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81952B1 -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81952B1
KR101681952B1 KR1020160094117A KR20160094117A KR101681952B1 KR 101681952 B1 KR101681952 B1 KR 101681952B1 KR 1020160094117 A KR1020160094117 A KR 1020160094117A KR 20160094117 A KR20160094117 A KR 20160094117A KR 101681952 B1 KR101681952 B1 KR 1016819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licate
cosmetic composition
weight
skin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회
Original Assignee
김종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종회 filed Critical 김종회
Priority to KR10201600941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819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819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819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61K8/25Silicon; Compound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안정제; 가소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고, pH가 9 이하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능이 우수하면서 백탁 현상이 방지된다.

Description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본 발명은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규산염을 포함하여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능이 우수하면서 백탁 현상을 방지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의 주름과 노화 등의 발생 원인에는 여러 가지 있지만, 피부에 유해한 과산화지질의 증가와 색소 침착 등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피부의 혈액순환이 좋지 않은 경우, 영양이 불충분한 경우, 진피속의 탄력 섬유질이 퇴화 및 위축되는 경우, 활성산소에 의한 자유라디칼이 생성되는 경우, 콜라겐이 부족한 경우, 및 탄력섬유질의 분해 요소인 엘라스라제의 활성이 증가한 경우 등의 다양한 원인에 의해 피부의 탄력성과 모공의 수축성이 약화되어 피부에 주름과 노화 등이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피부의 미용과 건강에 관한 관심이 증가하면서 피부 개선을 위한 기능성 물질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화장품 등)가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레티놀(비타민 A), AHA(a-hydroxy acid) 및 아데노신 등은 콜라겐의 합성을 증가시키고, 표피 각화 과정을 정상화시켜 피부 재생에 기여하는 기능성 물질로 알려져 화장료 조성물에는 주로 위와 같은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능성 물질은 대부분 합성 물질로서, 이는 화장료 제형에 균일하게 분산되기 어렵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눈에 대한 자극성, 임산부의 사용 제한, 부스럼증 및 가려움증(소양증) 등의 부작용을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최근 소비자들은 합성 물질보다는 천연 물질을 선호하고 있다. 또한, 천연 물질은 천연 한방 약재(식물)로부터 추출한 약재 추출물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736호에는 지황, 석창포, 황백, 고삼, 죽엽, 자초, 편축, 목근피, 관동화, 장군피 및 목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6059호에는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6302호에는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방지 및 피부 주름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834호에는 고삼추출물 마이크로캡슐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천연 약재 추출물은 인체에는 무해할 수 있으나, 이는 피부 흡수능이 떨어져 피부 주름이나 노화 개선 등에 충분한 효과를 보여주지 못하거나, 그 사용량에 비해 효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피부 주름 개선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규산염을 사용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3749호에는 규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제시되어 있다. 규산염은 피부 주름 개선과 함께 항산화력을 가져 피부 노화 방지에 유효할 수 있다.
그러나 규산염은, 예를 들어 수상에서 분산 안정성 등이 떨어져 경우에 따라서는 상분리(층분리)가 일어날 수 있고, 이는 특히 백탁 현상(도포, 건조 후 피부에 하얗게 남는 현상)을 발생시킨다. 이에 따라, 규산염을 함유한 종래의 화장료 조성물은 상분리에 의해 제형 안정성이 떨어지고, 무엇보다 피부 도포 후 백탁 현상을 발생시켜 피부에 하얀 얼룩이나 피막이 형성되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70736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56059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36302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102834호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03749호
이에, 본 발명은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규산염을 포함하여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능이 우수하고, 상기 규산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백탁 현상을 방지한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안정제;
가소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하고,
pH가 9 이하인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얼굴 피부 등에 적용된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12 이하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따라서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0.2중량% 내지 12중량%;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0.001중량% 내지 1.2중량%; 안정제 0.05중량% 내지 6.0중량%; 가소제 0.5중량% 내지 20.0중량%; 및 pH 조절제 0.01중량% 내지 8.0중량%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백탁 개선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백탁 개선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EDTA염)을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EDTA염)은, 예를 들어 디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2Na) 및 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4Na)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개선된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규산염을 포함하여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능이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규산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백탁 현상이 방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얼굴에 도포, 건조한 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image)이다.
도 9 및 도 10은 소듐실리케이트와 소듐메타실리케이트에 대한 용해도 실험 결과를 보인 이미지(image)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사용 전과 사용 후의 이미지(image)이다.
본 발명은 피부 개선능을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인체의 피부 등에 적용되는 것이면, 그의 종류나 제형 등은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미적 아름다움이나 피부 보호 등을 위한 화장품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형, 젤형 및 크림형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안정제; 가소제; 및 pH 조절제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물 등의 용매를 포함하며, pH(Potential of Hydrogen) 9 이하의 액성을 갖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하나 이상"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복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제1" 및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며, 각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개선 기능(피부 개선능)"은 피부 주름 개선(주름 완화), 피부의 노화 방지, 피부 탄력 개선, 피부 질환 완화, 피부 미백, 피부 트러블 방지 및 피지 분비 방지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기능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피부 개선 기능이 우수하다(향상된다)."라는 것은 "피부 주름 개선 기능(주름 완화 기능), 피부의 노화 방지 기능, 피부 탄력 개선 기능, 피부 질환 완화 기능, 피부 미백 기능, 피부 트러블 방지 기능 및 피지 분비 방지 기능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이 우수하다(향상된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 "규산염"은 경우에 따라서 상기 제1규산염과 제2규산염 둘 모두를 의미할 수 있다.
