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208B1 -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208B1
KR102223208B1 KR1020190076343A KR20190076343A KR102223208B1 KR 102223208 B1 KR102223208 B1 KR 102223208B1 KR 1020190076343 A KR1020190076343 A KR 1020190076343A KR 20190076343 A KR20190076343 A KR 20190076343A KR 102223208 B1 KR102223208 B1 KR 102223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te
cosmetic composition
skin
wrinkles
polymethylsilsesquioxa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63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00981A (ko
Inventor
조영관
박현정
김선영
김연준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0763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208B1/ko
Publication of KR20210000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00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규산염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anti-wrinkles and preventing white cast}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보호 기능, 장벽 기능, 온도 조절 기능, 배설 기능, 호흡 기능 등을 하는 기관으로, 표피, 진피 및 피하지방으로 이루어진다. 표피는 가장 얇은 층으로 각질 형성 세포와 멜라닌 세포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이루어져 있다. 진피는 피부의 약 95%를 차지하며, 피부의 보습 및 보호를 담당하는 층으로, 피부탄력(주름)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대표적인 단백질인 콜라겐 및 엘라스틴이 그물처럼 분포되어 있고, 혈관과 신경이 존재하며, 알레르기 반응에 관여하는 비만세포, 및 Na-PCA 또는 히알루론산 등의 천연 보습 인자도 함유하고 있다.
피부의 미용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레티놀(비타민 A), AHA(a-hydroxy acid) 및 아데노신 등은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표피 각화 과정을 정상화시켜 피부 재생에 기여하는 기능성 물질로 알려져 화장료 조성물에는 주로 위와 같은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고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834호에는 고삼추출물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천연 약재 추출물은 인체에는 무해할 수 있으나, 이는 피부 흡수능이 떨어져 피부 주름이나 노화 개선 등에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거나, 그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규산염은 피부 주름 개선과 함께 항산화력을 가져 피부 노화 방지에 유효할 수 있다(국내 특허 공개공보 제10-2012-0003749호). 그러나, 규산염은 예를 들어 수상에서 분산 안정성 등이 떨어져 경우에 따라서는 상분리(층분리)가 일어날 수 있고, 이는 특히 도포 및 건조 후 피부에 하얗게 남는 현상인 백탁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규산염을 함유한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분리에 의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피부 도포 후 백탁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에 하얀 얼룩이나 피막이 형성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자들은 규산염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여 주름 개선능이 우수하면서도, 규산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백탁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규산염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PMSQ: polymethylsilsesquioxane)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규산염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규산염은 1 내지 10 중량%, 예를 들어, 1 내지 9 중량%, 예를 들어, 1.5 내지 8.5 중량%, 예를 들어, 2 내지 8 중량%, 예를 들어, 2.5 내지 7.5 중량%, 예를 들어, 3 내지 7 중량%, 예를 들어, 3.5 내지 6.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규산염의 함량이 낮으면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이 떨어질 수 있고, 규산염의 함량이 높으면 높은 함량에 비해 주름 개선 효과가 크지 않아 비경제적이며, 백탁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규산염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할 경우, 함량 대비 효율적인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백탁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은 1 내지 5 중량%, 예를 들어, 1.5 내지 5 중량%, 예를 들어, 2 내지 5 중량%, 예를 들어, 2 내지 4.5 중량%, 예를 들어, 2 내지 4 중량%, 예를 들어, 2.5 내지 4 중량%, 예를 들어, 2.5 내지 3.5 중량%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의 함량이 낮으면 백탁현상 방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의 함량이 높으면 제형의 안정성이 떨어지고, 백탁현상 방지 효과 역시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상기 범위의 함량으로 포함할 경우, 규산염에 의한 백탁현상을 효과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상기 규산염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의 중량비는 10:1 내지 1:1, 예를 들어, 9:1 내지 1:1, 예를 들어, 8:1 내지 1:1, 예를 들어, 7:1 내지 1:1, 예를 들어, 6:1 내지 1:1, 예를 들어, 5:1 내지 1:1, 예를 들어, 4:1 내지 1:1, 예를 들어, 3:1 내지 1:1일 수 있다.
