 더욱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을 [표 1]과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중량%)
트라넥사믹애씨드 2
나이아신아마이드 5
글루타치온 0.1
비사보롤 0.5
에칠아스코빌에텔 0.1
마데카소사이드 0.1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리놀리에이트 2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 5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3
스테아린산 2
잔탄검 0.2
비즈왁스 2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폴리머 0.5
폴리글리세릴-3메칠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
세테아릴알코올 1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본 발명의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에센스를 [표 2]와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
트라넥사믹애씨드 2.0
나이아신아마이드 5.0
글루타치온 0.1
비사보롤 0.5
에칠아스코빌에텔 0.1
마데카소사이드 0.1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리놀리에이트 2.0
스쿠알란 3.0
부틸렌글리콜 7.0
글리세린 5.0
세틸알코올 1.0
카르복시폴리머 0.2
알지닌 0.2
소르비탄스테아레이트 3.0
폴리솔베이트 60 0.5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본 발명의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미용 패치를 [표 3]과 같이 통상의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원료 함량 (중량%)
피브이피 1.0
폴리아크릴릭애씨드 1.0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5.0
글리세린 38.0
트라넥사믹애씨드 2.0
나이아신아마이드 5
글루타치온 0.1
비사보롤 0.5
에칠아스코빌에텔 0.1
마데카소사이드 0.1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리놀리에이트 0.1
타르타릭애씨드 0.1
무수알루미늄하이드록사이드 0.1
정제수 To 100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피부밝기 개선 효과를 다음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만 19~59세 성인 여성 중 기미를 가지고 있는 21명을 선정하여 시험 제품을 얼굴에 1회, 4주간 사용 후 피부 밝기 개선을 확인하고자 제품 사용 전후 피부 측정을 하였다. Charmameter CR400을 사용하였으며, 사용 전에 비해 피부 밝기가 제품 사용 직후 [도 1]과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기미 개선 효과를 다음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만 19~59세 성인 여성 중 기미를 가지고 있는 21명을 선정하여 시험 제품을 얼굴에 1회, 4주간 사용 후 피부 겉, 속 기미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제품 사용 전후 피부 측정을 하였다. 피부 겉 기미는 Mexameter를, 피부 속 안면 기미는 Janus 1 Mark II 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전에 비해 피부 겉 멜라닌 측정값이 제품 사용 직후 [도 2]와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피부 속 기미값도 [도 3]과 같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색소 침착 개선 효과를 다음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만 19~59세 성인 여성 중 기미를 가지고 있는 21명을 선정하여 시험 제품을 얼굴에 1회, 4주간 사용 후 눈 밑 기미, 안면 기미, 과색소 침착 & 잡티 피부 밝기 개선을 확인하고자 제품 사용 전후 피부 측정을 하였다. Antera 3D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전에 비해 눈밑 기미 분석 값이 [도 4]와 같이, 안면 기미 분석값이 [도 5]와 같이, 과색소 침착, 잡티 측정값이 [도 6]과 같이 제품 사용 직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윤기 개선 효과를 다음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만 19~59세 성인 여성 중 기미를 가지고 있는 21명을 선정하여 시험 제품을 얼굴에 1회, 4주간 사용 후 윤기(광채)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자 제품 사용 전후 피부 측정을 하였다. Glossmeter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전에 비해 윤기(광채)가 제품 사용 직후 [도 7]과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보습 효과를 다음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만 19~59세 성인 여성 중 기미를 가지고 있는 21명을 선정하여 시험 제품을 얼굴에 1회, 4주간 사용 후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고자 제품 사용 전후 피부 측정을 하였다. Moisture D compact 를 사용하였으며, 사용 전에 비해 피부 속 수분 함유량이 제품 사용 직후 [도 8]과 같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실시예 1]에서 제조한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미백 및 보습용 크림의 피부자극 테스트 인체 적용 시험을 다음 시험방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주)KC피부임상연구센터에서 만 19~59 세 성인 남녀 32명을 대상으로 IQ Ultimate를 이용하여 피부 첩포에 의한 일차자극 인체적용시험을 실시하였다. IQ Ultimate에 시험 제품을 각 25㎕씩 적하하였다. 첩포는 24시간 동안 부착하였고, 패치 제거 1시간, 패치 제거 24시간 후 2명의 전문가에 의하여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 (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ICDRGB)의 판정기준에 따라 자극 정도를 관찰하였다. 피부자극지수 0.00으로 판정기준에 따라 비자극 제품으로 판정되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 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4)