[1] 제1규산염
상기 제1규산염은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및/또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로부터 선택되며, 이는 피부 개선 기능의 유효성분으로서 포함된다. 제1규산염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주름 완화) 기능을 갖는다. 제1규산염은, 예를 들어 피부에 탄력을 부여하거나 피부를 순간적으로 팽창시킨다. 또한, 제1규산염은 피부 표면에 얇은 필름막을 형성하거나, 피부 표면에 존재하는 홈을 메워 피부를 평활화시킨다. 제1규산염은 적어도 위와 같은 기능을 가져 피부 주름 개선(완화)을 위한 유효성분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기능 이외에, 제1규산염은 항산화력 및/또는 항균력 등을 가져 피부 노화 방지를 위한 유효성분으로서도 작용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1규산염은 소듐실리케이트, 소듐메타실리케이트 및/또는 이들의 수화물을 포함한다. 상기 수화물로는, 예를 들어 소듐메타실리케이트 5수화물(5수염) 및/또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 9수화물(9수염)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제1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 시, 예를 들어 물에 분산(용해)시킨 다음,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1규산염은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 중에서도 소듐메타실리케이트(및/또는 이의 수화물)로부터 선택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험적 고찰에 따르면, 소듐실리케이트와 소듐메타실리케이트는 둘다 pH가 낮아질수록 용해성이 떨어지고 유리화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때, 용해성이 떨어지면 결정이 생기고, 유리화되면 백탁 현상이 심하게 발생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소듐메타실리케이트는 소듐실리케이트보다 물에 대한 용해성이 높고, 특히 낮은 pH에서도 유리화되는 경향이 낮아 백탁 현상이 없거나 최소화됨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제1규산염은 위와 같은 이유로 소듐실리케이트보다 소듐메타실리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도 확인될 수 있다.
상기 제1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 및/또는 제형 등에 따라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될 수 있다. 제1규산염은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2중량% 내지 12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1규산염의 함량이 0.2중량% 미만인 경우, 이의 사용에 따른 피부 주름 개선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또한, 제1규산염의 함량이 1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않고 백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제1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1.0중량%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2] 제2규산염
상기 제2규산염은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되며, 이는 상기 제1규산염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정"은 화학적인 반응이 없고, 물리적으로 균일하게 분산되는 것(균질성)을 의미한다. 제2규산염은 제1규산염의 안정제로서 작용하여, 조성물 내에서 제1규산염의 적어도 균일한 분산 안정성(상분리 등 방지) 등을 도모한다. 따라서, 제1규산염은 제2규산염(다가 규산염)에 의해 안정화되어 조성물 내에서 균질화된다. 또한, 제2규산염은 증점제로서도 작용하여 피부 발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2규산염으로서의 다가 규산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다가 금속 원소를 포함하는 규산염(silicate)로부터 선택된다. 이때, 상기 다가 금속 원소는 2가 이상의 금속 원소로서, 이는 예를 들어 주기율표 2족 ~ 5족에 속하는 금속 원소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Mg, Al, Ca 및/또는 Ba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제2규산염은 다가 규산염 및/또는 다가 규산염의 수화물을 포함한다. 아울러, 제2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 시, 예를 들어 물에 분산(용해)시킨 다음, 화장료 조성물에 혼합할 수 있다. 제2규산염은, 예를 들어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마그네슘칼슘실리케이트, 알루미늄칼슘실리케이트, 마그네슘알루미늄칼슘실리케이트, 이들의 수화물 및/또는 이들의 분산액(예, 2 ~ 50중량%의 수분산액)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제2규산염은, 바람직하게는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제2규산염은, 예를 들어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분산액으로서, 약 200 ~ 450cps의 점도를 가지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이때, 점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제1규산염의 안정화 및/또는 피부 발림성 등이 미미할 수 있으며, 점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젤리(묵)처럼 되어버리거나 백탁 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 분산액으로는 상용화 제품으로서, 예를 들어 Veegum® 시리즈(미국, R.T.Vandevilt 社 제품)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Veegum-Ultra, Veegum-HV 및/또는 Veegum-HS 등의 제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 바람직하게는 약 225 ~ 425cps의 점도를 가지는 Veegum-Ultra 제품을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12 이하인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하기 수학식에 따른 R이 0.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하기 수학식에서, R은 중량비이고, S1은 조성물 내에 포함된 제1규산염의 함량(중량)이며, S2는 조성물 내에 포함된 제2규산염의 함량(중량)이다.