상기 규산염은 소듐실리케이트, 소듐메타실리케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마그네슘칼슘실리케이트, 알루미늄칼슘실리케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칼슘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미용 개선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피부 미용 개선은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또는 피부 장벽 강화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주름"은 피부가 쇠하여 생긴 잔줄을 의미하는데, 유전자에 의한 원인, 피부 진피에 존재하는 콜라겐의 감소, 외부 환경 등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상기 용어, "주름 개선"이란 피부에 주름이 생기는 것을 억제 또는 저해하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피부 탄력 개선 또는 증가에 의해 피부 주름이 완화시키는 것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모공면적을 감소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어 "피부 보습"이란 피부 수분을 유지하거나, 수분 손실을 방지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용어 "피부 장벽 강화"란 피부 가장 바깥쪽에 위치하여 수분과 영양 손실을 막아주는 피부 장벽의 기능이 증진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백탁현상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규산염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적절히 배합하여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내고, 규산염에 의한 백탁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pH 조절제, 보습제, 윤활제 등의 성분을 더 첨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에 필수 영양소를 보조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물질을 추가로 포함하는데, 바람직하게는 천연향, 화장품향, 또는 식물추출물이 포함되지만 이들에 국한되지 않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는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양상 계면활성제,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를 포함하며, 유화제, 분산제, 가용화제 역할을 하는 성분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예를 들어, 상기 계면활성제는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20, 포타슘세틸포스페이트, 레시틴,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화장료 조성물 등에 생기기 쉬운 산소의 작용에 의한 자동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부틸히드록시아니솔, 갈릭산프로필, 엘리소르빈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유상에 녹아 방부활성을 나타내는 모든 원료를 칭하며, 천연 원료로는 항균, 항염효과가 있는 스팀증류법으로 추출된 에센셜 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페녹시에탄올, 에탄올 및 다가 알코올 류에 속하는 펜틸렌글라이콜, 헥산디올, 에칠헥실글리세린, 카프릴릴글라이콜,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 방부 역할을 하는 유기산 [아세트산(acetic acid), 부티르산(butyric acid), 시트르산(cit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옥살산(oxalic acid), 타타르산(tartaric acid), 글리콜산(glycolic acid), 락트산(lactic acid), 말레산(maleic acid)] 등,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pH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pH를 조절하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시트르산, 시트르산나트륨, 말산, 말산나트륨, 프말산, 프말산나트륨, 숙신산, 숙신산나트륨, 수산화나트륨, 인산일수소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피부의 건조를 막아 피부의 유연성 및 탄력성을 유지할 수 있는 물질로서, 폴리올류, 아미노산류 또는 당류 등이 있다. 상기 폴리올류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부틸렌글리콜 등의 알코올, 판테놀과 같은 알코올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류 및 당류는 포도당, 트레할로스,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같은 단당류와 키토산, 히아루론산과 같은 다당류, 폴리쿼터늄-51과 같은 암모늄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점도, 질감 등을 개선시키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셀룰로오스검, 잔탄검, 젠란검, 아가, 타마린드검, 구아검, 아라비아검, 세틸알코올, 스테아릴알코올, 세테아릴알코올, 소듐클로라이드, 폴리쿼터늄-7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용액, 유탁액, 현탁액, 페이스트, 크림, 로션, 겔, 파우더, 스프레이,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징, 오일,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파운데이션, 메이크업베이스, 에센스, 화장수, 폼, 팩, 유연수, 선 스크린 크림, 선오일 등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피부외용연고,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에센스, 팩, 에멀젼 또는 오일젤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때, 사용되는 담체는 화장품의 제형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 형태의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 아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 형태의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클로로플루오로하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디메틸 에테르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용액 또는 유탁액 형태의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 오일, 피마자 오일,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고; 현탁액 형태의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트라칸트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화장비누 형태의 화장품을 제조할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염, 지방산 헤미에스테르 염, 지방산 단백질 히드롤리제이트, 이세티오네이트, 라놀린 유도체, 지방족 알코올, 식물성 유, 글리세롤, 당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규산염을 포함하여 주름 개선 효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적절한 배합비로 포함함으로써 백탁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기존의 규산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규산염을 포함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개선 효과를 육안으로 확인한 도면이다.