  1.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트라넥사믹애씨드, 나이아신아마이드, 글루타치온, 비사보롤, 에칠아스코빌에텔, 마데카소사이드, 피토스테릴/이소스테아릴/세틸/스테아릴/베헤닐다이머디리놀리에이트는 각각 0.01~20중량%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티타늄디옥사이드, 보론나이트라이드 중 하나를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토너, 로션, 에센스, 크림, 팩, 샴푸, 린스, 비누, 클렌징폼, 바디로션, 바디워시, 마스크팩, 미용 패치로 구성된 어느 하나의 제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172131A 2017-12-14 2017-12-14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12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131A KR20190071250A (ko) 2017-12-14 2017-12-14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2131A KR20190071250A (ko) 2017-12-14 2017-12-14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1250A true KR20190071250A (ko) 2019-06-24

Family

ID=6705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2131A KR20190071250A (ko) 2017-12-14 2017-12-14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71250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392A (ko) * 2019-10-18 2021-04-28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903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모드코스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009A (ko) 2019-11-18 2021-05-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접 화합물을 이용한 미백용 워시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338608A (zh) * 2023-11-09 2024-01-05 广州弥雅化妆品有限公司 一种海绵微针美白祛斑霜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157A (ko) 2002-12-30 2004-07-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트라넥사믹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5563B1 (ko) 2011-03-16 2013-03-2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마데카소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KR20160019808A (ko)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세틸아코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23A (ko) 2014-08-13 2016-0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샨즈히시드 메틸에스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157A (ko) 2002-12-30 2004-07-06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트라넥사믹산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101245563B1 (ko) 2011-03-16 2013-03-21 바이오스펙트럼 주식회사 마데카소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KR20160019808A (ko) 2014-08-12 2016-02-22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아세틸아코니틴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20160020223A (ko) 2014-08-13 2016-02-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샨즈히시드 메틸에스터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피부 미백,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6392A (ko) * 2019-10-18 2021-04-28 코스맥스 주식회사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210048903A (ko) *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모드코스 화장료 조성물
KR20210060009A (ko) 2019-11-18 2021-05-26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포접 화합물을 이용한 미백용 워시오프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17338608A (zh) * 2023-11-09 2024-01-05 广州弥雅化妆品有限公司 一种海绵微针美白祛斑霜及其制备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3036B1 (ko) 멜라닌 색소 생성 억제제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TWI679992B (zh) 局部美白組合物及其使用方法
KR20200074176A (ko) 니코틴아미드모노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1516074B1 (ko) 폴리다틴과 트라넥삼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90071250A (ko)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012721A (ko) 토코페릴아세테이트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입술 항노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43155B1 (ko) 이중으로 안정화된 비타민씨 함유 피부 미백 화장료 조성물
US11918666B2 (en) Topical formulations comprising strontium and methylsulfonylmethane (MSM) and methods of treatment
KR101511252B1 (ko) 백출추출물과 트라넥삼산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101245563B1 (ko) 마데카소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미백제
CN105726351B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KR20080004742A (ko) 디오스게닌을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JP6957228B2 (ja) 美容方法
KR20100109619A (ko) 소루쟁이 추출물과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044597B1 (ko) 안디로바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24726B1 (ko) 안정화시킨 비타민 c와 파이토스핑고신을 함유하는 피부보호화장료 조성물
KR20130089559A (ko) 항노화 조성물
KR100540854B1 (ko) 피토라이트 및 락테이트를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2223208B1 (ko)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00033729A (ko) N-아세틸글루코사민과 비타민 c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8713B1 (ko) 보스웰릭산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20002076A (ko) 진센노사이드 알에이치2를 함유하는 피부미백용 조성물
KR20190072349A (ko) 스마트 코스메틱 디스펜서 카트리지용 미백/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 코스메틱 디스펜서 카트리지
KR100515951B1 (ko) 괴화 추출물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Somwanshi et al. Cosmetic Scie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