[수학식]
R = S2/S1
본 발명에 따르면,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R)가 0.12 이하인 경우에 낮은 pH에서 백탁 현상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pH 9 이하의 액성을 가지는데, 이러한 낮은 pH에서 상기 중량비(R)가 0.12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백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으나, 상기 중량비(R)가 0.12 미만인 경우에는 백탁 현상이 현저히 방지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규산염은 건조 후 피부에 하얀 얼룩이나 피막을 형성하는 백탁 현상을 발생시키며, 이러한 백탁 현상은 pH가 낮을수록 심해진다. 백탁 현상은 제1규산염에 의해서는 물론 제2규산염에 의해서도 발생된다. 제2규산염을 많이 사용하면, 제1규산염의 안정성과 조성물의 점도가 증가되어 피부 주름 개선 등에 유리하지만, pH 9 이하에서는 백탁 현상이 발생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R)를 0.12 이하로 특정하는 경우, 제1규산염의 안정성 및 조성물의 점도가 보장되면서 pH 9 이하의 낮은 pH에서도 백탁 현상이 방지된다.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R)는, 구체적인 예를 들어 0.005 내지 0.12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중량비(R)가 0.005 미만으로서 제2규산염의 사용량이 너무 낮은 경우, 제2규산염을 사용함에 따른 제1규산염의 안정성 및/또는 조성물의 점도 개선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중량비(R)는 0.01 내지 0.1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2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의 종류 및/또는 제형 등에 따라 적절한 함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제2규산염은, 상기 중량비(R)가 0.12 이하,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1로 사용하되,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01중량% 내지 1.2중량%로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제2규산염의 함량이 0.001중량% 미만인 경우, 이의 사용에 따른 제1규산염의 안정성 및/또는 조성물의 점도 개선 등의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 아울러, 제2규산염의 함량이 1.2중량%를 초과하는 경우, 과잉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않고 제2규산염에 의해 백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제2규산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5중량% 내지 1.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3] 안정제
상기 안정제는 규산염의 안정화를 위해 사용된다. 안정제는 적어도 제1규산염을 안정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안정제는, 예를 들어 잔탄검, 디하이드로잔탄검 및/또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규산염은 제2규산염에 의해 안정화되고, 또한 상기 안정제에 의해서도 보조적으로 안정화(균질화 등)된다. 이에 따라, 제1규산염은 제2규산염(주요 안정제) 및 안정제(보조 안정제)에 의해, 조성물 내에서 매우 안정한 상태로 존재한다. 아울러, 상기 안정제는 제1규산염은 물론 제2규산염을 안정화시키고, 이는 또한 조성물의 증점제로서도 작용하여 피부 발림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안정제는 제1규산염에 대해, 예를 들어 0.01 내지 0.5의 중량비(즉, 제1규산염 : 안정제 = 1 : 0.1 ~ 2.0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안정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5중량% 내지 6.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안정제의 사용량(함량)이 너무 낮은 경우에는 이의 사용함에 따른 규산염의 안정화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그리고 안정제의 사용량(함량)이 너무 많은 경우에는 과잉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않고, 조성물의 점도가 너무 높아질 수 있다.
[4] 가소제
상기 가소제는 규산염의 가소화를 위해 사용된다. 가소제는 적어도 제1규산염을 가소화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피부 도포 후, 제1규산염으로서의 소듐메타실리케이트 및/또는 소듐메타실리케이트에 의해 얇은 필름막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필름막은 제1규산염에 의해 딱딱해질 수 있는데, 가소제는 이러한 현상을 방지한다. 즉, 가소제는 제1규산염을 가소화시켜 필름막에 유연성을 부여한다. 아울러, 가소제는 제1규산염은 물론이고, 제2규산염을 가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규산염을 가소화시켜 필름막에 유연성 부여할 수 있는 것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가소제는, 예를 들어 글라이콜류, 글리세린류 및/또는 글리세스류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프로필렌 글라이콜, 부틸렌글라이콜 및/또는 글리세스-26(Glycereth-26)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소제는 제1규산염에 대해, 예를 들어 0.2 내지 5.0의 중량비(즉, 제1규산염 : 가소제 = 1 : 0.5 ~ 5.0의 중량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가소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5중량% 내지 2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가소제의 사용량(함량)이 0.5중량% 미만으로서 너무 낮은 경우에는 이의 사용함에 따른 규산염의 가소화(유연성 부여) 정도가 미미할 수 있고, 20.0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많은 경우에는 과잉 사용에 따른 상승효과가 그다지 않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가소제는 8.0중량% 내지 1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5] pH 조절제
상기 pH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pH 강하를 위해 사용된다.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제1규산염 및 제2규산염 등에 의해, 예를 들어 pH 10 이상, 많게는 pH 11.5 이상의 강알칼리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화장료 조성물의 pH가 10 이상으로서 높은 pH를 가지는 경우, 적어도 피부 자극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국내의 경우, 화장품의 액성을 pH 9 이하, 구체적으로는 pH 3 ~ 9로 규정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피부 자극 및/또는 법 규정 등을 고려하여 pH를 9 이하로 하고, 이를 위해 pH 조절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pH 7 ~ 9 범위의 액성을 가질 수 있다. 이때, pH가 9를 초과하는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피부 자극이 나타날 수 있고, 법 규정을 만족할 수 없다. 또한, pH가 7 미만으로서 너무 낮은 경우에는 규산염의 안정성이 낮아지고 백탁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pH 8 ~ 9 범위의 액성을 가지는 것이 좋다.