도 2는 규산염을 포함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면적(mm2) 감소 효과를 확인한 도면이다.
도 3은 규산염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육안으로 확인한 도면이다.
도 4는 규산염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모공면적(mm2) 감소 효과를 확인한 도면이다.
도 5은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의 함량에 따른 백탁현상 발생 여부를 확인한 도면이다(왼쪽: 비교예 1 및 2, 오른쪽: 실시예 2).
도 6는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의 함량에 따른 백탁현상 발생 여부를 확인한 도면이다(왼쪽: 비교예 3 및 4, 오른쪽: 실시예 2).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규산염을 포함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의 규산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1은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각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한 각 성분의 중량%이다.
조성 성분 함량 주요 기능
A 정제수 To 100 용매
마치현추출물 10.00 피부 개선 등
프로판디올 (Propandiol) 7.00 방부 및 피부 컨디셔닝
판테놀 (Panthenol) 1.20 피부 컨디셔닝
폴리쿼터늄-51 (Polyquaternium-51) 0.50 피부 컨디셔닝
펜틸렌글라이콜 (Pentylene Glycol) 2.00 방부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Dipotassium Glycyrrhizate) 0.20 피부 컨디셔닝
1,2-헥산디올 (1,2-Hexanediol) 1.00 방부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Hydroxyacetophenone) 0.30 방부
잔탄검 (Xanthan Gum) 0.30 피부 컨디셔닝
구연산 (Citric Acid) 2.00 pH 조절
B 정제수 (WATER) 20.00 용매
소듐실리케이트 (Sodium Silicate) 3.00 주름 개선
C 정제수 (WATER) 20.00 용매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Magnesium Silicate) 2.00 주름 개선
D 소르비탄세스퀴올리에이트 (Sorbitan Sesquioleate) 0.30 안정화
폴리소르베이트20 (Polysorbate 20) 0.50 안정화
구체적으로, 상기 표 1에 기재된 A 조성의 성분을 교반기가 달린 용기에 넣고, 교반을 진행하면서, B 내지 D 조성의 성분을 투입한 후, 교반 및 혼합하여, 실시예 1의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실시예 1의 규산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 2명의 피부에 도포하여 육안으로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포 전후의 평균 모공면적(mm2)을 2분 이내로 측정하고, 모공면적 증감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규산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후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조성물은 규산염을 포함함으로써, 모공면적을 약 24.3% 감소시켜 피부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함량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상시 실시예 1의 화장료 조성물의 규산염에 의한 백탁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백탁현상 개선제로서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PMSQ: Polymethylsilsesquioxane)의 함량을 달리하여,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하기 표 2는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낸 것이다. 각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한 각 성분의 중량%이다.