상기 pH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pH를 9 이하로 조절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pH 조절제는, 예를 들어 유기산, 무기산 및/또는 이들의 염(유도체) 등으로 선택될 수 있으며, 구체적인 예를 들어 구연산, 글리시리진산, 구연산, 아스코르빈산, 살리실산, 스테아린산, 아미노산, 아스코르빈산, 아젤레익산, 아시아틱산, 옥살산, 마데카식산, 히알루로닉산, 글루타믹산, 글리시레틴산, 락트산, 리놀레익산, 말릭산, 소르빈산, 스테아릭산, 아스파틱산, 에리소르빅산, 올레익산, 타르타르산, 소르빈산, 알긴산 및/또는 이들의 염(유도체)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pH 조절제의 사용량(함량)은 pH 9 이하로 조절할 수 있을 정도면 좋다. pH 조절제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1중량% 내지 8.0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상기 범위로 한정하는 것이다. 경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pH 조절제의 사용량(함량)이 0.01중량% 미만으로 너무 낮은 경우에는 이의 사용함에 따른 pH 강하 정도가 미미할 수 있다. 그리고 pH 조절제의 사용량(함량)이 8.0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많은 경우에는 pH가 너무 낮아져 피부에 자극적일 수 있고, 또한 상기 규산염의 규산염의 안정성 저하 및/또는 백탁 현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6] 용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용매를 더 포함한다. 용매는, 적어도 규산염을 분산(희석)시킬 수 있는 것이면 좋으며, 이는 예를 들어 물, 알코올류 및 이들의 혼합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하나의 예시에서, 용매는 물을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물은 정제수 및 증류수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용매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의 잔량에 해당될 수 있다. 용매는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45.0중량% 내지 99.0중량%, 또는 55.0중량% 내지 95.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7] 백탁 개선제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규산염에 의해 발생되는 백탁 현상을 방지(개선)하기 위한 백탁 개선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좋다. 이때, 본 발명에 따라서, 상기 백탁 개선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 ; ethylene diamine tetraacetic acid)염(이하, "EDTA염"으로 약칭한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EDTA염은 백탁 현상의 방지(개선)에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하기 실시예에 의해서도 확인될 수 있다.
상기 EDTA염은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금속 원소가 결합된 금속염으로서, 이는 예를 들어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Na), 포타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K) 및/또는 칼슘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Ca)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EDTA염은, 바람직하게는 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sodium EDTA)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EDTA염은, 보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디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Disodium EDTA, EDTA-2Na) 및/또는 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Tetrasodium EDTA, EDTA-4Na)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들은 백탁 현상의 방지(개선)에 매우 효과적이다.
상기 백탁 개선제로서의 EDTA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예를 들어 0.001중량% 내지 2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이때, EDTA염의 사용량(함량)이 0.001중량% 미만으로서 너무 낮은 경우에는 이의 사용함에 따른 백탁 현상 방지능이 미미할 수 있다. 그리고 EDTA염의 사용량(함량)이 20.0중량%를 초과하여 너무 많은 경우에는 피부에 자극을 줄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할 때, EDTA염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0.05중량% 내지 10.0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8] 기타 성분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필름막 형성제, 주름 개선제 및/또는 식물 추출물(약재 추출물) 등의 부가 성분을 선택적으로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가 성분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 전체 중량 기준으로 각각 0.001중량% 내지 10.0중량%의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름막 형성제는, 예를 들어 고분자로부터 선택될 수 있으며, 이는 일례로 폴리비닐피롤리돈(PVP)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주름 개선제는, 예를 들어 아세틸헥사펩타이드를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물 추출물은 홍삼, 고삼, 지골피, 석창포, 우슬, 원지, 유근피, 생지황, 하수오, 구기자, 한련초, 측백엽, 감국, 감초, 계지, 구절초, 금은화, 남과자, 노근, 녹차, 단삼, 당귀, 떡갈나무, 마늘, 만형자, 배괴화, 백복령, 백작약, 백지, 보골지, 사상자, 삼백초, 상백피, 선학초, 생강, 숙지황, 소루쟁이, 송엽, 솔잎, 약쑥, 연교, 인삼, 조협(주협나무 열매), 지모, 참깨, 창포, 천궁, 형개, 홍화, 황기, 로즈마리, 시카카이, 검은콩, 검은깨, 뽕잎, 포공영, 오디 및 칡뿌리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추출물을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식물 추출물은 각 식물의 잎, 줄기, 뿌리 및/또는 열매 등을 물 및/또는 유기 용매 등을 이용한 용매 추출액; 압착을 이용한 압착 추출액; 및/또는 용매 추출한 추출액을 정제 후 감압 농축한 농축액 등으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매 추출의 경우, 물이나 탄소수 1-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2이상의 혼합 추출 용매를 이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라서, 상기 식물 추출물은 마치현 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및 알로에베라잎 추출물(Aloe Barbadeensis Leaf Extract) 등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좋으며, 이들은 피부 개선능에 효과적이다.
상기 마치현은 각종 종기나 피부병 등의 치료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마치현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어, 적어도 피부 항염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로에베라잎은 세포 조직의 재생 및 보습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알로에베라잎 추출물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되어, 적어도 피부 탄력 개선, 잔주름 완화, 보습, 및/또는 염증 완화 등의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이상에서 설명한 성분들을 포함하되, 그의 종류나 제형에 따른 화장료 베이스(cosmetic base)를 포함할 수 있다. 화장료 베이스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화장료 베이스는 제품의 종류 및 제형에 따라 다양하게 조성될 수 있다. 화장료 베이스는 제품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예를 들어 계면활성제(음이온성, 양이온성, 비이온성, 양쪽 이온성 등), 유화제, 유화 안정제, 글리콜류, 알코올류, 보습제, 컨디셔닝제, 점도 조절제, 킬레이팅제, 자외선 차단제 및 향료 등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화장료 베이스를 구성하는 각 성분은 통상과 같이 조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액상, 젤상, 크림상, 페이스트상 및 거품상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어 유연화장수, 수렴화장수, 영양화장수, 젤, 영양크림, 마사지크림, 아이크림, 아이에센스, 에센스, 클렌징크림, 클렌징로션,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팩, 바디로션, 바디크림, 바디에센스, 패취, 얼굴 마스크, 분무제 및/또는 피부 접착타입 등의 제품 형태를 가질 수 있으나,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르면,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제1규산염을 포함하여 적어도 피부 주름 개선능이 향상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낮은 pH(pH 9 이하)에서 제1규산염 및/또는 제2규산염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백탁 현상이 방지된다. 백탁 현상은 전술한 바와 같이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특정 중량비(R), 및/또는 안정제 등에 의해 방지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 따라서, 백탁 개선제로서의 EDTA염을 포함하는 경우 백탁 현상은 현저히 방지(개선)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예시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도록 하기 위해 예시적으로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의 비교예들은 종래 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단지 실시예와의 비교를 위해 제공된다. 그리고 하기의 비교예들 중에서 일부는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1]
약 25℃의 물(정제수)에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은 성분들을 넣고, 교반기를 통해 충분히 혼합 교반하여 젤(gel) 상태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하기 [표 1]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한 각 성분의 중량%이다.
[비교예 1]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2규산염으로서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실시예 2 내지 4]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제1규산염으로서 소듐실리케이트 대신에 소듐메타실리케이트(9수염)를 사용(실시예 2)하거나, 소듐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실시예 3 및 실시예 4)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각 실시예(2 ~ 4)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비교예 2]
실시예 4와 비교하여, 안정제로서의 잔탄검과 가소제로서의 프로필렌글라이콜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1]에 보인 바와 같다.
상기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H와,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R)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함께 나타내었다.
또한,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백탁 현상을 평가하였다. 백탁 현상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성인 남녀 피시험자의 얼굴에 도포한 다음, 건조된 후의 육안 관찰을 통해 평가하였다. 이때, 백탁 현상은 아래의 기준으로 평가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아울러,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는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얼굴에 도포, 건조한 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image)이다.
< 백탁 현상 평가 기준 >
- 없음 : 흰색의 얼룩이나 피막이 전혀 없는 경우
- 약간발생 : 흰색의 얼룩이나 피막이 조금이라도 관찰된 경우
- 발생 : 흰색의 얼룩이나 피막이 확연하게 관찰된 경우
<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및 백탁 현상 평가 결과, 단위 : 중량% >
성 분 실시예 1 비교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2
제1규산염 S1-1 4 4 - 4 4 4
S1-2 - - 4 - - -
제2규산염
(다가 규산염)
S2 0.25 3 0.45 0.45 0.5 0.5
안정제 X 0.45 0.45 0.45 0.45 0.45 0.15
가소제 PG 6 6 9.87 9.87 9.87 6
pH 조절제 구연산 1.72 1.72 1.72 1.72 1.70 1.70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pH 8.70 8.74 8.71 8.74 8.82 8.82
R 0.0625 0.75 0.1125 0.1125 0.125 0.125
백탁 현상 없음 발생 없음 약간발생 약간발생 발생
S1-1 :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S1-2 :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9수)
S2 :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5중량%의 수분산액, 점도 약 250cps at 20℃)
X : 잔탄검
PG : 프로필렌 글라이콜
R :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다가 규산염)의 중량비(R = S2/S1)
상기 [표 1]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보인 바와 같이,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pH 9 이하)은 비교예들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pH 9 이하)과 비교하여, 백탁 현상이 없거나 거의 나타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규산염의 종류와 다가 규산염의 함량 등에 따라 백탁 현상에 차이를 보임을 알 수 있다.
먼저, 실시예 1과 비교예 1을 대비하면, pH 9 이하에서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이 높은 경우(비교예 1), 백탁 현상이 심하게 발생됨을 알 수 있다.(도 1 참조)
또한, 실시예 2 ~ 4와 비교예 2를 대비하면, 소듐메타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2)가 소듐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3 및 비교예 2)보다 백탁 현상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즉, 중량비 R(= S2/S1)이 낮은 경우에 백탁 현상이 보이지 않음을 알 수 있다.