구분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2
1 소듐실리케이트 (SODIUM SILICATE) 3.00 3.00 3.00 3.00 3.00
2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Magnesium Aluminum Silicate) 3.00 3.00 3.00 3.00 3.00
3 구연산 (CIRIC ACID) 2.00 2.00 2.00 2.00 2.00
4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 (Polymethylsilsesquioxane) 0.00 1.00 5.00 10.00 3.00
5 잔탄검 (Xanthan Gum) 0.30 0.30 0.30 0.30 0.30
6 방부제 3.00 3.00 3.00 3.00 3.00
7 정제수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백탁현상 발생 발생 발생 발생 없음
구체적으로, 약 70℃의 물(정제수)에 상기 표 2에 나타낸 함량으로 각각의 성분을 교반기를 통해 충분히 혼합 및 교반한 후, 30℃로 냉각시켜,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젤(gel)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2. 피부 주름 개선 효과 확인
실시예 2의 규산염 및 폴리메칠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주름 개선 효능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 2명의 피부에 도포하여 육안으로 피부 주름 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포 전후의 평균 모공면적(mm2)을 2분 이내로 측정하고, 모공면적 증감률(%)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백탁현상을 개선한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후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조성물은 규산염을 포함함으로써, 모공면적을 약 8.4% 감소시켜 피부 주름 개선에 우수한 효능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백탁현상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실시예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규산염 및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의 백탁현상 개선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피부에 도포하여 육안으로 백탁현상 발생 여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도 5 및 도 6의 오른쪽 사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3.0 중량%로 포함하는 실시예 2의 조성물을 도포한 경우 규산염에 의한 백탁현상이 나타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달리, 도 5의 왼쪽 사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포함하지 않거나, 1.0 중량%로 포함하는 비교예 1 및 2의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의 함량이 적으므로 백탁현상이 발생됨을 확인하였다. 또한, 도 6의 왼쪽 사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5.0 중량% 또는 10.0 중량%로 포함하는 비교예 3 및 4의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의 함량이 높으므로 백탁 현상이 발생됨을 확인하였습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상기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은 규산염 및 백탁현상 개선제로서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적절히 배합하여 포함함으로써, 피부 주름 개선 기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규산염에 의한 백탁현상을 방지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5)

  1. 규산염을 1.5 내지 10 중량%로 포함하고;
    폴리메칠실세스퀴옥산을 1.5 내지 4.5 중량%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규산염은 소듐실리케이트, 소듐메타실리케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마그네슘칼슘실리케이트, 알루미늄칼슘실리케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칼슘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주름 개선, 피부 보습 및 피부 장벽 강화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인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KR1020190076343A 2019-06-26 2019-06-26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3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343A KR102223208B1 (ko) 2019-06-26 2019-06-26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76343A KR102223208B1 (ko) 2019-06-26 2019-06-26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81A KR20210000981A (ko) 2021-01-06
KR102223208B1 true KR102223208B1 (ko) 2021-03-05

Family

ID=741280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6343A KR102223208B1 (ko) 2019-06-26 2019-06-26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208B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13604A (ko) * 2012-05-09 2015-02-05 다우 코닝 코포레이션 실세스퀴옥산 수지 왁스 및 고체 미립자를 포함하는 피부에 도포하기 위한 조성물
KR102139340B1 (ko) * 2017-12-01 2020-07-29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즉시 주름 개선 및 탄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00981A (ko) 2021-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60634B1 (ko) 인산화당을 함유한 피부외용제
JP7307835B2 (ja) 水性組成物
US9468597B1 (en) Stabilized L-ascorbic acid skin serum
KR20170076966A (ko)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90041886A (ko) 식물성 3중 보습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KR102359729B1 (ko) 유화 제형의 끈적임 저감 및 투명도 향상용 화장료 조성물
KR20190071250A (ko) 피부 미백 및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3131B1 (ko) Aha, 우레아,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포함하는 각질 연화용 및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19745A (ko) 연꽃 추출물 및 오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활성을 가지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80118409A (ko) 에르고티오네인을 포함하는 영양크림 및 그 제조방법
KR102309300B1 (ko) 피부 주름 개선용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367688B1 (ko) 투명상의 모발 화장료 조성물
CN109363977A (zh) 一种滋润水润清透cc霜及其制备方法
KR101460777B1 (ko)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23208B1 (ko) 백탁현상이 방지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463133B1 (ko) 고함량의 우레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81952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05726351B (zh) 降低紫外线引起的脂质过氧化的协同组合物、制剂及相关方法
KR102348149B1 (ko) 파르테노리드를 포함하는 흑화, 탄력, 주름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또는 약학 조성물
KR101436819B1 (ko) 피부 보습, 진정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46479B1 (ko) 살리실산 가용화 조성물
KR100430606B1 (ko) 락트산 및 알부틴을 포함하는 미백 화장료 조성물
KR101557422B1 (ko) 때죽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세정 또는 세척제 조성물 및 화장료 조성물
KR20140103576A (ko) 펄 생성 화장료 조성물
KR102297560B1 (ko) 메칠하이드로제네이티드로지네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