아울러, 실시예 4와 비교예 2를 대비하면, 안정제(잔탄검)와 가소제(프로필렌 글라이콜)의 함량이 높은 경우(실시예 4)가 그렇지 않은 경우(비교예 2)보다 백탁 현상이 적음을 알 수 있다.(도 4 참조)
[실시예 5]
실시예 4와 비교하여, 제1규산염으로서 소듐실리케이트 대신에 소듐메타실리케이트(9수염)를 사용하고, pH 조절제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하기 [표 2]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한 각 성분의 중량%이다.
[실시예 6]
실시예 4와 비교하여, 백탁 개선제로서 EDTA염을 더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비교예 3]
실시예 6과 비교하여, 백탁 개선제로서 EDTA염을 첨가하지 않고,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비교예 4]
비교예 3과 비교하여, pH 조절제(구연산)를 첨가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3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실시예 7]
실시예 6과 비교하여, 제1규산염으로서 소듐실리케이트 대신에 소듐메타실리케이트(9수염)를 사용하고, 소듐메타실리케이트(9수염)와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실시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비교예 5]
실시예 7과 비교하여, 백탁 개선제로서 EDTA염을 첨가하지 않고,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을 달리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7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본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은 하기 [표 2]에 보인 바와 같다.
상기 실시예 5 내지 7, 및 비교예 3 내지 5에 따른 각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pH와 중량비(R)를 평가하였다. 또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백탁 현상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함께 나타내었다. 아울러, 첨부된 도 5 내지 도 8은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시험자의 얼굴에 도포, 건조한 후의 모습을 보인 이미지(image)이다.
< 화장료 조성물의 조성 및 백탁 현상 평가 결과, 단위 : 중량% >
성 분 실시예 4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3 비교예 4 실시예 7 비교예 5
제1규산염 S1-1 4 - 4 4 4 - -
S1-2 - 4 - - - 3.5 3.5
제2규산염
(다가 규산염)
S2 0.5 0.5 0.5 1.5 1.5 0.75 0.5
안정제 X 0.45 0.45 0.45 0.45 0.45 0.45 0.45
가소제 PG 9.87 9.87 9.87 9.87 9.87 9.87 9.87
백탁 개선제
(EDTA염)
EDTA-2Na - - 0.12 - - 0.12 -
EDTA-4Na - - 0.50 - - 0.50 -
pH 조절제 구연산 1.70 1.72 1.72 1.72 - 1.72 1.72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합계 100 100 100 100 100 100 100
pH 8.82 8.71 8.71 8.74 11.26 8.71 8.72
R 0.125 0.125 0.125 0.375 0.375 0.214 0.143
백탁 현상 약간
발생
없음 없음 발생 약간
발생
없음 발생
S1-1 :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
S1-2 :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9수)
S2 :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5중량%의 수분산액, 점도 약 250cps at 20℃)
X : 잔탄검
PG : 프로필렌 글라이콜
EDTA-2Na : Disodium EDTA
EDTA-4Na : Tetrasodium EDTA
R :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다가 규산염)의 중량비(R = S2/S1)
먼저, 실시예 4와 실시예 5를 대비하면, 소듐메타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5)가 소듐실리케이트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4)보다 백탁 현상이 개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와 실시예 6, 및 비교예 3과 실시예 6을 서로 대비하면, 백탁 개선제로서 EDTA염을 사용한 경우(실시예 6)가 그렇지 않은 경우(실시예 4 및 비교예 3)보다 백탁 현상이 현저히 개선됨을 알 수 있다.(도 5 참조)
아울러, 실시예 5과 실시예 6을 대비하면, 미세한 차이기는 하지만 실시예 6이 백탁 현상이 낮음을 알 수 있다.(도 6 참조)
한편, 비교예 3과 비교예 4를 대비하면, pH가 9를 초과하여 높은 경우(비교예 4, pH 11.26)에는 백탁 현상이 낮음을 알 수 있다.(도 7 참조)
아울러, 실시예 7과 비교예 5을 대비하면, 실시예 7의 경우 비교예 5보다 다가 규산염(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의 함량이 높음에도 백탁 개선제(EDTA염)에 의해 백탁 현상이 거의 발생되지 않음을 알 수 있다.(도 8 참조)
[실시예 8] < 용해도 실험 1 >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와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하기 [표 3]에 보인 바와 같이, 25℃의 증류수 96.5g에 소듐실리케이트 3.5g(시료 1)과 소듐메타실리케이트 3.5g(시료 2)을 각각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같은 교반속도로 30분 동안 충분히 용해시켰다. 이후, 각 시료를 투명 용기에 담아 용해도를 비교하였다. 도 9는 시료 1과 시료 2의 사진이다.
[실시예 9] < 용해도 실험 2 >
또한, pH 8.5 ~ 9.0 범위에서, 소듐실리케이트(sodium silicate)와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의 물에 대한 용해도를 알아보고자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하기 [표 4]에 보인 바와 같이, 25℃의 증류수 95g에 소듐실리케이트 3.5g(시료 3)과 소듐메타실리케이트 3.5g(시료 4)을 각각 넣고, 교반기를 이용하여 같은 교반속도로 30분 동안 충분히 용해시켰다. 이후, 각 시료에 구연산 1.5g을 넣고 20분 동안 충분히 더 교반하여 용해시킨 다음, 각 시료를 투명 용기에 담아 용해도를 비교하였다. 도 10은 시료 3과 시료 4의 사진이다.
< 용해도 비교를 위한 시료의 조성, 단위 : 중량% >
성 분 시료 1 시료 2 비 고
소듐실리케이트 3.5 -
at 25℃
소듐메타실리케이트 (9수) - 3.5
증류수 96.5 96.5
합 계 100 100
< 용해도 비교를 위한 시료의 조성, 단위 : 중량% >
성 분 시료 3 시료 4 비 고
소듐실리케이트 3.5 -
at 25℃
pH : 8.5 ~ 9.0
소듐메타실리케이트 (9수) - 3.5
구연산 1.5 1.5
증류수 95.0 95.0
합 계 100 100
pH 8.90 8.79
첨부된 도 9 및 도 10에 보인 바와 같이, 소듐메타실리케이트는 소듐실리케이트보다 용해성이 더 높음을 알 수 있으며, 특히 동일량을 증류수에 용해시킬 때 소듐메타실리케이트는 더 낮은 pH에서도 소듐실리케이트보다 용해성이 더 높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는 용해성이 높은 소듐메타실리케이트가 소듐실리케이트보다 건조 후에도 석출되는 량이 적어 피부에 도포시 백탁 현상이 낮아짐을 뒷받침한다.
[실시예 10]
하기 [표 5]에 보인 바와 같은 성분 및 함량으로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먼저, 교반기가 달린 용기에 하기 [표 5]의 (A)조성을 넣고, 교반을 계속 진행하면서 (B)조성 ~ (F)조성을 투입하여 교반, 혼합한 다음, 이후 (G)조성의 각 성분을 첨가 혼합하였다. 이때, (D)조성 및 (E)조성에서 각 식물 추출물은 에탄올을 이용한 용매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하기 [표 5]에서, 각 성분의 함량은 화장료 조성물 전체를 기준으로 한 각 성분의 중량%이다.
< 화장료 조성물의 성분 및 함량, 단위 : 중량% >
성 분 함 량 주요 기능
(A)조성 정제수 63.27 용매
S1-2 3.5 주름 개선 등
S2 0.25 안정화/증점
잔탄검 0.45 안정화/증점
프로필렌 글라이콜 9.87 가소화
(B)조성 EDTA-2Na 0.12 백탁 개선
(EDTA염)
EDTA-4Na 0.5
구연산 1.56 pH 조절
(C)조성 PVP 0.28 필름막 형성
정제수 0.42 용매
(D)조성 마치현 추출물 2.526 피부 개선 등
글리세린(Glycerin) 0.3 피부 컨디셔닝
프로판디올(Propanediol) 0.15 방부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024 방부
(E)조성 알로에베라잎 추출물 0.942 피부 개선 등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0.05 피부 컨디셔닝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008 방부
(F)조성 아세틸헥사펩타이드-8 0.004 주름 개선 등
부틸렌 글라이콜(Butylene glycol) 0.05 피부 컨디셔닝
페녹시에탄올(Phenoxyethanol) 0.0032 방부
(G)조성 아데노신(Adenosine) 0.04 주름 개선 등
알란토인(Allantoin) 0.1 피부 컨디셔닝
디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Dipotassium glycyrrhizate)
0.1 피부 컨디셔닝
1,2-헥산디올(1,2-Hexanediol) 0.1 방부
에칠헥산디올(Etylhexanediol) 0.56 방부
정제수 잔량(To 100) 용매
S1-2 : 소듐메타실리케이트(sodium meta silicate)(9수)
S2 : 마그네슘알루미늄실리케이트(5중량%의 수분산액, 점도 약 250cps at 20℃)
EDTA-2Na : Disodium EDTA
EDTA-4Na : Tetrasodium EDTA
PVP : 폴리비닐피롤리돈
상기 실시예 10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크림 제형)에 대하여, 50 ~ 60대 여성 피시험자들에게 얼굴에 사용(도포)하게 하였다. 첨부된 도 11은 가장 좋은 결과를 보인 피시험자의 사용 전(Before)과 사용 후(After)의 이미지(image)로서, 도 11에서 사용 후의 이미지는 도포 약 8분 후의 모습이다.

Claims (10)

  1.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안정제;
    가소제;
    pH 조절제; 및
    백탁 개선제를 포함하고,
    상기 백탁 개선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을 포함하며,
    상기 안정제는 잔탄검, 디하이드로잔탄검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pH가 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12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pH는 7 ~ 9이고,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01 내지 0.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소듐실리케이트 및 소듐메타실리케이트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제1규산염 0.2중량% 내지 12중량%;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0.001중량% 내지 1.2중량%;
    안정제 0.05중량% 내지 6.0중량%;
    가소제 0.5중량% 내지 20.0중량%; 및
    pH 조절제 0.01중량% 내지 8.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은 디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2Na) 및 테트라소듐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EDTA-4Na)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안정제는 제1규산염에 대해 0.01 내지 0.5의 중량비로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마치현 추출물 및 알로에베라잎 추출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식물 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규산염 0.2중량% 내지 12중량%;
    다가 규산염으로부터 선택된 제2규산염 0.001중량% 내지 1.2중량%;
    안정제 0.05중량% 내지 6.0중량%;
    가소제 0.5중량% 내지 20.0중량%; 및
    pH 조절제 0.01중량% 내지 8.0중량%를 포함하고,
    pH가 9 이하이며,
    상기 제1규산염은 소듐메타실리케이트이고,
    상기 제1규산염에 대한 제2규산염의 중량비는 0.12 이하이며,
    백탁 개선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백탁 개선제는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이고,
    상기 에틸렌디아민테트라아세트산염은 0.05중량% 내지 10.0중량%로 포함되며,
    상기 안정제는 잔탄검, 디하이드로잔탄검 및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0. 삭제
KR1020160094117A 2016-07-25 2016-07-25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19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17A KR101681952B1 (ko) 2016-07-25 2016-07-25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4117A KR101681952B1 (ko) 2016-07-25 2016-07-25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58953A Division KR20180011698A (ko) 2016-11-28 2016-11-28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81952B1 true KR101681952B1 (ko) 2016-12-02

Family

ID=5757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4117A KR101681952B1 (ko) 2016-07-25 2016-07-25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819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548B1 (ko) * 2020-12-30 2021-07-21 (주)나우코스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KR102532994B1 (ko) 2022-03-15 2023-05-17 기서철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457A (ko) * 1996-08-12 1998-05-25 이능희 크림상의 염모제 조성물
KR20080036302A (ko) 2006-10-23 2008-04-28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차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20120003749A (ko) 2010-07-05 2012-01-1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규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70736B1 (ko) 2010-05-12 2013-06-03 (주) 메디플랜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20140004862A (ko) * 2012-07-03 2014-01-14 한국콜마주식회사 단시간에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6059B1 (ko) 2012-09-07 2014-11-03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JP2015507641A (ja) * 2012-01-19 2015-03-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皺及び肌のきめの粗さを平滑化するための方法
KR20150102834A (ko) 2014-02-28 2015-09-08 소망화장품주식회사 고삼추출물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4457A (ko) * 1996-08-12 1998-05-25 이능희 크림상의 염모제 조성물
KR20080036302A (ko) 2006-10-23 2008-04-28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차풀 추출물의 제조방법 및 차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피부노화방지 및 피부주름방지용 화장료조성물
KR101270736B1 (ko) 2010-05-12 2013-06-03 (주) 메디플랜 한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소양증 개선용 조성물
KR20120003749A (ko) 2010-07-05 2012-01-1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규산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5507641A (ja) * 2012-01-19 2015-03-12 ザ プロクター アンド 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皺及び肌のきめの粗さを平滑化するための方法
KR20140004862A (ko) * 2012-07-03 2014-01-14 한국콜마주식회사 단시간에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456059B1 (ko) 2012-09-07 2014-11-03 소망화장품주식회사 자감초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102834A (ko) 2014-02-28 2015-09-08 소망화장품주식회사 고삼추출물 함유 마이크로캡슐 및 이를 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548B1 (ko) * 2020-12-30 2021-07-21 (주)나우코스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KR102532994B1 (ko) 2022-03-15 2023-05-17 기서철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500385B1 (fr) Procede de stabilisation de mousse pour mousse cosmetique
EP2979685B1 (en) Film forming complex,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it and their use as peel-off film mask
KR101716475B1 (ko) 미강,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를 포함하는 필-오프 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06095A (zh) 含有脂质肽型化合物的经皮吸收基材
KR20180045539A (ko) 아토피 피부염 치료용 화장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40055689A (ko) 피부 자극이 저감된 고마쥬 타입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6141A (ko) 즉각적인 피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681952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6881006B2 (ja) 化粧料
KR20190001136A (ko) 올리고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개선용 리프팅 팩 조성물
KR101465109B1 (ko) 단시간에 피부 탄력을 증진시키고 피부 주름을 개선시키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1596021B1 (ko) 필링 화장 재료 및 그의 사용 방법
RU2295951C1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лица и веками
KR20180011698A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N116889528A (zh) 一种水光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876744B1 (ko) 홍삼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피부를 3단계로 관리 개선하는 방법
KR101064038B1 (ko) 피부 붓기를 완화해주는 화장료 조성물
JP3479048B2 (ja) 化粧料及び不織布含浸化粧料
KR102086316B1 (ko) 경피흡수성이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2092728B1 (ko) 2액형 화장료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2994B1 (ko) 리프팅 시간이 단축된 피부 리프팅 화장료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리프팅 화장품
JP6271517B2 (ja) 皮膚化粧料
KR100737391B1 (ko) 알로에젤을 함유한 주름개선용 나노입자 조성물 및 그를함유한 화장료
KR20210093498A (ko) 타나카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21098655A (ja) 皮膚外用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26

Year of fee payment: 4